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566A -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566A
KR20180013566A KR1020160097450A KR20160097450A KR20180013566A KR 20180013566 A KR20180013566 A KR 20180013566A KR 1020160097450 A KR1020160097450 A KR 1020160097450A KR 20160097450 A KR20160097450 A KR 20160097450A KR 20180013566 A KR20180013566 A KR 20180013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display unit
head
sub
uni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6227B1 (ko
Inventor
이하권
임광규
하재상
김석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야
Priority to KR1020160097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227B1/ko
Publication of KR20180013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3Adaptation to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motion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지그와 상부지그의 후방을 링크기구로 연결하여 상부지그를 닫을때 상부지그가 수평운동을 하면서 수평으로 닫치도록 하여 상부지그에 발생되는 외력의 불평형을 제거토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판상의 하부지그 본체(11)에 피체결부품 지지부재(12)를 형성한 하부지그(10)와; 판상의 상부지그 본체(21)에 서브지그 삽입부(22)를 형성하여 상기 서브지그 삽입부(22)에 피체결부품의 체결스크류의 수에 부합되는 가이드 포켓(24)을 설치한 서브지그(23)를 분해할 수 있게 설치한 상부지그(20); 및 상기 하부지그 본체(11)와 상부지그 본체(21)의 후방 양측에 레버A(52) 및 레버B(53)를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하여 상기 레버 A 및 B와 상기 하부지그 본체(11) 및 상부지그 본체(21)와 함께 4절 링크(51)를 형성하는 링크기구(5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Head Up Display Unit Assembly Jig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차량에는 주행상태에 관련된 여러가지의 정보가 표시된 계기판이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계기판은 속도계, 연료계, 온도계 및 여러가지의 경고등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운전자는 상기 계기판을 보게 됨으로써 현재의 차량의 주행상태를 파악하여 안전운전을 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계기판은 운전자가 주행운전중 용이하게 볼 수 있는 클러쉬 패드 전면에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운전자는 차량의 윈드 실드 글라스를 통하여 전방 시야를 주시하면서 운전하게 되며, 수시로 클래쉬 패드로 시선을 돌려서 계기판을 확인하고 있는데 이때 시선의 이동이 많고 또한 전방경치와의 사이에 눈의 초점거리의 변화도 많아지므로써 쉽게 피로를 느끼고, 특히 운전자가 계기판에 시선을 두는 사이 전방 시야를 주시하지 못하여 사고의 위험이 발생하기 쉬운 것이다.
상기한 운전자의 주행운전중 안전운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차량의 주행정보와 주변상황정보를 효과적으로 운전자에게 전달하여 주는 매체로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이 증가 추세에 있다.
상기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은 차량의 윈드 실드 글래스의 운전자의 주 시야선에 계기판의 정보인 속도, 주행거리, 회전수, 네비게이션 정보 등을 나타나게 하여 운전자가 운전중에도 쉽게 주행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는 전방도로로부터 시선을 떼지 않고 중요한 주행정보를 인지하여 안전운전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은 윈드 실드형과 콤바이너형으로 대별되는바, 상기 윈드 실드형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예는 5개의 공정을 결합하여 조립하는바, 즉 하부 케이스의 외부 저면에 결합하는 히트싱크 결정공정,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결합하는 PCB(제어기판)조립공정, 모터조립공정, 미러조립공정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하는 상부케이스 조립공정 순으로 완성품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종래의 상기 윈드 실드형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의 조립지그는 하부지그와 상부지그의 일측(후방)을 베어링을 부설한 힌지로 결합하여서, 상부지그의 회전을 원할하게 하고, 또한 상부지그를 2개로 분할하여 그 결합부를 베어링을 부설한 힌지핀으로 결합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원드 실드형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의 조립지그는 하부지그에 결합하려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의 부품 또는 반제품(모듈)의 스크류체결부를 수직이 유지되게 하는 피체결부품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부품 또는 반제품을 올려놓은 후 작업자가 하부지그와 상부지그의 힌지결합부의 반대편에서 상부지그를 힌지결합부를 지점으로 회전하여 상부지그를 닫아서 즉 하강시켜 피체결부품에 밀착시킨 후 스크류체결기에 의하여 스크류를 각 공정의 스크류 체결위치에 체결함으로써 모든 공정의 스크류의 체결이 완료되어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의 완성품이 조립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윈드 실드형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는 하부지그와 상부지그의 일측을 힌지 결합하였으므로 상부지그를 닫을 때 하부지그에 설치하는 피체결부품 지지부재에 올려놓은 피체결부품 또는 반제품이 상부지그의 중량 및 작업자의 조작력의 영향으로 상부지그에 가하여지는 외력에 불평형이 발생함으로써 변형되어 불량이 발생하고, 또한 상기와 같이 피체결부품 또는 반제품의 변형이 발생되면 스크류 체결위치와 스크류체결기의 축선이 변경됨으로써 스크류가 소정위치에 체결되지 못하여 이 또한 불량요인이 되는 것이다.
