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382A - 함몰된 비누그릇 및 일체형 억류 배수관을 지닌 베슬 - Google Patents

함몰된 비누그릇 및 일체형 억류 배수관을 지닌 베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382A
KR20180006382A KR1020177032645A KR20177032645A KR20180006382A KR 20180006382 A KR20180006382 A KR 20180006382A KR 1020177032645 A KR1020177032645 A KR 1020177032645A KR 20177032645 A KR20177032645 A KR 20177032645A KR 20180006382 A KR20180006382 A KR 20180006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oap
cavity
bowl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드 엠. 글레이저
Original Assignee
토드 엠. 글레이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드 엠. 글레이저 filed Critical 토드 엠. 글레이저
Publication of KR20180006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4Other soap-cake 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4Overflow devices for basins or ba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욕조 또는 싱크대와 같은 베슬로서, 베슬은 베슬의 내측벽에 함몰된 비누그릇을 구비한다. 함몰된 비누그릇은 베슬의 억류 배수관에 연결된다. 비누그릇은 비누막대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크게 형성된다. 비누그릇의 바닥에 있는 억류 배수관 구멍들은 비누막대가 억류 배수관 안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작게 형성된다. 함몰된 비누그릇은 베슬의 정면에 위치될 수 있어서, 비누그릇이 시야에서 가려진다. 싱크대의 정면은 수도꼭지와 대향하는 표면이다. 욕조의 정면은 사용자가 욕조 안으로 진입하는 표면이다.

Description

함몰된 비누그릇 및 일체형 억류 배수관을 지닌 베슬
본 발명은 욕조 및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욕조와 싱크대와 같이, 씻는 물을 보유하기 위한 베슬은, 무수한 디자인을 갖는다. 이 디자인들은 모두 몇몇 기능적인 특징들을 공유한다. 베슬은 액체를 보유하는 내측벽을 갖는다. 주요 배수관으로도 언급되는 배수관은, 베슬의 제일 낮은 부분에 있다. 배수관은 베슬을 채우기 위해 폐쇄되고, 베슬에서 배출하기 위해 개방된다.
베슬이 범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베슬은 억류 배수관을 포함한다. 억류 배수관은 주요 배수관보다 높은 높이로 내측벽에 위치된다. 베슬이 너무 가득 채워지게 되면, 물은 억류 배수관으로 유출되기보다 베슬의 상측으로 벗어나게 된다. 싱크대에서, 억류 배수관은 보통은 수도꼭지로부터 반대편 벽에 배치된다. 욕조에서, 억류 배수관은 보통은 수도꼭지 아래 내측벽에 배치된다.
비누그릇은 비누를 보유하기 위한 트레이이다. 보통, 비누그릇은 욕조나 싱크대의 모서리에 배치된다. 비누그릇 자체는 여럿에 의해 보기 흉한 것으로 고려된다. 사용된 비누와 비누 거품이 비누그릇에 놓이는 경우 비누그릇의 모양은 악화된다. 비누 거품이 비누그릇에 충분히 고여지는 경우에, 비누 거품은 욕조나 싱크대 쪽으로 넘치고, 보기 흉하게 엉망인 상태로 만들어서, 깨끗해질 필요가 있다.
종래의 이러한 문제들에 비추어 볼 때, 비누와 비누그릇 둘 다 숨겨지고 배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 비누그릇이 존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함몰된 비누그릇 및 억류 배수관을 지닌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베슬을 제공하여, 이런 일반적인 타입과 종래의 장치들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과 다른 목적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벽에 함몰된 비누그릇을 지니고, 트랩에 연결된 배수관을 지닌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베슬을 제공한다.
