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996A -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폰툰 - Google Patents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폰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996A
KR20180017996A KR1020160102811A KR20160102811A KR20180017996A KR 20180017996 A KR20180017996 A KR 20180017996A KR 1020160102811 A KR1020160102811 A KR 1020160102811A KR 20160102811 A KR20160102811 A KR 20160102811A KR 20180017996 A KR20180017996 A KR 20180017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lip pad
mold
parison
ponto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호
Original Assignee
한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호 filed Critical 한성호
Priority to KR1020160102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7996A/ko
Publication of KR20180017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68Auxiliary operations during the blow-mould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4Thermal expa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23Mould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29C2049/4853Mould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with means for improving heat transfer between the mould cavity and the pre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2Venting means
    • B29C2049/622Venting means for venting air between preform and cavity, e.g. using venting holes, gaps or patterned moulds
    • B29C2049/627Venting means for venting air between preform and cavity, e.g. using venting holes, gaps or patterned moulds using vacuu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폰툰의 상부에 논슬립패드가 일체로 구성되도록 하여 마리나, 부교 또는 계류장과 같은 구조물의 설치를 위해 다수의 조립식 폰툰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폰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패리슨을 금형의 내측에서 블로우 성형함에 의해 내측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동일한 합성수지에 가소제를 첨가한 재질로 상면이 요철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형의 내측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패리슨의 블로우 성형시 상기 본체의 상측에 융착되는 논슬립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폰툰{ASSEMBLED PONTO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립식 폰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조립식 폰툰의 상부에 논슬립패드가 일체로 구성되도록 하여 마리나, 부교 또는 계류장과 같은 구조물의 설치를 위해 다수의 조립식 폰툰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폰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폰툰이란, 마리나, 부두, 계류장 또는 해상공원의 접안시설물 등을 해상에 부상하도록 하여 지지하거나, 다수가 상호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하여 마리나, 부두, 계류장 또는 해상공원의 접안시설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상구조물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폰툰은 판재 또는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해양 접안시설이 가지는 구조적 취약성을 해소하고,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접안시설이 가지는 해수면의 높이 변화에 따른 접근의 어려움 또는 시공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의 증가를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부력을 가진 블록들이 면접촉을 유지하도록 서로 결합됨과 아울러, 연결을 위한 패널 및 체결을 위한 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됨으로써 외부의 수압이나 하중에 충분히 견디도록 뛰어난 내구성을 가지는 조립식 폰툰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조립식 폰툰은 그 상면에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시공 작업자나 보행자가 폰툰의 상부에서 미끄러져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특허문헌 2와 같이 폰툰의 상면에 데크를 결합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폰툰은 데크의 설치과정이 복잡하여 불필요한 제조비용의 증대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고, 설치 후 사용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폰툰을 이루는 몸체와 데크의 분리로 인해 파손됨은 물론, 더 큰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2422호(2013.04.0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0086호(2011.08.29.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폰툰을 이루는 본체의 상면에 논슬립패드를 결합하여 시공 작업자 또는 보행자가 폰툰의 상부에서 미끄러져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폰툰의 제조과정에서 본체와 논슬립패드가 견고한 결합을 이루어 일체화되도록 하여 설치 후 사용과정에서 사용기간의 경과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본체와 논슬립패드의 분리로 인한 파손의 우려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폰툰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폰툰의 특징적인 구성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패리슨을 금형의 내측에서 블로우 성형함에 의해 내측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동일한 합성수지에 가소제를 첨가한 재질로 상면이 요철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형의 내측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패리슨의 블로우 성형시 상기 본체의 상측에 융착되는 논슬립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다.