상기한 불량요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부지그를 2개로 분할하여 그 결합부를 힌지핀으로 힌지 결합하였으나, 작업자가 상부지그를 닫을때는 하부지그와 상부지그의 일측 힌지결합부의 반대편 끝 부분에 설치한 손잡이를 조작하여 상부지그를 닫을 때 그 결합부가 꺾이므로서 상부지그에 발생하는 외력의 불평형을 해소하지 못하여 제품의 불량요인의 감소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하부지그와 상부지그의 후방을 링크기구로 연결하여 상부지그를 닫을때 상부지그가 수평운동을 하면서 수평으로 닫치도록하여 상부지그에 발생되는 외력의 불평형을 제거토록 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상부지그를 닫을때 그 조작감을 경감함과 아울러 부드럽게 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상의 하부지그 본체에 피체결부품 지지부재를 형성한 하부지그와; 판상의 상부지그 본체에 서브지그 삽입부를 형성하여 상기 서브지그 삽입부에 피체결부품의 체결스크류의 수에 부합되는 가이드 포켓을 설치한 서브지그를 분해 할 수 있게 설치한 상부지그; 및 상기 하부지그 본체와 상부지그 본체의 후방 양측에 레버A 및 레버B를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하여 상기 레버 A 및 B와 상기 하부지그 본체 및 상부지그 본체와 함께 4절 링크를 형성하는 링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판상의 하부지그 본체에 피체결부품 지지부재를 형성한 하부지그와; 판상의 상부지그 본체에 서브지그 삽입부를 형성하여 상기 서브지그 삽입부에 피체결부품의 체결스크류의 수에 부합되는 가이드 포켓을 설치한 서브지그를 분해 할 수 있게 설치한 상부지그와; 상기 하부지그 본체와 상부지그 본체의 후방 양측에 레버A 및 레버B를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하여 상기 레버 A 및 B와 상기 하부지그 본체 및 상부지그 본체와 함께 4절 링크를 형성하는 링크기구; 및 상기 하부지그 본체와 레버 A 및 B에 각각 연결한 에어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하부지그와 상부지그의 후방을 링크기구로 형성하여 상부지그를 닫을때 상부지그가 수평운동을 하면서 평형을 유지하면서 닫치도록 하였으므로 피체결부품의 모든 조립공정에서 부품 또는 반제품의 변형이 방지되고, 상기와 같이 피체결부품 또는 반제품의 변형이 방지되고 불량율이 획기적으로 감소되므로 생산성이 증대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부지그 본체와 레버 A 및 B 사이에 에어 실리더를 연결하여 상부지그를 열고 닫을 때 그 조작력을 경감함과 아울러 조직감을 부드럽게 함으로써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고, 이 또한 작업능률을 향상에 의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부지그를 열림상태로 하고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부지그의 닫침상태 측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부지그의 열림상태 측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부지그의 닫침 또는 열림 중간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부지그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의 상부지그의 열림상태 종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실시예의 상부지그의 닫침상태 측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실시예의 상부지그의 열림상태 측면도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실시예의 상부지그 열림 또는 닫침 중간상태 측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지그(10), 상부지그(20) 및 링크기구(50) 대별된다.
