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034A - 효소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 Google Patents

효소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034A
KR20150053034A KR1020130134704A KR20130134704A KR20150053034A KR 20150053034 A KR20150053034 A KR 20150053034A KR 1020130134704 A KR1020130134704 A KR 1020130134704A KR 20130134704 A KR20130134704 A KR 20130134704A KR 20150053034 A KR20150053034 A KR 20150053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ida
enzyme
composition
seed oil
camell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3732B1 (ko
Inventor
홍용덕
정현정
최장원
신송석
박영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30134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732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7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효소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효소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은 효소로 처리되지 않은 동백나무 씨 오일에 비하여 항염 및 항노화 효과가 현저하게 뛰어난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효소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은 천연 유래 오일로서 인체에 무해하며 자연친화적이고 부작용이 없으므로 약학, 화장품 또는 식품 조성물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효소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NTAINING ENZYMATED CAMELLIA JAPONICA SEED OIL}
본 발명은 효소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기관들을 온도·습도 변화, 자외선 및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며, 체온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염증은 세포나 조직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 그 반응을 최소화 하고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방어 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신경 및 혈관, 임파관, 체액 반응, 세포 반응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통증, 부종, 발적, 발열 등을 일으켜 기능장애를 유발하는 것이다. 염증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외상, 동상, 화상, 방사능 등에 의한 물리적 요인과 산(acid)과 같은 화학물질에 의한 화학적 요인 및 항체 반응에 의한 면역학적 요인들이 있으며, 그 외에 혈관이나 호르몬 불균형에 의해서도 발생된다. 외부 자극으로 손상된 세포 들이 분비한 여러 화학 매개 물질에 의해 혈관 확장이 일어나고, 투과성이 높아짐에 따라 항체, 보체, 혈장(plasma), 식균 세포들이 염증 부위로 몰려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홍반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염증은 자외선이나 활성산소, 유리 라디칼 등의 산화적 스트레스 등이 염증성 인자를 활성화시켜 각종 질병 및 피부의 노화를 일으킨다. 염증의 특징 중 하나는 프로스타글란딘을 생성하는 시클로옥시게나제(COX) 및 류코트리엔을 생성하는 5-리폭시게나제 경로에 의해 대사되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의 산소첨가반응의 증가이다. 프로스타글란딘 및 류코트리엔은 염증의 매개체이다. 따라서 시클로옥시게나제 효소는 시클로옥시게나제-1 및 시클로옥시게나제-2의 2개의 형태가 있다. 후자의 형태, 즉 시클로옥시게나제-2는 염증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시클로옥시게나제-2 효소를 억제하는 것이 비가역적인 시클로옥시게나제-1 억제와 관련된 부작용 없이 염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다.
KR10-2012-0025244 A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부작용이 없이 염증 완화 및 항산화 효능이 있는 물질을 찾고자 여러 천연물질들 중에서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에 유효한 물질을 스크리닝한 결과, 동백나무 씨 오일이 매우 우수한 항염 및 항노화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아울러, 상기 식물의 오일에 효소를 처리한 후, 이로부터 오일을 얻는 경우, 효능이 극대화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이 없으면서 항염증 효능을 가지는 천연오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오일에 유효성분인 소포로리피드(sophorolipid)가 극대화되어 포함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씨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효소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은 당합성효소로 처리된 것이다.
본 발명의 동백나무 씨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염증을 가지면서 부작용이 없어서 유용하다. 상기 동백나무 씨 오일은 또한 자연친화적이어서, 인체에 무해하다.
