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279A - 폐기 광학막의 회수 방법 및 그 회수 설비 - Google Patents

폐기 광학막의 회수 방법 및 그 회수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279A
KR20180006279A KR1020170050531A KR20170050531A KR20180006279A KR 20180006279 A KR20180006279 A KR 20180006279A KR 1020170050531 A KR1020170050531 A KR 1020170050531A KR 20170050531 A KR20170050531 A KR 20170050531A KR 20180006279 A KR20180006279 A KR 20180006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solvent
solution
iodine
optica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안-푸 린
옌-니엔 첸
슈-펭 수
밍-후이 쳉
치-티엔 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미카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W105121630A external-priority patent/TWI570165B/zh
Priority claimed from TW105121628A external-priority patent/TWI588184B/zh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미카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미카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80006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 광학막 회수 방법 및 그 회수 설비를 제공한다. 본 회수 방법은먼저 폐기 광학막이 제공되며, 폐기 광학막은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를 포함하며, 제1 폴리머는 요오드를 흡착한다. 그런 다음 용제를 사용하여 제1 폴리머가 흡착한 요오드를 용해하여, 요오드 용액을 형성하며, 그 중 용제는 제2 폴리머를 용해하지 못한다. 그런 다음, 요오드 용액의 요오드 농도를 제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기 광학막의 회수 방법 및 그 회수 설비 {RECYCLING METHOD FOR DISCARDED OPTICAL FILM AND RECYCLING EQUIPMENT THEREOF}
본 발명은 광학막의 회수 방법 및 그 회수 설비와 관련되며, 특히 폐기 광학막의 회수 방법 및 그 회수 설비와 관련된다.
전통적인 광학막은 품질 불량이 검출되면, 대부분 소각 또는 매장 방식으로 처리된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 방식은 환경에 대해 손상과 부담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폐기 광학막의 재료의 낭비도 초래한다. 따라서, 새로운 광학막 회수 기술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만 특허 번호 1566846의 특허는 폐기 편광판 중의 요오드 회수 방법을 공개하고 있다. 그 주요 내용은 폐기 편광판을 알칼리성 용액에 침적시켜, 편광판이 완전히 탈색될 때까지 일정 시간을 기다린 후에, 편광판 중의 요오드 분자가 알카리성 용액에 충분히 용해되었음을 나타내면, 편광판을 꺼내 다시 알카리성 용액 중에 황산을 떨어뜨려 알칼리 용액 중의 요오드 분자가 석출되게 하고, 또한 다시 요오드 분자를 깨끗한 수산화나트륨 용액 내에 넣어, 요오드 분자가 IO3 및 I의 형태로 수산화나트륨 용액 중에 존재하게 하여(요오드와 수산화나트륨 반응 후의 생성물은 요오드화 나트륨임), 폐기 편광판에서 요오드를 회수하는 이익에 도달하는 것이다.
대만 특허 번호 1566846
본 발명이 제공하는 폐기 광학막의 회수 방법 및 그 회수 설비는, 상기 기존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라, 광학막의 회수 방법을 제시한다. 회수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폐기 광학막이 제공되며, 폐기 광학막은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를 포함하며, 제1 폴리머는 요오드를 흡착하며; 제1 용제를 사용하여 제1 폴리머가 흡착한 요오드를 용해하여, 요오드 용액을 형성하고, 그 중 제1 용제는 제2 폴리머를 용해하지 못하며; 그리고, 요오드 용액의 요오드 농도를 제고한다.
본 발명의 다른 1 실시예에 따라, 광학막의 회수 방법을 제시한다. 회수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폐기 광학막이 제공되며, 폐기 광학막은 제2 폴리머와 제3 폴리머를 포함하며; 제2 용제를 사용하여 제2 폴리머를 용해하여, 제1 폴리머 용액을 형성하고, 그 중 제2 용제는 제3 폴리머를 용해하지 못하며; 제1 폴리머 용액과 제3 용제를 혼합하여, 제2 폴리머를 석출하며, 그 중 제2 폴리머, 제2 용제 및 제3 용제는 혼합되고, 그 중 제2 용제와 제3 용제는 혼합 용액을 구성하며; 그리고, 석출된 제2 폴리머를 건조한다.
본 발명의 다른 1 실시예에 따라, 광학막의 회수 설비를 제시한다. 회수 설비는 제1 처리 탱크 및 증발기를 포함한다. 제1 처리 탱크는 제1 용제로 폐기 광학막의 제1 폴리머가 흡착하는 요오드를 용해하여, 요오드 용액을 형성하며, 그 중 제1 용제는 폐기 광학막의 제2 폴리머를 용해하지 못한다. 증발기는 요오드 용액의 요오드 농도를 제고한다.
본 발명의 다른 1 실시예에 따라, 광학막의 회수 설비를 제시한다. 회수 설비는 제2 처리 탱크, 제3 처리 탱크 및 증발기를 포함한다. 제2 처리 탱크는 제2 용제로 폐기 광학막의 제2 폴리머를 용해하여, 제1 폴리머 용액을 형성하며, 그 중 상기 제2 용제는 폐기 광학막의 제3 폴리머를 용해하지 못한다. 제3 처리 탱크는 제1 폴리머 용액과 제3 용액을 혼합하여, 제2 폴리머를 석출하며, 그 중 제2 폴리머, 제2 용제 및 제3 용제는 혼합되고, 제2 용제와 제3 용제는 혼합 용액을 구성한다. 건조기는 석출된 제2 폴리머를 건조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폐기 광학막의 회수 방법 및 그 회수 설비는, 상기 기존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방면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다음에는 바람직한 실시예와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광학막이 흡착하는 요오드의 회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폐기 광학막의 해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회수 설비의 국부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1 실시예에 따른 회수 설비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1 실시예에 따른 광학막의 제2 폴리머 및 제3 폴리머의 회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1 실시예에 따른 회수 설비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1 실시예에 따른 제2 폴리머가 반응하여 제4 폴리머로 되는 흐름도이다.
