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077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077A
KR20180011077A KR1020177031733A KR20177031733A KR20180011077A KR 20180011077 A KR20180011077 A KR 20180011077A KR 1020177031733 A KR1020177031733 A KR 1020177031733A KR 20177031733 A KR20177031733 A KR 20177031733A KR 20180011077 A KR20180011077 A KR 20180011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sheet
concave
absorbent body
top sheet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리카 하시노
마사시 우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1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61F13/5110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the top sheet having corrugations or embossments having one ax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axis, e.g. forming channels or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61F13/5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characterised by the vertical shape of the apertures, e.g. three dimensional apertures, e.g. macro-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804Plant, e.g. involving several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92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vacuum form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 A61F2013/5102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being in thermoplas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7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being embos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3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having improved touch or feeling, e.g. smooth film

Abstract

톱시트의 양호한 촉감을 유지하면서, 톱시트와 흡수체의 박리를 가급적 억지하여 흡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에서는, 톱시트(2)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또한 폭방향으로 미리 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11)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또한 이들 볼록부(11)의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홈부를 갖고 있다. 홈부(12)는, 제1 바닥부(22)를 구비한 제1 오목부(21)와, 제1 오목부(21) 내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부(26)를 갖고 있다. 제2 오목부(26)는, 톱시트(2) 중에서 가장 섬유 밀도가 높은 제2 바닥부(28)를 구비하고 있다. 볼록부(11)는 정상부(13)에서의 제2면(2b)의 부분이 흡수체(4)에 접합되어 있지 않다. 홈부(12)의 제2 오목부(26)는, 제2 바닥부(28)가 흡수체(4)에 접합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생리대나 일회용 기저귀, 요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으로서, 예컨대 경혈 등의 배설액을 흡수하는 생리대로는, 착용자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액투과성을 갖는 톱시트와, 의복측에 위치하는 액불투과성을 갖는 백시트와, 이들 톱시트와 백시트 사이에 설치된 흡수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흡수성 물품의 톱시트는, 사용자의 피부에 닿는 부분이기 때문에, 유연하고 촉감이 좋은 것이 중요해진다.
그 때문에, 최근에는, 피부와 접촉하는 면에, 복수열의 물결형 볼록부와,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홈부가 설치된 톱시트가 이용되는 경우가 많아졌지만, 이러한 톱시트는, 비교적 유연한 볼록부가 피부에 접촉하고, 또한 그 볼록부가 피부면에 피트되기 쉽기 때문에, 톱시트의 유연성을 느끼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 종류의 흡수성 물품 중에는, 유연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볼록부 사이의 홈부 내에 톱시트의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한 구성인 것이 존재한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톱시트의 볼록부의 움직임의 자유도나 섬유의 움직임의 자유도가 상기 관통 구멍에 의해 높아져, 피부의 움직임에 맞춰 볼록부나 섬유가 추종하여 그 볼록부의 유연성을 보다 느끼기 쉽기 때문에, 톱시트의 촉감이 보다 좋아지는 경향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9-299402호 공보
그러나,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톱시트가, 상기 관통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서 흡수체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은, 톱시트의 두께 이하의 굵기이기 때문에, 그 둘레 가장자리 부분의 상기 흡수체에 대한 접촉 면적은 매우 작아진다.
그 때문에, 톱시트의 관통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과 흡수체의 접합력은 낮고, 필요한 접합 강도를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예컨대 흡수성 물품이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비틀어지거나 했을 때 등, 톱시트와 흡수체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톱시트와 흡수체의 접합이 쉽게 풀려, 서로 분리되어 버릴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렇게 되면, 톱시트와 흡수체의 접합이 풀려 서로 박리되어 버린 경우, 흡수성 물품의 사용자로부터 배설액이 배설되면, 톱시트로부터 흡수체로의 이행 속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흡수 성능이 매우 나빠진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톱시트의 양호한 촉감을 유지하면서, 톱시트와 흡수체의 박리를 가급적 억지하여 흡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다음과 같다.
(1) 길이 방향, 폭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며, 액투과성을 갖는 톱시트와, 액불투과성을 갖는 백시트와, 상기 톱시트와 상기 백시트 사이에 설치된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톱시트는, 상기 흡수체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면과, 흡수체측의 제2면을 가지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또한 상기 폭방향으로 미리 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제1면의 방향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볼록부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또한 이들 상기 볼록부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2면의 방향을 향해 오목해지는 복수의 홈부를 갖고 있고, 상기 홈부는, 상기 볼록부의 정상부에서의 상기 제1면의 위치보다 상기 흡수체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바닥부를 구비한 제1 오목부와, 상기 제1 오목부 내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불연속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바닥부로 개구된 오목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제1 바닥부로부터 상기 흡수체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주벽부(周壁部)와, 상기 주벽부의 상기 흡수체측의 단부에 그 단부를 막도록 설치된, 상기 톱시트 중에서 가장 섬유 밀도가 높은 제2 바닥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는, 적어도 상기 정상부에서의 상기 제2면의 부분이 상기 흡수체에 접합되어 있지 않고, 상기 홈부의 적어도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제2 바닥부가 상기 흡수체에 접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2) 상기 제1 바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수체에서의 톱시트측의 부분과 접합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이에 따라, 상기 제1 바닥부가 상기 흡수체에 접합되어, 보다 높고 또한 안정적인 박리 강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액흡액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1 바닥부는, 상기 제2 바닥부에 비교해서 섬유 밀도가 낮고 비교적 유연하기 때문에, 상기 제2 바닥부에 비교해서 변형되기 쉽고, 상기 볼록부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쉽다.
그 결과, 상기 볼록부의 유연성이 손상되지 않고, 또한, 제1 바닥부와 흡수체의 박리가 생기기 어려운 흡수성 물품을 얻을 수 있다.
(3) 상기 볼록부의 상기 정상부에서의 상기 제2면의 부분과 상기 흡수체의 톱시트측의 부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바닥부의 상기 제1면에 있어서 가장 상기 흡수체에 가까운 부분과 상기 흡수체의 톱시트측의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상기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이에 따라, 상기 톱시트의 상기 볼록부에 폭방향의 전단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볼록부와 흡수체 사이의 공간이 변형되거나 찌부러져 그 외력을 흡수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와의 마찰에 의해 생기는 상기 톱시트의 장력이 저감되고, 그 톱시트의 상기 흡수체로부터의 박리가 보다 확실하게 억제된다.