여기서, 상기 논슬립패트는 성형과정에서 상기 본체와 논슬립패드 사이의 공기를 상기 금형 외측으로 벤트시키기 위한 다수의 벤트홀을 구비하고, 상기 벤트홀은 상기 금형에 설치한 관 형상의 벤트라인과 연결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논슬립패드는 가장자리를 따라 두께를 갖는 신축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축방지부는 상기 금형 상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장착핀에 끼워지는 장착홀을 다수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논슬립패드는 상기 신축방지부 내측에 두께를 가지며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신축방지돌기를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패리슨의 블로우 성형시, 상기 장착홀에 끼워지는 장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는 외측면에 결합공을 갖는 복수개의 조립부재가 서로 다른 높이 차를 이루며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외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밀착돌기와, 상기 밀착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의 밀착홈이 연속적인 굴곡을 이루며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안착홈을 구비하여 상기 패리슨의 블로우 성형시, 상기 논슬립패드의 가장자리가 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은, 금형의 내측 상부에 합성수지와 가소제를 혼합한 재질로 이루어진 논슬립패드를 장착하는 제1공정; 및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패리슨을 상기 금형 내측으로 투입하고, 상기 패리슨을 블로우 성형하여 내측에 중공부를 갖는 본체를 제작하되, 상기 패리슨이 열팽창되면서 상기 본체의 상측에 상기 논슬립패드가 융착되도록 하는 제2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공정은, 상기 금형에 설치한 관 형상의 벤트라인과 연결을 이루도록 상기 논슬립패트에 형성된 다수의 벤트홀을 통해 상기 본체와 논슬립패드 사이를 벤트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공정은, 두께를 갖으며 상기 논슬립패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신축방지부에 형성된 다수의 장착홀을 상기 금형 상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장착핀에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논슬립패드는 상기 신축방지부 내측에 두께를 가지며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신축방지돌기를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공정은, 상기 패리슨의 블로우 성형시, 열팽창되면서 상기 장착홀에 끼워지는 장착돌기가 상기 본체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폰툰을 이루는 본체의 상면에 논슬립패드를 견고하게 결합하여 폰툰의 상면에서 시공 작업자 또는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장점이 있는 폰툰의 제조과정에 있어서도, 본체와 동일한 재질인 합성수지에 가소제를 첨가한 재질로 이루어져 우수한 유연성을 갖는 논슬립패드가 패리슨의 열팽창에 의한 본체의 블로우 성형시 자연적으로 본체의 상면에 융착되도록 함에 따라, 본체와 논슬립패드가 견고한 결합을 이루어 일체화됨으로써 설치 후 사용과정에서 사용기간의 경과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본체와 논슬립패드의 분리로 인한 파손의 우려가 억제됨과 더불어, 작업의 효율성과 제작의 용이성을 증대시켜 생산량의 증가와 제작비용의 절감도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우수한 유연성을 갖는 논슬립패드가 본체에 융착되는 과정에서 전달된 열에 의해 신축되어 변형을 유발할 수 있는 것을, 금형의 장착핀에 끼워짐은 물론 본체가 열팽창됨에 따라 형성된 장착돌기가 끼워지는 논슬립패드의 신축방지부를 통해 논슬립패드와 본체 및 금형 간의 연결을 더욱 견고하게 잡아주어 그 결속력을 증대시킴으로써 논슬립패드의 신축을 방지함과 더불어, 논슬립패드의 신축방지돌기를 통해 신축의 억제력을 증가시켜 논슬립패드의 신축으로 인한 변형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본체의 블로우 성형과정에서, 관 형상의 벤트라인과 연결되는 다수의 벤트홀이 논슬립패드의 상부에 형성되어 본체와 논슬립패드 사이를 벤트시킴으로써, 패리슨의 열팽창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논슬립패드의 융착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폰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폰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폰툰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폰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측(상단)과 하측(하단)은 시공 작업자 또는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사고를 방지하는 논슬립패드가 본체의 상측에 있도록 한 사용상태를 기준으로 하고, 내측의 표현은 각 구성 또는 각 구성에 의해 구획되어진 안쪽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며, 외측의 표현은 내측의 표현과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조립식 폰툰의 상부에 논슬립패드가 일체로 구성되도록 하여 마리나, 부교 또는 계류장과 같은 구조물의 설치를 위해 다수의 조립식 폰툰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폰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공정 및 제2공정을 수행하고, 이하, 도시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공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공정]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폰툰을 제조하기 위한 제1공정은, 금형(1)의 내측 상부에 합성수지와 가소제를 혼합한 재질로 이루어진 논슬립패드(20)를 장착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금형(1)은 내측으로 중공부(1a)를 형성하고, 상호 분리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예컨대, 상술한 중공부(1a)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금형(1)은 중공부(1a)의 상측, 즉, 중공부(1a)의 상측 내벽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장착핀(1b)을 구비하고, 이 장착핀(1b)에는 후술할 논슬립패드(20)의 신축방지부(23)가 끼움 장착된다.
