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520A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520A
KR20180014520A KR1020160097948A KR20160097948A KR20180014520A KR 20180014520 A KR20180014520 A KR 20180014520A KR 1020160097948 A KR1020160097948 A KR 1020160097948A KR 20160097948 A KR20160097948 A KR 20160097948A KR 20180014520 A KR20180014520 A KR 20180014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material
electrode
carbon coating
material layer
electrode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9895B1 (ko
Inventor
고영산
김민재
김기준
조채웅
이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7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895B1/ko
Priority to US16/316,230 priority patent/US10916778B2/en
Priority to CN201780042962.5A priority patent/CN109417190B/zh
Priority to PCT/KR2017/007666 priority patent/WO2018026117A1/ko
Publication of KR20180014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3Selection of materials containing carbon or carbonaceous materials as conductive part, e.g. graphite, carbon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전극판에 코팅된 카본 코팅층과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을 서로 상이하게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 전지가 개시된다.
일 예로, 제 1 전극판, 제 2 전극판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판은, 제 1 전극 집전체;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카본 코팅층; 및 상기 카본 코팅층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 1 전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카본 코팅층의 끝단과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은 서로 상이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카본 코팅층의 끝단과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 돌출부가 형성된 이차 전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서,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의 경우 휴대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전지 팩이 수십 개 연결된 전지 팩 단위의 대용량 전지의 경우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 및 파우치형을 들 수 있으며, 양, 음극판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separator)를 개재하여 형성된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케이스에 내장 설치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전극 조립체에는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가 연결되며, 이는 케이스 외부로 노출 및 돌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극판에 코팅된 카본 코팅층과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을 서로 상이하게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 1 전극판, 제 2 전극판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판은, 제 1 전극 집전체;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카본 코팅층; 및 상기 카본 코팅층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 1 전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카본 코팅층의 끝단과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은 서로 상이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카본 코팅층의 끝단과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은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카본 코팅층의 끝단에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에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은 상기 카본 코팅층의 끝단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카본 코팅층의 끝단과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본 코팅층은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과 상기 카본 코팅층의 끝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본 코팅층의 끝단과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은 기설정된 이격 거리를 갖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 거리는 1 내지 10 mm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차 전지는 전극판에 코팅된 카본 코팅층과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을 서로 상이하게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카본 코팅층과 전극 활물질층 각각의 돌출부의 겹침을 제거하여 이차 전지의 불량을 감소시키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카본 코팅층과 전극 활물질층은,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슬롯 다이 코팅 방식으로 코팅될 수 있는데, 이때 코팅 시작 영역 또는/및 코팅 종단 영역에 두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두꺼운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돌출부를 갖는 카본 코팅층과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이 서로 동일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된다면, 카본 코팅층과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돌출부)이 규정치 이상으로 두꺼워지고, 이에 따라 프레스 공정(pressing step)에서 활물질이 탈락할 수 있고, 또한 돌출부를 통해 전지 동작(충전 또는 방전) 중에 리튬 이온이 석출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돌출부를 갖는 카본 코팅층과 돌출부를 갖는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이 서로 상이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활물질 탈락 현상 및/또는 리튬 이온 석출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중 전극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중 도 4와 대응되는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이차 전지 중 전극판에 코팅된 2개의 코팅층의 끝단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이차 전지와, 2개의 코팅층의 끝단이 서로 상이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된 이차 전지를 비교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중 전극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는 전극 조립체(100) 및 상기 전극 조립체(100)를 수용하는 케이스(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100)는 제 1 전극판(110), 제 2 전극판(120)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130)가 적층 또는 권취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전극 조립체(110)는 상기 제 1, 2 전극판(120) 및 세퍼레이터(13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하고, 이를 권취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권취된 전극 조립체(110)는 상기 케이스(200) 내에 수용된다. 한편, 상기 제 1 전극판(110)은 음극일 수 있고, 상기 제 2 전극판(120)은 양극일 수 있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전극판(110)은 제 1 전극 집전체(111),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111)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코팅 영역(112) 및 상기 코팅 영역(112)이 형성되지 않은 제 1 전극 무지부(1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코팅 영역(112)은 후술할 카본 코팅층(113) 및 제 1 전극 활물질층(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본 코팅층(113)은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111)와 제 1 전극 활물질층(114) 사이에 개재되어 둘 사이의 계면 저항을 감소시키고 도전성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상기 카본 코팅층(113)은 이차 전지의 내부 저항을 감소시키고 충방전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판(110)이 음극일 경우,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111)는 전도성 금속 박판,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구리(Cu) 또는 니켈(Ni) 호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본 코팅층(113)은,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흑연,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탄소 섬유 및 불화 카본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탄소계의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114)은,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탄소 계열 물질, Si, Sn, 틴 옥사이드, 틴 합금 복합체, 전이 금속 산화물, 리튬 금속 나이트라이트 또는 금속 산화물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의 물질들로 본원발명의 제 1 전극판(110)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팅 영역(112)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에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전극판(110) 중 상기 코팅 영역(112)이 형성되지 않은 제 1 전극 무지부(115)에는 제 1 전극 탭(14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 탭(140)의 일단은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1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케이스(200)의 외부로 인출된다. 한편, 상기 제 1 전극 탭(140)의 상기 케이스(200)와 접촉하는 영역에는 절연을 위한 절연 필름(160)이 부착된다.
