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133A -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을 이용한 광 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을 이용한 광 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133A
KR20200083133A KR1020190064617A KR20190064617A KR20200083133A KR 20200083133 A KR20200083133 A KR 20200083133A KR 1020190064617 A KR1020190064617 A KR 1020190064617A KR 20190064617 A KR20190064617 A KR 20190064617A KR 20200083133 A KR20200083133 A KR 20200083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ntoon
floating
light
safety
sola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991B1 (ko
Inventor
김승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션솔라라이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션솔라라이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션솔라라이팅
Publication of KR20200083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20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energy 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2Aud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사진, 그림, 광고 중 하나 이상을 폰툰 조립 결합체의 상부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을 이용한 광 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밀봉 개폐수단이 구비되고, 양측의 상부에는 다수의 볼트 관통홀이 형성되고 양쪽에는 안전봉 장착 사각홀이 형성된 상부 연결판이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전,후방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연결판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연결판이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폰툰을 포함하고, 두 개 이상의 상기 폰툰들이 하나 이상의 폰툰 연결수단을 통해 수평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수면에 부상되는 조립 결합체와, 상기 조립 결합체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안전봉 장착 사각홀에 삽입 고정되어 안전봉을 상부에 고정하는 다수의 안전봉 고정수단과, 각각의 안전봉 고정수단에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부에는 발광 소리 출력부가 구비된 다수의 안전봉과, 상기 안전봉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다수의 수평 연결대와, 상기 조립 결합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수단과, 상기 발광 소리 출력부와 태양광 발전수단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발광 소리 출력부와 태양광 발전수단을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을 이용한 광 연출 시스템{Lighting display system using Floating pontoon solar energy gener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을 이용한 광 연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영상, 사진, 그림, 광고 중 하나 이상을 폰툰 조립 결합체의 상부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을 이용한 광 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폰툰(Pontoon)은 바다, 강, 호수 등의 수면 위에 수상무대, 낚시터, 보도교, 물고기 가두리 등을 시공하기 위한 수상 부력체이다.
이러한 폰툰은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그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8-0017996호의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폰툰"을 구성하는 폰툰(이하, "종래의 폰툰"이라 한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폰툰은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내측에 중공부를 구비한 본체와, 본체의 상측에 융착되는 논슬립 패드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폰툰은 폰툰들을 서로 연결하여 수상무대, 낚시터, 보도교, 물고기 가두리 등을 시공하는데 만 사용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8-0017996호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폰툰"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상 안전 플로팅 폰툰 조립 결합체의 상부에 태양광 발전수단을 구비하여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생산된 전기를 이용하여 빛과 선택된 소리를 출력하거나 또는 선택된 패턴의 빛만 출력하여 선택된 데이터인 동영상, 사진, 그림, 광고 중 하나 이상을 폰툰 조립 결합체의 상부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을 이용한 광 연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을 이용한 광 연출 시스템"은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밀봉 개폐수단이 구비되고, 양측의 상부에는 다수의 볼트 관통홀이 형성되고 양쪽에는 안전봉 장착 사각홀이 형성된 상부 연결판이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전,후방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연결판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연결판이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폰툰을 포함하고, 두 개 이상의 상기 폰툰들이 하나 이상의 폰툰 연결수단을 통해 수평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수면에 부상되는 조립 결합체와, 상기 조립 결합체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안전봉 장착 사각홀에 삽입 고정되어 안전봉을 상부에 고정하는 다수의 안전봉 고정수단과, 각각의 안전봉 고정수단에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부에는 발광 소리 출력부가 구비된 다수의 안전봉과, 상기 안전봉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다수의 수평 연결대와, 상기 조립 결합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수단과, 상기 발광 소리 출력부와 태양광 발전수단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발광 소리 출력부와 태양광 발전수단을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상 안전 플로팅 폰툰 조립 결합체의 상부에 태양광 발전수단을 구비하여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생산된 전기를 이용하여 빛과 선택된 소리를 출력하거나 또는 선택된 패턴의 빛만 출력하여 선택된 데이터인 동영상, 사진, 그림, 광고 중 하나 이상을 폰툰 조립 결합체의 상부에서 미려하고 환상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폰툰 조립 결합체를 구성하는 제1 실시예의 푼툰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폰툰을 구성하는 하나의 부유블럭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두 개의 부유블럭이 조립된 폰툰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c는 폰툰의 정면도이고,
