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956A -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 및 그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 및 그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956A
KR20180012956A KR1020160095881A KR20160095881A KR20180012956A KR 20180012956 A KR20180012956 A KR 20180012956A KR 1020160095881 A KR1020160095881 A KR 1020160095881A KR 20160095881 A KR20160095881 A KR 20160095881A KR 20180012956 A KR20180012956 A KR 20180012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toe
finger
elastic
elastic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689B1 (ko
Inventor
홍지만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95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689B1/ko
Priority to PCT/KR2017/007520 priority patent/WO2018021735A1/ko
Priority to US16/321,041 priority patent/US20190175378A1/en
Publication of KR20180012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61F5/0113Drop-foot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61F13/025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having a special distribution arrangement of the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69Tapes for dressing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3Adhesive bandages for winding around limb, trunk or head, e.g. co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8Elastic stockings; for contracting aneurisms
    • A61F13/085Openable re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0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0Suspensory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19Wound bandages elas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변형된 손가락 및 손목 또는 발가락 및 발목 관절을 교정하고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착용자의 손가락, 손등 및 손목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발가락, 발등 및 발목의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탄성을 갖는 것으로서, 손가락 또는 발가락 마디의 바깥 부분과 손등 또는 발등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띠 형상을 갖는 제1밴드; 손가락 또는 발가락 끝마디의 안쪽 부분을 감싸면서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측부를 함께 감싸기 위해 단부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제2밴드; 및 상기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밴드에서 상기 제2밴드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축소되었다가 확장된 폭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 및 그 장착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착자(환자)가 자신의 신체에 상기 탄력밴드를 장착하는 동안 이를 보조하는 장착장치를 이용하여 굴곡된 손가락 또는 발가락을 펼쳐 고정시킴으로써 환자가 스스로 상기 탄력밴드를 상지 및 하지에 장착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자세로 상기 탄력밴드의 부착 및 관절의 교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 및 그 장착장치{Elastic band for orthopraxis and reinforcement of upper extremity or lower limb and tools for attaching the same}
본 발명은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 및 그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뇌졸증 또는 신경 질환으로 인하여 상지 및 하지의 관절이 굴곡된 환자의 관절 자세를 교정하고 강화시키는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 및 그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졸중 또는 중추신경계의 질환이 발병한 환자는 운동장애가 동반되면서, 상지의 기능 장애가 발생하거나 손과 팔에서 굴곡 근이 강화되어 손목에 굴곡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발과 발목에서는 첨족(Equinus) 또는 발이 안쪽으로 휘어지는 내반(Varus)현상이 일어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신체의 변형은 기능적으로나 심미적인 부분에서 환자들의 사회생활의 불편을 초래하며, 특히 다리의 변형으로 인해 보행이 불가능해지고 팔의 변형으로 인하여 파지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위와 같은 장애를 교정하기 위하여, 딱딱하고 견고한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굴곡된 환자의 관절을 펴주어 생활하거나 재활치료를 받도록 권장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조기들은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져 피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장착 후에 그 밖으로 장갑이나 신발을 착복하는데 불편이 있어, 환자가 외부의 도움을 받아 착용하여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환자의 신체 모양에 맞춤 제작되어 환자 스스로도 착용이 용이한 보조기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한 기술로서 일본공개특허 제2106-96892호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재활치료자의 손가락 굴곡 신전 훈련을 하기 위한 장갑으로서, 오른쪽 또는 왼쪽의 2개의 장갑끼리가 상하에 적층 고정되고 하나의 장갑 내에 재활치료자 또는 시술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다른 장갑 내에 시술자 또는 재활치료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재활치료자 측의 손가락과 시술자 측의 손가락이 각각 대응하고 상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보조기는 여전히 운동기능이 저하된 환자가 스스로 착용하기에 불편함이 있으며, 반복적으로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위생적으로 관리가 어려워 신체와 접촉하는 부위에 세균 