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6172A -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 - Google Patents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6172A
KR20180016172A KR1020160100270A KR20160100270A KR20180016172A KR 20180016172 A KR20180016172 A KR 20180016172A KR 1020160100270 A KR1020160100270 A KR 1020160100270A KR 20160100270 A KR20160100270 A KR 20160100270A KR 20180016172 A KR20180016172 A KR 20180016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member
grip
pusher
connector
push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6248B1 (ko
Inventor
이금영
Original Assignee
(주)아세아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세아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아세아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60100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248B1/ko
Publication of KR20180016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contact member feed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터미널 핀을 그립하여 커넥터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핀 푸싱장치에 설치된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전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터미널 핀을 그립하는 상부 그립부재와; 상기 상부 몸체의 후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몸체 및 상기 상부 그립부재를 운동하게 하는 상부 구동부와; 상기 커넥터 핀 푸싱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에 상기 상부 몸체와 대향되게 배치된 하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전단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 그립부재의 하부에 상기 상부 그립부재와 대향되게 배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그립부재와 함께 상기 터미널 핀을 그립하는 하부 그립부재와; 상기 하부 몸체의 후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몸체 및 상기 하부 그립부재를 운동하게 하는 하부 구동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PUSHER FOR DEVICE OF PUSHING CONNECTOR PIN}
본 발명은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이하 커넥터라 함)는 전선, 케이블, 회로기판, 및 전기전자기기 등을 서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통 회로보드(PCB)측에는 하우징(또는 소켓)이 고정되고 케이블의 커넥터가 하우징에 결합됨으로써 데이터 통신이나 통전이 가능하다.
도 1a에는 일반적인 커넥터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도 1a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커넥터(10)는 플라스틱 소재의 하우징(11)과, 이 하우징(11)에 삽입 및 고정되는 금속 소재의 터미널 핀(1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 내의 빈 공간(11a)이 형성되고, 이 빈 공간(11a) 내에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터미널 핀(12)을 하우징(11) 내의 삽입공에 삽입함으로써 커넥터(10)가 조립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터미널 핀(12)은 벤딩되어 케이블의 커넥터와 결합되는 커넥션 핀(12a)과, 전자기기 등의 회로보드(PCB)에 삽입 고정되는 회로 핀(12b)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션 핀(12a)은 전자기기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하우징(11)의 빈 공간(11a)을 통해 케이블의 커넥터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10)를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는 터미널 핀 조립장치가 이미 고안되어 있다.
이러한 터미널 핀 조립장치의 일 예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8863호(2016.04.07)에 개시된 '커넥터용 터미널 핀 커팅 및 삽입 장치'가 있다.
상기한 '커넥터용 터미널 핀 커팅 및 삽입 장치'에 의해 하우징(11)에 다수개의 터미널 핀(12)이 삽입이 되면, 하우징(11)에 조립된 터미널 핀(12) 전체를 잡아(gripping) 벤딩을 하면, 상기 회로 핀(12b)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2a 및 도 2b에는 상기와 같이 터미널 핀(12)을 하우징(11)에 삽입하는 푸싱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푸싱장치(130)는, 승강블록(172)과, 이 승강블록(172)의 상부에서 엘엠(LM) 가이드 블록(108,134)에 의해 전, 후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장치(171)와, 이 슬라이딩장치(171)의 상부에 설치되어 터미널 핀(12)을 잡아 하우징(11)에 삽입하는 푸셔(1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2b에서 도면번호 132 및 137은 푸셔(131)의 위치를 가이드 및 조정하는 조정장치고, 135는 상기 엘엠(LM) 가이드 블록(108,134)용 브라켓을 나타내 보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푸싱장치(130)의 푸셔(131)는 전진을 하면서 핀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터미널 핀(12)을 그립핑하고, 푸싱장치(130)의 선단으로 공급되는 하우징(11)을 향해 전진하기 위해, 상기 터미널 핀(12)은 하부 그립퍼(131a)와 상부 그립퍼(131b)에 의해 그립핑된다.
