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8776A - 그을음 블로잉 장치 - Google Patents

그을음 블로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8776A
KR20180008776A KR1020177036570A KR20177036570A KR20180008776A KR 20180008776 A KR20180008776 A KR 20180008776A KR 1020177036570 A KR1020177036570 A KR 1020177036570A KR 20177036570 A KR20177036570 A KR 20177036570A KR 20180008776 A KR20180008776 A KR 20180008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ce tube
outer diameter
end side
diameter
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8280B1 (ko
Inventor
사토루 무라이
야스시 오쿠다
Original Assignee
엠에이치아이 플랜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이치아이 플랜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엠에이치아이 플랜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8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3/00Removing solid residues from passages or chambers beyond the fire, e.g. from flues by soot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54De-sludging or blow-dow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선단에 분사 매체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7)이 마련되어 있는 통 형상의 랜스 튜브(4)와, 랜스 튜브(4)의 내주 측에 삽입되어 랜스 튜브(4)에 분사 매체를 공급하는 분사 매체 공급관(3)과, 랜스 튜브(4)를 랜스 튜브(4)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구동 장치(5)와, 랜스 튜브(4)를 랜스 튜브(4)의 하방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롤러(6)를 구비하고, 랜스 튜브(4)는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일부에 형성되어, 둘레 방향 중 적어도 지지 롤러(6)로 지지되는 부위가 랜스 튜브(4)의 선단 측으로부터 기단 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외경이 확대되는 테이퍼부(30)를 갖는 그을음 블로잉 장치.

Description

그을음 블로잉 장치{SOOT BLOW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보일러의 보일러 튜브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는 그을음 블로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배열 회수(排熱回收) 보일러 등의 열교환기에 있어서는, 그을음 블로잉 장치(수트 블로어)를 이용하여 보일러 튜브(전열 튜브)의 전열 표면을 세정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을음 블로잉 장치로서는, 선단에 분사 노즐을 갖는 랜스 튜브가 회전하면서 보일러의 내부로 진퇴하는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다.
랜스 튜브의 트래블(진퇴 범위)은, 보일러의 노(爐)폭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랜스 튜브의 트래블은, 예를 들면 10m 전후에 이르기 때문에, 랜스 튜브가 최대 트래블까지 돌출되는 경우, 랜스 튜브의 기단 측에는, 큰 굽힘 응력이 가해진다.
특허문헌 1에는, 랜스 튜브의 기단 측에 가해지는 굽힘 응력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외경을 갖는 랜스 튜브의 기단 측의 판두께를 두껍게 함과 함께, 선단 측의 판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19950호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그을음 블로잉 장치에 있어서는, 랜스 튜브의 기단 측에 가해지는 굽힘 응력의 저감은 이루어지지만, 랜스 튜브 전체의 휨에 의하여, 선단 측에 처짐이 발생하는 것이 과제가 되고 있었다.
이 발명은, 랜스 튜브를 진퇴시키는 그을음 블로잉 장치에 있어서, 랜스 튜브 자신에 의한 랜스 튜브 선단의 처짐을 억제할 수 있는 그을음 블로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그을음 블로잉 장치는, 선단에 분사 매체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이 마련되어 있는 통 형상의 랜스 튜브와, 상기 랜스 튜브의 내주 측에 삽입되어 상기 랜스 튜브에 분사 매체를 공급하는 분사 매체 공급관과, 상기 랜스 튜브를 상기 랜스 튜브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구동 장치와, 상기 랜스 튜브를 상기 랜스 튜브의 하방으로부터 상기 축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랜스 튜브는, 상기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일부에 형성되어, 둘레 방향 중 적어도 상기 지지 롤러로 지지되는 부위가 상기 랜스 튜브의 선단 측으로부터 기단 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외경이 확대되는 테이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랜스 튜브 진퇴 방향으로 이동하여, 테이퍼부가 지지 롤러를 타고 넘을 때에, 랜스 튜브의 선단 측이 테이퍼부의 확대에 따라 들어 올려진다. 이로써, 랜스 튜브 자신에 의하여, 랜스 튜브의 휨에 의한 랜스 튜브 선단의 처짐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그을음 블로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랜스 튜브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테이퍼부는,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점차 외경이 확대되어도 된다.
