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326A - 접합 롤,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접합 롤,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326A
KR20180007326A KR1020170086429A KR20170086429A KR20180007326A KR 20180007326 A KR20180007326 A KR 20180007326A KR 1020170086429 A KR1020170086429 A KR 1020170086429A KR 20170086429 A KR20170086429 A KR 20170086429A KR 20180007326 A KR20180007326 A KR 20180007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oll
adhesive
thermoplastic resin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토무 후루야
요스케 다나카
요시히토 오타케
히로아키 곤도
도루 신도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7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3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1/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lamination processes; Safety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1/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lamination processes; Safety arrangements
    • B32B2041/04Detecting wrong registration, misalignment, deviation, fail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에 생기는 변형 및 부착 이물의 존재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접합 롤,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제1 롤 및 제2 롤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광학 필름의 접합을 위해 이용되는 접합 롤로서, 제1 롤 및 제2 롤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표면이 고무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고무층은, 정반사광 포함 방식으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 RSCI가 10% 이하이고, JIS K 6253-3:2012에 따른 듀로미터 타입 A 경도가 80° 이상인 접합 롤,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접합 롤,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BONDING ROLL,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FILM LAMINATE}
본 발명은 복수의 광학 필름의 접합을 위해 이용되는 접합 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학 필름의 적층체인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편광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 등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함으로써 제조된다. 구체적으로는, 편광 필름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착제를 개재시키면서 적층하여 적층체로 하고, 이 적층체를 한 쌍의 롤 사이로 통과시켜 적층체를 위아래에서 압압함으로써 편광 필름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접합된다〔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14-122967호 공보(특허문헌 1)〕.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한 쌍의 롤(닙 롤)을 「접합 롤」이라고 한다. 접합 후, 접착제층을 건조시키거나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4-122967호 공보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에 이용되는 접합 롤의 표면에 요철 등의 변형이 생기거나 이물이 부착되거나 하면, 이 변형이나 이물이 접합 롤에 접하는 필름의 표면에 전사되어, 광학 필름 적층체에 품질 불량이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에 생기는 변형 및 부착 이물의 존재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접합 롤,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하는 접합 롤, 그리고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1] 제1 롤 및 제2 롤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광학 필름의 접합을 위해 이용되는 접합 롤로서,
상기 제1 롤 및 상기 제2 롤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표면이 고무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고무층은, 정반사광 포함 방식으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 RSCI가 10% 이하이고, JIS K 6253-3:2012에 따른 듀로미타 타입 A 경도가 80° 이상인 접합 롤.
[2] 상기 고무층이 고 무성분과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1]에 기재한 접합 롤.
[3] 상기 카본 블랙의 함유량이 상기 고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100 중량부인 [2]에 기재한 접합 롤.
[4] 상기 카본 블랙은 산술 평균 입자경이 60 nm 이상인 [2] 또는 [3]에 기재한 접합 롤.
[5] 상기 카본 블랙은 부피 밀도가 400 kg/㎥ 이상인 [2]~[4] 중 어느 것에 기재한 접합 롤.
[6] 상기 복수의 광학 필름이 편광 필름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1]~[5] 중 어느 것에 기재한 접합 롤.
[7] 복수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장치로서,
[1]~[6] 중 어느 것에 기재한 접합 롤을 포함하는 제조 장치.
[8] 상기 광학 필름 적층체가 편광 필름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인 [7]에 기재한 제조 장치.
[9] 복수의 광학 필름이 접착제 및/또는 점착제를 통해 적층된 적층체를 한 쌍의 롤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압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롤이 [1]~[6] 중 어느 것에 기재한 접합 롤인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10] 상기 적층체가, 편광 필름과, 접착제를 통해 상기 편광 필름 상에 적층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9]에 기재한 제조 방법.
[11] 상기 접합 롤의 표면 상태를 검사하는 공정, 상기 접착제의 적용량을 검사하는 공정 및 상기 점착제의 적용량을 검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9] 또는 [10]에 기재한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에 생기는 변형 및 부착 이물의 존재를 용이하고 또한 정밀도 좋게 확인할 수 있는 접합 롤,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롤 및 그것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편광판)의 제조 장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시감 반사율 RSCI를 측정하기 위한 광학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탄성 회복률의 측정에 관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형태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롤, 그리고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광학 필름 적층체로서 편광판을 들고 있지만, 광학 필름 적층체는 편광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하의 설명이 편광판 이외의 광학 필름 적층체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광학 필름이란 광학 용도로 이용되는 필름이다. 광학 용도로 이용되는 필름이란,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로 대표되는 광학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가 되는 필름이다.
(1) 접합 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롤(1) 및 광학 필름 적층체 제조 장치(편광판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접합 롤(1)의 주변 부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실선의 화살표는 광학 필름의 반송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편광판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접합 롤(1)은, 제1 롤(1a) 및 제2 롤(1b)로 이루어지고, 광학 필름인 편광 필름(5)의 한쪽의 면에 제1 접착제(15)를 통해 광학 필름인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을 접합함과 더불어, 편광 필름(5)의 다른 쪽의 면에 제2 접착제(25)를 통해 광학 필름인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20)을 접합하기위해 이용된다.
즉,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제1 접착제(15)의 층/편광 필름(5)/제2 접착제(25)의 층/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20)의 층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는, 접합 롤(1)을 구성하는 제1 롤(1a)과 제2 롤(1b)의 사이로 지나게 된다. 이에 따라, 적층체가 압압되어,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과 편광 필름(5)과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20)이 접합된다. 편광 필름(5),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20), 제1 접착제(15) 및 제2 접착제(25)에 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롤(1)은 제1 롤(1a) 및 제2 롤(1b)의 한 쌍의 롤로 이루어지고, 제1 롤(1a) 및 제2 롤(1b)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표면이 고무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무층은, 정반사광 포함 방식으로 측정되는 온도 23℃에서의 시감 반사율 RSCI(이하 「시감 반사율 RSCI」이라고 한다.)가 10% 이하이고, JIS K 6253-3:2012에 따른 듀로미터 타입 A 경도(이하 「경도」라고 한다.)가 온도 23℃에 있어서 80° 이상이다. 이하, 상기 고무층을 「표면 고무층」이라고도 한다. 도 1에는, 제1 롤(1a)이 제1 표면 고무층(2a)을 가지며 또한 제2 롤(1b)이 제2 표면 고무층(2b)을 갖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접합 롤(1)은 통상 구동 롤이다. 구동 롤이란, 그것에 접촉하는 필름에 대하여 필름 반송을 위한 구동력을 부여할 수 있는 롤을 말한다.