광학막은 다수의 폴리머층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들 폴리머층의 제료를 회수하여, 폐기물의 재이용을 통한 환경 보호와 원가 절감의 이익을 도달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폐기 광학막(10)이 흡착한 요오드의 회수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단계 S102에서, 도 2에 도시된 폐기 광학막(10)이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폐기 광학막(10)의 해부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폐기 광학막(10)은 편광막을 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폐기 광학막(10)(제1차 폐기물)은 제1 폴리머층(11), 2개 제1 접착층(12), 2개 제2 폴리머층(13), 2개 제2 접착층(14), 표면 처리층(15) 및 2개 제3 폴리머층(16)을 포함한다. 그 중 제2 폴리머층(13)은 제1 접착층(12)을 통과하여 제1 폴리머층(11)에 접착되며, 표면 처리층(15)은 그 중 1개 제2 폴리머층(13) 상에 형성되고 또한 제2 접착층(14)을 통과하여 그 중 1개 제3 폴리머층(16)에 접착되며, 다른 1개 제3 폴리머층(16)은 다른 1개 제2 접착층(14)을 통과하여 다른 1개 제2 폴리머층(13)에 접착된다.
재질의 경우, 1 실시예에서, 제1 폴리머층(11)은 제1 폴리머를 포함하며, 이는 요오드를 흡착한다. 1 실시예에서, 제1 폴리머층(11)은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박막이 매칭되는 이색성 색소를 흡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요오드를 이색성 색소로 하는 요오드계 편광판이다. 편광판의 형성은 통상 다음 단계를 구비한다: 스웰링 처리, 염색 처리, 스트레칭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및 건조 처리. 그 중 스트레칭 처리는 폴리비닐 알코올이 편광 작용을 구비하게 한다.
제1 접착층(12)은 수성 점착제로 만든 투명 점착층일 수 있으며, 그 중 투명 점착제의 재료는 폴리비닐 알코올 파우더를 포함한다. 또는, 제1 접착층(12)은 자외선 고체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 수지이다.
제2 폴리머층(13)은 제2 폴리머를 포함하며, 이는 예를 들면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riacetate Cellulose, TAC)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이다. 제2 접착층(14)은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자외선 고체화 접착제(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 수지) 또는 열 고체화 접착제(예를 들면 열경화 수지) 등으로 형성된다. 1 실시예에서, 제2 접착층(14)은 아크릴산 수지로 형성되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PSA)이다.
표면 처리층(15)은 제2 폴리머층(13)의 처리층이며, 이는 예를 들면 오염을 방지하는 오염 방지층, 표면에 정전 효과를 방지하는 정전 방지층,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하드 코팅층 등이다. 상기의 정전 방지층은 예를 들면 (a) 4급 암모늄염, 피리디늄, 제1차 아미노기, 제2차 아미노기, 제3차 아미노기 등 양이온기를 구비하는 각종 양이온 정전 방지제; (b) 술폰산염기, 황산염기, 인산염기, 포스포산염기 등의 음이온기를 구비하는 음이온 정전방지제; (c) 아미노산류, 아미노 황산류 등의 양성 정전 방지제; (d) 아미노 알코올류, 글리세롤류, 폴리에틸렌 글리콜류 등의 비이온 정전 방지제; (e) 상기 정전 방지제가 고분자량화되어 얻는 고분자 정전 방지제 등. 다른 1 실시예에서, 또한 제2 폴리머층(13)의 표면 상에 코로나 방전 기술로 표면에 대해 개질을 진행하여, 제2 접착층(14)과 제2 폴리머층(13) 간의 점착성을 증가할 수도 있다. 또는, 제2 폴리머층(13) 상에 간편한 접착 화학 처리를 진행하여, 제2 접착층(14)이 제2 폴리머층(13)에 쉽게 접착하게 하여, 잔여 접착제량을 감소하게 하거나 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3 폴리머층(16)은 예를 들면 이형막 또는 보호막이며, 이는 제3 폴리머를 포함하며, 이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이다.
단계 S104에서, 파쇄 기구(109)를 사용하여, 폐기 광학막(10)에 대해 파쇄를 진행하여, 비교적 큰 폐기 광학막(10)을 수편의 비교적 작은 폐기 광학막(10)으로 만들 수가 있다. 파쇄된 폐기 광학막(10)의 임의의 한 변의 변 길이는 15㎝ 보다 작으며, 또는 파쇄된 폐기 광학막(10)의 면적은 225㎠ 보다 작아, 회수 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다른 1 실시예에서, 설사 폐기 광학막(10)에 대해 파쇄를 진행하지 아니하더라도, 또는 파쇄된 폐기 광학막(10)의 임의의 한 변의 변 길이가 15㎝와 거의 같거나 크더라도, 또는 면적이 225㎠와 거의 같거나 크더라도, 본 발명 실시예의 회수 목적에는 영향이 없다.
단계 S106에서, 제1 용제로 제1 폴리머가 흡착한 요오드를 용해한다. 이 단계는 도 3에 도시된 회수 설비(100)로 완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회수 설비(100)의 국부 개략도이다.
광학막 회수 설비(100)는 제1 필터망(101), 제1 처리 탱크(102), 제2 필터망(103), 제1 밸브(104), 제1 필터(106), 제1 펌프(108), 제2 밸브(110) 및 증발기(112)를 포함한다. 이 단계에서, 폐기 광학막(10)을 제1 처리 탱크(102)에 넣고, 또한 제1 용제(S1)를 사용하여 제1 폴리머가 흡착한 요오드를 용해하여, 요오드 용액(S2)을 형성한다. 제1 용제(S1)는 예를 들면 온수, 빙초산, 수산화칼륨 용액 또는 기타 요오드가 그 안에서 용해될 수 있는 액체이며, 그 중의 온수의 온도는 약 80℃~100℃ 사이일 수 있다.
