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073A - 가요성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가요성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073A
KR20180010073A KR1020160092190A KR20160092190A KR20180010073A KR 20180010073 A KR20180010073 A KR 20180010073A KR 1020160092190 A KR1020160092190 A KR 1020160092190A KR 20160092190 A KR20160092190 A KR 20160092190A KR 20180010073 A KR20180010073 A KR 20180010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aling
resin layer
conductive substrate
sealing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618B1 (ko
Inventor
이태수
김잔디
남정규
박봉경
방원규
서준원
손주희
양정엽
이정두
한주형
송현화
엄혜리
최솔
한다운
홍석헌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2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618B1/ko
Priority to US15/654,949 priority patent/US11043722B2/en
Publication of KR20180010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5Terminals formed by the casing of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2/0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2/0267
    • H01M2/027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1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7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01M50/46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with adhesive layers between electrodes and 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기재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전도성 기재, 상기 제1 전도성 기재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전도성 기재, 그리고 상기 제1 전도성 기재 및 상기 제2 전도성 기재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를 따라 위치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금속층 및 적어도 하나의 밀봉 수지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요성 이차 전지{FLEXIBLE RECHARGEABLE BATTERY}
본 기재는 가요성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요성(flexible) 표시 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에 따라 이의 에너지원으로써 가요성(flexible) 이차 전지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적층형 전지는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양극 및 음극이 교대로 적층되어 구성된 전극 조립체를 파우치에 삽입하여 밀봉하는 형태로 제조된다.
그러나, 종래의 파우치형 전지는 유연성이 없기 때문에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반복하여 구부리는(bending)는 경우 압축응력(compressive stress) 및 인장 응력(tensile stress)을 반복적으로 받아서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파우치형 전지는 주로 수지를 이용하여 밀봉하나 이와 같이 밀봉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지는 수분 침투성이 높아 외부로부터 전지 내부로 쉽게 수분이 쉽게 침투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분에 의해 전해질 가수분해가 발생할 수 있고, 이때 산과 열이 발생하여 밀봉에 이용한 수지의 접착력을 약화시킴과 동시에 전지의 성능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기재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수한 벤딩 및 굽힘 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수분 차단성이 우수한 가요성 이차 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서, 본 기재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전도성 기재, 상기 제1 전도성 기재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전도성 기재, 상기 제1 전도성 기재 및 상기 제2 전도성 기재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를 따라 위치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금속층 및 적어도 하나의 밀봉 수지층을 포함하는 가요성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기재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는 반복적인 벤딩 또는 굽힘에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수분 차단성이 우수한 밀봉부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재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는 수분 차단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전지 내부로의 수분 침투가 억제되어 습도가 높은 환경이나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에도 수분에 의한 전지의 성능 저하를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본 기재의 효과는 상술한 내용 이외에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도 도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기재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I-I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기재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에 밀봉부를 부착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9는 각각 본 기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기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기재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기재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기재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기재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기재가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기재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I-I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기재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100)는 제1 전도성 기재(111) 및 제2 전도성 기재(112)와 이들을 부착하는 밀봉부(30)를 포함한다.
제1 전도성 기재(111) 및 제2 전도성 기재(112)는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되고, 밀봉부(30)는 제1 전도성 기재(111) 및 제2 전도성 기재(112)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를 따라 위치한다.
본 기재에서 제1 전도성 기재(111) 및 제2 전도성 기재(112)는 각각 서로 다른 전극으로 기능할 수도 있고, 같은 전극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도성 기재(111) 및 제2 전도성 기재(112)가 각각 다른 전극으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1 전도성 기재(111)가 양극으로 기능하는 경우 제2 전도성 기재(112)는 음극으로 기능하고, 제1 전도성 기재(111)가 음극으로 기능하는 경우, 제2 전도성 기재(112)는 양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는, 제1 전도성 기재(111) 및 제2 전도성 기재(112)가 같은 전극으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제1 전도성 기재(111) 및 제2 전도성 기재(112) 모두 음극으로 기능하거나, 제1 전도성 기재(111) 및 제2 전도성 기재(112) 모두 양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전도성 기재(111) 및 제2 전도성 기재(112)가 각각 다른 전극, 즉, 제1 전도성 기재(111)는 음극, 제2 전도성 기재(112)는 양극으로 기능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이 같은 전극으로 기능하는 경우, 전도성 기재(111, 112)에 포함되는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각 해당 전극에 관하여 설명하는 부분과 동일하다.