도 1d는 폰툰의 좌측면도이며,
도 1e는 폰툰의 평면도이고,
도 1f는 폰툰의 저면도이며,
도 1g는 폰툰의 밀봉 개폐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폰툰 조립 결합체를 구성하는 제2 실시예의 푼툰을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부유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c는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d는 내부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2e는 폰툰의 저면도이며,
도 2f는 밀봉 개폐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폰툰 조립 결합체를 구성하는 폰툰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두 개의 폰툰의 연결 과정을 나타내고,
도 3b는 두 개의 폰툰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2b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d는 충격 흡수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e는 직각으로 위치된 두 개의 금속 보강판을 "L"자 금속 연결판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폰툰 조립 결합체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폰툰의 연결 과정 및 안전봉, 수평 연결대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폰툰의 연결 과정 및 안전봉, 수평 연결대의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c는 상부에 충격 흡수판이 설치되고 테두리에 "ㄷ"자 골조가 마감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d는 안전봉 고정수단을 나타내고,
도 4e는 안전봉을 나타내며,
도 4f는 충격 흡수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d는 "ㄷ"자 골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시설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시설에서 그림이 발광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푼툰을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폰툰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폰툰 조립 결합체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시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시설에서 그림이 발광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연출 시스템은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 구조체를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 연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폰툰을 포함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폰툰을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광 연출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1 실시예의 폰툰(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밀봉 개폐수단(M)이 구비되고, 양측의 상부에는 다수의 볼트 관통홀(H)이 형성되고 양쪽에는 안전봉 장착 사각홀(H1)이 형성된 상부 연결판(C1)이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전,후방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연결판(C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연결판(C2)이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폰툰(1)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측부에는 수직 밀착면(21)이 형성되며 각각의 상부에는 밀봉 개폐수단(M)이 구비되어 각각의 내부에는 모래와 물이 채워지고 물의 상부에는 수분이 함유된 기체가 주입되는 두 개의 부유블럭(2)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부유블럭(2)의 수직 밀착면(21)이 밀착된 상태에서 두 개의 부유블럭(2)의 하부를 서로 하부 연결수단(24)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각각의 상기 부유블럭(2)은 부유블럭(2)의 하부에는 폰툰(1)이 물가(강, 바다, 늪지대, 해안선)에 안착시 발판, 모레 밭, 뻘 밭에 박힌 상태에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후 간격을 두고 다수의 안착 돌출부(22)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 돌출부(22)들의 사이에는 센 조류를 흘려보내 수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수로홈(23)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수로홈(23)들은 일렁이는 파도와 물살을 흡수하여 폰툰(1)의 수평 유지에 도움을 줄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 돌출부(22)들과 수로홈(23)들은 폰툰(1)의 운반시 파렛트 대용으로 지게차의 포크의 삽입이 용이함으로써 지게차로 운반이 가능하고, 및 강도를 향상시켜 폰툰(1) 자체내 파손을 방지하며, 운반시 폰툰(1)의 적재 높이를 낮춰 운반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각각의 상기 부유블럭(2)의 상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미끄럼 방지 돌출부(N)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밀봉 개폐수단(M)은 상기 부유블럭(2)의 상판에서 하부로 함몰된 함몰홈(M1)과, 함몰홈(M1)의 하판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원통형 돌출부(M2)와, 상기 원통형 돌출부(M2)의 내부에 삽입되어 원통형 돌출부(M2)를 개폐하는 밀봉 마개부(M3)를 포함한다.