또한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은,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 처리 되지 않은 일반 동백 추출물에 비하여 PGE2, IL-6 및 IL-8 생성을 억제하고 콜라겐 생합성 촉진 및 MMP-1 활성 억제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여 뛰어난 항염 및 항노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 외용제, 화장품 조성물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있어서, 동백나무 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동백나무 씨 오일은 소포로리피드(sophorolipi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동백나무 씨 오일은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동백나무 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염 조성물 또는 항노화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 처리”는 본 명세서에 따른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칸디다 봄비콜라(Candida bombicola)를 첨가하고 항온 수조에 넣고 20 내지 30℃에서 5일 내지 9일 동안 발효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효소 처리”는 본 명세서에 따른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칸디다 봄비콜라(Candida bombicola)에서 생산된 당합성 효소를 첨가하고 항온 수조에 넣고 40 내지 60℃에서 30분 내지 1시간 30분 동안 쉐이킹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효소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은 본 명세서의 방법에 따라 추출된 동백나무 씨 오일에 본 명세서에 따른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동백나무 씨 오일을 의미하며, 이는 효소처리 되지 않은 동백나무 씨 오일에 비하여 그 유효성분이 극대화 되어 있어 항염 또는 항노화 효과가 효소처리 되지 않은 동백나무 씨 오일에 비해 매우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은 본 명세서의 방법에 따라 추출된 동백나무 씨 오일에 본 명세서에 따른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동백나무 씨 오일을 의미하며, 이는 그렇지 않은 동백나무 씨 오일에 비하여 그 유효성분이 극대화 되어 있어 항염 또는 항노화 효과가 본 명세서에 따른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 처리 되지 않은 동백나무 씨 오일에 비해 매우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씨는 그 입수 방법에 제한이 없으며, 재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동백나무 씨 오일은 동백나무 씨의 조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동백나무 씨의 조추출물은 동백나무 씨의 비극성 유기용매 추출물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동백나무 씨의 비극성 유기용매 추출물은 동백나무 씨의 헥산 또는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동백나무 씨 오일은 동백(Camellia japonica) 씨의 유기 용매의 조추출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기용매는 C1-C6 알코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n-부탄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오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천연물 특히 열매의 오일은 열매를 압출하는 방법으로 추출되나,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일반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천연물의 열매 등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서 천연물의 조추출물, 천연물의 비극성 유기용매 추출물 또는 천연물의 헥산 추출물과 같은 것 또한 본 명세서의 오일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오일은 상온에서 액체상태인 것뿐 아니라 이러한 액상의 오일을 감압 건조하여 건조중량으로 얻어진 분말의 고체상태인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씨는 용매로 추출 시,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씨의 약 5 내지 15배 정도에 해당하는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약 10 배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용매는 유기용매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가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추출법이라면 제한이 없다. 상기 추출은 실온에서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보다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서는 가온 조건 하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6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의 온도에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시간은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4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출 용매 및 추출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추출은 활성성분을 보다 다량 수득하기 위해 1 회 이상 여러 번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회, 더욱 바람직하게는 3회 연속추출하여 합한 추출액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동백나무 씨 오일은 상기와 같이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씨의 조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추출물을 극성이 낮은 유기 용매로 더욱 추출하여 얻어진 