베슬은 액체를 보유하기 위해 에워싸인 내측벽을 포함한다. 베슬의 내측벽은 기존의 욕조 또는 싱크대 어느 것과 같은 일반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내측벽은 싱크대 볼의 케이스 내 단일 반구형의 표면이 되거나, 사각 절두체 형상의 욕조처럼 여러개의 연결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비누그릇은 내측벽에 형성된 함몰된 공동이다.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개구가 내측벽에 제공된다. 공동벽은 내측벽 내에 함몰되고, 내측벽에 연결된다. 공동벽은 상기 내측벽 내에 비누그릇 공동을 한정하기 위해 개구를 에워싼다. 공동은 비누 막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억류 배수관 구멍은 공동벽에 형성된다. 억류 배수관 구멍은 베슬의 억류 배수관 파이프에 연결된다. 억류 배수관파이프는 베슬의 주요 배수관에 연결된다.
억류 배수관 구멍은 베슬이 억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베슬이 가득 채워질 수 있는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보통의 목적을 갖는다. 움푹 들어간 비누그릇 내에 억류 배수관 구멍을 놓음으로써, 억류 배수관 구멍들이 시야에서 감춰진다.
억류 배수관 구멍은 비누가 사용된 후에 비누 막대에서 비누거품과 물을 배수하는 추가적인 기능을 갖는다.
비누그릇은 전형적인 비누 막대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사이즈로 되어야만 하며, 또한 비누 막대를 쥐기 위해서 사용자가 공동 안으로 손이 닿을 수 있는 공간을 남겨두어야 한다. 전형적인 비누 막대는 0.1kg이다. 비누막대의 크기는 전형적으로 6.5 cm X 8 cm X 2.5 cm이다. 따라서, 함몰된 곳의 크기는 적어도 비누막대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크게 되어야 한다.
비누그릇에 있는 억류 배수관 구멍들은 비누막대가 억류 배수관 아래로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작아야만 한다. 따라서, 배수관 구멍들은 가로로 2.5cm보다 더 작아야 한다. 게다가, 비누막대의 크기는 비누막대가 사용될 시 감소하기 때문에, 배수관 구멍들의 크기는 더욱 작아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슬은 전형적으로 내측벽의 저부에 주요 배수관을 구비한다. 배수관은 베슬을 채우기 위해 폐쇄된다. 베슬이 가득 차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억류 배수관은 베슬의 주요 배수관보다 더 높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싱크대 앞에 서있는 사람에게 감춰지는 함몰된 비누그릇을 지닌 베슬을 제공하는 것이다. 싱크대의 앞쪽은 싱크대의 수도꼭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비누그릇은 베슬의 내측벽 내의 수도꼭지와 대향하여 위치된다. 이리하여, 비누와 비누에 있는 비누거품은 싱크대의 정면에 서있는 사람으로부터 숨겨진다.
욕조의 경우, 비누그릇 공동은 욕조의 앞쪽에 형성될 수 있다. 욕조의 앞쪽은 사람이 욕조에 진입하기 위해 넘는 욕조의 모서리로 한정된다. 비누그릇 공동을 육조의 내측벽의 앞쪽에 놓음으로써, 비누그릇 공동은 방에 있는 사람의 시야로부터 숨겨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평하고 수평의 바닥을 지닌 비누그릇을 제공하는 것이다. 비누그릇의 평평한 바닥은 비누가 받쳐지는 표면을 제공해서, 비누가 비누그릇에서 베슬 안으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비누그릇의 바닥이 일반적으로 평평하긴 하지만, 추가적으로 억류하는 물이 흐르는 동안에 비누가 받쳐질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요철 및 스키드가 부가될 수 있다.