시감 반사율 RSCI가 10% 이하이고, 경도가 80° 이상인 표면 고무층을 갖는 접합 롤(1)은, 종래의 접합 롤과 비교하여, 롤 표면에 생길 수 있는 요철 등의 변형 및 롤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이물의 확인 용이성이 우수하고, 또한 확인의 정밀도도 우수하다.
편광판의 연속 제조에 있어서는 통상 편광 필름이나 열가소성 수지 필름 등의 원료 필름으로서, 장척의 필름을 휘감아 이루어지는 필름 롤이 이용된다. 필름 롤로부터 원료 필름을 연속적으로 풀어내어, 다른 원료 필름과의 접합 등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장척물(長尺物)로서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선행 사용하는 필름 롤이 끝에 근접했을 때는, 그 필름 롤의 종단과, 이어서 사용하는 필름 롤의 시단을 접합함으로써 연속 제조를 계속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 접합을 실시한 경우에는 통상 접합부에 비교적 높은 단차가 생긴다. 이 단차가 접합 롤을 구성하는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하면, 롤에 의한 압압이 단차 이외의 부분보다도 커지기 때문에 롤 표면이 변형되기 쉽다. 이 변형은, 전형적으로는, 단차 부분의 형상이 롤 표면에 전사됨으로 인한 요철 변형이다. 롤 표면에 변형이 생기면, 한 쌍의 롤 사이를 지나는 필름(상술한 적층체)의 표면에 변형된 형상이 전사되어, 편광판 제품의 품질 불량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편광판의 연속 제조는 통상 클린룸 내에서 실시되는데, 정전기 등에 의해, 필름 유래의 티끌이나 그 밖의 이물이 접합 롤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부착 이물도 또한 롤 표면에 변형이 생긴 경우와 마찬가지로, 부착 이물의 형상 전사가 일어나 편광판 제품의 품질 불량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롤 표면에 변형이나 부착 이물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조속히 대처하는(롤의 교환이나 손질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변형 및 부착 이물의 존재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접합 롤에서는, 이 확인이 용이하지 않고, 또한 확인의 정밀도가 높지 않았다. 편광 필름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의 접합을 위해 이용되는 종래의 접합 롤에서는, 통상 표면 고무층에 실리카 등을 배합하고 있으며, 말하자면, 이 형태가 편광판 제조 분야에 있어서의 기술 상식으로 되어 있었다. 편광판 이외의 광학 필름 적층체 제조 분야에서도 마찬가지로, 표면 고무층에 실리카 등을 배합한 형태가 기술 상식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 상식을 뒤집어 이루어진 것이다.
예컨대, 시감 반사율 RSCI가 10% 이하인 본 발명의 접합 롤(1)에 의하면, 접합 롤(1)의 표면(표면 고무층의 표면)에 있는 요철 등의 변형이나 미소한 부착 이물을, 눈으로 확인함으로 혹은 CCD 카메라 등에 의해서 취득한 화상 등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검지할 수 있다. 혹은 또한 본 발명의 접합 롤(1)에 의하면, 접합 롤의 근방에서 실시되는 광학 검사를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접합 롤의 근방에서 실시되는 광학 검사란, 예컨대, 광학 필름 적층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학 필름 사이(예컨대, 편광 필름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사이)에 개재시키는 접착제 및/또는 점착제의 적용량을 광학적으로 검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하기 직전에, 복수의 광학 필름의 사이(예컨대, 편광 필름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사이)에 있는 접착제의 저장부의 폭(저장부와 공기의 계면 위치)을, 측정광을 조사하여 그 투과광을 검출하는 등의 광학적 방법으로 검지하여, 접착제의 적용량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점착제에 관해서도 같은 식으로 하여 그 적용량을 광학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접합 롤의 근방에서 실시되는 광학 검사의 다른 예는,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한 후의 적층체가 갖는 접착제층 및/또는 점착제층의 두께를, 적외선 등을 이용한 광학적 방법으로 측정하여, 접착제 및/또는 점착제의 적용량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다.
롤 표면의 변형 및 부착 이물의 확인 용이성 및 확인 정밀도를 보다 높인다는 관점에서, 시감 반사율 RSCI는, 바람직하게는 8%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시감 반사율 RSCI는 통상 0.5% 이상이다.
정반사광 포함 방식으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 RSCI의 측정 방법에 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시감 반사율 RSCI를 측정하기 위한 광학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되는 광학계는 확산 조명 방식의 광학계이다. 확산 조명 방식은, 적분구 등을 사용하여, 측정 샘플을 온갖 방향에서 균등하게 조명하는 방법이며, 도 2에서는, 적분구(60)(빛을 거의 완전히 확산 반사하는 황산바륨 등의 흰 도료를 내면에 도포한 공)가 설치되어 있다. 광원(61)으로부터 나온 빛은, 적분구(60)의 내부에서 확산되어, 측정 샘플(62)의 표면에서 반사된다. 도 2에 도시되는 광학계는, 수광부에 대하여 정반사 방향의 빛도 포함시킨 온갖 방향의 빛이 측정 샘플 표면에 맞닿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반사광 포함 모드(SCI) 모드라고 불린다.
또, 이에 대하여, 수광부에 대하여 정반사 방향에 있는 적분구(60)의 위치에 라이트 트랩(여기에 들어간 빛은 흡수되어 적분구(60) 안으로는 되돌아가지 않는다)을 설치하거나 하여, 수광부에 대하여 정반사 방향의 빛이, 측정 샘플 표면에는 맞닿지 않게 구성되어 있는 광학계는, 정반사광 제거 모드(SCE 모드)라고 불린다.
도 2에 도시되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측정 샘플의 반사 스펙트럼을 취득하고, 이 반사 스펙트럼으로부터 JIS Z8722:2009 「색의 측정 방법-반사 및 투과물체색」에 규정되는 방법에 따라서 계산되는 시감 반사율이, 정반사광 포함 방식으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 RSCI이다. 측정 샘플로서는, 표면 고무층을 갖는 롤 그 자체 혹은 표면 고무층과 동일 재질의 평가용 샘플이 이용된다.
표면 고무층의 경도(온도 23℃)가 80° 이상인 것은, 롤 사이를 통과함에 따른 압압을 적층체에 적절히 전하는 데에 있어서, 그리고 편광판에 있어서의 접착제층의 막 두께를 균일하게 하는 데에 있어서 유리하다. 이들 관점에서, 표면 고무층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다. 표면 고무층의 경도는 통상 1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95° 이하이다.