유기 용매의 가용성 분획물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n-부탄올 및 이들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여과 후 농축하여 오일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동백나무 씨 오일은 동백나무 열매를 건조하여 동백나무 씨를 수득하는 단계; 수득된 씨를 세척 및 건조한 뒤 분쇄하여 분말 상태로 만드는 단계: 동백나무 씨 분말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용매로 추출한 동백나무 씨 오일을 여과,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으며 상기 용매는 유기용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농축된 동백나무 씨 오일을 감압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은 본 명세서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된 동백나무 씨 오일을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 될 수 있다. 상기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을 수득하는 방법은 동백나무 씨 오일을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로 처리하는 단계 이후에 유기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동백나무 씨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0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동백나무 씨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10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할 경우 본 발명의 의도한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백나무 씨 오일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항염 효과를 얻을 수 없고, 20 중량% 미만일 경우 안전성 및 제형 안정성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동백나무 씨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 이상, 10중량% 이상, 20중량% 이상, 30중량% 이상, 40중량% 이상, 50중량% 이상, 60중량% 이상, 70중량% 이상, 80중량% 이상 또는 90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효소는 당합성 효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당합성 효소”는 당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합성 효소는 칸디다 속(Candida species)에서 생산되는 것일수 있으며, 칸디다 속(Candidasp.)은 칸디다 봄비콜라(Candida bombicola), 칸디다 알비칸스(C. albicans), 칸디다 아스칼라피다룸(C. ascalaphidarum), 칸디다 암피시애(C. amphixiae), 칸디다 앤트아티카(C. antarctica), 칸디다 아르젠티아(C. argentea), 칸디다 아틀란티카(C. atlantica), 칸디다 아트모스패리카(C. atmosphaerica), 칸디다 블랏타에(C. blattae), 칸디다 브로멜리아세아룸(C. bromeliacearum), 칸디다 카르포필리아(C. carpophila), 칸디다 카르바잘리스(C. carvajalis),칸디다 세람비시다룸(C. cerambycidarum), 칸디다 차우리오데스(C. chauliodes), 칸디다 코리달리(C. corydali), 칸디다 도스세이(C. dosseyi), 칸디다 듀블리니엔시스(C. dubliniensis), 칸디다 얼가텐시스(C. ergatensis), 칸디다 프룩투스(C. fructus), 칸디다 글라브라타(C. glabrata), 칸디다 퍼멘타티(C. fermentati), 칸디다 귈리어몬디(C. guilliermondii), 칸디다 해뮬로니(C. haemulonii), 칸디다 인섹타멘스(C. insectamens), 칸디다 인섹토룸(C. insectorum), 칸디다 인터메디아(C. intermedia), 칸디다 제프레시(C. jeffresii), 칸디다 케피르(C. kefyr), 칸디다 크루세이(C. krusei), 칸디다 루시타니애(C. lusitaniae), 칸디다 릭소소필리아(C. lyxosophila), 칸디다 말토사(C. maltosa), 칸디다 마리나(C. marina), 칸디다 멤브라니파시엔스(C. membranifaciens), 칸디다 밀러리(C. milleri), 칸디다 올레필리아(C. oleophila), 칸디다 오레고네시스(C. oregonensis), 칸디다 파라프실로시스(C. parapsilosis), 칸디다 퀴어시트루사(C. quercitrusa), 칸디다 루고사(C. rugosa), 칸디다 세이크(C. sake), 칸디다 쉐하테아(C. shehatea), 킨디다 템노칠리애(C. temnochilae), 칸디다 테누이스(C. tenuis), 칸디다 티애(C. theae), 칸디다 톨러란스(C. tolerans), 칸디다 트로피칼리스(C. tropicalis), 칸디다 츠시이애(C. tsuchiyae), 칸디다 시놀라보란티움(C. sinolaborantium), 칸디다 소자애(C. sojae), 칸디다 서브하쉬(C. subhashii), 칸디다 비스와나치(C. viswanathii), 칸디다 유틸리스(C. utilis), 및 칸디다 어바투벤시(C. ubatubens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칸디다 봄비콜라(Candida bombicola)에서 생산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당합성 효소는 오일의 지방산(fatty acid)에 당을 첨가하여 당지질인 소포로리피드(sophorolipid)를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은 동백나무 씨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중량%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효소처리는 효소를 동백나무 씨 오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3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소 또는 미생물이 0.01% 미만인 경우 효소 또는 미생물이 활성화되는 농도에 미치지 못하여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3% 초과인 경우 효소량 또는 미생물량이 더 증가한다고 하더라도 활성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활성도가 증가하지 않는다. 