상기 밀봉 마개부(M3)는 부유블럭(2)의 내부에 모래, 물, 기체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의 하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부가 상판(T)으로 막혀 있고 상판(T)에는 체크밸브(C)가 구비된 관형 몸체(M4)와, 상기 관형 몸체(M4)의 외주연에 삽입되는 하부 패킹(M5)과, 상기 관형 몸체(M4)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패킹(M5)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 압축링(M6)과, 상기 관형 몸체(M4)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압축링(M6)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패킹(M7)과, 상기 관형 몸체(M4)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패킹(M7)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압축링(M8)과, 상기 관형 몸체(M4)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 압축링(M8)을 하부로 압축하여 상기 하부 패킹(M5)과 상부 패킹(M7)의 외경을 확장시켜 하,상부 패킹(M5)(M7)의 외주면을 상기 원통형 돌출부(M2)의 내주면에 밀봉되게 밀착시키는 링형 조임 손잡이(M9)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부유블럭(2)은 친환경의 재생 소재인 고강도 폴리에틸렌 수지재(HDPE)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유블럭(2)은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야간에 식별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강도가 제일 강한 강도유지 내측층과, 내측층보다 강도가 약한 충격 흡수 중간층, 및 야광표시 소재가 함유되어 야간 식별이 용이한 외부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두 개의 부유블럭(2)으로 구성된 상기 폰툰(1) 양측의 상부에는 다른 폰툰(1)을 연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볼트 관통홀(H)이 형성되고 양쪽에는 안전봉 장착 사각홀(H1)이 형성된 상부 연결판(C1)이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폰툰(1) 전,후방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연결판(C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연결판(C2)이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폰툰(1)들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연결판(C1)은 연결되는 폰툰(1)에 구비된 하부 연결판(C2)의 상부에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부 연결판(C2)은 연결되는 폰툰(1)에 구비된 상부 연결판(C1)의 하부에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연결수단(24)은 상기 두 개의 부유블럭(2)의 수직 밀착면(21)이 밀착된 상태에서 두 개의 부유블럭(2)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하부 연결수단(24)은 각각의 상기 부유블럭(2)의 하부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내측과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함몰부(241)와, 상기 함몰부(241)에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각각에는 연결홀이 형성된 다수의 연결 고리(242)와, 두 개의 상기 부유블럭(2)의 수직 밀착면(21)이 밀착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쌍 이상의 연결 고리(242)들의 연결홀에 관통되어 너트(244)로 고정되는 다수의 연결 볼트(24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연결수단(24)은 두 개의 상기 부유블럭(2)의 수직 밀착면(21)이 밀착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연결 고리(242)의 연결홀에 관통되는 닷 줄(245)과, 두 개의 상기 부유블럭(2)의 수직 밀착면(21)이 밀착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연결 고리(242)의 연결홀에 관통되고 묶여 폰툰(1)과 폰툰(1)을 연결하는 연결줄(246)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 연출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2 실시예의 폰툰(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밀봉 개폐수단(M)이 구비되는 폰툰(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폰툰(1)은 내부가 비어 있고 내부의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단의 둘레에는 다수의 탭홈(31)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모래와 물이 채워지고 물의 상부에는 수분이 함유된 기체가 주입되는 부유몸체(3)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몸체(3)의 상부에 배치되고 둘레를 관통하여 상기 탭홈(31)들에 체결되는 다수의 볼트(B)에 의해 부유몸체(3)의 상부를 커버하게 고정되고 양측의 상부에는 상부 연결판(C1)이 형성되며 전,후방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연결판(C1)과 동일한 형상으로 하부 연결판(C2)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밀봉 개폐수단(M)이 구비되는 상판(T)을 포함한다.