먼저, 상기 제1 전도성 기재(111)를 이루는 구성을 살펴 보기로 한다.
제1 전도성 기재(111)는, 제1 방향으로 순서대로 위치하는 제1 수지층(24), 제1 전극 집전체층(111a) 및 제1 전극 코팅층(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방향은, z축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의미한다.
제1 수지층(24)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이차 전지(100)를 보호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연성을 갖는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지층(24)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halate, PET)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 집전체층(111a)은, 예를 들면, 제1 수지층(24)의 일면에 금속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금속 포일(foil)을 부착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전도성 기재(111)가 음극으로 기능하는 경우, 제1 전극 집전체층(111a)은 구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극 집전체층(111a)에서 제1 수지층(24)과 부착되는 면의 타면에는 제1 전극 코팅층(111b)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전극 집전체층(111a)의 적어도 일단에는 제1 전극 코팅층(111b)이 형성되지 않는 무지부 영역이 존재하고, 여기에 제1 전극 탭(51)이 연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 수지층(24)과 제1 전극 집전체층(111a) 사이에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배리어층(미도시) 및 다른 수지층(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배리어층이 더 포함되는 경우 외부의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수지층이 더 포함되는 경우 배리어층 및 제1 전극 집전체층(111a) 사이의 통전을 위하여 복수의 통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제1 전도성 기재(111)는 제1 돌출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211)는 제1 전극 집전체층(111a)의 단부(111c)에 일체로 연결되어 연장된 것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전도성 기재(112)를 이루는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2 전도성 기재(112)는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순서대로 위치하는 제2 수지층(27), 제2 전극 집전체층(112a) 및 제2 전극 코팅층(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은, z축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을 의미한다.
제2 수지층(27)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이차 전지(100)를 보호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연성을 갖는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수지층(27)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halate, PET)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극 집전체층(112a)은, 예를 들면, 제1 수지층(24)의 일면에 금속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금속 포일(foil)을 부착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전도성 기재(112)가 양극으로 기능하는 경우, 제2 전극 집전체층(112a)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전극 집전체층(112a)에서 제2 수지층(27)과 부착되는 면의 타면에는 제2 전극 코팅층(112b)이 형성된다. 이때, 제2 전극 집전체층(112a)의 적어도 일단에는 제2 전극 코팅층(112b)이 형성되지 않는 무지부 영역이 존재하고, 여기에 제2 전극탭(52)이 연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2 수지층(27)과 제2 전극 집전체층(112a) 사이에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배리어층(미도시) 및 다른 수지층(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배리어층 및 다른 수지층에 관한 설명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기재에서 제2 전도성 기재(112)는 제2 돌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돌출부(212)는 제2 전극 집전체층(112a)의 단부(112c)에 일체로 연결되어 연장된 것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제1 전도성 기재(111) 및 제2 전도성 기재(112) 사이에는 세퍼레이터(13)가 위치한다. 세퍼레이터(13)는 제1 전도성 기재(111) 및 상기 제2 전도성 기재(112)를 분리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리튬 전지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본 기재에서 제1 전도성 기재(111) 및 제2 전도성 기재(1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지층, 전극 집전체층 및 전극 코팅층이 일체로 형성되어 외장재의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양극 및/또는 음극의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의 가요성 이차 전지(100)는 벤딩(bending) 또는 굽힘(folding)시에도 이차 전지가 받는 힘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즉, 가요성 이차 전지(100)에 응축 응력 및 인장 응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안정성을 쉽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수평 단면적과 동일한 용량을 갖는 조건에서, 종래의 파우치형 전지와 비교할 때, 현저하게 얇은 두께로 가요성 이차 전지(100)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유연성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밀봉부(30)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금속층(31) 및 적어도 하나의 밀봉 수지층(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밀봉 금속층(31)은, 예를 들면, 주석, 아연, 구리, 알루미늄, 니켈, 은, 인듐, 안티몬, 비스무트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밀봉 수지층(32)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halate, PET),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폴리이미드(Polyimide, PI)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기재에서 밀봉 수지층은 폴리이미드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내열성, 내습성, 내약품성 및 유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밀봉부(30)는 제1 전극 집전체층(111a) 및 제2 전극 집전체층(112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밀봉부(30)가 위치하는 면에는 제1 전극 집전체층(111a) 및 제2 전극 집전체층(112a) 상에 제1 전극 코팅층(111b) 및 제2 전극 코팅층(112b)이 도포되지 않는다.