(4) 상기 톱시트는, 상기 제2 오목부와, 그 제2 오목부에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상기 제2 오목부의 사이에, 적어도 2개의 상기 볼록부가 위치한 구성인 상기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톱시트는, 상기 제2 오목부가 상기 흡수체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제2 오목부의 접합에 의해 상기 톱시트에는 폭방향의 장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인접하는 상기 제2 바닥부 사이에, 상기 제2 바닥부보다 섬유 밀도가 낮고 변형되기 쉬운 상기 제1 바닥부가 위치함으로써, 그 장력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록부에 폭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제1 바닥부가 그 외력을 흡수하기 때문에, 상기 톱시트가 상기 흡수체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억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바닥부가 상기 흡수체에 접합된 것에 의해 상기 볼록부에 생길 가능성이 있는 장력은 상기 제1 바닥부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상기 볼록부의 폭방향의 자유도가 저해되지 않고, 상기 볼록부의 유연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5) 상기 톱시트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제1 오목부와, 그 홈부와 인접하는 다른 홈부의 제1 오목부가 서로 인접하는 구성이, 상기 폭방향의 전폭에 걸쳐 연속해 있는 부분을 갖고 있는 상기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이에 따라, 상기 톱시트는, 상기 폭방향의 전폭에 걸쳐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가 교대로 위치하고, 인접하는 상기 볼록부 사이에, 상기 흡수체에 접합된 상기 제2 오목부가 존재하지 않는 구성이 된다. 그 결과, 상기 제2 바닥부보다 섬유 밀도가 낮고 또한 변형되기 쉬운 상기 제1 바닥부가, 상기 볼록부를 착용자의 움직임에 추종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피부에 피트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볼록부를 보다 유연하게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톱시트 전체적으로 높은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6) 상기 주벽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된 한쌍의 제1 주벽부와, 상기 폭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된 한쌍의 제2 주벽부를 갖고 있고, 상기 한쌍의 제1 주벽부에, 상기 제2면으로 통하는 구멍부를 구비하고 있는 상기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이에 따라, 상기 주벽부의 상기 제1 주벽부의 상기 구멍부가, 인접하는 상기 볼록부를 형성하는 섬유의 장력을 해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볼록부의 전체 혹은 상기 볼록부를 형성하는 섬유가 이동하는 자유도를 향상시켜, 상기 볼록부의 유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7) 상기 제2 바닥부의 제2면은 평탄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이에 따라, 상기 제2 바닥부의 상기 흡수체에 대한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가능한 한 큰 접합 영역을 확보할 수 있고, 보다 안정된 박리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8) 상기 톱시트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상기 제1면의 영역 및 상기 제2면의 영역이, 상기 제2면으로부터 상기 제1면의 방향을 향해 볼록해지는 형상으로 만곡되고, 상기 홈부의 제1 오목부의 상기 제1면의 영역 및 상기 제2면의 영역이,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의 방향을 향해 볼록해지는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구성을 갖고 있는 상기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이에 따라, 상기 톱시트의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제1면의 영역과 상기 제2면의 영역이 동기하여 두께 방향 및 폭방향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볼록부 전체 및 상기 제1 오목부 전체의 유연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제1 오목부는, 외력에 의한 변형도 용이하기 때문에, 상기 볼록부 자체, 또한 상기 제1 오목부 자체의 보다 안정적인 유연성을 확보하면서, 상기 흡수체로부터의 박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9) 상기 흡수성 물품은, 톱시트측의 면에,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톱시트 및 상기 흡수체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착한 압착홈을 구비하고 있는 상기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이에 따라, 상기 압착홈이 상기 톱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접합을 향상시키는 한편, 상기 압착홈을 형성하기 위한 압착에 의해 상기 톱시트에 장력이 발생했다 하더라도, 상기 흡수체에 접합되어 있는 상기 제2 오목부가 그 장력이 퍼지는 것을 저지 혹은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오목부, 나아가 그 제1 오목부에 인접하는 상기 볼록부에 대한 장력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압착홈의 영향에 의한 상기 톱시트의 유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착에 따르는 장력에 기인하는 상기 볼록부나 상기 제1 오목부의 형상의 붕괴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상기 제2 오목부에 대한 피부의 접촉도 억제하여 양호한 촉감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톱시트는, 흡수체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볼록부가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연성이 손상되지 않는 한편, 홈부의 제2 오목부가, 톱시트 중에서 가장 섬유 밀도가 높은 제2 바닥부에 있어서 흡수체에 접합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 비교해서, 흡수체에 대하여 톱시트를 안정적으로 접합할 수 있고, 흡수체로부터 톱시트가 박리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억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액흡수성이 손상되는 것을 억지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으로서 필요한 우수한 촉감과 높은 액흡액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실시형태인 생리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에서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II-II에서의 모식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의 III-III에서의 모식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의 IV-IV에서의 모식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제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의 부형 장치의 연신 롤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하측의 부형 롤의 핀의 배치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상측의 부형 롤과 하측의 부형 롤의 맞물림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사용되는 톱시트(톱시트 연속체)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1∼도 6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이 생리대인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이 생리대(1)는, 길이 방향(L), 폭방향(W), 두께 방향(D)을 갖고 있고, 액투과성층으로서의 톱시트(2)와, 톱시트(2)의 일면측에 설치된 액불투과성층으로서의 백시트(3)와, 이들 톱시트(2) 및 백시트(3)의 사이에 설치된 흡수체(4)를 구비하고 있다.
또, 백시트(3)에는, 생리대(1)를 속옷의 크로치부에 접착하기 위한 점착 시트(5)가 설치되어 있다.
백시트(3)는, 생리대(1)에서의 사용자의 속옷측(도 2 중의 흡수체(4)의 하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배출된 배설액의 투과를 방지하여 속옷 등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백시트(3)는, 톱시트(2)와의 사이에 흡수체(4)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그 톱시트(2)와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흡수체(4)는, 경혈 등의 배설액을 흡수하는 것이며,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배설액을 흡수ㆍ유지하는 흡수성 재료를 함유한 것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이 흡수체(4)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의 양단측이 그 흡수체(4)의 길이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되고, 또한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톱시트(2)나 백시트(3)보다 작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의 흡수체(4)는, 톱시트측의 면 및 백시트측의 면이 모두 평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수체의 두께, 단위 중량 등은, 생리대가 구비해야 하는 특성(예컨대 흡수성, 강도, 경량성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흡수체의 두께는, 통상 0.1∼15 mm, 바람직하게는 1∼1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mm이며, 단위 중량은, 통상 20∼1000 g/㎡, 바람직하게는 50∼80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500 g/㎡이다. 흡수체의 두께, 단위 중량 등은, 흡수체 전체에 걸쳐서 일정해도 좋고, 부분적으로 상이해도 좋다.
또한, 흡수체(4)는, 톱시트측의 면에 있어서 톱시트(2)(도 2에 있어서는 흡수체(4)의 상면측)와, 백시트측의 면에 있어서 백시트(3)(도 2에 있어서는 흡수체(4)의 하면측)과 각각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톱시트(2)는,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그 착용자로부터의 배설액을 신속히 흡수 혹은 투과시켜, 흡수체(4)를 향해 이행시키는 것으로, 흡수체(4)에서의 착용자의 피부와 대향하는 면측(도 1∼도 6 중 흡수체(4)의 상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톱시트(2)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톱시트(2)는, 예컨대 부직포, 직포, 액투과 구멍이 형성된 합성 수지 필름, 메쉬를 갖는 네트형 시트 등에 의해 형성되지만, 그 중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톱시트(2)의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이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컨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으로는, 예컨대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이들을 주체로 한 공중합체(예컨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EEA),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아이오노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을 비롯한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0까지의 폴리히드록시알칸산 등의 폴리에스테르, 이들을 주체로 한 공중합체, 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서 다른 성분을 소량 공중합하여 이루어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로는, 예컨대 6-나일론, 6,6-나일론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섬도는, 통상 1.1∼8.8 dtex, 바람직하게는 2.2∼5.6 dtex이며, 섬유 길이는, 통상 20∼100 mm, 바람직하게는 35∼65 mm이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에 관해서는 친수화 처리를 행해도 좋고, 이 친수화 처리로는, 예컨대 계면 활성제, 친수제 등을 이용한 처리(예컨대, 섬유 내부에 계면 활성제를 이겨 넣음, 섬유 표면에 계면 활성제를 도포함 등)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톱시트(2)는, 도 3∼도 5,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4)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면(2a)과, 이 제1면(2a)과는 반대측인 흡수체(4)측의 제2면(2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톱시트(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또한 폭방향으로 미리 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제1면(2a)의 방향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볼록부(11)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또한 이들 볼록부(11)의 사이에 형성된, 제2면(2b)의 방향을 향해 오목해지는 복수의 홈부(12)를 갖고 있다.
홈부(12)는, 볼록부(11)의 정상부(13)에서의 제1면(2a)의 위치보다 흡수체(4)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바닥부(22)를 구비한 제1 오목부(21)와, 이 제1 오목부(21) 내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불연속으로 설치되고, 제1 바닥부(22)에 개구된 오목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부(26)를 갖고 있다.
