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896B1 - 이상발생에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 - Google Patents

이상발생에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896B1
KR102140896B1 KR1020190116954A KR20190116954A KR102140896B1 KR 102140896 B1 KR102140896 B1 KR 102140896B1 KR 1020190116954 A KR1020190116954 A KR 1020190116954A KR 20190116954 A KR20190116954 A KR 20190116954A KR 102140896 B1 KR102140896 B1 KR 102140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fire
abnormality
unit
occur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욱
Original Assignee
장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욱 filed Critical 장상욱
Priority to KR1020190116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 G08B29/20Calibration, including self-calibr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04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043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종래 화재감지를 위한 소방시설을 보면, DC24V의 입력을 분전반으로 공급하고, 분전반에는 특정 영역에 복수 개 설치되는 화재감지시설용 경종이 층별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경종은 발신기 및 램프 등과 세트로 구성되어, 설치된 영역에서 화재를 감지하고 이를 화재수신반에 통보하여 상기 분전반에 연결된 모든 경종을 통해 화재 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하여, 특정 영역 전체에 대하여 화재 통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일 층에 구성된 경종의 경우, 분전반까지 연속적인 연결 구성을 이루고 있고, 공급되는 전력과 분전반 사이에 퓨즈가 위치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경종에서 합선 등의 문제가 발생되게 되면, 이상전류가 퓨즈로 유입됨에 따라 분전반에 연결된 모든 경종이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퓨즈를 각 층마다 혹은 각 경종마다 구비하도록 하는 방안도 모색되었으나, 이는 구조의 복잡함과 설치비의 증가에 따른 문제점을 낳고 있을 뿐이었다.
한편, 본 발명은 이상발생이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에 관한 것으로서, 합선 등의 이상이 발생된 경종이 스스로 외부와의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이상이 발생된 해당 경종을 제외한 나머지 경종끼리 신호를 공유함으로써, 나머지 경종들은 정상작동하도록 하고, 아울러, 자가 차단이 이루어진 경종은 이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여 화재수신부에서 이상발생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이상발생에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WARNING BELL OF FIRE PROTECTION SYSTEM ABLE TO SELF BLOCK BASED A PROBLEM OCCURS}
종래 화재감지를 위한 소방시설을 보면, DC24V의 입력을 분전반으로 공급하고, 분전반에는 특정 영역에 복수 개 설치되는 화재감지시설용 경종이 층별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경종은 발신기 및 램프 등과 세트로 구성되어, 설치된 영역에서 화재를 감지하고 이를 화재수신반에 통보하여 상기 분전반에 연결된 모든 경종을 통해 화재 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하여, 특정 영역 전체에 대하여 화재 통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일 층에 구성된 경종의 경우, 분전반까지 연속적인 연결 구성을 이루고 있고, 공급되는 전력과 분전반 사이에 퓨즈가 위치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경종에서 합선 등의 문제가 발생되게 되면, 이상전류가 퓨즈로 유입됨에 따라 분전반에 연결된 모든 경종이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퓨즈를 각 층마다 혹은 각 경종마다 구비하도록 하는 방안도 모색되었으나, 이는 구조의 복잡함과 설치비의 증가에 따른 문제점을 낳고 있을 뿐이었다.
한편, 본 발명은 이상발생이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에 관한 것으로서, 합선 등의 이상이 발생된 경종이 스스로 외부와의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이상이 발생된 해당 경종을 제외한 나머지 경종끼리 신호를 공유함으로써, 나머지 경종들은 정상작동하도록 하고, 아울러, 자가 차단이 이루어진 경종은 이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여 화재수신부에서 이상발생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소방시설용 화재 경보기는 건물 내부의 소화전에 설치되거나 화재 경보기 만을 별도로 설치될 수 있도록 법적으로 규제되어 건물에 화재가 발생시 경보음이 발생함에 따라 외부에 화재사실을 알리는 장치이다.