시감 반사율 RSCI가 10% 이하이고, 경도가 80° 이상인 표면 고무층을 갖는 롤은, 제1 롤(1a)이라도 좋고, 제2 롤(1b)이라도 좋고, 이들 양쪽이라도 좋다. 롤 표면에 생길 수 있는 요철 등의 변형 및 롤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이물의 확인 용이성 및 그 확인의 정밀도, 그리고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 적층체에 있어서의 접착제층 및/또는 점착제층의 막 두께의 균일성을 높이는 등의 관점에서, 제1 롤(1a) 및 제2 롤(1b) 양쪽이, 시감 반사율 RSCI가 10% 이하이면서 또한 경도가 80° 이상인 표면 고무층을 갖는 고무 롤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롤(1a) 및 제2 롤(1b) 중 어느 한쪽이, 시감 반사율 RSCI가 10% 이하이며 또한 경도가 80° 이상인 표면 고무층을 갖는 고무 롤이 아닌 경우, 그 롤은, 예컨대, 금속 롤, 탄성 금속 롤, 또는 시감 반사율 RSCI 및 경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상기 소정의 범위 밖인 고무 롤일 수 있다.
금속 롤이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을 갖는 롤이다. 탄성 금속 롤이란, 고무나 오일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의 층 상에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을 갖는 롤이다. 표면층을 구성하는 금속으로서는, 철, 알루미늄, 니켈, 합금(SUS304등의 스테인리스강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금속 롤, 탄성 금속 롤에 있어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 위에, 크롬 도금, 니켈 도금, DLC(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면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고무 롤의 표면 고무층(제1 표면 고무층(2a), 제2 표면 고무층(2b))은, 고무 성분을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고무 성분과 카본 블랙을 함유한다. 카본 블랙을 적절한 양으로 함유시킴으로써, 시감 반사율 RSCI가 10% 이하인 표면 고무층을 실현할 수 있다. 표면 고무층의 두께는, 예컨대 1~50 mm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5~4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 mm이다.
고무 성분으로서는, NBR(니트릴 고무), 타이탄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NBR, EPD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NBR이다. 카본 블랙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SAF, SAF-HS, ISAF, ISAF-LS, ISAF-HS, HAF, HAF-LS, HAF-HS, EPC, XCF, FEF, GPF, HMF, SRF, SRF-LS, SRF-HS, FT, FT-HS, MT, T-HS, T-MS 등의 타입을 이용할 수 있다.
표면 고무층의 시감 반사율 RSCI를 10% 또는 그보다 작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표면 고무층에 있어서의 카본 블랙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중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중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표면 고무층의 경도를 80° 또는 그보다 크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표면 고무층에 있어서의 카본 블랙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중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5 중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경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표면 고무층의 탄성 회복능이 과도하게 저하되고, 이에 따라, 그 층의 표면에 생긴 변형이 회복되기 어렵게 된다. 이 때문에, 표면 고무층에 있어서의 카본 블랙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해, 카본 블랙의 입자경과 표면 고무층의 탄성 회복률의 사이에 상관이 있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충분히 높은 탄성 회복률을 갖는 표면 고무층을 형성하기 위해, 카본 블랙의 산술 평균 입자경은 60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5 n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카본 블랙의 산술 평균 입자경은 예컨대 300 nm 이하 또는 200 nm 이하이다. 표면 고무층의 탄성 회복률은, 변형을 부여하는 응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가능한 한 그 변형을 잔존시키지 않게 하기 위해, 온도 23℃에 있어서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카본 블랙의 산술 평균 입자경 및 표면 고무층의 탄성 회복률은, 후술하는 실시예 항의 기재에 따라서 측정된다.
종래 사용되어 온 실리카가 아니라 카본 블랙을 사용하는 것은, 롤 표면의 변형 및 부착 이물의 확인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표면 고무층의 탄성 회복률을 보다 높이는 데에 있어서도 유리하다.
표면 고무층은, 고무 성분, 카본 블랙 및 필요에 따라서 배합되는 첨가제(가류제, 가류촉진제, 프로세스 오일, 카본 블랙 이외의 충전제 등)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을, 예컨대 시트 형상(또는 띠 형상)으로 성형하여, 이것을 롤의 축심에 권취하고, 필요에 따라서 가류 처리를 하는 방법 등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무 조성물의 점도를 적절히 낮게 하여, 그 성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 카본 블랙은, 부피 밀도가 400 k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50 k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카본 블랙의 부피 밀도는 예컨대 1000 kg/㎥ 이하이다. 상기 고무 조성물의 점도는, 성형성의 관점에서, JIS K 6300-1:2013에 따른 온도 100℃에 있어서의 무니 점도로, 바람직하게는 25~6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45이다. 카본 블랙의 부피 밀도는, 후술하는 실시예 항의 기재에 따라서 측정된다.
제1 롤(1a) 및 제2 롤(1b)의 직경은 예컨대 40~400 mm이며, 보다 전형적으로는 50~300 mm이다. 제1 롤(1a) 및 제2 롤(1b)의 직경은 동일하여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제1 롤(1a) 및 제2 롤(1b)의 길이(제조되는 편광판의 폭 방향)는, 제조되는 편광판의 폭에 따라 다르지만, 예컨대 300~3000 mm이다. 제1 롤(1a) 및 제2 롤(1b)은 통상 직경이 길이 방향에 걸쳐서 균일한 플랫 롤이지만, 제1 롤(1a) 및 제2 롤(1b)의 한쪽은, 중앙부에서 단부에 걸쳐서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의 외형 형상을 갖는 크라운 롤이라도 좋다.
(2)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장치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롤(1)을 포함한다. 광학 필름 적층체의 일례는 편광판 제조 장치이다. 이 편광판 제조 장치는, 통상 접합 롤(1)에 더하여 편광 필름(5),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20) 등의 원료 필름(광학 필름), 그리고 접합 롤(1)을 통과한 후의 적층체 및 편광판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 경로를 갖는다. 반송 경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행하는 필름을 지지 또는 안내하는 가이드 롤(반송 롤)(30)에 의해서 구축할 수 있다.
편광판 제조 장치는, 편광 필름(5)과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 사이, 편광 필름(5)과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20) 사이에 각각 제1 접착제(15), 제2 접착제(25)를 주입하기 위한 제1 접착제 주입 장치(40), 제2 접착제 주입 장치(41)를 갖출 수 있다. 단 이것에 한하지 않고, 접착제는, 편광 필름(5)의 표면 혹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 또는 이들 양쪽의 필름에 접착제를 도공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적용되더라도 좋다.
또, 도 1에는, 편광 필름(5)의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편광 필름(5)의 한쪽 면에만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합하여도 좋다. 또한 편광 필름(5)의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적층하는 경우에 있어서, 한쪽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편광 필름(5) 사이에만 접착제를 적용하고, 다른 쪽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편광 필름(5) 사이에는 접착제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더라도 좋다.
