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566B1 -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566B1
KR102154566B1 KR1020180129909A KR20180129909A KR102154566B1 KR 102154566 B1 KR102154566 B1 KR 102154566B1 KR 1020180129909 A KR1020180129909 A KR 1020180129909A KR 20180129909 A KR20180129909 A KR 20180129909A KR 102154566 B1 KR102154566 B1 KR 102154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lla
extract
present
antioxida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158A (ko
Inventor
송갑정
Original Assignee
정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석 filed Critical 정문석
Priority to KR1020180129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56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들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들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들깨박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소거하는 효과와, 콜라게나제 및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항산화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및 식품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oxidant or improving skin wrinkle containing defatted Perilla frutescens extract}
본 발명은 들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들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크게 표피, 진피, 피하조직으로 구분된다. 진피에는 혈관, 림프시스템, 모공, 섬유아세포 등 피부의 중요한 부속 기관들이 있고 표피 두께의 15-40배에 해당되는 두꺼운 층으로 피부의 대부분을 차지한다(Peyrefitte, 2011). 진피조직에는 가교섬유인 콜라겐 (collagen)과 탄력섬유인 엘라스틴(elastin)으로 이루어져 있는 데 이들은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합성된다. 콜라겐은 긴 섬유로 몸의 지탱, 결합, 경계면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콜라겐은 피부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외부의 힘에 대해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에 엘라스틴은 용수철처럼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그물망 구조를 형성하여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시켜 준다(Peyrefitte, 2011).
피부가 노화됨에 따라 주름이 나타나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그 수나 깊이, 범위가 증가해 간다. 노화는 내인성 및 외인성 노화로 구분되는데 내인성 노화는 나이를 먹으면서 피부의 구조와 생리적 기능이 계속적인 감퇴를 일으키는 것이다. 외적 요인에 의한 노화는 장기간에 걸친 자외선의 노출 등이 원인으로 나타난다(Sung et al., 2008).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엘라스타제가 피부탄성섬유의 3차원적 뒤틀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엘라스타제의 활성증가는 피부의 엘라스틴과 콜라겐을 감소시켜 피부 주름 형성에 기여한다. 자외선 조사 후 엘라스타제의 활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엘라스타제의 활성 변화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탄성도의 감소 및 주름 생성의 주요원인으로 알려져있다(Oh et al., 2009).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는 식물분류학상 꿀풀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식물로 동부 아시아지역이 원산지로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 등의 지역에서 재배되어온 유지작물로 비옥하지 않은 토질에서도 잘 자란다. 들깨 씨의 모양은 둥글고 크기는 2.5 mm × 2.3 mm 내외이고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색이 있으나 흑색종이 많다(Yeo et al., 1998). 들깨종자는 유지의 함량이 매우 높아 유지식품으로서는 물론 강장효과도 있어 식품학적, 영양학적인 의의가 크다.
들깨 지방의 중요성분은 올레인산과 리놀렌산의 글리세라이드이며, 고도 불포화지방산(PUFA)의 함량이 높아 산패에 대해 불안정하다(Mo, 1975). 종실 상태에서는 상당기간 산패 없이 저장이 가능하므로 종실자체의 공기차단 효과와 함께 특수한 항산화물질이 존재하는 것이 보고되었다 (Lee et al., 1993; Kim et al., 1981; Yoon et al., 1993; Lee, 1993-7; Hong et al., 1997).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산화 및 항주름 활성을 가진 소재를 발굴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들깨박 추출물의 현저한 항산화 활성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들깨박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소거하는 효과와, 콜라게나제 및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항산화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및 식품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및 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들깨박으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들깨박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들깨박 추출물은 통상적인 추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고 또는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들깨박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분리 및 분획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분리 및 분획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들깨박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화장품학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용매로는 물,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매로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온도는 상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침지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이용한 침지 추출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들깨박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상온에서 냉침, 가열 및 여과하여 액상물을 얻을 수 있으며, 또는 추가로 용매를 증발,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들깨박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으로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들깨박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물, 