1 실시예에서, 제1 용제(S1)의 중량은 열폐기 광학막(10)의 중량의 10배(포함) 이상이며, 폐기 광학막(10)과 제1 용제(S1)를 약 80℃로 가열하고, 그리고/또는 약 5rpm~60rpm(회전수/매분) 사이의 속도로 폐기 광학막(10)과 제1 용제(S1)를 약 30분 이상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열폐기 광학막(10)의 요오드가 전부 또는 거의 전부 제1 용제(S1) 중에 녹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거의 전부"는 적어도 50%의 비율을 가리키며, 예를 들면 약 90%~99% 사이의 비율일 수 있다.
제1 폴리머와 제1 접착층(12)(그 재질은 제1 폴리머와 유사함)은 제1 용제(S1)를 흡수하고, 또한 폴리머 콜로이드(P1')를 형성할 수 있다. 폴리머 콜로이드(P1')는 연성으로 전환되므로, 폐기 광학막(10)의 제1 폴리머층(11)의 상방층 구조와 하방층 구조는 쉽게 분리되어, 제2차 폐기물(10')이 될 수 있다. 제1 용제(S1)는 제2 폴리머층(13), 제2 접착층(14), 표면 처리층(15) 및 제3 폴리머층(16)을 용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2 폴리머층(13), 제2 접착층(14), 표면 처리층(15) 및 제3 폴리머층(16)은 여전히 고체 상태를 유지한다. 결론적으로, 폐기 광학막(10)은 제1 용제(S1)의 작용 하에 요오드 용액(S2), 폴리머 콜로이드(P1') 및 제2차 폐기물(10')로 되며, 그 중의 폴리머 콜로이드(P1') 및 요오드 용액(S2)은 이 단계에서 서로 혼합되어 요오드 함유 콜로이드(S2')가 된다.
단계 S108에서, 제1 폴리머가 흡착한 요오드는 제1 용제(S1)에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용해된 후, 제2차 폐기물(10')과 요오드 함유 콜로이드(S2')를 분리할 수 있다. 요오드 함유 콜로이드(S2')의 폴리머 콜로이드(P1')와 요오드 용액(S2)은 후속 단계에서 제1 필터(106)를 통해 분리될 수 있다.
먼저 제2차 폐기물(10')과 요오드 함유 콜로이드(S2')를 분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강제 펌핑 방식을 채용하여, 제1 처리 탱크(102) 내에 배치되는 제1 필터망(101)을 사용하여 제2차 폐기물(10')과 요오드 함유 콜로이드(S2')를 분리할 수 있다. 제1 필터망(101)의 망사의 내경이 폐기 광학막(10)의 임의의 변 길이보다 작기 때문에, 제2차 폐기물(10')은 제1 필터망(101)의 저항을 받아 제1 필터(106) 내로 들어 갈 수 없으며, 반면 요오드 함유 콜로이드(S2')는 제1 필터망(101)의 망사를 통과하여 제1 필터(106) 내로 들어 갈 수 있다. 또한, 강제 펌핑의 흡입력은 제1 펌프(108) 또는 다른 펌프가 제공할 수 있다. 다른 1 실시예에서, 제1 필터망(101)은 제1 처리 탱크(102)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처리 탱크(102)와 제1 밸브(104)의 사이, 또는 제1 밸브(104)와 제1 필터(106)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단계 S109에서, 요오드 함유 콜로이드(S2')는 제1 필터(106) 내로 진입한 후, 제1 필터(106) 내에 배치된 제2 필터망(103)이 폴리머 콜로이드(P1')를 흡착하여, 폴리머 콜로이드(P1')가 제2 필터망(103)을 통과하지 못하게 한다. 그러나, 액체 상태의 요오드 용액(S2)은 제2 필터망(103)을 통과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폴리머 콜로이드(P1')와 요오드 용액(S2)을 분리할 수 있다. 1 실시예에서, 제2 필터망(103)의 망사는 5미크론과 거의 같거나 또는 작으며, 또한 5미크론보다 클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10미크론이다.
단계 S110에서, 요오드 용액(S2)이 제2 필터망(103)을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통과한 후, 제2 밸브(110)를 열어, 요오드 용액(S2)이 증발기(112)로 진입하게 하여, 요오드 용액(S2)의 요오드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제고하게 할 수 있다. 이 소정의 농도는 예를 들면 10%이며, 또한 10%보다 낮거나 또는 높을 수도 있다. 요오드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로 제고되기 때문에, 요오드의 회수 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폐기 광학막(10) 내의 요오드의 회수를 완성한다.
또한, 1 실시예에서, 요오드 용액(S2)이 증발기(112)에 진입하기 전, 냉각기(111)를 사용하여 요오드 용액(S2)을 냉각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조절 탱크(115)에서 요오드 용액(S2)의 pH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요오드 용액(S2)의 온도를 약 65℃로 냉각하고, 그리고/또는 요오드 용액(S2)의 pH를 약 10~11 사이로 조절한다. 이렇게 하여, 요오드 용액(S2)의 회수 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머 콜로이드(P1')가 제2 필터망(103)에 의해 흡착되기 때문에, 제2 필터망(103)을 통과하지 못한다. 이어서, 제1 필터(106)내에서 폴리머 콜로이드(P1')를 꺼낸 다음,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건조기(160)를 사용하여 폴리머 콜로이드(P1')를 열로 건조하여, 건조된 제1 폴리머를 획득한다. 이 시점에서, 제1 폴리머의 회수를 완성한다. 다른 1 실시예에서, 제1 필터(106) 내에서 폴리머 콜로이드(P1')를 직접 건조할 수도 있다. 회수된 제1 폴리머는 흡수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방습제, 건조제 또는 배양토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차 폐료(10')는 요오드를 포함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직접 소각할 수 있으며, 또한 제2차 폐료(10')의 재료를 회수할 수도 있다. 다음은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1 실시예에 따른 회수 설비(100)의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1 실시예에 따른 광학막(10)의 제2 폴리머 및 제3 폴리머의 회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 설비(100)는 제2 처리 탱크(114), 제3 밸브(116), 제2 필터(118), 제2 펌프(120), 제4 밸브(122), 제3 처리 탱크(124), 제5 밸브(126), 제3 필터(128), 제3 펌프(130), 제6 밸브(132), 증류탑(134), 콘덴서(136), 재가열기(138), 용제 탱크(140), 제7 밸브(142), 제4 펌프(144), 제4 필터(146), 제8 밸브(148), 용제 조절 탱크(150), 제9 밸브(152), 제5 펌프(154), 제10 밸브(156) 및 제11 밸브(158)를 더 포함한다.