또한, 상기 푸싱장치(130)의 전진시 푸싱장치(130)의 하부에 설치되어 푸싱장치(130)를 승강시키며 지지하는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하며 전진 운동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푸싱장치(130)의 푸셔(131)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그립퍼(131a)와 상부 그립퍼(131b)가 일체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하부 그립퍼(131a) 또는 상부 그립퍼(131b) 또는 이들 그립퍼(131a,131b)를 지지하는 몸체에 불량, 예컨대, 스크레치, 휨 또는 탈락 등이 발생되면 푸셔(131)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푸셔(131)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공이 어렵고, 이 또한 비용 증가의 원인을 제공한다.
또한, 불량이 발생되면 푸셔(131)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푸셔(131)의 교체 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커넥터 핀 삽입 작업이 중단된다.
이에 따라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고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푸셔에 불량이 발생되면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는, 다수의 터미널 핀을 그립하여 커넥터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핀 푸싱장치에 설치된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전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터미널 핀을 그립하는 상부 그립부재와;
상기 상부 몸체의 후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몸체 및 상기 상부 그립부재를 운동하게 하는 상부 구동부와;
상기 커넥터 핀 푸싱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에 상기 상부 몸체와 대향되게 배치된 하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전단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 그립부재의 하부에 상기 상부 그립부재와 대향되게 배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그립부재와 함께 상기 터미널 핀을 그립하는 하부 그립부재와;
상기 하부 몸체의 후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몸체 및 상기 하부 그립부재를 운동하게 하는 하부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푸셔를 기능 별로 구분하여 분리되도록 하고, 분리된 각 부재를 체결부재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푸셔 중 어느 부재에 손상(또는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손상된 부재만을 쉽게 교체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푸셔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푸셔의 유지보수가 편리해졌으며,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 푸셔가 기능별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이 쉽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커넥터의 측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정면도.
도 2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커넥터용 터미널 핀 커팅 및 삽입 장치 중 푸싱장치의 요부 상세 구성도.
도 2b는 도 2a의 요부 구성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의 구성을 나타낸 조립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
도 5a는 도 3의 정면도.
도 5b는 도 5a의 평면도.
도 6은 도 3의 상부 및 하부 그립부재의 요부 구성의 상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의 구성을 나타낸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a에는 도 3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b에는 도 5a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3의 상부 및 하부 그립부재의 요부 구성의 상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200)는, 터미널 핀(P)이 커팅된 도 1a 및 도 1b와 같은 다수의 터미널 핀(12)을 그립(grip)하여 커넥터(10)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도 2a 및 도 2b의 커넥터 핀 푸싱장치(130)의 일측에 설치된 상부 몸체(210)와, 이 상부 몸체(210)의 전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커넥터용 터미널 핀(P)을 그립하는 상부 그립부재(230)와, 상기 상부 몸체(210)의 후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부 몸체(210) 및 상부 그립부재(230)를 운동하게 하는 상부 구동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200)에는, 상기 커넥터 핀 푸싱장치(13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부 몸체(210)의 하부에 상부 몸체(210)와 대향되게 배치된 하부 몸체(220)와, 이 하부 몸체(220)의 전단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부 그립부재(230)의 하부에 상부 그립부재(230)와 대향되게 배치되게 설치되어, 상부 그립부재(230)와 함께 터미널 핀(12)을 그립하는 하부 그립부재(240)와, 상기 하부 몸체(220)의 후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하부 몸체(220) 및 하부 그립부재(240)를 운동하게 하는 하부 구동부(270)가 구비된다.
또한, 도 6에 보다 상세하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그립부재(230)에서 터미널 핀(12)을 그립하는 상부 그립부(233)에는, 터미널 핀(P)을 눌러 그립할 수 있도록 상부 그립부(233) 하부로 돌출한 돌출부(233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그립부재(240)에서 터미널 핀(12)을 그립하는 하부 그립부(243)에는, 터미널 핀(12)을 삽입하여 그립할 수 있도록 삽입홈(243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그립부(243)의 안쪽 끝단부에는 높이가 낮아지는 단차부(243b)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 그립부재(230)와 거리가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그립부재(230) 및 하부 그립부재(240) 각각에는 상부 몸체(210) 및 하부 몸체(220)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결합부(231,241)와, 이 결합부(231,241)에서 폭이 급격히 줄어들게 폭줄임부(231a,241a)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그립부(233)와 하부 그립부(243)를 연결하는 연결부(232,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그립부재(230)와 하부 그립부재(240)는, 상부 몸체(210)와 하부 몸체(220)에 각각 제1체결부재(250)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210)와 하부 몸체(220) 각각에는 상부 그립부재(230)와 하부 그립부재(240)를 상부 몸체(210)와 하부 몸체(220) 각각에 대해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211,221)가 형성된다.