분획물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들깨박 추출물은 들깨를 착유한 후 부산물을 수거하여 건조하였으며, 상기 건조 들깨박을 에탄올 추출하여 제조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들깨박 추출물을 0.1 내지 1000 mg/ml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 내지 1000 mg/ml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 mg/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들깨박 추출물과 함께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산화”는 당업계에 알려진 산화 과정을 늦추거나 막거나 또는 예방할 수 있는 효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주름”은 피부 노화에 의해서 피부 탄력이 떨어져 피부가 접히는 현상을 의미하며, 피부 주름의 주요 원인은 콜라제나제(collagenase) 및 엘라스타제(elastase)의 활성 증가로 인한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분해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어떤 현상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조기 발견하여 해당 현상을 막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생체 대사, 세포 또는 기관의 기능이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들깨박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며, 콜라게나제 및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저해한다. 이는 항산화 효과뿐만 아니라,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하는바, 본 발명의 들깨박 추출물은 항산화용; 또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알란토인 등의 보조성분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도포되는 것이므로, 당업계의 화장료 조성물을 참조하여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마스크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디메틸 에테르 등의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해화제, 유탁화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등의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식품 첨가제 또는 식이보조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첨가제인 경우, 들깨박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되는 등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본 발명의 들깨박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로 제조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 비율은 크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0.1중량% 범위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인 경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장기간 복용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비교예 1. 들깨박 열수 추출물 제조
들깨박 열수 추출물 제조에 사용된 들깨박은 충북 음성 코메가 회사에서 생 들깨를 착유 후 남은 부산물을 수거하여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건조된 들깨박을 20 메쉬 이하로 분쇄하여 들깨박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들깨박 분말의 중량에 대하여 10 배의 증류수를 가한 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그 후 시료를 여과(Whatman No2, Maidstone, England) 및 감압농축(N-1000S-WD, Eyela Co., Tokyo, Japan)한 후 동결 건조(FDU-1100, Eyela Co., Tokyo, Japan)하여 들깨박 열수 추출물(이하, WE로 표시)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1.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 제조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 제조는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들깨박 분말을 사용하였다. 건조된 들깨박을 20 메쉬 이하로 분쇄하여 들깨박 분말을 제조하였다. 70 % 에탄올을 이용하여 들깨박 분말과 용매를 1:10의 비율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72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 후 시료를 여과(Whatman No2, Maidstone, England) 및 감압농축(N-1000S-WD, Eyela Co., Tokyo, Japan)한 후 동결 건조(FDU-1100, Eyela Co., Tokyo, Japan)하여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이하, EE로 표시)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2.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비교를 위해 폴린-데니스법(Folin and Denis, 1912)을 응용하였다.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로 희석한 용액 2 mL에 2배 희석된 폴린 시약(Sigma Co., St. Louis, MO, USA) 2 mL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혼합액을 3분간 방치한 다음 10% Na2CO3(Sigma Co.) 2 mL을 넣고 1시간 반응시킨 후 UV/가시분광광도계(UV/Visible spectrophotometer, UVIKON 922, Kontran Co., Milan, Italy)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계산하였다. 이 때 갈산(gallic acid, Sigma Co.)을 이용한 표준곡선은 갈산의 최종농도가 0, 5, 25, 50, 75 μg/mL가 되도록 한 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구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Nieva Moreno 등(Nieva et al., 2000)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표 0.1 mL와 80 % 에탄올 0.9 mL을 혼합한 혼합물 0.5 mL에 10 % (Sigma Co.)와 1 M 질화알루미늄(potassium acetate, Sigma Co.) 0.1 mL 및 80 % 에탄올 4.3 mL을 가하여 실온에 40 분 동안 반응시킨 후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퀘르세틴(quercetin, Sigma Co.)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48.32 mg/g이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7.32 mg/g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독성 평가
독성 평가에 사용된 미세아교세포주 BV-2 세포는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분양받았다. BV-2 세포의 배양은 10 %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Gibco, BRL, USA), 100 μg/mL 페니실린(Gibco, BRL, USA) 및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Gibco, BRL, USA)을 포함하는 RPMI1640 배지(Gibco, BRL, USA)를 이용하였으며, 5 % CO2가 존재하는 37℃ 배양기에서 2 내지 3 일에 한 번씩 계대 배양하였다.