또한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은 동백나무 씨 오일 총 중량 대비 0.01중량% 이상, 0.05중량% 이상, 0.1중량% 이상, 0.5중량% 이상, 1.0중량% 이상, 1.2중량% 이상, 1.5중량% 이상, 1.7중량% 이상 또는 1.9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3중량% 이하, 2.8중량% 이하, 2.6중량% 이하, 2.4중량% 이하, 2.2중량% 이하, 또는 2.1중량% 이하로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미생물은 칸디다 속(Candida sp.)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칸디다 속(Candida)은 칸디다 봄비콜라(Candida bombicola), 칸디다 알비칸스(C. albicans), 칸디다 아스칼라피다룸(C. ascalaphidarum), 칸디다 암피시애(C. amphixiae), 칸디다 앤트아티카(C. antarctica), 칸디다 아르젠티아(C. argentea), 칸디다 아틀란티카(C. atlantica), 칸디다 아트모스패리카(C. atmosphaerica), 칸디다 블랏타에(C. blattae), 칸디다 브로멜리아세아룸(C. bromeliacearum), 칸디다 카르포필리아(C. carpophila), 칸디다 카르바잘리스(C. carvajalis),칸디다 세람비시다룸(C. cerambycidarum), 칸디다 차우리오데스(C. chauliodes), 칸디다 코리달리(C. corydali), 칸디다 도스세이(C. dosseyi), 칸디다 듀블리니엔시스(C. dubliniensis), 칸디다 얼가텐시스(C. ergatensis), 칸디다 프룩투스(C. fructus), 칸디다 글라브라타(C. glabrata), 칸디다 퍼멘타티(C. fermentati), 칸디다 귈리어몬디(C. guilliermondii), 칸디다 해뮬로니(C. haemulonii), 칸디다 인섹타멘스(C. insectamens), 칸디다 인섹토룸(C. insectorum), 칸디다 인터메디아(C. intermedia), 칸디다 제프레시(C. jeffresii), 칸디다 케피르(C. kefyr), 칸디다 크루세이(C. krusei), 칸디다 루시타니애(C. lusitaniae), 칸디다 릭소소필리아(C. lyxosophila), 칸디다 말토사(C. maltosa), 칸디다 마리나(C. marina), 칸디다 멤브라니파시엔스(C. membranifaciens), 칸디다 밀러리(C. milleri), 칸디다 올레필리아(C. oleophila), 칸디다 오레고네시스(C. oregonensis), 칸디다 파라프실로시스(C. parapsilosis), 칸디다 퀴어시트루사(C. quercitrusa), 칸디다 루고사(C. rugosa), 칸디다 세이크(C. sake), 칸디다 쉐하테아(C. shehatea), 킨디다 템노칠리애(C. temnochilae), 칸디다 테누이스(C. tenuis), 칸디다 티애(C. theae), 칸디다 톨러란스(C. tolerans), 칸디다 트로피칼리스(C. tropicalis), 칸디다 츠시이애(C. tsuchiyae), 칸디다 시놀라보란티움(C. sinolaborantium), 칸디다 소자애(C. sojae), 칸디다 서브하쉬(C. subhashii), 칸디다 비스와나치(C. viswanathii), 칸디다 유틸리스(C. utilis), 및 칸디다 어바투벤시(C. ubatubens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 처리된 동백나무 씨 오일은 구체적으로, 정제수로 동백 씨를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세말화한 동백 씨에 헥산을 가한 후, 항온수조에 넣고 4일간 냉침하여 추출한 후 시료를 여과한다. 상등액을 감압건조하고, 칸디다 봄비콜라(Candida bombicola)를 접종한 후, 시료를 항온수조에 넣고 20 내지 30℃에서 5일 내지 9일 동안 발효하여, 에탄올로 추출한 후 시료를 여과하고, 그 상등액을 감압 건조하여 건조중량으로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있어서, 동백나무 열매를 건조하여 동백나무 씨를 수득하는 단계; 수득된 씨를 세척 및 건조한 뒤 분쇄하여 분말 상태로 만드는 단계: 동백나무 씨 분말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용매로 추출한 동백나무 씨 오일을 여과,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백나무 씨 오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는 유기용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농축된 동백나무 씨 오일을 감압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있어서, 동백나무 열매를 건조하여 동백나무 씨를 수득하는 단계; 수득된 씨를 세척 및 건조한 뒤 분쇄하여 분말 상태로 만드는 단계: 동백나무 씨 분말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용매로 추출한 동백나무 씨 오일을 여과, 농축하는 단계; 및 농축된 동백나무 씨 오일에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염증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PGE2 (Prostaglandin E2), IL-6 (Interleukin 6) 및 IL-8 (Interleukin 8)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물질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노화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하거나 MMP-1(Matrix metalloprotease-1)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MMP-1(Matrix metalloprotease-1)은 기질금속단백질 분해효소의 하나이며, 섬유아세포 콜라겐 분해효소(fibroblast collagenase)로도 알려진 것이다. MMP-1의 생성이 촉진되는 경우 피부의 콜라겐 분해가 촉진되어 노화 또는 피부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MMP-1의 생성을 촉진하는 물질은 생체 내에서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분해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어 항노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동백나무 씨 오일은, PGE2, IL-6및 IL-8 생성을 억제하고 콜라겐 생합성 촉진 및 MMP-1 활성 억제 효능을 가져 항염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진다.