또한, 제2 오목부(26)는, 제1 바닥부(22)로부터 흡수체(4)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주벽부(27)와, 이 주벽부(27)의 흡수체(4)측의 단부에 그 단부를 막도록 설치된, 톱시트(2) 중에서 가장 섬유 밀도가 높은 제2 바닥부(28)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톱시트(2)는, 볼록부(11)는, 정상부(13)에서의 제2면(2b)은 흡수체(4)에 접합되어 있지 않고, 홈부(12)는, 제2 오목부(26)의 제2 바닥부(28)가 흡수체(4)의 톱시트측의 부분(이 실시형태의 경우는 흡수체(4)의 톱시트측의 면)에 상기 접착제의 층(6)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4∼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오목부(21)의 제1 바닥부(22)의 제2면(2b)의 일부도 흡수체(4)의 톱시트측의 부분에 상기 접착제의 층(6)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한편, 볼록부(11)에 관해서는, 정상부(13)를 포함하고, 제2면(2b)의 부분은 흡수체(4)에는 접합되어 있지 않다.
이 실시형태의 톱시트(2)는, 도 4, 도 5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11)를 이루는 제1면(2a)의 영역 및 제2면(2b)의 영역이, 제2면(2b)으로부터 제1면(2a)의 방향(즉, 흡수체(4)와는 반대측의 방향)을 향해 볼록해지는 형상으로 만곡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홈부(12)의 제1 오목부(21)는, 그 제1 오목부(21)를 이루는 제1면(2a)의 영역 및 제2면(2b)의 영역이, 제1면(2a)으로부터 제2면(2b)의 방향(즉, 흡수체(4)의 방향)을 향해 볼록해지는 형상으로 만곡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톱시트(2)는, 폭방향에 대하여, 요철이 교대로 반복되는 단면이 대략 물결형인 시트형으로 되어 있다.
볼록부(11)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즉 톱시트(2)의 길이 방향을 향해 연장 설치되어 있고, 톱시트(2)의 폭방향으로 미리 정한 간격으로 복수열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볼록부(11)는, 모두 길이 방향을 향해 연속적으로 또한 다른 볼록부(11)와 서로 평행해지도록 연장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볼록부는, 인접하는 다른 볼록부와의 사이의 간격은 0.25∼5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3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2 mm로 하는 것이다. 또, 여기서,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의 간격이란, 각 볼록부에서의 톱시트의 폭방향의 대략 중앙 위치(실질적으로 볼록부의 정상부) 사이의 거리를 가리킨다.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의 간격의 거리가 0.25 mm 미만이면 부직포가 요철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고는 하기 어렵고, 볼록부에 의한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그다지 줄일 수 없기 때문에, 촉감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는 한편, 반대로 5 mm를 초과하면 가공전의 가공 대상인 부직포와 큰 차이가 없어지기 때문에, 요철을 살린 유연한 촉감을 얻을 수 없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11)의 정상부(13)에서의 제2면(2b)의 부분과 흡수체(4)의 톱시트측의 부분 사이의 거리는, 제1 바닥부(22)의 제1면(2a)에 있어서 가장 흡수체(4)에 가까운 부분과 흡수체(4)의 톱시트측의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작아졌다. 따라서, 볼록부(11)의 정상부(13)는, 전체적으로 제1 바닥부(22)의 제1면(2a)보다, 톱시트(2)로부터 떨어진 위치(도 4에 있어서는 상방측)에 설치된 양태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볼록부(11)의 제2면(2b)과 흡수체(4)의 톱시트측의 면 사이에 공간이 안정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톱시트(2)의 볼록부(11)에 착용자로부터의 외력, 특히, 착용자의 피부와의 마찰 등에 따르는 폭방향의 전단력이 가해졌다 하더라도, 그 외력의 방향이나 크기에 따라서 볼록부(11)가 변형되거나 찌부러져 그 힘을 흡수하기 쉬워진다. 또한, 볼록부(11)가 찌부러진 경우에는, 볼록부(11)의 제1면(2a)과 제1 오목부(21)의 제1면(2a)의 높이의 차가 작아진다. 따라서, 톱시트(2)와 착용자의 피부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톱시트(2)의 장력이 저감되고, 흡수체(4)로부터의 박리가 보다 확실하게 억제된다.
제1 오목부(21)는, 폭방향에 있어서 볼록부(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오목부(21)의 제1 바닥부(22)는, 그 최대 부분 두께는 톱시트(2)에 있어서 가장 두껍게 되어 있고, 제1 바닥부(22)는 전체적으로 탄성이 우수한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 톱시트(2)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1 오목부(21)는, 모두 서로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오목부(21)의 제1 바닥부(22)의 제2면(2b)은, 적어도 제1 바닥부(22)에 있어서 가장 톱시트측에 위치하는 부분, 즉, 볼록부(11)의 정상부(13)의 높이의 위치로부터 가장 떨어진 깊이의 위치의 부분, 및 그 근방의 부분이, 흡수체(4)의 톱시트측의 부분에 접합되어 있다.
제2 오목부(26)는, 평면에서 볼 때(톱시트(2)의 제1면(2a)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를 갖고 있고, 전체적으로 톱시트(2)의 흡수체(4)측으로 돌출되어, 대략 직방체형의 내부 공간을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오목부(26)는, 각 홈부(12)의 길이 방향,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오목부(2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각 제2 오목부(26)는, 다른 제2 오목부(26)와는 서로 독립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주벽부(27)는, 톱시트(2)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된 한쌍의 제1 주벽부(29, 29)와, 톱시트(2)의 폭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된 한쌍의 제2 주벽부(30, 30)를 갖고 있다. 한쌍의 제1 주벽부(29, 29)끼리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한쌍의 제2 주벽부(30, 30)끼리도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제1 주벽부(29, 29)에는, 제1 오목부(21)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제2면(2b)에 통하는 구멍부(3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구멍부(31)는, 한쌍의 제1 주벽부(29, 29)의 각각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고, 이들 구멍부(31)는, 제1 주벽부(29)에서의 제2 바닥부(28) 근처의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따라서, 하나의 제1 오목부(21)에는 2개의 구멍부(31)가 존재하고 있다.). 한편, 한쌍의 제2 주벽부(30, 30)는, 구멍부(31)에 해당하는 것은 존재하지 않고, 각 제2 주벽부(30)는, 흡수체(4)측의 단부의 전부가 제2 바닥부(28)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톱시트(2)에 제2 오목부(26)를 설치한 것은, 홈부(12)의 홈바닥,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오목부(21)의 제1 바닥부(22)가 피부에 접촉할 기회를 최대한 줄이고, 가령 제1 바닥부(22)가 피부에 접촉했을 때라 하더라도 그 접촉 면적을 최대한 작게 하기 위해서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톱시트의 볼록부, 이어서 제1 오목부의 제1 홈부의 순으로 피부에 접촉하기 쉽지만, 흡수체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볼록부(특히 정상부)가 가장 유연성이 높기 때문에, 제1 바닥부보다 볼록부가 피부에 접촉할 기회가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톱시트로는 피부에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적은 편이 유연성을 느끼기 쉽다. 그 때문에, 제2 오목부를 설치하여 제1 오목부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제1 오목부의 제1 바닥부에 있어서 피부에 접하는 부분을 보다 적게 하고, 피부에 접촉할 기회 및 접촉 면적이 가급적 적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2 오목부를 제1 바닥부에 설치한 것은, 볼록부에 비교해서 피부에 접촉하기 어려운 제1 오목부의 제1 바닥부에 제2 오목부를 설치함으로써, 그 제2 오목부가 피부에 접촉할 기회를 가능한 한 적게 하여, 제2 오목부에 의한 위화감이나 이물감을 가능한 한 느끼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멍부(31)를 제1 주벽부(29)에 형성한 것은, 구멍부(31)가 형성되어 있는 홈부(12)와 인접하는 볼록부(11)의 섬유의 인장력을 개방하여, 볼록부(11) 전체 혹은 볼록부(11)를 형성하는 섬유가 이동하는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볼록부(11)의 유연성, 보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11)에서의 톱시트(2)의 두께 방향으로의 유연성, 및 톱시트(2)의 길이 방향이나 폭방향(특히 폭방향)으로 피부를 미끄러지게 했을 때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매끄러운 감촉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따라, 볼록부(11)에, 우수한 경연감(두께 방향으로의 우수한 부드러움) 및 길이 방향 및 폭방향으로의 우수한 조활감(톱시트(2)의 표면(특히 폭방향)의 우수한 매끄러움)을 모두 부여하여, 톱시트(2) 전체적으로 우수한 경연감 및 조활감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져, 유연한 촉감을 실현할 수 있다.