본 기재에서 상기 밀봉부(30)는 가요성 이차 전지(100) 내부에 위치하는 세퍼레이터(13), 제1 전극 코팅층(111b) 및 제2 전극 코팅층(112b)과 소정의 간격(61)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가요성 이차 전지(100)의 내부에서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구성과 밀봉부(30)에 포함되는 밀봉 금속층(31) 등이 접촉하여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기재와 같이 밀봉부(30)를 적어도 하나의 밀봉 금속층(31) 및 적어도 하나의 밀봉 수지층(32)을 모두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경우, 제1 및 제2 전도성 기재(111, 112)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함과 동시에 가요성 이차 전지(100)의 수평 방향 (도 1에서 xy면 방향)으로도 우수한 투습 방지 효과를 갖는 가요성 이차 전지(100)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러면, 본 기재의 가요성 이차 전지(100)에 포함되는 상기 밀봉부(3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기재에서 밀봉부(30)는 제1 전극 집전체층(111a) 및 제2 전극 집전체층(112a)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 전도성 기재(111) 및 제2 전도성 기재(112)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를 따라 위치한다.
이때, 밀봉부(30)는 제1 밀봉 금속층(31), 제1 밀봉 수지층(32) 및 제2 밀봉 금속층(34)이 제1 방향으로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밀봉부(30)의 외측에는 제1 돌출부(211) 및 제2 돌출부(212)가 마주보는 영역이 존재한다. 이러한 제1 돌출부(211) 및 제2 돌출부(212)가 마주보는 영역, 즉, 밀봉부(30)의 바깥쪽 테두리에는, 외곽 밀봉부(133)가 위치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외곽 밀봉부(133)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외곽 밀봉부(133)가 밀봉부(30)의 바깥쪽 테두리에 위치하여 제1 돌출부(211) 및 제2 돌출부(212)가 마주보는 영역을 채우는 경우 투습 방지 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밀봉부(30)는 솔더링 하는 방법,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용접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기재에서는 금속 솔더 페이트스를 이용하여 솔더링 하는 방법이 접착력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기재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100) 제조시 밀봉부(30)가 제1 전도성 기재(111) 및 제2 전도성 기재(112)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밀봉부(30) 부착 공정은, 예를 들면, 멜팅액 도포 공정 및 가열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고하면, 제1 돌출부(211) 및 제2 돌출부(212)를 금속 멜팅액에 담가 제1 돌출부(211) 및 제2 돌출부(212)의 표면 전체에 멜팅된 금속이 충분히 도포(S10)되도록 한다.
다음, 표면에 플럭스(flux)가 도포된 밀봉부(30)를 제1 전극 집전체층(111a) 및 제2 전극 집전체층(112a) 사이의 테두리에 위치시키고 여기에 열을 가하는 방법으로 부착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밀봉부(30)를 형성하는 경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부(30)의 바깥쪽으로 멜팅 금속으로 이루어진 외곽 밀봉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밀봉부(30)를 제1 전도성 기재(111) 및 제2 전도성 기재(112) 사이에 위치 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211) 및 제2 돌출부(212)에 플럭스(flux)를 도포하고, 밀봉부(30) 자체를 금속 멜팅액에 담가 멜팅된 금속이 충분히 도포되도록 한 후, 밀봉부(30)를 적절하게 위치시킨 후 제1 전도성 기재(111) 및 제2 전도성 기재(112)의 테두리를 가열하는 방법으로 밀봉부(30)를 부착할 수도 있다.