단계 S202에서, 광학막이 제공되며, 이는 전술한 제2차 폐기물(10') 또는 기타 제2 폴리머 및 제3 폴리머를 포함한 광학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폴리머 또는 제3 폴리머의 원재료 막을 포함한다.
단계 S204에서, 제2 용제(S3)로 제2 폴리머를 용해하여, 제1 폴리머 용액(S4)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제2차 폐기물(10')은 제2 처리 탱크(114) 내에 넣을 수 있으며, 그 중 제2 처리 탱크(114) 내에는 제2 용제(S3)를 먼저 먼저 넣을 수 있으며, 제2 용제(S3)는 제2 폴리머층(13) 내의 제2 폴리머를 용해할 수 있지만, 제3 폴리머를 용해하지 못한다. 용해 과정에서, 제2차 폐기물(10')과 제2 용제(S3)를 약 80℃로 가열하고, 또한 약 10rpm~60rpm 사이의 속도로 제2차 폐기물(10')과 제2 용제(S3)를 45분간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제2차 폐기물(10') 내의 제2 폴리머가 제2 용제(S3) 중에 거의 또는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 1 실시예에서, 제2 용제(S3)는 예를 들면 빙초산이다. 또한 제2차 폐기물(10')과 제2 용제(S3)의 비율은 약 1:30이며, 또한 기타의 비례값일 수도 있다.
제2 용제(S3)가 제2 폴리머를 용해한 후, 제1 폴리머 용액(S4)을 형성한다. 제2 용제(S3)은 제3 폴리머 및 제2 접착층(14)을 용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3 폴리머와 제2 접착층(14)은 제3차 폐기물(P3')이 된다. 결론적으로, 단계 S204에서, 제2 용제(S3)의 작용 하에, 제2차 폐기물(10')은 제1 폴리머 용액(S4)과 제3차 폐기물(P3')로 된다.
제2차 폐기물(10') 내의 제2 폴리머는 제2 용제(S3)에 거의 또는 완전히 용해된 후, 제3 밸브(116)와 제4 밸브(122)를 열고, 또한 제2 펌프(120)의 구동 하에, 제2 처리 탱크(114) 내의 제1 폴리머 용액(S4)이 제3 밸브(116) 및 제4 밸브(122)를 통과하여, 제3 처리 탱크(124)로 흘러 나가게 한다.
단계 S206에서, 제1 폴리머 용액(S4)이 제2 처리 탱크(114)로 거의 또는 완전히 흘러 나간 후, 제2 처리 탱크(114) 내에서 제3차 폐기물(P3')을 꺼낸다. 그런 다음, 단계 S208에서, 나노 미터 등급의 무기 입자, 아크릴 유기 입자, 정전 방지제 또는 전자파 방지제 등을 제3차 폐기물(P3') 중에 넣어 제3차 폐기물(P3')의 점성을 떨어뜨린다. 그 이전에, 연마기를 사용하여 제3차 폐기물(P3')을 분말로 연마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단계 S210에서, 제3차 폐기물(P3')을 건조하여, 제3 폴리머의 회수를 완성한다. 응용 측면에서, 제3차 폐기물(P3')을 260℃의 열로 용해한 후, 다시 투명 포장 상자로 성형하여, 광학 제품 포장의 용도로 할 수 있다.
다음은 제1 폴리머 용액(S4)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처리 탱크(114)에서 유출된 제1 폴리머 용액(S4)은 제3 밸브(116)를 통해 제2 필터(118)내로 진입한다. 제2 필터(118)는 제1 폴리머 용액(S4) 내에 잔류하는 고체 형태 물질을 필터링하여, 제1 폴리머 용액(S4)의 순도를 제고할 수 있다.
단계 S212에서, 제1 폴리머 용액(S4)과 제3 용제(S5)를 혼합하여, 제2 폴리머를 석출한다. 예를 들면, 제3 처리 탱크(124) 내에 제3 용제(S5)를 먼저 넣고, 제1 폴리머 용액(S4)과 제3 용제(S5)가 혼합하게 하여, 고체 형태의 제2 폴리머를 석출할 수 있으며, 이는 과립 형상 또는 구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제4 밸브(122)를 통해 제1 폴리머 용액(S4)의 유량을 제어하여, 제1 폴리머 용액(S4)이 적정(滴定) 방식으로 제3 처리 탱크(124) 내로 진입하여 제3 용제(S5)와 혼합되게 한다. 적정 방식을 채용하기 때문에, 석출된 제2 폴리머의 순도가 높고(만약 적정 방식을 채용하지 아니한다면, 석출된 제2 폴리머는 빙초산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음), 그리고/또는 과립이 작다. 1 실시예에서, 석출된 제2 폴리머의 외경은 약 50나노미터~3mm 사이일 수 있다. 과립이 작은 제2 폴리머는 후속되는 건조 처리에 유리하다. 예를 들면, 제2 폴리머를 건조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단축된다(효율이 제고된다). 제2 폴리머를 석출한 후, 제3 처리 탱크(124) 내에는 석출된 제2 폴리머, 제2 용제(S3) 및 제3 용제(S5)가 포함되어 함께 혼합되어 있으며, 그 중 제2 용제(S3)와 제3 용제(S5)는 하나의 혼합 용액(S6)을 구성한다(후속 단계 S216~S220을 통해 혼합 용액(S)을 제2 용제(S3)와 제3 용제(S5)로 분리할 수 있으며, 이는 뒤에서 설명함). 또한, 제3 용제(S5)는 예를 들면 물, 빙초산, 알코올, 케톤, 에스테르 또는 기타 빙초산과 용해되나 제2 폴리머와는 용해되지 아니하는 액체이며, 그 중 알코올은 예를 들면 메탄올이다.