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 처리되지 않은 일반 동백나무 씨 오일에 비하여 PGE2, IL-6 및 IL-8 생성을 억제하고 콜라겐 생합성 촉진 및 MMP-1 활성 억제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여 효소 가공 처리에 의해 기존에 없었던 뛰어난 항염 및 항노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조성물은 약학, 식품, 또는 화장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불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포름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비경구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체중 1 ㎏당 0.1~500 ㎎, 바람직하게는 1~100 ㎎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 상태, 식이, 투여 시간, 투여 방법, 배설률,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외용제, 좌제, 주사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비경구, 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분말제, 드링크제와 같은 액제, 캐러멜, 겔, 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50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0 mg/kg/일 내지 500 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연령, 건강 상태, 합병증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예를 들어, 츄잉껌, 캐러멜 제품, 캔디류, 빙과류, 과자류 등의 각종 식품류, 청량 음료, 미네랄 워터, 알코올 음료 등의 음료 제품, 비타민이나 미네랄 등을 포함한 건강기능성 식품류일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일 측면인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이 상기 함량을 만족하는 경우 부작용 없이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에는 상기 제조된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항염 및 항노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부에서 도포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는 총칭이며,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교예 1]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 처리하지 않은 동백나무 씨 오일의 제조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씨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상온에서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세말화한 동백씨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동백씨 분말 2g을 헥산100mL로 추출한 후 시료를 여과하여, 그 상등액을 0.01토르(torr), 50℃에서 3시간 동안 감압 건조하여 건조중량 0.60g을 얻었다. 이를 비교예 1로 하였다.
[실시예 1]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 추출물의 제조
비교예 1의 동백나무 씨 오일2g에 글루코스 (10%), 칸디다 봄비콜라(Candida bombicola) 2% (w/w, Dalian Xinghe Yeast Co., Ltd.)를 첨가하였다. 그리고, 시료를 항온수조에 넣고 25℃에서 7일 동안 발효하여, 에탄올 100mL로 상온에서 추출한 후 각 시료를 여과하고, 그 상등액을 0.01토르(torr), 50℃에서 3시간 동안 감압 건조하여 건조중량 2.1g을 얻었다. 이를 실시예 1로 하였다.
[실험예 1] PGE2, IL-6 및 IL-8 생성 억제 실험
인간섬유아세포(fibroblast)(PromoCell, Germany)를 6-웰 배양판에 1×105 세포의 농도로 접종하고, 24 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H2O2 500 μM을 웰에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자극을 준 후, 비교예1 과 실시예1을 100ug/ml로 처리하여 48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완료 후 배양액을 수거하여 ELISA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항염 및 자극완화제로 많이 사용되는 물질인 알파-비사보롤(α-bisaborol)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PGE2는 어세이 디자인(Assay Design)사의 키트, IL-6, IL-8은 엔도젠(Endogen)사의 키트를 사용하였으며, 각 회사의 매뉴얼에 명기된 방법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였다. 억제 효과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염증 매개 물질인 PGE2, IL-6, IL-8의 생성량이 본 발명의 실시예1과 비교예1의 첨가에 의해 현저하게 줄어들어 높은 억제 효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 처리 되지 않은 비교예 1 에 비하여 미생물 처리된 실시예 1에서 더 높은 억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수학식 1>
억제 효과 = {1-(시험 시료-대조군)/(H2O2-대조군)} × 100
시료(100 μg/ml) PGE2 (pg/ml) IL-6 (pg/ml) IL-8 (pg/ml)
H2O2 (500 uM) 350 245 290
대조군(a-bisabolol) 205 180 200
H2O2 + 실시예 1 229 189 227
H2O2 + 비교예 1 276 230 239
[ 실험예 2]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의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토코페롤 및 EGCG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인간섬유아세포(fibroblast)(PromoCell, Germany)를 24공(well)에 1 공 당 105개씩 파종(seeding)하여 90% 정도 자랄 때까지 25℃에서 배양하였다. 이를 24시간 동안 무혈청 DMEM 배지로 25℃에서 배양한 후 무혈청 배지에 녹여진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토코페롤 및 EGCG를 각각 10-4 몰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서25℃에서 배양하였다. 이들의 상층액을 떠내어 프로콜라겐 형(I) ELISA 키트(proc/; ollagen type(I))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의 증감여부를 보았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으며, 여기서 합성능은 비처리군을 100으로 하여 대비한 것이다.