반대로, 구멍부(31)를 제2 주벽부(30)에 형성하지 않은 것은, 톱시트(2)의 길이 방향, 즉 볼록부(11)나 홈부(12)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으로 피부를 미끄러지게 한 경우에, 제2 오목부(26)의 존재에 의한 단차가 피부에 잘 걸리지 않도록 하여, 톱시트(2)의 길이 방향으로의 매끄러움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즉, 제2 주벽부에 관해서는, 제1 바닥부(22) 및 제2 바닥부(28)와 연속하고, 이음새없이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를 톱시트(2)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한 경우에는, 피부는 제2 오목부(26)에 의한 제1 바닥부(22)의 단차를 그다지 느끼지 않고 볼록부(11)나 홈부(12)를 따라서 매끄럽게 이동하기 쉽다. 이에 따라, 볼록부(11)의 유연성이나 섬유의 유연성을 살린 톱시트(2)의 길이 방향으로의 매끄러움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구멍부(31)를 제1 주벽부(29)에서의 제2 바닥부(28) 근처의 위치에 형성한 것은, 구멍부(31)를, 피부가 접촉하기 쉬운 볼록부(11)나 제1 바닥부(22)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하는 것에 의해, 구멍부(31)가 피부에 접촉할 기회를 최대한 줄이고, 위화감 혹은 이물감을 느끼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따라, 피부를 부직포의 평면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했을 때의 매끄러움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부(31)는, 톱시트(2)에 포함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용융하지 않고, 그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파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부(31)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 중, 그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파단함으로써 형성된 파단 단부를 구비한 파단 섬유에서의 그 파단 단부가 포함되어 있다. 또, 이 파단 섬유의 파단 단부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 길이 방향으로 인장하거나 물리적으로 절단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 파단되어 형성된 것이며,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용융한 경우와 같이, 섬유의 단부가 녹아 둥글어져 섬유 직경이 커지는 경우는 없고, 찢어지는 것에 의해 끝이 뾰족해지거나, 혹은 섬유 직경의 변화가 거의 생기지 않는 양태가 되거나 하였다.
따라서, 가령 착용자의 피부가 구멍부(31)의 둘레 가장자리에 접촉했다 하더라도, 용융에 의해 경화한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뻣뻣하거나 섬유가 걸리는 것에 의해 위화감을 느끼는 것이 억제되고, 톱시트(2)의 딱딱함이나 거칠음을 느끼는 것이 억지된다.
구멍부(31)의 내부 공간에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 중의 일부의 섬유가 걸쳐 있다. 또한, 일부의 파단 섬유에 관해서는, 그 파단 단부가 구멍부(31)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구멍부(31)의 내부 공간에는, 그 내부 공간 내에 걸쳐 있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일부의 연장된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혼재된 상태로 되어 있고, 완전히 개방된 공간으로는 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구멍부(31)는, 내부 공간에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일부가 걸쳐 있거나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가령 피부가 구멍부(31)에 접촉한 경우라 하더라도, 내부 공간 내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제2 오목부(26)의 제1 주벽부(29)나 제2 바닥부(28)와 구멍부(31) 사이의 단차를 작게 하여 감촉의 차이를 가능한 한 작게 하고, 접촉했을 때의 위화감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이 때의 구멍부의 내부 공간의 개공율은, 1∼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5%, 보다 바람직하게는 2.5∼20%로 하는 것이다.
구멍부의 내부 공간의 개공율이 1% 미만이면, 개공율이 지나치게 낮아 볼록부나 볼록부의 섬유에 자유도를 부여할 수 없어, 볼록부에 유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반대로 50% 이상이면 구멍부가 형성된 제1 주벽부의 강도가 낮아지기 쉬울 뿐만 아니라, 구멍부의 둘레 가장자리의 경계를 촉감상 알기 쉬워질 가능성이 있다. 다만, 구멍부의 내부 공간의 개공율에 관해서는, 흡수성 물품의 종류나 용도 등에 따라서는, 상기 범위 이외이어도 좋고,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바닥부(28)는, 톱시트(2)를 구성하는 섬유가, 제1면(2a)으로부터 제2면(2b)의 방향으로 압축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톱시트(2) 중에서 가장 섬유 밀도가 높고, 또한 강성도 가장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바닥부(28)의 제1면(2a)(즉, 제2 오목부의 내부측의 면) 및 제2면(2b)(즉, 흡수체(4)측의 면)은, 전체적으로 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 바닥부(28)의 제2면(2b)의 면은 대략 평탄형으로 되어 있고, 흡수체(4)의 톱시트측의 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2 바닥부(28)의 제2면(2b)의 면은 평탄형이므로, 제2 바닥부(28)와 흡수체(4)의 접촉 면적을 가급적 크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바닥부(28)의 제2면(2b)의 면은, 흡수체(4)의 톱시트측의 면에 대하여 가능한 한 큰 접합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톱시트(2)는 흡수체(4)로부터 한층 더 박리되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톱시트(2)와 흡수체(4) 사이의 배설액의 이행을 보다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흡수체(4)의 톱시트측의 면은 평탄형의 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제2 바닥부(28)의 제2면(2b)의 면은 흡수체(4)의 톱시트측의 면과 면접촉한 상태로 서로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톱시트(2)는 흡수체(4)로부터 한층 더 안정적인 접합이 유지되어 서로 박리되기 어렵고, 또한, 톱시트(2)와 흡수체(4) 사이의 배설액의 이행도 매우 원활하다.