상기 하부지그(10)는 판상의 하부지그 본체(11)에 피체결부품 또는 피체결 반제품 (모듈) 지지부재(12)를 형성하는바; 상기 피체결부품 지지부재(12)는 하부지그 본체(11)에 피체결부품의 스크류 체결위치를 수직으로 유지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 피체결부품 지지부재(12)는 하부지그 본체(11)에 각 조립공정에 부함되는 기둥형, 블록형 등 임의의 형상 및 높이로 분해할 수 있게 설치하거나, 별도의 지지판(미도시)에 기둥형, 블록형 등으로 형성하여서 상기 지지판을 하부지그 본체(11)에 분해할 수 있게 설치하여서 다양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에 공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피체결부품 지지부재(12)는 각 조립공정별도 각각 제작하여 하부지그 본체(11)에 직접 고정 설치하여 조립공정별로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그 본체(11)의 후방 양측에는 지지판(13)을 설치하여 후술하는 레버A(52) 및 레버 B(53)를 연결하기 위한 지지벽(14)를 형성하며, 하부지그 본체(11)의 중앙부 양측에는 후술하는 상부지그(20)의 스톱퍼 기능을 하는 받침기둥(15)을 설치하여 상부지그(20)를 닫았을때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상부지그(20)는 판상의 상부지그 본체(21)에 서브지그 삽입부(22)를 관통되게 형성하여 상기 서브지그 삽입부(22)에 피체결부품의 체결스크류의 수에 부합되는 깔대기 형상의 가이드 포켓(24)을 임의의 위치에 설치한 서브지그(23)를 분해할수 있게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그 본체(21)의 후방 양측면에 후술하는 레버 A(52) 및 B(53)를 연결하기 위한 지지편(38)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서브지그(23)는 서브지그(23)의 외주면과 상부지그 본체(26)에 형성한 서브지그 삽입부(22)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3조의 클램핑수단(25)에 의하여 각 조립공정별로 필요한 서브지그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클램핑수단(25)은 도 4와 같이 상부지그 본체(21)의 서브지그 삽입부(22)인접위치에 지지부재(26)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재(26)에 지지관(27)을 설치하여 상부에 걸림턱(29)을 형성한 코일스프링(30) 부설 지지핀(28)을 승강할 수 있게 삽입하며, 상기 지지핀(28)의 하단에는 볼지지면(31)과 테이퍼면(32)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코일스프링(30)의 인장 상태일때의 상기 지지관(27)의 볼지지면(31)의 원주방향에 볼지지홈(33)을 형성하고 지지부재(26)에 볼걸림턱(34)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관(27)의 상단에 받침핀(35)을 설치하여 걸림턱(29)에 형성한 지지공(36)에 지지하며, 볼지지홈(33)에는 볼(37)을 수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27)의 상단에는 서브지그(23)의 상기 클램핑수단(25)의 인접위치에 설치한 지지링(38)을 끼운 것이다.
상기 클램핑수단(25)은 코일스프링(30)의 인장상태 시 (도 4 참조)에는 지지핀(28)의 하단에 형성한 볼 지지면(31)에 볼(37)의 일측면이 접촉되고 볼(37)의 타측면은 지지부재(26)형성한 볼 걸림턱(34)에 걸림되어 있으므로 지지핀(28)은 지지부재(26)에 구속된 상태에 있게 되고 서브지그(23)에 설치한 지지링(37)은 지지관(27)에 끼워진 상태에 있으므로 서브지그(23)는 상부 지그본체(2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서브지그(23)가 상부지그 본체(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서브지그(23)를 분리할 때에는 지지핀(28)의 상단에 형성한 걸림턱(29)을 상승시켜, 받침핀(35)에서 분리한 후 일정각도로 회전시켜 걸림턱(29)의 하면을 받침핀(35)의 상단에 지지하면 지지핀(28)의 하단에 형성한 볼지지면(31)에 접촉되어 있던 볼(37)이 테이퍼면(32)으로 이동됨에 따라 지지부재(26)에 형성한 볼 걸림턱(34)에서 볼(37)의 구속이 해제됨으로 클램핑수단(25)의 지지관(27) 및 지지핀(28)은 지지부재(26)에서 분리되며, 상기와 같이 지지관(27)이 지지부재(26)에서 분리되면 서브지그(23)에 설치한 고정링(38)이 클램핑수단(25)에서 해방되므로 서브지그(23)를 상부지그 본체(21)에서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포켓(24)은 도 5와 같이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포켓(24)의 하방에 어댑터(41)를 설치하여 스크류 조(42)를 조 클램프(43)로 설치한 것으로서, 가이드 포켓(24)을 서브지그(23)에 설치함으로써 종래 가이드 포켓을 스크류체결기의 하방에 고정하던 것에 비하여 스크류체결기를 정확한 위치에 양호하게 안내할 수 있고, 또한 스크류 조(42)를 가이드 포켓(24)의 하방에 직접 설치함으로써 스크류를 스크류 체결위치까지 양호하게 유도할 수 있고 스크류 조(42)의 설치가 간편한 것이다.