합성능 (%)
비처리군 100
토코페롤 120
EGCG 126
실시예 1 156
비교예 1 132
그 결과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생물 처리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하여, 미생물 처리된 실시예 1에서 콜라겐 생합성 증가 효과가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콜라게네이즈(MMP-1) 저해능
시험은 2.5 %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함유된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넣고,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10-4 몰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세포배양액을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콜라게네이즈 측정기구 (미국 아머샴파마샤 사. Catalog #: RPN 2610)를 이용하여 콜라게네이즈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게네이즈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 (96-well plate)에 채위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35℃의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공 평판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반응(발색)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띄며 반응 진행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노란색을 뛴 96-공 평판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콜라게네이즈의 합성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의 채취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수학식 2>
콜라게네이즈 발현정도(%)=(물질처리세포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X100
시료 콜라게네이즈 발현 정도(%)
대조군(비처리군) 100
실시예 1 10 ppm 41
비교예 1 10 ppm 57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기질 메탈로 프로테아제(MMP-1)를 저해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미생물 처리 되지 않은 비교예1 에 비하여 미생물 처리된 실시예 1이 기질 메탈로 프로테아제를 더 현저하게 저해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연질 캡슐
실시예 1의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 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팜유 2mg, 식물성 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9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연질 캡슐 충진액을 제조한다. 1 캡슐당 400㎎씩 충진하여 연질 캡슐을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와 별도로 젤라틴 66 중량부, 글리세린 24 중량부 및 솔비톨액 10 중량부의 비율로 연질 캡슐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충진액을 충진시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400mg이 함유된 연질 캡슐을 제조한다.
[제형예 2] 정제
실시예 1의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 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갈락토올리고당 200㎎, 유당 60㎎ 및 맥아당 140㎎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 6㎎을 첨가한다. 이들 조성물 500mg을 통상의 방법으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3] 드링크제
실시예 1의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 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를 가하여 각 병에 200㎖씩 되도록 충진한다. 병에 충진한 후 130℃에서 4∼5초간 살균하여 드링크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4] 과립제
실시예 1의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 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무수결정 포도당 250㎎ 및 전분 550㎎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여 과립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5] 주사제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실시예 1의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 10-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제형예 6] 건강기능식품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실시예 1의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 20mg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μg
비타민 E 1.0mg
비타민 B1 0.13mg
비타민 B2 0.15mg
비타민 B6 0.5mg
비타민 B12 0.2μg
비타민 C 10mg
비오틴 10μg
니코틴산아미드 1.7mg
엽산 50μg
판토텐산 칼슘 0.5mg
황산 제1철 1.75mg
산화아연 0.82mg
탄산마그네슘 25.3mg
제1인산칼륨 15mg
제2인산칼슘 55mg
구연산칼륨 90mg
탄산칼슘 100mg
염화마그네슘 24.8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형예 7] 건강 음료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실시예 1의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 1000mg
구연산 1000mg
올리고당 100 g
타우린 1g
정제수 잔량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한다.
[제형예 8]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1의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 0.2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9]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1의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 1.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10] 영양크림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 2.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11] 마사지 크림
하기 표 10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 2.0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4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바세린 3.0
파라핀 1.5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12] 팩
하기 표 1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 0.2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노닐 페닐에테르 0.4
폴리솔베이트 60 1.2
에탄올 방부제 6.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 처리된 동백나무 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2.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 처리된 동백나무 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나무 씨 오일은 동백나무 씨의 조추출물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나무 씨의 조추출물은 동백나무 씨의 비극성 유기용매 추출물인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나무 씨의 비극성 유기용매 추출물은 동백나무 씨의 헥산 추출물인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미생물은 칸디다 속(Candida)인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칸디다 속(Candida)은 칸디다 봄비콜라(Candida bombicola)인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은 동백나무 씨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중량%로 처리되는 것인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당합성효소인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당합성 효소는 칸디다 속(Candida)에서 생산된 것인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칸디다 속(Candida)은 칸디다 봄비콜라(Candida bombicola)인 조성물.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동백나무 씨 오일은 소포로리피드(sophorolipi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PGE2 (Prostaglandin E2), IL-6 (Interleukin 6) 및 IL-8 (Interleukin 8)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물질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또는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하거나 MMP-1(Matrix metalloprotease-1)의 생성을 억제하는 조성물.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 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100중량%로 포함된 조성물.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화장품 또는 식품 조성물인 조성물.
