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443A - 분자량이 상이한 히알루론산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분자량이 상이한 히알루론산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443A
KR20180003443A KR1020170080934A KR20170080934A KR20180003443A KR 20180003443 A KR20180003443 A KR 20180003443A KR 1020170080934 A KR1020170080934 A KR 1020170080934A KR 20170080934 A KR20170080934 A KR 20170080934A KR 20180003443 A KR20180003443 A KR 20180003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hyaluronic acid
cosmetic composition
hyaluronate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532B1 (ko
Inventor
백병열
김은미
황준영
임형준
안순애
김용진
김현정
강병영
이존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CN201710554370.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550750B/zh
Publication of KR20180003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자량이 상이한 여러 가지 히알루론산 성분을 동시에 포함하는 캡슐, 및 상기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캡슐 내상에 분자량이 큰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캡슐 벽재에 분자량이 작은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캡슐을, 히알루론산염이 분산되어 있는 수상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분자량이 작은 히알루론산부터 분자량이 매우 큰 고분자 히알루론산까지 동시에 함유하여 피부에 우수한 보습 및 재생 효과를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자량이 상이한 히알루론산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hyaluronic acids having different molecular weight}
본 발명은 분자량이 상이한 여러 가지 히알루론산 성분을 동시에 포함하는 캡슐, 및 상기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캡슐 내상에 분자량이 큰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캡슐 벽재에 분자량이 작은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캡슐을, 히알루론산염이 분산되어 있는 수상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분자량이 작은 히알루론산부터 분자량이 매우 큰 고분자 히알루론산까지 동시에 함유하여 피부에 우수한 보습 및 재생 효과를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히알루론산은 β-D-N-아세틸글루코사민과 β-D-글루쿠론산이 교대로 결합된 직쇄상의 고분자 다당이다. 히알루론산은 포유동물의 피하조직과 연골조직 같은 결합조직에 분포되는 것 외에, 눈의 초자체나 탯줄 등에 존재하며 연쇄구균이나 간균류의 협막 등에도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히알루론산을 얻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닭 벼슬, 탯줄 등에서 추출하는 방법과, 연쇄구균, 간균을 배양한 후 이것으로부터 추출 정제하는 방법 등이 있다.
우수한 생체적합성을 가지는 천연 히알루론산은 종간 특이성을 갖지 않고 조직이나 장기특이성을 갖지 않으며 피부의 보습력 증진, 피부 탄력 유지 및 피부 손상 시에 피부 하층부의 손상을 줄여주고 피부의 주요구성 성분인 콜라겐이 세포 사이로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도록 윤활유와 같은 역할도 한다. 또한, 히알루론산은 피부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며, 세포 재생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히알루론산은 당사슬의 길이에 따라서 분자량이 상이하며, 분자량에 따라서 작용하는 피부 부위에도 차이가 생긴다. 즉, 분자량이 작을수록 피부를 쉽게 침투할 수 있으므로, 분자량이 작은 히알루론산은 진피층에, 분자량이 큰 히알루론산은 각질층에서 작용하여, 피부 보습 및 재생력을 부여하게 된다.