편광판 제조 장치는 통상, 접합 롤(1)을 통과한 후의 적층체가 갖는 접착제층을 건조하기 위한 또는 경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갖춘다. 이 수단으로서는, 가열건조 장치, 적외선 히터, 활성에너지선 조사 장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편광판 제조 장치는, 접합 롤(1)의 표면(표면 고무층의 표면)에 생길 수 있는 변형이나 부착될 수 있는 이물을 검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출 수 있다. 이 수단으로서는, 접합 롤(1) 표면의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화상 취득·화상 처리 장치, 및 필요에 따라서 이것에 부수되는 접합 롤의 표면을 비추기 위한 조명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편광판 제조 장치는, 편광판을 구성하는 복수의 광학 필름의 사이(예컨대, 상술한 편광 필름(5)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사이)에 개재시키는 접착제의 적용량을 광학적으로 검사하기 위한 수단을 갖출 수 있다. 이 수단으로서는, 적층체가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하기 직전에, 복수의 광학 필름의 사이(예컨대, 편광 필름(5)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사이)에 있는 접착제의 저장부의 폭(저장부와 공기의 계면 위치)을 광학적으로 검지하여, 접착제의 적용량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예컨대, 측정광을 조사하여 그 투과광을 검출하는 등의 광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폭(계면 위치)을 검지하여, 접착제의 적용량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한 후의 적층체가 갖는 접착제층의 두께를 광학적으로 측정하여, 접착제의 적용량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예컨대,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상기 두께를 측정하여, 접착제의 적용량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를 들 수 있다.
편광판 제조 장치는, 편광판을 구성하는 복수의 광학 필름의 사이(예컨대, 상술한 편광 필름(5)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사이)에 개재시키는 점착제의 적용량을 광학적으로 검사하기 위한 수단을 갖출 수 있다. 이 수단으로서는, 적층체가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하기 직전에, 복수의 광학 필름의 사이(예컨대, 편광 필름(5)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사이)에 있는 점착제의 저장부의 폭(저장부와 공기의 계면 위치)을 광학적으로 검지하여, 점착제의 적용량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예컨대, 측정광을 조사하여 그 투과광을 검출하는 등의 광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폭(계면 위치)을 검지하여, 점착제의 적용량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한 후의 적층체가 갖는 점착제층의 두께를 광학적으로 측정하여, 점착제의 적용량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예컨대,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상기 두께를 측정하여, 점착제의 적용량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를 들 수 있다.
편광판 제조 장치는, 접합 롤(1)의 표면(표면 고무층의 표면)에 생길 수 있는 변형이나 부착될 수 있는 이물을 검지하기 위한 수단, 편광판을 구성하는 복수의 광학 필름의 사이에 개재시키는 접착제의 적용량을 검사하기 위한 수단 및 편광판을 구성하는 복수의 광학 필름의 사이에 개재시키는 점착제의 적용량을 검사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 제조 장치는, 편광판에 다른 광학 부재(다른 광학 필름, 점착제층, 프로텍트 필름 등)를 적층하기 위한 장치, 편광판 제품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기 등을 추가로 갖고 있어도 좋다.
(3)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광학 필름이 접착제 및/또는 점착제를 통해 적층된 적층체를 한 쌍의 롤 사이에 통과시킴으로써 압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롤이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롤(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서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든다.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편광 필름(5)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접착제 및/또는 점착제를 통해 적층된 적층체를 한 쌍의 롤 사이에 통과시킴으로써 압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롤이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롤(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설명한 대로,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예컨대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제1 접착제(15)의 층/편광 필름(5)/제2 접착제(25)의 층/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20)의 층 구성(층 구성 1)을 가질 수 있다. 단, 상기 적층체의 층 구성은, 층 구성 1에서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 및 제1 접착제(15)의 층을 생략한 구성이라도 좋고, 층 구성 1에서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20) 및 제2 접착제(25)의 층을 생략한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적층체의 층 구성은, 층 구성 1에서 제1 접착제(15)의 층 또는 제2 접착제(25)의 층을 생략한 구성이라도 좋다.
상기 압압하는 공정에 있어서, 적층체에 주어지는 압력(닙압)은 예컨대 0.3~3 MPa이며, 바람직하게는 0.5~2 MPa이다.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접합 롤(1)의 표면 상태를 검사하는 공정, 접착제의 적용량을 검사하는 공정 및 점착제의 적용량을 검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공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접합 롤(1)의 표면 상태를 검사하는 공정은, 구체적으로는, 접합 롤(1)의 표면(표면 고무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요철 등의 변형이나 미소한 부착 이물의 존재 유무를, 눈으로 확인함으로 혹은 CCD 카메라 등에 의해서 취득한 화상 등에 기초하여 검사하는 공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롤(1)을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이러한 검사를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접착제의 적용량을 검사하는 공정으로서는, 접착제의 적용량을 광학적으로 검사하는 공정을 들 수 있다. 접착제의 적용량을 광학적으로 검사하는 공정의 구체예는, 적층체가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하기 직전에, 복수의 광학 필름의 사이(예컨대, 편광 필름(5)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사이)에 있는 접착제의 저장부의 폭(저장부와 공기의 계면 위치)을 광학적으로 검지하여, 접착제의 적용량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공정(예컨대, 측정광을 조사하여 그 투과광을 검출하는 등의 광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폭(계면 위치)을 검지하여, 접착제의 적용량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공정);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한 후의 적층체가 갖는 접착제층의 두께를 광학적으로 측정하여, 접착제의 적용량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공정(예컨대,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상기 두께를 측정하여, 접착제의 적용량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롤(1)을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이러한 검사를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점착제의 적용량을 검사하는 공정으로서는, 점착제의 적용량을 광학적으로 검사하는 공정을 들 수 있다. 점착제의 적용량을 광학적으로 검사하는 공정의 구체예는, 적층체가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하기 직전에, 복수의 광학 필름의 사이(예컨대, 편광 필름(5)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사이)에 있는 점착제의 저장부의 폭(저장부와 공기의 계면 위치)을 광학적으로 검지하여, 점착제의 적용량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공정(예컨대, 측정광을 조사하여 그 투과광을 검출하는 등의 광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폭(계면 위치)을 검지하여, 점착제의 적용량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공정);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한 후의 적층체가 갖는 점착제층의 두께를 광학적으로 측정하여, 점착제의 적용량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공정(예컨대,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상기 두께를 측정하여, 점착제의 적용량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롤(1)을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이러한 검사를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이어서, 편광 필름(5),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20), 제1 접착제(15) 및 제2 접착제(25)에 관해서 설명한다.
