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706B1 - 섬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백 발효 인퓨즈드오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노화, 항염, 미백, 항주름 또는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섬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백 발효 인퓨즈드오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노화, 항염, 미백, 항주름 또는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706B1
KR101238706B1 KR1020120089735A KR20120089735A KR101238706B1 KR 101238706 B1 KR101238706 B1 KR 101238706B1 KR 1020120089735 A KR1020120089735 A KR 1020120089735A KR 20120089735 A KR20120089735 A KR 20120089735A KR 101238706 B1 KR101238706 B1 KR 101238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infused
fermented
fused
acanthopan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문식
정욱순
임준환
유근실
유미애
엄선영
조은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내추럴솔루션
장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내추럴솔루션, 장문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내추럴솔루션
Priority to KR1020120089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53Lactobacil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들의 변성과 손실이 없는 식물성 오일을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를 통하여 변색, 변취, 열안정도, 사용감이 개선되고 항산화, 항노화, 항염, 미백 또는 항주름 활성을 갖는 발효 인퓨지드오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저온공정과 오일자동화정제여과시스템(Auto Oil Purifiterator system)을 통하여 식물성 오일을 추출하여 수득하고 상기에서 수득한 오일을 락토바실러스와 크류버로마이세스 락티스를 동시에 첨가하여 발효한 발효 이퓨즈드오일을 제공함으로써 열안정성과 항산화, 미백, 항주름, 항염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섬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백 발효 인퓨즈드오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노화, 항염, 미백, 항주름 또는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A Fermented infused oil containing oils from Acanthopanax Koreanm as effective ingredient,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osmetics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동백유를 캐리어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섬오가피 유래 아칸토익산(acantho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효 인퓨즈드오일(infused oil)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성오일 추출공정에 있어서 고온(85~270℃)의 제조공정들을 거치지 않고 저온공정(temperature control technology), 식물의 유효성분 추출공정, 발효공정 그리고 오일자동화정제여과시스템(Auto Oil Purifiterator system)을 통하여 식물성오일이 가지고 있는 유효성분들을 변성과 손실 없이 수득한 발효 인퓨즈드오일, 그 제조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inne)는 중국 중약대산전에 동백나무를 산다화라고 하여 맛은 달고 약간 매우며 약성은 약간 차며, 무독하고, 경혈, 지혈, 코피 등을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고 본초강목활도에는 식용으로 먹을 수 있고, 동백유는 머리에 바르면 윤기가 난다고 하였다. 또 머리에 바르면 머리칼이 끊어지는 것과 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목욕 후 몸에 바르면 피부건조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상기 동백유는 감기를 예방하고 기관지염, 항진균성 피부염 화상 등에 쓰이며 인체의 면역 기능을 증강시킨다고도 하였다. 동백 씨앗에는 70% 이상의 높은 지방이 함유되어 있어 우리 고유의 식물성 기름으로 지방의 조성은 중성지질 94.2%, 당지질 4.4% 그리고 1.4%의 인지질로 구성되어 있다. 동백 씨앗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이 은행이나 수박씨, 해바라기씨에 비해 훨씬 높고 호두와 유해와 유사한 수준이다.
상기 동백유의 두드러진 특징은 총지방산의 조성중에 80% 이상 함유된 oleic acid 함량으로 올리브유 64%에 비해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동백유의 85~90%를 차지하는 올레익산(Oleic Acid)은 뛰어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며, 그 밖에 팔미틴산을 포함하는 포화산(9~12%)과 리놀레인산(1~3%)이 함유되어 있다.
오가피의 학명은 Acanthopanax 이며 Acanto는 `가시나무’를 Panax는‘만병을 치료한다’는 뜻을 지닌다. 오가피는 인삼과 같은 두릅 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우리나라, 중국, 러시아 등지에서 자란다. 동의보감이나 본초강목에 의하면 “오가피의 뿌리, 줄기, 가지의 껍질 등을 오래 복용하면 몸을 가볍게 한다”하여 오래전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제2의 인삼’으로도 불린다.