상기한 화재 경보기는 화재를 알리고 2차 피해의 예방을 위한 장치로, 화재의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와, 화재 발생이 발견된 경우에 작동함에 따라 경종에서 경보음이 발생하여 주위의 여러 사람에게 화재사실을 알려주기 위한 경종을 포함하여 모든 건물에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때, 화재발생시 주위에 경보음을 울려주기 위한 경종은 내부가 비어 있는 반원구 형태의 콘 상에 하우징에 의해 고정되는 타종장치가 구비되는데, 상기 타종장치는 상기 반원의 콘 내부로 결합되어 상기 반원의 콘을 타격하여 경보음을 내기위한 모터가 결합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 상에 타격봉과 같은 일종의 타격수단이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타격수단으로 반원의 콘을 타격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상기한 종래 화재 경보기용 경종과 같은 경우 타종음을 울리기 위해서는 내부에 별도로 모터와 같은 동력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종래 화재감지를 위한 소방시설을 보면, DC24V의 입력을 분전반으로 공급하고, 분전반에는 특정 영역에 복수 개 설치되는 화재감지시설용 경종이 층별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경종은 발신기 및 램프 등과 세트로 구성되어, 설치된 영역에서 화재를 감지하고 이를 화재수신반에 통보하여 상기 분전반에 연결된 모든 경종을 통해 화재 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하여, 특정 영역 전체에 대하여 화재 통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일 층에 구성된 경종의 경우, 분전반까지 연속적인 연결 구성을 이루고 있고, 공급되는 전력과 분전반 사이에 퓨즈가 위치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경종에서 합선 등의 문제가 발생되게 되면, 이상전류가 퓨즈로 유입됨에 따라 분전반에 연결된 모든 경종이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퓨즈를 각 층마다 혹은 각 경종마다 구비하도록 하는 방안도 모색되었으나, 이는 구조의 복잡함과 설치비의 증가에 따른 문제점을 낳고 있을 뿐이었다.
본 출원인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경종이 스스로 이상을 감지하여 분전반과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하되, 분전반에 연결된 복수 개의 경종을 상기 분전반에 대하여 각각 개별분전되도록 구성하면서 개별분전 구성 간에 연결되도록 구성한다면, 이상이 발생되어 차단된 경종의 이상전류가 상기 분전반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전체 시스템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퓨즈를 복수 개 구비하지 않아도되므로 비용적인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련된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0838호에는 화재경보기 경종회로를 기재하여, 경종에 대한 기술을 게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화재신호의 입력시 경종을 구동하여 경보음을 출력한 후 경종 스위치를 눌러 화재경보가 멈춰진 상태에서 다음 화재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다시 경종을 구동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화재경보기 경종회로는, 화재 발생시에 화재를 감지하면 온되어 화재신호를 출력하고, 발광다이오드가 점등되어 화재 발생을 알리는 화재 감지부와, 상기 화재 감지부의 화재신호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접점을 형성하여 폐회로를 구성하는 릴레이의 구동에 의해 발광다이오드를 통하여 화재발생구역을 표시하고 화재신호를 경종부로 출력하는 화재 수신부와, 상기 화재 감지부와 상기 화재 수신부와의 시간차 화재신호 입력에 의해 온/오프되는 PNP형 트랜지스터에 의해 사이리스터가 계속 온 상태를 유지하여 경종을 울리게 하는 경종 구동부와, 상기 경종과 경종경보를 중지하는 경종 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경종 구동부의 사이리스터의 온 동작에 의해 경종을 울리고, 경종 스위치의 인위적인 오프에 의해 경종경보를 중지하는 경종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그 외에도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2731호의 화재수신반의 주경종 회로 등 경종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게시되어 있지만, 상술된 1개의 경종의 이상 발생에 따른 나머지 경종의 마비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는 기재하지 않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0838호(2008.07.07.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선 등의 이상이 발생된 경종이 스스로 외부와의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이상이 발생된 해당 경종을 제외한 나머지 경종끼리 신호를 공유함으로써, 나머지 경종들은 정상작동하도록 하고, 아울러, 자가 차단이 이루어진 경종은 이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여 화재수신부에서 이상발생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상발생에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상발생에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은,