상기 부유몸체(3)는 강도를 보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부유몸체(3) 내부의 전후 방향의 중간에는 횡형 수직 보강판(32)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부유몸체(3) 내부의 좌우 방향의 중간에는 종형 수직 보강판(3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봉 개폐수단(M)은 상기 횡형 수직 보강판(32)과 종형 수직 보강판(33)의 사이 공간으로 모래와 물 및 가스를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T)의 전,후방 양측에 다수가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부유몸체(3)의 하부에는 폰툰(1)이 물가(강, 바다, 늪지대, 해안선)에 안착시 발판, 모레 밭, 뻘 밭에 박힌 상태에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이로 수로홈(36)이 형성되는 다수의 안착 돌출부(35)가 사방으로 연속되게 격자형으로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안착 돌출부(35)는 발판, 모레 밭, 뻘 밭에 잘 박힐 수 있도록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사각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 돌출부(35)들의 사이에는 센 조류를 흘려보내 수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수로홈(36)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로홈(36)들은 일렁이는 파도와 물살을 흡수하여 폰툰(1)의 수평 유지에 도움을 줄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 돌출부(35)들과 수로홈(36)들은 폰툰(1)의 운반시 파렛트 대용으로 지게차의 포크의 삽입이 용이함으로써 지게차로 운반이 가능하고, 및 강도를 향상시켜 폰툰(1) 자체내 파손을 방지하며, 운반시 폰툰(1)의 적재 높이를 낮춰 운반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폰툰의 상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미끄럼 방지 돌출부(N)가 더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밀봉 개폐수단(M)은 상기 부유블럭(2)의 상판에서 하부로 함몰된 함몰홈(M1)과, 함몰홈(M1)의 하판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원통형 돌출부(M2)와, 상기 원통형 돌출부(M2)의 내부에 삽입되어 원통형 돌출부(M2)를 개폐하는 밀봉 마개부(M3)를 포함한다.
상기 밀봉 마개부(M3)는 부유블럭(2)의 내부에 모래, 물, 기체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의 하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부가 상판(T)으로 막혀 있고 상판(T)에는 체크밸브(C)가 구비된 관형 몸체(M4)와, 상기 관형 몸체(M4)의 외주연에 삽입되는 하부 패킹(M5)과, 상기 관형 몸체(M4)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패킹(M5)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 압축링(M6)과, 상기 관형 몸체(M4)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압축링(M6)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패킹(M7)과, 상기 관형 몸체(M4)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패킹(M7)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압축링(M8)과, 상기 관형 몸체(M4)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 압축링(M8)을 하부로 압축하여 상기 하부 패킹(M5)과 상부 패킹(M7)의 외경을 확장시켜 하,상부 패킹(M5)(M7)의 외주면을 상기 원통형 돌출부(M2)의 내주면에 밀봉되게 밀착시키는 링형 조임 손잡이(M9)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부유몸체(3)와 상판(T)은 친환경의 재생 소재인 고강도 폴리에틸렌 수지재(HDPE)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유블럭(2)은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야간에 식별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강도가 제일 강한 강도유지 내측층과, 내측층보다 강도가 약한 충격 흡수 중간층, 및 야광표시 소재가 함유되어 야간 식별이 용이한 외부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폰툰(1)을 다른 폰툰(1)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폰툰(1) 양측의 상부인 상판(T)의 양측에는 다수의 볼트 관통홀(H)이 형성되고 양쪽에는 안전봉 장착 사각홀(H1)이 형성된 상부 연결판(C1)이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폰툰(1) 전,후방의 상부인 상판(T)의 전,후방에는 상기 상부 연결판(C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연결판(C2)이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폰툰(1)들을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연결판(C1)은 연결되는 폰툰(1)에 구비된 하부 연결판(C2)의 상부에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부 연결판(C2)은 연결되는 폰툰(1)에 구비된 상부 연결판(C1)의 하부에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유몸체(3)의 전,후방 중간과 양측 중간의 상부에는 타 폰툰(1)을 삽입 연결수단(37)을 통해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부와 외측이 객방된 "T"자형 