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826A -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826A
KR20180020826A KR1020160105801A KR20160105801A KR20180020826A KR 20180020826 A KR20180020826 A KR 20180020826A KR 1020160105801 A KR1020160105801 A KR 1020160105801A KR 20160105801 A KR20160105801 A KR 20160105801A KR 20180020826 A KR20180020826 A KR 20180020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ermented
skin
composition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6175B1 (ko
Inventor
배영석
박민자
장민정
백성환
Original Assignee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5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175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오갈피(A. koreanum)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섬오갈피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약학적 또는 식품 조성물은 발효전의 섬오갈피 추출물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노화 연관된 β-갈락톡시다제의 활성을 저해하고, p53 및 p21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ROS의 양을 감소시키고, MM-1 및 MMP-3의 발현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면서 엘라스타아제 활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상승된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노화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은 세포 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A COMPOSITION FOR ANTI-AGING COMPRISING FERMENTATION PRODUCTS OF A. koreanum}
본 발명은 섬오갈피(A. koreanum)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섬오갈피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 외부를 덮고 있는 하나의 막으로, 여러 가지 환경요소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동시에 외적으로 비추어지는 미적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피부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피부면역기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피부탄력 감소, 피부색 변화, 피부주름 형성 등의 외형적인 변형 또한 함께 수반된다. 이러한 피부 노화 과정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히 발생하는 내인성노화(intrinsic aging 또는 자연노화)와 외인성노화인 주위 환경, 특히 자외선에 의환 광노화(photoaging)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다. 두 가지 노화사이에는 주름이 생성되는 기전이 세부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피부에서는 표피 세포의 증식이나 신진대사가 저하되며, 표피-진피 사이의 결합이 약해 조그만 자극에도 손상을 입기 쉽고, 콜라겐 합성 감소와 과다한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의 발현 증가 등의 생리적 변화들이 나타나 피부가 건조해지며 표피, 진피 층의 구조적 변화로 인해 피부가 탄력성을 잃고 늘어져 보이며 점차적으로 주름이 깊어지게 된다.
노화 현상 중 주름의 형성 기전은 완전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자연노화와 광노화에 의한 주름 형성과정에는 차이가 있다. 자연노화 현상에 의한 주름 생성은 진피 조직 내의 섬유아세포의 기능 저하로 인해 일어난다. 피부조직을 이루고 있는 콜라겐은 합성이 저하되고, 콜라겐 분해효소인 콜라겐나아제에 의해 분해된다. 이로 인해 조직 내 콜라겐은 감소되고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탄력이 떨어지고 잔주름이 생기게 된다. 광노화로 인한 피부 주름 형성은 자외선에 의해 콜라겐의 합성은 촉진되나, 동시에 콜라겐나아제의 급격한 활성증가로 불규칙적인 콜라겐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피부 표면이 거칠고 비대해 지며 깊은 주름이 생기게 된다. 피부 노화 현상에서 자연노화 현상은 어쩔 수 없다고 하더라도 환경적이 요인인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피부노화를 지연하고 억제하는 방법이다.
UBV 량에 비례하여 표피각질 세포의 직접 손상이 유발되어 면역 및 염증 조절에 관여하는 세포활성물질(cytokine)의 분비장해가 발생한다(Bissett et al., 1987). UVB는 조직 내 활성산소를 형성하고, 피부에 정상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항산화 물질을 감소시켜(Darr and Fridovich, 1994) 효소적, 비효소적 항산화 방어 기구의 불균형을 가져와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시킨다. 이로 인해 세포구성성분들에 대한손상을 야기하며, DNA에도 직접적인 손상을 유발하여 만성피부질환과 피부노화 현상에 관여한다(Debacq-Chainiaux etal., 2005). 진피에서는 자외선에 의해 기질금속 단배분해효소(matrix matalloprotinase, MMPs) 활성이 증가하고, 교원질(collagen)과 탄력섬유(elastin)의 합성이 감소하여 주름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No et al., 2004)되었다.