이러한 금형(1)에 먼저 장착되는 논슬립패드(20)는 폰툰을 이루는 본체(10)와 동일한 합성수지에 가소제를 첨가하여 우수한 유연성을 가지게 되는 재질로 그 상면이 요철면(21)으로 이루어지고, 금형(1)의 중공부(1a) 상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후술할 패리슨(2)의 블로우 성형시, 본체(10)의 상측에 융착되는 것이다.
특히, 논슬립패드(20)는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두께를 갖는 신축방지부(23)를 구비하는데, 이 신축방지부(23)는 제1공정에서 논슬립패드(20)의 장착을 이루는 것으로, 금형(1)의 중공부(1a) 천장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장착핀(1b)에 끼워지는 장착홀(23a)을 다수 구비하여 논슬립패드(20)가 금형(1)의 중공부(1a)에 끼움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본체(10)와 동일한 합성수지에 가소제가 첨가되어 우수한 유연성을 갖는 논슬립패드(20)가, 본체(10)를 블로우 성형하기 위해 후술할 패리슨(2)을 열팽창시킬 때, 전달되는 열로 인해 신축되어 변형을 유발할 수 있는 것을 차단하는 장벽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논슬립패드(20)의 장착시, 장착홀(23a)을 통해 신축방지부(23)가 다수의 장착핀(1b)에 끼움 장착됨으로써, 논슬립패드(20)와 금형(1) 간의 연결을 더욱 견고하게 잡아주며 지지해 그 결속력을 증대시킴에 따라, 가소제가 첨가되어 열에 의해 쉽게 신축 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 논슬립패드(20)의 신축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논슬립패드(20)는 신축방지부(23) 내측에 두께를 가지며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신축방지돌기(24)를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하는 것에도 특징이 있는데, 이 또한, 열의 전달에 의한 논슬립패드(20)의 신축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술한 신축방지부(23)의 장착을 통해 논슬립패드(20)와 금형(1) 간에 결속력이 증대된 상태에서 두께를 갖으며 신축방지부(23)의 내측으로 돌출된 신축방지돌기(24)를 통해 논슬립패드(20) 신축의 억제력을 증가시켜 논슬립패드(20)의 신축으로 인한 변형을 차단할 수 있다.
[제2공정]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폰툰을 제조하기 위한 제2공정은, 상술한 제1공정을 통해 금형(1)의 중공부(1a) 상측에 논슬립패드(20)를 장착한 상태에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패리슨(2)을 금형(1) 내측으로 투입하고, 투입된 패리슨(2)을 블로우 성형하여 내측에 중공부(10a)를 갖는 본체(10)를 제작하는 것이며, 패리슨(2)이 열팽창되면서 본체(10)의 상측에 논슬립패드(20)가 융착되도록 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본체(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공부(1a)를 갖는 금형(1)의 내측으로 패리슨(2)을 삽입한 후에 패리슨(2)의 내측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금형(1)의 중공부(1a) 내측면과 밀착되게 팽창시켜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체(10)의 제조방법은 종래의 블로우 성형(Blow Molding)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고, 패리슨(2)은 종래의 블로우 성형(Blow Molding)의 제작과정에서 압출기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패리슨(2)과 동일하게 제작된다.
즉, 압출기를 이용하여 합성수지를 녹이고 압출기에 중공 파이프 모양과 같이 속이 빈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합성수지의 성형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패리슨(2)을, 중공부(1a)를 갖는 금형(1)의 내측으로 삽입한 후 패리슨(2)의 개구로 공기를 주입하여 중공부(1a) 내측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패리슨(2)을 열팽창시켜 중공부(1a)의 내벽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성형을 이룬다.