이러한 길이 조절부(211,221)는 상기 제1체결부재(250)의 체결 위치가 변동되도록 상부 몸체(210) 및 하부 몸체(220)에 각각 형성된 체결홈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부 몸체(210)와 하부 몸체(220), 상부 그립부재(230) 및 하부 그립부재(240)에는 제1체결부재(250)가 체결되도록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절부(211,221)에는 체결홀(251,2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210)와 상부 구동부(260), 하부 몸체(220)와 하부 구동부(270)는, 제2체결부재(292)에 의해 체결되되, 상부 몸체(210) 및 하부 몸체(220) 각각에는 상부 구동부(260)와 하부 구동부(270)가 삽입 결합되도록 결합홈(213,223)이 형성되어 체결된다.
이렇게 상부 몸체(210)와 하부 몸체(220)가 상부 구동부(260) 및 하부 구동부(270)와 각각 체결되도록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홀(292a)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 구동부(260)와 하부 구동부(270)에는 각각 캠팔로워(28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캠팔로워(280)는 커넥터 핀 푸싱장치(130)의 예컨대, 캠, 엘엠가이드 등의 다른 구동장치들과 연동되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200)가 승강 및 전, 후진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푸싱장용 푸셔(20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은 커넥터 핀 푸싱장치(130)의 일측에 설치되어도 1a 및 도 1b와 같은 커넥터(10)가 조립되도록 커넥터 핀(12)을 그립하는 것으로, 상부 몸체(210), 상부 그립부재(230) 및 상부 구동부(260)로 구성되고, 그리고 이들과 대향되게 그 하부에 하부 몸체(220), 하부 그립부재(240) 및 하부 구동부(270)로 각각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부재는 제1,2체결부재(250,292)로 체결되어 있으므로, 각 부재의 교체시 상기 제1,2체결부재(250,292)만 풀면 되므로, 교체가 용이하다.
따라서 커넥터 핀 푸싱장치(130)가 운전 중, 어느 부재에 손상이 되는 경우, 그 손상된 부재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그립부재(230)의 상부 그립부(233)에는 돌출부(23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그립부재(240)의 하부 그립부(243)에는 삽입홈(243a)이 형성되어 있어, 터미널 핀(12) 그립시 터미널 핀(12)을 안정되게 그립할 수 있어, 푸셔(200)의 운동을 안정되게 하면서 터미널 핀(12) 조립을 정밀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그립부(243) 안쪽 끝단부에 단차부(243b)가 형성되어 있어, 상부 그립부재(230)와의 거리가 항시 일정하게 이격되므로, 푸셔(200)의 안정된 운동이 보장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몸체(210) 및 하부 몸체(220)에 상부 그립부재(230), 하부 그립부재(240) 및 상부 구동부(260)와 하부 구동부(270)가 결합 및 체결되되, 상기 상부 몸체(210) 및 하부 몸체(220) 내부에서 결합되도록 거리 조절부(211,221)의 체결홈과, 결합홈(213,223)에서 결합 및 체결이 이루어지므로, 상부 몸체(210) 및 하부 몸체(220)에서 상부 그립부재(230), 하부 그립부재(240) 및 상부 구동부(260)가 돌출되는 정도가 최소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푸싱장용 푸셔(200)는, 커넥터 핀 푸싱장치(130)의 다른 부재들과의 간섭을 줄일 수 있어, 커넥터 핀 푸싱장치(13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2. 터미널 핀
130. 푸싱장치
200. 푸셔
210. 상부 몸체
220. 하부 몸체
230. 상부 그립부재
233. 상부 그립부
233a. 돌출부
240. 하부 그립부재
243. 하부 그립부
243a. 삽입홈
250. 제1체결부재
260. 상부 구동부
270. 하부 구동부
292. 제2체결부재

Claims (6)

  1. 다수의 터미널 핀을 그립하여 커넥터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핀 푸싱장치에 설치된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전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터미널 핀을 그립하는 상부 그립부재와;
    상기 상부 몸체의 후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몸체 및 상기 상부 그립부재를 운동하게 하는 상부 구동부와;
    상기 커넥터 핀 푸싱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에 상기 상부 몸체와 대향되게 배치된 하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전단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 그립부재의 하부에 상기 상부 그립부재와 대향되게 배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그립부재와 함께 상기 터미널 핀을 그립하는 하부 그립부재와;
