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088A -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088A
KR20180007088A KR1020160087828A KR20160087828A KR20180007088A KR 20180007088 A KR20180007088 A KR 20180007088A KR 1020160087828 A KR1020160087828 A KR 1020160087828A KR 20160087828 A KR20160087828 A KR 20160087828A KR 20180007088 A KR20180007088 A KR 20180007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compound
disease
weigh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1438B1 (ko
Inventor
이영희
서원호
주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큐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큐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큐바이오
Priority to KR1020160087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438B1/ko
Priority to PCT/KR2017/006932 priority patent/WO2018012773A1/ko
Publication of KR20180007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근피(Ulmus davidiana Planch)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울다비오시드 A(uldavioside A)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나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uldavioside A compound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inflammatory disease}
본 발명은 유근피(Ulmus davidiana Planch)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울다비오시드 A(uldavioside A)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 반응(inflammation)은 비염 및 기관지염, 간염, 관절염 등 다양한 질환의 원인으로 인간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특히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인한 인구의 노령화로 그 문제가 심각한 퇴행성질환의 경우, 그 병태 생리가 염증 ·면역 반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연구 보고들이 증가하고 있어 염증 반응의 기전 및 역할에 대한 관심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염증 치료를 위한 치료제 개발에도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상처, 미생물 감염 등에 대항하는 숙주의 방어기제에 따른 병리학적인 기작 중 가장 중요한 반응이지만 지속적이고 과도한 염증반응은 조직을 손상시키게 된다. 대식세포는 이러한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가장 대표적인 면역세포로서,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6(interleukin-6), PGE2(prostaglandin E2), NO(nitric oxide), ROS(reactive oxygen species) 등과 같은 다양한 염증 관련 인자를 분비한다(Laskin, D. L. et al., 2011). 한편, 이러한 염증 관련 인자의 과발현은 류마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패혈증, 혈관 질환, 암 등을 유도한다(Lawrence, T. et al., 2002).
유근피(Ulmus davidiana Planch)는 느릅나무과(Ulmaceae)에 속하는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의 코르크층을 벗긴 수피 및 근피를 건조한 것이다(지형준, et al., 1988). 한방에서 유근피는 맛이 달고, 무독하며, 종창, 관절염, 위궤양, 위장병 등에 사용되고, 거담, 항암, 상처 치료약 및 염증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Duke J.A., 1985). 유근피 중에 존재하는 천연물로서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피토스테롤(phytosterol), 스티마스테롤(stimasterol), 탄닌(tannin), 전분(starch), 다당류(polysaccharide) 등이 존재한다. 또한 진통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인 프리델린(friedelin)과 에피프리엔델라롤(epifriendelalol), 타락세롤(taraxerol) 등의 분리(Matsuzaki T., et al., 1985)와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Duke J.A., 1985) 등이 많이 이루어져 있으나 유근피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한 시도는 아직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유근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유근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이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종래 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00-0041190호에는 유백피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의 상처와 같은 질환의 예방 및 치료가 기재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06-0078305호에는 유근피를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이 기재된 바가 없어 본 발명의 구성과 차이가 있다.
또한, 비특허문헌으로서 Son B.W., et al.은 느릅나무에서 분리한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으나, 항염증 활성은 기재된 바가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2000-0041190호, 약제 조성물, 2000. 07. 15.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06-0078305호, 유근피, 백합, 반하, 백급 및 백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 및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2006. 07. 05. 공개.
지형준, et al., 대한약전외 생약규격집(한약), 한국메디칼인덱스사, 295, 1988. Duke J.A., Handbook of medicinal herbs, CRC press, 495, 1985. Laskin, D. L. et al., Macrophages and tissue injury: agents of defense or destruction?, Annu. Rev. Pharmacol. Toxicol., 51, 267-288, 2011. Lawrence, T. et al., Anti-inflammatory lipid mediators and insights into the resolution of inflammation, Nat. Rev. Immunol., 2, 787-795, 2002. Matsuzaki T., et al., Antioxidative of tea leaf catechins, Nippon Nogeikaga Kogyo Kaishi, 59, 129-134, 1985. Son B.W., et al., Catechin glycoside from Ulmus davidiana, Arch. Pharm. Res., 12(3), 219-222, 1989.
본 발명의 목적은 유근피(Ulmus davidiana Planch)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울다비오시드 A(uldavioside A)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염증성 질환은 알레르기성 질환, 염증성 장질환, 죽상동맥경화,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사구체신염, 염증성 피부 질환, 유육종증, 망막염, 위염, 간염, 장염, 관절염, 편도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췌장염, 패혈증, 욕창, 퇴행성 만성염증 질환 및 신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중량% 내지 50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은 건강기능식품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중량% 내지 50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합성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또는 유근피 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될 수 있다.