상기 제 2 전극판(120)은 제 2 전극 집전체(121), 상기 제 2 전극 집전체(121)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제 2 전극 활물질층(122) 및 상기 제 2 전극 활물질층(122)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전극 무지부(125)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전극판(120)이 양극일 경우, 상기 제 2 전극 집전체(121)는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박판,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알루미늄(Al) 호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 활물질층(122)은,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칼코게나이트(chalcogenide) 화합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예로 LiCoO2, LiMn2O4, LiNiO2, LiNiMnO2 등의 복합 금속 산화물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의 물질들로 본원발명의 제 2 전극판(120)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 전극판(120) 중 상기 제 2 전극 활물질층(122)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전극 무지부(125)에는 제 2 전극탭(15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극탭(150)의 일단은 상기 제 2 전극 무지부(1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케이스(200)의 외부로 인출된다. 한편, 상기 제 2 전극 탭(150)의 상기 케이스(200)와 접촉하는 영역에는 절연을 위한 절연 필름(160)이 부착된다.
상기 세퍼레이터(130)는 상기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 1, 2 전극판(110, 120) 사이의 단락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130)는 다공성 막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 사이에서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130)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그 물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세퍼레이터(130)는 상기 제 1, 2 전극판(110, 120)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2 전극판(110, 120)보다 폭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경우에 따라 세퍼레이터(130)는 유기 및/또는 무기 고체 전해질 자체일 수도 있다.
상기 절연 필름(160)은 상기 제 1, 2 전극탭(140, 150)과 케이스(2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상기 절연 필름(160)은, 예를 들면, PPS(polyphenylene sulfide), PI(polyimide) 또는 PP(polypropylene)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그 물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케이스(200)에는 전극 조립체(100)와 함께 전해액(미도시)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액은 충방전 시 이차 전지(100) 내부의 양극 및 음극에서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리튬 이온의 이동 매체 역할을 하며, 이는 리튬염과 고순도 유기 용매류의 혼합물인 비수질계 유기 전해액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전해액은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한 폴리머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 및/또는 무기 고체 전해질이 이용될 경우, 전해액이 없을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200)는 일체로 형성된 직방형의 파우치막을 한 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간을 절곡하여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20)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220)에는 프레스(press) 가공 등을 통하여 상기 전극 조립체(100) 및 전해액이 수용될 홈(221) 및 상기 상부 케이스(210)와의 실링을 위한 실링부(222)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극 조립체(100)가 파우치형 케이스(200)에 수용되어 이차 전지(10)를 구성하는 것을 개시하였으나,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이차 전지(10)는 파우치형 전지 외에 각형 전지 또는 원통형 전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전극 조립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께 및 길이가 과장되거나 축소되게 표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111)의 양면에는 코팅 영역(112)이 형성된다. 상기 코팅 영역(112)은 카본 코팅층(113) 및 제 1 전극 활물질층(114)을 포함한다. 상기 코팅 영역(1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111)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코팅 영역(112)은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111)의 양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카본 코팅층(113)은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111)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카본 코팅층(113)의 양측 끝단부에는 두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제 1 돌출부(113a)가 존재한다. 즉, 상기 카본 코팅층(113)이 코팅된 코팅 선단부와 종단부에는, 상기 선단부와 종단부를 제외한 다른 코팅 영역보다 더 두껍게 돌출된 제 1 돌출부(113a)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돌출부(113a)는, 상기 카본 코팅층(113)의 형성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111)에 상기 카본 코팅층(113)의 형성을 위한 슬러리를 도포할 때, 선단부(코팅이 시작되는 영역)와 종단부(코팅이 종료되는 영역)에는 공정 특성 상 슬러리의 솟음 현상이 발생된다. 