배수관 구멍 또는 구멍들은 비누그릇의 평평한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비누그릇의 바닥에 배수관 구멍들을 위치함으로써, 욕조 안의 상승하는 물이 비누그릇의 바닥으로 흘러내려 억류 배수관 안으로 넘쳐난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공동은 직사각형 각기둥의 형상이 될 수 있다. 직사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비누 막대는 공동 내에 들어맞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쉽게 뚫릴 수 있는 억류 배수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천공된 금속 강판이 억류 배수관 구멍 위의 비누그릇의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함몰되는 한편 억류 배수관인 비누그릇을 지닌 베슬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비누그릇 공동의 개구는 보유되는 비누막대의 가장넓은 크기보다 더 넓어야만 한다. 8.3 센티미터보다 더 넓은 공동은 전형적인 비누막대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넓게 되어야만 한다. 게다가, 공동벽에 형성된 억류 배수관 구멍은 비누막대의 가장좁은 크기보다 더 좁게 형성되어야 한다. 비누막대보다 더 좁게 됨으로써, 비누막대는 억류 배수관 안으로 미끄러질 수 없다. 2.5 센티미터보다 더 좁은 배수관 구멍은 전형적인 비누막대가 억류 배수관 안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좁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들로 고려되는 다른 기능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함몰된 비누그릇 및 통합된 억류 배수관을 지닌 베슬에서 구체환 된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청구항들의 등가의 영역 및 범위 내에 존재하는 동안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구조적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에 도시된 상세한 설명으로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도 2의 Ⅰ-Ⅰ선을 따라 취해진, 본 발명에 따른 욕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욕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에 따라 취해진 욕조의 배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Ⅳ-Ⅳ 선을 따라 취해진 욕조의 우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욕조의 부분도이다.
도 6은 도 7에 도시된 Ⅵ-Ⅵ 선을 따라 취해진 싱크대의 상부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싱크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Ⅶ-Ⅶ 선을 따라 취해진 싱크대의 배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Ⅸ-Ⅸ 선을 따라 취해진 싱크대의 우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함몰된 비누그릇 및 억류 배수관을 지닌 욕조. 욕조는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 10으로 표시된다. 도시된 양상은 직사각형의 절두체(frustum)인 내측벽을 구비한다. 내측벽은 후방벽(11), 좌측벽(12), 전방벽(13), 우측벽(14), 및 바닥벽(15)으로 형성된다. 주요 배수관 구멍(16, primary drain hole)은 바닥벽(15)에 형성된다. 바닥벽(15)은 주요 배수관 구멍(16)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진다.
비누그릇(20)은 전방벽(13)에 함몰된다. 비누그릇(20)은 전방벽(13)에 있는 개구 뒤쪽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개구(20)는 사각형이고, 공동(cavity)은 직사각형 각기둥(rectangular prism)이다. 공동 벽(cavity wall)은 비누그릇(20)의 공동을 한정하도록 전방벽(13)에 함몰된다. 공동 벽은 좌측 비누그릇 벽(22)과, 우측 비누그릇 벽(24)과, 비누그릇 상부(25), 및 비누그릇 후부(26)로 형성된다.
비누그릇(20)의 크기는 전형적으로, 0.1 kg 크기의 비누막대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크다. 비누그릇 후부(26)는 바람직하게는 십 센티미터(10cm) 폭을 갖는다. 우측 비누그릇 벽(24) 및 좌측 비누그릇 벽(22)은 바람직하게는 팔 센티미터(8cm) 깊이를 갖는다. 비누그릇 후부(26), 우측 비누그릇 벽(24), 및 좌측 비누그릇 벽은 바람직하게는 오 센티미터(5cm) 높이를 갖는다. 압입자국(23, indentation)은 장식을 위해 비누그릇 상부(25)를 따라 부가된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억류 배수관 구멍들(21, overflow drains holes)은 비누그릇 바닥(28)에 형성된다. 억류 배수관 구멍(21)은 바람직하게는, 0.1kg 비누막대의 제일작은 직경보다 더 좁다. 억류 배수관 구멍(21)은 2.5 cm 폭보다 좁고, 더 바람직하게는 3 mm 폭보다 좁다. 비누그릇 분지(27, soap dish basin)는 비누그릇 바닥(28) 밑에 형성된다. 억류 배수관(29)은 비누그릇 분지(27)를 주요 배수관 구멍(16)에 연결한다.
