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455A - 충격흡수성능을 가지는 하이트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성능을 가지는 하이트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455A
KR20180004455A KR1020160084020A KR20160084020A KR20180004455A KR 20180004455 A KR20180004455 A KR 20180004455A KR 1020160084020 A KR1020160084020 A KR 1020160084020A KR 20160084020 A KR20160084020 A KR 20160084020A KR 20180004455 A KR20180004455 A KR 20180004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ink
cushion
heigh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7128B1 (ko
Inventor
김길주
유종문
김태형
손병선
윤준영
정찬호
김승현
나선채
최병용
허준열
유엄석
장재용
마인하드 비르헨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포레시아오토모티브시팅코리아 유한회사
현대다이모스(주)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포레시아오토모티브시팅코리아 유한회사, 현대다이모스(주),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4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128B1/ko
Publication of KR20180004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5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트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구성 및 강도가 충족될 수 있고 동작시 발생하는 이음의 최소화가 가능하면서도 경량화와 함께 충돌시 자체 충격흡수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하이트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섹터 기어 형태로 일측 주연부에 치들이 형성되어 구성된 기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기어부가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에 물려있는 상태에서 타측이 쿠션 사이드 멤버에 연결된 쿠션 파이프와 결합되며, 정해진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부가 시트쿠션 하측의 고정요소에 힌지 결합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하이트 링크에 있어서, 상기 일측 주연부를 따라 구비된 기어부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고, 상기 하이트 링크의 나머지 부위인 링크부는 상기 기어부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하이트 링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충격흡수성능을 가지는 하이트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SEAT HEIGHT ADJUST APPARATUS AND HEIGHT LINK THEREOF}
본 발명은 하이트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구성 및 강도가 우수하고 동작시 발생하는 이음이 최소화될 수 있으면서도 경량화와 함께 충돌시 자체적인 충격흡수성능을 나타냄으로써 주변 부품의 변형량을 줄일 수 있는 하이트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실내의 앞쪽과 뒤쪽에 설치된 운전석 및 조수석, 동승석(후석)의 좌석의자인 시트에는 탑승객의 편안함을 위해 여러 가지의 편의장치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탑승객이 체형에 따라 시트를 전후로 이동시켜 시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전후 위치 조절 기능과 더불어, 시트의 등받이(시트백)에 대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리클라이닝 기능 등이 구비된다.
이에 더하여 탑승객이 자신의 체형에 맞게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시트를 승강 이동시키는 시트 높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편의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트 위치 조절 장치, 리클라이닝 장치, 시트 높이 조절 장치가 레버 등의 수조작에 의해서가 아닌 모터를 구동원으로 사용하여 동작하는 전동식 장치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편의장치 중 시트 높이 조절 장치는 모터의 회전동력을 기어 및 링크 수단이 전달받아 동작하면 링크 수단이 쿠션 파이프를 통해 시트쿠션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구동원이 되는 모터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높이 조절 장치는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미도시),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12), 구동기어(12)에 물려있는 하이트 링크(20), 및 시트쿠션 측,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쿠션의 쿠션 사이드 멤버(31)에 설치되어 하이트 링크(20)가 결합되는 쿠션 파이프(32)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터(도 3에서 도면부호 10임)는 시트쿠션의 쿠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다.
구동기어(12)는 시트쿠션의 쿠션 프레임을 구성하는 쿠션 사이드 멤버(3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모터 구동축과 기어장치(도 3에서 도면부호 11임)를 통해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쿠션 사이드 멤버(31)는 시트쿠션에서 좌우 양측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부재로서, 시트쿠션을 지지하는 부재이므로 쿠션 사이드 멤버(31)가 상하로 이동될 경우 시트쿠션 전체가 상하로 이동하여 높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하이트 링크(20)는 일측이 섹터 기어 형태로 제작된 것으로, 일측에 주연부를 따라 기어 치들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기어부(21)가 구비되고, 이 하이트 링크(20)의 기어부(21)가 구동기어(12)에 물려있는바, 구동기어(12)의 회전력이 기어부(21)를 통해 하이트 링크(20)로 전달된다.