이는 상기 슬러리와 코팅 기계의 특성 상 선단부와 종단부에서 코팅이 다소 불균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상기 카본 코팅층(113)의 선단부 및 종단부에는 슬러리의 솟음 현상에 의하여 제 1 돌출부(113a)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114)은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111)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114)은 상기 카본 코팅층(113)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114)의 양측 끝단부에는 제 2 돌출부(114a)가 존재한다. 즉,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114)이 코팅된 코팅 선단부와 종단부에는, 상기 선단부와 종단부를 제외한 다른 코팅 영역보다 더 높게 돌출된 제 2 돌출부(114a)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돌출부(114a)는,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114)의 코팅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113a)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돌출부(114a) 역시 공정 특성 상 슬러리의 도포 시 선단부와 종단부에서의 코팅 불균일에 의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카본 코팅층(113)의 끝단과 제 1 전극 활물질층(114)의 끝단은 서로 상이하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114)이 상기 카본 코팅층(113)의 끝단보다 더 연장되어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114)은 상기 카본 코팅층(113)에 비하여 더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114)은 상기 카본 코팅층(113)을 완전히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본 코팅층(113)은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114)에 의하여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114)의 끝단은 상기 카본 코팅층(113)의 끝단으로부터 기설정된 이격 거리(D)를 갖도록 위치한다. 또한, 상기 이격 거리(D)는 상기 제 1 돌출부(113a)와 제 2 돌출부(114a)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돌출부(114a)는 상기 카본 코팅층(113)의 끝단의 연장선(L1)과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114)의 끝단의 연장선(L2) 사이에 위치한다. 더불어, 상기 제 2 돌출부(114a)는 상기 카본 코팅층(113)의 끝단의 연장선(L1)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격 거리(D)는 1 내지 10 mm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114)의 끝단과 상기 카본 코팅층(113)의 끝단은 서로 상이하게 위치하므로, 상기 이격 거리(D)는 0이 될 수 없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격 거리(D)는 2.5 mm 내지 5 mm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이격 거리(D)가 2.5 mm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2 돌출부(113a, 114a)의 겹침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이격 거리(D)가 5 mm보다 크면, 상기 카본 코팅층(113)과 제 1 전극 활물질층(114)의 길이의 차이가 불필요하게 길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본 코팅층(113)의 끝단과 제 1 전극 활물질층(114)의 끝단을 서로 상이하게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제 1 돌출부(113a)와 제 2 돌출부(114a)의 중첩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2 돌출부(113a, 114a)의 중첩에 따른 이차 전지의 안전성 위험을 해소 가능하다.
즉, 상기 카본 코팅층(113)의 끝단과 제 1 전극 활물질층(114)의 끝단이 동일 선상에 위치할 경우, 제 1, 2 돌출부(113a, 114a)가 겹치게 되어 이차 전지의 취약 부분으로써 작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전극판(110)의 프레스 공정 시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 1, 2 돌출부(113a, 114a)의 겹침 영역에서 활물질 탈락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차 전지(10)의 충방전 시,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 1, 2 돌출부(113a, 114a)의 겹침 영역에서 리튬 이온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석출되는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리튬의 석출은 인접한 제 1, 2 전극판(110, 120) 또는 세퍼레이터(130)를 관통하여 이차 전지(10)의 발화를 초래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 1, 2 돌출부(113a, 114a)가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함으로써 코팅 영역(112)을 보다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2 돌출부(113a, 114a)의 중첩에 따른 극판 탈락을 감소시켜 공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튬 석출 현상을 제거하여 이차 전지의 불량을 감소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전극판(110)에만 카본 코팅층(113)이 형성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상기 카본 코팅층(113)은 제 2 전극판(120)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전극판(120)의 제 2 전극 집전체(121)와 제 2 전극 활물질층(122) 사이에도 카본 코팅층이 개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중 도 4와 대응되는 영역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코팅 영역(312)의 구조 외에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111, 도 3 참조)의 적어도 일면에는 코팅 영역(3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코팅 영역(312)은 카본 코팅층(313) 및 제 1 전극 활물질층(31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본 코팅층(313)과 제 1 전극 활물질층(314)은 그 끝단부에 각각 제 1 돌출부(313a) 및 제 2 돌출부(314a)를 포함한다.