감염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착용자가 스스로 손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위생적으로 사용 가능한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 및 그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는, 변형된 손가락 및 손목 또는 발가락 및 발목 관절을 교정하고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착용자의 손가락, 손등 및 손목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발가락, 발등 및 발목의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탄성을 갖는 것으로서, 손가락 또는 발가락 마디의 바깥 부분과 손등 또는 발등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띠 형상을 갖는 제1밴드; 손가락 또는 발가락 끝마디의 안쪽 부분을 감싸면서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측부를 함께 감싸기 위해 단부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제2밴드; 및 상기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밴드에서 상기 제2밴드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축소되었다가 확장된 폭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력밴드는 상기 연결부의 하면에 부착되어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단부가 압박되는 것을 완화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변형된 손가락 및 손목 또는 발가락 및 발목 관절의 변형을 교정하고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탄력밴드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바닥 또는 발바닥이 안착할 수 있도록 상면이 손바닥 또는 발바닥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몸체;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단부가 안착할 수 있도록 상면이 손가락 또는 발가락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를 일체로 연결하고, 구부러진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펴질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의 장착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2몸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지고, 하방으로 만곡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장치는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펴진 상태로 손 또는 발을 고정시키는 고정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장치는, 상기 제2몸체에서 각 손가락 또는 발가락에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탄력밴드의 일단부 상면을 고정시키기 위한 벨크로가 설치된 제1벨크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장치는, 상기 제1몸체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몸체를 고정시키는 벨크로가 설치된 제2벨크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장치는, 상기 제1몸체의 후단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장치는, 상기 탄력밴드를 하지에 장착하는 경우, 발목을 감싸기 위한 외반교정용밴드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몸체의 상면에 설치된 벨크로가 구비된 제3벨크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 및 그 장착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상기 탄력밴드는 일회용으로 제조되어, 탄력밴드를 사용하는 동안 위생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탄력밴드의 오염으로 인한 세균의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착용자(환자)가 자신의 하지 또는 상지에 상기 탄력밴드를 장착하는 동안, 이를 보조하는 장착기구를 이용하여 굴곡된 환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을 펼쳐 고정시킴으로써 환자가 스스로 상기 탄력밴드를 상지 및 하지에 장착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자세로 상기 탄력밴드의 부착 및 관절의 교정이 가능하다.
셋째, 손가락과 손목 사이의 굴곡으로 물건을 파지할 수 없는 상태의 환자에 있어, 환자의 손가락과 손목이 펴지도록 하여 환자의 파지운동이 가능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넷째, 발가락과 발목 사이의 굴곡으로 발생하는 첨족 또는 내반이 발생한 환자에 있어, 발가락과 발목의 자세를 교정함으로써 환자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탄력밴드를 상지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1에서 나타낸 탄력밴드를 하지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탄력밴드를 상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나타낸 장착장치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상지 자세를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는 도 1에 나타낸 탄력밴드를 하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나타낸 장착장치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하지 자세를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탄력밴드를 상지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나타낸 탄력밴드를 하지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100: 이하 "탄력밴드"라 함)는 상지 및 하지의 일부를 감싸도록 부착되어 상기 상지 및 하지의 관절을 당김으로서, 그 관절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탄력밴드(100)는, 제1밴드(110), 제2밴드(120) 및 연결부(130)를 구비한다. 이러한 탄력밴드(10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그 하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 위로는 이형지를 도포하여 접착제를 보호하지만, 도면에서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 탄력밴드(100)가 상지 또는 하지에 사용되는 것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타 신체부위에 적용되어 다른 관절의 자세를 교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밴드(110)는 손가락 또는 발가락 마디의 바깥 부분과 손등 또는 발등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띠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1밴드는 장력을 가지며, 상기 손가락 또는 발가락을 탄성적으로 당긴다.