(4) 편광 필름
편광 필름(5)은, 일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킨 것일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가 예시된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암모늄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80.0~100.0 몰%의 범위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90.0~100.0 몰%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8.0~100.0 몰%의 범위이다. 비누화도가 80.0 몰% 미만이면, 얻어지는 편광판의 내수성 및 내습열성이 저하할 수 있다.
비누화도는, 하기 식:
비누화도(몰%)=100×(수산기의 수)/(수산기의 수+아세트산기의 수)
로 정의된다.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에 준거하여 구할 수 있다. 비누화도가 높을수록 수산기의 비율이 높음을 나타내고 있고, 따라서 결정화를 저해하는 아세트산기의 비율이 낮음을 나타내고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100~10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8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5000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도 JIS K 6726(1994)에 준거하여 구할 수 있다. 평균 중합도가 100 미만이면 바람직한 편광 성능을 얻기가 어렵고, 10000을 넘으면 용매에의 용해성이 악화되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형성이 곤란하게 될 수 있다.
편광 필름(5)에 함유(흡착 배향)되는 이색성 색소는 요오드 또는 이색성 유기 염료일 수 있다. 이색성 유기 염료의 구체예는, 레드 BR, 레드 LR, 레드 R, 핑크 LB, 루빈 BL, 보르도 GS, 스카이블루 LG, 레몬 옐로우, 블루 BR, 블루 2R, 네이비 RY, 그린 LG, 바이올렛 LB, 바이올렛 B, 블랙 H, 블랙 B, 블랙 GSP, 옐로우 3G, 옐로우 R, 오렌지 LR, 오렌지 3R, 스칼렛 GL, 스칼렛 KGL, 콩고레드, 브릴리언트 바이올렛 BK, 수프라 블루 G, 수프라 블루 GL, 수프라 오렌지 GL, 다이렉트 스카이블루, 다이렉트 퍼스트 오렌지 S, 퍼스트 블랙을 포함한다. 이색성 색소는,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이색성 색소는 바람직하게는 요오드이다.
편광 필름(5)의 두께는 통상 2~40 ㎛ 정도이다. 편광판의 박막화의 관점에서, 편광 필름(5)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5)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은, 투광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는 필름이다.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예컨대,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와 같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일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계 수지」란, 아크릴계 수지 및 메타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나타낸다. 그 밖의 「(메트)」를 붙인 용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같은 쇄상 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외에, 2종 이상의 쇄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나, 프로필렌을 주체로 하는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계 수지(에틸렌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에틸렌 수지나, 에틸렌을 주체로 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환상 올레핀을 중합 단위로 하여 중합되는 수지의 총칭이다.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를 들면, 환상 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환상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 프로필렌과 같은 쇄상 올레핀과의 공중합체(대표적으로는 랜덤 공중합체) 및 이들을 불포화 카르복실산이나 그 유도체로 변성한 그라프트 중합체, 그리고 이들의 수소화물 등이다. 그 중에서도, 환상 올레핀으로서 노르보르넨이나 다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 등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이용한 노르보르넨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셀룰로오스계 수지란, 면린터나 목재 펄프(활엽수 펄프, 침엽수 펄프) 등의 원료 셀룰로오스로부터 얻어지는 셀룰로오스의 수산기에 있어서의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및/또는 부티릴기로 치환된, 셀룰로오스 유기산에스테르 또는 셀룰로오스 혼합 유기산에스테르를 말한다. 예컨대, 셀룰로오스의 아세트산에스테르, 프로피온산에스테르, 부티르산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 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 이외의 수지이며,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와 다가 알코올과의 중축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서는 2가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메틸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2가의 디올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적합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한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카르보네이트기를 통해 모노머 단위가 결합된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며, 높은 내충격성, 내열성, 난연성, 투명성을 갖는 수지이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광탄성 계수를 내리기 위해 폴리머 골격을 수식한 것과 같은 변성 폴리카보네이트라고 불리는 수지나, 파장 의존성을 개량한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등이라도 좋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이다. 이 중합체는 전형적으로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이, 전체 구조 단위에 대하여 50 중량% 이상 포함하는 중합체이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단독 중합체라도 좋고, 다른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라도 좋다. 이 경우, 다른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구조 단위에 대하여 50 중량% 이하이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구성할 수 있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n-프로필, 메타크릴산이소프로필, 메타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이소부틸, 메타크릴산t-부틸,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2-히드록시에틸과 같은 알킬기의 탄소수가 1~8인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 포함되는 알킬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4이다. (메트)아크릴계 수지에 있어서, 메타크릴산에스테르는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구성할 수 있는 상기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그 밖의 분자 내에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다른 중합성 모노머는,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n-프로필, 아크릴산이소프로필,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이소부틸, 아크릴산t-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시클로헥실,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과 같은 알킬기의 탄소수가 1~8인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 포함되는 알킬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4이다. (메트)아크릴계 수지에 있어서, 아크릴산에스테르는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그 밖의 분자 내에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스티렌 등의 비닐계 화합물이나, 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비닐시안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분자 내에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은,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은, 편광 필름(5)의 한쪽의 면에 적층 접합되는, 편광 필름(5)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일 수 있거나, 혹은 편광 필름(5)의 표면을 일시적으로 보호해 두기 위한 임시 보호 필름일 수도 있다. 임시 보호 필름인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은, 편광판을 구축한 후, 원하는 시기에 박리 제거된다. 또한,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은, 위상차 필름, 휘도 향상 필름과 같은 광학 기능을 더불어 갖는 보호 필름일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연신(일축 연신 또는 이축 연신 등)하거나, 상기 필름 상에 액정층 등을 형성하거나 함으로써, 임의의 위상차치가 부여된 위상차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은, 그 표면에 적층되는, 하드코트층, 방현층, 반사방지층, 대전방지층, 방오층과 같은 표면 처리층(코팅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의 두께는 통상 1~100 ㎛이지만, 강도나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5~60 ㎛인 것이 바람직하고, 5~4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6)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20)은,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과 마찬가지로, 투광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다.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20)을 구성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의 구체예에 관해서는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에 관해서 기술한 것이 인용된다.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20)은,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과 마찬가지로, 보호 필름, 임시 보호 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 휘도 향상 필름과 같은 광학 기능을 아울러 갖는 보호 필름일 수 있다.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20)은, 그 표면에 적층되는, 하드코트층, 방현층, 반사방지층, 대전방지층, 방오층과 같은 표면 처리층(코팅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20)의 두께는 통상 1~100 ㎛이지만, 강도나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5~60 ㎛인 것이 바람직하고, 5~4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과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20)은, 그 재질(필름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 필름의 두께, 필름 표면에 부설할 수 있는 표면 처리층(코팅층)의 유무 등에 있어서 동일하여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7) 제1 접착제 및 제2 접착제
제1 접착제(15), 제2 접착제(25)로서는, 수계 접착제,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 또는 열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계 접착제,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이다. 제1 접착제(15)와 제2 접착제(25)는 동종의 접착제라도 좋고 이종의 접착제라도 좋다.