하이트 링크(20)는 타측에 돌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부(23)를 가지며, 하이트 링크(20)의 지지부(23)는 시트쿠션 하측의 고정요소인 시트레일(41)에 브라켓(42)을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하이트 링크(20)의 또 다른 타측은 좌우 양측의 쿠션 사이드 멤버(31) 사이를 연결하는 쿠션 파이프(32)와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쿠션 사이드 멤버(31)에는 구동기어(12)와 쿠션 파이프(32) 사이에 이들 구동기어(12) 및 쿠션 파이프(32)와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가이드용 돌출부(33)가 설치된다.
이때, 하이트 링크(20)에는 호(弧)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홀(24)이 구비되는데, 쿠션 사이드 멤버(31)의 가이드용 돌출부(33)가 하이트 링크(20)의 가이드 홀(24)에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모터의 회전동력으로 구동기어(12)가 회전되면, 기어부(21)를 통해 구동기어(12)에 치합되어 있는 하이트 링크(20)가 동력을 전달받아 지지부(23)의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이에 쿠션 파이프(32)가 하이트 링크(20)에 의해 밀리거나 당겨지면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쿠션 파이프(32)의 상하 이동으로 쿠션 사이드 멤버(31)가 상하로 이동하고, 이로써 시트쿠션 전체가 상하로 이동하여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이트 링크(20)는 구동기어(1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섹터 기어 형태의 부재로서, 구동기어(12)와 항상 물려있는 상태로 회전동작을 하므로 두께가 두껍고 강도가 강해야만 내구성은 물론 충돌성능의 강건화, 이음(noise) 발생 등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하이트 링크는 두껍고 강할수록 그 자체의 충격흡수성능은 나빠지므로 충돌이 발생할 경우 하이트 링크를 통해 다른 부품으로 전달되는 충격량 또한 커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경량화에도 불리한 조건이 된다.
도 2는 종래의 하이트 링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하이트 링크의 두께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이트 링크(20)가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구동기어와 항상 물려있는 상태로 동작하는 부품이므로 내구성 및 기어 물림부(즉, 기어부)의 강성 등을 고려하여 전체의 두께가 일정하면서 두껍게 되어 있다.
또한, 하이트 링크(20)의 두께가 커서 기어부(21)가 구동기어(12)에 물려있는 상태로 구동기어(12)와의 물림량이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분히 클 경우, 기어 내구성, 충돌 강도, 이음 등의 측면은 우수해지나 중량 측면에서 불리해진다.
이러한 구조에서 충돌 발생시에는 자체 충격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하이트 링크(20)를 통해 다른 부품으로 전달되는 충격량이 커지게 된다.
특히, 하이트 링크(20)의 두께가 두껍고 강할수록 자체 충격흡수성능을 가지지 못하므로, 충돌시 하이트 링크(20)의 변형은 발생하지 않지만, 주변 부품, 특히 쿠션 사이드 멤버(31)나 시트백, 시트쿠션 등의 부품에 충격량이 그대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부품의 변형이 크게 발생할 수 있는데, 쿠션 사이드 멤버(31)가 급격히 꺾이는 등의 큰 변형이 발생할 경우 승객의 다리부분에 심각한 상해를 줄 수 있다.
