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161A -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 - Google Patents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161A
KR20180009161A KR1020160090713A KR20160090713A KR20180009161A KR 20180009161 A KR20180009161 A KR 20180009161A KR 1020160090713 A KR1020160090713 A KR 1020160090713A KR 20160090713 A KR20160090713 A KR 20160090713A KR 20180009161 A KR20180009161 A KR 20180009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inner pot
curved
lid
down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5867B1 (ko
Inventor
김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60090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867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레버의 구동에 의해 내솥과 밀착되는 구조를 갖는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패킹은 상기 내솥뚜껑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패킹몸체와, 상기 패킹몸체의 하단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패킹외측날개와, 상기 패킹외측날개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향돌출부와, 상기 패킹외측날개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하향돌출부와, 상기 하향돌출부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1곡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패킹은 본체뚜껑의 잠김에 의해 눌려 형상의 변형이 유도되며, 변형된 형상에 의해 패킹의 밀폐력이 향상됨에 따라 내솥의 내부 공간이 완전히 밀폐되는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Lid of inner pot for Electric pressure cooker}
본 발명은 잠금레버의 구동에 의해 내솥과 밀착되는 구조를 갖는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밀착되는 내솥과 내솥뚜껑에 눌려 형상이 변하는 패킹으로 내솥 내부의 공간을 완전히 밀폐시키는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조리기는 음식을 조리하는데 쓰는 기구로서, 본체의 내부공간에 내솥이 수용되고, 상기 본체와 내솥을 덮어주는 본체뚜껑 및 내솥 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곡식류 등의 음식재료가 담기는 내솥은 본체에 내장된 발열기기에 의해 가열되면서 취사가 이루어지며, 취사가 종료된 후에 내솥의 내부공간에 잔류하는 고압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안전한 상태로 취사를 수행하도록 증기 배출장치와 안전밸브 등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내솥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내솥 내부를 고온 고압의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취반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하거나, 보온시 내솥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내솥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한편, 종래의 전기압력조리기의 내솥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17820호(이하, '특허문헌 1')에 게재되어 있다.
도 1과 도2에 도시된 '특허문헌 1'의 전기압력조리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내솥돌편이 구성된 내솥(30)과; 상기 본체뚜껑(20)에 결착되고, 내솥(30)의 내솥돌편(31)에 대응하는 잠금링돌편(41) 및 잠금링레버돌기(42)가 구성된 잠금링(40)과; 상기 잠금링레버돌기(42)에 대응하는 수용부가 구성된 잠금레버(50)와; 상기 본체뚜껑(20)에 결착되고 외주연에 내측패킹(61)이 끼워져 결합되는 압력뚜껑(60)과; 상기 압력뚜껑(6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솥(30)을 개폐하며, 걸림돌기가 구성된 고정부재와 내솥패킹(72)이 결합되는 내솥뚜껑(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잠금링(40)은 잠금링돌편(41)의 일측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본체뚜껑(20)을 닫은 채로 잠금레버(50)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하면 내솥돌편(31)이 잠금링돌편(41)의 경사부를 타고 이동하면서 내솥뚜껑(70)이 점차 내솥(30)쪽으로 내려오면서 내솥패킹(72)이 내솥(30)의 상측과 밀착되고, 잠금레버가 전부 회전되면 잠금링돌편(41)과 내솥돌편(31)의 체결되어 내솥패킹(72)이 내솥(30)에 완벽하게 밀착되므로 내솥(30)내부를 밀폐해 증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취사완료 시에 사용자가 잠금레버(50)를 이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링돌편(41)과 내솥돌편(31)의 체결이 해제되어 사용자가 본체뚜껑(20)을 열 수 있는 구성을 한다.
이때 본체뚜껑(20)이 열리면 내솥패킹(72)이 탄발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러한 종래의 내솥패킹에 대해 기술이 게재된 일본공개특허 2000-308575(이하, '특허문헌 2')에는 안 뚜껑 패킹에 뚜껑 본체의 폐색 시에 내용기의 개구 침 테두리에 밀착하는 침 테두리 실링부와 상기 내용기의 개구 내주면에 미소 극간을두어 대향하는 내주면 실링부를 설치해 내용기의 내부압력이 일정 이상 높아졌을 때, 상기의 내주면 실링부를 바깥쪽에 탄성변형시키고 개구 내주면에 밀착시키도록 했다.