한편 섬오가피(Acanthopanax Koreanm)의 경우 lignan 배당체인 syringaresinol diglycoside, acanthside D, syringoside, eleutheroside B 및 eleutheroside E, falcarindol, methyl-hexacosanoate, coniferin, pimaradiene diterpene 및 sumogaside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또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eleutheroside B의 경우에는 가시오갈피와 섬오가피 모두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섬오가피의 뿌리에는 다른 종의 오갈피에서 보고된바 없는 acanthoic acid(아칸토익산)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항염증 활성과 간 섬유화 억제 활성과 항당뇨, 항비만, 면역 증강 효과 등에 대한 연구보고가 이루어져 있다.
동백유를 이용한 종래기술은 동백유를 보습제로 첨가하는 기술에 대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33377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화장료'에 개시되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0-107826호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장벽 복원 및 진정, 항염의 복합작용을 통한 아토피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피부보습, 향균, 항아토피 활성을 갖는 동백유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였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56370호에서는 오가피 추출물이 함유된 각질 제거, 피부 보습, 미백, 피부 탄력 증진과, 아토피 피부염의 완화 경감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였다. 그러나 섬오가피 근성분에 함유된 유효성분 아칸토익산 및 오일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료에 관한 기술은 개시된 바 없으며, 더욱이 동백유를 캐리어용매로 하여 인퓨즈드오일(infused oil)을 제조하는 기술은 전혀 알려진바 없다.
상기 동백나무와 섬오가피의 유효성분들은 오일성분으로서 기능성식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오일성분의 추출 및 정제가 중요한 기술로 여겨진다. 상기 오일성분들의 추출에 있어서 물을 이용할 경우 오일성분들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는 단점이 있어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였으나 유기용매의 유해성이 문제시되어왔다.
인퓨즈드오일은 상기와 같은 오일성분 추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식물의 오일성분을 추출할 때 추출용매로써 오일을 사용하여 추출하여 수득한 오일을 일컫는다. 상기 인퓨즈드오일은 식물의 오일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용매로 사용한 오일의 기능성 성분과, 식물로부터 추출된 오일의 유효성분이 함께 시너지 효과를 내어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대되고 기능성이 향상되어 화장품 제조시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통상의 천연오일의 추출 정제 공정에서 추출 공정은 원료를 선정해 분쇄 후 평균 120도로 가열하여 오일이 잘 추출되게 한 후에 냉압착착유법(expeller pressing)을 이용하여 착유한다. 상기 착유과정에서 85의 높은열이 발생하여 오일성분의 유실과 변성을 가져온다. 착유 후 나오는 원료찌꺼기는 핵산(hexane)과 같은 용매에 침지하여 상기 원료찌꺼기에 남아있는 오일성분을 용매추출(solvent extraction)한다. 상기 냉압착착유법공정과 용매추출을 통해 수득한 오일은 탈검(degumming), 탈산(deacidfication), 중화(refining or neutralization), 탈색(bleaching), 탈취(deoderization) 정제공정을 거친다. 상기 오일 정제공정은 탈색, 탈취과정과 탈산과 중화 과정이 85 ~ 270℃ 범위의 고온조건에서 이루어지며 수산화 나트륨, 가성소다, 탄산소다 등과 같은 화학처리에 의해 항산화 성분과 영양분이 과도하게 제거되면서 오히려 지방산의 산화를 촉진시켜 높은 변질 가능성을 갖고있다.