상기 카본 코팅층(313)의 끝단과 제 1 전극 활물질층(314)의 끝단은 서로 상이하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는 반대로 상기 카본 코팅층(313)이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314)의 끝단보다 더 연장되어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카본 코팅층(313)은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314)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314)은 상기 카본 코팅층(313)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또한, 상기 카본 코팅층(313)의 끝단부는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314)에 의하여 외측으로 노출된다.
특히, 상기 카본 코팅층(313)의 끝단과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314)의 끝단은 기설정된 이격 거리(D)를 갖도록 위치한다. 또한, 상기 이격 거리(D)는 상기 제 1 돌출부(313a)와 제 2 돌출부(314a)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돌출부(313a)는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314)의 끝단의 연장선(L3)과 상기 카본 코팅층(313)의 끝단의 연장선(L4) 사이에 위치한다. 더불어, 상기 제 1 돌출부(313a)는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314)의 끝단의 연장선(L3)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격 거리(D)는 1 내지 10 mm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314)의 끝단과 상기 카본 코팅층(313)의 끝단은 서로 상이하게 위치하므로, 상기 이격 거리(D)는 0이 될 수 없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격 거리(D)는 2.5 mm 내지 5 mm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이격 거리(D)가 2.5 mm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2 돌출부(313a, 314a)의 겹침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이격 거리(D)가 5 mm보다 크면, 상기 카본 코팅층(313)과 제 1 전극 활물질층(314)의 길이 차이가 불필요하게 길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본 코팅층(313)의 끝단과 제 1 전극 활물질층(314)의 끝단을 서로 상이하게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제 1 돌출부(313a)와 제 2 돌출부(314a)의 중첩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이차 전지의 활물질 탈락과 리튬 석출을 방지하여 이차 전지의 불량을 감소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팅 영역(312)의 구조와 앞선 실시예에 따른 코팅 영역(112)의 구조는 함께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제 1 전극판(110) 중 코팅 영역의 일측 끝단부는 첫번째 실시예의 코팅 영역(112)의 구조가 적용되고, 타측 끝단부는 두번째 실시예의 코팅 영역(312)의 구조가 적용되어 서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카본 코팅층은 제 2 전극판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전극판에 형성된 카본 코팅층과 제 2 전극 활물질층의 구조는 첫번째 실시예의 코팅 영역(112)의 구조가 단독으로 적용되거나, 두번째 실시예의 코팅 영역(312)의 구조가 단독으로 적용되거나, 혹은 두가지 실시예에 따른 코팅 영역(112, 312)의 구조가 혼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이차 전지 중 전극판에 코팅된 2개의 코팅층의 끝단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이차 전지와, 2개의 코팅층의 끝단이 서로 상이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된 이차 전지를 비교한 사진이다.
아래의 표 1은 카본 코팅층의 끝단과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 사이의 이격 거리(D)에 따른 활물질 탈락과 리튬 석출 여부를 관찰한 결과이다. 여기서, 이격 거리(D)는 카본 코팅층의 끝단을 원점(0)이라 가정하고, 이러한 원점을 기준으로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의 경우,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이 카본 코팅층의 끝단보다 길게 연장된 것을 의미하고, -의 경우,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이 카본 코팅층의 끝단보다 짧게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즉, 실시예1,2의 경우 첫번째 실시예에 개시된 코팅 영역(112)의 구조가 적용된 것이고, 실시예3,4의 경우 두번째 실시예에 개시된 코팅 영역(312)의 구조가 적용된 것이다.
표 1의 활물질 탈락의 경우, 제 1 전극판에 코팅 영역을 형성한 후 프레스 공정 시, 프레스 롤에 묻어나온 탈락된 활물질의 양이 일정 수준 이상인지의 여부를 관찰한 것이다.