보다 자세하게, '특허문헌 2'에서 침 테두리 실링부의 실립부는 내용기의 개구침테두리에 밀착되고, 내주면 실링부의 실립부는 내용기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내용기 내부 공간을 밀폐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패킹들은 실리콘 고무 내지 합성고무 재질로 제작되므로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고온고압의 증기에 지속적으로 노출 및 뚜껑 개폐시의 내솥 내면과의 마찰 등으로 인하여 경화되거나 변형 및 파손되어 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서는, 내용기의 상단면 테두리측의 개구침테두리와 실립부 사이, 내용기 의 내주면 측의 내주면 실링부와 실립부 사이에 밀착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종래의 패킹이 경화되거나 변형 및 파손되어 밀착력이 저하되면, 상기 내솥 내벽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여 내솥 내의 기밀이 유지될 수 없었고, 내용기와 안 뚜껑 패킹 간에 밀착된 부분이 두 군데 뿐이 였으므로, 음식물이 정상적으로 조리되지 못하며 밥맛이 저하되고, 또한 증기의 외부로 누출로 인한 밥물의 지속적인 누수로 조리기 및 주변환경의 청결 및 위생적인 문제와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도 있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17820호 일본공개특허 2000-30857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솥의 내부 공간이 완전히 밀폐되는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패킹이 내솥뚜껑과 내솥에 복수개의 위치에서 접촉됨에 따라 내솥 내부 공간의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는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은, 패킹이 둘레부에 설치되며, 내솥의 상부를 덮는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내솥뚜껑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패킹몸체와, 상기 패킹몸체의 하단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패킹외측날개와, 상기 패킹외측날개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향돌출부와, 상기 패킹외측날개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하향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패킹외측날개의 타측에 형성되는 곡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패킹몸체의 하단 일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패킹외측날개와 연결되는 패킹하방날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곡면부는 상기 패킹하방날개 상측까지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향돌출부는 상기 내솥뚜껑과 접촉하고, 상기 하향돌출부는 상기 내솥의 상단면에 접촉하며, 상기 곡면부는 상기 내솥의 상단면과 내주면을 연결하는 절곡면과 면접촉을 한다.
본 발명의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은 본체뚜껑이 잠기면 내솥 내의 증기압이 패킹과 내솥의 접촉지점 및 패킹과 내솥뚜껑의 접촉지점에 막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으므로, 내솥 내부 공간의 밀폐가 완전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은 패킹상방날개와 패킹하방날개에 의해 내솥의 내측에서 밀폐가 이루어지고, 패킹몸체 및 제1곡면부와 제2곡면부에 의해 내솥의 외측 및 상측에서 또 다시 밀폐가 이루어지며, 상향돌출부와 하향돌출부에 의해 내솥의 외측 및 상측에서 또 다시 밀폐가 이루어져 내솥 내부 공간의 완전밀폐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압력조리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전기압력조리기의 내솥뚜껑의 결착상태를 나타내는 본체뚜껑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이 내솥 밀폐를 시작하기 전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패킹만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패킹과 내솥 및 내솥뚜껑 간에 1차 접촉이 이루어져 내솥 내부 공간의 밀폐가 시작되는 단면도.
도 6은 패킹과 내솥 및 내솥뚜껑 간에 2차 접촉이 이루어져 내솥 내부 공간의 밀폐가 더 진행된 단면도.
도 7은 패킹과 내솥 및 내솥뚜껑 간에 3차 접촉이 이루어져 내솥 내부 공간의 밀폐가 완료된 단면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설명될 구성은 전기압력조리기에 적용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90)은 본체뚜껑에 결합되는 압력뚜껑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은 패킹(100)이 둘레부에 설치되며, 내솥(80)의 상부를 덮는다.
본 발명의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은 압력 뚜껑과 내솥(80) 사이에 개재되어 내솥(80) 내부의 공간(87)을 밀폐시킨다.
한편, 패킹(100)은 내솥뚜껑(90)에 형성된 홈(99)에 끼워지는 패킹몸체(110)와, 패킹몸체(110)의 하단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패킹외측날개(120)와, 패킹외측날개(120)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향돌출부(130)와, 패킹외측날개(120)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하향돌출부(140)와, 패킹몸체(110)의 하단 일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패킹외측날개(120)와 연결되는 패킹하방날개(150), 패킹하방날개(150)에서 내측으로 상향 연장되는 패킹상방날개(160), 패킹외측날개(120)의 타측에 형성되어 패킹하방날개(150) 상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곡면부(329, 3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의 내솥뚜껑에서 곡면부(329, 331)는 패킹외측날개(120)의 타측에에 형성되는 곡면부인 제1곡면부(329)와, 제1곡면부(329)와 연결되어 패킹하방날개(150) 상측에 형성되는 곡면부인 제2곡면부(331)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의 내솥뚜껑에서 곡면부(329, 331), 즉 제1곡면부(329)와 제2곡면부(331)는 내솥(80)의 상단면(81)과 내주면(85)을 연결하는 절곡면(83)과 면접촉을 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의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은 상향돌출부(130), 하향돌출부(140), 패킹하방날개(150), 패킹상방날개(160), 제1곡면부(329) 및 제2곡면부(331)가 내솥(80) 또는 내솥뚜껑(90)과 접촉되어 내솥(80)의 내부 공간(87)을 완전히 밀폐시킨다.
