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9949A -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 Google Patents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9949A
KR20180019949A KR1020160104294A KR20160104294A KR20180019949A KR 20180019949 A KR20180019949 A KR 20180019949A KR 1020160104294 A KR1020160104294 A KR 1020160104294A KR 20160104294 A KR20160104294 A KR 20160104294A KR 20180019949 A KR20180019949 A KR 20180019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yard
fire
uni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팽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4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9949A/ko
Publication of KR20180019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45/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intended to illuminate vessels' decks or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45/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acousti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H05B37/02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넓은 공간에서 화재나 가스 누출 등 위험 상황이 발생시 사고 발생지점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공간 내부에 설치된 야드 조도용 센서와 센서를 그룹핑하게 되어 사고 위치를 쉽게 인식하여 빠른 시간에 안전한 탈출로로 대피할 수 있는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체 구역에 설치된 야드 조도용 조명과, 상기 야드 조도용 조명을 각 구역별로 나누어 그룹화하는 복수의 그룹부와, 상기 각각의 그룹부에 설치되어 화재/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어하여 화재/가스 누출이 발생된 그룹부의 야드 조도용 조명을 온/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LOCATION NOTIFYING SYSTEM FOR EMERGENCY SITUATION AND OFFSHORE STRUCTUR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넓은 공간에서 화재나 가스 누출 등 위험 상황이 발생시 사고 발생지점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공간 내부에 설치된 야드 조도용 센서와 센서를 그룹핑하게 되어 사고 위치를 쉽게 인식하여 빠른 시간에 안전한 탈출로로 대피할 수 있는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플랜트, 예를 들어 FPSO일 경우, 탑 사이드(topside) 임의의 모듈에서 폭발 가스 누출로 인해 화재 및 폭발 사고 발생으로 인해 대피를 해야될 상황에서 기본적으로 탑승자는 임시 대피소(TR)로 대피로(escape riute)를 통해 이동한다.
하지만, 탑 사이드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시야가 확보되기 어려운 밀집된 구조물이기 때문에 화재 알람은 울리지만 어디서 정확히 사고가 발생하여 진행되고 있는지 탑승자 개인이 정확히 인지하기 어렵다.
그래서 화재가 전파되고 있는 대피로 쪽으로 잘못 이동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574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체 구역에 설치된 조명을 그룹화하여 시각적으로 화재/가스 누출된 구역을 알려줌으로써 화재/가스 누출된 위치를 쉽게 알 수 있어 안전한 루트로 탈출할 수 있는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은 전체 구역에 설치된 야드 조도용 조명과, 상기 야드 조도용 조명을 각 구역별로 나누어 그룹화하는 복수의 그룹부와, 상기 각각의 그룹부에 설치되어 화재/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어하여 화재/가스 누출이 발생된 그룹부의 야드 조도용 조명을 온/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그룹부의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야드 조도용 조명은 각 그룹부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레드 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그룹부에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재/가스 누출 발생시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위험 상황을 알려줄 수 있도록 소리알림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그룹부는 전체 구역을 제1그룹, 제2그룹,...,제n그룹으로 나누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그룹부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화재시 열을 감지하는 센서와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전체 구역을 복수개로 그룹화하여 그룹부를 구비하고 각 그룹부에 야드 조도용 조명과 센서부를 설치하여 야드 조도용 조명과 센서부를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하나의 그룹부에서 화재/가스 누출이 발생되면 센서부에서 감지하고 제어부에서 제어하여 화재/가스 누출이 발생된 그룹부의 야드 조도용 조명을 밝혀주어 사고 위치를 쉽게 인식하여 적절한 탈출로를 제시받을 수 있어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을 가지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에 의하면, 전체 구역을 복수개의 그룹부로 나누어 그룹화하고 각 그룹부에 센서부와 야드 조도용 조명을 설치하게 됨으로써 하나의 그룹부에 화재/가스 누출이 발생되면 해당 그룹부에 설치된 센서부에서 감지하여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화재/가스 누출이 발생된 그룹부에 설치된 야드 조도용 조명이 밝혀지게 되어 화재/가스 누출의 발생된 위치를 쉽게 인식하여 적절한 탈출로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어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이 