여기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오목부(26)는, 톱시트(2)의 평면에서 볼 때(두께 방향으로 본 경우),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시트(2)는, 제2 오목부(26)와, 그 제2 오목부(26)에 폭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제2 오목부(26)의 사이에, 적어도 2개의 볼록부(11)가 위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톱시트(2)는, 폭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2 오목부(26)와 제2 오목부(26) 사이에, 볼록부(11), 제1 오목부(21), 볼록부(11)의 순으로 각각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톱시트(2)를 이와 같이 구성한 것은, 톱시트(2)가 흡수체(4)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억지하고, 볼록부의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톱시트(2)는, 제2 오목부(26)가 흡수체(4)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 흡수체에 대한 제2 오목부(26)의 접합에 의해 톱시트(2)에는 폭방향의 장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인접하는 제2 바닥부(28, 28)의 사이에, 제2 바닥부(28)보다 섬유 밀도가 낮고 그 제2 바닥부(28)보다 변형되기 쉬운 제1 바닥부(22)를 위치시킴으로써, 그 제1 바닥부(22)의 변형에 의해 상기 장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볼록부(11)의 폭방향의 자유도가 저해되지 않기 때문에, 볼록부(11)의 유연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11)에 폭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라 하더라도, 그 제1 바닥부(22)의 변형에 의해 그 외력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2 바닥부(28)가 그 외력에 의해 큰 힘이 작용하는 것이 억제되어 흡수체(4)로부터의 박리가 억지되고, 그 결과, 톱시트(2)가 흡수체(4)로부터 박리되는 것도 억지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시트(2), 홈부(12)의 제1 오목부(21)와, 그 홈부(12)와 인접하는 다른 홈부(12)의 제1 오목부(21)가 서로 인접하는 구성이, 폭방향의 전폭에 걸쳐 연속해 있는 부분을 갖고 있다. 즉, 톱시트(2)는, 폭방향의 전폭에 걸쳐, 제1 오목부(21), 볼록부(11), 제1 오목부(21)의 순으로 각각 배치되고, 제2 오목부(26)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톱시트(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오목부(26)가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길이 방향에서의 제2 오목부(26)의 설치 간격을, 그 제2 오목부(26)의 길이 방향의 크기보다 넓게 설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톱시트(2)의 폭방향의 전폭에 걸쳐서, 홈부(12)의 제1 오목부(21)와, 그 홈부(12)와 인접하는 다른 홈부(12)의 제1 오목부(21)가 서로 인접하는 구성을 연속시키고 있는 것은, 제1 오목부(21)의 제1 바닥부(22)가 쉽게 변형되는 것을 이용하여, 볼록부에 보다 높은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이다. 즉, 톱시트(2)가, 폭방향의 전폭에 걸쳐 제1 오목부(21)와 볼록부(11)가 교대로 위치하고, 인접하는 볼록부(11) 사이에, 흡수체(4)에 접합된 제2 오목부(26)가 존재하지 않는 구성인 것에 의해, 제2 바닥부(28)보다 섬유 밀도가 낮고 그 제2 바닥부(28)에 비교해서 변형되기 쉬운 제1 바닥부(22)가 볼록부(11)를 착용자의 움직임에 추종시키기 때문에, 볼록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피부에 피트시킨다. 또한, 제1 바닥부(22)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볼록부(11)도 보다 유연하게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톱시트(2) 전체적으로 높은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생리대(1)에는, 톱시트측의 면에, 두께 방향으로 엠보스 가공을 함으로써 톱시트(2) 및 흡수체(4)를 압착한 복수의 압착홈(41∼43)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의 생리대(1)에는, 복수의 압착홈 중, 평면에서 볼 때(두께 방향에서 본 경우)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전체적으로 생리대(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리형의 제1 압착홈(41)과, 이 제1 압착홈(41)의 내측에 위치하고 또한 길이 방향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제2 압착홈(42, 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압착홈(41)의 내측에 위치하고 또한 이 제1 압착홈(41)의 길이 방향의 양단측의 근방에 위치하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제3 압착홈(43, 4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압착홈(41∼43)을 형성한 것은, 이 압착홈(41∼43)의 압착에 의해 톱시트(2)와 흡수체(4)의 접합을 보다 견고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톱시트(2) 및 흡수체(4)와의 사이에서의 섬유 밀도를 높여, 톱시트(2)로부터 흡수체(4)로의 배설액의 인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톱시트 및 흡수체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하여 압착홈을 형성한 경우에는, 압착홈이 톱시트를 흡수체의 방향으로 인장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아무런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톱시트, 특히 볼록부에 장력이 발생하여 팽팽해질 뿐만 아니라, 볼록부가 변형되어 유연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압착홈의 근방에 관해서는, 그 경향이 현저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흡수체에 접합되어 있는 톱시트의 홈부의 제2 오목부가, 압착홈의 압착에 기인하여 톱시트에 발생하는 장력이 퍼지는 것을 저지 혹은 그 장력을 경감하여, 그 장력의 영향이 볼록부나 제1 오목부에 미치는 영향을 억지하고 있다.
즉, 압착에 의해 톱시트에 장력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2 오목부는, 제2 바닥부가 흡수체에 접합된 상태인 채로 주벽부가 변형되어, 장력을 완충하여 다른 부분으로 퍼지는 것을 저지하거나 그 장력을 경감하여 다른 부분으로 퍼지는 것을 억지한다. 이에 따라, 압착에 의해 톱시트에 생기는 장력의 영향은 최저한으로 억제되고, 톱시트에 있어서는, 압착에 의한 변형의 영향을 크게 받는 부분 이외에 관해서는 변형이 생기기 어렵고, 또한 장력에 따르는 팽팽함도 적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압착홈에 의해 톱시트와 흡수체의 접합을 보다 견고하게 하면서, 압착홈의 영향에 의한 톱시트의 유연성의 저하를 억제하고, 압착에 따르는 장력에 기인하는 볼록부나 제1 오목부의 형상의 붕괴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톱시트의 양호한 촉감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나 제1 오목부의 형상의 붕괴가 억제되므로, 제2 오목부가 피부에 접촉할 기회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점에 있어서도 촉감의 저하가 억제되게 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경우, 톱시트(2)의 홈부(12)에서의 제2 오목부(26)의 주벽부(27)에 형성된 구멍부(31)에 의해, 주벽부(27)가 절결된 구성이 되기 때문에, 주벽부(27) 전체적으로 유연성이 높아 변형되기 쉽고, 톱시트(2)에 작용하는 장력을 완충하기 쉽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멍부(31)가 홈부(12)와 인접하는 볼록부(11)의 섬유의 장력을 개방하여, 볼록부(11) 전체 혹은 볼록부(11)를 형성하는 섬유가 이동하는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있기 때문에, 톱시트(2)에 작용하고 있는 장력을 경감하기 쉽다. 이에 따라, 압착홈의 압착에 의해 톱시트(2)의 길이 방향이나 폭방향으로 발생하는 장력이, 다른 부분으로 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지할 수 있다. 그 장력의 영향을 한층 더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1)의 톱시트측에 있어서의 제2 압착홈(42, 42)과 제3 압착홈(43, 43)의 둘러싸인 부분, 즉 톱시트(2)의 거의 중앙에는, 톱시트(2)와 흡수체(4)를 압착하는 도트형의 복수의 압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착부(44)에 관해서도, 압착홈(41∼43)과 마찬가지로 그 압착에 의해 톱시트(2)에 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오목부(26)의 작용에 의해 압착에 의해 생기는 장력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압착홈(41∼43)이나 압착부(44)의 압착 부분의 두께로는, 톱시트나 흡수체의 두께에 따라서도 달라지지만, 예컨대, 압착 부분의 두께를 흡수체의 두께의 2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로 하는 것이다.
압착 부분의 두께가 흡수체의 두께의 20% 이상이 되면 압착이 부족하고, 원하는 섬유 밀도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배설액의 인입성이 저하되고, 또한 박리에 대한 강도도 작아진다. 또, 각 압착홈(41∼43), 압착부(44)의 깊이에 관해서는, 모두 동일한 깊이이어도 좋고, 서로 다른 깊이이어도 좋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생리대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관해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서의 생리대(1)의 제조 방법은, 흡수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후술하는 톱시트가 되는 장척의 톱시트 연속체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형성한 톱시트 연속체를, 흡수체에 대하여 적층하여, 톱시트 연속체와 흡수체의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적층체에 압착홈을 형성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또한, 적층체에 대하여 백시트가 되는 장척의 백시트 연속체를 적층하여 생리대의 연속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생리대의 연속체로부터 단체의 생리대를 잘라내는 절단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또한, 생리대(1)를 제조할 때에는, 예컨대 도 7∼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조 장치(50)를 이용한다.