광노화로 인한 피부 주름 형성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진피의 탄력 콜라겐과 다른 결합조직성분을 분해시키는 작용을 하는 MMPs(matrix metalloproteinase) 활성은 자외선 조사량이 증가할수록 in vivoin vitro 실험에서 활성이 증가하고, 광 손상 시, 콜라겐이 감소하는 이유는 MMP-1의 활성 증가로 콜라겐의 일부분이 잘려져 조각이 나고 이 조각난 콜라겐에 의해 콜라겐의 합성이 저해되어, 피부조직 내의 콜라겐 함량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피부 탄력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 중 하나인 엘라스틴은 피부 속 콜라겐을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함으로 피부 탄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의 연구에서 섬유모세포에서 유래한 엘라스타아제(elastase)가 피부탄성섬유의 3차원적 뒤틀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었다. 주름개선 물질을 사용한 연구에서도 주름의 회복과 엘라스틴 섬유의 뒤틀림의 개선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자외선에 의한 노화나 스트레스 등은 피부 내 엘라스타아제 분비를 촉진시켜 피부 조직을 파괴하며 결국 피부의 탄력 상실 및 주름 발생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엘라스틴은 주름살의 생성에 깊이 관여하고 있으며, 특히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조절이 주름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외인성 노화를 일으키는 환경적 요인에는 자외선 노출, 대기오염, 스트레스 등이 있으며, 이러한 유해환경으로부터 산화적 스트레스에 계속하여 노출이 되면 체내의 활성산소(oxygen free radical)가 증가되고, 진피의 결합조직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아루론산 등이 파괴되어 주름이 생성된다. 특히, 이러한 요인들 중 외인성 노화를 일으키는 가장 주요한 요인은 반복적인 자외선의 노출로 자외선(UV)은 320~400㎚ 파장의 자외선 A(UVA)와 290~320㎚ 파장의 자외선 B(UVB), 200~290㎚ 파장의 자외선 C(UVC)로 분류되며, 이 중 자외선 B(UVB)가 피부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어 광노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외인성 노화인 광노화는 자연노화와는 달리 외관상에 확연하게 피부 변화를 초래한다. 광노화가 진행된 피부에서는 주름뿐만 아니라 불규칙한 색소침착(주근깨, 잡티, 칙칙한 피부)을 형성하게 되고, 기본적으로 매우 거칠고 건조해지고 쳐짐 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심하게는 흑자, 검버섯, 피부암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노화된 피부에서 나타나는 주름살과 피부의 탄력 감소, 피부 쳐짐 및 건조 현상 등은 대부분 진피에 존재하는 기질단백질의 변화 때문이다. 진피는 피부 내에서 피부의 강도와 형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노화가 진행될 때 이 부분에 형태적인 변화가 일어나게 되면 주름 생성 및 피부 쳐짐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기질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아제(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가 대표적이며 특히 MMP-1, MMP-3, MMP-8 및 MMP-13을 통해 일어난다. 한 번의 자외선 조사에도 피부 내의 MMPs 활성이 증가되고, 피부 내의 콜라겐 및 기타 기질단백질을 현저하게 분해시켜 피부 노화를 촉진하는데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피부를 포함한 신체의 노화에 대한 유력한 메커니즘은 자유 라디칼 생성에 따른 신체의 산화 또는 '산화적 스트레스'라고 알려져 있다. 이것은 세포에서 자유 에너지가 안정적인 산소와 결합할 때 세포 호흡 과정 중에 미토콘드리아에서 생성되는 ROS(reactive oxygen species)에 의해 미토콘드리아나 단백질 등에 손상을 입는 것이다. 기존의 화장료 조성물들은 항산화제를 활용하여 자유 라디칼과 병합하거나 중화하여 ROS에 의한 손상을 완화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콜라겐은 포유류의 연결 조직의 주요 성분중 하나이다. 사람의 경우 콜라겐은 인체 단백질의 약 40%를 차지하므로 피부 세포의 견고성, 유연성, 회복성, 탄성을 공급한다. 주름으로 표현되는 피부 노화는 콜라겐의 합성 저하의 부조화로 인한 최종 결과이다. 