반면, 하이트 링크(20)의 두께가 작아서(전체 두께가 슬림화됨)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기어(12)와의 물림량이 부족할 경우, 경량화는 가능해지지만 내구성, 충돌 강도, 이음 측면에서 미흡함을 나타내게 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9934(2014.7.1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0461호(2015.8.3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내구성 및 강도가 충족될 수 있고 동작시 발생하는 이음의 최소화가 가능하면서도 경량화와 함께 충돌시 자체 충격흡수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하이트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섹터 기어 형태로 일측 주연부에 치들이 형성되어 구성된 기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기어부가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에 물려있는 상태에서 타측이 쿠션 사이드 멤버에 연결된 쿠션 파이프와 결합되며, 정해진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부가 시트쿠션 하측의 고정요소에 힌지 결합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하이트 링크에 있어서, 상기 일측 주연부를 따라 구비된 기어부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고, 상기 하이트 링크의 나머지 부위인 링크부는 상기 기어부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하이트 링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쿠션 사이드 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 쿠션 사이드 멤버에 설치된 쿠션 파이프; 및 섹터 기어 형태로 일측 주연부에 치들이 형성되어 구성된 기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기어부가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에 물려있는 상태에서 타측이 쿠션 파이프에 결합되며, 정해진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부가 시트쿠션 하측의 고정요소에 힌지 결합되는 하이트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트 링크는, 상기 일측 주연부를 따라 구비된 기어부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고, 상기 하이트 링크의 나머지 부위인 링크부는 상기 기어부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하이트 링크에 의하면, 구동기어와 물려있게 되는 물림부(즉, 기어부)의 두께를 크게 하면서 나머지 부위는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한 슬림화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물림부의 내구성 및 강도는 충족하면서도 경량화와 함께 차량 충돌시 하이트 링크가 자체 충격흡수성능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충돌시 자체 변형 및 충격흡수를 통해 쿠션 사이드 멤버, 시트백, 시트쿠션 등의 주변 부품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줄일 수 있고, 결국 주변 부품의 변형량을 줄일 수 있는바, 승객의 상해 정도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하이트 링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하이트 링크의 두께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높이 조절 장치 및 그 하이트 링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링크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장치에 의해 시트쿠션이 최하단에 위치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상기와 같은 하이트 링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충돌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높이 조절 장치 및 그 하이트 링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링크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4에서 구동원이 되는 모터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모터에 대해서는 종래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으므로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높이 조절 장치는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도 3에서 도면부호 10임),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12), 구동기어(12)에 물려있는 하이트 링크(20), 및 시트쿠션 측 멤버, 즉 쿠션 사이드 멤버(31)에 설치되어 하이트 링크(20)가 결합되는 쿠션 파이프(32)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터는 시트쿠션 측에 고정 설치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쿠션의 쿠션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는 쿠션 사이드 멤버(31)에 고정 설치된다.
구동기어(12)는 시트쿠션의 쿠션 사이드 멤버(3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모터 구동축과 기어장치(도 3에서 도면부호 11임)를 통해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쿠션 사이드 멤버(31)는 시트쿠션의 쿠션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부재로서,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므로 한 쌍의 쿠션 사이드 멤버(31)가 설치된다.
이러한 쿠션 사이드 멤버(31)를 포함하는 쿠션 프레임은 시트쿠션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므로 쿠션 사이드 멤버(31)가 상하로 이동될 경우 시트쿠션 전체가 상하로 이동되어 높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하이트 링크(20)는 일측이 섹터 기어 형태로 제작된 것으로, 일측에 주연부를 따라 기어 치들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기어부(21)가 구비되고, 이 하이트 링크(20)의 기어부(21)가 구동기어(12)에 물려있는바, 구동기어(12)의 회전력이 기어부(21)를 통해 하이트 링크(20)로 전달된다.
또한, 하이트 링크(20)는 타측에 정해진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부(23)를 가지며, 하이트 링크(20)의 지지부(23)는 시트쿠션 하측의 고정요소인 시트레일(4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때, 시트레일(41)에 브라켓(42)이 고정 설치되고, 이 브라켓(42)에 하이트 링크(20)의 지지부(23)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이트 링크(20)의 또 다른 타측은 좌우 양측의 쿠션 사이드 멤버(31) 사이를 연결하는 쿠션 파이프(32)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쿠션 파이프(32)는 좌우 양측 한 쌍의 쿠션 사이드 멤버(31) 사이를 연결하는 파이프로서, 쿠션 파이프(32)의 양단부가 각각의 쿠션 사이드 멤버(31)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각 하이트 링크(20)의 홀(25)에 쿠션 파이프(32)가 관통 삽입되어 결합되며, 쿠션 파이프(32)와 하이트 링크(20) 사이는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완전 고정된다.
또한, 쿠션 사이드 멤버(31)에는 구동기어(12)와 쿠션 파이프(32) 사이에 이들 구동기어(12) 및 쿠션 파이프(32)와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가이드용 돌출부(33)가 설치된다.