한편, 천연 히알루론산을 본연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기계적 물성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체내에 존재하는 히알루로니다아제라는 효소에 의해 쉽게 분해되어 제거되기 때문에 다양한 응용에 있어 제한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천연 히알루론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유중수형(w/o) 에멀젼의 염기성 수용액 상에 존재하는 히알루론산을 화학적으로 가교시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를 제조한 바 있다(등록특허 제10-0852944호).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10-0852944호의 분자량이 큰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는 물보다 오일에 분산되어 있을 때 피부의 각질층에 고르고 용이하게 침투될 수 있는 반면에, 히알루론산염은 수용성으로 수상에 분산되어야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분자량, 화학구조, 형태가 상이한 히알루론산 성분들을 하나의 제형에 포함시킨다 하더라도, 이러한 히알루론산 성분 각각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1. 국내 등록특허 제10-0852944호(2008. 08. 19. 공고) 2. 국내 등록특허 제10-1618321호(2016. 05. 09. 공고)
본 발명자들은 피부 각질층, 표피층, 진피층에 골고루 히알루론산을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을 찾고자 하였으며,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를 캡슐의 내상에,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을 캡슐 벽재에, 수용성 히알루론산염을 캡슐 외상에 안정화시킨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여 다양한 분자량의 히알루론산을 안정적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분자량의 히알루론산 성분을 안정적으로 포함하여, 피부 침투 깊이에 따라 피부 내부의 상이한 부위에 히알루론산 성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상(oil phase)의 내상, 및 벽재로 형성되는 외막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는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로서; 상기 캡슐 내상에는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가 존재하고; 상기 캡슐 벽재에는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이 존재하는,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 및 상기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과 이 캡슐 주위의 수상에 히알루론산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캡슐 내부에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를 포함시킴으로써 유상에 수팽윤이 되지 않은 상태로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를 보존할 수 있고, 수용성인 히알루론산염은 수상에 분산시키며,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은 캡슐 벽재에 결합시킴으로써, 다양한 분자량의 히알루론산 성분을 하나의 조성물에 전부 안정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다양한 분자량의 히알루론산 성분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캡슐 외막에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 분산 상태 및 외상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내상에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를 담지한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이 세포 생장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내상에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를 담지한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을 처리한 경우의 생장 상태와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 단독의 생장 상태를 처리 후 3일 째 및 7일 째 상태를 비교한 것이다.
도 4는 내상에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를 담지한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을 처리한 경우와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 단독에 있어서 조직재생마커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이 세포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은 가수분해 세포 노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분자량의 히알루론산을 전부 포함하는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피부에 효과적으로 히알루론산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우수한 피부 보습 및 재생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가지지만, 용어의 하기 정의와 통상적인 의미가 상충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정의가 우선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성분을 말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출원인의 국내 등록특허 제10-0852944호에 게시되어 있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를 말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PEG-9 디글리시딜 에테르/히알루론산 나트륨 크로스폴리머, 부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데테르/히알루론산 나트륨 크로스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히알루론산 나트륨 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PEG-9 디글리시딜 에테르/히알루론산 나트륨 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852944호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는 구체적으로, i)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오일상 및 ii) 염기성 수용액에 히알루론산과 수용성 가교제가 용해된 수상이 혼합된 w/o 에멀전에서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로서, 상기 오일은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CEH), 도데칸(dodecane) 및 헵탄(hept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세틸 PEG/PPG-10/1 디메치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sorbitan sesquioleate), 폴리에틸렌 글리콜 (30) 디폴리히드록시 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 (30) dipolyhydroxy stearate) 및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에틸헥사노에이트(Dextrin Palmitate/Ethylhexano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수용성 가교제는 비스에폭시드로서 부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BDG)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PEGDG)임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는 피부 재생효과가 우수하며, 수상에 분산되어 있을 때에는 수팽윤이 일어나지만, 오일 또는 오일 혼합물에 분산되어 있을 때에는 수팽윤이 되지 않아 피부 흡수도가 증가하여, 보다 우수한 피부 재생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은 일반적으로 히알루론산의 가수분해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히알루론산 올리고머라고도 불리우며, 저분자, 바람직하게는 3,000~200,000Da, 더 바람직하게는 5,000~150,000Da인 히알루론산 성분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이 작아 피부 각질층을 더 깊이 침투할 수 있고, 진피층까지도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으며, 프로콜라겐 타입-1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UVB에 의한 MMP-1의 발현을 저해하여 피부에 탄력 개선, 노화 억제, 및 피부 세포의 생장 촉진 효과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히알루론산염”은 수용성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히알루론산의 염 형태를 말한다. 분자량의 범위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300,000~10,000,000Da, 더 바람직하게는 700,000~2,000,000Da 범위의 분자량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히알루론산 염의 예로는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칼륨, 히알루론산 칼슘,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히알루론산 아연, 히알루론산 코발트, 히알루론산 테트라부틸 암모늄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 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히알루론산염은 수용성 성분으로서 수분 공급 및 보습 효과가 뛰어나다.