리튬 석출의 경우, 전극 조립체에 일정 수준의 충방전을 진행하고, 이를 해체시켜 코팅 영역과 제 1 전극 무지부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 리튬이 석출되었는지의 여부를 관찰한 것이다. 이 때, 비교예1의 경우 도 6과 대응되며, 실시예 1의 경우 도 7과 대응된다.
D (mm) 활물질 탈락 리튬 석출
비교예 1 0 O O
실시예 1 +5 X X
실시예 2 +3 X X
실시예 3 -3 X X
실시예 4 -5 X X
비교예 1을 참조하면, 카본 코팅층의 끝단과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이 동일 선상에 위치할 경우(D=0 mm), 활물질 탈락 및 리튬 석출 현상이 발생되었다. 특히, 도 6을 참조하면, 코팅 영역(C)과 무지부(N) 사이의 경계에 석출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카본 코팅층과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돌출부가 서로 중첩됨으로써 코팅 영역의 끝단부에서 솟음 현상이 극대화되고, 결국 활물질 탈락 및 리튬 석출이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카본 코팅층의 끝단과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 사이의 이격 거리(D)가 +5 mm로 이루어질 경우(실시예1), 활물질 탈락 및 리튬 석출 현상이 발생되지 않았다. 특히, 도 7을 참조하면, 코팅 영역(C)과 무지부(N) 사이의 경계부만이 관찰될뿐, 리튬 석출은 관찰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카본 코팅층과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돌출부가 서로 중첩되지 않음으로써, 코팅 영역이 보다 균일화되고, 따라서 돌출부의 중첩에 따른 활물질 탈락 및 리튬 석출이 방지될 수 있음을 확인 가능하다.
또한, 카본 코팅층의 끝단과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 사이의 이격 거리(D)가 +3 mm, -3 mm, -5 mm로 이루어질 경우(실시예2,3,4)에도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극판에서 활물질 탈락 및 리튬의 석출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 1 전극판 중 카본 코팅층의 끝단과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이 서로 상이하게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돌출부가 서로 중첩되지 않음으로써 이차 전지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 전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이차 전지 100; 전극 조립체
110; 제 1 전극판 111; 제 1 전극 집전체
112; 코팅 영역 113; 카본 코팅층
113a; 제 1 돌출부 114; 제 1 전극 활물질층
114a; 제 2 돌출부 115; 제 1 전극 무지부
120; 제 2 전극판 130; 세퍼레이터
140, 150; 제 1, 2 전극탭 200; 케이스
312; 코팅 영역 313; 카본 코팅층
313a; 제 1 돌출부 314; 제 1 전극 활물질층
314a; 제 2 돌출부

Claims (9)

  1. 제 1 전극판, 제 2 전극판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판은,
    제 1 전극 집전체;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카본 코팅층; 및
    상기 카본 코팅층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 1 전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카본 코팅층의 끝단과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은 서로 상이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카본 코팅층의 끝단과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은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카본 코팅층의 끝단에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에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은 상기 카본 코팅층의 끝단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카본 코팅층의 끝단과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코팅층은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과 상기 카본 코팅층의 끝단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코팅층의 끝단과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끝단은 기설정된 이격 거리를 갖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거리는 1 내지 10 mm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KR1020160097948A 2016-08-01 2016-08-01 이차 전지 KR102619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948A KR102619895B1 (ko) 2016-08-01 2016-08-01 이차 전지
US16/316,230 US10916778B2 (en) 2016-08-01 2017-07-17 Secondary battery
CN201780042962.5A CN109417190B (zh) 2016-08-01 2017-07-17 二次电池
PCT/KR2017/007666 WO2018026117A1 (ko) 2016-08-01 2017-07-17 이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948A KR102619895B1 (ko) 2016-08-01 2016-08-01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520A true KR20180014520A (ko) 2018-02-09
KR102619895B1 KR102619895B1 (ko) 2024-01-02

Family

ID=61074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948A KR102619895B1 (ko) 2016-08-01 2016-08-01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16778B2 (ko)
KR (1) KR102619895B1 (ko)
CN (1) CN109417190B (ko)
WO (1) WO201802611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935A (ko) * 2018-02-20 2019-08-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23058998A1 (ko) * 2021-10-07 2023-04-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이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42572A (zh) * 2019-09-23 2021-03-23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锂离子电池正极极片及其制备方法和用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339A (ko) * 2005-06-22 2006-12-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140032624A (ko) * 2012-09-07 2014-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140069850A (ko) * 2012-11-30 201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에너지밀도의 리튬이온배터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18304A (ko) * 2014-04-14 2015-10-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3268B2 (ja) * 1996-12-11 2007-11-07 宇部興産株式会社 電極シート及び電池