피부의 노화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콜라겐의 합성과 쇠퇴사이의 조화에 불균형이 일어나서, 과도한 콜라겐 쇠퇴를 야기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하고 안전성 및 안정성이 높아 피부 부작용이 없는 신규의 물질을 천연유래 화합물을 대상으로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이 노화 연관된 β-갈락톡시다제(senescence associated β-galactosidase)의 활성을 저해하고, p53 및 p21의 발현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ROS(reactive oxygen species)의 양을 감소시키고, MM-1 및 MMP-3의 발현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면서 엘라스타아제 활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면 그 효능과 안전성이 우수한 피부노화 예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부노화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섬오갈피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섬오갈피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섬오갈피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섬오갈피(A. koreanum)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며, 한국 특산종으로 제주도의 산록에서 자라는 낙엽 관목이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향기가 나며 밑부분에 넓은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손바닥모양겹잎이다. 작은 잎은 3~5개씩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거꾸로 선 바소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주맥밑동에 털이 밀생한다. 잎 표면이 광택이 있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녹색이며 산형꽃차례에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2~5cm이고 작은꽃자루도 길다. 꽃잎은 5개이고 꽃받침은 희미하게 5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핵과로 편평하고 10월에 검게 익으며 암술대가 남아 있다. 민간에서는 요통, 신경통, 중풍 등에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섬오갈피 추출물"은 섬오갈피를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추출한 추출물로서, 섬오갈피로부터 추출한 추출액뿐만 아니라 이의 건조 분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섬오갈피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추출한 액은 액체 형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며, 추출물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섬오갈피 추출물은 50% 에탄올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추출한다.
상기 추출 방법은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섬오갈피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분리, 분획)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섬오갈피 나무의 줄기, 뿌리, 잎, 꽃 등 모든 부위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뿌리가 바람직하나, 어느 특정 부위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은 상기 섬오갈피 추출물을 유산균 중에서 발효한 것을 의미한다. 이 때 발효균으로 유산균을 사용하며, 예를 들어,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bulgaricus),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 bifidum) 또는 이들의 혼합균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 bifidum) 또는 이들의 혼합균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 bifidum)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은 섬오갈피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균을 섬오갈피 추출물 중량을 기준으로 4 내지 6 중량%의 양으로 접종하여 10 내지 15시간 동안 배양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은 섬오갈피 추출물에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 bifidum) 균을 섬오갈피 추출물 중량을 기준으로 4 내지 6 중량%의 양으로 접종하여 55 내지 65 시간 동안 배양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은 상기 섬오갈피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발효물과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 bifidum) 발효물을 1:1 내지 1:3, 바람직하게는 1:2의 중량비로 혼합시켜 사용한다.