이때, 하이트 링크(20)에는 호(弧)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홀(24)이 구비되는데, 쿠션 사이드 멤버(31)의 가이드용 돌출부(33)가 하이트 링크(20)의 가이드 홀(24)에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모터의 회전동력으로 구동기어(12)가 회전되면, 기어부(21)를 통해 구동기어(12)에 치합되어 있는 하이트 링크(20)가 동력을 전달받아 지지부(23)의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이에 쿠션 파이프(32)가 하이트 링크(20)에 의해 밀리거나 당겨지면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쿠션 파이프(32)의 상하 이동으로 쿠션 사이드 멤버(31)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써 시트쿠션 전체가 상하로 이동하여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하이트 링크(20)에서 구동기어(12)와 물려있을 수 있도록 치가 형성된 일측 가장자리 부위(주연부)를 기어부(21)라 할 때, 이 기어부(21)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 즉 상기 지지부(23)를 포함하여 쿠션 파이프(32) 및 가이드용 돌출부(33)가 결합되어 있는 부위를 포함하는 하이트 링크(20)의 나머지 부위를 링크부(22)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4 및 도 5a,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이트 링크(20)에서 기어 물림부가 되는 기어부(21)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고, 나머지 부위인 링크부(22)의 경우 충격흡수 및 경량화를 위해 기어부(21)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하여 슬림화된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하이트 링크(20)에서는 기어부(21) 및 그 나머지 부위인 링크부(22)의 모든 두께를 5 mm 이상으로 형성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링크(20)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들이 형성된 기어부(21)만 5 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나머지 부위인 링크부(22)의 경우 기어부 두께의 50% ~ 80%의 두께를 가지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하이트 링크(20)는 구동기어(12)가 물리는 부분, 즉 기어부(21)의 내구성 및 강도 향상을 위해 전체 두께를 일정 두께인 5 mm 이상으로 하였으나, 이 경우 두께가 두꺼워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게 된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링크(20)의 경우, 충분한 내구성 및 강도가 요구되는 기어부(21)의 두께만을 5 mm 이상으로 두껍게 하고, 나머지 링크부(22)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얇게 함으로써, 차량 충돌 등으로 인해 충격이 가해질 경우 적절히 자체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링크부(22)는 기어부 두께의 50% ~ 80%의 두께를 가지도록 하는데, 만약 50% 미만일 경우 동력을 전달하는 링크수단으로서의 충분한 강성 확보가 어려워지고, 80%를 초과할 경우 원하는 만큼의 적절한 충격흡수 및 변형을 나타낼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강성 확보와 동시에 경량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링크부(22)의 두께가 기어부 두께의 80%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크부(22)에서도 시트쿠션 하측의 고정요소인 시트레일(41)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23)는 일측으로 돌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바, 돌출이 시작되는 부위이면서 기어부(21)와의 경계가 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일정 구간의 목 부위(28)의 경우 다른 구간의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한다.
이는 충돌시에 목 부위(28)의 변형을 유도하여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목 부위(28)는 차량의 후방 충돌시 변형되면서 시트백의 백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흡수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이트 링크(20)의 지지부(23) 일측에 스토퍼(27)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스토퍼(27)로 인해 지지부(23)가 목 부위(28)에서 폭이 축소된 형상을 가지게 된다.
모터에 의해 구동기어(1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섹터 기어, 즉 하이트 링크(20)의 기어부(21)가 구동기어(12)에 맞물려있기 때문에, 구동기어(12)에 의해 하이트 링크(20) 전체가 지지부(23)의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세워지고, 이때 구동기어(12)는 하이트 링크(20)의 기어부(21)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시트레일(41)에서 하이트 링크(20)를 통해 쿠션 사이드 멤버(31)를 상방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시트쿠션 전체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시트쿠션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반면, 모터가 역회전되어 구동기어(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하이트 기어 전체가 구동기어(12)에 의해 반대로 회전되어 다시 눕혀지면서 구동기어(12)는 하이트 링크(20)의 기어부(21)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구동기어(12)가 하이트 링크(20)의 기어부(21)에서 가장 하측에 물려있게 될 때 시트쿠션이 최하단 높이에 있게 되고, 이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기어(12)가 스토퍼(27)에 접촉한 상태로 지지된다.
결국, 하이트 링크(20)의 기어부(21)의 치와 스토퍼(27)가 구동기어(12)를 양측에서 잡아주는 형태가 되어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해지며, 이러한 상태에서 충돌 성능의 강건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고, 충돌시 의도된 지지부(23)의 목 부위(28)에서만 영구 변형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상기와 같은 하이트 링크(2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하이트 링크의 외형을 가지는 판재(20a)로 만들어준 뒤 기어부에 해당하는 부위(29)를 벤딩한다.