특정 영역의 화재를 감지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소방시설용 경종으로서, 분전반을 통해 동일 층에 대하여 복수 개 연결되고, 복수 층에 구성되되,
상기 분전반으로부터 연결된 전류선이 연결된 개별분전기를 통해 동일 층의 복수 개의 경종이 연결되고,
상기 경종은 이상 발생을 판단하여 자가 차단이 가능함에 따라, 이상이 발생된 경종의 이상전류에 의해 다른 나머지 경종의 동작을 마비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경종은,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신호수신부와,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경종을 제어하기 위한 경종제어부와,
경종의 이상발생을 판단하기 위한 고장판단부와,
고장판단부의 판단결과 경종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전류선의 차단을 위한 스위칭 동작을 하는 차단부와,
차단부를 통해 차단이 이루어진 경우 고장신호를 발신기로 전송하기 위한 고장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장판단부는,
가신호 생성 및 입출력 판단모듈을 포함함으로써, 가신호를 생성하여 경종제어부로 전송하고, 수신되는 가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경종에 이상이 발생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상발생에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에 의하면, 합선 등의 이상이 발생된 경종이 스스로 외부와의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이상이 발생된 해당 경종을 제외한 나머지 경종끼리 신호를 공유함으로써, 나머지 경종들은 정상작동하도록 하고, 아울러, 자가 차단이 이루어진 경종은 이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여 화재수신부에서 이상발생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종래 화재감지 시설의, 어느 특정 경종의 이상 발생에 따른 이상전류 유입으로 인해, 분전반에 연결된 전체 경종이 마비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발생에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을 설명하기 위한 경종이 화재수신반으로부터 분전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경종(B)을 비롯한 분전구성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발생에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종래 화재감지를 위한 소방시설을 보면, DC24V의 입력을 분전반으로 공급하고, 분전반에는 특정 영역에 복수 개 설치되는 화재감지시설용 경종이 층별로 연결되어 구성된다(도 1 참조).
이러한 경종은 발신기 및 램프 등과 세트로 구성되어, 설치된 영역에서 화재를 감지하고 이를 화재수신반에 통보하여 상기 분전반에 연결된 모든 경종을 통해 화재 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하여, 특정 영역 전체에 대하여 화재 통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일 층에 구성된 경종의 경우, 분전반까지 연속적인 연결 구성을 이루고 있고, 공급되는 전력과 분전반 사이에 퓨즈가 위치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경종에서 합선 등의 문제가 발생되게 되면, 이상전류가 퓨즈로 유입됨에 따라 분전반에 연결된 모든 경종이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퓨즈를 각 층마다 혹은 각 경종마다 구비하도록 하는 방안도 모색되었으나, 이는 구조의 복잡함과 설치비의 증가에 따른 문제점을 낳고 있을 뿐이었다.
한편, 본 발명은 이상발생이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에 관한 것으로서, 합선 등의 이상이 발생된 경종이 스스로 외부와의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이상이 발생된 해당 경종을 제외한 나머지 경종끼리 신호를 공유함으로써, 나머지 경종들은 정상작동하도록 하고, 아울러, 자가 차단이 이루어진 경종은 이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여 화재수신부에서 이상발생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경종(B)을 비롯한 분전구성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2와 같이 분전반을 통해 전류를 각 층별로 공급받는 구조는, 분전반으로부터 양극(+) 및 음극(-)의 전류를 공급받고, 별도의 램프선 및 회로선(+, -)을 공급받도록 하는 개별분전기를 통해, 경종, 램프 및 발신기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경종, 램프 및 발신기는 하나의 개별분전기에 연결되고, 동일한 층의 인접한 다른 경종, 램프 및 발신기에는 또 다른 개별분전기에 연결된다.