자외선 (UVB) 조사에 의해 노화 정도를 보여주는 가장 좋은 검색 표지인자로는 노화 연관된 β-갈락톡시다제(senescence associated β-galactosidase), p53 및 p21의 발현, MMPs의 발현, ROS(reactive oxygen species)의 양, 엘라스타아제(elastase) 활성 등이 있으며, 이들은 세포가 노화했는지를 표시해주기 때문에 노화를 확인하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은 노화 연관된 β-갈락톡시다제의 활성을 저해하고, p53 및 p21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ROS의 양을 감소시키고, MM-1 및 MMP-3의 발현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면서 엘라스타아제 활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물질 자체의 안정성이 뛰어나 그 효과가 장기간 유지되며, 피부 자극이 거의 없는 안전성이 우수한 물질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도인 피부노화 개선은 통상적인 피부 보호용도(피부 주름의 예방, 주름의 제거, 예방 또는 치료, 피부 탄력 증가, 피부 손상 방지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00001 내지 1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의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경구 또는 비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중 경피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경구형 제형인 경우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의 양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으며,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일당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사용할 수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에 대한 세포 독성 확인 결과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은 인체에 무해한 물질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노화 연관된 β-갈락톡시다제의 활성을 저해하고, p53 및 p21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ROS의 양을 감소시키고, MM-1 및 MMP-3의 발현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면서 엘라스타아제 활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노화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은 세포 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섬오갈피 추출물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세포 독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UVB에 의해 노화된 HS68 세포주에서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에 의한 SA-β-galactosidase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H2O2에 의해 노화된 HS68 세포주에서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에 의한 SA-β-galactosidase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UVB 조사한 경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p53 및 p21의 발현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H2O2에 노출된 경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p53 및 p21의 발현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UVB 조사한 경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ROS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은 H2O2에 노출된 경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ROS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는 UVB 조사한 경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MMP-1의 발현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H2O2에 노출된 경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MMP-1의 발현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UVB 조사한 경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MMP-1,3의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H2O2에 노출된 경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MMP-1,3의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UVB 조사한 경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4은 H2O2에 노출된 경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섬오갈피 추출물 섬오갈피 추출물 (AE)의 제조
건조한 섬오갈피 뿌리에 10배 양(w/v)의 증류수를 넣어 90℃에서 4시간 추출한 후 여과지로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3회 반복하여 모은 후 감압건조시켜 -20℃에 보관하였다. 이하에서 이를 "AE"라 칭하며, 본 발명의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교군로서 사용한다. 도 1은 섬오갈피 추출물(AE)의 제조과정을 나타낸다.
<실시예 1>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AEF)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된 섬오갈피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균을 섬오갈피 추출물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의 양으로 접종하여 12시간 동안 배양하여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된 섬오갈피 추출물에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 bifidum) 균을 섬오갈피 추출물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의 양으로 접종하여 60 시간 동안 배양하여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섬오갈피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발효물과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 bifidum) 발효물을 각각 1:2의 중량비로 혼합시켜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이하에서 이를 "AEF"라 칭한다.
<시험예 1>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세포 독성 확인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세포 독성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이때 비교를 위해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섬오갈피 추출물(AE)를 비교군으로 사용하였다.
HS68 세포주를 4X103개 / 100㎕ 배지의 밀도로 96 well plate에서 48시간동안 배양하고 125, 250, 500㎍/㎖의 농도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AEF)와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섬오갈피 추출물(AE)를 처리한 다음 serum-free medium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는 MTS solution(20㎕/100㎕ 배지)를 처리하고 37℃에서 1-4시간 배양한다. 마지막으로 49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2는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세포 독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그룹과 비교했을 때 모든 그룹에서 세포 생장률이 증가하였고 그 중 250㎍/㎖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생장률을 보였고 500㎍/㎖에서는 그보다 약간 감소하였다. 500㎍/㎖에서 가장 높은 생장율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같은 농도로 활성 측정 실험을 진행했을 때 500㎍/㎖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기에 이후 실험에서는 500㎍/㎖을 최적농도로 지정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험예 2>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노화 연관된 β-갈락토시다제(senescence associated β-galactosidase) 활성억제 측정
HS68 세포주에서 UVB 및 H2O2에 의한 노화에서의 AEF의 SA-β-galactosidase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세포에 20mJ/㎠의 UVB 및 300μM의 H2O2를 3시간동안 처리하였다. HS68 세포주에서의 SA-β-galactosidase 활성은 X-Gal을 사용해 측정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PBS에 희석한 3% formaldehyde로 10분간 상온에서 고정하였다. PBS로 세척을 2번 더 한 다음 고정된 세포를 염색용액(N,N-Dimethylfomamide(DMF)에 녹인 1㎎/㎖의 5-bromo-4chloro-indolyl-β-D-galactose, 40mM citric acid-sodium phosphate (pH 6.0), 5mM potassium ferricyanide, 5mM potassium ferrocyanide, 150mM NaCl, 2mM MgCl₂)을 처리해 24시간동안 37℃에서 배양한다. 푸르게 염색된 세포주는 400X배율에서 최소 3 영역의 개수를 세고 positive 세포의 비율로 표현하였다.
