KR20180021382A -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 및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 및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382A
KR20180021382A KR1020187001950A KR20187001950A KR20180021382A KR 20180021382 A KR20180021382 A KR 20180021382A KR 1020187001950 A KR1020187001950 A KR 1020187001950A KR 20187001950 A KR20187001950 A KR 20187001950A KR 20180021382 A KR20180021382 A KR 20180021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printing
units
ga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1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6329B1 (ko
Inventor
미노루 이누즈카
히로카즈 효도
고지 아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28905A external-priority patent/JP66686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28906A external-priority patent/JP66686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28904A external-priority patent/JP66686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2890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7015761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ublication of KR20180021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3Transfer printing
    • D06P5/004Transfer printing using subliming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B29D11/00923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on lens surfaces for colouring or t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2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 B41M5/03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by sublimation or volatilisation of pre-printed design, e.g. sublistat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02/012Ink jet with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2Dye diffusion thermal transfer printing (D2T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 Ink Jet (AREA)

Abstract

승화성의 염료를 가열하고, 염료를 수지체를 향해 승화시킴으로써 수지체를 염색하는 염색 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염료가 부착되는 롤 형상으로 형성된 염색용 기체이며, 염료가 부착되는 측의 면이 롤 형상의 염색용 기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염색용 기체에, 인쇄 장치에 의해 염료를 인쇄할 때 인쇄 장치의 잉크 헤드에 대해서, 롤 형상의 염색용 기체의 외측면이 대향하도록, 염색용 기체를 인쇄 장치에 설치하는 설치 스텝과, 인쇄 장치의 잉크 헤드에 의해, 수지체에 증착되는 염료가 함유된 잉크를 염색용 기체를 향해 토출함으로써, 염료를 염색용 기체에 인쇄하는 인쇄 스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 염색 수지체의 제조 방법,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장치, 인쇄 제어 프로그램, 및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
본 개시는, 전사 염색의 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 염료 부착 기체를 사용한 전사 염색의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염색 수지체의 제조 방법, 염료 부착 기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인쇄 장치, 염료 부착 기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인쇄 제어 장치, 염료 부착 기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인쇄 제어 프로그램, 및 염료 부착 기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지체(예를 들어 플라스틱 렌즈 등)를 염색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이 개시하는 기상 전사 염색 방법에서는, 염색용 기체에 부착되어 있는 승화성 염료가 가열되고, 가열된 승화성 염료가 수지체에 증착된다. 특허문헌 1의 염색용 기체는, 승화성 염료가 분산된 잉크를, 프린터에 의해 백지에 인쇄함으로써 얻어진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1-59950호 공보
그런데, 롤 형상의 염색용 기체는, 염색용 기체가 롤 형상으로 감겨 있기 때문에, 둥글게 말리려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이로 인해, 승화성 염료를 염색용 기체에 부착시킬 때, 염색용 기체와 인쇄 장치의 잉크 헤드가 접촉함으로써, 눈막힘의 발생, 염색용 기체의 말려들어감 등의 결함이 발생하고 있었다. 본 개시의 제1 측면은, 수지체의 염색 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염료 부착 기체를 제조할 때 발생하는 결함을 억제할 수 있는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 및 염색 수지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저가 원하는 색을 설정하고, 설정한 색으로 수지체의 염색을 행하는 경우에, 수지체의 특성(예를 들어, 기재, 두께, 형상 등)의 차이에 의해, 설정한 색과 상이한 색으로 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지체를 양호하게 염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개시의 제2 측면은, 원하는 색으로 적합하게 염색할 수 있는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장치, 및 인쇄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소정의 사이즈로 미리 커트된 복수 매의 기체(예를 들어 종이)의 각각에 대해서,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잉크가 인쇄됨으로써, 염료 부착 기체가 얻어지고 있었다. 이 경우, 잉크가 인쇄된 각각의 기체마다, 그 후의 각종 작업이 행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기가 곤란하였다. 본 개시의 제3 측면은, 염료 부착 기체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제조 방법 및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소정의 사이즈로 미리 커트된 기체(예를 들어 종이)의 1개씩에 대해서,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잉크가 순서대로 인쇄됨으로써, 염료 부착 기체가 얻어지고 있었다. 이 경우, 염료 부착 기체를 하나씩밖에 제조할 수 없었으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기가 곤란하였다. 본 개시의 제4 측면은, 염료 부착 기체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인쇄 장치 및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본 개시의 제1 측면에 따른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은, 승화성의 염료를 가열하고, 상기 염료를 수지체를 향해 승화시킴으로써 상기 수지체를 염색하는 염색 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염료가 부착되는 롤 형상으로 형성된 염색용 기체이며, 상기 염료가 부착되는 측의 면이 롤 형상의 상기 염색용 기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염색용 기체에, 인쇄 장치에 의해 상기 염료를 인쇄할 때, 상기 인쇄 장치의 잉크 헤드에 대해서, 롤 형상의 상기 염색용 기체의 외측면이 대향하도록, 상기 염색용 기체를 상기 인쇄 장치에 설치하는 설치 스텝과, 상기 인쇄 장치의 상기 잉크 헤드에 의해, 상기 수지체에 증착되는 상기 염료가 함유된 잉크를 상기 염색용 기체를 향해 토출함으로써, 상기 염료를 상기 염색용 기체에 인쇄하는 인쇄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본 개시의 제1 측면에 따른 염색 수지체의 제조 방법은, 상기 (1)의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기 염료 부착 기체를 상기 수지체와 대향시켜, 상기 염료 부착 기체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염료 부착 기체에 인쇄된 상기 염료를 승화시키고, 상기 염료를 상기 수지체에 증착시키는 증착 스텝과, 상기 염료가 증착된 상기 수지체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염료를 정착시키는 정착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본 개시의 제2 측면에 따른 인쇄 제어 장치는, 인쇄 제어 장치로서, 염색을 행할 수지체의 특성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수지체에 증착되는 승화성의 염료가 함유된 복수의 잉크로서, 색이 서로 동일하며, 또한, 상기 수지체에 대한 적정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둘 이상의 잉크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잉크로부터, 상기 수지체를 염색할 때 사용할 잉크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본 개시의 제2 측면에 따른 인쇄 장치는, 인쇄 장치로서, 수지체에 증착되는 승화성의 염료가 함유된 잉크를, 염색용 기체를 향해 토출함으로써, 상기 염료를 상기 염색용 기체에 인쇄하는 잉크 헤드이며, 상기 염색용 기체에 인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잉크의 컬러수보다도 많은 개수의 잉크 헤드와, 상기 인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염색을 행하는 상기 수지체의 특성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수지체에 증착되는 승화성의 염료가 함유된 복수의 잉크로서, 색이 서로 동일하며, 또한, 상기 수지체에 대한 적정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둘 이상의 잉크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잉크로부터, 상기 수지체를 염색할 때 사용할 잉크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잉크 헤드 중,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 헤드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염료를 상기 염색용 기체에 인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본 개시의 제2 측면에 따른 인쇄 제어 프로그램은, 인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인쇄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인쇄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염색을 행할 수지체의 특성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수지체에 증착되는 승화성의 염료가 함유된 복수의 잉크로서, 색이 서로 동일하며, 또한, 상기 수지체에 대한 적정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둘 이상의 잉크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잉크로부터, 상기 수지체를 염색할 때 사용할 잉크를, 상기 취득 스텝에 의해 취득된 상기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선택 스텝을 상기 인쇄 제어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본 개시의 제3 측면에 따른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은, 수지체에 증착되는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료부를 구비한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승화성 염료를 함유한 잉크를, 인쇄 장치에 의해 가늘고 긴 기체에 토출시킴으로써, 하나 또는 1세트의 수지체를 염색하는 상기 염료부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를 상기 기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여 인쇄하는 인쇄 스텝과, 상기 염료부가 인쇄된 상기 기체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를 포함하는 상기 기체의 단편을 작성하는 단편 작성 스텝과, 상기 기체의 단편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의 잉크를 건조시키는 건조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본 개시의 제3 측면에 따른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은, 인쇄 장치로서, 수지체에 증착되는 승화성 염료가 함유된 잉크를 기체를 향해 토출함으로써, 상기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료부를 상기 기체에 인쇄하는 잉크 헤드와, 상기 기체를 절단하는 커터와, 상기 인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잉크 헤드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하나 또는 1세트의 수지체를 염색하는 상기 염료부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를 가늘고 긴 상기 기체에 인쇄시킴과 함께, 상기 커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기체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를 포함하는 상기 기체의 단편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본 개시의 제4 측면에 따른 인쇄 장치는, 인쇄 장치로서, 가늘고 긴 시트 형상의 기체를 복수 장착하는 기체 장착부와, 상기 기체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복수의 기체를, 상기 기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송출하는 송출부와, 수지체에 증착되는 승화성 염료가 함유된 잉크를, 상기 송출부에 의해 송출되는 상기 복수의 기체를 향해 토출함으로써, 상기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료부를 상기 복수의 기체에 인쇄하는 잉크 헤드와, 상기 인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출부 및 상기 잉크 헤드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하나 또는 1세트의 수지체를 염색하는 상기 염료부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1단위 또는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를 상기 복수의 기체에 인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본 개시의 제4 측면에 따른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은, 인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인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는 데이터 작성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인쇄 장치는, 가늘고 긴 시트 형상의 기체를 복수 장착하는 기체 장착부와, 상기 기체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복수의 기체를, 상기 기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송출하는 송출부와, 수지체에 증착되는 승화성 염료가 함유된 잉크를, 상기 송출부에 의해 송출되는 상기 복수의 기체를 향해 토출함으로써, 상기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료부를 상기 복수의 기체에 인쇄하는 잉크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이 상기 데이터 작성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하나 또는 1세트의 수지체를 염색하는 상기 염료부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1단위 또는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를 상기 복수의 기체에 인쇄시키는 인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는 데이터 작성 스텝을 상기 데이터 작성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염색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인쇄 장치(1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A-A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캐리지(30)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롤 형상 기체(2)의 외관도이다.