이후 가이드 홀(24), 그리고 하이트 링크의 조립 홀로서 쿠션 파이프(32)와 결합되는 홀(25) 및 힌지 홀(26) 등을 가공하고, 이어 기어부(21)에 해당하는 벤딩 부위(29)를 가열한 뒤 단조(열간 단조)를 통해 기어부의 치형을 정밀 가공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벤딩 상태에서 단조를 실시함으로써 기어부(21)만 두껍게 하고 나머지 링크부(22)는 두께를 얇게 하여 슬림화 및 경량화, 재료비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하이트 링크(20)를 적용함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후방 충돌시 충격 하중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미로 하여금 시트백(1)에 내장된 백 프레임을 뒤로 타격하도록 하는데, 그 후 백 프레임이 뒤로 더 이상 변형되지 않으면 시트쿠션(2)의 쿠션 프레임이 반시계 방향으로 하중을 받게 되고, 이에 후방 및 하방으로 쿠션 프레임의 변형이 발생한다.
후방 충돌시 시트백(1)과 시트쿠션(2)에 후방 및 하방으로 큰 충격이 발생하면 시트백(1)이 뒤로 크게 넘어가거나 쿠션 프레임이 크게 변형되어 탑승객의 상해치가 커지게 된다.
종래의 하이트 링크의 경우, 그 전체가 동일한 두께로 하여 두껍고 지지부의 폭이 크기 때문에 충격흡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반면, 본 발명의 하이트 링크(20)의 경우, 기어부(21)의 두께만 두껍고 나머지 링크부(22)의 두께는 얇을 뿐만 아니라, 지지부(23)의 목 부위(28) 폭이 작기 때문에 충돌시 목 부위(28) 등에서 영구 변형이 발생하고, 이에 충격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후방 충돌시 시트백(1)과 시트쿠션(2)에 후방 및 하방으로 충격하중이 작용함으로써 지지부(23)에서 영구 변형이 발생하고, 이에 영구 변형 발생 부위가 충격을 흡수하는 부위가 되는 것이다.
이때, 하이트 링크(20)에만 영구 변형이 발생하여 시트백(1)과 시트쿠션(2)에 전달되는 하중이 크게 줄어들게 되며, 하이트 링크(20)의 변형으로 시트백(1)과 시트쿠션(2)에 전달될 수 있는 하중이 흡수될 수 있다.
이에 시트백(1)의 변형 각도를 줄일 수 있고, 시트백의 좌우 비틀림 각도를 줄일 수 있으며, 목 상해 저감 및 쿠션 프레임의 과다 변형 방지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하이트 링크(20)는 충돌시 자체 변형 및 충격흡수를 통해 쿠션 사이드 멤버(31), 시트쿠션(2), 시트백(1) 등의 주변 부품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줄일 수 있고, 결국 주변 부품의 변형량을 줄여 그 변형으로 인한 승객의 상해 발생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시트백 2 : 시트쿠션
10 : 모터 11 : 기어장치
12 : 구동기어 20 : 하이트 링크
20a : 판재 21 : 기어부
22 : 링크부 23 : 지지부
24 : 가이드 홀 25 : 홀
26 : 힌지 홀 27 : 스토퍼
28 : 목 부위 29 : 벤딩 부위
31 : 쿠션 사이드 멤버 32: 쿠션 파이프
33 : 가이드용 돌출부 41 : 시트레일
42 : 브라켓

Claims (10)

  1. 섹터 기어 형태로 일측 주연부에 치들이 형성되어 구성된 기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기어부가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에 물려있는 상태에서 타측이 쿠션 사이드 멤버에 연결된 쿠션 파이프와 결합되며, 정해진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부가 시트쿠션 하측의 고정요소에 힌지 결합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하이트 링크에 있어서,
    상기 일측 주연부를 따라 구비된 기어부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고, 상기 하이트 링크의 나머지 부위인 링크부는 상기 기어부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하이트 링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기어부 두께의 50% ~ 80%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하이트 링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돌출이 시작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일정 구간의 목 부위가 다른 구간의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하이트 링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구동기어가 기어부의 치에 물려있는 상태로 구동기어가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하이트 링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시트쿠션이 최하단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구동기어가 기어부의 하측에 물려있게 될 때 상기 구동기어가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하이트 링크.