이때, 패리슨(2)을 열팽창시키는 온도는 상술한 본체(10)와 논슬립패드(20)를 이루는 재질인 합성수지가 용융되기 직전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통해, 패리슨(2)의 열팽창을 통한 본체(10)의 블로우 성형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본체(10)에 융착되는 논슬립패드(20)가 견고한 결합력으로 본체(10)와 일체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본체(10)와 동일한 합성수지에 가소제를 첨가한 재질로 이루어져 우수한 유연성을 갖는 논슬립패드(20)가 패리슨(2)의 열팽창에 의한 본체(10)의 블로우 성형시 자연적으로 본체(10)의 상면에 융착되도록 함에 따라, 본체(10)와 논슬립패드(20)가 견고한 결합을 이루어 일체화됨으로써 설치 후 사용과정에서 폰툰의 상면에서 시공 작업자 또는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사용기간의 경과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본체(10)와 논슬립패드(20)의 분리로 인한 파손의 우려가 억제됨과 더불어, 작업의 효율성과 제작의 용이성을 증대시켜 생산량의 증가와 제작비용의 절감도 유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체(10)의 블로우 성형과정은, 금형(1)의 중공부(1a) 내측으로 패리슨(2)을 투입한 후에 패리슨(2)에 열을 전달할 수 있는 가열수단(미도시)과, 패리슨(2)의 개구에 삽입되어 패리슨(2)의 내측으로 공기를 불어 넣을 수 있는 공기주입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금형(1)의 중공부(1a) 내벽으로 패리슨(2)을 팽창시켜 밀착시킨 후에는 중공부(1a) 내벽의 형상으로 팽창된 패리슨(2)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금형(1)을 냉각할 수 있는 냉각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낮은 온도를 갖는 금형을 통해 자연스러운 냉각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더불어, 상술한 패리슨(2)의 블로우 성형시, 열팽창되면서 신축방지부(23)의 장착홀(23a) 하부에 끼워지는 장착돌기(10b)가 본체(10)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데, 이는 패리슨(2)의 열팽창시, 패리슨(2)이 금형(1) 내부의 중공부(1a) 내벽에 밀착되도록 팽창됨으로써, 본체(10)의 블로우 성형 전, 이미 금형(1) 내부의 중공부(1a) 상측에 장착된 논슬립패드(20) 신축방지부(23)의 장착홀(23a) 내측으로 자연스럽게 팽창 삽입되는 것이다.
예컨대, 논슬립패드(20)의 금형(1) 장착시, 장착홀(23a) 절반 정도의 깊이까지 장착핀(1b)이 끼워지도록 하고, 나머지 절반 정도의 깊이에 상술한 장착돌기(10b)가 채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통해, 상술한 신축방지부(23)의 장착핀(1b) 장착에 의한 논슬립패드(20)와 금형(1) 간의 연결을 견고하게 한 상태에서 논슬립패드(20)와 본체(10) 간의 결속력을 더욱 증대시킴으로써 열의 전달로 인한 논슬립패드(20)의 신축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제조가 완료되어 금형(1)으로부터 폰툰이 인출되었을 때, 상술한 장착홀(23a)에서 장착핀(1b)이 이탈됨으로써, 논슬립패드(20)의 가장자리 신축방지부(20)가 요철 형상을 이루게 되어 논슬립패드(20)를 통한 시공 작업자 또는 보행자의 미끄럼방지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논슬립패드(20)는 본체(10)와 논슬립패드(20) 사이의 공기를 금형(1) 외측으로 벤트시키기 위한 다수의 벤트홀(22)을 형성하고, 이 벤트홀(22)은 금형(1)에 설치한 관 형상의 벤트라인(22a)과 연결되는데, 이를 통해, 제2공정은 본체(10)와 논슬립패드(20) 사이를 벤트시키는 공정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즉, 패리슨(2)의 개구로 공기를 주입하여 중공부(1a) 내측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패리슨(2)을 열팽창시켜 중공부(1a)의 내벽으로 밀착되도록 할 때, 벤트라인(22a)과 연결된 벤트홀(22)을 통해 본체(10)와 논슬립패드(20) 사이의 공기를 벤트시킴으로써, 패리슨(2)의 열팽창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논슬립패드(20)의 융착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체(10)는 그 외측면에, 결합공(11a)을 갖는 복수개의 조립부재(11)가 서로 다른 높이 차를 이루며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조립부재(11)의 형성은 상술한 제2공정에서 본체(10)의 성형과정 중 자연스럽게 본체(10)의 외측면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고, 별도의 금형을 통해 본체(10)의 외측면에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폰툰을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상술한 조립부재(11)가 상호 적층 될 수 있도록 위치시킨 후, 조립부재(11)의 결합공(11a)에 체결되는 별도의 체결부재(P)를 통하여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복수개의 조립식 폰툰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결합함으로써, 마리나, 부두, 계류장, 해상공원의 접안시설물 등을 해상에 부상하도록 하여 지지하거나, 마리나, 부두, 계류장, 해상공원의 접안시설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상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조립부재(11)가 본체(10)의 외측면에서 서로 다른 높이 차를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복수개의 