또는, 밀봉부(30), 제1 돌출부(211) 및 제2 돌출부(212) 각각을 금속 멜팅액에 담가 밀봉부(30), 제1 돌출부(211) 및 제2 돌출부(212)의 표면에 멜팅된 금속이 충분히 도포되도록 한 후 제1 전도성 기재(111) 및 제2 전도성 기재(112)의 테두리를 가열하는 방법으로 밀봉부(30)를 부착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솔더링 공정 진행시 금속 페이스트를 기재에 직접 도포한 후 열을 가하였는데 이 경우 금속 페이스트가 도포 과정에서 흐르거나 솔더링 과정에서 금속 페이스트가 삐져 나와 이차 전지의 내부로 침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기재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211) 및 제2 돌출부(212)를 포함하는 제1 전도성 기재(111) 및 제2 전도성 기재(112)를 이용하기 때문에 쉽게 밀봉부(30) 부착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즉, 금속 멜팅액에 제1 돌출부(211) 및 제2 돌출부(212)를 담그거나, 밀봉부(30)를 담그거나, 이들 모두를 담그는 간단한 방법으로 밀봉부(30)가 부착될 주변 영역에 쉽게 멜팅 금속액이 충분히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도성 기재(111) 및 제2 전도성 기재(112)의 테두리를 가열함으로써 밀봉부(30)를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솔더링 공정을 매우 쉽고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력과 수분 차단성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제1 돌출부(211) 및 제2 돌출부(212)의 외곽에 솔더링 금속 잔여물이 남아 있는 경우에도 가요성 이차 전지(100)를 제품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가요성 이차 전지(100)의 외관 품질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밀봉부(30)를 별도의 부재로 형성한 다음 솔더링이나 용접을 진행하기 때문에 가요성 이차 전지(100)의 두께 변화에 쉽게 대처할 수 있다. 즉, 본 기재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100)의 내부에 포함되는 내부 전극 층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등 가요성 이차 전지(100)의 전체 두께(도 1의 z축 방향)에 변화가 있어도 밀봉부(30)의 두께를 이에 맞춰 적절하게 조절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공정 상의 이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9에는 본 기재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에 적용되는 밀봉부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기재에 따른 밀봉부(130)는 제2 밀봉 수지층(132), 제1 밀봉 금속층(131) 및 제3 밀봉 수지층(134)이 제1 방향으로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밀봉부(130)의 일부는 가요성 이차 전지(100)의 내측으로 보다 진입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 집전체층(111a) 및 제2 전극 집전체층(112a) 사이에는 제1 밀봉 금속층(131)이 위치한다.
따라서, 제2 밀봉 수지층(132)은 제1 전도성 기재(111)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제3 밀봉 수지층(134)은 제2 전도성 기재(112)와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밀봉 수지층(132)은 제1 전극 집전체층(111a)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고, 제3 밀봉 수지층(134)은 제2 전극 집전체층(112a)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밀봉 수지층(132) 및 제3 밀봉 수지층(134)이 각각 제1 전극 집전체층(111a) 및 제2 전극 집전체층(112a)층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경우, 솔더링 공정에서 솔더 금속이 가요성 이차 전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밀봉부(130)의 바깥쪽에는 외곽 밀봉부(133)가 위치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외곽 밀봉부(133)는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밀봉부(130)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기재에 따른 밀봉부(230)는 제4 밀봉 수지층(232), 제4 밀봉 금속층(231), 제5 밀봉 수지층(234), 제5 밀봉 금속층(233), 제6 밀봉 수지층(236)이 제1 방향으로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밀봉부(230)의 일부는 가요성 이차 전지(100)의 내측으로 보다 진입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 집전체층(111a) 및 제2 전극 집전체층(112a) 사이에는 제4 밀봉 금속층(231), 제5 밀봉 수지층(234) 및 제5 밀봉 금속층(233)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제4 밀봉 수지층(232)은 제1 전도성 기재(111)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제6 밀봉 수지층(236)은 제2 전도성 기재(112)와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4 밀봉 수지층(232)은 제1 전극 집전체층(111a)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고, 제6 밀봉 수지층(236)은 제2 전극 집전체층(112a)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4 밀봉 수지층(232) 및 제6 밀봉 수지층(236) 외에 제5 밀봉 수지층(234)을 더 포함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밀봉부(230)의 가요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밀봉부(230)의 바깥쪽에는 외곽 밀봉부(133)가 위치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외곽 밀봉부(133)는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밀봉부(230)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기재에서 전술한 밀봉부들(30, 130, 230)은 제1 돌출부(211) 및 제2 돌출부(212)와 중첩하는 영역까지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는 각각 도 3,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밀봉부(30, 130, 230)가 제1 돌출부(211) 및 제2 돌출부(212)와 중첩하는 영역까지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 밀봉부(330, 430, 530) 형태를 도시하였다.