========================= 내솥뚜껑(90)과 패킹(100)의 형상 ===========================
이하에서는 도 3과 도 4를 기준으로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90)과 패킹(100)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내솥뚜껑(90)은 내솥(80)을 덮는 본판(91)과, 본판(91)에서 위로 절곡된 상방 절곡편(93)과, 상방 절곡편(93)의 상단 끝에서 외측 수평으로 절곡된 수평 절곡편(95)과, 수평 절곡편(95)의 외측 끝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하평 절곡편(97)으로 이루어진다.
본판(91)과 상방 절곡편(93)은 곡면(92)으로 연결된다.
하평 절곡편(97)은 수평 절곡편(95)의 일단에서 수직 하향으로 절곡된 수직편(97a)과, 수직편(97a)에서 좌측 하방으로 휘어진 경사편(97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경사편(97b)은 수직편(97a)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45도 휘어진 것이다.
패킹(100)이 끼워지는 홈(99)은 상방 절곡편(93), 수평 절곡편(95) 및 하평 절곡편(97)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패킹몸체(110)는 수평 절곡편(95)의 내면과 나란하게 맞닿은 제1-1수평부(411), 제1-1수평부(411)의 양단 각각에서 하측으로 90도 휘어지고, 수평 절곡편(95)의 라운드진 양 모서리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라운드지는 제1-1곡선부(311)와 제1-2곡선부(312), 제1-1곡선부(311)와 제1-2곡선부(312) 각각의 하단에서 상방 절곡편(93)과 하평 절곡편(97) 각각의 상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1수직부(211)와 제1-2수직부(212), 제1-2수직부(212)의 하단에서 좌측 하방으로 휘어진 제1-3곡선부(313), 제1-3곡선부(313)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경사편(97b)과 나란한 제1-1경사부(511), 제1-1경사부(511)의 하단에서 좌측 하방으로 휘어지는 제1-4곡선부(314), 제1-4곡선부(314)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제1-1수직부(211)와 나란한 제1-3수직부(213), 제1-3수직부(213)의 하단에서 우측 하방으로 90도 휘어진 제1-6곡선부(316), 제1-1수직부(211)의 하단에서 우측 하방으로 휘어져 하단이 내솥(80)의 절곡면(83)과 마주보는 제1-5곡선부(3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1수평부(411)의 가상 연장선과 제1-3곡선부(313)의 가상 연장선간에 사잇각은 하평 절곡편(97)의 경사편(97b)과 수평 절곡편(95) 간에 사잇각과 동일하다.
제1-1수직부(211)와 제1-2수직부(212)의 최단거리는 제1-1수직부(211)와 제1-3수직부(213)의 최단거리보다 멀다.
제1-1경사부(511)와 경사편(97b)의 내면의 최단거리는 제1-3수직부(213)의 상단과 경사편(97b)의 내면의 하단의 최단거리보다 멀다.
제1-1수직부(211)와 상방 절곡편(93)의 내면의 최단거리는 제1-2수직부(212)와 수직편(97a)의 내면의 최단거리보다 좁고, 제1-3수직부(213)의 상단과 경사편(97b)의 하단의 최단거리보다도 좁다.
제1-1경사부(511)와 하평 절곡편(97)의 경사편(97b) 사이의 거리는 제1-2수직부(212)와 하평 절곡편(97)의 수직편(97a) 사이의 거리보다는 좁고, 제1-1수직부(211)와 상방 절곡편(93) 사이의 거리보다는 멀다.
제1-2수직부(212)와 제1-3수직부(213) 각각의 가상의 연장선 사이에는 내솥(80)의 내주면(85)이 위치된다.
제1-4곡선부(314)의 하단은 경사편(97b)의 내면의 하단과 좌우로 나란하다.
제1-5곡선부(315)의 하단은 내솥뚜껑(90) 본판(91)의 하면보다 하측으로 튀어나온다.
제1-3수직부(213)의 하단은 경사편(97b)의 최하단보다 하측으로 튀어나온다.
홈(99)을 이루는 상방 절곡편(93), 수평 절곡편(95), 하평 절곡편(97)의 테두리의 형상은 패킹몸체(110)의 상측 테두리의 형상과 유사하며, 이러한 홈(99) 내에 패킹몸체(110)의 상측이 위치된다. 보다 자세하게 패킹몸체(110)는 제1-1수직부(211)의 하단과 제1-4곡선부(314)의 하단까지 내솥뚜껑(90)의 홈(99) 내에 위치된다.