본 발명에서는 분자량과 피부 침투력, 효능이 각기 다른 히알루론산 성분들, 즉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와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 또는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 및 히알루론산염을 하나의 제형에 포함시킴으로써, 다양한 히알루론산 성분을 동시에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내상)에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유상을 담지하고, 벽재에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이 결합되어 있는 캡슐에 관한 것이다.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는 수상의 유액(a)과, 상기 캡슐(b)의 혼합물의 형태를 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캡슐 제조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상이한 히알루론산 성분을 적절한 곳에 위치시킴으로써 조성물 내에 안정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는 수상과 완전히 분리되어 유상에서 수팽윤이 되지 않은 상태로 보존되어야 하므로, 캡슐 내부에 오일에 분산된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를 담지시킨다. 이와 반대로, 히알루론산염은 수상에 분산되어야 하므로, 외상인 수상에 분산시킨다. 또한, 캡슐의 벽재에는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을 포함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 및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이 수상에 위치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언급된 내용은 캡슐 내부의 유상에는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가 존재하고, 캡슐 벽재에는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이 존재하여야 각각의 히알루론산 성분의 피부 전달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캡슐은 바람직하게는 연질캡슐이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연질캡슐 형성에는 당업계에 공지된 캡슐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물질 및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질캡슐의 제조에 사용되는 물질로는, 콜라겐, 젤라틴, 알지네이트 등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또는 젤라틴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에 있어서 주성분으로는 콜라겐, 젤라틴, 알지네이트 등이 사용되고, 부성분으로는 아카시아 검과 같은 검류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외상인 수상은 상태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유액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심미적인 목적을 위하여 캡슐이 보일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제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외상인 수상의 점도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캡슐은 내부에 오일을 함유하고 있어, 캡슐의 비중이 1 미만으로 물보다 작아 시간 경과에 따라 캡슐이 조성물의 상부로 떠오르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캡슐이 떠오르지 않게 하면서 안정적으로 분산시키고자 한다면, 젤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수상의 점도가 5,000cps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화장료로서 피부에 대한 발림성을 고려하면 수상의 점도가 30,000cp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가 상기 범위를 넘어가게 되면, 조성물이 발림성이 좋지 않아 사용감이 떨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캡슐은 크기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1 x 102 ~ 1 x 104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5 x 102 ~ 3 x 103μm 범위의 크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은 크기를 취하고, 내부에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것을 반영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캡슐은 이하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이라 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은 물, 오일(10~40중량부), 아카시아 검(1~4중량부), 콜라겐(2~8중량부)을 이용하여 제조하며, 특히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 기법에 의해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를 담지한 마이크로 캡슐을 형성한다.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와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 나노입자의 함량은 캡슐 제조에 있어서 효능을 주기 위한 성분으로 크게 제한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 기법에 의해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를 담지한 마이크로 캡슐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코아세르베이션 기법은 양이온성 고분자와 음이온성 고분자를 이온-이온 결합에 의해 응집시키는 기술로서, 본 발명에서는 양이온성 고분자로서 콜라겐 또는 젤라틴이 사용되고, 음이온성 고분자로서 아카시아 검이 사용된다. 이때 가교제 양, 반응시간, 반응 속도 최적화에 따른 콜라겐 또는 젤라틴의 가교 반응 정도로 캡슐의 경질을 조절할 수 있다. 캡슐의 제조 공정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의 국내 등록특허 제10-1618321호를 참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캡슐의 외막에 정전기적 인력으로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을 분산시켜 최종 캡슐 산물인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캡슐을 70% 에탄올과 물로 수 차례 세척한 다음,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을 이온-이온 결합에 의해 응집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캡슐 외막에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을 결합시킨다. 캡슐 외막에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는 도 1에 나타내어져 있다. 이후, 여과와 원심분리 기법으로 적합한 크기의 캡슐만을 선별해낸다. 이때 히알루론산의 분자가 크면 캡슐 외막에 잘 결합되지 않으므로, 히알루론산 성분 중에서도 분자량이 작은 것인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최종적으로 제조한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이 수상에 분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이미지가 도 1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한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을 담지체로서 사용하게 되면, 캡슐 내상에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 외에도 천연 성분이나 다양한 오일을 담지하여 안정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는 오일 또는 오일 혼합물에 분산되어 있을 때 수상에 분산되어 있을 때보다 수팽윤이 되지 않아 피부 흡수도가 증가하는 특성을 가지므로,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에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를 담지할 수 있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의 내상에 담지한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의 경우, 세포 단독 생장의 경우와 비교하여 세포 응집에 의한 세포 괴사(cell necrosis)를 감소시키고, 콜라겐 인자 발현도 증가시켜 세포 생장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나타낸다(도 2).