도 3은 UVB에 의한 노화된 HS68 세포주에서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에 의한 SA-β-galactosidase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HS68 세포주에 UVB를 AE 및 AEF 없이 처리하였을 때, 20.33%의 SA-β-gal 염색을 보였다. UVB를 처리한 다음 AE 및 AEF를 처리하였을 때는 각각 19.30%, 4.24%의 SA-β-gal 염색을 보였다. 이로부터 UVB조사 뒤에 AEF를 처리했을 때 AE를 처리했을 때 보다 세포노화를 저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4는 H2O2에 의한 노화된 HS68 세포주에서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에 의한 SA-β-galactosidase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H2O2의 경우에서, H2O2만 처리한 세포에서는 15.31%의 SA-β-gal 염색을 나타냈고, AE와 AEF를 처리한 각 그룹에서는 9.17%, 6.28%의 SA-β-gal 염색을 나타냈다. 이로부터 H2O2에 노출된 뒤 AEF를 처리했을 때, AE를 처리했을 때 보다 세포노화를 더 잘 저해시킴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p53과 p21의 발현억제 측정
세포가 갑자기 손상을 입었을 때, p53이 발현되어 p21을 의 발현을 유도하고 DNA 손상을 회복할 시간을 벌거나 극심한 손상일 경우에는 Apoptosis를 유도한다. 그러므로, p53과 p21의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은 세포노화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하기 웨스턴 블라팅(western blotting) 실험을 통하여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p53 및 p21의 발현억제를 측정하였다.
100mm dish에 세포를 배양한 다음 냉장보관된 PBS로 세척하고 scraper를 사용해 세포를 모았다. 샘플은 gel-loading buffer(0.125M Tris-HCl, pH 6.8, 4% SDS, 10% 2-mercaptoethanol, 0.2% bromophenol blue)를 샘플과 1:1 비율로 넣고 5분간 끓였다. 샘플 전체를 12% gel을 이용해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로 단백질을 분리하고 250mA에서 90분 동안 PVDF 막으로 옮겼다. PVDF 막은 즉시 blocking buffer(10mM Tris pH7.5, 100mM NaCl, 0.1% Tween 20에 녹인 5% Skim milk)에 담가두었다. p53, p21, α-tubulin에 특이적인 antibody는 Santa crus biotechnology(USA)에서, MMP-1 antibody는 Abcam에서 구매했다. Blot은 상온에서 3시간 blocking하고 1차 antibody에 담구어 4℃에서 overnight한 다음 PBS로 3번 세척하였다. 그 다음 blot에 anti-mouse antibody, anti-rabbit antibody(1:1,000)을 25℃에서 1시간동안 처리하고 PBS로 10분씩 3번 세척하였다. Blot에 붙은 antibody는 ECL(GE helthcare, UK)로 표지한다. Pre-stained protein marker로 단백질의 크기를 가늠하였다.
도 5는 UVB 조사한 경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p53 및 p21의 발현억제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UVB를 조사한 경우에, p53과 p21 단백질의 양이 각각 2.4-fold, 4.5-fold로 상향조절된 반면, AEF를 처리한 세포는 AE를 처리한 세포에 비해 p53과 p21의 단백질양이 현저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도 6은 H2O2에 노출된 경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p53 및 p21의 발현억제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세포가 H2O2에 노출된 경우, p53과 p21 단백질이 control group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지만, AE와 AEF를 처리하면 p53은 각각 71.05%, 110.59%로, p21은 53.28%, 83.57%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AEF는 AE보다 p53, p21 단백질양을 훨씬 더 많이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ROS 생성 억제 측정
p53, p21, MMP 단백질은 ROS에 의해 유도된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므로 이전 및 앞으로 진행할 실험의 결과는 ROS 양의 감소에 의한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형광분석은 비-형광 DCFDA이 Esterase와 ROS 및 과산화지방질의 존재하에 산화되어 높은 형광을 띠는 2',7'-dichlorofluorescin(DCF)가 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세포내의 ROS 양은 산화 민감성 탐색자인 CM-H₂DCFDA와 dihydroethidium(DHE)를 이용해 탐색한다.