홈(3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 연결수단(37)은 양단에 상기"T"자형 홈(34)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는 "T"자형 삽입부(372)가 형성된 연결부재(37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부재(371)은 수직의 연결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수직의 연결판의 양단에는 상기"T"자형 홈(34)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는 "T"자형 삽입부(372)가 더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광 연출 시스템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폰툰들을 조립하여 제조되거나, 또는 상술한 제2 실시예의 폰툰들을 조립하여 제조되는 폰툰 조립 결합체(4)를 포함하는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 연출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예의 폰툰들을 조립하여 제조한 폰툰 조립 결합체(4)를 예를 들고 도면에 도시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 연출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 연출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예의 폰툰들로 구성된 폰툰 조립 결합체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제2 실시예의 로 구성된 폰툰 조립 결합체을 사용할 수도 있음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 연출 시스템에 포함되는 폰툰 조립 결합체는,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밀봉 개폐수단(M)이 구비되고, 양측의 상부에는 다수의 볼트 관통홀(H)이 형성되고 양쪽에는 안전봉 장착 사각홀(H1)이 형성된 상부 연결판(C1)이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전,후방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연결판(C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연결판(C2)이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폰툰(1)들이나 상술한 제2 실시예의 폰툰(1)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광 연출 시스템에 포함되는 폰툰 조립 결합체(4)는 두 개 이상의 상기 폰툰(1)들이 하나 이상의 폰툰 연결수단(5)을 통해 수평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각각의 상기 폰툰 연결수단(5)은 서로 연결되는 폰툰(1)들의 연결 부분들에서 충격을 흡수하여 파도나 너울 등의 발생시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폰툰(1)에 형성된 하부 연결판(C2)들 중 하나의 하부 연결판(C2)과, 연결할 폰툰(1)에 형성되어 하나의 상기 하부 연결판(C2)의 상부에 위치되는 하나의 상부 연결판(C1)과, 상기 하나의 하부 연결판(C2)과 하나의 상부 연결판(C1)의 하,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그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하,상부 연결판(C2)(C1)에 형성된 볼트 관통홀(H)들과 안전봉 장착홀(H1)들과 상응되는 위치에 볼트 관통홀(H)들과 안전봉 장착홀(H1)들이 형성된 신축 복원성을 가지는 충격 흡수판(51)과, 상기 상,하부 연결판(C1)(C2)과 충격 흡수판(51)에 형성되어 서로 일치되는 볼트 관통홀(H)에 관통되어 너트(34) 체결로 고정되는 다수의 볼트(52)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폰툰 연결수단(5)은 연결 부분의 연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연결판(22)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하,상부 연결판(23)(22)에 형성된 볼트 관통홀(H)들과 안전봉 장착홀(H1)들과 상응되는 위치에 볼트 관통홀(H)들과 안전봉 장착홀(H1)들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52)들로 고정되는 금속 보강판(54)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 연출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상기 폰툰(1)들이 하나 이상의 폰툰 연결수단(5)을 통해 수평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수면에 부상되는 조립 결합체(4)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광 연출 시스템은 조립 결합체(4)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안전봉 장착 사각홀(H1)에 모두 또는 일부만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어 안전봉(8)을 상부에 고정하는 다수의 안전봉 고정수단(7)과, 각각의 안전봉 고정수단(7)에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부에는 발광 소리 출력부(82)가 구비된 다수의 안전봉(8)과, 상기 안전봉(8)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다수의 수평 연결대(81)와, 상기 조립 결합체(4)의 상부에 구비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수단(9)과, 상기 발광 소리 출력부(82)와 태양광 발전수단(9)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발광 음성 출력부(92)와 태양광 발전수단(9)을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안전봉 고정수단(7)은 상기 안전봉 장착 사각홀(H1)에 간단히 조립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봉 장착 사각홀(H1)에 