이 제조 장치(50)는, 흡수체 재료(61)를 적층함으로써 흡수체(4)를 형성하는 회전이 자유로운 흡입 드럼(62)을 구비한 흡수체 형성 장치(60)와, 톱시트(2)가 되는 톱시트 연속체(71)를 형성하는 톱시트 형성 장치(70)와, 톱시트(2)와 흡수체(4)에 대하여 엠보스 가공에 의한 압착을 행하여 압착홈(41∼43)을 형성하는 엠보스 가공 장치(8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백시트(3)가 되는 백시트 연속체(91)가 롤형으로 감긴 백시트 롤(90)과, 흡수체(4)에 톱시트 연속체(71) 및 백시트 연속체(91)를 부착한 생리대의 연속체(92)를 절단하여, 개개의 생리대(1)로 하는 절단 장치(100)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체를 제조하는 공정은, 흡수체 형성 장치(60)에 있어서, 회전하고 있는 흡입 드럼(62)의 외주면에 대하여 흡수체 재료(61)를 상측으로부터 공급하여, 그 흡수체 재료(61)를, 흡입 드럼(62)의 외주면에 설치된, 흡수체(4)의 형태에 적합한 오목형의 형부재(62a) 내에 흡인하고, 흡수체 재료(61)를 적층시킴으로써, 흡수체(4)를 형성한다.
그 후, 회전하고 있는 흡입 드럼(62)이, 그 흡입 드럼(62)의 하측에 있어서 반송 방향(MD)을 향해 반송되고 있는 캐리어 시트(65) 상에, 형부재(62a) 내의 흡수체(4)를 전사하여 배치한다. 또, 캐리어 시트(65)는, 배치된 흡수체(4)와 함께 반송 방향(MD)의 하류로 반송되어, 다음 공정에 제공되게 된다.
흡수체를 제조하는 공정의 후,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이 공정에서는, 우선,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톱시트 형성 장치(70)에 의해, 톱시트(2)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톱시트 연속체(71)를 형성한다. 그리고,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되고 있는 흡수체(4)의 제1면(도 7에 있어서는 상면)에 대하여,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한 접착제층을 통해 톱시트 연속체(71)를 적층 및 접합함으로써, 적층체(72)로 한다. 또, 적층체(72)는, 그 형성후 반송 방향(MD)의 하류로 반송되어 다음 공정에 제공된다.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의 후, 압착홈을 형성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이 공정에서는, 엠보스 가공 장치(80)에서의 상단 롤(81)과 하단 롤(82) 사이에 적층체(72)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톱시트 연속체(71)와 흡수체(4)를 압착하여 압착홈(41∼43)을 형성한다.
이 때, 엠보스 가공 장치(80)의 상단 롤(81)은, 그 외주면에, 압착홈(41∼43)의 위치나 형상에 맞춰 설치된 돌기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고, 이 돌기부가 적층체(72)를, 그 톱시트 연속체(71)측의 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압착하여 압착홈(41∼43)을 형성한다. 또, 하단 롤(82)은 외주면이 평탄한 롤로 되어 있고, 상단 롤(81)에 의한 적층체(72)의 압착시에는 그 적층체(72)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이 공정에 있어서는, 도트형의 복수의 압착부(44)도 형성한다. 따라서, 상단 롤(81)은, 압착부(44)를 형성하기 위한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고, 압착홈(41∼43)과 동시에 형성되게 된다. 또, 적층체(72)는, 압착홈(41∼43)의 형성이 종료한 후, 반송 방향(MD)의 하류로 반송되어, 다음 공정에 제공된다.
압착홈을 형성하는 공정의 후, 생리대의 연속체를 형성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이 공정에 있어서는, 적층체(72)의 흡수체(4)측의 면(이 경우, 적층체(72)의 하면)에, 백시트 롤(90)로부터 풀어낸 백시트 연속체(91)를,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한 접착제층을 통해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복수의 생리대(1)가 그 길이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이어진 생리대의 연속체(92)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흡수체(4)의 제1면에 톱시트 연속체(71)가, 제1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경우, 흡수체(4)의 하면)에 백시트 연속체(92)가 각각 접합된 상태가 된다.
생리대의 연속체(92)는, 반송 방향(MD)의 하류로 반송되어 다음 공정에 제공된다.
생리대의 연속체를 형성하는 공정의 후, 절단 공정을 실시한다.
이 공정에 있어서는, 절단 장치(100)가 구비하고 있는 커터에 의해, 생리대의 연속체로부터 원하는 형상ㆍ크기의 단체의 생리대를 잘라낸다.
이에 따라, 제품으로서의 생리대(1)가 완성되게 된다.
그런데,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에 포함되는 톱시트 연속체를 형성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톱시트(2)가 되는 상기 톱시트 연속체의 제조 방법은, 톱시트 연속체(71)의 원료가 되는 장척의 가공 대상의 부직포(73)가 롤형으로 감긴 톱시트 롤(74)로부터,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풀어내고, 그 풀어낸 가공 대상의 부직포(73)에 대하여 예열을 가하는 예열 공정과, 예열 공정을 거친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연신하여 부형 가공하는 부형 공정을 순차적으로 행한다.
또한, 상기 톱시트 연속체의 제조 방법은, 도 7∼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톱시트 형성 장치(70)를 이용하여 행한다. 이 형성 장치(70)는,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반송 방향(MD)의 하류로 풀어내는 전술한 톱시트 롤(74)과, 톱시트 롤(74)로부터 풀어낸 것에 의해 형성된 가공 대상의 부직포(73)에 예열을 부여하는 예열 장치(76)와, 예열을 부여한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연신하여 볼록부(11) 및 홈부(12)(제1 오목부(21) 및 제2 오목부(26))를 형성하기 위한 부형 가공을 행하는 부형 장치(77)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톱시트 연속체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형성되는 톱시트 연속체(71)는, 길이 방향이 장척인 것 외에는 기본적으로 톱시트(2)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톱시트(2)의 경우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예열 공정은, 톱시트 롤(74)로부터 풀려나와, 반송 방향(MD)을 따라서 반송되어 온 장척의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예열 장치(76)의 회전하고 있는 상하 한쌍의 가열 롤(76a, 76b)의 외주면에 순차적으로 접촉시켜, 가공 대상의 부직포(73)의 양면을 순차적으로 가열하여 예열을 가한다. 즉, 톱시트 롤(74)로부터 풀어낸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우선 하측의 가열 롤(76b)의 외주면에 감고, 그 외주면에 접해 있는 가공 대상의 부직포(73)의 일면측을 가열한다. 다음으로,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하측의 가열 롤(76b)로 가열한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상측의 가열 롤(76a)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전달하고, 그 외주면에 접해 있는 면을 상측의 가열 롤(76a)로 가열한다.
여기서, 예열 온도는, 가공 대상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종류에 따라서도 달라지지만, 예컨대, 가공 대상의 부직포에 사용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용융이 시작되는 온도 이상, 융점 미만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열 온도가 융점 이상이 되면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용해되어 경화하기 때문에, 유연한 촉감이 손상된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용융이 시작되는 온도 미만이면, 열가소성 수지 섬유끼리의 접합이 유지되기 때문에, 다음 공정의 부형 공정에 있어서 가공 대상의 부직포를 부형하기 어려워져, 적절한 요철을 형성하기 어려워진다.
예컨대, 가공 대상의 부직포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의 코어도모형의 복합 섬유인 경우, 융점 온도가 120℃, 용융이 시작되는 온도가 50℃ 이상이므로, 가열 롤의 외주면의 온도를 50∼11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100℃ 정도로 하는 것이다.
부형 공정은, 예열 공정을 거쳐서 반송되어 온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부형 장치(77)에 있어서, 맞물리면서 회전하고 있는 상하 한쌍의 연신 롤(78, 79) 사이에 넣어,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맞물려 있는 상측의 연신 롤(78)의 돌출 능선(78a) 및 오목홈(78b)과, 하측의 연신 롤(79)의 오목부(79b) 및 핀(79a)의 사이에서 연신하여 부형한다.