구체적으로, 100mm dish에 배양된 HS68 세포주는 trypsinization으로 수집하고 1,5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은 제거하고 세포는 PBS로 세척하고 1㎖의 PBS에 풀어주었다. 10mM의 CM-H₂DCFDA와 5mM DHE 1㎕를 추가한 다음 30분간 배양하고 FACS(BD, USA)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도 7은 UVB 조사한 경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ROS 생성 억제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세포가 UVB에 노출되면, H2O2에 반응하는 DCF와 과산화물음이온에 반응하는 DHE의 형광 강도가 각각 125.37%, 107.27%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각 그룹에 AE와 AEF를 처리하게 되면, 형광 강도가 현저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으며. AEF가 AE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H2O2에 노출된 경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ROS 생성 억제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세포가 H2O2에 노출되면 DCF와 DHE가 각각 170.82%, 169.22%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각 그룹에 AE와 AEF를 처리하면, DCF와 DHE의 형광이 현저하게 감소하며 AEF가 AE보다 더 큰 영향을 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MMP-1의 발현억제 측정
노화된 세포에서 MMP-1이 부분적으로 증가한다는 사실은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MMP-1이 Collagen type 1을 분해하는 높은 활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상기 웨스턴 블라팅(western blotting) 실험을 통하여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MMP-1의 발현억제를 측정하였다.
도 9은 UVB 조사한 경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MMP-1의 발현억제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UVB 조사의 경우, MMP-1은 1.75-fold 상향조절되었다. AEF를 처리한 세포에서는 88.52%의 MMP-1 발현 감소율을 보였고, AE를 처리한 세포에서 36.26% 감소한 것을 보았을 때 현저히 감소했다고 볼 수 있다.
도 10는 H2O2에 노출된 경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MMP-1의 발현억제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H2O2의 처리 시, MMP-1 단백질이 대조군에 비해 크게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세포에서 MMP-1의 단백질양은 AE를 처리했을 때 110.13%, AEF를 처리했을 때 37.74%로 각각 H2O2를 처리했을 때 보다 감소함을 알 수 있으며, 위 결과에 근거했을 때 AEF가 AE보다 MMP-1 단백질의 양을 더 크게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6>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MMP-1,3의 활성억제 측정
노화된 세포에서 MMP-1과 MMP-3가 증가하는데, 이는 콜라겐은 분해함으로써 주름을 생성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MMP-1과 MMP-3의 효소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하기와 같은 콜라겐 Zymography 기법을 사용한다. 세포배양액에서의 MMP-1 효소활성은 collagen zymography로 측정할 수 있다. UVB를 조사한 다음, HS68 세포주를 500㎍/㎕농도의 AE, AEF를 넣은 배지와 넣지 않은 배지를 각각 처리해서 48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전체 배양액을 모아서 speed vacuum concentrator로 농축하였다. Bradford protein assay로 용액에서의 단백질 농도를 정량하였다. 샘플에서의 단백질 양이 0.04㎍/㎕되도록 계산하여 loading buffer(5mM Tris-HCl(pH 6.8), 4% SDS, 25% glycerol, 0.01% BPB)와 섞은 다음 0.02%의 콜라겐(from rat tail, C7661, Sigma, USA)을 함유한 10% SDS-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하였다. Gel은 SDS를 제거하기 위해 orbital shaker로 상온에서 15분간 washing buffer(2.5% Triton X-100, 50mM Tris-HCl(pH 7.5))로 2번, reaction buffer(50mM Tris-HCl(pH 7.5), 5mM CaCl₂, 0.15M NaCl)로 1번 세척한 다음 reaction buffer로 37℃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밴드는 0.1% coomassie brilliant blue R-250으로 염색하고 distaining buffer(물에 녹인 50% methanol , 10% acetic acid)로 탈색시켰다. collagen이 함유된 젤은 푸르게 염색된 back ground를 나타내고 collagenase 활성을 나타낸 밴드부분은 투명하게 나타난다.