삽입되고 하부에는 이탈 방지핀이 박히는 사각관(711)과, 사각관(711)의 상부에 구비된 수평판(72)과, 상기 수평판(72)의 상부에 구비되어 안전봉(8)의 하부를 삽입하여 안전봉(8)이 고정되는 상부가 개방된 고정관(7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전봉 고정수단(7)이 다수로 구비되어 다수의 안전봉(8)이 구비되고, 안전봉(8)들은 다수의 수평 연결대(81)로 연결됨으로써 난간을 간단히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폰툰(1)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걷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충격 흡수발판(S)들이 더 올려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조립 결합체(4)의 둘레 상부에는 둘레를 마감할 수 있도록 상기 충격 흡수발판(S)들의 둘레 단부를 커버하는 "ㄷ"자 마감골조(D)가 더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9)은 상기 다수의 수평 연결대(81)의 사이에 경사지게 구비된 다수의 솔라셀 모듈(91)과, 다수의 솔라셀 모듈(91)과 연결되어 전기를 충전하며 다수의 발광 소리 출력부(82)와 연결되고 상기 충전량을 조작 제어부로 출력하며 조작 제어부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무선 송,수신부가 구비된 충전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조작 제어부에는 무선 송,수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발광 소리 줄력부(82)는 내부에 무선 수신부가 구비되어 상기 조작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온/오프되고 다색의 광을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엘이디 발광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조작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온/오프되고 소리를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소리 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작 제어부에는 다향한 동영상, 사진, 그림, 광고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조작 제어부는 조작자가 조작을 통해 전기 공급신호를 상기 충전부에 출력하여 상기 발광 소리 출력부(82)들을 온(ON)시킨 상태에서, 조작자가 조작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 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선택하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다수의 발광 소리 출력부(83)로 출력하게 구성된다.
상기 발광 음성 출력부(82)들에서는 조작 제어부에서 출력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테이터를 입력받아 선택된 패턴의 빛과 선택된 소리를 출력하거나 또는 선택된 패턴의 빛만 출력하여 선택된 데이터인 동영상, 사진, 그림, 광고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봉(8)들 중 하나에는 센싱된 데이터를 상기 조작 제어부로 출력하는 무선 송신부를 가지는 야간 감지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제어부에서는 상기 야간 감지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야간에만 상기 발광 음성 출력부(83)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상 안전 플로팅 폰툰 조립 결합체의 상부에 태양광 발전수단(9)을 구비하여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생산된 전기를 이용하여 빛과 선택된 소리를 출력하거나 또는 선택된 패턴의 빛만 출력하여 선택된 데이터인 동영상, 사진, 그림, 광고 중 하나 이상을 폰툰 조립 결합체의 상부에서 미려하고 환상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폰툰
2 : 부유블럭
21 : 수직 밀착면
22 : 안착 돌출부
23 : 수로홈
24 : 하부 연결수단
241 : 함몰부
242 : 연결 고리
243 : 연결 볼트
244 : 너트
245 : 닷 줄
246 : 연결줄
3 : 부유몸체
31 : 탭홈
32 : 횡형 수직 보강판
33 : 종형 수직 보강판
34 : "T"자형 홈
35 : 안착 돌출부
36 : 수로홈
37 : 삽입 연결수단
371 : 연결부재
372 : "T"자형 삽입부
T : 상판
4 : 조립 결합체
5 : 폰툰 연결수단
51 : 충격 흡수판
52 : 볼트
53 : 너트
54 : 금속 보강판
6 : "L"자 금속 연결판
7 : 안전봉 고정수단
8 : 안전봉
81 : 수평 연결대
82 : 발광 소리 출력부
9 : 태양광 발전수단
91 : 솔라셀 모듈
C1 : 상부 연결판
C2 : 하부 연결판
M : 밀봉 개폐수단

Claims (8)

  1.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밀봉 개폐수단(M)이 구비되고, 양측의 상부에는 다수의 볼트 관통홀(H)이 형성되고 양쪽에는 안전봉 장착 사각홀(H1)이 형성된 상부 연결판(C1)이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전,후방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연결판(C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연결판(C2)이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폰툰(1)을 포함하고,
    두 개 이상의 상기 폰툰(1)들이 하나 이상의 폰툰 연결수단(5)을 통해 수평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수면에 부상되는 조립 결합체(4)와,
    상기 조립 결합체(4)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안전봉 장착 사각홀(H1)에 삽입 고정되어 안전봉(8)을 상부에 고정하는 다수의 안전봉 고정수단(7)과,