단계 S214에서, 제1 폴리머 용액(S4) 내의 제2 폴리머가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석출된 후, 석출된 제2 폴리머와 혼합 용액(S6)을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5 밸브(126)와 제6 밸브(132)를 열고, 또한 제3 펌프(130)의 구동 하에, 혼합 용액(S6)이 제3 처리 탱크(124)에서 배출되게 한다. 배출된 혼합 용액(S6)은 제3 필터(128)를 먼저 통과하여, 혼합 용액(S6) 중 잔류된 고체 형태 물질을 필터링하여, 혼합 용액(S6)의 순도를 제고할 수 있다.
단계 S216에서, 제3 펌프(130)의 구동 하에, 혼합 용액(S6)은 증류탑(134) 내로 진입하여, 제2 용제(S3)와 제3 용제(S5)를 분리한다. 제2 용제(S3)와 제3 용제(S5)의 비등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2 용제(S3)와 제3 용제(S5)를 분리할 수 있다. 제3 용제(S5)의 비등점이 제2 용제(S3)보다 낮은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단계 S218에서, 재가열기(138)를 제어하여 증류탑(134)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어, 비등점이 비교적 낮은 제3 용제(S5)가 기체 상태로 먼저 증발하게 한다. 기체 상태의 제3 용제(S5)는 콘덴서(136)를 통해 액체로 응축된 후, 용제 탱크(140) 내로 회수된다. 용제 탱크(140) 내에 저장된 제3 용제(S5)는 회수하여 다시 이용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제3 용제(S5)는 혼합 용액(S6)에서 거의 또는 완전히 증발된 후, 비등점이 비교적 높은 제2 용제(S3)를 남긴다. 제2 용제(S3)는 제2 처리 탱크(114) 내로 회수되어 재이용의 효과를 도달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처리 탱크(124) 내의 혼합 용액(S6)이 제3 처리 탱크(124) 내에서 거의 또는 완전히 배출된 후, 제5 밸브(126)를 닫아, 석출된 제2 폴리머를 처리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단계 S222에서, 제9 밸브(152)와 제10 밸브(156)를 열고, 또한 제5 펌프(154)의 구동 하에, pH 조절제(S7)를 제3 처리 탱크(124) 내로 집어 넣어, pH 조절제(S7)와 석출된 제2 폴리머가 혼합되게 하여, 제2 폴리머를 pH 중화한다. 예를 들면, 석출된 제2 폴리머의 산도가 너무 높을 때, pH 조절제(S7)는 알칼리 용액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산화칼륨은, 석출된 제2 폴리머의 산도를 낮출 수 있다.
단계 S224에서, 석출된 제2 폴리머에 대한 pH 중화 후에, 제10 밸브(156)를 열어, 제2 폴리머에 대한 pH 중화를 정지하고, 또한 제7 밸브(142)와 제8 밸브(148)를 열 수 있다. 또한 제4 펌프(144)의 구동 하에, 제3 처리 탱크(124) 내의 pH 조절제(S7)가 제7 밸브(142)를 통과하여 제4 필터(146) 내로 흐른다. 제4 필터(146)는 pH 조절제(S7) 중 잔류된 고체 형태 물질을 필터링하여, pH 조절제(S7)의 순도를 제고할 수 있다. 제4 펌프(144)의 구동 하에, 필터링 후의 pH 조절제(S7)는 제8 밸브(148)을 통과하여 용제 조절 탱크(150) 내로 흘러 들어가, 회수되어 재이용된다.
용제 조절 탱크(150) 내에 저장되어 있는 pH 조절제(S7)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9 밸브(152)와 제10 밸브(156)을 열고, 또한 제 5 펌프(154)의 작용 하에, 용제 조절 탱크(150) 내에 저장된 pH 조절제(S7)를 제9 밸브(152)와 제10 밸브(156)를 통해, 제3 처리 탱크(124) 내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1 밸브(158)를 선택적으로 열고 또는 닫아, pH 조절제(S7)와 용제 탱크(140)에 저장된 제3 용제(S5)의 혼합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단계 S226에서, 제3 처리 탱크(124) 내의 pH 조절제(S7)가 제3 처리 탱크(124) 내에서 용제 조절 탱크(150) 내로 거의 또는 완전히 회수된 후, 제3 처리 탱크(124) 내에서 석출된 제2 폴리머(P2)를 꺼낼 수 있으며, 그런 다음 건조기(160)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제2 폴리머(P2)의 회수를 완성한다. 1 실시예에서, 건조 조건은 예를 들면 60℃~90℃로 약 24시간 지속한다. 다른 1 실시예에서, 석출된 제2 폴리머를 제3 처리 탱크(124) 내에 보류하고, 또한 제3 처리 탱크(124) 내에서 직접 가열하여, 석출된 제2 폴리머를 건조하여, 제2 폴리머의 회수를 완성할 수 있다.