도 7 내지 도 9에서 도 3, 도 5 및 도 6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것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0에는 본 기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전도성 기재(111) 및 상기 제2 전도성 기재(112) 사이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1 내부 전극(1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내부 전극(12)이 세퍼레이터(13)를 경계로 교대로 적층된 전극 조립체가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0에는 편의상 한 층의 제1 내부 전극(11) 및 제2 내부 전극(12)을 도시하였으나, 이들이 세퍼레이터(13)를 경계로 복수 개 적층되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내부 전극(11)은, 음극일 수 있으며, 제1 내부 전극 집전체층(11a) 및 제1 내부 전극 집전체층(11a)에 형성된 제1 내부 전극 코팅층(11b)을 포함한다. 이때, 및 제1 내부 전극 집전체층(11a)의 일단에는 제1 내부 전극 코팅층(11b)이 형성되지 않는 무지부 영역이 존재하고, 여기에 제1 전극탭(51)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내부 전극 집전체층(11a)으로는, 구리 박, 니켈 박, 스테인레스강 박, 티타늄 박, 니켈 발포체(foam), 구리 발포체, 전도성 금속이 코팅된 폴리머 기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 내부 전극 코팅층(11b)은 제1 내부 전극 집전체층(11a)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 리튬 금속, 리튬 금속의 합금, 리튬을 도프 및 탈도프할 수 있는 물질, 또는 전이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 내부 전극 코팅층(11b) 형성용 조성물에는 음극 활물질 외에 바인더, 도전재 및/또는 증점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내부 전극(12)은, 양극일 수 있으며, 제2 내부 전극 집전체층(12a)와 제2 내부 전극 집전체층(12a) 상에 형성된 제2 내부 전극 코팅층(12b)을 포함한다. 이때, 제2 내부 전극 집전체층(12a)의 일단에는 제2 내부 전극 코팅층(12b)이 형성되지 않는 무지부 영역이 존재하고, 여기에 제2 전극탭(52)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내부 전극 집전체층(12a)으로는 알루미늄 박, 니켈 박, 스테인레스강 박, 티타늄 박, 니켈 발포체(foam), 구리 발포체, 전도성 금속이 코팅된 폴리머 기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 내부 전극 코팅층(12b)은 제2 내부 전극 집전체층(12a)의 일면 또는 양면에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화합물(리티에이티드 인터칼레이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 내부 전극 코팅층(12b) 형성용 조성물에는 양극 활물질 외에 바인더, 도전재 및/또는 증점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내부 전극(11)은 음극, 제2 내부 전극(12)은 양극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제1 내부 전극(11)과 제2 내부 전극(12)의 극성이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기재는 상기와 같은 가요성 이차 전지(100)를 단위 전지로서 포함하는 전지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재는 상기 전지 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전자 기기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태플릿 PC, 스마트 패드, 스마트 북,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또는 전력저장장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으로 본 기재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기재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기재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기재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가요성 이차 전지
111: 제1 전도성 기재
111a: 제1 전극 집전체층
111b: 제1 전극 코팅층
111c: 제1 전극 집전체층의 단부
24: 제1 수지층
112: 제2 전도성 기재
112a: 제2 전극 집전체층
112b: 제2 전극 코팅층
112c: 제2 전극 집전체층의 단부
27: 제2 수지층
30, 130, 230, 330, 430, 500, 510, 520, 530, 540, 550: 밀봉부
211: 제1 돌출부
212: 제2 돌출부
61: 빈 공간
31, 131, 231, 331, 431, 531: 밀봉 금속층
32, 132, 232, 332, 432, 532: 밀봉 수지층

Claims (13)

  1.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전도성 기재,
    상기 제1 전도성 기재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전도성 기재; 그리고
    상기 제1 전도성 기재 및 상기 제2 전도성 기재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를 따라 위치하는 밀봉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금속층 및 적어도 하나의 밀봉 수지층을 포함하는 가요성 이차 전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기재는,
    제1 수지층, 제1 전극 집전체층 및 제1 전극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전극 집전체층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외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인 가요성 이차 전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도성 기재는,