설치된 해양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이 설치된 해양구조물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은, 야드 조도용 조명(100)과, 그룹부(200)와, 센서부(300)와, 제어부(400)와, 모니터링부(5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야드 조도용 조명(100)은 야드(10)의 전체 구역에 설치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야드 조도용 조명(100)은 하기에서 설명된 각 그룹부(200)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각각의 그룹부(200)에 야드 조도용 조명(100)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최대한 설치하게 됨으로써 화재/가스 누출의 위험 상황이 발생되면 작업자가 위험 상황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야드 조도용 조명(100)은 위험 상황의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레드 램프(red lamp)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그룹부(200)는 야드(10)의 전체 구역에 설치되는 야드 조도용 조명(100)을 각 구역별로 나누어 그룹화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그룹부(200)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00)의 컨트롤러에 따라 관리되어지게 된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그룹부(200)는 야드(10)의 전체 구역을 제1그룹, 제2그룹,..., 제n그룹으로 나누어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야드 조도용 조명(100)이 설치된 전체 구역을 제1그룹에서 제n그룹으로 그룹핑함으로써 작업자게 어느 그룹부에서 화재/가스 누출 등의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는지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그룹부(200)에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재/가스 누출 발생시 센서부(300)에서 감지하여 제어부(400)의 신호에 따라 위험 상황을 알려줄 수 있도록 소리알림기(600)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소리알림기(600)는 각각의 그룹부(2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소리알림기(600)는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는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소방차에서 나는 소리와 같은 사이렌 소리가 울리게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300)는 그룹부(200) 각각에 설치되고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재/가스 누출을 감지하여 제어부(400)로 신호를 보내게 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300)는 각각의 그룹부(200) 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화재/가스 누출의 감지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300)는 화재시 열을 감지하는 센서와,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야드 조도용 조명(100)과 센서부(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부(30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어하여 야드 조도용 조명(100)을 온(on)/오프(off)시키게 된다.
즉, 어느 구역의 그룹부(200)에서 화재/가스 누출이 발생되면 해당 그룹부(200)에 설치된 센서부(300)가 위험 상황을 감지하여 제어부(400)로 신호를 보내게 되면 상기 제어부(400)에서 센서부(300)의 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그룹부(200) 내에 설치된 야드 조도용 조명(100)을 점등하여 작업자에게 위험 상황을 쉽고 신속하게 알려줄 수 있게 된다.
상기 모니터링부(500)는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00)에서 관리하는 각 그룹부(200)의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야드(10) 전체의 구역을 제1그룹에서 제n그룹으로 그룹부(200)화하고 각각의 그룹부(200)에 화재/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센서부(300)와 함께 야드 조도용 조명(100)을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되어 어느 구역의 그룹부(200)에서 화재/가스 누출이 발생되면 그 구역의 그룹부(200)에 설치된 센서부(300)가 위험 상황을 감지하여 제어부(400)로 신호를 보내게 되면 제어부(400)에서 센서부(300)의 신호를 제어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된 그룹부(200) 내에 설치된 야드 조도용 조명(100)을 점등시켜 작업자가 위험 상황 발생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을 가지는 해양구조물에 적용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야드(10) 전체의 구역에 야드 조도용 조명(100)이 설치되고 야드 조도용 조명(100)을 각 구역별로 그룹핑하여 복수개의 그룹부(200)로 나누며 각각의 그룹부(200)에 센서부(300)를 설치하여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어느 구역의 그룹부(200)에서 화재/가스 누출의 위험 상황이 발생되면 해당 구역에 설치된 센서부(300)가 위험 상황을 감지하여 제어부(400)에서 센서부(300)의 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구역의 야드 조도용 조명을 온(on)시켜 야드 조도용 조명(100)이 점등되어 작업자가 위험 상황 발생된 그룹부(200)를 쉽게 인지하고 적절한 탈출로를 제시받아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모든 해양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에 따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해양구조물의 야드(10) 전체 구역에 야드 조도용 조명(100)이 설치되고 상기 야드 조도용 조명(100)을 구역별로 그룹핑하여 제1그룹에서 제n그룹의 그룹부(200)로 