한편, 패킹몸체(110)에서 일측에서 연장된 패킹외측날개(120)는, 패킹몸체(110)의 제1-6곡선부(316)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2-1수평부(421), 제2-1수평부(421)에서 상측으로 90도 휘어진 제2-1곡선부(321), 제2-1곡선부(321)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2-1수직부(221), 제2-1수직부(221)의 상단에서 우측 상방으로 90도 휘어진 제2-2곡선부(322), 제2-2곡선부(322)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90도 휘어진 제2-3곡선부(323), 제2-3곡선부(323)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제2-2수직부(222), 제2-2수직부(222)의 하단에서 우측 하방으로 휘어진 제2-4곡선부(324), 제2-4곡선부(324)의 하단에서 우측 하방으로 휘어진 제2-5곡선부(325), 제2-5곡선부(325)의 하단에서 우측 하방으로 휘어져 일단이 내솥(80)의 상단면(81)과 근접한 제2-6곡선부(326), 제2-6곡선부(326)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솥(80)의 상단면(81)에 근접한 제2-3수직부(223), 제2-3수직부(223)의 하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는 제2-2수평부(422), 제2-2수평부(422)의 타단에서 좌측 상방으로 휘어진 제2-7곡선부(327), 제2-7곡선부(327)의 상단에서 좌측 상방으로 휘어진 제2-8곡선부(328), 제2-8곡선부(328)의 타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제2-3수평부(423), 제2-3수평부(423)의 타단에서 좌측 하방으로 휘어진 제2-9곡선부(3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향돌출부(130)는 제2-1곡선부(321), 제2-1수직부(221), 제2-2곡선부(322), 제2-3곡선부(323), 제2-2수직부(222), 제2-4곡선부(324)로 이루어진다.
하향돌출부(140)는 제2-6곡선부(326), 제2-3수직부(223), 제2-2수평부(422), 제2-7곡선부(327), 제2-8곡선부(328)로 이루어진다.
하향돌출부(140)는 상단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줄어드는 형상이다..
제2-1수평부(421)의 일단은 제1-2수직부(212)의 가상 연장선상에 위치된다.
상향돌출부(130)의 최상단은 경사편(97b)의 상하방향 기준의 중앙부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이때 제2-2곡선부(322)의 일단, 즉 제2-3곡선부(323)의 상단은 수직편(97a)의 내면의 가상 연장선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패킹(100)에는 패킹몸체(110)의 일측과 패킹외측날개(120)의 타측 상부와 상향돌출부(130)의 타측에 둘러싸인 오목부(106)가 형성되며, 오목부(106)에는 내솥뚜껑(90)의 경사편(97b)이 배치된다.
제2-4곡선부(324)의 하단은 제2-1수평부(421)의 가상 연장선의 상측에 위치된다.
제2-5곡선부(325)의 하단은 제2-1수평부(421)의 가상 연장선과 제2-3수평부(423)의 가상 연장선 사이에 위치된다.
제2-8곡선부(328)의 타단, 즉 제2-3수평부(423)의 일단은 제2-2수직부(222)의 가상 연장선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된다.
한편, 제2-1곡선부(321)의 곡률은 제2-4곡선부(324)의 곡률보다 크다.
제2-1곡선부(321)의 곡률은 제2-5곡선부(325)의 곡률보다 작다.
제2-2곡선부(322)의 곡률은 제2-5곡선부(325)의 곡률보다 크다.
제2-2곡선부(322)의 곡률은 제2-6곡선부(326)의 곡률보다 작다.
제2-3곡선부(323)의 곡률은 제2-4곡선부(324)의 곡률보다 작다.
제2-6곡선부(326)의 곡률은 제2-7곡선부(327)의 곡률보다 크고, 제2-8곡선부(328)의 곡률보다 크다.
제2-7곡선부(327)의 곡률과 제2-8곡선부(328)의 곡률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제2-9곡선부(329)의 곡률은 내솥(80)의 절곡면(83) 상측과 유사한 곡률을 갖는다.
제2-9곡선부(329)는 제1곡면부(329)와 동일한 것이다.