상기 그을음 블로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랜스 튜브는, 상기 선단 측에 마련되어 외경이 제1 외경을 이루는 소경부와, 상기 기단 측에 마련되어 외경이 상기 제1 외경보다 대경인 제2 외경을 이루는 대경부와, 상기 소경부와의 접속부의 외경이 제1 외경이며, 상기 대경부와의 접속부의 외경이 제2 외경인 상기 테이퍼부를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랜스 튜브의 선단 측보다 기단 측의 강성이 향상됨으로써, 랜스 튜브의 기단 측에 가해지는 굽힘 응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그을음 블로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 매체 공급관의 외주면과 상기 랜스 튜브의 내주면의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를 갖고, 상기 랜스 튜브는, 일정한 내경을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분사 매체 공급관의 외주면과 랜스 튜브의 내주면의 사이의 간극을 좁게 하지 않고 랜스 튜브의 기단 측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랜스 튜브의 내주면과 분사 매체 공급관이 간섭하는 것이 억제되어 랜스 튜브의 내주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사 매체 공급관과 랜스 튜브의 사이의 시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랜스 튜브 자신에 의하여, 랜스 튜브의 휨에 의한 랜스 튜브 선단의 처짐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그을음 블로잉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그을음 블로잉 장치의 랜스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그을음 블로잉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이며, 랜스 튜브가 진퇴 방향 후방 측으로 후퇴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그을음 블로잉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이며, 랜스 튜브가 진퇴 방향 전방 측으로 전진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그을음 블로잉 장치의 랜스 튜브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그을음 블로잉 장치(수트 블로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그을음 블로잉 장치(1)는, 예를 들면 발전 플랜트에 있어서, 배기가스로부터 열회수를 행하는 배열 회수 보일러의 벽부(50)에 마련되어 있다. 그을음 블로잉 장치(1)는, 배열 회수 보일러의 보일러 튜브의 표면(전열 표면)에 부착되어 열교환의 방해가 되는 부착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의 그을음 블로잉 장치(1)에 의하여 그을음 제거되는 대상은, 배열 회수 보일러 등의 보일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의 그을음 블로잉 장치(1)는, 예를 들면 공기 예열기, 절탄기 등의 각종 열교환기에 적용 가능하다.
그을음 블로잉 장치(1)는, 하우징(2)과, 하우징(2) 내에 고정되어 있는 관 형상의 분사 매체 공급관(3)(피드 파이프)과, 분사 매체 공급관(3)의 외주 측에 분사 매체 공급관(3)과 동축 형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관 형상(원통 형상)의 랜스 튜브(4)(랜스관)와, 랜스 튜브(4)를 랜스 튜브(4)의 축방향(이하, 간단히 축방향이라고 함)을 따르는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구동 장치(5)와, 랜스 튜브(4)를 하방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롤러(6)를 갖고 있다.
랜스 튜브(4)에는, 분사 매체 공급관(3)을 통하여 증기 등의 분사 매체(G)가 공급된다. 분사 매체(G)는, 랜스 튜브(4)의 선단에 마련되어 있는 분사 노즐(7)로부터 분사된다. 랜스 튜브(4)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또한, 보일러의 내부를 진퇴한다.
배열 회수 보일러의 벽부(50)는 연직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분사 매체 공급관(3) 및 랜스 튜브(4)의 축방향은, 벽부(50)와 직교하고 있다. 즉, 분사 매체 공급관(3) 및 랜스 튜브(4)는,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하, 분사 매체 공급관(3)의 중심축이 뻗어 있는 방향으로서, 랜스 튜브(4)가 진퇴하는 방향을 진퇴 방향(X)으로 한다. 또, 도 1에 있어서의 우측을 진퇴 방향 전방 측(X1)으로 하고,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을 진퇴 방향 후방 측(X2)으로 한다.
랜스 튜브(4)는, 선단(진퇴 방향 전방 측(X1) 단부)에 분사 노즐(7)을 갖고 있다. 랜스 튜브(4)는, 랜스 튜브(4)의 선단에 마련되어 있는 분사 노즐(7)로부터 벽부(50)에 형성되어 있는 보일러 관통 구멍(51)을 통하여 보일러의 내부에 삽입된다.