  6.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쿠션 사이드 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
    쿠션 사이드 멤버에 설치된 쿠션 파이프; 및
    섹터 기어 형태로 일측 주연부에 치들이 형성되어 구성된 기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기어부가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에 물려있는 상태에서 타측이 쿠션 파이프에 결합되며, 정해진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부가 시트쿠션 하측의 고정요소에 힌지 결합되는 하이트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트 링크는,
    상기 일측 주연부를 따라 구비된 기어부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고, 상기 하이트 링크의 나머지 부위인 링크부는 상기 기어부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기어부 두께의 50% ~ 80%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하이트 링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돌출이 시작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일정 구간의 목 부위가 다른 구간의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하이트 링크.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구동기어가 기어부의 치에 물려있는 상태로 구동기어가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하이트 링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시트쿠션이 최하단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구동기어가 기어부의 하측에 물려있게 될 때 상기 구동기어가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하이트 링크.
KR1020160084020A 2016-07-04 2016-07-04 충격흡수성능을 가지는 하이트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 KR101827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020A KR101827128B1 (ko) 2016-07-04 2016-07-04 충격흡수성능을 가지는 하이트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020A KR101827128B1 (ko) 2016-07-04 2016-07-04 충격흡수성능을 가지는 하이트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455A true KR20180004455A (ko) 2018-01-12
KR101827128B1 KR101827128B1 (ko) 2018-02-07

Family

ID=61001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020A KR101827128B1 (ko) 2016-07-04 2016-07-04 충격흡수성능을 가지는 하이트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1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8369A (zh) * 2018-07-18 2018-12-18 苏州频聿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可以提高安全性的航空座椅支撑支架
CN110271462A (zh) * 2018-03-16 2019-09-24 安道拓工程技术知识产权有限公司 座椅升降器结构和配备有该座椅升降器结构的车辆座椅
KR102314614B1 (ko) 2021-03-31 2021-10-20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용 시트의 리어링크 조립체와 그 제조 방법
WO2024061240A1 (zh) * 2022-09-23 2024-03-28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座椅调节机构、座椅及车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148B1 (ko) 2019-10-29 2021-07-08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 시트의 리어링크 제조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2530A (ja) * 2005-08-31 2007-03-15 Imasen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シートの上下調節装置
JP5544982B2 (ja) * 2010-03-31 2014-07-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調整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1462A (zh) * 2018-03-16 2019-09-24 安道拓工程技术知识产权有限公司 座椅升降器结构和配备有该座椅升降器结构的车辆座椅
CN109018369A (zh) * 2018-07-18 2018-12-18 苏州频聿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可以提高安全性的航空座椅支撑支架
KR102314614B1 (ko) 2021-03-31 2021-10-20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용 시트의 리어링크 조립체와 그 제조 방법
DE102022100823A1 (de) 2021-03-31 2022-10-20 Das Co., Ltd Hintere verbindungsanordnung eines fahrzeugsitze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WO2024061240A1 (zh) * 2022-09-23 2024-03-28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座椅调节机构、座椅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7128B1 (ko)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128B1 (ko) 충격흡수성능을 가지는 하이트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
US9630527B2 (en) Vehicle seat
US8708411B2 (en) Vehicle seat
US8708409B2 (en) Vehicle seat
JP5055766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0836500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US7766427B2 (en) Seat device for vehicle
KR101252201B1 (ko) 차량 시트의 목상해 방지장치
JPH1170828A (ja) 背後からの衝撃時に頸部を保護する装置が設けられた車両用座席
US8550554B2 (en) Vehicle seat
JP5153794B2 (ja) バックレスト支持機構
KR101585248B1 (ko) 다중 고정 타입 리클라이너 레버 장치
JP6614023B2 (ja) 乗物用シート
JP2015003592A (ja) 乗物用シート
JP4014905B2 (ja)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構造
JP2013067281A (ja)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
KR20150063697A (ko)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장치
JP5156697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3193496A (ja) 車両用シート高さ調整装置
JP2017202796A (ja) 乗物用シート
JP4967303B2 (ja) 車両用シートの支持構造
JP7506343B2 (ja) 乗物用シート
EP2476580A1 (en) Vehicle seat
JP2023075726A (ja) 乗物用シート
KR20180045483A (ko)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