나누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그룹부(200)에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부(300)를 설치하게 되어 어느 구역의 그룹부(200)에서 화재/가스 누출이 발생되면 위험 상황이 발생된 그룹부(200)에 설치된 센서부(300)에서 이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의 센서부(300)에서 화재/가스 누출을 감지하면 제어부(400)에서 센서부(300)의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위험 상황이 발생된 그룹부(200)에 설치된 야드 조도용 조명(100)을 점등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넓은 공간에서 화재/가스 누출 등 탈출이 필요한 위험 상황이 발생되면 위험 상황이 발생된 그룹부(200)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300)가 위험 상황을 감지하고 제어부(400)에서 해당 그룹부(200)의 야드 조도용 조명(100)을 점등시켜 작업자가 위험 상황의 위치를 쉽게 인지하고 파악할 수 있어 위험 지역을 피해 안전한 탈출로로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야드
100 : 야드 조도용 조명
200 : 그룹부
300 : 센서부
400 : 제어부
500 : 모니터링부
600 : 소리알림기

Claims (8)

  1. 야드 전체 구역에 설치된 야드 조도용 조명;
    상기 야드 조도용 조명을 각 구역별로 나누어 그룹화하는 그룹부;
    상기 각각의 그룹부에 설치되어 화재/가스 누출의 위험 상황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어하여 화재/가스 누출이 발생된 해당 그룹부의 야드 조도용 조명을 온(on)/오프(off)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그룹부의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야드 조도용 조명은 각 그룹부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야드 조도용 조명은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레드 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부에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재/가스 누출 발생시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위험 상황을 알려줄 수 있도록 소리알림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부는 야드 전체 구역을 제1그룹, 제2그룹,...,제n그룹으로 나누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그룹부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화재시 열을 감지하는 센서와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을 가지는 해양구조물.
KR1020160104294A 2016-08-17 2016-08-17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KR20180019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294A KR20180019949A (ko) 2016-08-17 2016-08-17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294A KR20180019949A (ko) 2016-08-17 2016-08-17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949A true KR20180019949A (ko) 2018-02-27

Family

ID=6139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294A KR20180019949A (ko) 2016-08-17 2016-08-17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99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07852A (zh) * 2021-01-05 2021-06-04 安徽律政易途教育科技有限公司 智能场馆应急处理方法和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07852A (zh) * 2021-01-05 2021-06-04 安徽律政易途教育科技有限公司 智能场馆应急处理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30224T3 (es) Sistema de detección y notificación de eventos térmicos
KR100985507B1 (ko)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9618184B2 (en) Alarm with reflector ring
JP6320327B2 (ja) 車両侵入警報システム
US201301694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oke detection & alarm
KR101082533B1 (ko) 소방관 헬멧 및 그 제어방법
KR101807264B1 (ko)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KR20160064662A (ko) 비상구 유도방법 및 그 비상구 유도장치
CN105323919A (zh) Led照明、告警和疏散指示多功能灯组系统及控制方法
KR101799910B1 (ko) Led 천정등을 이용한 비상 대피 시스템
JP2011034433A (ja) 閉鎖空間照明装置、閉鎖空間照明システム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US8730030B2 (en) Hazard/perimeter safety system
KR20180019949A (ko)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US11466846B1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JP6684100B2 (ja) 防災システム
US5945925A (en) Light fixture with object detection system
KR102359478B1 (ko) 선박등 서리 제거 관리 시스템
KR100950237B1 (ko) 소방용 표시등
KR101997082B1 (ko) 터널 점검로의 블록파손감지장치
KR20170079165A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20150018082A (ko) 횡단보도의 적색신호횡단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2140896B1 (ko) 이상발생에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
JP2018063548A (ja) 作業現場監視装置
CN108952813B (zh) 基于lbs的新型瓦斯检测预警及应急疏散智能标示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