상기 유근피는 느릅나무과(Ulmaceae)에 속하는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의 코르크층을 벗긴 수피 및 근피를 건조한 것이다.
상기 유근피 추출물은 유근피를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C1 내지 C4 알코올은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로부터 추출한다.
상기 유근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HP-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P-20 column chromatography),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RP-18 column chromatography),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 및 부형제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4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30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즈,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 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화합물은 전체 식품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3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10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유근피(Ulmus davidiana Planch)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울다비오시드 A(uldavioside A)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알레르기성 질환, 염증성 장질환, 죽상동맥경화,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사구체신염, 염증성 피부 질환, 유육종증, 망막염, 위염, 간염, 장염, 관절염, 편도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췌장염, 패혈증, 욕창, 퇴행성 만성염증 질환 및 신장염 등과 같은 각종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나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울다비오시드 A(uldavioside A) 화합물에 대한 1H-1H COSY(bold lines) 및 1H-13C HMBC 상관관계(arrow)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 처리에 따른 Raw264.7, C2C12 및 NIH3T3 세포에서의 염증 관련 인자인 TNF-α(A), IL-1β(B) 및 NO(C)의 발현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의 Raw264.7(A), C2C12(B) 및 NIH3T3(C) 세포에서의 세포 독성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의 분리>
유근피는 농가에서 건조한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건조된 유근피 10g에 정제수 1ℓ를 첨가한 후 반연속식 저온진공추출기로 25℃에서 12시간 동안 처리하는 것을 3회 반복하여 유근피 추출물을 추출하였고, 여과지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여 유근피 열수추출물을 얻었다. 유근피 열수추출물을 30% 메탄올, 50% 메탄올, 70% 메탄올, 100% 메탄올 순으로 극성을 높여가며 등용매 용출 조건으로 디아이온 HP-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3개의 분획물을 얻었다(Fr. E-1~E-3). 이 중 Fr. E-1을 70% 메탄올 등용매 용출 조건에 따른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9㎎)을 분리하였다.
<실시예 2.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의 물리화학적 구조 확인>
Uldavioside A;
연갈색분말;
1H NMR 및 13C NMR 데이터는 하기 표 1 참조;
ESI-MS [M+H]+ m/z 423.1, C20H22O10.
Position 울다비오시드 A
δC(ppm)a δH (ppm)b
2 82.9 4.59 (1H, d, J = 6.8 Hz)
3 68.6 3.98 (1H, m)
4 28.4 2.84 (1H, dd, J = 16.5, 5.5 Hz)
2.53 (1H, dd, J = 16.5, 8.3 Hz)
4a 103.2
5 158.2
6 97.2 6.12 (1H, d, J = 2.0 Hz)
7 157.6
8 96.8 6.06 (1H, d, J = 2.0 Hz)
8a 156.9
9 132.1
10 115.2 6.82 (1H, d, J = 2.0 Hz)
11 146.2
12 146.3
13 116.1 6.75 (1H, dd, J = 8.2 Hz)
14 119.9 6.70 (1H, dd, J = 8.2, 2.0 Hz)
1' 108.7 5.47 (1H, d, J = 3.4 Hz)
2' 78.2 4.13 (1H, d, J = 2.7 Hz)
3' 80.3
4' 75.4 4.07 (1H, d, J = 9.6 Hz)
3.84 (1H, d, J = 9.6 Hz)
5' 64.9 3.60 (2H, m)
a 13C NMR (150 MHz in CD3OD) spectroscopy data
b 1H NMR (600 MHz in CD3OD) spectroscopy data
< 실시예 3. 동물 세포의 배양>
본 발명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의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식세포주인 Raw264.7, 근세포주인 C2C12 및 섬유아세포주인 NIH3T3를 10% FBS(fetal bovine serum), 100U/㎖의 페니실린(penicillin) 및 100㎍/㎖의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이 포함되어 있는 DMEM(Dulbecco's Modified Medium) 배지에 넣고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4.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의 염증 관련 인자의 발현 확인>
본 발명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의 처리에 따른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염증 관련 인자인 NO(nitric oxide),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및 IL-1β(interleukin-1β)의 발현량을 각각에 해당되는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3에서 배양한 Raw264.7, C2C12 및 NIH3T3 세포를 48웰 플레이트에 웰 당 1×105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완전히 제거하고, 0.5% FBS가 포함된 DMEM 배지(100U/㎖의 페니실린(penicillin) 및 100㎍/㎖의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포함)를 넣고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8시간 배양 후,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1μM 및 10μM이 되도록 세포에 처리하여 1시간 동안 전반응 시킨 다음 2㎍/㎖의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이때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Raw264.7, C2C12 및 NIH3T3 세포를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세포 배양액에 분비된 NO, TNF-α 및 IL-1β의 발현량을 각각의 ELISA 키트(ENZO사,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실험방법은 키트에서 제공되는 실험방법을 토대로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여주듯이, Raw264.7, C2C12 및 NIH3T3 세포 모두에서 본 발명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 처리로 인해 염증 관련 인자인 TNF-α(2A), IL-1β(2B) 및 NO(2C)의 발현이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이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의 세포 독성 확인>
본 발명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에 의한 세포 독성 여부를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어세이 방법을 이용해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3에서 배양한 Raw264.7, C2C12 및 NIH3T3 세포를 48웰 플레이트에 웰 당 1×105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0.5% FBS(fetal bovine serum), 100U/㎖의 페니실린(penicillin) 및 100㎍/㎖의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이 포함되어 있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를 넣고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8시간 배양 후,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1μM 및 10μM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Raw264.7, C2C12 및 NIH3T3 세포를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24시간 후에 세포에 100㎍/㎖의 농도로 MTT 용액을 처리하고 37℃에서 3시간 반응시킨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형성된 포마잔(formazan) 침전물을 DMSO(dimethyl sulfoxide) 200㎕로 녹이고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여주듯이,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처리한 Raw264.7(3A), C2C12(3B) 및 NIH3T3(3C) 세포의 생존율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이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