응용 측면에서, 제2 폴리머가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인 경우, 디클로로메탄 또는 클로로포름 등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를 완전히 용해할 수 있는 용제를 혼합하여 용해한 후에, 자외선 흡수제, 가소제 등 첨가제를 넣고, 다시 주조하여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박막으로 건조하거나, 또는 고온으로 용해된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를 사용하여 각종 형상의 금형에 주입하여 각종 제품,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레임, 자동차 운전대, 필터 등을 만들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1 실시예에 따른 회수 설비(100)의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1 실시예에 따른 제2 폴리머(P2)가 반응하여 제4 폴리머(P4)로 되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 설비(100)는 제2 처리 탱크(114), 제3 밸브(116), 제2 필터(118), 제2 펌프(120), 제4 밸브(122), 제3 처리 탱크(124), 제5 밸브(126), 제3 필터(128), 제3 펌프(130), 제6 밸브(132), 증류탑(134), 콘덴서(136), 재가열기(138), 용제 탱크(140), 제11 밸브(158) 및 건조기(160)를 포함한다.
단계 S302에서, 제2 폴리머(P2)와 제2 용제(S3)를 혼합하여, 제1 폴리머 용액(S4)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처리 탱크(114) 내에 제2 용제(S3)를 먼저 넣고, 제2 폴리머를 넣은 후, 제2 폴리머와 제2 용제(S3)를 제2 처리 탱크(114) 내에서 혼합한다. 제2 용제(S3)는 제2 폴리머를 용해하여, 제1 폴리머 용액(S4)을 형성할 수 있다. 용해 과정에서, 제2 폴리머와 제2 용제(S3)를 80℃로 가열하고 또한 제2 폴리머와 제2 용제(S3)를 45분간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제2 폴리머가 제2 용제(S3)에 거의 또는 완전히 용해되게 할 수 있다. 1 실시예에서, 제2 용제(S3)는 예를 들면 빙초산이다. 또한, 제2 폴리머(P2)와 제2 용제(S3)의 비율은 약 1:30이며, 기타의 비율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단계의 제2 처리 탱크(114)는 제1 필터망(101)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단계의 제2 폴리머(P2)는 도 5의 단계 S226의 건조 후의 제2 폴리머일 수 있으며, 또한 기타 형식으로 획득한 제2 폴리머일 수도 있다.
단계 S304에서, 제2 폴리머(P2)는 제2 용제(S3)에 거의 또는 완전히 용해되어 제1 폴리머 용액(S4)으로 된 후, 제1 폴리머 용액(S4)과 산 용액(S8)을 혼합하여, 제2 폴리머 용액(S9)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제2 처리 탱크(114) 내의 제1 폴리머 용액(S4)을 꺼내지 아니하고, 외부에서 산 용액(S8)을 제2 처리 탱크(114)에 집어 넣어, 제1 폴리머 용액(S4)과 산 용액(S8)을 혼합한다. 제1 폴리머 용액(S4)과 산 용액(S8)이 혼합된 후, 그 중의 제2 폴리머(P2)는 제4 폴리머(P4)로 에스테르화 또는 가수분해될 수 있다. 1 실시예에서, 만약 제2 폴리머(P2)가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이면, 제4 폴리머(P4)는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DAC)일 수 있으며, 사용하는 산 용액(S8)은 황산일 수 있다. 반응 전후의 화학 구조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에스테르화 또는 가수분해 과정에서, 제1 폴리머 용액(S4)과 산 용액(S8)을 약 70℃~90℃ 사이로 가열하고 또한 제1 폴리머 용액(S4)과 산 용액(S8)을 1시간 또는 이상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제1 폴리머 용액(S4) 내의 제2 폴리머(P2)가 제4 폴리머(P4)로 거의 또는 완전히 에스테르화 또는 가수분해되게 한다.
단계 S306에서, 제2 폴리머(P2)가 제4 폴리머(P4)로 거의 또는 완전히 에스테르화 또는 가수 분해된 후, 제2 처리 탱크(114) 내에서, 제2 폴리머 용액(S9)과 pH 조절제(S10)를 혼합하여, 제2 폴리머 용액(S9)을 pH 중화한다. 1 실시예에서, pH 조절제(S10)는 나트륨 아세테이트일 수 있다.
pH 중화 후, 제3 밸브(116)와 제4 밸브(122)를 열고, 또한 제2 펌프(120)의 구동 하에, 제2 폴리머 용액(S9)을 제3 밸브(116)와 제4 밸브(122)를 통과하여 제3 처리 탱크(124)로 흘러 들어가게 한다. 제2 폴리머 용액(S9)이 제3 처리 탱크(124)로 흘러 들어가기 전에, 먼저 제2 필터(118)을 통과하여, 잔류의 고체 형태 물질을 필터링하여, 제2 폴리머 용액(S9)의 순도를 제고할 수 있다.
단계 S308에서, 제2 폴리머 용액(S9)과 제3 용제(S5)를 혼합하여, 고체 형태의 제4 폴리머(P4)를 석출한다. 예를 들면, 제3 처리 탱크(124) 내에 제3 용제(S5)를 먼저 넣고, 제2 폴리머 용액(S9)과 제3 용제(S5)를 혼합하여, 고체 형태의 제4 폴리머(P4)를 석출한다. 제4 밸브(122)는 제2 폴리머 용액(S9)의 유량을 조절하여, 제2 폴리머 용액(S9)이 적정 방식으로 제3 처리 탱크(124)내로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적정 방식을 채용하기 때문에, 석출된 제4 폴리머(P4)의 순도는 높고(만약 적정 방식을 체용하지 아니하면, 석출된 제4 폴리머(P4)는 빙초산을 포함하는 용액일 수 있음), 그리고/또는 과립은 작다. 과립이 작은 제4 폴리머(P4)는 후속되는 건조 처리에서 유리하다. 예를 들면, 제4 폴리머(P4)를 건조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단축된다. 제4 폴리머(P4)를 석출한 후, 제3 처리 탱크(124)내에는 동시에 석출된 제4 폴리머(P4), 제2 용제(S3) 및 제3 용제(S5)가 포함되어 함께 혼합되며, 그 중 제2 용제(S3)와 제3 용제(S5)는 혼합 용액(S6)을 형성한다. 유사하게 전술한 단계 S216~S220을 통해 제2 용제(S3)와 제3 용제(S5)를 분리 및 회수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아니한다.