상기 제2밴드(120)는 손가락 또는 발가락 끝마디의 안쪽 부분을 감싼다. 이때 상기 제2밴드(120)는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측부를 함께 감싸기 위해 단부로 갈수록 폭이 확장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밴드(120)에서 폭이 확장된 부분은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측부를 감싸서, 상기 제2밴드(12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착용자(환자)가 느끼는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제1밴드(110)와 제2밴드(1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를 일체로 연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3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끝에서 절곡되게 부착되므로, 이러한 부착 형상에 부합하도록 상기 제1밴드(110)에서 제2밴드(120)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폭을 갖는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탄력밴드(100)는 완충부재(140)를 부착하여 착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단부가 압박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완충부재(140)는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인 연결부(130)의 하면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140)는 상기 제1밴드 및 제2밴드(110,120)의 장력으로 인하여 손가락 또는 발가락 끝이 상기 연결부(130)에 지나치게 가압되는 것을 완화시키며, 쿠션(Cushion)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력밴드(100)는 착용자의 상지 또는 하지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 마다 부착되어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관절 자세를 교정한다. 이때 도 2와 같이, 상기 탄력밴드(100)를 착용자의 상지에 부착하는 경우, 착용자의 각 손가락에 상기 복수의 탄력밴드(100)를 부착한 후 팔에 테이프 형태의 고정밴드(B)를 감아 상기 탄력밴드(100)의 끝단이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반면 도 3과 같이, 상기 탄력밴드(100)를 착용자의 하지에 부착하는 경우, 착용자의 각 발가락에 상기 복수의 탄력밴드(100)를 부착한 후, 착용자의 발바닥과 발목 및 종아리를 휘감는 외반교정용밴드(V)를 부가적으로 부착하여 상기 탄력밴드(100)의 끝단을 고정하는 동시에 착용자(환자) 발목 관절의 외반골절 현상을 교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력밴드(100)는 손가락과 손목 사이의 굴곡으로 물건을 파지할 수 없는 상태의 환자에 있어 환자의 손가락과 손목이 펴지도록 하여 환자의 파지운동이 가능하도록 보조할 수 있으며, 발가락과 발목 사이의 굴곡으로 발생하는 첨족 또는 내반이 발생한 환자에 있어 발가락과 발목의 자세를 교정함으로써 환자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탄력밴드(100)는 일회용으로 제작되어, 상기 탄력밴드(100)를 사용하는 동안 위생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탄력밴드(100)의 오염으로 인한 세균의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술한 탄력밴드(100)를 착용자의 상지 또는 하지에 부착하는 동안,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관절 자세를 바로 잡아주고 상지 또는 하지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탄력밴드의 장착장치(200,300: 이하, "장착장치"라 함)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장치(200)의 구조와 사용방법에 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장치(200)는 착용자의 상지 부위에 상기 탄력밴드(100)를 장착하는 동안, 착용자의 굴곡된 상지 자세를 고정하여 상기 탄력밴드(100)의 장착을 보조하는 장치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탄력밴드를 상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나타낸 장착장치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상지 자세를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장치(200)는, 착용자의 상지 부위에 상기 탄력밴드(100)의 장착을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몸체(210), 제2몸체(220), 탄성부(230)를 구비한다.
상기 제1몸체(210)는 착용자의 손바닥이 안착되는 것으로, 상면이 손바닥에 대응하는 형성을 갖는다. 여기서 착용자는 상기 제1몸체(210)를 전진하여 착용자의 손바닥과 맞닿으며 슬라이딩하도록 조작한다.