도 11은 UVB 조사한 경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MMP-1,3의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UVB에 노출된 세포는 MMP-1의 효소활성이 41.46% 증가했지만 MMP-3는 큰 차이가 없었다. AEF는 AE에 비해서 MMP-1과 MMP-3를 더 많이 저해함을 알 수 있다.
도 12은 H2O2에 노출된 경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MMP-1,3의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H2O2의 경우, MMP-1은 20%, MMP-3는 38.79%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AE와 AEF는 MMP-1을 45.33%, 31.05%로, MMP-3를 58.43%, 40.38%로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결국, AE보다 AEF가 MMP-1과 MMP-3의 활성을 현저히 감소시킨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시험예 7>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엘라스타아제(Elastase) 활성 억제측정
많은 연구에서 주름형성은 특히 탄력성의 손실과 관련되어있다고 말한다. 결국, 엘라스타아제는 중요한 주름형성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AE와 AEF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엘라스타아제 분석을 사용하였다.
시험 튜브에서의 엘라스타아제의 저해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엘라스타아제에 의해 기질로부터 가수분해된 p-nitroaniline의 양을 Kraunsoe 등이 제시한 방법을 통해 410nm에서 측정한다. 0.4M Tris-HCl buffer(pH8.6)과 Procine Pancreas elastase(E1250, Sigma, USA)을 각각 30㎕씩 희석하여 96 well plate에 0.6unit/㎖씩 투여한다.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25, 50, 100㎍/㎖)로 60㎕ 씩 각 well에 주입하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다. N-succinyl-Ala-Ala-Al-a-p-nitroanilide(S4760, Sigma, USA)는 1㎎/㎖의 농도로 50mM Tris-HCl buffer(pH 8.6)에 녹인다. 60㎕의 기질 용액을 추가한 다음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다. 반응시킨 다음에는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해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Ursolic acid(U6753, Sigma, USA)를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다.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은 다음 수학식 1로 계산한다.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A는 시료 흡광도(Sample absorbance)이고,
B는 공시료 흡광도(Sample Blank absorbance)이고,
C는 대조군 흡광도(Control absorbance)이고,
D는 공대조군 흡광도(Control Blank absorbance)이다.