단계 S310에서, 혼합 용액(S6)이 제3 처리 탱크(124)내에서 거의 또는 완전히 배출된 후, 제3 처리 탱크(124) 내에서 석출된 제4 폴리머(P4)를 꺼내고, 그런 다음 건조기(160)를 통해 건조한다. 건조 조건은 상기 제2 폴리머(P2)와 유사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아니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 실시예의 회수 설비 및 그를 이용한 회수 방법은 폐기 광학막의 수개 층 구조의 재료를 회수하고, 또한 회수 과정에서 사용한 용제도 회수하여 재이용 가능하여, 환경 보호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1 실시예에서, 광학막은 통상 5~14층 재료가 복합되어 형성되고, 또한 수성 폴리비닐 알코올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또는 각종 가교 형식의 접착제를 사용하며, 그 복합 방식은 화학 및 물리 결합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면, 수소 결합, 반데르 발스 힘, 흡습성, 점착력 등.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수 방법을 통해, 각종 가교 형식을 파괴하여, 이들 층구조의 재료를 회수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비록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공개하였으나,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하지 아니하고, 각종 변경과 수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가 정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10 : 폐기 광학막
10' : 제2차 폐기물
11 : 제1 폴리머층
12 : 제1 접착층
13 : 제2 폴리머층
14 : 제2 접착층
15 : 표면 처리층
16 : 제3 폴리머층
100 : 회수 설비
101 : 제1 필터망
102 : 제1 처리 탱크
103 : 제2 필터망
104 : 제1 밸브
106 : 제1 필터
108 : 제1 펌프
109 : 파쇄기구
110 : 제2 밸브
111 : 냉각기
112 : 증발기
114 : 제2 처리 탱크
115 : 조절 탱크
116 : 제3 밸브
118 : 제2 필터
120 : 제2 펌프
122 : 제4 밸브
124 : 제3 처리 탱크
126 : 제5 밸브
128 : 제3 필터
130 : 제3 펌프
132 : 제6 밸브
134 : 증류탑
136 : 콘덴서
138 : 재가열기
140 : 용제 탱크
142 : 제7 밸브
144 : 제4 펌프
146 : 제4 필터
148 : 제8 밸브
150 : 용제 조절 탱크
152 : 제9 밸브
154 : 제5 펌프
156 : 제10 밸브
158 : 제11 밸브
160 : 건조기
P1' : 폴리머 콜로이드
P2 : 제2 폴리머
P3' : 제3차 폐기물
P4 : 제4 폴리머
S1 : 제1 용제
S2 : 요오드 용액
S2' : 요오드 함유 콜로이드
S3 : 제2 용제
S4 : 제1 폴리머 용액
S5 : 제3 용제
S6 : 혼합 용액
S7, S10 : pH 조절제
S8 : 산 용액
S9: 제2 폴리머 용액
S102, S104, S106, S108, S109, S110, S202, S204, S206, S208, S210, S212, S214, S216, S218, S220, S222, S302, S304, S306, S308 : 단계

Claims (13)

  1. 폐기 광학막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폐기 광학막은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폴리머는 요오드를 흡착하는 것인 단계;
    제1 용제를 사용하여 상기 제1 폴리머가 흡착한 요오드를 용해하여, 요오드 용액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용제는 상기 제2 폴리머를 용해하지 못하는 단계; 및
    상기 요오드 용액의 요오드 농도를 제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막 회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는 폴리비닐 알코올이며, 상기 제1 용제는 물, 빙초산 또는 수산화칼륨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막 회수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제를 사용하여 상기 제1 폴리머가 흡착한 요오드를 용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폴리머는 상기 제1 용제를 흡착하여 폴리머 콜로이드가 되고, 상기 폴리머 콜로이드와 상기 요오드 용액은 혼합되어 요오드 함유 콜로이드가 되며;
    상기 회수 방법은;
    상기 제2 폴리머와 상기 요오드 함유 콜로이드를 분리하는 단계; 및/ 또는,
    상기 요오드 함유 콜로이드에서 상기 폴리머 콜로이드와 상기 요오드 용액을 분리하고, 그리고 상기 폴리머 콜로이드를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막 회수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 용액의 요오드 농도를 제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요오드 용액을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요오드 용액의 pH를 10~11 사이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막 회수 방법.