상기 제2몸체(220)는 손가락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상면이 손가락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2몸체(220)는 상기 제1몸체(210)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착용자의 구부러진 손가락을 밀어 펼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하방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상기 제2몸체(220)의 측단부는 착용자의 손가락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몸체(220)의 상면에는 후술(後述)할 제1벨크로부(250)가 설치되어 상기 탄력밴드(100)의 일단부가 상기 제2몸체(220)의 상면에 임시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230)는 상기 제1몸체(210) 및 제2몸체(220)를 연결하는 것으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230)는 상기 제2몸체(2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짐으로써, 휨에 의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안착된 손가락이 점차 펼쳐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230)는 하방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충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휨에 의한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장치(200)는 손가락이 펴진 상태로 착용자의 손을 상기 제1몸체(210)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벨트(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벨트(240)는 그 일단이 상기 제1몸체(210)의 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제1몸체(210)의 반대편 측단에 탈부착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벨트(240)는 단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벨크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장치(200)는 상기 제2몸체(220)에 상기 탄력밴드(100)를 임시로 고정시키기 위해 제1벨크로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벨크로부(250)는 상기 제2몸체(220)에서 각 손가락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탄력밴드(100)의 일단부 상면을 고정시키기 위한 벨크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벨크로부(250)에는 상기 제2밴드(120)의 접착력이 없는 상면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제2밴드(120)는 접착력을 갖는 하면이 안착되는 손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벨크로부(250)에 임시로 고정된 상기 탄력밴드(100)는, 상기 제2몸체(220)의 위로 착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되면 자연스럽게 제2밴드(120) 접착면에 손가락 끝마디의 안쪽 부분에 닿으면서 착용자의 손에 부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장착장치(200)는, 상기 제1몸체(210)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몸체(210)를 고정대상물에 고정시키는 제2벨크로부(2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상물로는 벨크로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섬유와 같은 천 재질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착용자는 상기 제1몸체(210)와 함께 손이 고정대상물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탄력밴드(100)의 제1밴드(110) 부분을 손가락의 뒤편과 손등에 부착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자세에서 부착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장착장치(200)는 상기 제1몸체(210)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손잡이부(27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착용자는 상기 탄력밴드(100)가 장착되지 않는 다른 손으로 상기 손잡이부(270)를 파지하여 상기 제1몸체(21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장치(300)의 구조와 사용방법에 관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장치(300)는 착용자의 하지 부위에 상기 탄력밴드(100)를 장착하는 동안, 착용자의 굴곡된 상지 자세를 고정하여 상기 탄력밴드(100)의 장착을 보조하는 장치이다.
도 6는 도 1에 나타낸 탄력밴드를 하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나타낸 장착장치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하지 자세를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장치(300)는 착용자의 하지 부위에 상기 탄력밴드(100)를 장착을 보조하는 것으로서, 제1몸체(310), 제2몸체(320), 탄성부(330)를 구비한다.
상기 제1몸체(310)는 발바닥이 안착되는 것으로, 상면이 발바닥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때 착용자는 상기 제1몸체(310)를 전진하여 착용자의 발바닥과 맞닿으며 슬라이딩하도록 조작한다.
상기 제2몸체(320)는 발가락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상면이 발가락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2몸체(320)는 상기 제1몸체(310)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착용자의 구부러진 발가락을 밀어 펼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하방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상기 제2몸체(320)는 측단부는 착용자의 발가락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몸체(320)의 상면에는 후술(後述)할 제1벨크로부(350)가 설치되어 상기 탄력밴드(100)가 상기 제2몸체(320)의 상면에 임시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330)는 상기 제1몸체(310) 및 제2몸체(320)를 연결하는 것으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330)는 상기 제2몸체(3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짐으로써, 휨에 의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안착된 발가락이 점차 펼쳐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330)는 하방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충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휨에 의한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장치(300)는 발가락이 펴진 상태로 착용자의 발을 상기 제1몸체(310)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벨트(3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벨트(340)는, 그 일단이 상기 제1몸체(310)의 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제1몸체(310)의 반대편 측단에 탈부착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벨트(340)는 단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벨크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장치(300)는 상기 제2몸체(320)에 상기 탄력밴드(100)를 임시로 고정시키기 위해 제1벨크로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벨크로부(350)는 상기 제2몸체(320)에서 각 발가락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탄력밴드(100)의 일단부 상면을 고정시키기 위한 벨크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벨크로부(350)에는 상기 제2밴드(120)의 접착력이 없는 상면이 고정되며, 이와 같이 고정된 제2밴드(120)는 접착력을 갖는 하면이 안착되는 발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벨크로부(350)에 임시로 고정된 상기 탄력밴드(100)는, 상기 제2몸체(320)의 위로 착용자의 발가락이 안착되면 자연스럽게 제2밴드(120) 접착면에 발가락 끝마디의 안쪽 부분에 닿으면서 착용자의 발에 부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장착장치(300)는, 상기 제1몸체(310)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몸체(310)를 고정대상물에 고정시키는 제2벨크로부(3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대상물은 섬유 재질의 천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착용자는 상기 제1몸체(310)와 함께 발이 고정대상물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탄력밴드(100)의 제1밴드(110) 부분을 발가락의 윗편과 발등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장착장치(300)는 상기 제1몸체(310)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손잡이부(3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손으로 상기 손잡이부(370)를 파지하여 상기 제1몸체(31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킨다.