도 13은 UVB 조사한 경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HA68 세포가 UVB에 노출되면, 엘라스타아제의 활성 자체는 큰 차이가 없다. 또한 AE는 엘라스타아제 활성을 저해하지 못하지만, AEF를 처리하게 되면 엘라스타아제 활성이 15.44% 정도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4은 H2O2에 노출된 경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의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H2O2의 경우, 역시 대조군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AEF를 처리한 경우에는 5.58%의 감소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전까지의 연구를 종합했을 때 fibroblast에서 생성된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이 UVB에 노출된 털이 없는 쥐에서 증가됨에도 불구하고, UVB에 노출된 fibroblast 세포는 엘라스타아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UVB에 노출된 keratinocyte에서 생산된 cytokine에 영향 받은 fibroblast는 엘라스타아제를 생산했다. Keratinocyte와 엘라스타아제 사이의 cytokine 연결은 fibroblast에서 엘라스타아제를 조절하는 주요한 요소다. 결국, 본 실험에 기초했을 때, 우리는 UVB가 조사된 fibroblast에서의 엘라스타아제 증가는 keratinocyte에 의한 효과가 없었기 때문에 보이지 않았던 것으로 간주했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화장료 제제
1-1. 유연화장수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연 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 0.01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2.0
프로필렌 글리콜 2.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에탄올 10.0
아르기닌 0.08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82.79
총계 100.0
1-2. 영양로션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로션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 0.01
밀납 4.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아르기닌 0.15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69.69
총계 100.0
1-3. 영양크림의 제조
하기의 표 3과 같이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아르기닌 0.18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56.79
총계 100.0
1-4. 마사지 크림의 제조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마사지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아르기닌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27.49
총계 100.0
1-5. 팩의 제조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 0.0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스 0.2
알란토인 0.1
에탄올 5.0
노닐페닐에테르 0.3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81.39
총계 100.0
제제예 2 : 약학적 제제의 제조
2-1. 산제의 제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산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표 6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g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 2
유당 1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2. 정제의 제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표 7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mg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2-3. 캡슐제의 제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표 8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mg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섬오갈피(A. koreanum)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2. 섬오갈피(A. koreanum)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3. 섬오갈피(A. koreanum)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이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bulgaricus),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 bifidum) 또는 이들의 혼합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이 섬오갈피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균을 섬오갈피 추출물 중량을 기준으로 4 내지 6 중량%의 양으로 접종하여 10 내지 15시간 동안 배양하여 발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이 섬오갈피 추출물에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 bifidum) 균을 섬오갈피 추출물 중량을 기준으로 4 내지 6 중량%의 양으로 접종하여 55 내지 65 시간 동안 배양하여 발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이 섬오갈피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균을 섬오갈피 추출물 중량을 기준으로 4 내지 6 중량%의 양으로 접종하여 10 내지 15시간 동안 배양하여 발효된 산물과 섬오갈피 추출물을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 bifidum) 균을 섬오갈피 추출물 중량을 기준으로 4 내지 6 중량%의 양으로 접종하여 55 내지 65 시간 동안 배양하여 발효된 산물을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시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이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00001 내지 15.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60105801A 2016-08-19 2016-08-19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101936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801A KR101936175B1 (ko) 2016-08-19 2016-08-19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801A KR101936175B1 (ko) 2016-08-19 2016-08-19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826A true KR20180020826A (ko) 2018-02-28
KR101936175B1 KR101936175B1 (ko) 2019-01-08

Family

ID=61401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801A KR101936175B1 (ko) 2016-08-19 2016-08-19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1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0947A (zh) * 2018-11-04 2019-05-10 长沙博海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美白抗皱活性的糙叶五加提取物制备方法及在化妆品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706B1 (ko) 2012-08-16 2013-03-04 주식회사 내추럴솔루션 섬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백 발효 인퓨즈드오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노화, 항염, 미백, 항주름 또는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0947A (zh) * 2018-11-04 2019-05-10 长沙博海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美白抗皱活性的糙叶五加提取物制备方法及在化妆品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175B1 (ko) 201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054B1 (ko) 고로쇠 나무와 황칠 나무를 이용한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9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8881B1 (ko) 미선나무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4427B1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20170055172A (ko) 중머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06B1 (ko) 장뇌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6175B1 (ko)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101700105B1 (ko) 낭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247965B1 (ko) 옥수수수염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0382B1 (ko) 결명자, 갈대, 제주조릿대, 지모 및 치자의 혼합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44792B1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발효한 해조류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60062401A (ko) 밀싹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3560A (ko) 적과자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수렴 또는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331214B1 (ko)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220141191A (ko) 닥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피부 재생 촉진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662805B1 (ko) 비타민 강화 미강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4216B1 (ko)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220093477A (ko) 왕벚나무 꽃 생물전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77991A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72353B1 (ko) 수선화 비늘줄기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6195A (ko) 클레마티스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6674A (ko) 흑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695781B1 (ko) 층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