또, 부형 공정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부형을 행하기 쉽도록, 연신 롤(78, 79)을 가열하면서 부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의 가열 온도는, 예열 공정에서의 예열 온도보다 높고, 가공 대상의 부직포(73)의 융점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의 연신 롤(78)은, 그 외주면에, 롤 폭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 상측의 연신 롤(78)의 외주면을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복수열 설치된 전술한 돌출 능선(78a)과, 인접하는 돌출 능선(78a, 78a)의 사이에 설치된 복수열의 전술한 오목홈(78b)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하측의 연신 롤(79)은, 그 외주면에, 상측의 연신 롤(78)의 오목홈(78b)과 맞물리도록 설치된 복수의 핀(79a)과, 돌출 능선(78a)과 맞물리는 오목부(79b)를 구비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핀(79a)은, 롤 폭방향에 대해서는, 상측의 연신 롤(78)의 돌출 능선(78a)과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이 실시형태에서는, 하측의 연신 롤(79)의 롤폭의 전폭에 걸쳐 핀(79a)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는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롤의 둘레 방향에 대해서는, 외주면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거의 직선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의 하측의 연신 롤(79)은, 복수의 핀(79a)이, 하측의 연신 롤(79)의 외주면에 지그재그형으로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부형 공정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의 연신 롤(78)은, 돌출 능선(78a)이 가공 대상의 부직포(73)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을, 하측의 연신 롤(79)에서의 오목부(79b) 내에 압입하고, 이것에 의해 톱시트(2)(이 단계에서는 톱시트 연속체(71))의 볼록부(11)를 부형한다.
한편, 하측의 연신 롤(79)은, 둘레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핀(79a)이, 그 핀(79a)의 선단 부분에 접촉하고 있는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상측의 연신 롤(78)의 동일한 오목홈(78b) 내에 압입한다. 이 때, 가공 대상의 부직포(73) 중, 핀(79a)과 비접촉 상태로 오목홈(78b) 내에 인장된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교해서 그다지 연신되지 않고, 톱시트(2)(톱시트 연속체(71))의 홈부(12)의 제1 오목부(21)의 제1 바닥부(22)가 된다. 또한, 핀(79a)의 선단 부분과 접촉하고 있던 부분은, 오목홈(78b) 내에 강하게 압입되어 부형되고, 이에 따라, 주벽부(27) 및 제2 바닥부(28)를 구비한 톱시트(2)(톱시트 연속체(71))의 제2 오목부(26)가 형성되게 된다.
또, 제2 오목부(26)의 제2 바닥부(28)에 관해서는, 그 형성시에 있어서, 상측의 연신 롤(78)과 하측의 연신 롤(79)이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맞물리게 한 상태로, 핀(79a)의 선단 부분이 그 가공 대상의 부직포(73)의 접촉 부분을 오목홈(78b) 내에 압입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섬유 밀도가 다른 부분보다 높아지고, 강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톱시트(2)(톱시트 연속체(71))는, 이 오목부(7)의 바닥부(9)의 작용에 의해, 부직포(73) 전체의 강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하측의 연신 롤(79)의 롤폭의 전폭에 걸쳐 핀(79a)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톱시트 연속체(71)에는, 전폭에 걸쳐 제2 오목부(26)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이 형성된다(도 5의 톱시트(2) 참조).
또한, 가공 대상의 부직포(73)에 있어서, 핀(79a)의 선단 부분의 폭방향(롤 폭방향)의 양단부에 접촉하고 있던 부분은, 상측의 연신 롤(78)의 돌출 능선(78a)이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하측의 연신 롤(79)의 오목부(79b)에 압입할 때에 발생하는 장력도 도와서, 핀(79a)이, 제2 오목부의 주벽부 중의 제1 주벽부(29)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밀어 헤치거나, 혹은 파단하여 전술한 파단 단부를 갖는 파단 섬유를 형성하거나 한다.
이에 따라, 제2 오목부(26)에,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파단 섬유의 파단 단부가 포함된 구멍부(31)를 형성하게 된다. 또, 일부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구멍부(31)의 내부 공간에 걸쳐 있는 상태로 남고, 또한, 일부의 파단 섬유의 파단 단부는 구멍부(31)의 내부 공간 내로 연장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구멍부(31)가 형성되는 것은, 가공 대상의 부직포(73)의 반송 방향(MD)을 따르는 방향, 즉, 연신 롤(78, 79)의 회전 방향이자, 볼록부(11) 및 홈부(12)가 연장 설치되는 방향이기 때문에, 구멍부(31)는, 볼록부(11) 및 홈부(12)가 연장 설치되는 방향을 따르는 둘레면인 제1 주벽부(29)에 형성된다.
부형 공정이 종료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톱시트 연속체(71)가 완성되게 되지만, 이 톱시트 연속체(71)는, 흡수체(4)에 적층하기 위해, 캐리어 시트(65) 상의 흡수체(4)를 향해 반송되어, 접착제층을 통해 흡수체(4)의 상면측의 면에 적층 및 접합되게 된다. 이 때, 톱시트 연속체(71)는, 제1 오목부(21)에서의 제1 바닥부(22)의 제2면(2b)의 적어도 일부와, 제2 오목부(26)에서의 제2 바닥부(28)의 제2면(2b)이 흡수체(4)의 상면에 접합되는 한편, 볼록부(11)의 제2면(2b)은 거의 접합되지 않는다.
그 후, 전술한 각 공정을 실시하여, 제품으로서의 생리대(1)가 완성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생리대(1)는, 톱시트(2)에 관해, 흡수체(4)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볼록부(11)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피부가 접했을 때의 유연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한편, 홈부(12)의 제2 오목부(26)가, 톱시트(2) 중에서 가장 섬유 밀도가 높은 제2 바닥부(28)에 있어서 흡수체에 접합되기 때문에, 흡수체(4)에 대하여 톱시트(2)를 안정적으로 접합할 수 있고, 톱시트(2)가 흡수체(4)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억지할 수 있고, 액흡수성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우수한 촉감과 높은 액흡액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바닥부(22)의 일부가, 흡수체(4)의 톱시트측의 부분에 접합되어 있지만, 제1 바닥부에 관해서는, 톱시트와 흡수체가 안정적으로 접합되어 있으면, 반드시 흡수체(4)에 접합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 이 경우라 하더라도, 제2 바닥부는 흡수체의 톱시트측에 확실하게 접합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볼록부(11)의 정상부(13)에서의 제2면(2b)의 부분과 흡수체(4)의 톱시트측의 부분 사이의 거리가, 제1 바닥부(22)의 제1면(2a)에 있어서 가장 흡수체(4)에 가까운 부분과 흡수체(4)의 톱시트측의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작아졌다.