    각각의 안전봉 고정수단(7)에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부에는 발광 소리 출력부(82)가 구비된 다수의 안전봉(8)과,
    상기 안전봉(8)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다수의 수평 연결대(81)와,
    상기 조립 결합체(4)의 상부에 구비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수단(9)과,
    상기 발광 소리 출력부(82)와 태양광 발전수단(9)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발광 소리 출력부(82)와 태양광 발전수단(9)을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을 이용한 광 연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폰툰(1)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측부에는 수직 밀착면(21)이 형성되며 각각의 상부에는 밀봉 개폐수단(24)이 구비되어 각각의 내부에는 모래와 물이 채워지고 물의 상부에는 수분이 함유된 기체가 주입되는 두 개의 부유블럭(2)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부유블럭(2)의 수직 밀착면(21)이 밀착된 상태에서 두 개의 부유블럭(2)의 하부를 서로 하부 연결수단(3)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을 이용한 광 연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폰툰(1)은,
    내부가 비어 있고 내부의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단의 둘레에는 다수의 탭홈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모래와 물이 채워지고 물의 상부에는 수분이 함유된 기체가 주입되는 부유몸체와,
    상기 부유몸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둘레를 관통하여 상기 탭홈들에 체결되는 다수의 볼트에 의해 부유몸체의 상부를 커버하게 고정되고 양측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연결판(22)이 형성되며 전,후방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 연결판(23)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밀봉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상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을 이용한 광 연출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폰툰 연결수단(5)은
    상기 상부 연결판(22)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하,상부 연결판(23)(22)에 형성된 볼트 관통홀(H)들과 안전봉 장착홀(H1)들과 상응되는 위치에 볼트 관통홀(H)들과 안전봉 장착홀(H1)들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52)들로 고정되는 금속 보강판(5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안전 구조를 갖는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을 이용한 광 연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9)은
    상기 다수의 수평 연결대(81)의 사이에 경사지게 구비된 다수의 솔라셀 모듈(91)과,
    다수의 솔라셀 모듈(91)과 연결되어 전기를 충전하며 다수의 발광 소리 출력부(82)와 연결되고 상기 충전량을 조작 제어부로 출력하며 조작 제어부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무선 송,수신부가 구비된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을 이용한 광 연출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제어부에는 무선 송,수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발광 소리 출력부(82)는 내부에 무선 수신부가 구비되어 상기 조작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온/오프되고 다색의 광을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엘이디 발광부를 포함하고 조작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온/오프되고 소리를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소리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을 이용한 광 연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제어부에는 다향한 동영상, 사진, 그림, 광고의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조작 제어부는 조작자가 조작을 통해 전기 공급신호를 상기 충전부에 출력하여 상기 발광 소리 출력부(82)들을 온(ON)시킨 상태에서, 조작자가 조작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 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선택하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다수의 발광 소리 출력부(83)로 출력하게 구성되고,
    상기 발광 음성 출력부(92)들에서는 조작 제어부에서 출력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테이터를 입력받아 선택된 패턴의 빛과 선택된 소리를 출력하거나 또는 선택된 패턴의 빛만 출력하여 선택된 데이터인 동영상, 사진, 그림, 광고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을 이용한 광 연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봉(8)들 중 하나에는 센싱된 데이터를 상기 조작 제어부로 출력하는 무선 송신부를 가지는 야간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을 이용한 광 연출 시스템.