    상기 하부 몸체의 후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몸체 및 상기 하부 그립부재를 운동하게 하는 하부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그립부재에서 상기 터미널 핀을 그립하는 상부 그립부에는, 상기 터미널 핀을 눌러 그립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그립부 하부로 돌출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그립부재에서 상기 터미널 핀을 그립하는 하부 그립부에는, 상기 터미널 핀을 삽입하여 그립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그립부 안쪽 끝단부에는 높이가 낮아지는 단차부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 그립부재와 거리가 이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그립부재와 상기 하부 그립부재는,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되고,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 각각에는 상기 상부 그립부재와 상기 하부 그립부재를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 각각에 대해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구동부, 상기 하부 몸체와 상기 하부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상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 각각에는 상기 상부 구동부와 상기 하부 구동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
KR1020160100270A 2016-08-05 2016-08-05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 KR101846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270A KR101846248B1 (ko) 2016-08-05 2016-08-05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270A KR101846248B1 (ko) 2016-08-05 2016-08-05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172A true KR20180016172A (ko) 2018-02-14
KR101846248B1 KR101846248B1 (ko) 2018-04-06

Family

ID=6122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270A KR101846248B1 (ko) 2016-08-05 2016-08-05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2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59194A (zh) * 2024-01-11 2024-02-13 成都速易联芯科技有限公司 一种40PINwafer自动组装设备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215B1 (ko) * 2012-06-01 2013-07-11 김해성 스티칭 머신
KR101208585B1 (ko) * 2012-09-20 2012-12-06 김근환 커넥터 핀 삽입 장치
KR101527397B1 (ko) * 2015-02-09 2015-06-09 조항일 스티칭 머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59194A (zh) * 2024-01-11 2024-02-13 成都速易联芯科技有限公司 一种40PINwafer自动组装设备及方法
CN117559194B (zh) * 2024-01-11 2024-04-05 成都速易联芯科技有限公司 一种40PINwafer自动组装设备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248B1 (ko) 2018-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0103B1 (en) Electrical connector
US9812801B2 (en) Cable holding member, plug connector, connector device, flat cable, and method for assembling plug connector
JP6058355B2 (ja) コネクタ
EP2688150A1 (en) Connector assemblies for connector systems
CN103066449A (zh) Led插座
CN101828311B (zh) 电连接器组件
US20190229455A1 (en) Connector
KR101652383B1 (ko) 커넥터
US7413451B2 (en) Connector having self-adjusting surface-mount attachment structures
KR20180091751A (ko) 전기 커넥터
KR101531751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US20140024269A1 (en) Connector assemblies for connector systems
KR101846248B1 (ko)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
US9553378B2 (en) Electrical connection unit between two electronic boards
KR101843322B1 (ko) 반도체 테스트용 소켓의 컨택핀 조립장치
US9583872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elastic engaging portion
CN108232497B (zh) 电子装置
US6431920B1 (en) Apparatus for assembling elements on a printed circuit board
JP6184022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US20200203863A1 (en) Circuit board assembly
KR101001881B1 (ko)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KR101014605B1 (ko) 기판실장형 터미널과 회로기판의 결합구조
US20230299523A1 (en) Receptacle and connector
KR20140006389A (ko) 파샬 타입 차량용 전원연결박스
KR20240058824A (ko) 기판 단자 삽입 장치 및 이에 의한 기판 단자 삽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