그러나, 톱시트와 흡수체의 박리를 안정적으로 억지할 수 있다면, 볼록부의 정상부에서의 제2면(2b)의 부분과 흡수체의 톱시트측의 부분 사이의 거리와, 제1 바닥부의 제1면에 있어서 가장 흡수체에 가까운 부분과 흡수체의 톱시트측의 부분 사이의 거리의 관계에 관해서는, 반드시 이러한 관계일 필요는 없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톱시트(2)가, 제2 오목부(26)와, 그 제2 오목부(26)에 폭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제2 오목부(26)의 사이에, 적어도 2개의 볼록부(11)가 위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제2 오목부 사이의 볼록부의 수에 관해서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톱시트(2)에 있어서, 홈부(12)의 제1 오목부(21)와, 그 홈부(12)와 인접하는 다른 홈부의 제1 오목부(21)가 서로 인접하는 구성이, 폭방향의 전폭에 걸쳐 연속해 있는 부분을 갖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톱시트는 반드시 이러한 구성일 필요는 없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벽부(27)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된 한쌍의 제1 주벽부(29, 29)와, 폭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된 한쌍의 제2 주벽부(30, 30)를 갖고 있고, 한쌍의 제1 주벽부(29, 29)에, 제2면(2b)에 통하는 구멍부(31)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볼록부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면, 주벽부에는 구멍부가 이용될 필요는 없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바닥부의 제2면은 평탄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제2 바닥부의 제2면의 유연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면, 그 제2면은 반드시 평탄형이 아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흡수성 물품(생리대(1))은, 톱시트측의 면에,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톱시트(2) 및 흡수체(4)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한 압착부(44)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 압착홈은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생리대의 예에 관해 설명했지만, 흡수성 물품으로는, 일회용 기저귀, 요실금 패드(팬티라이너) 등의 각종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1 : 생리대(흡수성 물품) 2 : 톱시트
3 : 백시트 4 : 흡수체
11 : 볼록부 12 : 홈부
13 : 정상부 21 : 제1 오목부
22 : 제1 바닥부 26 : 제2 오목부
27 : 주벽부 28 : 제2 바닥부
29 : 제1 주벽부 30 : 제2 주벽부
31 : 구멍부 41∼43 : 압착홈

Claims (9)

  1. 길이 방향, 폭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며, 액투과성을 갖는 톱시트와, 액불투과성을 갖는 백시트와, 상기 톱시트와 상기 백시트 사이에 설치된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톱시트는, 상기 흡수체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면과, 흡수체측의 제2면을 가지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또한 상기 폭방향으로 미리 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제1면의 방향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볼록부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또한 이들 상기 볼록부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2면의 방향을 향해 오목해지는 복수의 홈부를 갖고 있고,
    상기 홈부는, 상기 볼록부의 정상부에서의 상기 제1면의 위치보다 상기 흡수체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바닥부를 구비한 제1 오목부와, 상기 제1 오목부 내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불연속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바닥부로 개구된 오목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제1 바닥부로부터 상기 흡수체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주벽부(周壁部)와, 상기 주벽부의 상기 흡수체측의 단부에 그 단부를 막도록 설치된, 상기 톱시트 중에서 가장 섬유 밀도가 높은 제2 바닥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는, 적어도 상기 정상부에서의 상기 제2면의 부분이 상기 흡수체에 접합되어 있지 않고, 상기 홈부의 적어도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제2 바닥부가 상기 흡수체에 접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흡수체에서의 톱시트측의 부분과 접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상기 정상부에서의 상기 제2면의 부분과 상기 흡수체의 톱시트측의 부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바닥부의 상기 제1면에 있어서 가장 상기 흡수체에 가까운 부분과 상기 흡수체의 톱시트측의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톱시트는, 상기 제2 오목부와, 그 제2 오목부에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상기 제2 오목부의 사이에, 2개 이상의 상기 볼록부가 위치한 구성인 흡수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톱시트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제1 오목부와, 그 홈부와 인접하는 다른 홈부의 제1 오목부가 서로 인접하는 구성이, 상기 폭방향의 전폭에 걸쳐 연속해 있는 부분을 갖고 있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벽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된 한쌍의 제1 주벽부와, 상기 폭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된 한쌍의 제2 주벽부를 갖고 있고, 상기 한쌍의 제1 주벽부에, 상기 제2면으로 통하는 구멍부를 구비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닥부의 제2면은 평탄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톱시트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상기 제1면의 영역 및 상기 제2면의 영역이, 상기 제2면으로부터 상기 제1면의 방향을 향해 볼록해지는 형상으로 만곡되고, 상기 홈부의 제1 오목부의 상기 제1면의 영역 및 상기 제2면의 영역이, 상기 제1면으로부터 제2면의 방향을 향해 볼록해지는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구성을 갖고 있는 흡수성 물품.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톱시트측의 면에,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톱시트 및 상기 흡수체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착한 압착홈을 구비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KR1020177031733A 2015-05-22 2016-02-29 흡수성 물품 KR201800110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04888 2015-05-22
JP2015104888A JP6038228B1 (ja) 2015-05-22 2015-05-22 吸収性物品
PCT/JP2016/056116 WO2016189914A1 (ja) 2015-05-22 2016-02-29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077A true KR20180011077A (ko) 2018-01-31

Family

ID=5739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733A KR20180011077A (ko) 2015-05-22 2016-02-29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786400B2 (ko)
EP (1) EP3298997B1 (ko)
JP (1) JP6038228B1 (ko)
KR (1) KR20180011077A (ko)
CN (1) CN107613931B (ko)
BR (1) BR112017024549A2 (ko)
MY (1) MY180453A (ko)
WO (1) WO20161899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5818B2 (ja) * 2016-12-28 2020-12-2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11168420B2 (en) 2017-08-31 2021-11-09 Kao Corporation Nonwoven fabric
IT201800002181A1 (it) * 2018-01-30 2019-07-30 Gdm Spa Apparato e metodo di formatura di una imbottitura assorbente
JP2020049084A (ja) * 2018-09-28 2020-04-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1696858B2 (en) * 2019-05-15 2023-07-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O2021151238A1 (en) * 2020-01-31 2021-08-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ertured nonwoven web and method of forming thereof
WO2024057968A1 (ja) * 2022-09-16 2024-03-21 株式会社瑞光 吸収性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9491B2 (ja) * 1990-06-26 1998-10-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3348871B2 (ja) * 1992-05-14 2002-11-2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表面材
JP3061507B2 (ja) * 1993-03-24 2000-07-10 三井化学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3611666B2 (ja) 1996-05-13 2005-01-1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H10211232A (ja) 1997-01-31 1998-08-11 Uni Charm Corp 使い捨て体液吸収性着用物品の表面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48743B2 (ja) 1999-10-04 2006-02-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550646B2 (en) * 2002-09-09 2009-06-23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resilient por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468114B2 (en) * 2002-11-13 2008-12-23 Kao Corporation Composite sheet and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CN101065085B (zh) * 2004-11-30 2011-03-16 宝洁公司 具有一对后侧翼的吸收制品
JP4540590B2 (ja) * 2005-11-09 2010-09-0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立体シート
JP5441356B2 (ja) * 2008-05-15 2014-03-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表面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5455363B2 (ja) 2008-12-25 2014-03-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薄型吸収性物品
JP5374345B2 (ja) * 2009-12-09 2013-12-25 花王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MX356083B (es) * 2012-04-25 2018-05-14 Procter & Gamble Trama ondulada y perforada.
JP6189143B2 (ja) * 2012-10-31 2017-08-3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24549A2 (pt) 2018-07-24
EP3298997B1 (en) 2019-01-02
CN107613931A (zh) 2018-01-19
EP3298997A1 (en) 2018-03-28
JP6038228B1 (ja) 2016-12-07
JP2016214688A (ja) 2016-12-22
MY180453A (en) 2020-11-29
EP3298997A4 (en) 2018-04-25
US20180098895A1 (en) 2018-04-12
US10786400B2 (en) 2020-09-29
WO2016189914A1 (ja) 2016-12-01
CN107613931B (zh) 2020-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1077A (ko) 흡수성 물품
TWI699195B (zh) 吸收性物品
EP2277485B1 (en) Front face sheet for absorbent article,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JP4938129B2 (ja) 吸収性物品
JP5165756B2 (ja) 吸収性物品
JP3061507B2 (ja) 体液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KR101013923B1 (ko) 생리용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EP2478881B1 (en) Absorptive article
EP2277484A1 (en) Absorbent article
JP2008100110A (ja) 吸収性物品
EP2223670A1 (e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08348375B (zh) 吸收性物品
JP5766253B2 (ja) 吸収性物品
JP2006061175A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TWI675138B (zh) 吸收性物品用不織布
KR101166593B1 (ko) 음순간 패드
JP2016221237A (ja) 吸収性物品
JP6628696B2 (ja) 吸収性物品用の賦形された不織布、当該賦形された不織布を含む吸収性物品、及び上記賦形された不織布の製造方法
JP4555616B2 (ja) 陰唇間パッド
JP6257558B2 (ja) 吸収性物品
WO2015194375A1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7109942B2 (ja) 吸収性物品
US20230355450A1 (en) Absorbent article
JP4420773B2 (ja) 陰唇間パッ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