제제예 1-1.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 200g을 락토즈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하여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성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1-2. 주사액제의 제조
본 발명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 1g, 염화나트륨 0.6g 및 아스코르브산 0.1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제제예 2. 식품 제조>
제제예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조리용 양념에 1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2.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밀가루에 0.1중량%로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3.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스프 및 육즙에 0.1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스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우유에 0.1중량%로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5. 야채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 0.5g을 토마토주스 또는 당근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6. 과일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 0.1g을 사과주스 또는 포도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알레르기성 질환, 염증성 장질환, 죽상동맥경화,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사구체신염, 염증성 피부 질환, 유육종증, 망막염, 위염, 간염, 장염, 관절염, 편도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췌장염, 패혈증, 욕창, 퇴행성 만성염증 질환 및 신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중량% 내지 50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하기 화학식 1의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pat00003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알레르기성 질환, 염증성 장질환, 죽상동맥경화,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사구체신염, 염증성 피부 질환, 유육종증, 망막염, 위염, 간염, 장염, 관절염, 편도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췌장염, 패혈증, 욕창, 퇴행성 만성염증 질환 및 신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건강기능식품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중량% 내지 50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60087828A 2016-07-12 2016-07-12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31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828A KR101831438B1 (ko) 2016-07-12 2016-07-12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17/006932 WO2018012773A1 (ko) 2016-07-12 2017-06-30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828A KR101831438B1 (ko) 2016-07-12 2016-07-12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088A true KR20180007088A (ko) 2018-01-22
KR101831438B1 KR101831438B1 (ko) 2018-02-22

Family

ID=60951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828A KR101831438B1 (ko) 2016-07-12 2016-07-12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1438B1 (ko)
WO (1) WO201801277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2744A1 (ko) * 2018-08-10 2020-02-13 주식회사 엘큐바이오 카테킨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20032752A1 (ko) * 2018-08-10 2020-02-13 주식회사 엘큐바이오 카테킨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934B1 (ko) * 1998-12-22 2006-1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14465B1 (ko) * 2004-12-31 2006-09-13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유근피, 백합, 반하, 백급 및 백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 탄력 증진 및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62616B1 (ko) * 2009-10-16 2011-09-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에피프리에델라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억제용 약학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2744A1 (ko) * 2018-08-10 2020-02-13 주식회사 엘큐바이오 카테킨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20032752A1 (ko) * 2018-08-10 2020-02-13 주식회사 엘큐바이오 카테킨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438B1 (ko) 2018-02-22
WO2018012773A1 (ko)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670B1 (ko) 2,5-비스-아릴-3,4-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리그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이엠피케이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56775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유래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05548B1 (ko)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2182724B1 (ko)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831438B1 (ko)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23972B1 (ko) 녹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1497109B1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56007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449575B1 (ko) 테뉴폴리사이드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53455B1 (ko)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1039145B1 (ko) 부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순환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36692B1 (ko)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7173B1 (ko) 뽕나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32174B1 (ko) 에리스리나 아비시니카로부터 얻은 에이엠피케이를 활성화시키는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30112980A (ko) 크레이스토카릭스 오페르쿠라투스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42516A (ko) 시호 및 꽈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70613B1 (ko) 라티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24293B1 (ko) 동과자 추출물 또는 동과자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2373119B1 (ko) 고들빼기 추출물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600557B1 (ko) 나한송 추출물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70076587A (ko) 모노테르페닐 마그놀올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후박 분획물의 제조방법
KR101747394B1 (ko) 미리세틴 및 레스베라트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052067B1 (ko) 산채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