한편, 패킹하방날개(150)는 제2-9곡선부(329)의 하단에서 좌측 하방으로 휘어진 제3-1곡선부(331), 제3-1곡선부(331)의 하단에서 연장된 제3-1수직부(231), 제3-1수직부(231)의 하단에서 우측 하방으로 휘어진 제3-2곡선부(332), 제3-2곡선부(332)의 하단에서 우측 하방으로 휘어진 제3-3곡선부(333), 제3-3곡선부(333)의 하단에서 연장된 제3-2수직부(232), 제3-2수직부(232)의 하단에서 좌측 하방으로 타원형상을 가지며 휘어진 제3-4곡선부(334), 제3-4곡선부(334)의 타단에서 좌측 상방으로 타원형상을 가지며 휘어진 제3-5곡선부(335), 제3-5곡선부(335)의 상단에서 연장된 제3-3수직부(233), 제3-3수직부(233)에서 좌측 상방으로 휘어진 제3-6곡선부(336), 패킹몸체(110)의 제1-5곡선부(315)의 하단에서 우측 하방으로 휘어진 제3-7곡선부(337), 제3-7곡선부(337)의 하단에서 우측 하방으로 휘어졌다가 좌측 상방으로 다시 휘어진 제3-8곡선부(3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패킹하방날개(150)의 상하길이, 즉 패킹하방날개(150)의 최상단부터 최하단까지의 길이는 패킹몸체(110)의 최상단부터 최하단까지의 길이보다 길다.
패킹하방날개(150)의 상하길이 중 약 1/3은 중앙부(153)이고, 약 1/3은 상측(151)이고, 약 1/3은 하측(155)이다.
패킹하방날개(150)의 상측(151)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좌우폭이 넓어진다.
패킹하방날개(150)의 중앙부(153)의 두께는 패킹하방날개(150) 상측(151)의 하단 두께보다 두껍다. 즉 제3-1곡선부(331)와 제3-7곡선부(337) 사이의 최소거리는 제3-1수직부(231)와 제3-3수직부(233) 사이의 최소거리보다 좁다.
패킹하방날개(150)의 하측(155)은 일측, 즉 외측으로 휘어져 튀어나온 형상이다. 상기 외측으로 튀어나온 하측(155)이 내솥(80)과 접촉됨에 따라 내솥(80)이 밀폐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3-3수직부(233)의 상단은 내솥(80)의 내주면(85) 상단과 좌우로 나란하다.
한편, 제3-7곡선부(337)의 곡률은 제3-5곡선부(335)의 곡률보다 크다.
제3-5곡선부(335)의 곡률은 제3-3곡선부(333)의 곡률보다 크다.
제3-3곡선부(333)의 곡률은 제3-6곡선부(336)의 곡률보다 크다.
제3-6곡선부(336)의 곡률은 제3-4곡선부(334)의 곡률보다 크다.
제3-4곡선부(334)의 곡률은 제3-8곡선부(338)의 곡률보다 크다.
제3-8곡선부(338)의 곡률은 제3-2곡선부(332)의 곡률보다 크다.
한편, 제3-1곡선부(331)는 제2곡면부(331)와 동일한 것이다.
한편, 패킹상방날개(160)는 패킹하방날개(150)의 제3-6곡선부(336)와 제3-8곡선부(338) 각각의 타단에서 좌측 상방으로 연장되어 서로 나란한 제4-1경사부(541)와 제4-2경사부(542), 제4-1경사부(541)의 상단에서 우측 상방으로 휘어진 제4-1곡선부(341), 제4-2경사부(542)의 상단에서 좌측 상방으로 휘어진 제4-2곡선부(342), 제4-1곡선부(341)의 일단과 제4-2곡선부(342)의 타단이 타단과 일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4-1수평부(4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4-1곡선부(341)의 곡률은 제4-2곡선부(342)의 곡률보다 작다.
패킹상방날개(160)는 패킹하방날개(150)를 기준으로 약 45도 경사진다.
패킹상방날개(160)의 최상단부터 최하단까지의 길이, 즉 패킹상방날개(160)의 상하길이는 패킹하방날개(150)의 상하길이보다 짧다.
========================= 패킹(100)과 내솥(80) 또는 패킹(100)과 내솥뚜껑(90) 간에 접촉 순서 ===========================
도 5 내지 도 7을 토대로, 내솥(80)이 밀폐될 때 패킹(100)이 내솥(80) 또는 내솥뚜껑(90)과 접촉하는 순서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내솥(80)과 내솥뚜껑(90)이 가까워지면 1차로 패킹(100)의 하향돌출부(140)는 내솥(80)의 상단면(81)에 접촉하며, 패킹하방날개(150)의 하측(155)이 내솥(80)의 내주면(85)에 접촉하고(P1), 2차로 상향돌출부(130)는 내솥뚜껑(90)의 경사편(97b)과 접촉하고(P2), 패킹상방날개(160)는 패킹몸체(110)와 일정간격 이격된 채 내솥뚜껑(90)과 접촉하며, 3차로 제1곡면부(329)과 제2곡면부(331)는 내솥(80)의 상단면(81)과 내주면(85)을 연결하는 절곡면(83)과 면접촉을 해(P3) 내솥(80)의 내부 공간(87)이 완전히 밀폐된다. 보다 자세하게 제1곡면부(329)는 절곡면(83)의 상측과 면접촉을 하고, 제2곡면부(331)는 절곡면(83)의 하측과 면접촉을 한다.(P3)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은 본체뚜껑이 잠기면 내솥(80) 내의 증기압이 패킹(100)과 내솥(80)의 접촉지점 및 패킹(100)과 내솥뚜껑(90)의 접촉지점에 막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으므로, 내솥(80) 내부 공간(87)의 밀폐가 완전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 예의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은 패킹상방날개(160)와 패킹하방날개(150)에 의해 내솥(80)의 내측에서 밀폐가 이루어지고, 패킹몸체(110) 및 제1곡면부(329)와 제2곡면부(331)에 의해 내솥(80)의 외측 및 상측에서 또 다시 밀폐가 이루어지며, 상향돌출부(130)와 하향돌출부(140)에 의해 내솥(80)의 외측 및 상측에서 또 다시 밀폐가 이루어져 내솥(80) 내부 공간(87)의 완전밀폐가 가능하다.