따라서 천연에서 고순도로 정제되고 항산화성분과 영양성분의 손실이 없는 오일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공정단계의 단점인 고온처리, 화학물질 처리공정을 개선한 시스템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처리 및 화학물질 처리공정이 없는 식물성 오일 추출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효성분들의 변성과 손실이 없는 상기 식물성 오일을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를 통하여 변색, 변취, 열안정도, 사용감이 개선되고 항산화, 항노화, 항염, 미백, 항주름 및 항알러지 활성을 갖는 발효 인퓨지드오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식물성 추출법을 통하여 수득한 동백유를 캐리어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섬오가피 유래 아칸토익산(acantho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산화, 항노화, 항염, 미백, 항주름 및 항알러지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동백으로부터 저온공정과 오픈컬럼시스템(open column system)을 통하여 식물성 오일을 추출하여 동백오일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수득한 동백오일에 섬오가피를 침지하여 아칸토익산(acanthoic acid)을 유효성분으로하는 인퓨즈드 섬오가피오일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수득한 인퓨즈드 섬오가피오일을 락토바실러스와 크류버로마이세스 락티스를 동시에 첨가하여 발효하고 그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수득한 발효물을 오일자동화정제여과시스템(Auto Oil Purifiterator system)을 사용하여 정제함으로써 발효 인퓨즈드오일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수득한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성분을 분석한 후 그의 항산화, 항노화, 항염, 미백, 항주름 및 항알러지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고온처리 및 화학물질 처리공정이 없는 식물성 오일 추출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 밖에도 유효성분들의 변성과 손실이 없는 상기 식물성 오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하여 변색, 변취, 열안정도, 사용감이 개선되고 항산화, 항노화, 항염, 미백, 항주름 및 항알러지 활성을 갖는 발효 인퓨지드오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천연오일 추출정제공정과 본 발명 천연오일 추출정제방법을 비교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유효성분인 섬오가피유래 아칸토익산(acanthoic acid)의 NMR(13C, 1H)스펙트럼과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열 안정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4는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Intracellular ROS를 측정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하이드록시라디컬 소거능을 측정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미백 효과를 측정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콜라겐합성 증대효과를 측정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항염 효과을 측정한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항알러지 효과를 측정한 도이다.
< 실시예 1 >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제조 및 그 유효성분 아칸토닉산의 구조동정
동백원료 100g을 저온공정(temperature control technology; 이하 TCP공정이라 한다)을 통하여 50g의 오일을 얻었다. 상기 TCP공정으로 얻은 오일 5g에 섬오가피를 침지한 후 초음파 추출기를 이용하여 섬오가피를 추출하여 인퓨즈드오일을 수득하였다. 상기 인퓨즈드오일에 Lactobacillus균주와 Kluyveromyces균주를 각각 1000CFU/g가 되도록 동시에 접종한 후 40℃에서 3 내지 12주간 배양하여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을 수득하였다. 상기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은 오일자동화정제여과 장비를 이용하여 정제된 본 발명 발효인퓨즈드오일 20g을 최종적으로 수득하였다.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성분분석은 섬오가피의 유효성분인 아칸토익산(화학식 1)을 지표물질로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아칸토익산의 HPLC분석조건은 Fortis C18(5um, 4.6Χ150mm)컬럼을 이용하였고 아세토니트릴과 0.1% 아세테이트가 함유된 물을 부피비 1:1 비율로 혼합한 용매를 이동상으로하고 유속 1.0 mL/min조건에서 분석하였다. 이때 아카토익산의 검출조건은 203 nm였으며 총 분석시간은 35분이었다. 섬오가피유래 아카토익산은 분석 후 25분에 검출되었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65723415-pat00001

실험예 1-1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열 안정성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과 정제수를 부피비 5: 95로 혼합한 후, 90℃의 수욕에서 진탕하면서 1시간마다 410 과 4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총 5 시간동안 열에대한 오일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에 대한 뛰어난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2>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기능성 평가
실험예 2-1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Intracellular ROS 측정; 세포내 활성산소 측정
세포내의 활성산소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DCFH-DA(dichlorofluorescin diacetate) 염색 방법을 사용하였다. DCFH-DA는 비극성 분자로 세포내 들어가면서 DCFH로 분해되고, 세포내의 활성산소에 의해 녹색 형광을 나타내는 DCF로 변한다. 따라서 세포내의 활성산소의 농도가 높을수록 강한 흡광도를 나타내게 된다.
세포내 활성산소 측정을 위해서 세포를 6 well plate에 1x105 cells/well로 배양한다. 원하는 항산화 물질은 12시간 전처리 하고, ROS generator인 H2O2, PMS를 각각 처리한다. H2O2, PMS의 처리시간은 각각 15분, 12시간으로 하였다. 세포를 회수한 후 HBSS로 2회 washing한 후, 20μM DCFH-DA 용액을 500μL씩 넣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다.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세포의 형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본 발명 인퓨즈드오일은 100ug/mL의 농도에서 세포내 활성산소의 농도를 20%까지 감소시켰다(도 4).