또한, 내상에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를 담지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을 세포에 처리한 경우에는,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의 생장 상태와 비교하여 세포 괴사가 상당히 감소되며(도 3),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을 처리한 경우에는,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와 비교하여 조직재생마커인 Col II 마커가 약 4배의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발현된다(도 4).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의 외막(벽재)에 결합되거나, 이 외막을 구성하는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은, 이를 50μg/ml이상 함유한 배지에서 세포를 배양할 때 피부 세포 생장이 훨씬 더 잘 일어나게 하고(도 5), 콜라겐 생장 촉진과 MMP-1 생성 억제 정도가 훨씬 더 우수하게 하므로(도 6), 우수한 항노화 및 항산화 효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은 담지 가능 오일에 제한을 두지 않아 다양한 오일을 담지할 수 있으며, 크게 유용성 색소(예: 카로티노이드), 유용성 비타민(비타민 A, D, E, K), 유용성 항산화능 물질(예: 플라보노이드, BHT(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BHA(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 및 유용성 컨디셔닝제, 추출 오일(향), 지질 및 지방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을 제공하며, 상기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은 유상의 내상, 및 벽재로 형성되는 외막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며; 상기 캡슐 내상에는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가 존재하고; 상기 캡슐 벽재에는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과 이 캡슐 주위의 수상에 히알루론산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은 유상의 내상, 및 벽재로 형성되는 외막으로 이루어진 구조의 캡슐이고, 상기 캡슐 내상에는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가 존재하고, 상기 캡슐 벽재에는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이 존재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노화용, 항산화용, 피부 재생 촉진용, 피부 세포 생장 촉진용, 피부 보습용,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주름 개선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은, 바람직하게는 캡슐 내상에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의 0.001~25중량% 함유한다. 0.001중량% 미만에서는 피부 세포 생장 및 항노화 효과를 발휘할 수가 없고, 25중량% 초과에서는 화장료 조성물 내 캡슐의 중량이 50% 이하이어야 하고 동시에 캡슐 내 내상의 중량이 60% 수준임을 고려할 때 분산이 어렵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은, 바람직하게는 캡슐 벽재에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의 0.001~20중량% 함유한다. 0.001중량% 미만에서는 피부 재생 및 탄력 효과를 발휘할 수 없고, 20중량% 초과에서는 화장료 조성물 내 캡슐의 함량이 50%이하이어야 하고 동시에 캡슐 내 벽재 중량이 40% 수준임을 고려할 때 벽재의 제조가 어렵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중량% 이상의 양으로 분산되어야 한다. 함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 캡슐의 벽재에 위치하는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의 조성물 내 함량이 0.05μg/ml 미만으로 매우 소량만이 존재하게 되므로, 피부 세포 생장 및 항노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한편, 상기 내상이 담지된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중량%까지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50%를 초과하게 되면, 캡슐 벽재의 고분자 성분으로 인해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 시 때밀림 또는 다음 단계 화장품의 밀림 현상이 있을 뿐 아니라, 조성물 내 오일 성분이 다량으로 존재하게 되어 오일리한 사용감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수용성 히알루론산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0중량% 이하의 양으로, 외상인 수상에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피부에 도포 시 히알루론산 특유의 미끌거림으로 인하여 끈적임이 남게 되고 다음 단계 화장이 밀릴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오일, 보습제, 색소, 향, 방부제 및 점증제 등의 보조 성분을 적정량 함유할 수 있다. 또한,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젤, 로션 등의 기초 화장료 조성물; 헤어토닉, 헤어에센스 또는 헤어트리트먼트 등의 양모제와 같은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그 밖의 의약품 및 의약부외품 등으로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참고예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6의 제조
1.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의 준비
0.1N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에 히알루론산(수평균분자량 1,500,000)을 녹이고, PEGDA 가교제를 첨가해 교반기를 통해 용해시켜 수상을 만들었다. 유상으로는 물과 섞이지 않는 흐름성 있는 오일, 바람직하게는 파라핀계,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을 사용하였다. 이때, 본 출원인의 국내 등록특허 제10-0852944내용과 같이 W/O 계면활성제로는 세틸 PEG/PPG-10/1 디메치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sorbitan sesquioleate)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30) 디폴리히드록시 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 (30) dipolyhydroxy stearate)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에틸헥사노에이트(Dextrin Palmitate/Ethylhexanoat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에틸헥사노에이트(Dextrin Palmitate/Ethylhexanoate)를 사용하였다. 유상에 수상을 천천히 첨가하면서 유화기로 혼합교반시켜 W/O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W/O 에멀젼을 70℃ ~ 80℃에서 프리큐어링(pre-curing) 과정을 거치고 에멀젼 합일을 막기 위해 상온에서 하루 이상 교반시켰다. W/O 에멀젼의 수용액상을 중화시키기 위하여,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과 동량의 0.1N HCl을 넣은 다음 아세톤을 넣고, 상온에서 W/O 에멀젼을 교반시키면서 가교반응을 진행하였다. 1차 침전 및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고 가교한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를 얻기 위해 아세톤 수용액으로 여러 번 세척하여 파우더를 얻었다. 이후, 80℃ ~ 90℃ 정도에서 감압 증류하여 최종 수득물인 정제된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를 얻었다.