  5. 폐기 광학막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폐기 광학막은 제2 폴리머와 제3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제2 용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폴리머를 용해하여, 제1 폴리머 용액을 형성하고, 그 중 상기 제2 용제는 상기 제3 폴리머를 용해하지 못하는 단계;
    상기 제1 폴리머 용액과 제3 용제를 혼합하여, 상기 제2 폴리머를 석출하며, 상기 제2 폴리머, 상기 제2 용제 및 상기 제3 용제는 혼합되고, 그 중 상기 제2 용제와 제3 용제는 혼합 용액을 구성하는 단계; 및
    석출된 상기 제2 폴리머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막 회수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는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이고, 상기 제2 용제는 빙초산이며, 및/또는 상기 제2 용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폴리머를 용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폴리머와 상기 제2 용제의 비율은 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막 회수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 폴리머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며, 상기 제3 용제는 물, 메탄올 또는 빙초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막 회수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폴리머를 용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폴리머와 상기 제2 용제를 80℃로 가열하고; 그리고,
    상기 제2 폴리머와 상기 제2 용제를 45분간 지속적으로 교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막 회수 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가 상기 제2 용제에 거의 완전히 용해된 후, 상기 회수 방법은;
    상기 제3 폴리머의 점성을 낮추고, 그리고 상기 제3 폴리머를 건조하고 및/또는 석출된 상기 제2 폴리머와 상기 혼합 용액을 분리하고, pH 조절제와 석출된 상기 제2 폴리머를 혼합하여, 상기 제2 폴리머를 pH 중화하는 단계; 및
    상기 pH 조절제를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막 회수 방법.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수 방법은 상기 혼합 용액을 증류하여, 상기 제2 용제와 상기 제3 용제를 분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막 회수 방법.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를 건조하는 단계 후, 상기 회수 방법은;
    건조 후의 상기 제2 폴리머와 상기 제2 용제를 혼합하여, 제1 폴리머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폴리머 용액과 산 용액을 혼합하여, 제2 폴리머 용액을 형성하고, 그 중 상기 제2 폴리머가 반응하여 제4 폴리머로 되게 하는 단계;
    상기 제2 폴리머 용액을 pH 중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폴리머 용액과 상기 제3 용제를 혼합하여, 상기 제4 폴리머를 석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막 회수 방법.
  12. 제1 용제로 폐기 광학막의 제1 폴리머가 흡착하는 요오드를 용해하여, 요오드 용액을 형성하는 제1 처리 탱크; 및
    상기 요오드 용액의 요오드 농도를 제고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용제는 상기 폐기 광학막의 제2 폴리머를 용해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막의 회수 설비.
  13. 제2 용제로 폐기 광학막의 제2 폴리머를 용해하여, 제1 폴리머 용액을 형성하는 제2 처리 탱크;
    상기 제1 폴리머 용액과 제3 용액을 혼합하여, 상기 제2 폴리머를 석출하는 제3 처리 탱크; 및
    석출된 제2 폴리머를 건조하는 건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용제는 폐기 광학막의 제3 폴리머를 용해하지 못하며, 상기 제2 폴리머, 상기 제2 용제 및 상기 제3 용제는 혼합되고, 상기 제2 용제와 제3 용제는 혼합 용액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막의 회수 설비.
KR1020170050531A 2016-07-07 2017-04-19 폐기 광학막의 회수 방법 및 그 회수 설비 KR201800062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5121630A TWI570165B (zh) 2016-07-07 2016-07-07 廢棄光學膜的回收方法及其回收設備
TW105121628 2016-07-07
TW105121630 2016-07-07
TW105121628A TWI588184B (zh) 2016-07-07 2016-07-07 廢棄光學膜的回收方法及其回收設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279A true KR20180006279A (ko) 2018-01-17

Family

ID=60945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531A KR20180006279A (ko) 2016-07-07 2017-04-19 폐기 광학막의 회수 방법 및 그 회수 설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8003003A (ko)
KR (1) KR201800062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22001A (zh) 2021-11-29 2023-07-14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废偏光板回收系统与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9005A (ja) * 2002-11-05 2004-06-17 Toray Ind Inc 積層フィルムのリサイクル方法およびリサイクル製品
JP4953751B2 (ja) * 2006-10-11 2012-06-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からの高分子の回収方法、ならびに再生高分子フィルム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5083778B2 (ja) * 2009-09-02 2012-11-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エステルの回収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03003A (ja)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rner et al. Dynamic microcapsules with rapid and reversible permeability switching
TWI735449B (zh) 偏光膜製造用聚乙烯醇系樹脂及其製造方法、聚乙烯醇系薄膜及其製造方法、及偏光膜
KR102349239B1 (ko) 수지 조성물, 필름, 편광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비스형 지환 카르도페놀 화합물
Zhang et al. Preparation of transparent anti-pollution cellulose carbamate regenerated cellulose membrane with high separation ability
KR101407616B1 (ko) 편광필름 제조 공정 폐액으로부터 고순도의 요오드화 칼륨과 붕소화합물을 회수하는 방법
KR20180006279A (ko) 폐기 광학막의 회수 방법 및 그 회수 설비
KR20090109264A (ko) 편광필름 제조용 폐액으로부터 염색액을 회수하는 방법 및회수된 염색액을 이용한 편광필름의 제조방법
TWI570165B (zh) 廢棄光學膜的回收方法及其回收設備
CN108359126A (zh) 一种聚对苯二甲酸乙二醇酯保护膜废料的脱胶回收方法
TWI588184B (zh) 廢棄光學膜的回收方法及其回收設備
KR101224162B1 (ko) 편광필름 폐액중의 요오드화칼륨 회수방법
KR101013602B1 (ko) 폐액에서 요오드화칼륨을 회수하는 방법
CN103408421B (zh) 对苯二甲酸的提纯方法
CN106891453A (zh) 废弃光学膜的回收方法及其回收设备
KR20100050256A (ko) 폐액에서 요오드화칼륨을 회수하는 방법
CN105367415B (zh) 一种废旧pet材料化学法回收循环再利用系统
EP3384326B1 (en) Structured film laminate with antistatic compositions embedded therein
TW201501826A (zh) 偏光板回收方法(一)
TWI789885B (zh) 利用離子液體改善回收型對苯二甲酸乙二醇酯的色相的方法
TWI462786B (zh) 偏光板回收方法
JP2011506702A (ja) ドーピングカプセル、そのドーピングカプセルを含む複合系、および、それの利用方法
JP2004155191A (ja) ポリマー溶液の濾過方法及び製造方法,溶媒の調製方法,ポリマーフイルムの製造方法並びに溶媒の水素イオン濃度測定方法
JP3994622B2 (ja) セルロースエステルの回収方法
JP4485045B2 (ja) 延伸加工用ビニルアルコール系重合体フィルムの製造法
JP2008081653A (ja)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の回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