조립식 폰툰을 결합하는 경우에도 용이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외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밀착돌기(12)와, 이 밀착돌기(12)에 대응하는 형상의 밀착홈(13)이 연속적인 굴곡을 이루며 복수개가 구비되도록 그 성형을 이루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복수개의 폰툰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폰툰들 본체(10)의 밀착돌기(12)와 밀착홈(13)이 상호 밀착되는 면을 중심으로 안착되는 결합을 이룸으로써, 해상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도 해수면의 유동에 의하여 결합이 이루어진 조립식 폰툰이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체(10)는 상술한 블로우 성형과정에서 패리슨(2)의 열팽창을 통해,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안착홈(14)을 구비하여 패리슨(2)의 블로우 성형시 논슬립패드(20)의 가장자리가 안착 결합되는데, 즉, 성형과정에서 상술한 안착홈(14)은 신축방지부(23)와 신축방지돌기(24)에 밀착 결합되는 것이고, 이러한 안착홈(14)은 본체(10)의 상측으로 논슬립패드(20)의 가장자리 부위가 견고하게 융착되어 일체를 이루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은 상술한 제2공정의 수행 후, 공기주입부재(미도시)의 연결을 위한 본체(10)의 개구를 접합하는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고, 이는 패리슨(2)의 개구를 접합수단(미도시)을 통해 접합하여 본체(10)가 내측에 중공부(10a)를 갖으며 밀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체(10)가 밀폐된 형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해상에 설치시 본체(10)가 용이하게 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러한 본체(10)의 개구를 접합하는 공정의 수행 후, 금형(1)의 내측에서 제조된 조립식 폰툰을 금형(1)으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폰툰이 제조되는 것이다.
1 : 금형 1a : 중공부
1b : 장착핀 2 : 패리슨
10 : 본체 10a : 중공부
10b : 장착돌기 11 : 조립부재
11a : 결합공 12 : 밀착돌기
13 : 밀착홈 14 : 안착홈
20 : 논슬립패드 21 : 요철면
22 : 벤트홀 22a : 벤트라인
23 : 신축방지부 23a : 장착홀
24 : 신축방지돌기

Claims (13)

  1.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패리슨(2)을 금형(1)의 내측에서 블로우 성형함에 의해 내측에 중공부(10a)를 구비하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와 동일한 합성수지에 가소제를 첨가한 재질로 상면이 요철면(2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형(1)의 내측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패리슨(2)의 블로우 성형시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융착되는 논슬립패드(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폰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패트(20)는 성형과정에서 상기 본체(10)와 논슬립패드(20) 사이의 공기를 상기 금형(1) 외측으로 벤트시키기 위한 다수의 벤트홀(22)을 구비하고,
    상기 벤트홀(22)은 상기 금형(1)에 설치한 관 형상의 벤트라인(22a)과 연결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폰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패드(20)는 가장자리를 따라 두께를 갖는 신축방지부(23)를 구비하고,
    상기 신축방지부(23)는 상기 금형(1) 상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장착핀(1b)에 끼워지는 장착홀(23a)을 다수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폰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패드(20)는 상기 신축방지부(23) 내측에 두께를 가지며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신축방지돌기(24)를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폰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패리슨(2)의 블로우 성형시, 상기 장착홀(23a)에 끼워지는 장착돌기(1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폰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외측면에 결합공(11a)을 갖는 복수개의 조립부재(11)가 서로 다른 높이 차를 이루며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폰툰.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외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밀착돌기(12)와, 상기 밀착돌기(12)에 대응하는 형상의 밀착홈(13)이 연속적인 굴곡을 이루며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폰툰.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안착홈(14)을 구비하여 상기 패리슨(2)의 블로우 성형시, 상기 논슬립패드(20)의 가장자리가 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폰툰.