보다 자세하게 패킹(100)과 내솥(80) 또는 패킹(100)과 내솥뚜껑(80)의 접촉 순서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뚜껑을 닫으면, 패킹(100)이 장착된 내솥뚜껑(90)이 본체뚜껑과 함께 내솥(80)의 위쪽으로 내려온다.
이후, 잠금레버가 회전되지 않은 초기시점에서 일측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하면, 내솥(80)이 잠금링의 경사부를 타고 회전하여 내솥(80)과 내솥뚜껑(90)이 점차 가까워지는데, 이때 패킹(100)의 하향돌출부(140)는 내솥(80)의 상단면(81)과, 패킹하방날개(150)는 내솥(80)의 내주면(85)에 접촉되어 내솥(80)의 내부 공간(87)이 외부공간으로부터 밀폐되기 시작한다. 보다 자세하게 하향돌출부(140)의 하측이 내솥(80)의 상단면(81)에, 패킹하방날개(150)의 하측(155)이 내솥(80)의 내주면(85)에 접촉된다.
이후, 잠금레버가 일측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회전이 시작된 초기 시점과 회전이 완료되는 종료 시점 사이, 즉 중간지점쯤에 위치되면 내솥(80)과 내솥뚜껑(90)이 더욱 가까워져 패킹(100)의 상향돌출부(130)는 경사편(97b)에, 패킹상방날개(160)는 본판(91)에 접촉된다. 보다 자세하게 상향돌출부(130)의 제2-2곡선부(322)는 경사편(97b)에, 패킹상방날개(160)의 제4-2곡선부(342)나 제4-1수평부(441)가 본판(91)에 접촉된다.
이후, 잠금레버가 종료 시점까지 회전되면 내솥(80)이 내솥뚜껑(90)과 더 가까워져 패킹(100)이 내솥(80)의 절곡면(83)과 면접촉을 한다. 보다 자세하게 패킹외측날개(120)의 제1곡면부(329), 즉 제2-9곡선부(329)와 패킹하방날개(150)의 제2곡면부(331), 즉 제3-1곡선부(331)가 내솥(80)의 절곡면(83)과 면접촉되어 내솥(80)의 내부 공간(87)의 완전밀폐가 이루어진다.
========================= 패킹(100)의 형상 변형 ===========================
이하에서는 패킹(100)의 형상 변화를 도 5 내지 도 7을 토대로 설명하도록 한다.
내솥(80) 내부의 공간(87)이 완전히 밀폐되면 패킹(100)의 형상은 내솥(80)에 밀착되기 전인 도 3이나 도 4와 다르게 변한다.
보다 자세하게, 잠금레버의 회전으로 인해 내솥(80)과 내솥뚜껑(90)이 점차 가까워지면, 패킹몸체(110)가 연직방향으로 하중을 받아 패킹몸체(110)의 일측에 연결된 패킹외측날개(120)가 하측으로 내려가려고 하고, 이때 상향돌출부(130)는 패킹외측날개(120)를 따라 하측으로 내려가면서 좌측으로 회전 및 이동되며, 하향돌출부(140)는 하측으로 내려가다가 내솥(80)에 1차 접촉되고(P1), 잠금레버가 계속 회전되면 패킹(100)이 하측으로 내려감에 따라 하향돌출부(140)는 좌우로 늘어나게 돼 상하길이가 짧아진다.