도 6은, 인쇄 장치(1) 및 PC(60)를 포함하는 염료 부착 기체 제조 시스템(100)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PC(60)가 실행하는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설정 정보 입력 화면(8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잉크 결정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횡배열 인쇄가 행해진 경우의, 각 기체 단면(29)에 대한 복수의 염료부(3)의 인쇄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종배열 인쇄가 행해진 경우의, 각 기체 단편(29)에 대한 복수의 염료부(3)의 인쇄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인쇄 방식 설정 화면(9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인쇄 장치(10)가 실행하는 인쇄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염료 부착 기체 제조 공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전형적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염료 부착 기체(1)는, 수지체에 대해서 전사 염색을 행하여 염색 수지체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수지체의 하나인 플라스틱 렌즈(4)를, 염료 부착 기체(1)를 사용하여 기상 전사 염색에 의해 염색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그러나, 이하에서 예시하는 기술은, 플라스틱 렌즈(4) 이외의 수지체(예를 들어, 휴대 전화의 커버, 라이트용 커버, 액세서리, 완구 등)를 염색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예시하는 염료 부착 기체(1)는, 기상 전사 염색 이외의 전사 염색의 공정에 있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예를 들어,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 중합체(CR-39)), 폴리우레탄계 수지, 알릴계 수지(예를 들어, 알릴디글리콜카르보네이트 및 그 공중합체, 디알릴프탈레이트 및 그 공중합체), 푸마르산계 수지(예를 들어, 벤질푸마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계 수지,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섬유계 수지(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티오우레탄계 또는 티오에폭시 등의 고굴절 재료 등을 재질로 한 수지체를 염색할 수도 있다.
<전사 염색의 공정>
도 1을 참조하여, 염료 부착 기체(1)를 사용하여 수지체(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라스틱 렌즈(4))를 염색하는 공정(염색 수지체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염료 부착 기체(1)의 제조 공정이 실행된다. 본 실시 형태의 염료 부착 기체(1)는, 시트 형상의 기체(염색용 기체)(2)에 있어서의 한쪽 면에 염료부(3)를 구비한다. 염료부(3)는, 플라스틱 렌즈(4)에 증착되는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경에 장착되는 1세트(2개가 한 쌍)의 플라스틱 렌즈(4)를 염색하기 위해서, 한 쌍의 염료부(3)가 1단위로서 기체(2)에 형성된다. 염료 부착 기체(1)의 제조 공정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어서, 염료 부착 기체(1)에 부착된 염료를 플라스틱 렌즈(4)에 전사하는 전사 공정이 실행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염료 부착 기체(1)의 염료부(3)에 포함되는 승화성 염료가 가열됨으로써, 염료가 플라스틱 렌즈(4)를 향해 승화된다. 그 결과, 염료가 플라스틱 렌즈(4)에 증착된다. 또한, 플라스틱 렌즈(4)에는, 후술하는 정착 공정에 의한 염료의 정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용막 등, 각종 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전사 공정(증착 공정)은, 증착부(5)에 의해 행해진다. 증착부(5)는, 전자파 발생부(6), 증착용 지그(7), 및 펌프(8)를 구비한다. 전자파 발생부(6)는, 염료 부착 기체(1)에 전자파를 조사함으로써, 염료의 온도를 단시간에 상승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할로겐램프가 전자파 발생부(6)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자외선, 마이크로파 등의 다른 파장의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구성을 전자파 발생부(6)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다른 방법에 의해 승화성 염료를 가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온으로 된 철판 등을 염료 부착 기체(1)에 접촉시킴으로써, 승화성 염료를 가열해도 된다. 증착용 지그(7)는, 염료 부착 기체(1)와 플라스틱 렌즈(4)를 유지한다. 본 실시 형태의 증착용 지그(7)는, 플라스틱 렌즈(4)로부터 적절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염료 부착 기체(1)를 유지한다. 그 결과, 플라스틱 렌즈(4)에 증착되는 염료에 색 불균일 등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염료 부착 기체(1)는, 염료부(3)가 부착된 면이 플라스틱 렌즈(4)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펌프(8)는, 증착부(5)의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고, 증착부(5)의 내부 기압을 저하시킨다. 본 실시 형태의 전사 공정은, 염료 부착 기체(1) 및 플라스틱 렌즈(4)의 주위 기압을 저하시킨 상태(예를 들어, 대략 진공 상태)에서 행해진다. 따라서, 대기압하에서 증착이 행해지는 경우에 비하여 승화성 염료가 적절하게 승화되어, 플라스틱 렌즈(4)에 증착된다.
이어서, 정착 공정이 행해진다. 정착 공정에서는, 염료가 증착된 플라스틱 렌즈(4)가 가열됨으로써, 염료가 플라스틱 렌즈(4)에 정착된다. 그 결과, 염색 수지체가 제조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정착 공정은, 오븐(9)에 의해 행해진다. 오븐(9)(특히, 송풍식 정온항온기)을 사용하면, 플라스틱 렌즈(4)의 온도가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상승하므로, 온도차가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염료가 균등하게 플라스틱 렌즈(4)에 정착되기 쉽다. 또한, 정착 공정의 내용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레이저를 플라스틱 렌즈(4) 위에서 주사시킴으로써, 플라스틱 렌즈(4)를 가열해도 된다. 또한, 전사 공정과 정착 공정이 모두 동일한 장치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전사 공정에서의 가열과, 정착 공정에서의 가열을, 동일한 가열 수단(예를 들어 적외선 히터 등)이 실행해도 된다.
<인쇄 장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염료 부착 기체(1)의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인쇄 장치(10)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 장치(10)는, 하우징(11), 잉크 용기 장착부(12), 및 조작부(15)를 구비한다. 하우징 (11)은, 인쇄 장치(10)의 각종 구성을 유지한다. 하우징(11)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잉크 용기 장착부(12)에는 잉크 용기(예를 들어, 잉크 팩, 잉크 카트리지 등)가 장착된다. 본 실시 형태의 인쇄 장치(10)에는,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 헤드(33)(도 4 참조)가 8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잉크 용기 장착부(12)에는, 8개의 잉크 헤드(33)의 각각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해서, 잉크 용기가 장착되는 슬롯(13)이 8개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15)에는 각종 조작 지시가 입력된다.
염료부(3)가 인쇄된 기체(2)는, 하우징(11)으로부터 전방으로 송출된다. 하우징(11)의 전방에는, 하우징(11)으로부터 송출된 기체(2)가 적재되는 받침대(17)가 설치되어 있다. 받침대(17)는, 인쇄 장치(10)의 본체에 대해서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저는, 받침대(17)를 제거함으로써, 받침대(17)에 적재된 1매 또는 복수 매의 기체(2)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체(2)에는, 가늘고 긴(즉, 긴 형상의) 시트 형상의 기체(2)가 사용된다.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의 기체(2)는, 롤 형상으로 감긴 가늘고 긴 종이(롤지)이다. 그러나, 롤지 이외의 재료(예를 들어, 시트 형상의 금속박, 시트 형상의 수지 등)를 기체(2)로서 사용해도 된다. 인쇄 장치(10)는, 복수(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기체(2)를 장착하고, 장착한 복수의 기체(2)의 각각에 대해서 염료부(3)를 병행하여 인쇄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인쇄 장치(10)는, 하우징(11)으로부터 송출되는 4개의 기체(2)의 각각을 수용하기 위해서, 4개의 받침대(17)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 장치(10)의 하우징(11)은, 전방측 상부가 개방된 대략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의 상단부에는, 개폐 커버(19)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개폐 커버(19)가 상방으로 회동됨으로써, 하우징(11)의 전방측 상부가 개방된다. 인쇄 장치(10)의 후방측 하부에는, 기체(2)를 장착하는 기체 장착부(2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늘고 긴 시트 형상의 기체(2)가 롤 형상으로 감긴 상태에서 기체 장착부(20)에 장착된다. 본 실시 형태의 기체 장착부(20)는, 롤 형상의 염색용 기체(2)(이하, 「롤 형상 기체(2)」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의 축심 부분에 감입됨으로써, 롤 형상 기체(2)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기체 장착부(20)는, 인접하는 롤 형상 기체(2)의 사이에 배치되는 지그(도시생략)를 구비한다. 지그는, 복수의 롤 형상 기체(2) 사이의 거리를 일정 거리로 유지한다. 롤 형상 기체(2)의 내측면 및 외측면과, 인쇄 장치(10)와의 배치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하우징(11)의 내부에는, 하부 베이스(22), 상부 베이스(26), 캐리지(30), 및 가이드 레일(31)이 설치되어 있다. 하부 베이스(22)는, 송출되는 기체(2)의 하방에 위치한다. 상부 베이스(26)는, 송출되는 기체(2)의 상방에 위치한다. 즉, 기체(2)는, 하부 베이스(22)와 상부 베이스(26)의 사이를 전후 방향으로 통과한다.
하부 베이스(22)의 상단에 있어서의 후부에는, 송출부(23)가 설치되어 있다. 송출부(23)는, 기체 장착부(20)에 장착된 기체(2)(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기체(2))를, 기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송출한다.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의 송출부(23)는, 회전축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리트 롤러이다. 본 실시 형태의 송출부(23)는, 기체 송출 모터(35)(도 6 참조)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4개의 기체(2)를 송출한다. 상부 베이스(26)의 하단에는, 기체(2)를 송출부(23)를 향해 압박하는 핀치 롤러(27)가 설치되어 있다. 핀치 롤러(27)의 회전축은, 송출부(23)의 회전축과 평행하다. 또한, 송출부(23)의 구성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송출부(23)는, 복수의 기체(2)의 각각을 별개로 송출해도 된다.
하부 베이스(22)의 상단에 있어서의 송출부(23)의 전방에는, 기체(2)를 절단하는 커터(24)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커터(24)는, 커터 구동 모터(36)(도 6 참조)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늘고 긴 기체(2)를 짧은 방향으로 절단한다.
하부 베이스(22)보다도 상방, 또한 송출부(23)보다도 전방에는, 캐리지(30) 및 가이드 레일(31)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31)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의 부재이며, 하우징(11)에 고정되어 있다. 캐리지(30)는, 복수의 잉크 헤드(33)(도 4 참조)를 저부에 구비하고 있다. 캐리지(30)는, 캐리지 모터(37)(도 6 참조)에 의해, 가이드 레일(31)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인쇄 장치(10)는, 캐리지(30)를 좌우 방향(주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잉크 헤드(33)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킴으로써, 주주사 방향의 인쇄를 행한다. 또한, 인쇄 장치(10)는, 송출부(23)에 의해 기체(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부주사를 행한다. 주주사와 부주사가 반복해서 행해짐으로써, 기체(2)의 인쇄면에 2차원의 염료부(3)가 인쇄된다. 또한, 주주사 및 부주사의 방법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인쇄 장치(10)는, 캐리지(30)를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된다. 또한, 인쇄 장치(10)는, 고정된 잉크 헤드(33)에 대해서, 기체(2)를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된다.