KR1020190064617A 2018-12-31 2019-05-31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을 이용한 광 연출 시스템 KR102340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4294 2018-12-31
KR20180174294 2018-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133A true KR20200083133A (ko) 2020-07-08
KR102340991B1 KR102340991B1 (ko) 2021-12-21

Family

ID=71600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617A KR102340991B1 (ko) 2018-12-31 2019-05-31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을 이용한 광 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9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760B1 (ko) * 2020-12-21 2021-04-13 주식회사 태평양 부유식 해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부력장치
KR102349219B1 (ko) 2021-01-15 2022-01-10 (주)경남해양테크 태양광 발전 장치용 부유식 구조물
KR20220162314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태평양 부유식 해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결합강도가 향상된 부력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1396A (ko) * 2009-02-10 2010-08-19 이성종 공기부양식 조립형 수상 부유체
KR20110124696A (ko) * 2011-01-28 2011-11-17 (주)제이씨 수상 산책로
KR20120040945A (ko) * 2010-10-20 2012-04-30 유한회사 용산건설 조립형 부구
KR20120132269A (ko) * 2011-05-25 2012-12-05 박남수 부력 구조물 조립용 브라켓 및 부력 구조물
KR20180017996A (ko) 2016-08-12 2018-02-21 한성호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폰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1396A (ko) * 2009-02-10 2010-08-19 이성종 공기부양식 조립형 수상 부유체
KR20120040945A (ko) * 2010-10-20 2012-04-30 유한회사 용산건설 조립형 부구
KR20110124696A (ko) * 2011-01-28 2011-11-17 (주)제이씨 수상 산책로
KR20120132269A (ko) * 2011-05-25 2012-12-05 박남수 부력 구조물 조립용 브라켓 및 부력 구조물
KR20180017996A (ko) 2016-08-12 2018-02-21 한성호 조립식 폰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폰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760B1 (ko) * 2020-12-21 2021-04-13 주식회사 태평양 부유식 해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부력장치
KR102349219B1 (ko) 2021-01-15 2022-01-10 (주)경남해양테크 태양광 발전 장치용 부유식 구조물
KR20220162314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태평양 부유식 해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결합강도가 향상된 부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991B1 (ko)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3133A (ko) 수상 플로팅 폰툰 태양광 발전시설을 이용한 광 연출 시스템
KR101471014B1 (ko) 해상 부유구조물용 부력파이프 연결소켓
US20070154265A1 (en) Riparian flood wall structure
US20030190191A1 (en) Wave attenuator
ES2303376T3 (es) Estructura en mar abierta semisumergible de gran calado.
KR20110016619A (ko) 공기주입식 보트용 에어플로어
US10364938B2 (en) Underwater energy storage using compressed fluid
JP6066271B2 (ja) 浮体式桟橋構造体及びその設置方法
KR101813573B1 (ko) 수상 부유 안정성을 갖는 플로트
KR102196017B1 (ko) 수상 부유 구조물
KR102151954B1 (ko) 수상 안전 구조를 갖는 폴로팅 폰툰 조립 결합체
JP2015504992A (ja) タイヤアセンブリ及びタイヤを用いて海洋環境に支持構造体を設ける方法
KR101651819B1 (ko) 다수의 유닛을 연결한 조립식 폰툰
US3706206A (en) Lightweight readily portable underwater habitation and method of assembly and emplacement
KR102250159B1 (ko) 수상 태양광 설비용 부유식 구조물
US20220400656A1 (en) Coral Reef Float
KR102340990B1 (ko) 안전 플로팅 폰툰
EP1733964B1 (en) Float module
CN216401699U (zh) 一种采用柔性结构的海上漂浮式光伏系统
CN215443338U (zh) 组装式水上漂浮游泳池
KR101656071B1 (ko)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TW202003983A (zh) 避難用構造物及使用其的構造物以及移動式房屋
CN219406836U (zh) 一种用于海上平台的浮筒组件以及海上平台
US20150093202A1 (en) Deepwater jacket design method
GB2398331A (en) Interlocking self-filling flood barrier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