하우징(2)은, 수평 방향(진퇴 방향(X))으로 긴 각통(角筒) 형상을 이루고 있다. 분사 매체 공급관(3) 및 랜스 튜브(4)는, 하우징(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2)은, 예를 들면 하우징(2) 상벽(18)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는 제1 브래킷(8)을 통하여, 플랜트의 소정의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2)의 진퇴 방향 전방 측(X1)의 측벽인 제1 측벽(24)은, 제2 브래킷(9)을 통하여 벽부(50)에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2)의 진퇴 방향 후방 측(X2)의 측벽인 제2 측벽(25)에는, 헤드 밸브(10)(공급 밸브)가 마련되어 있다. 헤드 밸브(10)에는, 배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증기 등의 분사 매체(G)가 공급된다.
분사 매체 공급관(3)은, 랜스 튜브(4)의 내주 측에 삽입되어, 헤드 밸브(10)에 공급되는 분사 매체(G)를 랜스 튜브(4)에 공급하는 관 형상을 이루는 부재이다. 분사 매체 공급관(3)의 진퇴 방향 후방 측(X2)의 단부는, 하우징(2)의 제2 측벽(25)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분사 매체 공급관(3)의 내부는, 헤드 밸브(10)에 연통되어 있다. 즉, 헤드 밸브(10)에 공급되는 분사 매체(G)는, 분사 매체 공급관(3)에 도입된다.
랜스 튜브(4)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분사 매체 공급관(3)의 외주 측에, 분사 매체 공급관(3)과 동축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랜스 튜브(4)의 진퇴 방향 전방 측(X1)의 단부에는, 분사 노즐(7)이 형성되어 있다. 랜스 튜브(4)의 진퇴 방향 후방 측(X2)의 단부에는, 랜스 튜브(4)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12)가 형성되어 있다. 랜스 튜브(4)의 선단 측은, 하우징 관통 구멍(13)을 통하여 하우징(2)의 외부로 돌출됨과 함께, 보일러 관통 구멍(51)을 통하여 보일러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구동 장치(5)는, 랜스 튜브(4)의 플랜지(12)에 장착되어 있는 트래블링 캐리지(14)와, 트래블링 캐리지(14)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15)와, 모터(15)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피니언(16)과, 피니언(16)과 맞물려 하우징(2)의 상벽(18)의 내면(하면)에 고정되어 있는 랙(17)을 갖고 있다.
트래블링 캐리지(14)는, 랜스 튜브(4)의 플랜지(12)(진퇴 방향 후방 측(X2)의 단부)를 지지함과 함께, 분사 매체 공급관(3)의 외주를 덮는 형상을 갖고 있다. 트래블링 캐리지(14)와 분사 매체 공급관(3)의 사이에는, 트래블링 캐리지(14)의 내주면과 분사 매체 공급관(3)의 외주면의 사이를 밀봉하는 시일 부재인 그랜드 패킹(20)이 마련되어 있다. 즉, 트래블링 캐리지(14)는, 그랜드 패킹(20)을 통하여 분사 매체 공급관(3) 상을 슬라이딩 가능하다.
트래블링 캐리지(14)의 진퇴 방향 전방 측(X1)에는, 회전 기구(21)가 마련되어 있다. 랜스 튜브(4)의 플랜지(12)는 회전 기구(21)에 접속되어 있다. 즉, 랜스 튜브(4)의 후단 측은, 트래블링 캐리지(1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트래블링 캐리지(14)에는, 하우징(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 상을 주행하는 가이드 롤러(22)가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2)에는, 리밋 스위치(23)가 장착되어 있다. 리밋 스위치(23)는, 가이드 롤러(22)의 위치를 검출 가능한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리밋 스위치(23)는, 하우징(2)의 진퇴 방향 전방 측(X1)의 단부 및 진퇴 방향 후방 측(X2)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리밋 스위치(23)는, 랜스 튜브(4)의 진퇴의 이동 범위를 제어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다음으로, 구동 장치(5)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터(15)의 구동력에 의하여 피니언(16)이 회전하면, 피니언(16)과 맞물리는 랙(17) 상을 피니언(16)이 주행함으로써 트래블링 캐리지(14)가 진퇴 방향(X)으로 이동한다. 즉, 모터(15)의 동력에 의하여, 트래블링 캐리지(14)와 일체가 된 랜스 튜브(4)가 진퇴 방향(X)을 따라 이동한다.