실험예 2-2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하이드록시라디컬 소거능 측정
Linoleic acid (25 mg/mL in EtOH)를 기질로 하여 0.2 M phosphate buffer (pH 7.0)와 각 시료 용액을 가하여 40℃에서 1주일 동안 과산화 지질을 유도하였다. 과산화 지질 측정은 반응액에 35% trichloroacetic acid와 0.75% aqueous TBA를 혼합하고 가열처리한 후 70% trichloroacetic acid를 가한 다음 원심분리 하여 그 상등액을 5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불포화 지방산인 linoleic acid를 이용한 TBA법으로 본 발명 인퓨즈드오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도 5와 같다. 본 발명 인퓨즈드오일의 항산화활성은 50ug/mL에서 48%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냈으며 100 ug/mL에서는 100%의 뛰어난 항산화활성 나타냈다.
실험예 2-3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미백활성
마우스 흑색종 세포주인 B16-F1은 ATCC에서 구입하였으며, DMEM에 10 % FBS를 혼합한 배지를 사용하여 37 ℃, 5 %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실험과정의 세포는 70 ~ 80 %의 단층배양에서 실시하였다.
B16-F1 흑색종 세포를 10 % FBS가 함유된 DMEM으로 6-well plates에 1 × 105 cells/well이 되도록 분주하여 5 % CO2, 37 ℃ 조건하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에 배양액을 제거하고 본 발명 인퓨즈드오일을 농도별로 배지에 희석하여 교체하고 B16-F1 흑색종에서의 멜라닌분비를 유도하기 위해서 α-MSH를 처리하였다. 상기 본 발명 인퓨즈드오일와 α-MSH를 처리한 세포를 48 시간동안 더 배양하여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세포들의 멜라닌 생성양은 배양이 끝난 세포의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포배양 플레이트를 세척한 후, 10 % DMSO가 함유된 1 N NaOH를 첨가하여 세포를 플레이트로부터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는 50 ℃ 항온조에서 반응시켜 세포 내 멜라닌을 용해되도록 하였다. 상기 멜라닌 용해액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멜라닌 표준 정량곡선을 이용하여 멜라닌 양을 구하였으며, 총 단백질로 보정하였다. 또 본 실험의 대조군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고 α-MSH만 처리하여 멜라닌생성을 유도한 세포로 하였다.
α-MSH 을 처리한 B16-F1 흑색종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 인퓨즈드오일은 50 μg/mL의 농도를 처리하였을 때, 20 %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100ug/mL에서 30%의 뛰어난 멜라닌생성 억제효과를 보였다.
실험예 2-4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콜라겐합성 증대효과
Type I pN 콜라겐의 합성량 측정은 ELISA kit(Takara,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섬유아세포를 24-well multiplate에 well당 5 × 104개 깔고, 10% FBS를 첨가한 DMEM배지에 24시간 정치하였다(pH 7.4). 이후 FBS를 첨가하지않은 DMEM배지에 제니스테인을 10-7 M 농도로 첨가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그 후 회수된 상층액을 이용하여 kit에서 제공된 96-well plate에 coating하고, 4℃에서 16시간이상 방치한 후, TPBS(0.1% Tween 20 in PBS)로 3회 세척하고, 3% bovine serum albumin(BSA in TBPS)를 넣고 2시간 blocking하였다. Primary antibody인 anti-collagen antibody를 37℃에서 90분간 처리한 후, TPBS로 3회 세척하였다. Secondary antibody인 anti-mouse IgG(whole mouse,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d)를 90 분간 반응시킨 후 TPBS로 3회 세척하였다. Alkaline phosphatease substrate solution(1 mg/mL p-nitrophenyl phosphate in diethanolamine buffer)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로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인퓨즈드오일은 50 μg/mL의 농도를 처리하였을 때, 10%의 콜라겐 생성 증대효과를 나타내었고 100ug/mL에서 20%의 뛰어난 콜라겐 생성 증대효과를 보였다.