수계 접착제는, 접착제 성분을 물에 용해한 것 또는 물에 분산시킨 것이다.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수계 접착제는, 예컨대, 주성분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접착제 조성물이다.
접착제의 주성분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과 같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일 수 있는 것 외에, 카르복실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메틸올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아미노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과 같은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라도 좋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 처리하여 얻어지는 비닐알코올 호모폴리머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비누화 처리하여 얻어지는 폴리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라도 좋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접착제 성분으로 하는 수계 접착제는 통상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수용액이다. 접착제 중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농도는, 물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는,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가 알데히드, 멜라민계 화합물, 지르코니아 화합물, 아연 화합물, 글리옥살, 글리옥살 유도체, 수용성 에폭시 수지와 같은 경화성 성분이나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에폭시 수지로서는, 예컨대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등의 폴리알킬렌폴리아민과, 아디프산 등의 디카르복실산과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폴리아미드아민에,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폭시 수지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폭시 수지의 시판 제품으로서는, 「스미레즈레진 650」(다오카카가쿠고교(주)제조), 「스미레즈레진 675」(다오카카가쿠고교(주) 제조), 「WS-525」(닛폰PMC(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경화성 성분이나 가교제의 첨가량(경화성 성분 및 가교제로서 함께 첨가하는 경우에는 그 합계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1~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0 중량부이다. 상기 경화성 성분이나 가교제의 첨가량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성 향상 효과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상기 첨가량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를 넘는 경우에는, 접착제층이 취약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접착제의 주성분으로서 우레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의 적합한 예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와 글리시딜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란, 폴리에스테르 골격을 갖는 우레탄 수지이며, 그 안에 소량의 이온성 성분(친수 성분)이 도입된 것이다. 이러한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는,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서 직접 수중에서 유화하여 에멀젼으로 되기 때문에, 수계의 접착제로서 적합하다.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과 같은 활성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서 경화하는 접착제이다.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 적층체가 갖는 접착제층은 그 접착제의 경화물층이다.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양이온 중합에 의해서 경화하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접착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에폭시계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이다. 여기서 말하는 에폭시계 화합물이란, 분자 내에 평균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에폭시계 화합물은, 1종만을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에폭시계 화합물의 구체예는, 방향족 폴리올의 방향환에 수소화 반응을 하여 얻어지는 지환식 폴리올에,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수소화에폭시계 화합물(지환식 고리를 갖는 폴리올의 글리시딜에테르); 지방족 다가 알코올 또는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와 같은 지방족 에폭시계 화합물; 지환식 고리에 결합한 에폭시기를 분자 내에 1개 이상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인 지환식 에폭시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경화성 성분으로서,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 대신에, 또는 이것과 함께 라디칼 중합성인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화합물로서는,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관능기 함유 화합물을 2종 이상 반응시켜 얻어지고,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함유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양이온 중합에 의해서 경화하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경우,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로서는, 예컨대,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요오도늄염이나 방향족 술포늄염 등의 오늄염; 철-알렌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가 (메트)아크릴계 화합물과 같은 라디칼 중합성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는, 광라디칼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라디칼 중합개시제로서는, 예컨대, 아세토페논계 개시제, 벤조페논계 개시제, 벤조인에테르계 개시제, 티오크산톤계 개시제, 크산톤, 플루오레논, 캄파퀴논, 벤즈알데히드, 안트라퀴논 등을 들 수 있다.
편광 필름(5)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착제를 통하여 접합함에 앞서서, 편광 필름(5) 및/또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접합면에,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플레임(화염) 처리, 비누화 처리와 같은 표면 활성화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이 표면 활성화 처리에 의해, 편광 필름(5)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
(8) 변형예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롤은, 복수의 광학 필름의 접합을 위해 이용된다. 위에서는, 복수의 광학 필름이 편광 필름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편광 필름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광학 필름 적층체가 편광판인 경우에 관해서 주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광학 필름은 편광 필름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조합 이외의 광학 필름의 조합이라도 좋다. 예컨대, 복수의 광학 필름은 모두 편광 필름이 아닌 2 이상의 광학 필름이라도 좋다. 편광 필름 이외의 광학 필름은 편광 필름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라도 좋다. 접합 롤에 의해서 접합되는 광학 필름의 수는 2 이상이며, 통상은 2 또는 3 정도이다.
편광 필름 이외의 광학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위상차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등의 광학 기능성 필름; 세퍼레이트 필름; 프로텍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세퍼레이트 필름은 점착제층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점착되는 필름이다. 세퍼레이트 필름은 통상 한쪽 면에 이형 처리가 실시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고, 그 이형 처리된 면이 점착제층에 접합된다. 세퍼레이트 필름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예컨대,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일 수 있다. 세퍼레이트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10~100 ㎛이다.
프로텍트 필름은 통상 기재 필름과 그 위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으로 구성된다. 프로텍트 필름은 다른 광학 필름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필름이다. 기재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및 실리콘계 점착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텍트 필름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의 자기 점착성을 갖는 수지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접합 롤에 의해서 접합되는 복수의 광학 필름 중, 적어도 하나의 광학 필름은 그 자체, 광학 필름의 적층체라도 좋다. 필름 적층체로서는 편광 필름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들 수 있다. 예컨대, 편광판인 광학 필름과, 점착제층 및 세퍼레이트 필름의 적층체를 접합 롤에 통과시킴으로써, 편광판/점착제층/세퍼레이트 필름의 층 구성을 갖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예컨대, 편광판인 광학 필름과, 점착제층 및 기재 필름의 적층체인 프로텍트 필름을 접합 롤에 통과시킴으로써, 편광판/점착제층/기재 필름의 층 구성을 갖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상술된 것과 같이, 접합 롤을 통과하게 되는 적층체에 있어서, 접합되어야 하는 복수의 광학 필름은, 접착제 및/또는 점착제를 통해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 접착제의 예는 상술한 것과 같다. 점착제로서는, (메트)아크릴계, 고무계, 우레탄계, 에스테르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에테르계와 같은 수지를 주성분(베이스 폴리머)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적합하다. 점착제 조성물은 활성에너지선 경화형, 열 경화형이라도 좋다.