지지 롤러(6)는, 원주 형상을 이루어, 랜스 튜브(4)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지지 롤러(6)는, 하우징(2)의 제1 측벽(24)에 장착되어 있다. 지지 롤러(6)는, 랜스 튜브(4)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격납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최소 트래블)에, 랜스 튜브(4)의 선단 측을 지지하고, 랜스 튜브(4)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랜스 튜브(4)의 기단 측을 지지한다. 즉, 지지 롤러(6)는, 랜스 튜브(4)의 진퇴 동작 시에 있어서, 항상 랜스 튜브(4)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지지 롤러(6)는, 랜스 튜브(4)가 도 1에 나타내는 격납 위치에 있는 경우에, 랜스 튜브(4)의 중심축이 수평 방향을 따르는 바와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 롤러(6)는, 1개로 랜스 튜브(4)를 지지해도 되고, 복수로 랜스 튜브(4)를 지지해도 된다.
지지 롤러로서는 상기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랜스 튜브(4)를 진퇴 동작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된다. 예를 들면, 링 형상의 롤러의 내주 측에서 랜스 튜브(4)를 지지하는 구조로 해도 된다.
다음으로, 랜스 튜브(4)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랜스 튜브(4)는, 원통 형상의 랜스 튜브 본체(26)와, 랜스 튜브 본체(26)의 진퇴 방향 후방 측(X2)(기단 측)에 마련되어 있는 플랜지(12)와, 진퇴 방향 전방 측(X1)(선단 측)에 마련되어 있는 헤드부(27)를 갖고 있다.
헤드부(27)에는, 분사 노즐(7)이 마련되어 있다. 분사 노즐(7)은, 헤드부(27)의 외주면에 복수 마련되어 있다. 분사 노즐(7)의 구경(口徑)이나 형상은, 그을음 제거 대상에 따라 선정할 수 있다.
랜스 튜브 본체(26)는, 진퇴 방향 후방 측(X2)의 대경부(28)와, 진퇴 방향 전방 측(X1)의 소경부(29)와, 대경부(28)와 소경부(29)를 접속하는 테이퍼부(30)를 갖고 있다. 즉, 테이퍼부(30)는, 축방향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28), 테이퍼부(30), 소경부(29), 및 헤드부(27)는, 용접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다.
대경부(28), 테이퍼부(30), 및 소경부(29)의 내경(D1)은 동일하다. 즉, 랜스 튜브 본체(26)의 내경(D1)은 축방향 전체에 걸쳐 동일하다.
대경부(28)는, Cr?Mo?V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대경부(28)의 외경(D2)(제2 외경)은, 예를 들면 105mm로 할 수 있다. 대경부(28)의 두께는, 예를 들면 7.5mm로 할 수 있다.
소경부(29)는, SUS304 등의 스테인리스강에 타이타늄을 첨가하여 내(耐)입계부식성을 높인 스테인리스강인 SUS321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소경부(29)의 외경(D3)(제1 외경)은, 대경부(28)의 외경(D2)보다 소경이며, 예를 들면 102mm로 할 수 있다.
또, 소경부(29)의 두께는, 예를 들면 6mm로 할 수 있고, 소경부(29)의 두께보다 대경부(28)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30)는, SUS321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테이퍼부(30)의 외경(외주면(30a)의 직경)은,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소경부(29)와의 접속부(C1)로부터 대경부(28)와의 접속부(C2)를 향하여 점차 확대되고 있다.