  9. 금형(1)의 내측 상부에 합성수지와 가소제를 혼합한 재질로 이루어진 논슬립패드(20)를 장착하는 제1공정; 및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패리슨(2)을 상기 금형(1) 내측으로 투입하고, 상기 패리슨(2)을 블로우 성형하여 내측에 중공부(10a)를 갖는 본체(10)를 제작하되, 상기 패리슨(2)이 열팽창되면서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상기 논슬립패드(20)가 융착되도록 하는 제2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정은, 상기 금형(1)에 설치한 관 형상의 벤트라인(22a)과 연결을 이루도록 상기 논슬립패트(20)에 형성된 다수의 벤트홀(22)을 통해 상기 본체(10)와 논슬립패드(20) 사이를 벤트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은, 두께를 갖으며 상기 논슬립패드(20)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신축방지부(23)에 형성된 다수의 장착홀(23a)을 상기 금형(10) 상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장착핀(1b)에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패드(20)는 상기 신축방지부(23) 내측에 두께를 가지며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신축방지돌기(24)를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정은, 상기 패리슨(2)의 블로우 성형시, 열팽창되면서 상기 장착홀(23a)에 끼워지는 장착돌기(10b)가 상기 본체(10)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
KR1020160102811A 2016-08-12 2016-08-12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폰툰 KR20180017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811A KR20180017996A (ko) 2016-08-12 2016-08-12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폰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811A KR20180017996A (ko) 2016-08-12 2016-08-12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폰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996A true KR20180017996A (ko) 2018-02-21

Family

ID=6152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811A KR20180017996A (ko) 2016-08-12 2016-08-12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폰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799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131A (ko)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오션솔라라이팅 안전 플로팅 폰툰
KR20200083132A (ko)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오션솔라라이팅 수상 안전 구조를 갖는 폴로팅 폰툰 조립 결합체
KR20200083133A (ko)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오션솔라라이팅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을 이용한 광 연출 시스템
KR102256284B1 (ko) 2020-06-15 2021-05-25 주종대 부력 조정이 가능한 섬유보강 콘크리트 폰툰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6487B2 (ja) * 1988-10-18 1998-06-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プロー成型容器におけるラベル貼付方法
JPH10280318A (ja) * 1997-04-07 1998-10-20 Moka Yo フロート
KR20100007306U (ko) * 2009-01-08 2010-07-16 이상화 부력 발판
KR101060086B1 (ko) * 2010-10-12 2011-08-29 스코트라 주식회사 데크가 장착된 조립식 폰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6487B2 (ja) * 1988-10-18 1998-06-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プロー成型容器におけるラベル貼付方法
JPH10280318A (ja) * 1997-04-07 1998-10-20 Moka Yo フロート
KR20100007306U (ko) * 2009-01-08 2010-07-16 이상화 부력 발판
KR101060086B1 (ko) * 2010-10-12 2011-08-29 스코트라 주식회사 데크가 장착된 조립식 폰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131A (ko)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오션솔라라이팅 안전 플로팅 폰툰
KR20200083132A (ko)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오션솔라라이팅 수상 안전 구조를 갖는 폴로팅 폰툰 조립 결합체
KR20200083133A (ko)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오션솔라라이팅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을 이용한 광 연출 시스템
KR102256284B1 (ko) 2020-06-15 2021-05-25 주종대 부력 조정이 가능한 섬유보강 콘크리트 폰툰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7996A (ko)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폰툰
CN103003083A (zh) 由热塑性材料制成的燃料箱
KR101740918B1 (ko) 중공형 부구의 제조방법
JP2016510287A (ja) 組立式ポンツーン
KR101670507B1 (ko) 항로표지용 등부표
KR101349966B1 (ko) 조립식 폰툰
WO2017057018A1 (ja) 太陽光発電用フロート、太陽光発電ユニット
US8376453B2 (en) Hollow double-walled panel and interior panel for vehicle made using same
KR101357833B1 (ko) 스티로폼을 내장한 부구의 제조방법
KR20190054781A (ko) 격벽을 구비하는 친환경 부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56229A (ko) 수상구조물용 부유조립체
KR100646744B1 (ko) 수상구조물용 부구 및 그의 제조방법
JP6816312B2 (ja) 中空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利用して製造された中空射出成形品
KR200435477Y1 (ko)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
KR102136876B1 (ko) 플로트 조립체
CN101041412B (zh) 模塑泡沫体和模具
JP6697154B2 (ja) フロート及びソーラーパネル用フロート
KR102370188B1 (ko) 항로 표지용 등부표
US6035797A (en) Float drum
KR102266319B1 (ko) 수상구조물용 부력관의 멀티캡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수상구조물
KR101833325B1 (ko) 내경 중공형 대형 부표의 에어 주입과 외경 보강구조
KR102033220B1 (ko) 방수시트 고정부재를 이용한 수조 방수공법
KR101883184B1 (ko) 내경 중공형 부표의 에어 주입과 외경 보강구조
JP6933795B2 (ja) ソーラパネル用のフロート
KR20040063615A (ko) 이중벽 하수관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