JP4201619B2 (ja) * 2003-02-26 2008-12-24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れに使用する電極の製造方法
JP2005183806A (ja) * 2003-12-22 2005-07-07 Tdk Corp 電気化学キャパシタ
KR101101153B1 (ko) 2007-04-26 2012-0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소나노튜브가 코팅된 이차전지용 집전체 및 이를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0966604B1 (ko) * 2007-11-19 2010-06-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JP5540570B2 (ja) * 2008-09-26 2014-07-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双極型二次電池、双極型二次電池の製造方法、双極型電極、双極型電極の製造方法、組電池
JP5471018B2 (ja) * 2009-04-30 2014-04-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双極型電極の製造方法、双極型電極、双極型二次電池の製造方法、双極型二次電池、組電池、および車両
JP5504708B2 (ja) * 2009-06-25 2014-05-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双極型二次電池
CN102549693B (zh) 2009-07-30 2014-03-12 日本瑞翁株式会社 电化学元件用电极及电化学元件
KR101256066B1 (ko) 2011-06-08 2013-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및 그 제조 방법과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9905838B2 (en) * 2011-08-30 2018-02-27 Gs Yuasa International Ltd. Electr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281706B2 (ja) 2011-10-25 2013-09-0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集電体、集電体の製造方法、電極および二次電池
JP5783029B2 (ja) 2011-12-16 2015-09-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の負極とその製造方法、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13187468A (ja) * 2012-03-09 2013-09-19 Daido Metal Co Ltd 電極
JP6233688B2 (ja) * 2012-09-13 2017-11-22 株式会社Gsユアサ 電極体、電極体の製造方法、及び電極体を備えた蓄電素子
JP6252841B2 (ja) * 2013-11-25 2017-12-27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WO2015087657A1 (ja) * 2013-12-12 2015-06-18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二次電池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339A (ko) * 2005-06-22 2006-12-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140032624A (ko) * 2012-09-07 2014-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140069850A (ko) * 2012-11-30 201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에너지밀도의 리튬이온배터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18304A (ko) * 2014-04-14 2015-10-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935A (ko) * 2018-02-20 2019-08-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10873103B2 (en) 2018-02-20 2020-12-22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he same
WO2023058998A1 (ko) * 2021-10-07 2023-04-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이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6117A1 (ko) 2018-02-08
CN109417190B (zh) 2022-02-15
US20190237767A1 (en) 2019-08-01
CN109417190A (zh) 2019-03-01
US10916778B2 (en) 2021-02-09
KR102619895B1 (ko)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885B1 (ko) 둘 이상의 케이스 부재들을 포함하는 각형 전지셀
US7659014B2 (en) Electrode assembly having super-capacito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EP1998401B1 (en) Electrode assemble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US2011006722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for a rechargeable battery
US10686193B2 (en) Negative electrode comprising mesh-type current collector,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02408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ectangular battery cell using metal plates
KR20170074584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20170045564A (ko) 전지케이스의 내면이 전기 절연성 소재로 코팅되어 있는 전지셀
KR101933655B1 (ko) 전극 탭 부위에 형성된 만입부를 포함하는 전지셀
US20150340728A1 (en) Electrode assembly of incline structure and battery cell employed with the same
EP3067958A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electrode assembly
KR20110030306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2619895B1 (ko) 이차 전지
KR101336444B1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1515672B1 (ko) 2 이상의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이에 의한 전기 화학 소자
KR101431726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CN117981158A (zh) 隔膜、电极组件、圆柱形电池电芯、及电池组和包括该电池组的车辆
US20230041411A1 (en) Electrode and Electrode Assembly
TW201743492A (zh) 製造不規則結構的電極組的方法及具有不規則結構的電極組
CN108023092B (zh) 包括电活性材料的电池组电池和电池组
KR20170033543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20160096468A (ko) 단차를 갖는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0601561B1 (ko) 권취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
KR101606442B1 (ko) 전극의 구성이 상이한 단위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WO2022181363A1 (ja) リチウム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