점착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과 같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모노머로 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메트)아크릴계 수지에는 극성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을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폴리머만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지만, 통상은 가교제를 추가로 함유한다. 가교제로서는, 2가 이상의 금속 이온이며,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카르복실산금속염을 형성하는 것; 폴리아민 화합물이며,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에폭시 화합물이나 폴리올이며,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며,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활성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이란, 자외선이나 전자선과 같은 활성에너지선의 조사를 받아 경화하는 성질을 갖고 있고, 활성에너지선 조사 전에 있어서도 점착성을 가지고서 필름 등의 피착체에 밀착시킬 수 있으며, 활성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서 경화하여 밀착력 조정을 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이다. 활성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베이스 폴리머, 가교제에 더하여, 활성에너지선 중합성 화합물을 추가로 함유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광중합개시제나 광증감제 등을 함유시키는 경우도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광산란성을 부여하기 위한 미립자, 비드(수지 비드, 글래스 비드 등), 유리 섬유, 베이스 폴리머 이외의 수지, 점착성 부여제, 충전제(금속 가루나 그 밖의 무기 분말 등),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염료, 안료, 착색제, 소포제, 부식방지제, 광중합개시제, 용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험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의 예에 있어서 표면 고무층의 시감 반사율 RSCI, 경도 및 탄성 회복률, 카본 블랙의 산술 평균 입자경 및 부피 밀도는 이하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했다.
(1) 표면 고무층의 시감 반사율 RSCI
분광측색계(코니카미놀타(주) 제조의 「CM2002」)를 이용하여 상술한 방법에 따라서 측정했다. 측정 샘플로서는 표면 고무층을 갖는 롤 그 자체를 이용했다. 측정 온도는 23℃로 했다.
(2) 표면 고무층의 경도
JIS K 6253-3:2012에 준거한 타입 A 듀로미터 경도 시험기(아스카사 제조의 고무 경도계 「Type-A」)를 이용하여, 온도 23℃, 상대습도 50%에서의 경도를 측정했다.
(3) 표면 고무층의 탄성 회복률
미소경도계((주)피셔인스트루먼츠사 제조의 「피셔스코프 HM2000」)를 이용하여, 온도 23℃, 상대습도 50%로 측정했다. 측정 샘플로서는, 표면 고무층을 갖는 롤의 표면 고무층과 동일 재질의 평가용 샘플을 이용했다. 측정은, 정사각추의 비커스 압자(다이아몬드제, 대면각 136°)를, 평가용 샘플에 대하여 압입 속도 100 ㎛/10 s로 표면에서부터 압입하고, 최대 압입 깊이 100 ㎛에 달한 후, 비커스 압자를 압입한 상태의 하중으로 10 s 유지하고, 그 후, 복귀 속도 5 ㎛/10 s로 비커스 압자를 평가용 샘플 표면에서 제거했을 때의, 시험 하중과 압입 깊이로부터 미소경도계 부속의 해석 프로그램((주)피셔인스트루먼츠사 제조의 「WIN-HCU」)을 이용하여 구했다. 구체적으로는, 비커스 압자를 평가용 샘플에 압입했을 때의 압입 깊이(h)와 관측되는 시험 하중의 크기(F)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된다. 여기서 횡축의 h는, 비커스 압자의 높이 중, 평가용 샘플에 압입된 부분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측정 시작점 t0에서부터, t1을 지나 t2에 이를 때까지 비커스 압자를 압입하고, 그 후, 압입을 해방시키면 t3에 이른다. 여기서, t0~t3의 각 점에 둘러싸인 영역이 소성 변형의 작업량(Wp)이며, 압입의 해방 시에 완화되었을 때에 생긴 t2-t3선과 종축에 평행한 hhmax선과 횡축에 둘러싸인 영역이 탄성 변형의 작업량(We)이다. 이 때 탄성 회복률은,
탄성 회복률(%)={Welast/(Welast+Wplast)}×100
으로 정의되는 값이다.
(4) 카본 블랙의 산술 평균 입자경
전자현미경(닛폰덴시(주) 제조의 「JSM-7500F」)을 이용하여 촬영하고, 얻어진 화상으로부터 임의의 100개의 입자의 입자경을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산술 평균 입자경으로 했다.
(5) 카본 블랙의 부피 밀도
카본 블랙의 높이 밀도는 JIS K 6219-2에 준거하여, 체적 785 ㎤의 원통 용기에 샘플을 주입하여 질량을 측정함으로써 구했다.
<실험예 1: 롤 표면 변형의 확인 용이성 평가>
표 1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는 고무 롤 No. 1~No. 3을 준비했다. 이들 고무 롤은 모두 직경 100 mm, 길이 240 mm의 플랫 롤이며, 두께 8.5 mm의 표면 고무층을 갖는 것이다.
No. 1~No. 3의 고무 롤이 갖는 표면 고무층은 고무 성분으로서의 NBR와 충전제를 함유한다. No. 1 및 No. 2의 표면 고무층은, 카본 블랙(CB)을 함유하며, 그 함유량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다. 표 1에 기재한 CB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한 부수(部數)이다. No. 1 및 No. 2에서 이용한 CB는 같은 것이다(산술 평균 입자경: 120 nm, 부피 밀도: 440 kg/㎥). No. 3의 표면 고무층은, 카본 블랙이 아니라, 실리카를 5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다. 표면 고무층의 시감 반사율 RSCI 및 경도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No. 1~No. 3의 고무 롤에 관해서 다음과 같은 변형의 확인 용이성 평가 시험을 했다. 고무 롤의 표면에 두께 53 ㎛의 폴리이미드 점착 테이프(닛토덴코(주) 제조의 「No.360A」)를 5장 겹쳐 접착하여, 높이 265 ㎛의 단차를 형성하고, 1 MPa의 일정한 응력을 가하여, 의도적으로 표면 고무층을 변형시켰다(함몰을 형성했다). 점착 테이프를 박리 제거하여, 비디오라이트((주)엘피엘 제조의 「VL-501」)의 조명 환경 하에, 변형을 가하고 나서 1분 후의 표면 상태를 눈으로 보아 확인했다. No. 1 및 No. 2의 고무 롤에서는, 함몰을 매우 용이하게 발견, 확인할 수 있었다. No. 3의 고무 롤에서는, 변형의 함몰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조명을 조사함으로써 약간 변형이 인정되는 정도이며, 확인이 용이하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Figure pat00001
<실험예 2: CB의 함유량과 표면 고무층의 경도와의 관계>
CB의 함유량이 표 2에 나타내는 양(고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한 부수)인 표면 고무층을 갖는 No. 4~No. 8의 고무 롤을 준비하여, 이들의 표면 고무층의 경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이들 고무 롤은 모두 직경 100 mm, 길이 240 mm의 플랫 롤이며, 두께 8.5 mm의 표면 고무층을 갖는 것이다. No. 4~No. 8에서 이용한 고무 성분은 모두 NBR이며, CB도 같은 것이다(산술 평균 입자경: 120 nm, 부피 밀도: 440 kg/㎥). No. 4, No. 5의 고무 롤은 각각 No. 1, No. 2의 고무 롤과 동일하다.