한편 상기 장착장치(300)는 착용자의 발목을 감싸기 위한 외반교정용밴드(V)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제3벨크로부(380)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3벨크로부(380)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벨크로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외반교정용밴드(V)는 착용자의 발목과 종아리를 감싸서 착용자의 발목 관절이 외반 골절되는 것을 교정한다. 이때 상기 외반교정용밴드(V)는 통상 상기 탄력밴드(100)보다 너비가 두꺼우며 장력이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벨크로부(380)는 상기 외반교정용밴드(V)의 접착력이 없는 단부와 접착된다. 이때 착용자가 상기 제1몸체(310)의 상면에 발을 안착하면 착용자의 발바닥 중앙과 상기 외반교정용밴드(V)의 접착력을 가지는 면이 맞닿으면서 자연스럽게 착용자의 발바닥에 상기 외반교정용밴드(V)의 단부가 부착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착장치(200,300)에 의하면, 착용자(환자)가 자신의 상지 또는 하지에 접착식 탄력밴드를 장착하는 동안 이를 보조하여 굴곡된 환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을 펼쳐 고정시킴으로써 환자가 스스로 상기 탄력밴드를 상지 및 하지에 장착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자세로 상기 탄력밴드의 부착 및 관절의 교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탄력밴드 110: 제1밴드
120: 제2밴드 130: 연결부
140: 완충부재 200, 300: 장착장치
210, 310 : 제1몸체 220, 320: 제2몸체
230, 330: 탄성부 240, 340: 고정벨트
250, 350: 제1벨크로부 260, 360: 제2벨크로부
270, 370: 손잡이부 380: 제3벨크로부

Claims (9)

  1. 변형된 손가락 및 손목 또는 발가락 및 발목 관절을 교정하고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착용자의 손가락, 손등 및 손목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발가락, 발등 및 발목의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탄성을 갖는 것으로서,
    손가락 또는 발가락 마디의 바깥 부분과 손등 또는 발등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띠 형상을 갖는 제1밴드;
    손가락 또는 발가락 끝마디의 안쪽 부분을 감싸면서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측부를 함께 감싸기 위해 단부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제2밴드; 및
    상기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밴드에서 상기 제2밴드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축소되었다가 확장된 폭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하면에 부착되어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단부가 압박되는 것을 완화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
  3. 변형된 손가락 및 손목 또는 발가락 및 발목 관절의 변형을 교정하고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탄력밴드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바닥 또는 발바닥이 안착할 수 있도록 상면이 손바닥 또는 발바닥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몸체;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단부가 안착할 수 있도록 상면이 손가락 또는 발가락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제2몸체; 및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를 일체로 연결하고, 구부러진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펴질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의 장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2몸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지고, 하방으로 만곡된 형상인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의 장착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펴진 상태로 손 또는 발을 고정시키는 고정벨트를 더 포함하는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의 장착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에서 각 손가락 또는 발가락에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탄력밴드의 일단부 상면을 고정시키기 위한 벨크로가 설치된 제1벨크로부를 더 포함하는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의 장착장치.
  7.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몸체를 고정시키는 벨크로가 설치된 제2벨크로부를 더 포함하는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의 장착장치.
  8.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의 후단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의 장착장치.
  9.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밴드를 하지에 장착하는 경우,
    발목을 감싸기 위한 외반교정용밴드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벨크로가 구비된 제3벨크로부를 더 포함하는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의 장착장치.