<잉크 헤드와 잉크의 종류 관계>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헤드(33)와 잉크의 종류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30)의 저부에는 복수의 잉크 헤드(33)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잉크 헤드(33)는, 수지체에 증착되는 승화성의 염료가 함유된 잉크를, 염색용 기체를 향해 토출함으로써, 염색부(3)를 기체(2)에 인쇄한다. 복수의 잉크 헤드(33)의 각각은, 잉크 용기 장착부(12)(도 2 참조)에 장착된 복수의 잉크 용기의 각각에 대해서, 잉크 공급로(예를 들어 가요성 튜브)에 의해 별개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잉크 헤드(33)에 하나의 잉크 용기로부터 잉크가 공급된다.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흑(BK), 청(B), 적(R), 황(Y)의 4색의 잉크가 적절히 선택되어 토출됨으로써, 기체(2)에 인쇄할 염료부(3)의 색(환언하면, 염료 부착 수지체(1)를 사용한 염색 공정에 의해 염색되는 수지체의 색)이 재현된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 형태의 인쇄 장치(10)가 구비하는 잉크 헤드(33)의 수는 8개이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인쇄 장치(10)는, 염색할 수지체의 색을 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잉크의 컬러수(이하, 「사용 컬러수」라고 함)보다도 많은 잉크 헤드(33)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잉크 헤드(33)의 일부에는, 색이 서로 동일하며, 또한 수지체에 대한 적정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둘 이상의 잉크의 각각을 토출하는 복수의 잉크 헤드(33)가 포함되어 있다.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흑색 잉크는 1종류이며, 도 4에 도시한 BK의 잉크 헤드(33)로부터 토출된다. 본 실시 형태의 흑색 잉크는, 다양한 기재의 염색에 적합하다. 청색 잉크는 2종류이며, 한쪽의 청색 잉크는 B1의 잉크 헤드(33)로부터 토출되고, 다른 쪽의 청색 잉크는 B2의 잉크 헤드(33)로부터 토출된다. 적색 잉크는 2종류이며, 한쪽의 적색 잉크는 R1의 잉크 헤드(33)로부터 토출되고, 다른 쪽의 적색 잉크는 R2의 잉크 헤드(33)로부터 토출된다. 황색 잉크는 3종류이며, 3종류의 황색 잉크는, Y1, Y2, Y3의 각각의 잉크 헤드(33)로부터 토출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본 실시 형태의 인쇄 장치(10)는, 색이 동일한 복수 종류의 잉크 중, 염색할 수지체의 특성(예를 들어, 수지체의 기재)에 적합한 하나 또는 복수의 잉크를 선택하고, 기체(2)에 인쇄한다.
또한, 사용 컬러수, 사용하는 잉크의 종류, 잉크 헤드(33)의 수 등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의 3색에 의해 염료부(3)의 색이 재현되어도 된다.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의 4색에 의해 염료부(3)의 색이 재현되어도 된다.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의 3색과, 적(R), 황(Y), 청(B)의 3색의 조합에 의해, 염료부(3)의 색이 재현되어도 된다. 다른 색(예를 들어 갈색 등)의 잉크가 사용되어도 된다. 흑색 잉크가 복수 종류 사용되어도 된다.
<인쇄 장치에 있어서의 롤 형상 기체의 배치>
도 5는, 기체(2)의 구성도이다. 예를 들어, 기체(2)는, 기체(2)에 부착된 승화성의 염료를 가열하고, 염료를 수지체를 향해 승화시킴으로써 플라스틱 렌즈(4)를 염색하는 염색 공정(염색 수지체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체(2)는, 염료가 부착되는 면(이하, '염색면'이라고 기재)(51)을 구비한다. 염색면(51)은, 염색부(3)가 인쇄되는 면이다. 또한, 예를 들어 기체(2)는, 기체(2)에 비하여 높은 전자파 흡수율을 갖는 전자파 흡수층(52)을 구비한다. 전자파 흡수층(52)은, 적어도 염색면(51)의 반대측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기체(2)는, 롤 형상으로 형성된 기체이며, 염색면(51)이 롤 형상의 기체(2)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체(2)에서는, 전자파 흡수층(52)이 롤 형상의 기체(2)의 내측면(53)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전자파 흡수층(52)은, 적어도 전자파 발생부(6)가 발생시키는 파장의 전자파를, 기체(2)보다도 높은 흡수율로 흡수할 수 있으면 된다.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열성을 갖는 흑색 또는 짙은 색(본 실시 형태에서는 흑색)의 안료를 함유하는 착색 잉크에 의해, 전자파 흡수층(52)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자파 흡수층(52)은, 기체(2)에 있어서의 한쪽 면의 일부를 차지하는 영역에 형성된다(여백(56)이 남는 상태에서 형성됨). 따라서, 한쪽 면의 전부에 전자파 흡수층(52)이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기체(2)의 비용이 저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염색면(51)이 롤 형상의 기체(2)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전자파 흡수층(52)이 롤 형상의 기체(2)의 내측면(53)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의 기체(2)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적어도, 염색면(51)이 롤 형상의 기체(2)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면 된다.
예를 들어, 기체(2)는, 인쇄 장치(10)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유저는, 기체 장착부(20)에 기체(2)를 장착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롤 형상의 기체(2)는, 기체(2)가 롤 형상으로 감겨 있기 때문에, 컬부(둥글게 말리려는 성질을 가진 부분)(55)가 달려 있다. 이에 의해, 염색부(3)를 기체(2)에 인쇄할 때 기체(2)와 인쇄 장치(10)의 잉크 헤드(33)가 접촉하고, 눈막힘의 발생, 염색용 기체의 말려들어감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저는, 인쇄 장치(10)에 의해 염색부(3)를 인쇄할 때, 인쇄 장치(10)의 잉크 헤드(33)에 대해서 롤 형상의 기체(2)의 외측면이 대향하도록, 기체(2)를 인쇄 장치(10)의 기체 장착부(20)에 설치한다. 즉, 인쇄 장치(10)의 잉크 헤드(33)에 대해서 기체(2)의 외측면이 대향하도록, 염색면(51)이 외측면에 형성된 롤 형상의 기체(2)를, 인쇄 장치(10)의 기체 장착부(20)에 설치함으로써, 컬부(55)와 잉크 헤드(33)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전기적 구성>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염료 부착 기체 제조 시스템(100)의 전기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염료 부착 기체 제조 시스템은, 인쇄 장치(10)와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함)(60)를 구비한다.
인쇄 장치(10)는, 인쇄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구비한다. 제어부(40)는, CPU(프로세서)(41), ROM(42) 및 RAM(43)을 구비한다. CPU(41)는, 인쇄 장치(10)의 각부의 제어를 담당한다. ROM(42)에는, 인쇄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예를 들어, 도 13에 예시하는 인쇄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인쇄 제어 프로그램 등), 및 초깃값 등이 기억되어 있다. 제어 프로그램은, 도시하지 않은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RAM(43)에는 각종 정보가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제어부(40)에는, 조작부(15), 잉크 헤드(33), 기체 송출 모터(35), 커터 구동 모터(36), 캐리지 모터(37), 및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38)가, 버스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38)는, 인쇄 장치(10)를 PC(60) 등의 외부 기기에 접속한다.
PC(60)는, PC(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구비한다. 제어부(70)는, CPU(71), ROM(72), RAM(73),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74)를 구비한다. CPU(71)는 PC(60)에 있어서의 각종 처리를 담당한다. ROM(72)에는, CPU(71)가 실행하는 BIOS 등의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RAM(73)은 각종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HDD(74)는 불휘발성의 기억 매체이다. HDD(74)에는, 예를 들어 도 7에 예시하는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 및 각종 테이블(예를 들어 도 9 참조)이 기억되어 있다. HDD(74)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은, CD-ROM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해 취득되어도 된다. 제어부(70)에는, 모니터(61), 조작부(62), 및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68)가, 버스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모니터(61)는, 제어부(70)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각종 화상을 표시한다. 조작부(62)(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등)에는, 유저에 의한 각종 조작 지시가 입력된다.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68)는, PC(60)를 인쇄 장치(10) 등의 외부 기기에 접속한다.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처리>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PC(60)가 실행하는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쇄 제어 데이터는, 인쇄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본 실시 형태의 인쇄 장치(10)는, PC(60)로부터 입력한 인쇄 제어 데이터에 따라서, 기체(2)에 대한 염료부(3)의 인쇄를 실행한다. PC(60)의 CPU(71)는, 인쇄 제어 데이터의 작성 지시를 입력하면,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에 따라서, 도 7에 예시하는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처리를 실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처리에는, 인쇄 리스트를 작성하는 처리(S1 내지 S7)와, 인쇄 리스트에 따라서 인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S8 내지 S18)가 포함된다. 인쇄 리스트(89)(도 8 참조)는, 제조할 염료 부착 기체(1)의 리스트이다. 인쇄 리스트(89)에서는, 제조할 염료 부착 기체(1)의 단위마다, 리스트에 있어서의 순서(리스트순)와, 인쇄할 염료부(3)의 색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가 대응지어져 있다. 도 8의 인쇄 리스트(89)에서는, 리스트순이 「No.」로 표시되어 있으며, 색이 「컬러명」이라는 코드로 표시되어 있다. 인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S8 내지 S18)에서는, 인쇄 리스트(89)에 따라서, 기체(2)에 대한 복수 단위의 염료부(3)의 인쇄 위치가 등록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 리스트를 작성하는 처리(S1 내지 S7)에서는, 우선, 리스트순에 「1」이 가산된다(S1).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스트순을 관리하는 카운터의 값이,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처리의 개시 시에 「0」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처음에 S1의 처리가 행해지면, 리스트순을 관리하는 카운터의 값은 「1」로 된다.
이어서, CPU(71)는, 염색할 수지체의 기재, 및 기체(2)에 인쇄할 염료부(3)의 색(환언하면, 염료 부착 기체(1)에 의해 염색되는 수지체의 색)을 포함하는 각종 설정 정보를 취득한다(S2).
도 8을 참조하여, 설정 정보의 취득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CPU(71)는, 인쇄 리스트(89)를 작성하는 처리 중에, 설정 정보 입력 화면(80)(도 8 참조)을 모니터(61)에 표시한다. 설정 정보 입력 화면(80)에는, 컬러명 입력란(81), 기재 입력란(82), 농도 입력란(83), 패턴 입력란(84), 리스트 추가 버튼(86), 인쇄 개시 버튼(87), 및 인쇄 리스트(89)가 표시된다.