Figure pat00002
<실험예 3: CB의 산술 평균 입자경과 표면 고무층의 탄성 회복률과의 관계>
CB의 산술 평균 입자경이 표 3에 나타내는 값인 표면 고무층을 갖는 No. 9~No. 12의 고무 롤을 준비하여, 이들의 표면 고무층의 탄성 회복률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이들 고무 롤은 모두 직경 100 mm, 길이 240 mm의 플랫 롤이며, 두께 8.5 mm의 표면 고무층을 갖는 것이다. No. 9~No. 12에서 이용한 고무 성분은 모두 NBR이며, CB의 함유량도 같게 했다(고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Figure pat00003
<실험예 4: CB의 부피 밀도와 고무 조성물의 점도와의 관계>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표 4에 나타내는 부피 밀도를 갖는 CB를 60 중량부 배합하고, No. 13~No. 17의 고무 조성물을 조제하여, JIS K 6300-1:2013에 따른 온도 100℃에 있어서의 무니 점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1: 접합 롤, 1a: 제1 롤, 1b: 제2 롤, 2a: 제1 표면 고무층, 2b: 제2 표면 고무층, 5: 편광 필름, 10: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 15: 제1 접착제, 20: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 25: 제2 접착제, 30: 가이드 롤, 40: 제1 접착제 주입 장치, 41: 제2 접착제 주입 장치, 60: 적분구, 61: 광원, 62: 측정 샘플.

Claims (11)

  1. 제1 롤 및 제2 롤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광학 필름의 접합을 위해 이용되는 접합 롤로서,
    상기 제1 롤 및 상기 제2 롤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표면이 고무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고무층은, 정반사광 포함 방식으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 RSCI가 10% 이하이고, JIS K 6253-3:2012에 따른 듀로미터 타입 A 경도가 80° 이상인 접합 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층은 고무 성분과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것인 접합 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블랙의 함유량은 상기 고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100 중량부인 접합 롤.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블랙은 산술 평균 입자경이 60 nm 이상인 접합 롤.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블랙은 부피 밀도가 400 kg/㎥ 이상인 접합 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학 필름은 편광 필름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접합 롤.
  7. 복수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장치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접합 롤을 포함하는 제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 적층체는 편광 필름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인 제조 장치.
  9. 복수의 광학 필름이 접착제 및/또는 점착제를 통해 적층된 적층체를 한 쌍의 롤 사이에 통과시킴으로써 압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롤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접합 롤인,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편광 필름과, 접착제를 통해 상기 편광 필름 상에 적층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롤의 표면 상태를 검사하는 공정, 상기 접착제의 적용량을 검사하는 공정 및 상기 점착제의 적용량을 검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KR1020170086429A 2016-07-12 2017-07-07 접합 롤,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800073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37568 2016-07-12
JP2016137568 2016-07-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326A true KR20180007326A (ko) 2018-01-22

Family

ID=61021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429A KR20180007326A (ko) 2016-07-12 2017-07-07 접합 롤,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46221B2 (ko)
KR (1) KR20180007326A (ko)
CN (1) CN107599596B (ko)
TW (1) TWI77367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503B1 (ko) 2019-12-23 2020-03-09 백창진 롤 압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5414B2 (ja) * 2018-06-14 2022-06-16 住友化学株式会社 液晶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KR20220123122A (ko) * 2020-02-14 2022-09-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층을 구비한 광학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그리고, 이들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4301A (ja) * 2002-05-31 2003-12-03 Sumitomo Chem Co Ltd 偏光フィルム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JP2006103201A (ja) * 2004-10-06 2006-04-20 Sumitomo Rubber Ind Ltd 印刷ブランケット用圧縮性層とそれを用いた印刷ブランケット
JP4493506B2 (ja) * 2005-01-06 2010-06-30 日信工業株式会社 リップ状シール部材及び該リップ状シール部材を用いた車両用液圧マスタシリンダ
JP5399609B2 (ja) * 2006-09-20 2014-01-29 横浜ゴム株式会社 ゴム組成物
JP5329375B2 (ja) * 2009-11-27 2013-10-30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製造用ニップロールおよび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1178047A (ja) * 2010-03-02 2011-09-15 Sekisui Chem Co Ltd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の製造装置及び異物の除去方法
JP5086418B2 (ja) * 2010-10-15 2012-11-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半導電性ローラの製造方法
KR101839650B1 (ko) * 2012-03-19 2018-03-16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고무 조성물 및 상기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롤 성형품
JP6154128B2 (ja) * 2012-12-20 2017-06-28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5030760A (ja) * 2013-07-31 2015-02-1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ロール用高飽和ニトリルゴム組成物およびロ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503B1 (ko) 2019-12-23 2020-03-09 백창진 롤 압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99596B (zh) 2021-05-07
JP6546221B2 (ja) 2019-07-17
JP2018013780A (ja) 2018-01-25
TWI773678B (zh) 2022-08-11
CN107599596A (zh) 2018-01-19
TW201834844A (zh)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105B1 (ko) 편광판
CN105319636B (zh) 偏振片、带有粘合剂的偏振片和液晶显示装置
KR101746347B1 (ko) 편광판용 보호 필름
TWI634354B (zh) 偏光板及液晶顯示裝置
KR20140077102A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20210091136A (ko) 광학 적층체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표시장치
KR20180007326A (ko) 접합 롤,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413813B1 (ko)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20101815A (ja) 偏光板セット
KR20160038742A (ko)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787903B1 (ko) 프로텍트 필름을 갖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TWI694272B (zh) 附保護膜之偏光板的製造方法
JP2019061031A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170021754A (ko)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편광판
CN106257314B (zh) 带保护膜的偏光板的制造方法
TWI698667B (zh) 附保護膜之偏光板之製造方法
CN114488378A (zh) 偏振板及显示装置
TW202212142A (zh) 附黏著劑層的偏光板
WO2020105327A1 (ja) 偏光板積層体
KR20210154986A (ko) 광학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20091463A (ja) 偏光板積層体
JP7308905B2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WO2023176589A1 (ja) 表面保護フィルム付光学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2345432A (zh) 附表面保護薄膜之光學積層體及顯示系統之製造方法
JP2020115229A (ja) プロテクトフィルム付偏光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