KR1020130134704A 2013-11-07 2013-11-07 효소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1703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704A KR101703732B1 (ko) 2013-11-07 2013-11-07 효소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704A KR101703732B1 (ko) 2013-11-07 2013-11-07 효소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034A true KR20150053034A (ko) 2015-05-15
KR101703732B1 KR101703732B1 (ko) 2017-02-07

Family

ID=53389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704A KR101703732B1 (ko) 2013-11-07 2013-11-07 효소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7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7430A (ko) * 2018-10-26 2020-05-07 주식회사 유나이티드엑티브 역미셀을 포함하는 경피 전달 시스템
KR20230045746A (ko) * 2021-09-28 2023-04-0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및 이의 용도
KR102552346B1 (ko) * 2022-12-14 2023-07-07 주식회사 정코스 발효 오일 유래의 글리코리피드를 이용해 순수비타민c를 안정화시킨 무수타입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6471A (en) * 1994-06-13 1998-05-26 Institut Francais Du Petrole Use of a sophorolipid to provide free radical formation inhibiting activity or elastase inhibiting activity
KR20050058635A (ko) * 2003-12-12 2005-06-17 코스맥스 주식회사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동백 추출물 및 이를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120025244A (ko) 2010-09-07 2012-03-15 (주)더페이스샵 애기동백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00386A (ko) * 2010-02-03 2013-01-02 마이크로비온 코포레이션 세균 균막의 치료 및 다른 용도를 포함하는, 생의학적 용도를 위한 방부제로서 비스무트-티올
KR101238706B1 (ko) * 2012-08-16 2013-03-04 주식회사 내추럴솔루션 섬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백 발효 인퓨즈드오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노화, 항염, 미백, 항주름 또는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6471A (en) * 1994-06-13 1998-05-26 Institut Francais Du Petrole Use of a sophorolipid to provide free radical formation inhibiting activity or elastase inhibiting activity
KR20050058635A (ko) * 2003-12-12 2005-06-17 코스맥스 주식회사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동백 추출물 및 이를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130000386A (ko) * 2010-02-03 2013-01-02 마이크로비온 코포레이션 세균 균막의 치료 및 다른 용도를 포함하는, 생의학적 용도를 위한 방부제로서 비스무트-티올
KR20120025244A (ko) 2010-09-07 2012-03-15 (주)더페이스샵 애기동백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8706B1 (ko) * 2012-08-16 2013-03-04 주식회사 내추럴솔루션 섬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백 발효 인퓨즈드오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노화, 항염, 미백, 항주름 또는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7430A (ko) * 2018-10-26 2020-05-07 주식회사 유나이티드엑티브 역미셀을 포함하는 경피 전달 시스템
KR20230045746A (ko) * 2021-09-28 2023-04-0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및 이의 용도
KR102552346B1 (ko) * 2022-12-14 2023-07-07 주식회사 정코스 발효 오일 유래의 글리코리피드를 이용해 순수비타민c를 안정화시킨 무수타입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732B1 (ko) 201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469B1 (ko)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1043212A1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及び保湿剤
KR101703732B1 (ko) 효소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2145866B1 (ko) 초음파 추출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큰수지맨드라미 수용성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299277B1 (ko) 파시플로라 에듈리스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121590B1 (ko) 비타민나무 잎으로부터 분리한 이소람네틴-3-글루코시드-7-람노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50057333A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80041887A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6681A (ko) 히드록시 피라논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36071B1 (ko) 용암해수를 활용하여 재배한 병풀 또는 작약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US20200078290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Medicinal Herbs As Active Ingredient
KR102070789B1 (ko) 곰보배추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8813A (ko) 흰목이 버섯 점액질,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42461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US2017013594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autumn soybean leaves
KR101865142B1 (ko) 조팝나무, 배나무, 뱀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76937B1 (ko) 오시멘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3117B1 (ko) 봄맞이 추출물, 정금나무 추출물 및 많첩빈도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 활성 조성물
KR102081029B1 (ko) 수베르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6936B1 (ko) 티아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85829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겨우살이 추출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076939B1 (ko) 에틸바닐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30127B1 (ko) 운데칸 또는 운데칸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283946B1 (ko) 유자 유래 항염증 화합물 및 이의 분리방법
KR102224313B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