컬러명 입력란(81)에는, 기체(2)에 인쇄할 염료부(3)의 색(즉, 제조되는 염료 부착 기체(1)에 의해 염색되는 수지체의 색)이 입력된다. 또한, 염료 부착 기체(1)에 인쇄된 염료부(3)의 색과, 이 염색용 기체(1)를 사용하여 염색되는 수지체의 색이 외관상 상이한 경우가 있음은 물론이다. 기재 입력란(82)에는, 염색할 수지체의 기재가 입력된다. 농도 입력란(83)에는, 수지체를 염색하는 색의 농도가 입력된다. 패턴 입력란(84)에는, 염료부(3)의 인쇄 패턴이 입력된다. 인쇄 패턴에는, 예를 들어 수지체의 전체면에 균일하게 염색하기 위한 패턴, 그라데이션 형상으로 수지체를 염색하기 위한 패턴, 수지체의 중심부와 외주부에서 농도를 변경하기 위한 패턴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리스트 추가 버튼(86)은, 유저가 인쇄 리스트(89)에 항목을 추가하는 경우에 조작된다. S2의 처리에서는, 리스트 추가 버튼(86)이 조작되면, 그 시점에서 각종 입력란(81 내지 84)에 입력되어 있는 각종 설정 정보가, 추가하는 인쇄 리스트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로서 취득된다. 인쇄 개시 버튼(87)은, 기체(2)로의 염료부(3)의 인쇄를 개시시키는 경우에 유저에 의해 조작된다.
CPU(71)는, 각종 설정 정보를 취득하면(S2), 취득된 특성 정보(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재)에 대응하여,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8종류)의 잉크 중에서 인쇄에 사용할 잉크를 결정한다(S3). 상세하게는, CPU(71)는, 색이 서로 동일하며, 또한, 수지체에 대한 적정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둘 이상의 잉크를 포함하는 복수의 잉크로부터, 수지체를 염색할 때 사용할 잉크를, 취득된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한다.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CPU(71)는, 염색할 수지체의 특성과, 수지체에 대해서 적정한 잉크가 대응지어진 정보인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잉크 중에서 수지체를 염색할 때 사용할 잉크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염색할 수지체의 기재와, 염색 공정에 사용할 잉크를 대응짓는 대응 정보의 일종인 잉크 결정 테이블(도 9 참조)이, HDD(74)에 기억되어 있다.
도 9에 예시한 잉크 결정 테이블에서는, 어느 기재를 염색하는 경우에도, BK, B, R, Y의 4색의 잉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색이 재현되도록 정해져 있다. 그러나, B, R, Y의 잉크의 각각에 대해서는, 색이 서로 동일하며, 또한 수지체의 기재에 대한 적정이 서로 다른 복수의 잉크 중에서 염색할 수지체의 기재에 적합한 하나 또는 복수의 잉크가 사용되도록, 테이블이 작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S3에서는, CPU(71)는, 잉크 결정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S2에서 취득된 기재에 대응하는 잉크를, 인쇄에 사용하는 잉크로서 결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염색할 수지체의 특성 정보가 조작부(62)를 통해 입력됨으로써, CPU(71)에 의해 취득된다. 그러나, 특성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CPU(71)는, 다른 장치로부터 특성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특성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또한, 인쇄에 사용할 잉크를 결정하는 방법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응 정보는, 조작부(62)의 조작에 의해 설정할 수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9에 예시한 잉크 결정 테이블은, 메이커 등에 의해 미리 작성되어 있어도 된다. CPU(71)는, 잉크 결정 테이블의 내용(즉, 수지체의 특성 정보와 사용 잉크의 대응)을, 유저에 의한 조작 지시에 기초하여 변경해도 된다. CPU(71)는, 유저에 의한 조작 지시에 기초하여, 잉크 결정 테이블을 새롭게 작성해도 된다. 또한, 테이블을 사용하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CPU(71)는, 염색에 사용할 잉크를 결정할 때 사용 잉크의 선택 지시의 입력을 유저에게 요구하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잉크를 사용 잉크로서 결정해도 된다. 테이블이 사용되지 않고, 입력된 기재에 대응하는 잉크가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미리 프로그램이 작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수지체의 특성 정보는 기재의 정보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염색할 수지체의 두께, 형상 등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수지체의 특성 정보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지체의 특성 정보에 관계없이, 4색의 잉크가 1종류씩 사용된다(즉, 항상 4개의 잉크 헤드(33)가 사용 헤드로서 결정됨). 그러나, CPU(71)는, 수지체의 특성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하는 잉크의 수를 변경해도 된다. 또한, 색이 서로 동일하며, 또한 수지체에 대한 적정이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잉크를, 하나의 수지체를 염색하기 위한 사용 잉크로서 결정해도 된다.
CPU(71)는, 사용할 잉크를 결정하면(S3), S2에서 취득한 색(환언하면, 유저에 의해 선택된 색)을, S3에서 결정한 잉크에 의해 재현하도록, 1단위의 염료부(3)를 인쇄하기 위한 데이터를 작성한다(S4). CPU(71)는, 작성한 1단위분의 데이터를, 인쇄 리스트(89)의 n번째로 추가하여 보존한다(S5). 이어서, CPU(71)는, 인쇄 개시의 지시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 입력되지 않았으면(S7: 아니오), 처리는 S1로 되돌아가고, 다음 리스트순으로의 인쇄 리스트(89)의 추가 처리가 행해진다(S1 내지 S5).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는, 인쇄 리스트(89)를 추가할 때마다 색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색의 염료 부착 기체(1)가 효율적으로 제조된다. 인쇄 개시 버튼(87)이 조작되어, 인쇄 개시의 지시가 입력되면(S7: 예), 유저에 의해 설정된 인쇄 방식에 기초하여 인쇄 제어 데이터가 작성된다(S8 내지 S18).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염료부(3)의 인쇄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염료 부착 기체 제조 시스템(100)은, 가늘고 긴 기체(2)의 각각에 대해서 복수 단위의 염료부(3)를, 기체(2)의 길이 방향(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배열하여 인쇄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단위의 염료부(3)가 효율적으로 인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의 기체(2)를 절단함으로써, 복수 단위의 염료부(3)를 포함하는 기체 단편(29)이 작성된다. 이 경우, 복수 단위의 염료부(3)를 포함하는 기체 단면(29)마다, 염료부(3)의 인쇄 후 각종 작업이 행해진다. 따라서, 하나의 단위의 염료부(3)만을 포함하는 염료 부착 기체(1)를, 염료부(3)의 인쇄 후 바로 제조하는 경우에 비하여,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가늘고 긴 기체(2)가 적절히 절단되어 사용되므로, 기체(2)의 손실을 삭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기체 단편(29)에 포함하는 염료부(3)의 단위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기체 단편(29)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는 염료부(3)의 단위수)를, 유저가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예에서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단위수(이하, 「선택 단위수」라고 함)는 「5」이다. 그러나, 선택 단위수가 「4」로 되면, 각각의 기체 단편(29)에는 4단위의 염료부(3)가 형성된다. 따라서, 기체 단편(29)을 작성할 때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가 선택 가능한 단위수의 상한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기체 단편(29)이 너무 커져서(즉, 너무 길어져서) 오히려 작업 효율이 저하되어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위수의 상한은 「5」이지만, 상한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복수의 기체(2)에 대한 복수의 염료부(3)의 인쇄 배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도면상의 상하 방향이, 송출부(23)에 의한 기체(2)의 송출 방향('종방향' 또는 '열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으로 되어 있다. 도면상의 좌우 방향이, 송출 방향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횡방향' 또는 '행방향'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으로 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염료 부착 기체 제조 시스템(100)은, 송출 방향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따라서, 복수 단위의 염료부(3)를 등록순에 따라서 배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에 예시하는 인쇄를 횡배열 인쇄라고 한다. 도 10에 예시하는 횡배열 인쇄에서는, 우측부터 좌측을 향해 등록순으로, 4단위의 염료부(3)가 4개(4열)의 기체(2)의 각각에 1단위씩 배열된다. 교차 방향으로 1배열(1행)의 염료부(3)의 인쇄가 완료되면, 인쇄가 완료된 1배열의 염료부(3)로부터 송출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등록순의 계속에 따라서 다시 1배열의 염료부(3)의 인쇄가 행해진다. 도 10에 도시한 예에서는, 선택 단위수가 「5」로 되어 있다. 따라서, 4개의 기체(2)에 대해서 최대 4열×5행의 염료부(3)가, 일련의 인쇄 동작에 의해 인쇄된다. 횡방향 인쇄에 의하면, 복수의 기체(2)의 각각에 최대한 균등한 수의 염료부(3)가 인쇄된다. 따라서, 복수의 기체(2)에 대해서 효율적으로 염료부(3)가 인쇄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예에서는 우측부터 좌측을 향해 염료부(3)의 등록순이 하나씩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좌측부터 우측을 향해 등록순이 증가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등록순이 우측부터 「1」, 「3」, 「2」, 「4」가 되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등록순이 좌측부터 「1」, 「4」, 「2」, 「3」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교차 방향을 따라서, 등록순에 따라 배열한다」라 함은, 교차 방향의 한쪽부터 다른 쪽을 향해 등록순이 오름차순이 되도록 배열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의미가 아니라, 등록순이 연속된 최대 4단위의 염료부(3)를, 등록순의 대소에 관계없이 교차 방향을 따라 배열하는 것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염료 부착 기체 제조 시스템(100)은, 복수 단위의 염료부(3)를 송출 방향을 따라 등록순으로 배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에 예시하는 인쇄를 종배열 인쇄라고 한다. 도 11에 예시하는 종배열 인쇄에서는, 4개(4열)의 기체(2)의 각각에 대해서, 복수 단위의 염료부(3)가 송출 방향을 따라 등록순으로 배열된다. 상세하게는, 도 11에 도시한 예에서는, 가장 우측의 기체(2)에 대해서, 등록순 「1」 내지 「5」의 염료부(3)가 배열된다. 우측부터 2번째의 기체(2)에 대해서, 등록순 「6」 내지 「10」의 염료부(3)가 배열된다. 우측부터 3번째의 기체(2)에 대해서, 등록순 「11」 내지 「15」의 염료부(3)가 배열된다. 우측부터 4번째의 기체(2)에 대해서, 등록순 「16」 내지 「20」의 염료부(3)가 배열된다. 도 11에 도시한 예에서는, 선택 단위수가 「5」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일련의 인쇄 동작에서는, 각각의 기체(2)에 대해서 5단위의 염료부(3)가 인쇄된다. 종방향 인쇄에 의하면, 유저는, 등록순이 연속된 복수 단위의 염료부(3)를, 각각의 기체(2)마다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인쇄 장치(10)는, 복수의 기체(2)를 횡단하도록 캐리지(30)를 주주사시킴으로써, 복수의 기체(2)에 대해서 복수 단위의 염료부(3)를 병행하여 인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한 예에서는, 등록순 「1」, 「6」, 「11」, 「16」의 염료부(3)가 병행하여 인쇄된 후, 등록순 「2」, 「7」, 「12」, 「17」의 염료부(3)가 병행하여 인쇄된다. 따라서, 각각의 기체(2)에 대한 복수 단위의 염료부(3)의 인쇄가 따로따로 행해지는 경우에 비하여, 복수의 기체(2)를 송출하는 횟수가 저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는, 횡방향 인쇄 및 종방향 인쇄를 포함하는 복수의 인쇄 배열 중 어느 것을 선택하고, 인쇄 장치(10)에 실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염료 부착 기체(1)의 제조 효율 및 관리 효율 등에 대응하여, 원하는 인쇄 방식에 따른 인쇄를 인쇄 장치(10)에 실행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인쇄 방식의 설정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CPU(71)는, 인쇄 방식 설정 화면(90)(도 12 참조)을 모니터(61)에 표시할 수 있다. 인쇄 방식 설정 화면(90)을 표시하는 타이밍은, 예를 들어 인쇄 개시의 지시가 입력된 후여도 되며, 인쇄 방식의 설정 개시 지시가 입력되는 임의의 타이밍이어도 된다. 인쇄 방식 설정 화면(90)에는, 횡배열 인쇄 선택 버튼(91), 종배열 인쇄 선택 버튼(92), 열수 입력란(94), 행수(선택 단위수) 입력란(95), 및 OK 버튼(97)이 표시된다.