상기 링크기구(50)는 상기 하부지그 본체(11)의 후방 양측에 형성한 지지벽(14)과 상기 상부지그 본체(21)의 후방 양측면에 설치한 지지편(38) 사이에 레버A(52) 및 레버B(53)를 일정간격을 두고 핀(54)(55)으로 각각 양단을 연결하여서, 상기 하부지그 본체(16) 및 상부지그 본체(21)와 함께 4절 링크(51)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한 4절 링크(51)는 하부지그 본체(11)를 고정링크로 형성하여 상부지그(20)가 수평이동 동작을 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레버A(52) 및 레버B(53)의 양단을 지지벽(14)및 지지편(38)에 핀 (54)(55)으로 연결할 때 베어링을 부설할 수 있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39는 조작 손잡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부지그(20)가 열림상태(도 2b 참조)에서 하부지그 본체(11)에 부설한 피체결부품 지지부재(12)에 피체결부품 또는 반제품을 올려놓은 후 작업자가 조작손잡이(39)를 잡고 잡아당기면 레버A(52) 및 레버B(53)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부지그(20)가 도 2C와 같이 수평이동 동작을 하면서 닫치게 되며, 레버B(53)가 받침기둥(15)에 접촉되면 상부지그(20)가 완전히 닫치게 되는 것이다(도 2a 참조)
상기와 같이 상부지그(20)가 완전히 닫치면 가이드 포켓(24)의 중심선과 피체결부품의 스크류 체결위치의 축선이 일치되므로 스크류체결기에 스크류를 공급하면서 스크류체결기에 의하여 미리 정하여진 순서대로 스크류를 체결하여 각 조립공정을 수행(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된 윈드실드형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의 예의 경우 5개의 조립공정)하여 완성품의 조립을 완료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완성품의 조립을 완료한 후 작업자가 조작손잡이(39)를 잡고 상부지그(20)를 후방측으로 밀면 레버A(52) 및 레버B(5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부지그(20)가 수평이동 동작을 하면서 도2b 상태로 열리는 것이다.
상기한 피체결부품의 조립설명은 1조의 조립지그에 의하여 피체결부품 또는 반제품을 조립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의 조립 작업에 있어서는 각 조립공정별로 각각의 조립지그를 설치하는바, 상기한 윈드 실드형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의 예의 경우에는 5조의 조립지그를 설치하여 조립공정 순으로 조립하여 완성품을 조립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5조의 조립지그에 의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을 조립할 때 하부지그 본체(11)에는 각 공정에 부합되는 피체결부품 지지부재(12)를 설치하고, 서브지그(23)의 가이드 포켓(24)도 스크류 체결위치에 따라 그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스크류 조(42)도 임의 길이의 것을 선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지그(10)와 상부지그(20)의 후방을 레버A(52) 및 레버B(53)로 연결하여 하부지그 본체(11) 및 상부지그 본체(21)와 함께 4절 링크(51)를 형성함으로써 상부지그(20)가 닫칠때 수평이동 동작을 하게 되기 때문에 피체결부품 또는 반제품의 변형이 방지되고, 또한, 상부지그에 가하여지는 외력의 불평형이 방지되므로 피체결부품 등의 스크류 체결위치와 스크류체결기의 축선이 일치됨므로써 불량율이 대폭감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지그 본체(11)의 후방 양측에 형성한 지지벽(14)과 레버A(52) 및 레버B(53)의 상부에 에어 실린더(60A)(60B)를 추가 연결한 것이다.
상기 에어 실린더(60A)를 레버A(52)에 연결할때 양측의 레버A(52) 사이에 지지봉(61)을 설치하여 에어 실린더(60A)의 상단을 상기 지지봉(61)에 연결하며, 에어 실린더(60B)의 상단은 레버B(53)에 직접 연결한 것이다.
상기 에어 실린더 (60A)(60B)는 주지된 복동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에어 실린더(60A)(60B) 상하부에 에어도관을 연결하고, 상기 에어도관에는 방향제어 밸브(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며, 실리더에는 실린더 센서를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 실린더(60A)(60B)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Programable Logic Controller, P,L,C)에 의하되 제어되며, PLC에 의하여 방향제어 밸브의 A포트에 신호를 주면 에어 실린더(60A)(60B)가 조작자의 닫는힘과 함께 후진을 하여 상부지그(20)가 닫치고, B포트에 신호를 주면 조작자의 여는힘과 함께 에어 실린더(60A)(60B)가 전진을 하여 상부지그(20)가 열리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에어 실린더(60A)(60B)가 후진할 때 실리더 센서가 검지한 신호가 PLC에 입력되어 경보수단(미도시)을 발령토록 함으로써 조작자는 상부지그(20)의 닫침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있는 것이다.