이러한 개별분전기는 각각의 램프선과 회로선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되, 분전반과 연결되는 양극 및 음극의 전류선이 동일 층에 설치된 개별분전기 간에 연속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경종에서 이상이 발생되어 차단이 이루어져도, 분전반과 전류를 공유하는 전류선이 나머지 경종들과 연결이 가능해질 수 있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종은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발생에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에는 하나의 개별분전기에 연결된 경종, 램프 및 발신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추가로 감지기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 경종, 램프 및 발신기는 상호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도록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때, 감지기는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로써, 열감지, 연기감지 등 다양한 방법으로 화재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기술자가 예측 가능한 모든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감지기는 도 3과 같이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경종에 포함되어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감지기로부터 화재가 감지되면 램프가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점등제어되고, 경종도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알람을 발생하도록 한다. 또한 발신기도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재수신부로 화재발생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경종은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신호수신부와,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경종을 제어하기 위한 경종제어부와, 경종의 이상발생을 판단하기 위한 고장판단부와, 고장판단부의 판단결과 경종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전류선의 차단을 위한 스위칭 동작을 하는 차단부와, 차단부를 통해 차단이 이루어진 경우 고장신호를 발신기로 전송하기 위한 고장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경종제어부라 함은, 경종의 정상동작을 위한 모든 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종래 경종에 구성된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감지신호수신부와 각 제어부는 램프에도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신기 역시 감지신호수신부와 화재발생정보 생성 및 전송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장판단부는 바람직하게 가신호 생성 및 입출력 판단모듈을 포함함으로써, 가신호를 생성하여 경종제어부로 전송하고, 수신되는 가신호가 있는지 판단하는 기능을 하여, 해당 경종에 이상이 발생되었는지 판단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경종은, 만약 스스로에게 이상이 판단된 것을 인지하게 되면, 전류선을 차단함에 따라, 자신의 이상전류가 화재수신부의 퓨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발신기를 통해 고장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고장을 알릴 수 있다. 또한, 개별분전기에 전류선이 동일 층에 구비된 것들끼리 연결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이상이 발생된 경종의 전류선이 차단되어도 그외 나머지 경종 간에 전류선을 공유할 수 있어서 정상작동이 가능해지고,
이상전류이 퓨즈 유입 차단으로 인해 모든 경종이 마비되지 않고 정상 작동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설계 조건에 따라서, 경종은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는 전송모듈과, 수신모듈과, 소정의 조건이 충족하면 수신모듈을 활성화시키는 활성화모듈과, 인근의 경종으로부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과, 수신된 화재발생신호를 기반으로 경종제어부의 제어를 수행할지 판단하는 판단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인근의 범위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에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
또한, 경종 간에 통신되는 화재발생에 대한 신호를 본 명세서에서는 화재발생신호로 지칭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활성화모듈은 해당 경종의 차단부를 통해 전류선의 차단이 이루어졌는지에 따라 차단이 이루어진 경우 통신부의 수신모듈이 활성화되도록 한다.
즉, 차단이 이루어진 경종의 경우, 차단 중 화재가 발생되면 경종이 울리지 못하게 되는데, 이 경우, 인접한 다른 경종의 거리가 멀다면 주변의 인원인 화재발생의 인지가 느릴 수밖에 없으므로, 이에 대비하여 차단이 진행 중인 경종일지라도 차단에 따른 신호 수신의 활성화가 이루어져, 무선 통신 가능한 범위에 인접한 다른 경종으로부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위에서 설명되지는 않았지만 경종은 감지기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종제어부가 동작되어 알람이 발생되면, 통신부의 전송모듈을 통해 화재발생신호를 방사형태로 출력(전송)하게 된다.