실험예 2-5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항염효과
실험에 사용한 세포는 RAW 264.7 세포(생쥐 대식 세포주)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Rockville, MD, USA)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10% FBS(fetal bovine serum)와 1% 항생제가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가 공급되는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well 당 1 × 105이 되도록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16시간 동안 37℃, 5% CO2가 공급되는 배양기에서 세포를 안정화시켰다. 안정화시킨 세포에 LPS 1㎍/mL와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배양 상층액 100㎕와 Griess 시약 100㎕를 섞어 흡광도 540㎚에서 측정하였다. Griess 시약은 0.1% naphth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50㎕와 5% H3PO4에 녹인 1 sulfanilamide 50㎕를 섞어 조제하였다.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NO 생성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LPS로 염증을 유도한 대조군에 비해 100ug/mL의 농도로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을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NO 생성율이 30%감소하는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도 8).
실험예 2-5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항알러지 효과
RBL-2H3(rat basophilic leukemia cell line)은 한국 세포주은행 (Korea Cell Line Bank, KCLB)에서 분양 받아 배양하였다. 세포의 배양을 위하여 10% heat-inactivated FBS (Gibco BRL, USA)과 1% penicillin 및 streptomycin(Gibco BRL, USA)을 포함한 DMEM(Gibco BRL, USA) 배양액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는 37℃, 5% CO2 조건하에서 배양하였고, 세포의 증식에 따른 과밀도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0.05% trypsin-EDTA solution(Gibco BRL, USA)을 처리하여 세포를 부유시킨 다음 계대 배양하였다. 알레르기 즉시반응의 지표인 탈과립에 대한 억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β-hexosaminidase의 분비를 측정하였다.
RBL-2H3 cells를 10% FBS를 포함한 DMEM에 현탁시킨 후 48 well plate(Corning, USA)에 5×105cells/ml의 세포 수가 되도록 분주하였다. 그 후 anti-DNP IgE(0.5μg/ml)로 감작하고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각 well의 세포들을 Siraganian buffer(119 mM NaCl, 5mM KCl, 0.4mM MgCl2, 25mM PIPES, 40mM NaOH, pH7.2)로 2번 세척한 다음 각 well당 5.6mM glucose, 1mM CaCl2와 0.1% BSA가 포함된 Siraganian buffer를 첨가하고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을 농도별(0, 10, 50 및 100ug/mL)로 1시간 동안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 한 후 DNP-HSA (10μg/ml)로 처리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ice bath에서 10분 동안 방치한 후 반응을 종결시켰다. 상층액 20μl를 96 well plate에 옮기고 substrate buffer (4-p-Nitrophenyl-N-acetyl-b-D-glucosaminide 1mM, sodium citrate 0.05M, pH4.5) 80μl를 넣고 37℃에서 30분 배양시킨 다음 각 well당 stop solution 200μ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Co. Ltd., USA)를 사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 처리군과 대조군의 흡광도 값으로 하기 계산식에 의해 inhibition(%)을 산출하였다.
<계산식>
Inhibition(%) =(1-T/C)×100
C: Cell (+), DNP-HSA (+), test sample (-)
T: Cell (+), DNP-HSA (+), test sample (+)
항원-항체 결합단계에서 β-hexosaminidase 분비에 미치는 본 발명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50ug/mL 농도에서 2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100ug/mL 농도에서 30%의 뛰어난 억제효과를 나타냈다(도 9).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섬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백 발효 인퓨즈드오일은 변색, 변취, 열안정도 및 사용감이 개선된 효과가 있고 항산화, 항노화, 항염, 미백, 항주름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으므로 화장원료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초음파추출과 오일자동화정제여과장비를 통하여 동백씨로부터 오일을 추출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수득한 오일에 섬오가피을 침지하여 인퓨즈드오일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수득한 인퓨즈드오일에 미생물을 접종한 후 40℃에서 3 내지 12주동안 발효하고 그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수득한 발효물을 정제하는 것이 특징인 발효 인퓨즈드오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이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와 크류버로마이세스(Kluyveromyces)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인퓨즈드오일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2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인퓨즈드오일.