2.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의 제조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은 물, 오일, 가교된 히알루론산 나노입자(캡슐 내부), 아카시아 검, 콜라겐을 코아세르베이션 기법으로 제조하며 캡슐 외막에 정전기적인력으로 가수분해 히알루론산을 분산시켜 최종 캡슐 산물을 제조한다. 상기 코아세르베이션 기법은 양이온성 고분자와 음이온성 고분자를 이온-이온 결합에 의해 응집하는 기술로 양이온성 고분자로는 젤라틴 또는 콜라겐이 사용되고 음이온성 고분자로는 아카시아 검과 가수분해 히알루론산이 사용되었다. 이때 콜라겐 가교반응정도로(가교제 양, 반응시간, 반응속도 최적화) 캡슐의 경질을 조절한다(등록 특허 10-1618321 참고).
아카시아 검 1g과 콜라겐 4.2g을 물 34g에 넣고 50℃ 로 가온하여 완전히 녹이고 유용성 성분 55g 에 상기 1에서 명시된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 입자를 분산시켰다. 유상으로는 물과 섞이지 않는 흐름성 있는 오일, 바람직하게는 파라핀계,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을 포함한 천연오일이나 유용성 효능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하이드로카본계오일과 천연오일을 복합 사용하였다.
이후 아카시아 검과 콜라겐 수용액 및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 분산액을 혼합하여, 호모 믹서로 1000rpm으로 3분 동안 유화한 후, 40℃에서 두시간 가량 약 300rpm으로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글루타알데하이드 0.05g을 이 혼합액에 투입하여 벽재를 가교하고, 한 시간 동안 서서히 교반하였다. 제조된 캡슐을 70% 에탄올과 물로 수 차례 가교제를 씻어주고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을 이온-이온 결합에 의해 캡슐 외막에 결합시켜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을 제조하였다. 이후 제조된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을 5 x 102 ~ 3 x 103μm 사이즈로 여과한 후, 수분산 하여 보관하였다.
3.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6을 제조하였다.