    제2 수지층, 제2 전극 집전체층 및 제2 전극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전극 집전체층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외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인 가요성 이차 전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는 외곽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가요성 이차 전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중첩하는 영역까지 연장된 가요성 이차 전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순차 적층된 제1 밀봉 금속층, 제1 밀봉 수지층 및 제2 밀봉 금속층을 포함하는 가요성 이차 전지.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순차 적층된 제2 밀봉 수지층, 제3 밀봉 금속층 및 제3 밀봉 수지층을 포함하는 가요성 이차 전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 수지층은 상기 제1 전도성 기재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밀봉 수지층은 상기 제2 전도성 기재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가요성 이차 전지.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순차 적층된 제4 밀봉 수지층, 제4 밀봉 금속층, 제5 밀봉 수지층, 제5 밀봉 금속층, 제6 밀봉 수지층을 포함하는 가요성 이차 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밀봉 수지층은 상기 제1 전도성 기재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6 밀봉 수지층은 상기 제2 전도성 기재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가요성 이차 전지.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금속층은,
    주석, 아연, 구리, 알루미늄, 니켈, 은, 인듐, 안티몬, 비스무트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가요성 이차 전지.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지층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halate, PET),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폴리이미드(Polyimide, PI)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가요성 이차 전지.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기재 및 상기 제2 전도성 기재 사이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내부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내부 전극이 세퍼레이터를 경계로 교대로 적층된 전극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가요성 이차 전지.
KR1020160092190A 2016-07-20 2016-07-20 가요성 이차 전지 KR102245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190A KR102245618B1 (ko) 2016-07-20 2016-07-20 가요성 이차 전지
US15/654,949 US11043722B2 (en) 2016-07-20 2017-07-20 Flexible rechargeable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190A KR102245618B1 (ko) 2016-07-20 2016-07-20 가요성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073A true KR20180010073A (ko) 2018-01-30
KR102245618B1 KR102245618B1 (ko) 2021-04-27

Family

ID=60988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190A KR102245618B1 (ko) 2016-07-20 2016-07-20 가요성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043722B2 (ko)
KR (1) KR1022456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092A (ko) * 2020-01-15 2021-07-23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을 이용한 자가 충전 복합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59821A (ko) * 2020-11-03 2022-05-10 주식회사 지피 태양전지 및 배터리간 전기적 연결 구조를 갖는 고 신뢰성 플렉시블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581B1 (ko) * 2015-11-30 2023-10-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가요성 이차 전지
US11383213B2 (en) 2016-03-15 2022-07-12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product
US11171324B2 (en) 2016-03-15 2021-11-09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product
US10505765B2 (en) * 2016-04-28 2019-12-10 Intel IP Corporation Channel estimation fields for wireless networks
US11081684B2 (en) 2017-05-24 2021-08-03 Honda Motor Co., Ltd. Production of carbon nanotube modified battery electrode powders via single step dispersion
US10658651B2 (en) 2017-07-31 2020-05-19 Honda Motor Co., Ltd. Self standing electrodes and methods for making thereof
US20190036102A1 (en) 2017-07-31 2019-01-31 Honda Motor Co., Ltd. Continuous production of binder and collector-less self-standing electrodes for li-ion batteries by using carbon nanotubes as an additive
US11201318B2 (en) 2017-09-15 2021-12-14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battery tab attachment to a self-standing electrode
US11121358B2 (en) 2017-09-15 2021-09-14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embedding a battery tab attachment in a self-standing electrode without current collector or binder
US11535517B2 (en) 2019-01-24 2022-12-27 Honda Motor Co., Ltd. Method of making self-standing electrodes supported by carbon nanostructured filaments
US11352258B2 (en) 2019-03-04 2022-06-07 Honda Motor Co., Ltd. Multifunctional conductive wire and method of making