횡배열 인쇄 선택 버튼(91)은, 횡배열 인쇄가 선택되는 경우에 유저에 의해 조작된다. 종배열 인쇄 선택 버튼(92)은, 종배열 인쇄가 선택되는 경우에 유저에 의해 조작된다. 열수 입력란(94)에는, 소정의 상한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열) 이하의 범위 내에서, 염료부(3)를 인쇄하는 기체(2)의 수(즉, 사용하는 열수)가 입력된다. 행수(선택 단위수) 입력란(95)에는, 각각의 기체(2)에 송출 방향을 따라 배열하는 염료부(3)의 단위수가 입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택 단위수의 상한이 정해져 있다. 유저는, 정해진 상한값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선택 단위수를 입력한다. OK 버튼(97)은, 인쇄 방식의 설정이 완료되었을 때 유저에 의해 조작된다.
도 7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인쇄 개시 버튼(87)이 조작되어, 인쇄 개시의 지시가 입력되면(S7: 예), CPU(71)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선택 단위수를 취득한다(S8). CPU(71)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인쇄 배열(본 실시 형태에서는, 횡배열 인쇄 또는 종배열 인쇄)을 취득한다(S9).
선택된 인쇄 배열이 횡배열 인쇄이면(S11: 예), 인쇄 장치(10)에 횡배열 인쇄를 실행시키기 위한 인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횡배열 데이터 작성 처리)가 행해진다(S12, S13).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의 CPU(71)는, 복수 단위의 염료부(3)의 인쇄 위치를, 리스트순에 따라서, 교차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등록한다(S12). 전술한 바와 같이, 교차 방향을 따라 1행에 배열하는 염료부(3)의 단위수의 상한은, 사용하는 열수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CPU(71)는, 염료부(3)의 인쇄 등록이 완료된 행수가 선택 단위수가 될 때까지, 각각의 행으로의 인쇄 등록을 순차 실행한다(S13). 또한, 등록 가능한 최대의 단위수(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예에서는, 「4열」×「5행」의 단위수)의 등록이 완료되기 전에, 인쇄 리스트(89)에 보존되어 있는 모든 리스트의 인쇄 등록이 완료된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처리는 S17로 이행한다.
선택된 인쇄 배열이 종배열 인쇄이면(S11: 아니오), 인쇄 장치(10)에 종배열 인쇄를 실행시키기 위한 인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종배열 데이터 작성 처리)가 행해진다(S14, S15).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의 CPU(71)는, 복수 단위의 염료부(3)의 인쇄 위치를, 각각의 기체(2)에 대해서, 송출 방향을 따라 리스트순으로 등록한다(S14).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기체(2)에 대해서 종방향으로 1열에 배열하는 염료부(3)의 단위수의 상한은, 선택 단위수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CPU(71)는, 염료부(3)의 인쇄 등록이 완료된 열수가, 사용하는 열수(즉, 인쇄하는 기체(2)의 수)가 될 때까지, 각각의 열로의 인쇄 등록을 순차 실행한다(S15). 또한, 사용하는 모든 열에 대한 등록이 완료되기 전에, 인쇄 리스트(89)에 보존되어 있는 모든 리스트의 인쇄 등록이 완료된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처리는 S17로 이행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선택 단위수의 염료부(3)를 기체(2)에 대해서 종방향으로 인쇄하기 위한 일련의 인쇄 제어 데이터가 완성된다.
CPU(71)는, S12 내지 S15에서 작성한 인쇄 제어 데이터를 인쇄 장치(10)에 송신한다(S17). CPU(71)는, 인쇄 등록이 아직 행해지지 않은 염료부(3)의 데이터가 인쇄 리스트(89)에 잔존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8). 잔존하고 있으면(S18: 예), 처리는 S11로 되돌아가서, 일련의 인쇄 제어 데이터가 다시 작성된다. 인쇄 리스트(89)에 데이터가 잔존되어 있지 않으면(S18: 아니오),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처리는 종료된다.
<인쇄 처리>
도 13을 참조하여, 인쇄 장치(10)가 실행하는 인쇄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인쇄 장치(10)에서는, 인쇄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인쇄 프로그램이 ROM(42)에 기억되어 있다. 인쇄 장치(10)의 CPU(41)는, 인쇄 제어 데이터를 PC(60)로부터 수신하면, 인쇄 프로그램에 따라서, 도 13에 예시하는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처리를 실행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 처리를 개시하면, CPU(41)는, 복수의 잉크 중에서 인쇄(염색)에 사용할 잉크를 선택한다(S21).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인쇄 장치(10)는, 기체(2)에 인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잉크의 컬러수보다도 많은 개수의 잉크 헤드(33)를 구비한다. 각각의 잉크 헤드(33)로부터 토출되는 복수의 잉크에는, 색이 서로 동일하며, 또한, 수지체에 대한 적정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둘 이상의 잉크가 포함된다. CPU(41)는, 염색에 사용하는 잉크(즉, 사용하는 잉크 헤드(33))를, 염색할 수지체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하는 잉크는 PC(60)에 의해 결정되어 있으며, 사용하는 잉크의 정보가 인쇄 제어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다. CPU(41)는, 인쇄 제어 데이터에 포함되는 사용 잉크의 정보에 따라서, 실제로 인쇄에 사용할 잉크를 결정한다. 단, 인쇄 장치(10)의 CPU(41)가, 수지체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 잉크를 결정해도 된다.
이어서, CPU(41)는, 수신한 인쇄 제어 데이터가 횡배열 인쇄용 인쇄 제어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 횡배열 인쇄용 인쇄 제어 데이터이면(S22: 예), CPU(41)는, 인쇄 등록이 행해진 복수의 염료부(3)를, 인쇄 제어 데이터에 따라서, 교차 방향을 따라 등록순으로 배열하여 인쇄한다(S23).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의 CPU(41)는, 교차 방향으로 등록순으로 배열된 염료부(3)를, 복수의 기체(2)에 대하여 1행씩 인쇄한다. 즉, 1행의 염료부(3)의 인쇄가 완료된 후에, 아직 인쇄되지 않은 염료부(3)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CPU(41)는, 인쇄가 완료된 염료부(3)로부터 송출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아직 인쇄되지 않은 염료부(3)를 계속해서 인쇄한다.
수신된 인쇄 제어 데이터가 종배열 인쇄용 인쇄 제어 데이터이면(S22: 아니오), CPU(41)는, 인쇄 등록이 행해진 복수의 염료부(3)를, 인쇄 제어 데이터에 따라, 송출 방향을 따라 등록순으로 배열하여 인쇄한다(S24).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의 CPU(41)는, 송출 방향으로 등록순으로 배열된 염료부(3)를, 하나 또는 복수의 기체(2)에 대해서 1행씩 인쇄한다.
이어서, CPU(41)는, 인쇄 제어 데이터에 의해 정해진 소정 행의 인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5). 완료되지 않았으면(S25: 아니오), 소정 행의 인쇄가 완료될 때까지 인쇄 동작이 계속된다. 소정 행의 인쇄가 완료되면(S25: 예), CPU(41)는, 커터 구동 모터(36)에 의한 커터(24)의 구동을 제어하여, 염료부(3)가 인쇄된 부분과 미인쇄 부분의 사이에서 기체(2)를 절단함으로써, 기체 단편(29)을 작성한다(S26). 이어서, CPU(41)는, PC(60)로부터 수신한 모든 인쇄 제어 데이터의 인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7). 완료되지 않았으면(S27: 아니오), 처리는 S21로 되돌아가서, 다음의 기체 단편(29)이 작성된다(S21 내지 S26). 모든 인쇄 제어 데이터의 인쇄가 완료되면(S27: 예), 인쇄 처리는 종료된다.
<염료 부착 기체 제조 공정>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유저는, 하나의 기체 단편(29)에 포함하는 염료부(3)의 단위수(선택 단위수)를, 상한값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선택한다(S31).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는 선택 단위수를 PC(60)에 입력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인쇄 장치(10) 등에 대해서 선택 단위수가 입력되어도 된다. 이어서, 유저는, 인쇄 장치(10)의 잉크 헤드(33)에 대해서, 롤 형상의 염색용 기체(2)의 외측면이 대향하도록, 기체(2)를 인쇄 장치(10)에 설치(배치)한다(S32). 이에 의해, 기체(2)의 선단부 근방이 잉크 헤드(33)의 방향을 향해 굴곡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어서, 유저는, 인쇄 장치(10)에 의해, 소정수의 염료부(3)를 각각의 기체(2)에 대해서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여 인쇄한다(S34). 유저는, 기체(2)를 절단함으로써, 복수 단위의 염료부(3)가 인쇄된 기체 단편(29)을 작성한다(S35).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장치(10)의 커터(24)에 의해 기체(2)가 절단됨으로써, 기체 단편(29)이 작성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유저가 스스로 기체(2)를 절단해도 되고, 다른 장치(예를 들어 시트 커터)를 사용하여 기체(2)를 절단해도 된다.
모든 인쇄 제어 데이터의 인쇄가 완료되면(S36: 예), 유저는, 기체 단편(29)에 인쇄된 잉크를 건조시킨다(S38).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의 기체 단편(29)이 건조용 지그(도시생략)에 세트되고, 건조용 지그가 건조기(예를 들어, 송풍기 또는 오븐 등)에 세트됨으로써, 기체 단편(29)의 잉크 건조 공정이 행해진다. 따라서, 1단위씩 절단된 기체(2)를 건조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효율적으로 건조 공정이 행해진다. 또한, 건조 공정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건조기를 사용하지 않고, 기체 단편(29)을 소정 시간 이상 방치함으로써, 잉크를 건조시켜도 된다.