LPS(Lipopolysaccharide)로 자극된 BV-2 세포에서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이 세포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생존율을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세포(1X105 cell/mL)를 96-웰 플레이트에 180 μL씩 분주하여 5 % CO2 배양기에서 12 시간 이상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10, 25, 50, 75, 100 μg/ml)로 처리한 후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0.5 mg/mL MTT가 함유되어 있는 배지 200 μL를 첨가하였으며, 4 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여 MTT가 환원되도록 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DMSO(dimethylsulfoxide)를 100 μL 첨가하여 생성된 포마잔(formazone) 결정을 용해시켰으며, ELISA 리더기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LPS 및 시료를 처리하지 않았으며, 비교군은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들깨박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실험군의 세포 생존율은 대조군을 기준으로, 측정된 흡광도 값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세포 독성 평가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은 세포생존율이 95 % 이상인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이 세포 독성이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4.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분석
DPPH(α-α-Diphenyl-β-picrylhydrazyl)는 hydrazyl의 질소원자가 불안정한 상태로 쉽게 수소원자를 받아들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항산화성 물질과 반응하여 수소원자를 받아들임으로서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정색성을 잃는 성질을 이용하여 항산화능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의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10, 20, 40, 80, 100, 200 μg/ml) 30 μl 및 농도가 60 μM인 DPPH 용액(DPPH을 메탄올에 용해한 것) 30 μl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2 분 동안 반응시켰다. 혼합액을 튜브에 옮긴 후 전자회전공명(electron spin resonance: ESR)을 분광광도계(JES-PX 2300, Jeol Co., Japan)로 측정하였다. 이 때 ESR 분광광도계의 측정 조건은 자기장의 경우 336.5±5 mT, 미세파동 전력(microwave power)은 5 mW, 변조주파수(modulation frequency)는 9.41 GHz였다. 변조 시료에 대한 DPPH 라디칼 저해활성은 하기의 계산식으로 계산하였다. 대조군은 메탄올을 처리한 것이며, 비교군은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들깨박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실험군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분석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106678595-pat0000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도가 10 μg/ml인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약 68 %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농도가 20 μg/ml 이상인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이 80 % 이상인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비교군인 들깨박 열수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콜라게나제 ( collagenase ) 저해 활성 분석
여러 요인에 의해 콜라겐의 생합성이 감소되고, 여러 가지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및 자외선에 의한 활성산소종의 증가와 같은 외적요인에 의해 분해가 가속화되어 피부 기질이 파괴되면서 주름이 생성된다. 콜라게나제는 피부 기질의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로, 이의 활성을 억제를 통해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콜라게나제의 저해 활성 측정은 Kim et al.(2004)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 분석을 위한 반응 용액은 0.1 M Tris-HCl 완충액(pH 7.5)에 4 mM CaCl2를 첨가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반응 용액 0.25 ml, 농도가 0.3 mg/ml인 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Arg 용액 및 다양한 농도의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20, 40, 80, 100 mg/ml) 0.1 ml을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액에 콜라게나제(0.2 mg/ml) 0.15 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 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6 % 시트르산 0.5 ml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 1.5 ml을 첨가한 후, 320 nm에서 상등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았으며, 비교군은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들깨박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 분석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도가 20 mg/ml인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은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이 4.1 %였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80 및 100 mg/ml인 실험군의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은 각각 26.7 및 31.2 %임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비교군인 들깨박 열수 추출물은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이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은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이 우수하며, 콜라게나제 저해를 통해 주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6.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엘라스타제 ( elastase ) 저해 활성 분석
엘라스타제는 단백질인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로, 다른 기질인 콜라겐을 분해할 수 있는 비특이적 가수분해효소이다. 피부의 진피 조직 속에는 콜라겐과 피부의 탄력성에 관련된 엘라스틴이 그물망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주름 생성의 주 원인인 엘라스타제의 작용을 통해 엘라스틴이 분해되며, 이로 인하여 진피 조직 내 그물망 구조가 끊어짐으로써 주름이 생성된다. 엘라스타제를 저해하는 것은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작용을 나타내며, 우르솔산(ursolic acid) 등이 엘라스타제 저해제로 보고되어 있다(Tsuji et al., 2001).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은 N-succinyl-(L-Ala)3-p-nitroanilide를 기질로 사용하여 37 ℃에서 30 분 동안 P-nitroanilide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Cannell et al.,(1998)). 