상기한 방향제어 밸브에 신호를 주는 방법에서 A포트에 신호를 줄 때 에어 실린더가 후진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B포트에 신호를 줄 때 에어 실린더(60A)(60B)가 후진을 할 수도 있으며, 이 신호를 주는 방법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의 설계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는 조작자가 상부지그(20)를 닫을때 에어 실린더(60A)(60B)를 이용하므로 상부지그(20)를 닫는 조작력을 경감함과 아울러 조작감을 부드럽게 함으로써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고, 또한 작업능률의 향상에 의하여 생산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실시예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버A(52)와 같이 레버B(53)를 링케이지(70)으로 연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실시예와 상기 실시예 및 변형 실시예와 차이되는 점은 상기 링케이지(70) 밖에 없으므로 상기 실시예 및 변형 실시예와 동일한 기술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되는 링케이지(70)에 대하여서만 설명한다.
상기 링케이지(70)는 제1링크(71)와 제2링크(72)로 구성되며, 상기 제1링크(71)와 제2링크(72)는 핀으로 연결하고, 레버A(52)와 제1링크(71)는 핀으로 연결하며, 레버B(53)와 제2링크(72)는 볼트 등으로 고정한 것이다.
상기 다른 변형 실시예는 도 7b의 열림상태에서 도 7c의 닫침 중간상태를 거쳐서 도 7a와 같이 닫치는바, 레버A(52)와 레버B(53)사이에 링케이지(70)를 연결하였으므로 상부지그(20)를 열고 닫을때 상부지그(20)의 요동을 방지 함으로써 상부지그(20)의 평형을 안정화할 수 있는 것이다.
10: 하부지그 20: 상부지그 23: 서브지그
24: 가이드 포켓 25: 클램핑수단 50: 링크기구
51: 4절링크 52,53: 레버 A 및 B
60A,60B: 에어 실린더 70: 링케이지

Claims (12)

  1. 판상의 하부지그 본체에 피체결부품 지지부재를 형성한 하부지그와;
    판상의 상부지그 본체에 서브지그 삽입부를 형성하여 상기 서브지그 삽입부에 피체결부품의 체결스크류의 수에 부합되는 가이드 포켓을 설치한 서브지그를 분해 할 수 있게 설치한 상부지그; 및
    상기 하부지그 본체와 상부지그 본체의 후방 양측에 레버A 및 레버B를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하여 상기 레버 A 및 B와 상기 하부지그 본체 및 상부지그 본체와 함께 4절 링크를 형성하는 링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
  2. 판상의 하부지그 본체에 피체결부품 지지부재를 형성한 하부지그와;
    판상의 상부지그 본체에 서브지그 삽입부를 형성하여 상기 서브지그 삽입부에 피체결부품의 체결스크류의 수에 부합되는 가이드 포켓을 설치한 서브지그를 분해 할 수 있게 설치한 상부지그와;
    상기 하부지그 본체와 상부지그 본체의 후방 양측에 레버A 및 레버B를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하여 상기 레버 A 및 B와 상기 하부지그 본체 및 상부지그 본체와 함께 4절 링크를 형성하는 링크기구; 및
    상기 하부지그 본체와 레버A 및 B에 각각 연결한 에어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부지그 본체를 고정링크로 형성하여 상부지그가 수평이동 동작을 하도록 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이드 포켓은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포켓 하방에 어댑터를 설치하여 스크류 조를 조 클램프로 체결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서브지그는 상부지그 본체의 서브지그 삽입부의 인접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3조의 크램핑수단에 의하여 분해할 수 있게 결합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
  6. 제5항에 있어서, 크램핑수단은 상부지그 본체의 서브지그 삽입부의 인접위치에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관을 설치하여 코일 스프링으로 지지된 지지핀을 승강할 수 있게 삽입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와 지지핀의 하방에 걸림용 볼을 삽입하며, 상기 지지관의 상단에는 서브지그에 설치한 지지링을 끼운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부지그 본체에 상부지그의 스톱퍼 기능을 하는 받침기둥을 설치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
  8. 제2항에 있어서, 에어 실린더에 설치한, 실린더 센서가 상부지그가 닫쳤을 때 검지하는 신호를 PLC에 입력하여 경보수단을 발령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부지그 본체에 형성하는 피체결부품 지지부재는 별도로 형성하여 하부지그 본체에 분해할 수 있게 설치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부지그 본체에 형성하는 피체결부품 지지부재는 하부지그 본체에 고정설치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부지그 본체에 형성하는 피체결부품 지지부재는 별도의 지지판에 형성하여 상기 지지판을 하부지그 본체에 분해할 수 있게 설치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레버 A 및 레버 B 사이에 링케이지를 연결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