US11325833B2 (en) 2019-03-04 2022-05-10 Honda Motor Co., Ltd. Composite yarn and method of making a carbon nanotube composite yarn
US11539042B2 (en) 2019-07-19 2022-12-27 Honda Motor Co., Ltd. Flexible packaging with embedded electrode and method of mak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8605A (ja) * 1999-10-15 2001-04-27 Sony Corp 薄型ポリマー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29913A (ja) * 2003-09-30 2005-05-19 Tdk Corp 電気化学デバイス
KR20110069038A (ko) * 2008-09-05 2011-06-22 리나타에이지 박막 배터리
JP2013519196A (ja) * 2010-02-08 2013-05-23 キネテイツク・リミテツド 薄型電気化学セル
JP5879550B2 (ja) * 2011-08-22 2016-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薄型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03504A1 (en) * 1991-08-09 1993-02-18 Yuasa Corporation Thin battery
CA2100678A1 (en) * 1991-12-06 1993-06-07 Hiroshi Kagawa Film type battery and layer-built film type battery
NO313183B1 (no) 2000-10-12 2002-08-26 Marc Schneider Furanpolymer-impregnert tre, fremgangsmåte til fremstilling og anvendelse derav
JP4419568B2 (ja) * 2003-12-25 2010-02-24 Tdk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
US20110020846A1 (en) * 2009-07-22 2011-01-27 Jau-Song Yu Oral cancer biomarker and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TWI406444B (zh) * 2010-03-05 2013-08-21 Prologium Technology Co 電能供應系統之封裝結構及其應用之電能供應系統
US20120263978A1 (en) 2011-04-14 2012-10-18 Chung-Hsiung Wang Energy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WO2012153865A1 (ja) * 2011-05-11 2014-07-31 日本電気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実装体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1496547B1 (ko) 2012-06-22 2015-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1923374B1 (ko) 2012-09-17 2018-11-29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US10079375B2 (en) * 2015-12-30 2018-09-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ual seal microbattery and method of mak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8605A (ja) * 1999-10-15 2001-04-27 Sony Corp 薄型ポリマー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29913A (ja) * 2003-09-30 2005-05-19 Tdk Corp 電気化学デバイス
KR20110069038A (ko) * 2008-09-05 2011-06-22 리나타에이지 박막 배터리
JP2013519196A (ja) * 2010-02-08 2013-05-23 キネテイツク・リミテツド 薄型電気化学セル
JP5879550B2 (ja) * 2011-08-22 2016-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薄型二次電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092A (ko) * 2020-01-15 2021-07-23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을 이용한 자가 충전 복합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59821A (ko) * 2020-11-03 2022-05-10 주식회사 지피 태양전지 및 배터리간 전기적 연결 구조를 갖는 고 신뢰성 플렉시블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618B1 (ko) 2021-04-27
US11043722B2 (en) 2021-06-22
US20180026236A1 (en)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618B1 (ko) 가요성 이차 전지
JP4628682B2 (ja) 電池部ユニット及びこ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2次電池
EP3174131B1 (en) Flexible rechargeable battery
US20170155098A1 (en) Flexible rechargeable battery
US8771861B2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077027B2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1465172B1 (ko) 내구성 향상을 위해 실링 마진을 가진 파우치형 이차 전지
JP6726908B2 (ja) 積層型電池
JP2009110928A (ja) 電極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
JP2018006326A (ja) 2次電池
EP3534451A1 (en) Secondary battery
US10367184B2 (en) Rechargeable battery
CN110165130B (zh) 直接放置电池组模块
CN104425778A (zh) 袋型可再充电电池
JP2007214025A (ja) ラミネート電池および組電池
JP7414129B2 (ja) 二次電池
KR100635759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US20220223986A1 (en) Cell battery
US10424817B2 (en) Pouch type rechargeable battery
EP4164051A1 (en) Secondary battery
KR101571294B1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20220231320A1 (en) Cell battery
CN116031584A (zh) 一种电化学装置及用电设备
JP2023523113A (ja) 電池
JPWO2018105278A1 (ja) 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