비누그릇 바닥(28)은 바람직하게는 천공된 금속 플레이트다. 금속 플레이트는 억류 배수관(49)이 깨끗해지도록 하기 위해서 떼어낼 수 있다.
비누그릇(20)은 바람직하게는 욕조(10)의 전방벽(13) 안에 함몰된다. 전방벽(13)은 기능적으로 사용자가 욕조에 진입하도록 움직이는 측으로 한정된다. 전방벽(13) 내에 비누그릇(20)을 놓음으로써, 비누그릇(20)은 욕조(10) 바깥으로 보이지 않게 된다.
도 6 내지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두 번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억류 배수관(41)에 연결되는, 함몰된 비누그릇(40)을 지닌 싱크대(30)를 도시한다.
도 7은 싱크대(30)를 도시한다. 싱크대(30)는 볼 형상이며, 내측 벽(35)을 포함한다. 주요 배수관 구멍(36)은 내측벽(35)의 하부에 형성된다. 조리대(50, countertop)는 싱크대(30)의 림을 넘어 배치된다. 조리대(50)는 냉수 밸브를 설치하기 위한 냉수 컷아웃(51, cutout), 온수 밸브를 설치하기 위한 온수 컷아웃(53), 및 수도꼭지를 설치하기 위한 수도꼭지 컷아웃(52)을 구비한다.
비누그릇(40)은 싱크대(30)의 내측벽(35)에 함몰된다. 비누그릇(40)은 내측벽(35) 내에 형성된 개구 뒤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비누그릇(40)의 개구는 사각형이고, 공동은 직사각형 각기둥이다. 공동벽은 비누그릇(40)의 공동을 한정하도록 싱크대(30)의 내측벽(35)에 함몰된다. 공동 벽은 좌측 비누그릇 벽(42)과, 우측 비누그릇 벽(44)과, 비누그릇 상부(45), 및 비누그릇 후부(46)로 형성된다.
비누그릇(40)의 크기는 전형적인 0.1 kg 크기의 비누막대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크다. 비누그릇 후부(46)는 바람직하게는 십 센티미터(10cm) 폭을 갖는다. 우측 비누그릇 벽(44) 및 좌측 비누그릇 벽(42)은 바람직하게는 팔 센티미터(8cm) 깊이를 갖는다. 비누그릇 후부(46), 우측 비누그릇 벽(44), 및 좌측 비누그릇 벽은 바람직하게는 오 센티미터(5cm) 높이를 갖는다. 압입자국(43)은 장식을 위해 비누그릇 상부를 따라 부가된다.
억류 배수관 구멍들(41)은 비누그릇 바닥(48)에 형성된다. 억류 배수관 구멍(41)은 바람직하게는 0.1 kg 비누 막대의 제일 작은 직경보다 더 좁다. 억류 배수관 구멍(41)은 2.5cm 폭보다 좁고, 더 바람직하게는 3mm 폭 보다 더 좁다. 비누그릇 분지(47)는 비누그릇 바닥(48) 밑에 형성된다. 억류 배수관(49)은 비누그릇 분지(47)를 주요 배수관(36)에 연결한다.
비누그릇 바닥(48)은 바람직하게는 천공된 금속 플레이트다. 금속 플레이트는 억류 배수관(49)이 깨끗해지도록 하기 위해서 제거될 수 있다.
비누그릇(40)은 바람직하게는 싱크대(30)의 전방벽 안에 함몰된다. 싱크대의 후부는 냉수 컷아웃(51), 수도꼭지 컷아웃(52) 및 온수 컷아웃(53)이 위치되는 곳이다. 비누그릇(40)을 싱크대(30)의 전방 내에 놓음으로써, 비누그릇(40)은 싱크대(30)의 전방으로부터 보이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예시들이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시되어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 본 발명에 국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은 욕조 및 싱크대의 제조에 적용 가능하다.