KR1020160097450A 2016-07-29 2016-07-29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 KR101866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450A KR101866227B1 (ko) 2016-07-29 2016-07-29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450A KR101866227B1 (ko) 2016-07-29 2016-07-29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566A true KR20180013566A (ko) 2018-02-07
KR101866227B1 KR101866227B1 (ko) 2018-07-19

Family

ID=6120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450A KR101866227B1 (ko) 2016-07-29 2016-07-29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2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1237A (zh) * 2018-03-02 2018-09-0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夹具、电子设备螺钉的拆解方法及安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4207U (ko) * 1986-10-31 1988-05-18
JP2003025091A (ja) * 2001-04-26 2003-01-28 Honda Canada Inc 物品移送装置
KR20060131600A (ko) * 2005-06-16 2006-12-20 주식회사 인텍아이엠에스 입체 전개각을 갖는 수동지그가 장착된 3차원 측정기
KR100669365B1 (ko) * 2005-11-07 2007-01-16 김동호 침대 겸용 책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2350A (ja) * 1986-10-20 1988-05-07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H0637201Y2 (ja) * 1988-12-29 1994-09-28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のピストン位置検出装置
JPH10129323A (ja) * 1996-10-31 1998-05-19 Tachi S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4544731B2 (ja) * 2000-12-18 2010-09-15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ツイスト式クランプ装置
CN205165983U (zh) * 2015-11-27 2016-04-20 上海槎南工贸发展有限公司 法兰盘固定夹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4207U (ko) * 1986-10-31 1988-05-18
JP2003025091A (ja) * 2001-04-26 2003-01-28 Honda Canada Inc 物品移送装置
KR20060131600A (ko) * 2005-06-16 2006-12-20 주식회사 인텍아이엠에스 입체 전개각을 갖는 수동지그가 장착된 3차원 측정기
KR100669365B1 (ko) * 2005-11-07 2007-01-16 김동호 침대 겸용 책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1237A (zh) * 2018-03-02 2018-09-0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夹具、电子设备螺钉的拆解方法及安装方法
CN108481237B (zh) * 2018-03-02 2019-08-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夹具、电子设备螺钉的拆解方法及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227B1 (ko)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1956B2 (en) Vehicle cockpit with head-up display
US9234816B2 (en) Engine test device
KR101459465B1 (ko) 트렁크 리드 및 테일 게이트 공용 로딩 지그장치
KR101510338B1 (ko) 차량용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의 검사 장치
KR101866227B1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조립지그
CA2753523A1 (en) Aircraft structure manufacturing apparatus
US9421720B2 (en) Apparatus having cup attaching unit
KR20150071491A (ko) 도어 어셈블리 검사장치
KR101943732B1 (ko) 부시 자동 조립 장치
CN202452071U (zh) 一种滑台车载高速摄像机安装结构
KR101674472B1 (ko) 성형물 제품의 외관 검사장치
JPH1045067A (ja) ドアフレームの組付自動調整装置
CN206848191U (zh) 抬头显示汽车玻璃检测检具机构
CN216717991U (zh) 一种新型电子万能试验机
JP6715659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0856727B1 (ko) 평판 디스플레이용 글라스 육안 검사장치
CN218725176U (zh) 风挡玻璃安装工装及hud测试系统
CN114951050A (zh) 一种全自动化线终检装置及终检系统
CN111017072B (zh) 翼子板定位装置及翼子板定位方法
KR100685835B1 (ko) 가이드 검사를 겸한 가이드 삽입시스템
CN113588410A (zh) 一种亚克力塑胶板材抗弯折性能检测装置
KR101357406B1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마운팅부 정렬확인 게이지
KR101311137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프리세팅장치
CN2760500Y (zh) 一种摩托车变速踏板检测装置
ITMI961037A1 (it) Procedimento per l'installazione di una porta per veicolo montata con un servosupporto per serratura per l'esecuzione del procedimento n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