테이퍼부(30)의 선단 측의 외경(소경부(29)와의 접속부(C1)의 외경)은, 소경부(29)의 외경(D3)과 동일하며, 예를 들면 102mm로 할 수 있다. 테이퍼부(30)의 기단 측의 외경(대경부(28)와의 접속부(C2)의 외경)은, 대경부(28)의 외경(D2)과 동일하며, 예를 들면 105mm로 할 수 있다. 즉, 테이퍼부(30)의 외주면(30a)은, 진퇴 방향 후방 측(X2)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직경이 커지고 있다.
이상, 랜스 튜브(4)의 치수에 대하여 기재했지만, 상기한 예는 일례이며, 소경부(29)의 외경(D3)보다 대경부(28)의 외경(D2)이 대경이고, 테이퍼부(30)의 외주면(30a)이 진퇴 방향 후방 측(X2)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직경이 커지고 있으면, 설치되는 보일러의 사양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헤드부(27)는, 내열주강(耐熱鑄鋼)인 SCH13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랜스 튜브(4)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랜스 튜브(4)를 구성하는 대경부(28), 테이퍼부(30), 소경부(29), 및 헤드부(27)를 형성하는 재료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랜스 튜브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면,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랜스 튜브(4)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3과 도 4에 있어서는, 랜스 튜브(4)의 작용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비율을 변경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롤러(6)는, 랜스 튜브(4)의 소경부(29)를 지지하고 있는 경우에, 랜스 튜브(4)의 중심축(A)이 수평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랜스 튜브(4)가 진퇴 방향 전방 측(X1)으로 전진하여, 랜스 튜브(4)의 테이퍼부(30)가 지지 롤러(6)에 얹혀지면, 랜스 튜브(4)의 중심축(A)은, 진퇴 방향 전방 측(X1)이 상방이 되도록 기운다. 즉, 지지 롤러(6)에 의하여 지지되는 부분의 외경이 커짐으로써, 랜스 튜브(4)의 기단 측과 비교하여 랜스 튜브(4)의 선단 측의 높이가 높아진다. 랜스 튜브(4)의 기단 측은, 랜스 튜브(4)의 기울기에 따라 높이는 변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랜스 튜브(4)가 보일러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테이퍼부(30)가 지지 롤러(6)를 타고 넘을 때에, 랜스 튜브(4)의 선단이 테이퍼부(30)의 확대에 따라 들어 올려진다. 이로써, 랜스 튜브 자신에 의하여, 랜스 튜브(4)의 휨에 의한 랜스 튜브(4) 선단의 처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랜스 튜브(4) 선단 측의 소경부(29)의 두께보다, 랜스 튜브(4) 기단 측의 대경부(28)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면, 랜스 튜브(4)의 선단 측보다 기단 측의 강성이 향상된다. 이로써, 랜스 튜브(4)의 기단 측에 가해지는 굽힘 응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랜스 튜브(4)가 일정한 내경을 갖고 있음으로써, 분사 매체 공급관(3)의 외주면과 랜스 튜브(4)의 내주면의 사이의 간극을 좁게 하지 않고 랜스 튜브(4)의 기단 측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기단 측에 가해지는 굽힘 응력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외경을 갖는 랜스 튜브의 기단 측의 판두께를 내주 측에 두껍게 형성한, 종래형의 랜스 튜브의 경우, 기단 측의 판두께를 두껍게 형성한 부위와, 선단 측을 향하여 서서히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부와의 사이의 능선과, 분사 매체 공급관의 외주면이 간섭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실시형태의 랜스 튜브(4)는, 상기 간섭에 의하여 분사 매체 공급관(3)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분사 매체 공급관(3)과 랜스 튜브(4)의 사이의 시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랜스 튜브(4)를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없으면, 랜스 튜브 본체(26)를 원통 형상으로 할 필요는 없다. 