10 : 욕조 11 ~ 15 : 내측벽
16 : 배수관 구멍
20 : 비누그릇 21 : 억류 배수관 구멍
28 : 트레이 29 : 억류 배수관

Claims (20)

  1.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베슬에 있어서,
    개구를 구비한 내측벽;
    상기 내측벽에 연결되며, 비누 막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공동을 상기 내측벽 내에 한정하기 위해 상기 개구를 둘러싸는 공동벽; 및
    액체가 밖으로 나가게 하도록 상기 공동벽에 형성되되, 상기 개구보다 적어도 한 치수 더 좁은 배수관 구멍을 포함하는 베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은 내부에 형성되는 추가 배수관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배수관 구멍은 상기 배수관 구멍보다 더 낮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 표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표면은 상기 내측벽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 표면은 수도꼭지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수도꼭지 컷아웃을 구비하고, 상기 수도꼭지 컷아웃은 상기 공동벽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직사각형 각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평평한 바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 구멍은 상기 평평한 바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동 내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관 구멍을 덮는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베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그 안에 형성되는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억류 배수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슬.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상기 배수관 구멍에 대해 측방향으로(laterally) 상기 내측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액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공동벽에 복수의 배수관 구멍들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 구멍들은 상기 개구보다 적어도 한 치수가 더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슬.
  13.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베슬에 있어서,
    개구를 구비한 내측벽;
    상기 내측벽에 연결되며, 비누 막대의 크기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공동을 상기 내측벽 내에 한정하기 위해 상기 개구를 둘러싸는 공동벽; 및
    액체가 밖으로 나가게 하도록 상기 공동벽에 형성되되, 비누 막대의 크기보다 더 좁은 배수관 구멍을 포함하는 베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비누 막대의 가장 넓은 크기보다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슬.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8.3 센티미터보다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슬.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비누 막대의 가장 넓은 크기보다 더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슬.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8.3 센티미터보다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슬.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 구멍은 비누 막대의 가장 좁은 크기보다 더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슬.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 구멍은 2.5 센티미터보다 더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슬.
  20. 내부에 형성된 주요 배수관 구멍을 구비한 내측벽을 포함하는,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베슬에 있어서,
    내측벽에 형성되는 개구; 및
    상기 내측벽에 연결되며, 비누 막대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공동을 상기 내측벽 내에 한정하도록 상기 개구를 둘러싸는 공동벽을 더 포함하는 베슬.
KR1020177032645A 2015-04-15 2016-04-12 함몰된 비누그릇 및 일체형 억류 배수관을 지닌 베슬 KR201800063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87,262 US9737176B2 (en) 2015-04-15 2015-04-15 Vessel with recessed soap dish and integrated overflow drain
US14/687,262 2015-04-15
PCT/US2016/027083 WO2016168171A1 (en) 2015-04-15 2016-04-12 Vessel with recessed soap dish and integrated overflow dra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382A true KR20180006382A (ko) 2018-01-17

Family

ID=5712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645A KR20180006382A (ko) 2015-04-15 2016-04-12 함몰된 비누그릇 및 일체형 억류 배수관을 지닌 베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37176B2 (ko)