구체적으로, 다양한 농도(20, 40, 80, 100 mg/ml)의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을 0.1 ml 씩 시험관에 취하고, 농도가 50 mM인 Tris-HCl 완충액(pH 8.6)에 용해시킨 엘라스타제 용액(Type I: 돼지 췌장 유래, 0.6 units/ml) 0.05 ml을 가하여 반응 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반응 용액에 50 mM Tris-HCl 완충액(pH 8.6)에 녹인 N-succinyl-(L-Ala)3-p-nitroanilide(1 mg/ml) 0.1 ml를 첨가한 후 30 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410 nm에서 반응 용액의 흡광도를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았으며, 비교군은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들깨박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엘라스타제의 저해 활성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상기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 분석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도가 20 mg/ml인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은 엘리스타제 저해 활성이 3.8 %였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100 mg/ml인 실험군의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은 35.7 %임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비교군인 들깨박 열수 추출물은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이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는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이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이 우수하며, 엘라스타제 저해를 통해 주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이 DHHP 라디칼 소거능, 콜라게나제 및 엘라스타제의 저해 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이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현저한 항산화 및 항주름 활성이 있음을 의미하는바, 본 발명의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은 피부 개선, 항산화 및 주름 개선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제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제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제제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의 제조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 0.5%
베타-1,3-글루칸 1.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제예 2. 영양화장수( 밀크로션 )의 제조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 0.5 %
베타-1,3-글루칸 1.0 %
밀납 4.0 %
폴리솔베이트 60 1.5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
유동파라핀 0.5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
글리세린 3.0 %
부틸렌글리콜 3.0 %
프로필렌글리콜 3.0 %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 %
트리에탄올아민 0.2 %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
실시예 3. 영양크림의 제조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 1.0 %
베타-1,3-글루칸 5.0 %
밀날 10.0 %
폴리솔베이트 60 1.5 %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
유동파라핀 10.0 %
스쿠알란 5.0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
글리세린 5.0 %
부틸렌글리콜 3.0 %
프로필렌글리콜 3.0 %
트리에탄올아민 0.2 %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은 농도가 0.1 내지 1000 mg/ml인,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29909A 2018-10-29 2018-10-29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54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909A KR102154566B1 (ko) 2018-10-29 2018-10-29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909A KR102154566B1 (ko) 2018-10-29 2018-10-29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158A KR20200048158A (ko) 2020-05-08
KR102154566B1 true KR102154566B1 (ko) 2020-09-10

Family

ID=70677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909A KR102154566B1 (ko) 2018-10-29 2018-10-29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5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946B1 (ko) * 2020-08-11 2022-10-28 진바이오셀 주식회사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아네모네 리불라리스 추출물 또는 향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
KR102496423B1 (ko) * 2020-08-11 2023-02-06 진바이오셀 주식회사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
CN116999484A (zh) * 2023-10-07 2023-11-07 云南英格生物技术有限公司 紫苏籽油粕提取物在制备5α-还原酶抑制剂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5118A (ja) * 2016-09-02 2018-03-08 国立大学法人岐阜大学 脱脂エゴマ抽出物のコラーゲン産生促進作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970B1 (ko) * 2004-08-05 2006-08-25 한국식품연구원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장애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70053407A (ko) * 2015-11-06 2017-05-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들깨유 유래 α-리놀렌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5118A (ja) * 2016-09-02 2018-03-08 国立大学法人岐阜大学 脱脂エゴマ抽出物のコラーゲン産生促進作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식품과학회지, 25(2), 160-164(1993.04.30)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158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4869B2 (ja) 糖不含有パイナップル抽出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KR102154566B1 (ko)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10114893A (ko) 복숭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의약외품 조성물
JP6055667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101772494B1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4312B1 (ko) 참까막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5220346B2 (ja) 皮膚化粧料
KR20170071899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611916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12017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307366B2 (ja) 育毛剤
KR102337346B1 (ko)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096703B1 (ko) 무화과잎 주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4585B1 (ko) 피부 노화 개선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25363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25355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80120120A (ko) 마리안 플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보습용 조성물
KR102406981B1 (ko)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을 가지는 개구리발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534239B1 (ko) 글루타치온, 마키베리 추출물 및 상백피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31B1 (ko) 발효 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286969B1 (ko) 정제어유 유래 오메가-7 및 홍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76746B1 (ko) 꽃을 포함하는 혼합 화장료 조성물
US10682384B2 (en)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complex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20170061802A (ko) 생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