1) 상기 표 1의 원료 1~19을 용해 및 분산하여 가용화 젤 파트를 제조한다
2) 캡슐원료 20을 가용화 젤 파트에 패들믹싱으로 분산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순번 원료명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1 70.54 79.64 50.54 29.54 70.54265 70.58 70.57
2 디소듐 EDTA 0.02 0.02 0.02 0.02 0.02 0.02 0.02
3 아데노신 0.04 0.04 0.04 0.04 0.04 0.04 0.04
4 베타인 2.00 2.00 2.00 2.00 2.00 2.00 2.00
5 글리세린(농축) 2.00 2.00 2.00 2.00 2.00 2.00 2.00
6 글리세릴 폴리메타크릴레이트*물 0.50 0.50 0.50 0.50 0.50 0.50 0.50
7 프로판디올 5.00 5.00 5.00 5.00 5.00 5.00 5.00
8 PEG/PPG-17/6 코폴리머 2.00 2.00 2.00 2.00 2.00 2.00 2.00
9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 0.08 0.08 0.08 0.08 0.08 0.08 0.05
10 히알루론산 나트륨 1.00 1.00 21.00 1.00 1.00 1.00 1.00
11 에탄올 5.00 5.00 5.00 5.00 5.00 5.00 5.00
12 PEG-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0.30 0.30 0.30 0.30 0.30 0.30 0.30
13 비스-PEG-18 메틸 에테르 디메틸 실란 0.40 0.40 0.40 0.40 0.40 0.40 0.40
14 PEG-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0.30 0.30 0.30 0.30 0.30 0.30 0.30
15 페녹시에탄올 0.25 0.25 0.25 0.25 0.25 0.25 0.25
16 에틸헥실글리세린 0.05 0.05 0.05 0.05 0.05 0.05 0.05
17 향료 0.20 0.20 0.20 0.20 0.20 0.20 0.20
18 카보머 0.20 0.20 0.20 0.20 0.20 0.20 0.20
19 트로메타민 0.12 0.12 0.12 0.12 0.12 0.12 0.12
20 캡슐 물*부틸렌 글리콜*페녹시에탄올*디소듐 EDTA*스쿠알란*덱스트린 팔미테이트/에틸헥사노에이트*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트리이소노나노인*아카시아 세네갈 검*프로판디올*가수분해 콜라겐*에틸헥실글리세린*1*2-헥산디올 9.94725 0.8952525 9.94725 50.730975 9.94725 9.94725 9.94725
PEG-9 디글리시딜 에테르/히알루론산 나트륨 크로스폴리머(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 0.0027500 0.0002475 0.0027500 0.14025 0.0001 0.0027500 0.0027500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 0.05 0.0045
0.05

0.255
0.05 0.01 0.05
총계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시험예 1]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6에 대한 제형 안정성 및 사용감 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평가 내용
실시예 1 점도, 안정도, 사용감 모두 양호함.
비교예 1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의 함량이 0.05μg/ml 미만으로 피부 세포 생장 및 항노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음.
비교예 2 수용성 히알루론산 나트륨의 함량이 20%를 초과하여, 피부에 도포시 미끌거리고 끈적임이 남음. 또한, 다음 단계의 화장시 화장이 밀림.
비교예 3 캡슐의 함량이 50%를 초과하여, 캡슐 벽재를 구성하는 고분자에 의한 때밀림 및 화장 밀림 현상이 있음.
비교예 4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가 0.001% 미만으로 피부 세포 생장 및 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음.
비교예 5 가수분해 히알루론산이 0.05% 미만으로 피부 재생 및 탄력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음
비교예 6 점도 4500cps로 5000cps 미만이기 때문에 화장료 조성물에 고르게 분산되었던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이 장기적으로 떠오를 수 있음
[시험예 2] 피부 상태 개선 정도 평가
상기 실시예 1의 조성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22명의 여성에게 4주 동안 아침 저녁으로 하루 2회씩 도포하도록 한 후, 얼굴 정면 사진 촬영(VISIA), 피부 수분 측정(Corneometer CM825; Courage and Khazaka,Germany), 피부 탄력 측정(Cutometer MPA580; Courag-azaka Electroic GmbH)을 조성물의 도포 전 및 4주 후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균±표준편차 개선율( % ) 사용 전 대비
유의차 (p-value)
개선된 시험대상자
비율( % )
수분 커패시턴스 62.395±3.791 51.09% <0.001 100%
탄력 R2 0.686±0.036 7.705% <0.001 95.455%
R5 0.555±0.065 15.319% <0.001 95.455%
R7 0.366±0.034 12.606% <0.001 90.909%
상기 표 3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인 실시예 1을 피부에 도포한 결과, 피부 수분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피부 탄력을 나타내는 R2, R5, R7 파라미터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21)

  1. 유상(oil phase)의 내상 및 벽재로 형성되는 외막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는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로서;
    상기 캡슐 내상에는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가 존재하고;
    상기 캡슐 벽재에는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이 존재하는,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는 PEG-9 디글리시딜 에테르/히알루론산 나트륨 크로스폴리머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이 3,000~200,000Da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연질캡슐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재는 주성분으로 콜라겐, 젤라틴 및 알지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부성분으로 아카시아 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의 외상은 점도가 5,000cps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과 이 캡슐 주위의 수상에 히알루론산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마이크로 히알루론산 캡슐은 유상(oil phase)의 내상 및 벽재로 형성되는 외막으로 이루어진 구조의 캡슐이고,