EP (1) EP3282908A4 (ko)
JP (1) JP2018514351A (ko)
KR (1) KR20180006382A (ko)
CN (1) CN107920694A (ko)
CA (1) CA2982941C (ko)
WO (1) WO20161681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156A (en) 1882-11-07 Overflow-valve for wash-basins
GB319119A (en) 1928-08-20 1929-09-19 Robert Kidston Improvements relating to baths of the ordinary bathroom type
US1821584A (en) 1929-05-24 1931-09-01 Charles F Schultis Waste and overflow fittings for lavatory wash basins, bathtubs, kitchen sinks, and the like
US2070010A (en) * 1935-09-14 1937-02-09 Pierce John B Foundation Soap dish for sinks
US2572463A (en) 1949-02-14 1951-10-23 Fine William Bathtub
BE650723A (ko) 1963-07-22 1900-01-01
US3164356A (en) 1963-11-14 1965-01-05 Zajaczkowski Walter Soap holder
JPS6096483U (ja) * 1983-12-07 1985-07-01 株式会社ほくさん 洗面ユニツト
US4719652A (en) * 1984-01-20 1988-01-19 Diamond Harvey E Recessed cavity and cover for bathtubs and the like
US4709428A (en) 1985-08-21 1987-12-01 Garcia Steven A Soap holder cover
US4791652A (en) * 1987-06-04 1988-12-13 Northern Telecom Limited Synchronization of asynchronous data signals
FR2624152B1 (fr) * 1987-12-04 1992-07-24 Dubosc Landowski Scp Appareil sanitaire a dispositif d'evacuation integre, de faible encombrement vertical, son procede de moulage et moule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JPH0617584U (ja) * 1992-08-14 1994-03-08 里士 土屋 洗面台
CA2114780A1 (en) * 1994-02-02 1995-08-03 Ernesto M. Nacar Bar soap sink wall holder
CN2260552Y (zh) * 1995-12-13 1997-08-27 李振中 小型洗澡间
JPH09285409A (ja) * 1996-04-22 1997-11-04 Yoshimoto Sangyo Kk 洗面・洗髪及びキッチンカウンター
US5669085A (en) * 1996-06-19 1997-09-23 Wilson; David W. Water-resistant multifunctional bathroom fixture
US6272699B1 (en) 2000-04-12 2001-08-14 Aaron L. Peterson Overflow drain insert
JP4617414B2 (ja) * 2000-11-20 2011-01-26 丸一株式会社 オーバーフロー装置
RU24917U1 (ru) 2002-06-07 2002-09-10 Романов Анатолий Степанович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CN2595894Y (zh) * 2002-08-28 2003-12-31 陈幸宜 安全型洗脸盆
KR101195318B1 (ko) 2009-06-19 2012-10-29 김현수 세면기
CN202143609U (zh) * 2011-07-30 2012-02-15 牟浩源 肥皂泡沫污水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82908A4 (en) 2018-12-05
US20160302623A1 (en) 2016-10-20
WO2016168171A1 (en) 2016-10-20
JP2018514351A (ja) 2018-06-07
US9737176B2 (en) 2017-08-22
CN107920694A (zh) 2018-04-17
EP3282908A1 (en) 2018-02-21
CA2982941C (en) 2019-01-15
CA2982941A1 (en)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6736A (en) Sink accessory for soaking, washing or rinsing dishes
US20090249542A1 (en) Overflow drain
KR20180006382A (ko) 함몰된 비누그릇 및 일체형 억류 배수관을 지닌 베슬
JP6503263B2 (ja) 浴室の排水構造
JP2022157352A (ja) ボウル付き槽システム
KR101475728B1 (ko) 샤워기 헤드 홀더
JP3143240U (ja) 食器洗い用スポンジ入れ
JP4351353B2 (ja) 浴室ユニットの洗い場部構造
JP2020036842A (ja) 洗面ボウル
KR102070170B1 (ko)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
JP7465125B2 (ja) 洗面台
JP4333593B2 (ja) 洗面器類の置き台
JP5418043B2 (ja) 浴室用カウンター
JP4475123B2 (ja) 凹部の浸水防止機能付き浴室
KR101479155B1 (ko) 샤워기 헤드 홀더
KR200230512Y1 (ko) 급수대
KR20230059247A (ko) 다인용 세면대
KR20140005029U (ko)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
JP2019055065A (ja) 衛生設備機器
JPH09201295A (ja) 洗面カウンター
JPH0449611B2 (ko)
JPH10179434A (ja) 洗面用ボウル
JP2001046264A (ja) 浴室内の受水カウンタ
JP2001137141A (ja) 浴 槽
ITVT20090001U1 (it) Apparecchio igienico sanitario per uso lavabo da bagno, e/o lavandino da cucina, e/o lavatoio per pann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