이어서, 유저는, 잉크가 건조된 기체 단편(29)을 더 절단함으로써, 하나의 단위의 염료부(3)를 포함하는 염료 부착 기체(단위 기체)(1)를 작성한다(S39). 그 결과, 유저는, 전사 공정을 행하는 경우에, 염색하고 싶은 색에 대응한 적절한 염료 부착 기체(1)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의 S39에서는, 시트 커터에 의해 기체 단편(29)이 1단위마다 절단된다. 그러나, 기체 단편(29)을 절단하는 방법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수동으로 기체 단편(29)을 절단해도 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염료 부착 기체 제조 공정은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하나의 형태인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은, 승화성의 염료를 가열하고, 염료를 수지체를 향해 승화시킴으로써 수지체를 염색하는 염색 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은, 설치 스텝 및 인쇄 스텝을 포함한다. 설치 스텝은, 염료가 부착되는 롤 형상으로 형성된 염색용 기체(2)이며, 염료가 부착되는 측의 면이 롤 형상의 염색용 기체(2)의 외측면에 형성된 염색용 기체(2)에, 인쇄 장치(10)에 의해 염료를 인쇄할 때 인쇄 장치(10)의 잉크 헤드(33)에 대해서 염색용 기체(2)의 외측면이 대향하도록, 염색용 기체(2)를 인쇄 장치(10)에 설치하는 스텝이다. 인쇄 스텝은, 인쇄 장치(10)의 잉크 헤드(33)에 의해, 수지체에 증착되는 염료가 함유된 잉크를 염색용 기체(2)를 향해 토출함으로써, 염료를 염색용 기체(2)에 인쇄하는 스텝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롤 형상의 염색용 기체(2)의 앞이 잉크 헤드(33)를 향해 굴곡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염색용 기체(2)의 앞이 잉크 헤드(33)에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예를 들어, 잉크 헤드의 눈막힘, 염색용 기체(2)의 말려들어감 등)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염색용 기체(2)와 잉크 헤드(33) 사이의 거리가 불균일해짐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예를 들어, 색 불균일의 발생 등)가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롤 형상의 염색용 기체(2)를 커트하면서 염료 부착 기체(1)가 제조된다. 따라서, 미리 커트된 염색용 기체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제조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염색용 기체(2)는, 염료가 부착되는 측의 면의 반대측 면에, 염색용 기체(2)의 재질에 비하여 높은 전자파 흡수율을 갖는 전자파 흡수층(52)을 구비한다. 전자파 흡수층(52)은, 롤 형상의 염색용 기체(2)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자파 흡수층(52)을 갖는 염료 부착 기체(1)가 신속하게 제조된다. 또한, 전자파 흡수층(52)을 갖는 염료 부착 기체(1)가 저비용으로 제조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나의 형태인 염색 수지체의 제조 방법은, 증착 스텝과 정착 스텝을 포함한다. 증착 스텝은, 전술한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염료 부착 기체(1)를 수지체와 대향시키고, 염료 부착 기체(1)에 부착된 염료를 가열함으로써, 염료를 승화시켜서 수지체에 증착시키는 스텝이다. 정착 스텝은, 염료가 증착된 수지체를 가열함으로써, 염료를 수지체에 정착시키는 스텝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염색된 수지체가 효율적으로 제조된다.
본 실시 형태의 하나의 형태인 인쇄 제어 장치(예를 들어 PC(60))는, 취득 수단 및 선택 수단을 구비한다. 취득 수단은, 염색을 행할 수지체의 특성 정보를 취득한다. 선택 수단은, 수지체에 증착되는 승화성 염료가 함유된 복수의 잉크로서, 색이 서로 동일하며, 또한 수지체에 대한 적정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둘 이상의 잉크를 포함하는 복수의 잉크로부터, 수지체를 염색할 때 사용할 잉크를, 수지체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유저가 원하는 색으로 되도록 염색이 행해진다. 또한, 수지체의 특성에 대응한 적정한 잉크가 선택되어 인쇄가 행해지므로, 수지체가 적합하게 염색된다. 또한, 염료 부착 기체(1)가 신속하게 제조된다.
본 실시 형태의 인쇄 제어 장치는, 수지체의 특성 정보와 적정한 잉크가 대응지어진 정보인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잉크 중에서 수지체를 염색할 때 사용할 잉크를 선택한다. 대응 정보는, 유저에 의한 조작부(62)의 조작에 의해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새로운 종류의 수지체를 염색하는 경우에도, 수지체에 적합한 잉크가 용이하게 선택된다. 또한, 온도, 습도 등의 환경 변화의 영향에 의해, 원하는 색으로 염색을 행하기가 어려운 경우라도, 유저는, 대응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염색의 공정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하나의 형태인 인쇄 장치(10)는, 잉크 헤드(33), 제어부(40), 취득 수단, 및 선택 수단을 구비한다. 잉크 헤드(33)는, 승화성의 염료가 함유된 잉크를 염색용 기체(2)를 향해 토출한다. 인쇄 장치(10)가 구비하는 잉크 헤드(33)는, 염색용 기체(2)에 인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잉크의 컬러수보다도 많다. 제어부(40)는, 인쇄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취득 수단은, 염색을 행할 수지체의 특성 정보를 취득한다. 선택 수단은, 색이 서로 동일하며, 또한 수지체에 대한 적정이 서로 다른 적어도 2개의 잉크를 포함하는 복수의 잉크로부터, 수지체에 염색할 때 사용할 잉크를, 수지체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한다. 따라서, 수지체가 적합하게 제조된다.
본 실시 형태의 하나의 형태인 인쇄 제어 프로그램은, 인쇄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쇄 제어 장치(예를 들어 PC(60))에 있어서 실행된다. 상기 인쇄 제어 프로그램이 인쇄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취득 스텝 및 선택 스텝이 인쇄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된다. 취득 스텝은, 염색을 행할 수지체의 특성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이다. 선택 스텝은, 색이 서로 동일하며, 또한 수지체에 대한 적정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둘 이상의 잉크를 포함하는 복수의 잉크로부터, 수지체를 염색할 때 사용할 잉크를, 수지체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스텝이다. 본 실시 형태의 인쇄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면, 수지체가 적합하게 제조된다.
본 실시 형태의 하나의 형태인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은, 수지체에 증착되는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료부(3)를 구비한 염료 부착 기체(1)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인쇄 스텝, 단편 작성 스텝, 및 건조 스텝을 포함한다. 인쇄 스텝은, 승화성 염료를 함유한 잉크를 인쇄 장치(10)에 의해 가늘고 긴 기체(2)에 토출시킴으로써, 하나 또는 1세트의 수지체를 염색하는 염료부(3)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복수 단위의 염료부(3)를 기체(2)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여 인쇄하는 스텝이다. 단편 작성 스텝은, 염료부(3)가 인쇄된 기체(2)를 절단함으로써, 복수 단위의 염료부(3)를 포함하는 기체 단편(29)을 작성하는 스텝이다. 건조 스텝은, 기체 단편(29)에 포함되는 복수 단위의 염료부(3)의 잉크를 건조시키는 스텝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인쇄 후에 행해지는 각종 작업(예를 들어, 기체(2)의 운반 작업, 건조 작업 등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복수 단위의 염료부(3)를 포함하는 기체 단편(29)마다 행해진다. 따라서, 염료 부착 기체(1)가 효율적으로 제조된다. 또한, 가늘고 긴 기체(2)가 적절히 절단되어 사용되므로, 기체(2)의 손실을 삭감하는 것도 용이하다.