이때, 차단되지 않고 정상작동 중인 경종이라면 이러한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지 않겠지만, 차단이 이루어진 경종이라면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렇게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한 경종은 바로 경종제어부가 제어되는 것은 아니고, 판단모듈에 기반하여,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경종의 개수에 기반하여 과반수(50%)를 초과한 화재발생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경종제어부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오작동에 따른 연동 제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가능한 경종의 개수가 3개이고, 2개의 경종으로부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경종제어부가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화재발생신호를 전송하는 경종은 자신의 식별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Claims (3)

  1. 특정 영역의 화재를 감지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소방시설용 경종으로서, 분전반을 통해 동일 층에 대하여 복수 개 연결되고, 복수 층에 구성되되,
    상기 분전반으로부터 연결된 전류선이 연결된 개별분전기를 통해 동일 층의 복수 개의 경종이 연결되고,
    상기 경종은 이상 발생을 판단하여 자가 차단이 가능함에 따라, 이상이 발생된 경종의 이상전류에 의해 다른 나머지 경종의 동작을 마비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이상발생에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에 있어서,
    상기 경종은,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신호수신부와,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경종을 제어하기 위한 경종제어부와,
    경종의 이상발생을 판단하기 위한 고장판단부와,
    고장판단부의 판단결과 경종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전류선의 차단을 위한 스위칭 동작을 하는 차단부와,
    차단부를 통해 차단이 이루어진 경우 고장신호를 발신기로 전송하기 위한 고장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장판단부는,
    가신호 생성 및 입출력 판단모듈을 포함함으로써, 가신호를 생성하여 경종제어부로 전송하고, 수신되는 가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경종에 이상이 발생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발생에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
  2. 삭제
  3. 삭제
KR1020190116954A 2019-09-23 2019-09-23 이상발생에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 KR102140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954A KR102140896B1 (ko) 2019-09-23 2019-09-23 이상발생에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954A KR102140896B1 (ko) 2019-09-23 2019-09-23 이상발생에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896B1 true KR102140896B1 (ko) 2020-08-03

Family

ID=7204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954A KR102140896B1 (ko) 2019-09-23 2019-09-23 이상발생에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8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5554A (zh) * 2021-12-24 2022-03-29 中电科航空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机载音频的告警播放系统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9984A (ja) * 1996-05-27 1997-12-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アイソレータ内蔵型総合盤を備えた防災システム
JP2005071111A (ja) * 2003-08-25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アイソレータ及びアイソレータ用アドレス設定器
KR200440838Y1 (ko) 2006-12-06 2008-07-07 주식회사 씨엔 이지에스 화재경보기 경종회로
KR101814330B1 (ko) * 2017-02-21 2018-01-02 이병권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
KR20180055468A (ko) * 2016-11-17 2018-05-25 주식회사 내비퀘스트 P형 수신기의 화재감지 오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9984A (ja) * 1996-05-27 1997-12-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アイソレータ内蔵型総合盤を備えた防災システム
JP2005071111A (ja) * 2003-08-25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アイソレータ及びアイソレータ用アドレス設定器
KR200440838Y1 (ko) 2006-12-06 2008-07-07 주식회사 씨엔 이지에스 화재경보기 경종회로
KR20180055468A (ko) * 2016-11-17 2018-05-25 주식회사 내비퀘스트 P형 수신기의 화재감지 오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814330B1 (ko) * 2017-02-21 2018-01-02 이병권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5554A (zh) * 2021-12-24 2022-03-29 中电科航空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机载音频的告警播放系统及方法
CN114255554B (zh) * 2021-12-24 2024-02-13 中电科航空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机载音频的告警播放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9293B2 (en) Isolator circuit
KR101818066B1 (ko) 재난경보 및 재난훈련 기능을 구비한 엘이디 조명등 시스템
JP2008204393A (ja) 照明システム
KR101950793B1 (ko) 소방전용 자동화재 탐지설비 시스템
KR102140896B1 (ko) 이상발생에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
KR20180019107A (ko) 조명 기구 또는 그에 관련된 개선
KR101145414B1 (ko) 전력감시장치 연동형 화재수신시스템
KR102140895B1 (ko) 자가 차단이 가능한 경종이 구비된 화재감지 시스템
JP2013025661A (ja) 警報システム及び発信機
JP2010033194A (ja) 火災警報システム
JP2015087883A (ja) 警報器
KR102263310B1 (ko) 화재알림 연계형 화재감지 시스템
KR20100123351A (ko) 실시간 화재감지용 수신기,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그 감지방법
JP2008210037A (ja) 火災警報システム
JP2018049517A (ja) 警報システム
JP5988126B2 (ja) 設備機器制御システム
KR102644624B1 (ko)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
KR101835361B1 (ko) 화재수신반에 연동된 led 등 제어장치
JP6646839B2 (ja) 自動火災報知システム
EP4071733A1 (en) Fire system with degraded mode of operation
JP2005122495A (ja) トンネル防災設備の信号変換装置
KR20220012049A (ko) 화재 경고 장치
JP2003016547A (ja) 火災報知設備
JP6473030B2 (ja) 警報システム
JP2018049518A (ja) 警報システムのグループ間移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