이와 동시에 패킹하방날개(150))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패킹외측날개(120)를 우측으로 잡아당긴다. 이때 패킹하방날개(150)는 하측으로 내려가는 동시에 우측으로 당겨지는 패킹외측날개(120)로 인해 미세하게 우측으로 당겨져 내솥(80)의 내주면(85)에 1차 접촉된다(P1). 또한 패킹하방날개(150)는 내솥(80)과 1차 접촉(P1)된 상태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는 패킹외측날개(120)에 끌려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패킹하방날개(150)는 내솥(80)과 접촉된 부분(P1)을 기준으로 그 상측만이 우측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패킹하방날개(150)의 상측(151)과 중앙부(153)만 우측으로 이동되어 패킹하방날개(150)의 하측(155)은 이전보다 덜 튀어나온 형상으로 변형된다.
계속해서 내솥(80)과 내솥뚜껑(90)이 가까워지면, 패킹상방날개(160)는 패킹하방날개(150)와 함께 우측으로 당겨져 우측으로 회전 및 이동되다가 내솥뚜껑(90)의 본판(91)에 접촉된다(P2). 이때 상향돌출부(130)는 내솥뚜껑(90)과 접촉(P2)되기 전까지 좌측으로 회전 및 이동되다가 하측으로 내려온 내솥뚜껑(90)에 접촉된다(P2).
계속해서 내솥(80)과 내솥뚜껑(90)이 가까워지면 하향돌출부(140)는 좌우로 더 늘어나 상하길이가 더 짧아지고, 상향돌출부(130)는 경사편(97b)을 타고 미세하게 우측으로 회전 및 이동되며, 패킹상방날개(160)는 본판(91)에 닿은 후에도 계속해서 우측으로 당겨져 우측으로 회전되려 하지만 본판(91)에 막혀 우측이 아닌 좌측으로 회전 및 이동하게 된다. 즉 패킹상방날개(160)의 상측은 패킹몸체(110)와 멀어진다. 이와 동시에 제1곡면부(329)와 제2곡면부(331)는 내솥(80)의 절곡면(83)과 접촉된다(P3). 이때 제1곡면부(329)와 내솥(80) 상측의 1차 접촉지점(P1) 사이, 제2곡면부(331)와 내솥(80) 하측의 1차 접촉지점(P1) 사이 각각에는 내솥(80)과 패킹(100)에 둘러싸인 제1공간(102)과 제2공간(103)이 형성된다. 또한 내솥뚜껑(90)의 본판(91)과 상방 절곡편(93), 이들을 연결하는 내솥뚜껑(90)의 곡면(92), 패킹몸체(110), 패킹하방날개(150), 패킹상방날개(160)에 둘러싸인 제3공간(104)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공간(102)과 제2공간(103)에 의해 패킹(100)과 내솥(80) 사이의 공기가 밀폐되고, 제3공간(104)에 의해 패킹상방날개(160)와 패킹하방날개(150) 사이의 공기가 밀폐된다. 즉, 이 공간들(102, 103, 104)은 단열부이며, 단열부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잠금레버가 잠겨 내솥뚜껑(90)과 내솥(80)에 패킹(100)이 완전히 밀착되면 외부공간으로 빠져나가려 하는 내솥(80)의 내부 증기압은 패킹하방날개(150)와 내솥(80)이 접촉된 1차 접촉지점(P1)에서 막히고, 1차 접촉지점(P1)을 지나간다 하더라도 제1곡면부(329), 제2곡면부(331)와 내솥(80)이 면접촉된 3차 접촉지점(P3)에서 막히고, 3차 접촉지점(P3)을 지나간다 하더라도 하향돌출부(140)와 내솥(80)이 접촉된 1차 접촉지점(P1)에 막힌다. 또한 내솥(80) 내부의 증기압은 패킹상방날개(160)와 내솥뚜껑(90)이 접촉된 2차 접촉지점(P2)에 막히고, 2차 접촉지점(P2)을 지나가더라도 패킹몸체(110)와 내솥뚜껑(90)의 수평 절곡편(95)이 접촉된 부분에 막히며, 이곳을 지나가더라도 상향돌출부(130)와 내솥뚜껑(90)이 접촉된 2차 접촉지점(P2)에 막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은 잠금레버가 회전되어 본체뚜껑이 잠김에 따라 내솥뚜껑(90)과 내솥(80)이 서로 밀착되며, 내솥뚜껑(90)과 내솥(80)에 밀착된 패킹(100)에 의해 내솥(80)의 내부 공간(87)의 완전밀폐가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의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90)에서 패킹(100)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내솥(80)은 Steel clad로 형성되고, 내솥뚜껑(90)은 STS 재질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80 : 내솥 81 : 상단면
83 : 절곡면 85 : 내주면
87 : 내부 공간 90 : 내솥 뚜껑
91 : 본판 93 : 상방 절곡편
95 : 수평 절곡편 97 : 하방 절곡편
100 : 패킹 102 : 제1공간
103 : 제2공간 104 : 제3공간
106 : 오목부 110 : 패킹몸체
120 : 패킹외측날개 130 : 상향돌출부
140 : 하향돌출부 150 : 패킹하방날개
151 : 패킹하방날개 상측 153 : 패킹하방날개 중앙부
155 : 패킹하방날개 하측 160 : 패킹상방날개
329 : 제1곡면부(제2-9곡선부) 331 : 제2곡면부(제3-1곡선부)
P1 : 1차 접촉지점 P2 : 2차 접촉지점
P3 : 3차 접촉지점

Claims (4)

  1. 패킹이 둘레부에 설치되며, 내솥의 상부를 덮는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내솥뚜껑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패킹몸체;
    상기 패킹몸체의 하단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패킹외측날개;
    상기 패킹외측날개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향돌출부;
    상기 패킹외측날개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하향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킹외측날개의 타측에 형성되는 곡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패킹몸체의 하단 일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패킹외측날개와 연결되는 패킹하방날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곡면부는 상기 패킹하방날개 상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향돌출부는 상기 내솥뚜껑과 접촉하고,
    상기 하향돌출부는 상기 내솥의 상단면에 접촉하며,