즉, 회전 기구(21)를 마련하지 않고 랜스 튜브(4)를 진퇴시키는 구성의 경우, 랜스 튜브(4)를 단면 팔각형 등의 통 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테이퍼부(30)는, 랜스 튜브(4)의 둘레 방향 중 적어도 지지 롤러(6)로 지지되는 부위가, 점차 외경이 확대되도록 형성하면 된다. 즉, 랜스 튜브(4)의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테이퍼부(30)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그을음 블로잉 장치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그을음 블로잉 장치의 랜스 튜브(4B)는, 플랜지(12)부와, 랜스 튜브 본체(26B)와, 헤드부(27)를 갖고, 랜스 튜브 본체(26B)의 외경은, 선단부터 기단까지 일정한 비율로 확대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랜스 튜브(4B)는, 대경부와 소경부가 없고, 선단부터 기단까지 연속적으로 확경되는 외주면을 갖고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랜스 튜브(4B)의 두께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비율을 변경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랜스 튜브(4B)의 진퇴 방향 전방 측(X1)으로의 이동에 따라 완만하게 랜스 튜브(4B)의 선단이 들어 올려진다. 이로써, 제1 실시형태의 테이퍼부(30)의 단부가 지지 롤러(6)를 통과할 때의 랜스 튜브(4)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구동 장치(5)는, 랙·피니언 기구를 이용하여 랜스 튜브(4)를 진퇴시켰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체인·스프로킷 기구를 이용하여 랜스 튜브(4)를 진퇴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랜스 튜브(4)의 내경은, 선단부터 기단까지 동일할 필요는 없고, 기단 근방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강도를 높이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 그을음 블로잉 장치
2 하우징
3 분사 매체 공급관
4, 4B 랜스 튜브
5 구동 장치
6 지지 롤러
7 분사 노즐
8 제1 브래킷
9 제2 브래킷
10 헤드 밸브
12 플랜지
13 하우징 관통 구멍
14 트래블링 캐리지
15 모터
16 피니언
17 랙
18 상벽
20 그랜드 패킹(시일 부재)
21 회전 기구
22 가이드 롤러
23 리밋 스위치
24 제1 측벽
25 제2 측벽
26, 26B 랜스 튜브 본체
27 헤드부
28 대경부
29 소경부
30 테이퍼부
50 벽부
51 보일러 관통 구멍
C1, C2 접속부
D1 랜스 튜브 본체의 내경
D2 대경부의 외경(제2 외경)
D3 소경부의 외경(제1 외경)
G 분사 매체

Claims (4)

  1. 선단에 분사 매체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이 마련되어 있는 통 형상의 랜스 튜브와,
    상기 랜스 튜브의 내주 측에 삽입되어 상기 랜스 튜브에 분사 매체를 공급하는 분사 매체 공급관과,
    상기 랜스 튜브를 상기 랜스 튜브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구동 장치와,
    상기 랜스 튜브를 상기 랜스 튜브의 하방으로부터 상기 축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랜스 튜브는, 상기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일부에 형성되어, 둘레 방향 중 적어도 상기 지지 롤러로 지지되는 부위가 상기 랜스 튜브의 선단 측으로부터 기단 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외경이 확대되는 테이퍼부를 갖는 그을음 블로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랜스 튜브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테이퍼부는,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점차 외경이 확대되는 그을음 블로잉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랜스 튜브는, 상기 선단 측에 마련되어 외경이 제1 외경을 이루는 소경부와,
    상기 기단 측에 마련되어 외경이 상기 제1 외경보다 대경인 제2 외경을 이루는 대경부와,
    상기 소경부와의 접속부의 외경이 제1 외경이며, 상기 대경부와의 접속부의 외경이 제2 외경인 상기 테이퍼부를 갖는 그을음 블로잉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사 매체 공급관의 외주면과 상기 랜스 튜브의 내주면의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를 갖고,
    상기 랜스 튜브는, 일정한 내경을 갖고 있는 그을음 블로잉 장치.