본 실시 형태의 단편 작성 스텝은, 인쇄 장치(10)가 구비하는 커터(24)에 의해 행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체 단편(29)이 인쇄 장치(10)에 의해 효율적으로 작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스텝에 있어서의 복수 단위의 염료부(3)의 인쇄와, 단편 작성 스텝에 있어서의 기체 단편(29)의 작성이, 인쇄 장치(10)에 의해 교대로 실행된다. 따라서, 복수의 기체 단편(29)을 작성하는 경우라도, 인쇄 장치(10)는 효율적으로 기체 단편(29)을 작성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은, 건조 스텝에 있어서 잉크가 건조된 기체 단편(29)을 더 절단함으로써, 하나의 단위의 염료부(3)를 포함하는 기체(2)를 작성하는 단위 기체 작성 스텝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유저는, 전사 공정을 행하는 경우에, 염색하고 싶은 색에 대응한 적절한 염료 부착 기체(1)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은, 하나의 기체 단편(29)에 포함하는 염료부(3)의 단위수를, 소정의 상한값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는 지시를 입력하는 단위 수 입력 스텝을 더 포함한다. 인쇄 스텝에서는, 선택된 단위수의 염료부(3)가, 인쇄 장치(10)에 의해 기체(2)에 인쇄된다. 따라서, 기체 단편(29)을 작성할 때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예를 들어, 적은 수의 염료 부착 기체(1)를 제조하는 것도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가 선택 가능한 단위수의 상한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기체 단편(29)이 너무 커져서 오히려 작업 효율이 저하되어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나의 형태인 인쇄 장치(10)는, 잉크 헤드(33), 커터(24), 및 제어부(40)를 구비한다. 잉크 헤드(33)는, 수지체에 증착되는 승화성 염료가 함유된 잉크를 기체(2)를 향해 토출함으로써,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료부(3)를 기체(2)에 인쇄한다. 커터(24)는 기체(2)를 절단한다. 제어부(40)는 인쇄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0)는, 잉크 헤드(33)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하나 또는 1세트의 수지체를 염색하는 염료부(3)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복수 단위의 염료부(3)를 가늘고 긴 기체(2)에 인쇄시킨다. 제어부(40)는, 커터(24)의 구동을 제어하여 기체(2)를 절단함으로써, 복수 단위의 염료부(3)를 포함하는 기체 단편(29)을 작성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인쇄 장치(10)에 의하면, 염료 부착 기체(1)가 효율적으로 제조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나의 형태인 인쇄 장치(10)는, 기체 장착부(20), 송출부(23), 잉크 헤드(33), 및 제어부(40)를 구비한다. 기체 장착부(20)는, 가늘고 긴 시트 형상의 기체(2)를 복수 장착한다. 송출부(23)는, 기체 장착부(20)에 장착된 복수의 기체(2)를, 기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송출한다. 잉크 헤드(33)는, 수지체에 증착되는 승화성 염료가 함유된 잉크를, 송출부(23)에 의해 송출되는 복수의 기체(2)를 향해 토출함으로써,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료부(3)를 복수의 기체(2)에 인쇄한다. 제어부(40)는, 인쇄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0)는, 송출부(23) 및 잉크 헤드(33)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하나 또는 1세트의 수지체를 염색하는 염료부(3)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1단위 또는 복수 단위의 염료부(3)를 복수의 기체(2)에 인쇄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나의 기체(2)만에 대하여 염료부(3)가 인쇄되는 경우에 비하여, 복수의 염료 부착 기체(1)가 효율적으로 제조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40)는, 인쇄 등록이 행해진 복수 단위의 염료부(3)를 복수의 기체(2)에 인쇄하는 경우에, 송출부(23)에 의한 복수의 기체(2)의 송출 방향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따라서, 복수 단위의 염료부(3)를 등록순을 따라서 배열하는 횡배열 인쇄를 실행한다. 횡배열 인쇄에 의하면, 복수의 기체(2)에 최대한 균등하게 염료부(3)가 인쇄된다. 즉, 특정한 기체(2)에 복수의 염료부(3)가 인쇄되고, 또한 다른 기체(2)에 염료부(3)가 인쇄되지 않는 상황이 되는 빈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횡배열 인쇄에 의하면, 복수의 기체(2)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염료부(3)가 인쇄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40)는, 교차 방향을 따라 1 배열의 염료부(3)를 등록순에 따라 배열하여 인쇄한 후에, 인쇄 등록되고 또한 아직 인쇄되지 않은 염료부(3)가 존재하는 경우에, 인쇄된 1 배열의 염료부로부터 송출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아직 인쇄되지 않은 염료부(3)를 교차 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인쇄 장치(10)는, 복수의 기체(2)에 대한 염료부(3)의 인쇄를 횡배열 인쇄에 보다 효율적으로 실행하면서, 각각의 기체(2)에 복수 단위의 염료부(3)를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40)는, 인쇄 등록이 행해진 복수 단위의 염료부(3)를 복수의 기체(2)에 인쇄하는 경우에, 송출부(23)에 의한 복수의 기체(2)의 송출 방향을 따라서, 복수 단위의 염료부(3)를 등록순으로 배열하는 종배열 인쇄를 실행한다. 종배열 인쇄에 의하면, 등록순이 연속된 복수 단위의 염료부(3)가, 하나의 기체(2)에 배열되어 인쇄된다. 따라서, 종배열 인쇄에 의하면, 등록순이 연속된 복수의 염료부(3)를, 각각의 기체(2)마다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어부(40)는, 횡배열 인쇄와 종배열 인쇄를 포함하는 복수의 인쇄 방식 중 어느 것을,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인쇄 방식의 선택 지시에 따라서 실행한다. 따라서, 유저는, 염료 부착 기체(1)의 제조 효율 및 관리 효율 등에 대응하여, 원하는 인쇄 방식에 따른 인쇄를 인쇄 장치에 실행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어부(40)는, 종배열 인쇄를 실행하는 경우에, 송출 방향을 따라서 기체(2)에 등록순으로 배열하는 염료부(3)의 수를 소정의 상한값 이하로 한다. 따라서, 하나의 기체(2)에 다수의 염료부(3)가 인쇄되어 관리 효율이 오히려 저하되어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제어부(40)는, 복수의 기체(2)의 각각에 서로 다른 색의 염료부(3)를 인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유저는, 다양한 색의 염료 부착 기체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나의 형태인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은, 인쇄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인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는 데이터 작성 장치(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PC(60))에 의해 실행된다. 인쇄 장치(10)는, 기체 장착부(20), 송출부(23), 및 잉크 헤드(33)를 구비한다.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이 데이터 작성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데이터 작성 스텝이 데이터 작성 장치에 의해 실행된다. 데이터 작성 스텝은, 하나 또는 1세트의 수지체를 염색하는 염료부(3)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1단위 또는 복수 단위의 염료부(3)를 복수의 기체(2)에 인쇄시키는 인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는 스텝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나의 기체(2)만에 대해서 염료부(3)가 인쇄되는 경우에 비하여, 복수의 염료 부착 기체(1)가 효율적으로 제조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작성 스텝은, 복수 단위의 염료부(3)의 인쇄 위치를, 송출부(23)에 의한 복수의 기체(2)의 송출 방향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등록하여 인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는 횡배열 데이터 작성 스텝을 포함한다. 횡배열 데이터 작성 스텝에 의하면, 복수의 기체(2)에 최대한 균등하게 염료부(3)가 인쇄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작성 스텝은, 복수 단위의 염료부(3)의 인쇄 위치를, 송출부(23)에 의한 복수의 기체(2)의 송출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등록하여 인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는 종배열 데이터 작성 스텝을 포함한다. 종배열 데이터 작성 스텝에 의하면, 등록순이 연속된 복수의 염료부(3)를, 각각의 기체(2)마다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횡배열 데이터 작성 스텝과 종배열 데이터 작성 스텝을 포함하는 복수의 데이터 작성 스텝 중 어느 것이,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선택 지시에 따라서 실행된다. 따라서, 유저는, 염료 부착 기체(1)의 제조 효율 및 관리 효율 등에 대응하여, 원하는 인쇄 방식에 따른 인쇄를 인쇄 장치에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 개시된 기술은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기술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처리(도 7 참조)는 PC(60)에 의해 실행된다. 그러나,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처리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처리의 적어도 일부를, 인쇄 장치(10)의 제어부(40)가 실행해도 된다. 즉, 인쇄 장치(10) 자신이, 인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는 인쇄 제어 장치 또는 데이터 작성 장치로서 기능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체 단편(29)이 일단 제조되어 염료부(3)가 건조된 후, 기체 단편(29)이 더 절단됨으로써, 1단위의 염료부(3)를 포함하는 염료 부착 기체(1)가 제조된다. 1단위의 염료부(3)를 포함하는 염료 부착 기체(1)에 의해 증착 공정이 행해진다. 그러나, 복수 단위의 염료부(3)를 포함하는 염료 부착 기체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수 단위의 염료부(3)가 인쇄된 기체 단편(29)을, 그대로 염료 부착 기체(1)로서 증착 공정에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1단위의 수지체를 염색하기 위한 증착용 지그(7)에, 염색용 기체(1)를 하나씩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기체 단편(29)을 더 절단할 필요도 없어진다. 따라서, 염색 공정의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복수의 염료부(3)가 인쇄된 가늘고 긴 기체(2)를 절단하지 않고, 그대로 염료부(3)를 건조해도 된다. 이 경우, 염료부(3)의 건조 후에 기체(2)를 절단해도 된다. 또한, 염료부(3)를 건조시킨 후에, 기체(2)를 다시 롤 형상으로 감아 보관해도 된다.
기체(2) 및 잉크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대전 방지제를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서, 전자파 흡수층(52)을 형성하는 잉크에 대전 방지제를 부여해도 된다. 이 경우, 기체(2)의 넓은 범위에 대전 방지제가 부착된다. 또한, 승화성 염료가 함유된 잉크에 대전 방지제를 부여해도 된다. 기체(2) 및 잉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전 방지제를 부여함으로써, 먼지 등이 염료 부착 기체(1)에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수지체의 염색 품질이 향상된다.
1: 염료 부착 기체
2: 기체
3: 염료부
4: 플라스틱 렌즈
10: 인쇄 장치
20: 기체 장착부
23: 송출부
24: 커터
29: 기체 단편
33: 잉크 헤드
40: 제어부
41: CPU
51: 염색면
52: 전자파 흡수층
53: 내측면
60: PC
70: 제어부
71: CPU
100: 염료 부착 기체 제조 시스템

Claims (26)

  1. 승화성의 염료를 가열하고, 상기 염료를 수지체를 향해서 승화시킴으로써 상기 수지체를 염색하는 염색 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염료가 부착되는 롤 형상으로 형성된 염색용 기체이며, 상기 염료가 부착되는 측의 면이 롤 형상의 상기 염색용 기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염색용 기체에, 인쇄 장치에 의해 상기 염료를 인쇄할 때 상기 인쇄 장치의 잉크 헤드에 대해서, 롤 형상의 상기 염색용 기체의 외측면이 대향하도록, 상기 염색용 기체를 상기 인쇄 장치에 설치하는 설치 스텝과,
    상기 인쇄 장치의 상기 잉크 헤드에 의해, 상기 수지체에 증착되는 상기 염료가 함유된 잉크를 상기 염색용 기체를 향해 토출함으로써, 상기 염료를 상기 염색용 기체에 인쇄하는 인쇄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용 기체는, 적어도 상기 염료가 부착되는 측의 면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염색용 기체에 비하여 높은 전자파 흡수율을 갖는 전자파 흡수층을 갖고, 상기 전자파 흡수층이 롤 형상의 상기 염색용 기체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염료가 부착되는 측의 면이 롤 형상의 상기 염색용 기체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기 염료 부착 기체를 상기 수지체와 대향시키고, 상기 염료 부착 기체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염료 부착 기체에 인쇄된 상기 염료를 승화시켜, 상기 염료를 상기 수지체에 증착시키는 증착 스텝과,
    상기 염료가 증착된 상기 수지체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염료를 정착시키는 정착 스텝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수지체의 제조 방법.
  4. 인쇄 제어 장치로서,
    염색을 행할 수지체의 특성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수지체에 증착되는 승화성의 염료가 함유된 복수의 잉크로서, 색이 서로 동일하며, 또한, 상기 수지체에 대한 적정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둘 이상의 잉크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잉크로부터, 상기 수지체를 염색할 때 사용할 잉크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선택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수지체의 상기 특성 정보와 적정한 잉크가 대응지어진 정보인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잉크로부터, 상기 수지체를 염색할 때 사용할 잉크를 선택하고,
    상기 대응 정보는,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장치.
  6. 인쇄 장치로서,
    수지체에 증착되는 승화성의 염료가 함유된 잉크를, 염색용 기체를 향해 토출함으로써, 상기 염료를 상기 염색용 기체에 인쇄하는 잉크 헤드이며, 상기 염색용 기체에 인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잉크의 컬러수보다도 많은 개수의 잉크 헤드와,
    상기 인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염색을 행하는 상기 수지체의 특성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수지체에 증착되는 승화성의 염료가 함유된 복수의 잉크로서, 색이 서로 동일하며, 또한, 상기 수지체에 대한 적정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둘 이상의 잉크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잉크로부터, 상기 수지체를 염색할 때 사용할 잉크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선택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잉크 헤드 중,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 헤드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염료를 상기 염색용 기체에 인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7. 인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인쇄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인쇄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염색을 행할 수지체의 특성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수지체에 증착되는 승화성의 염료가 함유된 복수의 잉크로서, 색이 서로 동일하며, 또한, 상기 수지체에 대한 적정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둘 이상의 잉크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잉크로부터, 상기 수지체를 염색할 때 사용할 잉크를, 상기 취득 스텝에 의해 취득된 상기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선택 스텝
    을 상기 인쇄 제어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프로그램.