  4. 제 3항 기재의 발효 인퓨즈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피부 노화, 염증, 미백, 주름 또는 알러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89735A 2012-08-16 2012-08-16 섬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백 발효 인퓨즈드오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노화, 항염, 미백, 항주름 또는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8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735A KR101238706B1 (ko) 2012-08-16 2012-08-16 섬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백 발효 인퓨즈드오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노화, 항염, 미백, 항주름 또는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735A KR101238706B1 (ko) 2012-08-16 2012-08-16 섬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백 발효 인퓨즈드오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노화, 항염, 미백, 항주름 또는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8706B1 true KR101238706B1 (ko) 2013-03-04

Family

ID=48180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735A KR101238706B1 (ko) 2012-08-16 2012-08-16 섬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백 발효 인퓨즈드오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노화, 항염, 미백, 항주름 또는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70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3034A (ko) * 2013-11-07 2015-05-15 (주)아모레퍼시픽 효소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WO2015137652A1 (ko) * 2014-03-11 2015-09-17 주식회사 벤스랩 전립선 비대증 및 탈모를 개선하는 5-알파 환원효소 억제용 발효 동백오일
KR20160020038A (ko) * 2014-08-12 2016-02-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6619231A (zh) * 2017-01-22 2017-05-10 广州卡迪莲化妆品有限公司 一种发酵植物油的制备方法
KR20180082351A (ko) 2017-01-09 2018-07-1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889331B1 (ko) 2016-02-01 2018-08-1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1896908B1 (ko) * 2018-08-07 2018-09-10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다단발효를 통한 동백 인퓨즈드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6175B1 (ko) 2016-08-19 2019-01-08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US10441632B2 (en) 2016-01-29 2019-10-15 Nexgen Biotechnologies, Inc. Anti-wrinkle and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green fluorescent protein-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fusion protein as effective component
KR20220141028A (ko) 2021-04-12 2022-10-19 (주) 도인 브로콜리새싹 과립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7612A (ja) 2004-10-25 2006-05-11 Ichimaru Pharcos Co Ltd 活性酸素消去剤
KR20090002677A (ko) * 2007-07-02 2009-01-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7612A (ja) 2004-10-25 2006-05-11 Ichimaru Pharcos Co Ltd 活性酸素消去剤
KR20090002677A (ko) * 2007-07-02 2009-01-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3034A (ko) * 2013-11-07 2015-05-15 (주)아모레퍼시픽 효소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1703732B1 (ko) * 2013-11-07 2017-02-07 (주)아모레퍼시픽 효소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WO2015137652A1 (ko) * 2014-03-11 2015-09-17 주식회사 벤스랩 전립선 비대증 및 탈모를 개선하는 5-알파 환원효소 억제용 발효 동백오일
KR20160020038A (ko) * 2014-08-12 2016-02-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3132B1 (ko) * 2014-08-12 2021-12-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0441632B2 (en) 2016-01-29 2019-10-15 Nexgen Biotechnologies, Inc. Anti-wrinkle and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green fluorescent protein-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fusion protein as effective component
KR101889331B1 (ko) 2016-02-01 2018-08-1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1936175B1 (ko) 2016-08-19 2019-01-08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20180082351A (ko) 2017-01-09 2018-07-1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63223B1 (ko) * 2017-01-09 2020-10-0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06619231B (zh) * 2017-01-22 2019-01-25 广州卡迪莲化妆品有限公司 一种发酵植物油的制备方法
CN106619231A (zh) * 2017-01-22 2017-05-10 广州卡迪莲化妆品有限公司 一种发酵植物油的制备方法
KR101896908B1 (ko) * 2018-08-07 2018-09-10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다단발효를 통한 동백 인퓨즈드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41028A (ko) 2021-04-12 2022-10-19 (주) 도인 브로콜리새싹 과립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706B1 (ko) 섬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백 발효 인퓨즈드오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노화, 항염, 미백, 항주름 또는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9422B1 (ko) 다중기능성 세럼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5412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8075B1 (ko) 지모, 세이지 및 천수국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02138B1 (ko) 탈색소제로서의 머틀 추출물 용도
KR102110081B1 (ko) 복합 효소를 이용한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1086B1 (ko) 수소수 및 카무카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촉진 및 피부톤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4566B1 (ko)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19060B1 (ko) 황련해독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96738A (ko) 녹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비누 및 피부미백제
KR101445642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030450B2 (ja) 白米蒸法を利用した漢方成分抽出方法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92229A (ko) 조직 배양한 유채와 석류, 산삼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45718B1 (ko) 갯질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세포재생용 조성물
KR2017013743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76655B1 (ko) 미세침 분말 및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6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630363B1 (ko) 녹용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34371A (ko) 닭의장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50319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479245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