    상기 곡면부는 상기 내솥의 상단면과 내주면을 연결하는 절곡면과 면접촉을 하는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
KR1020160090713A 2016-07-18 2016-07-18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 KR102435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713A KR102435867B1 (ko) 2016-07-18 2016-07-18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713A KR102435867B1 (ko) 2016-07-18 2016-07-18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161A true KR20180009161A (ko) 2018-01-26
KR102435867B1 KR102435867B1 (ko) 2022-08-24

Family

ID=61025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713A KR102435867B1 (ko) 2016-07-18 2016-07-18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8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4087A1 (zh) * 2018-12-29 2020-07-02 浙江天喜厨电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能锅盖及多功能压力锅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811A (ja) * 1998-12-17 2000-06-27 Zojirushi Corp 炊飯ジャーの内蓋パッキン
JP2000308575A (ja) 1999-04-28 2000-11-07 Zojirushi Corp 圧力調理器のシール構造
KR20040017147A (ko) * 2002-08-20 2004-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패킹구조
KR20110117820A (ko) 2010-04-22 2011-10-28 주식회사 리홈 내솥뚜껑 착탈형 전기압력조리기
KR20120139393A (ko) * 2011-06-17 2012-12-27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지지보강형 커버패킹 및 그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KR20140083328A (ko) * 2012-12-26 2014-07-04 주식회사 리홈쿠첸 전기 압력 밥솥용 패킹 구조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811A (ja) * 1998-12-17 2000-06-27 Zojirushi Corp 炊飯ジャーの内蓋パッキン
JP2000308575A (ja) 1999-04-28 2000-11-07 Zojirushi Corp 圧力調理器のシール構造
KR20040017147A (ko) * 2002-08-20 2004-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패킹구조
KR20110117820A (ko) 2010-04-22 2011-10-28 주식회사 리홈 내솥뚜껑 착탈형 전기압력조리기
KR20120139393A (ko) * 2011-06-17 2012-12-27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지지보강형 커버패킹 및 그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KR20140083328A (ko) * 2012-12-26 2014-07-04 주식회사 리홈쿠첸 전기 압력 밥솥용 패킹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4087A1 (zh) * 2018-12-29 2020-07-02 浙江天喜厨电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能锅盖及多功能压力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867B1 (ko) 202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841B1 (ko)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KR101979617B1 (ko) 전기 압력 밥솥용 패킹 구조체
KR101117219B1 (ko) 조리용기용 뚜껑
JP2013516260A (ja) 垂直に押下可能なガスケットおよびそのようなガスケットを備えた圧力調理器
KR200486058Y1 (ko) 다중 걸림구조를 가진 용기용 마개
JP6442158B2 (ja) 貫通口を備えた圧力調理器のガスケット
KR20180009162A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
KR100542335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101332512B1 (ko) 조리기구용 뚜껑
KR20110021601A (ko)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KR20180009161A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
KR20130103026A (ko) 전기압력밥솥의 패킹 구조체
KR102423425B1 (ko) 밥솥
KR101849762B1 (ko) 압력지지보강형 커버패킹
KR101931762B1 (ko) 이중밀폐형 커버패킹 및 그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KR20130032709A (ko) 압력지지보강형 커버패킹 및 그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JP5004627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1616877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 뚜껑
WO2016163428A1 (ja) 電子レンジ用容器
KR101328683B1 (ko) 발열체를 이용한 전자레인지용 용기
KR19990042019U (ko)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패킹
KR970000145A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잠금장치
KR200373883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180009420A (ko) 압력조리기
KR102410436B1 (ko) 용기 덮개용 진공 패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