  8. 수지체에 증착되는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료부를 구비한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승화성 염료를 함유한 잉크를, 인쇄 장치에 의해 가늘고 긴 기체에 토출시킴으로써, 하나 또는 1세트의 수지체를 염색하는 상기 염료부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를 상기 기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여 인쇄하는 인쇄 스텝과,
    상기 염료부가 인쇄된 상기 기체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를 포함하는 상기 기체의 단편을 작성하는 단편 작성 스텝과,
    상기 기체의 단편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의 잉크를 건조시키는 건조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편 작성 스텝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가 구비하는 커터에 의해 상기 기체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스텝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의 인쇄와, 상기 단편 작성 스텝에 의한 상기 기체의 단편의 작성을, 상기 인쇄 장치에 의해 교대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스텝에 있어서 잉크가 건조된 상기 기체의 단편을 더 절단함으로써, 하나의 상기 단위의 상기 염료부를 포함하는 상기 기체를 작성하는 단위 기체 작성 스텝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기체의 단편에 포함하는 상기 염료부의 상기 단위수를, 소정의 상한값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는 지시를 입력하는 단위수 입력 스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 스텝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단위수의 상기 염료부를 상기 인쇄 장치에 의해 상기 기체에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
  13. 인쇄 장치이며,
    수지체에 증착되는 승화성 염료가 함유된 잉크를 기체를 향해 토출함으로써, 상기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료부를 상기 기체에 인쇄하는 잉크 헤드와,
    상기 기체를 절단하는 커터와,
    상기 인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잉크 헤드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하나 또는 1세트의 수지체를 염색하는 상기 염료부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를 가늘고 긴 상기 기체에 인쇄시킴과 함께,
    상기 커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기체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를 포함하는 상기 기체의 단편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의 인쇄와, 상기 기체의 단편의 작성을 교대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상기 기체의 단편에 포함하는 상기 염료부의 단위수를, 유저로부터의 선택 지시에 대응하여, 소정의 상한값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6. 인쇄 장치로서,
    가늘고 긴 시트 형상의 기체를 복수 장착하는 기체 장착부와,
    상기 기체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복수의 기체를, 상기 기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송출하는 송출부와,
    수지체에 증착되는 승화성 염료가 함유된 잉크를, 상기 송출부에 의해 송출되는 상기 복수의 기체를 향해 토출함으로써, 상기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료부를 상기 복수의 기체에 인쇄하는 잉크 헤드와,
    상기 인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출부 및 상기 잉크 헤드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하나 또는 1세트의 수지체를 염색하는 상기 염료부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1단위 또는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를 상기 복수의 기체에 인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쇄 등록이 행해진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를 상기 복수의 기체에 인쇄하는 경우에, 상기 송출부에 의한 상기 복수의 기체의 송출 방향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따라서,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를 등록순에 따라 배열하는 횡배열 인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차 방향을 따라서 1 배열의 상기 염료부를 등록순을 따라서 배열하여 인쇄한 후에, 인쇄 등록되고 또한 아직 인쇄되지 않은 상기 염료부가 존재하는 경우에, 인쇄된 상기 1 배열의 염료부로부터 상기 송출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아직 인쇄되지 않은 상기 염료부를 상기 교차 방향을 따라서 배열하여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쇄 등록이 행해진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를 상기 복수의 기체에 인쇄하는 경우에, 상기 송출부에 의한 상기 복수의 기체의 송출 방향을 따라서,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를 등록순으로 배열하는 종배열 인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쇄 등록이 행해진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를 상기 복수의 기체에 인쇄하는 경우에,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를, 상기 송출부에 의한 상기 복수의 기체의 송출 방향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따라 등록순으로 배열하는 횡배열 인쇄와,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를, 상기 송출 방향을 따라 등록순으로 배열하는 종배열 인쇄
    를 포함하는 복수의 인쇄 방식 중 어느 것을,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인쇄 방식의 선택 지시에 따라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종배열 인쇄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송출 방향을 따라서 상기 기체에 등록순으로 배열하는 상기 염료부의 수를 소정의 상한값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기체의 각각에, 서로 다른 색의 상기 염료부를 인쇄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3. 인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인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는 데이터 작성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인쇄 장치는,
    가늘고 긴 시트 형상의 기체를 복수 장착하는 기체 장착부와,
    상기 기체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복수의 기체를, 상기 기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송출하는 송출부와,
    수지체에 증착되는 승화성 염료가 함유된 잉크를, 상기 송출부에 의해 송출되는 상기 복수의 기체를 향해서 토출함으로써, 상기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료부를 상기 복수의 기체에 인쇄하는 잉크 헤드
    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이 상기 데이터 작성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하나 또는 1세트의 수지체를 염색하는 상기 염료부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1단위 또는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를 상기 복수의 기체에 인쇄시키는 인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는 데이터 작성 스텝
    을 상기 데이터 작성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작성 스텝은,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의 인쇄 위치를, 상기 송출부에 의한 상기 복수의 기체의 송출 방향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등록하여 상기 인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는 횡배열 데이터 작성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작성 스텝은,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의 인쇄 위치를, 상기 송출부에 의한 상기 복수의 기체의 송출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등록하여 상기 인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는 종배열 데이터 작성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작성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복수 단위의 상기 염료부의 인쇄 위치를, 상기 송출부에 의한 상기 복수의 기체의 송출 방향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등록하여 상기 인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는 횡배열 데이터 작성 스텝과,
    복수 단위의 상기 제어부의 인쇄 위치를, 상기 송출부에 의한 상기 복수의 기체의 송출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등록하여 상기 인쇄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는 종배열 데이터 작성 스텝
    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기 데이터 작성 스텝 중 어느 것을,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선택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작성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
KR1020187001950A 2015-06-26 2016-06-17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 및 인쇄 장치 KR1025063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28905 2015-06-26
JPJP-P-2015-128907 2015-06-26
JP2015128905A JP6668621B2 (ja) 2015-06-26 2015-06-26 印刷制御装置、印刷装置、及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
JP2015128906A JP6668622B2 (ja) 2015-06-26 2015-06-26 染料付基体の製造方法および印刷装置
JPJP-P-2015-128906 2015-06-26
JP2015128904A JP6668620B2 (ja) 2015-06-26 2015-06-26 染色樹脂体の製造方法。
JP2015128907A JP2017015761A (ja) 2015-06-26 2015-06-26 印刷装置および印刷制御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JPJP-P-2015-128904 2015-06-26
PCT/JP2016/068164 WO2016208515A1 (ja) 2015-06-26 2016-06-17 染料付基体の製造方法、染色樹脂体の製造方法、印刷制御装置、印刷装置、印刷制御プログラム、及び印刷制御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382A true KR20180021382A (ko) 2018-03-02
KR102506329B1 KR102506329B1 (ko) 2023-03-03

Family

ID=57585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1950A KR102506329B1 (ko) 2015-06-26 2016-06-17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 및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97818B2 (ko)
EP (1) EP3315661B1 (ko)
KR (1) KR102506329B1 (ko)
CN (1) CN107709656B (ko)
PT (1) PT3315661T (ko)
WO (1) WO20162085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05782B1 (en) * 2020-11-25 2023-02-15 Nidek Co., Ltd. Dye-deposited base body manufacturing apparatus and dye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9950A (ja) 1998-08-27 2001-03-06 Nidek Co Ltd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染色方法、染色装置及び染色レンズ
JP2003011935A (ja) * 2001-06-27 2003-01-15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991A (ja) * 1983-07-20 1985-02-07 Ricoh Co Ltd 感熱転写記録方法
EP0694867A1 (en) * 1994-07-21 1996-01-31 Agfa-Gevaert N.V. Method of printing an electronically stored multicolor medical image
JP4038305B2 (ja) * 1999-05-31 2008-01-23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染色システム
JP4819264B2 (ja) * 2001-09-28 2011-11-24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の染色システム
WO2003043825A1 (fr) * 2001-10-12 2003-05-30 Seiko Epson Corporation Enregistreur a jet d'encre et son procede d'enregistrement
DE102004021499B3 (de) * 2004-04-30 2005-12-08 Rinke Etiketten Karl Rinke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edruckten Etiketts
JP2008114423A (ja) * 2006-11-01 2008-05-22 Sony Corp 熱昇華型プリンタ装置及びその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JP5451361B2 (ja) * 2009-12-18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タ及び印刷制御方法
JP2014124748A (ja) * 2012-12-27 2014-07-07 Brother Ind Ltd 切断データ作成装置、切断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及び切断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9950A (ja) 1998-08-27 2001-03-06 Nidek Co Ltd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染色方法、染色装置及び染色レンズ
JP2003011935A (ja) * 2001-06-27 2003-01-15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8515A1 (ja) 2016-12-29
EP3315661B1 (en) 2020-06-17
PT3315661T (pt) 2020-08-25
CN107709656B (zh) 2020-09-29
EP3315661A1 (en) 2018-05-02
EP3315661A4 (en) 2019-03-20
US10597818B2 (en) 2020-03-24
CN107709656A (zh) 2018-02-16
US20180119340A1 (en) 2018-05-03
KR102506329B1 (ko)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7879B2 (ja) 選択可能な光沢コーティングシステム
US839822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foamed liquid
JP4988404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染色方法及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染色用基体作成装置
JP6198462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US9352573B1 (en) Ink printing system comprising groups of inks, each group having a unique inkbase composition
KR20170051919A (ko) 원단의 형광염료 인쇄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단
KR20180021382A (ko) 염료 부착 기체의 제조 방법 및 인쇄 장치
JP2000141708A (ja) カラー印刷物品の製造方法およびカラー印刷装置
JP2017015761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制御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JP6668620B2 (ja) 染色樹脂体の製造方法。
JP6668621B2 (ja) 印刷制御装置、印刷装置、及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
JP6668622B2 (ja) 染料付基体の製造方法および印刷装置
US20180345682A1 (en) Print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printer
JP5263427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2001159746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染色方法及び染色レンズ
CN106255601A (zh) 基于图像内容选择喷嘴列
US10577746B2 (en) Dye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yeing base body
US20180333961A1 (en) Inkjet printer
EP4036190B1 (en) Method of producing photochromic resin body
JP6287147B2 (ja) 捺染方法
US20230406008A1 (en) Printer apparatus and print method for preparing an image having matt portions and glossy portions
JP2018015985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5099842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染色方法
WO2019167388A1 (ja) 機能付き染色樹脂体の製造方法
JP201309126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