KR1020160095881A 2016-07-28 2016-07-28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 및 그 장착장치 KR101874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881A KR101874689B1 (ko) 2016-07-28 2016-07-28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 및 그 장착장치
PCT/KR2017/007520 WO2018021735A1 (ko) 2016-07-28 2017-07-13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 및 그 장착장치
US16/321,041 US20190175378A1 (en) 2016-07-28 2017-07-13 Elastic band for correcting joint deformity and enhancing joint function, and device for mount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881A KR101874689B1 (ko) 2016-07-28 2016-07-28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 및 그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956A true KR20180012956A (ko) 2018-02-07
KR101874689B1 KR101874689B1 (ko) 2018-07-04

Family

ID=6101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881A KR101874689B1 (ko) 2016-07-28 2016-07-28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 및 그 장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175378A1 (ko)
KR (1) KR101874689B1 (ko)
WO (1) WO20180217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8019A1 (en) * 2019-06-13 2020-12-17 Kangaroo Medtek Pty Ltd A device for supplying a tensioning force, an assembly and method for the same
TWI741334B (zh) * 2019-08-01 2021-10-01 可成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限位關節
CN110613543A (zh) * 2019-10-31 2019-12-27 河南中医药大学第一附属医院 改善足部痉挛畸形的训练器
DE102020126532A1 (de) * 2020-10-09 2022-04-14 MPR GmbH & Co. KG Bandage, insbesondere ausgebildet als Knie- oder Ellbogenschützer
JP7286041B1 (ja) * 2023-03-16 2023-06-02 株式会社Buddy 靴下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8356A (en) 1989-10-30 1993-02-23 Furr Guy H Basketball shooting aid device
US5697103A (en) * 1993-01-11 1997-12-16 Personal Expression I, Inc. Therapeutic glove
JP3062676B2 (ja) * 1994-11-02 2000-07-12 良久 室賀 外反拇指矯正用テープ
US5921945A (en) * 1995-11-13 1999-07-13 Gray; James C. Splint/therapeutic device
US6059694A (en) * 1998-06-15 2000-05-09 Villepigue; James Hand exerciser employing finger power bands
US6450924B1 (en) * 1999-10-08 2002-09-17 Block Patents, Inc. Finger exercise device
JP2002011037A (ja) * 2000-06-29 2002-01-15 Hiroshi Kinoshita サポーター
JP4492866B2 (ja) * 2004-11-08 2010-06-30 日東電工株式会社 手首関節固定用粘着部材
KR200405993Y1 (ko) * 2005-10-27 2006-01-11 (주)아나렉스피 발가락 교정기
KR200437328Y1 (ko) * 2006-12-20 2007-11-29 바이오메카닉스 (주) 무지외반증 환자의 발가락 교정을 위한 신발
US8348810B2 (en) * 2010-09-14 2013-01-08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Low profile hand-extension/flexion device
US8601614B2 (en) * 2011-01-05 2013-12-10 Clinton Scaff Strengthening glove
US10603202B1 (en) * 2015-03-20 2020-03-31 Scott Fried Splint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689B1 (ko) 2018-07-04
US20190175378A1 (en) 2019-06-13
WO2018021735A1 (ko)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689B1 (ko)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 및 그 장착장치
CN110731880B (zh) 一种柔性康复外骨骼手套
JP2018510724A (ja) ボディマッサージ装置
JP6279143B2 (ja) 関節運動アシスト装置及び当該関節運動アシスト装置の装着方法
US20090171257A1 (en) Support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cpr
TWM516411U (zh) 手部動態矯型器
US20240139012A1 (en) Ankle foot orthosi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20160143772A1 (en) Thermal therapeutic garments
KR101707195B1 (ko) 엘보우 예방 및 증상완화 장치
JP2018079132A (ja) 下肢動作支援装具
KR20160069017A (ko) 발목관절 보조기
JP4481934B2 (ja) サポータ
KR102384245B1 (ko) 손가락 움직임 보조용 장갑
WO2004028645A1 (ja) 運動用具
KR200442354Y1 (ko) 보행보조 기능을 구비한 근육 인대 보호구
JP2005279153A (ja) 歩行矯正器
KR101882877B1 (ko)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
KR102323812B1 (ko)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
KR102320532B1 (ko) 손 강직 완화 보조기
CN209952141U (zh) 一种手拇指活动助力器
KR101563701B1 (ko) 체형 교정이 되는 발목 보조기 및 그 착용 방법
JP3162952U (ja) 手のひらバンド
JP7078993B2 (ja) 短下肢装具
CN208770091U (zh) X腿及内八字矫正鞋
US20220218507A1 (en) Rehabilitation gl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