KR1020177036570A 2015-07-01 2015-07-01 그을음 블로잉 장치 KR102058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69007 WO2017002233A1 (ja) 2015-07-01 2015-07-01 煤吹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776A true KR20180008776A (ko) 2018-01-24
KR102058280B1 KR102058280B1 (ko) 2019-12-20

Family

ID=57608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570A KR102058280B1 (ko) 2015-07-01 2015-07-01 그을음 블로잉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96956B2 (ko)
KR (1) KR102058280B1 (ko)
CN (1) CN107709882B (ko)
TW (1) TWI630348B (ko)
WO (1) WO201700223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555B1 (ko) * 2018-05-21 2019-10-24 이종춘 롱타입 랜스튜브 가이드를 구비한 수트블로워장치
KR20190132897A (ko) * 2018-05-21 2019-11-29 이종춘 공압식 스팀개폐밸브를 구비한 수트블로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8790A (en) * 1979-03-26 1980-10-04 Babcock Hitachi Kk Soot blower
JPS5833018A (ja) * 1981-08-21 1983-02-26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ツブロワ
JPS5852426U (ja) * 1981-10-02 1983-04-09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ス−トブロワ
JPS61161332A (ja) * 1985-01-10 1986-07-22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ツブロワの振動防止装置
JPH02140133U (ko) * 1989-04-24 1990-11-22
JP3089147B2 (ja) * 1993-10-29 2000-09-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煤吹装置
JPH07127839A (ja) * 1993-11-04 1995-05-16 Mitsubishi Heavy Ind Ltd 煤吹装置のランス管
JP2002310422A (ja) * 2001-04-16 2002-10-23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ートブロワ装置
SE0602350L (sv) * 2006-11-06 2008-05-07 Soottech Ab En metod för ombyggnad av ett sotblåsningssystem ien återvinningspanna, en sotblåsare för en återvinningspanna och ett sotblåsningssystem inkluderande ett flertal sotblåsare
JP5535429B2 (ja) * 2007-03-28 2014-07-02 三菱重工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除煤装置
CN101846325B (zh) * 2010-06-02 2012-08-22 中国石油化工集团公司 一种吹灰器
CN103148490A (zh) * 2011-12-06 2013-06-12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可伸缩气体吹灰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555B1 (ko) * 2018-05-21 2019-10-24 이종춘 롱타입 랜스튜브 가이드를 구비한 수트블로워장치
KR20190132897A (ko) * 2018-05-21 2019-11-29 이종춘 공압식 스팀개폐밸브를 구비한 수트블로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09882B (zh) 2020-04-07
KR102058280B1 (ko) 2019-12-20
CN107709882A (zh) 2018-02-16
WO2017002233A1 (ja) 2017-01-05
JP6496956B2 (ja) 2019-04-10
JPWO2017002233A1 (ja) 2018-02-22
TWI630348B (zh) 2018-07-21
TW201702530A (zh) 201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0602350L (sv) En metod för ombyggnad av ett sotblåsningssystem ien återvinningspanna, en sotblåsare för en återvinningspanna och ett sotblåsningssystem inkluderande ett flertal sotblåsare
EP2401553B1 (en) Retractable articulating robotic sootblower
KR20180008776A (ko) 그을음 블로잉 장치
JP2010117067A (ja) スーツブロワの運転制御方法及び運転制御装置
JPH049967B2 (ko)
GB2027512A (en) Lance tube construction for soot blower
EP0153685B1 (de) Vorrichtung zur Reinigung der wärmetauschenden Flächen der Speichermassen von umlaufenden Regenerativ-Wärmetauschern
EP1247045B1 (en) Sootblower lance tube for dual cleaning media
WO2011148827A1 (ja) 洗浄方法
EP2373928B1 (de) Reinigungsgerät für einen konvektionsabschnitt einer wärmekraftanlage
JP6175324B2 (ja) クリンカ除去装置
KR20200083229A (ko) 노덮개 세정장치, 노덮개의 세정방법
JPH08159444A (ja) すす吹きユニット
JP2023144510A (ja) スートブロワ装置
JP2010156522A (ja) 熱交換器の灰除去方法及びスートブロワ
JP2001021131A (ja) スーツブロワ
JP7394742B2 (ja) プロテクタ、ボイラ装置、及びプロテクタの取付方法
JP4046632B2 (ja) 媒吹装置及び媒吹装置用ノズルヘッド
JP2006284126A (ja) 燃焼装置
CN108342224B (zh) 燃烧/气化炉以及用于燃烧/气化炉的喷嘴模块
JP3089147B2 (ja) 煤吹装置
KR20170060751A (ko) 수트 블로워
US881895A (en) Blow-out device for steam-boilers.
CN109520323A (zh) 一种自动前进式清焦喷头
JPH085050A (ja) 煤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