    상기 캡슐 내상에는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가 존재하고, 상기 캡슐 벽재에는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이 존재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는 PEG-9 디글리시딜 에테르/히알루론산 나트륨 크로스폴리머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이 3,000~200,000Da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염은 분자량이 300,000~10,000,000Da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염은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칼륨, 히알루론산 칼슘,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히알루론산 아연, 히알루론산 코발트 및 히알루론산 테트라부틸 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연질캡슐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벽재는 주성분으로 콜라겐, 젤라틴 및 알지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부성분으로 아카시아 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은 점도가 5,000cps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5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된 히알루론산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중량%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젤, 로션, 헤어토닉, 헤어에센스 또는 헤어트리트먼트로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80934A 2016-06-30 2017-06-27 분자량이 상이한 히알루론산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94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554370.3A CN107550750B (zh) 2016-06-30 2017-06-30 含有不同分子量透明质酸的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677 2016-06-30
KR20160082677 2016-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443A true KR20180003443A (ko) 2018-01-09
KR102394532B1 KR102394532B1 (ko) 2022-05-06

Family

ID=61000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934A KR102394532B1 (ko) 2016-06-30 2017-06-27 분자량이 상이한 히알루론산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53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857B1 (ko) 2019-04-08 2019-08-30 (주)우성씨앤티 가교 히알루론산과 프리바이오틱스를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90130245A (ko) 2018-05-14 2019-11-22 한기훈 트리플 히알루론산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4813B1 (ko) 2020-02-18 2020-04-27 구창섭 가교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이 없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JP2021059514A (ja) * 2019-10-08 2021-04-15 横浜油脂工業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オイルからなる油性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105040A (ko) 2020-02-18 2021-08-26 권태동 모링가 오일을 함유하는 자가유화 라멜라액정 에멀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에멀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1246764A1 (ko) * 2020-06-01 2021-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방법,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조성물, 미용 조성물, 의료 용품 및 미용 용품
WO2022045823A1 (ko) * 2020-08-31 2022-03-03 주식회사 바임 생분해성 고분자 분산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피부 개선용 시스템
CN114129471A (zh) * 2021-12-06 2022-03-04 华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悬浮增稠组合物及其应用
CN116251037A (zh) * 2021-12-09 2023-06-13 华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水解透明质酸钠自组装结构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279A (ko) * 1990-07-28 1992-02-28 세끼야 겐이찌 물체-동작 제어시스템
KR100852944B1 (ko) 2007-02-15 2008-08-19 (주)아모레퍼시픽 화학적으로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의제조방법
CN101500535A (zh) * 2006-06-28 2009-08-05 诺维信生物聚合物公司 用于化妆品和医学用途的具有几种透明质酸级分的组合物
CN101878230A (zh) * 2007-12-19 2010-11-03 赢创高施米特有限公司 乳液中的交联透明质酸
KR20150070394A (ko) * 2012-10-25 2015-06-24 바스프 뷰티 케어 솔루션즈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히알루로네이트 및 글루코만난의 중합체
KR101618321B1 (ko) 2008-08-29 2016-05-09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성분 함유 마이크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279A (ko) * 1990-07-28 1992-02-28 세끼야 겐이찌 물체-동작 제어시스템
CN101500535A (zh) * 2006-06-28 2009-08-05 诺维信生物聚合物公司 用于化妆品和医学用途的具有几种透明质酸级分的组合物
KR100852944B1 (ko) 2007-02-15 2008-08-19 (주)아모레퍼시픽 화학적으로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의제조방법
CN101878230A (zh) * 2007-12-19 2010-11-03 赢创高施米特有限公司 乳液中的交联透明质酸
KR101618321B1 (ko) 2008-08-29 2016-05-09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성분 함유 마이크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0394A (ko) * 2012-10-25 2015-06-24 바스프 뷰티 케어 솔루션즈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히알루로네이트 및 글루코만난의 중합체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245A (ko) 2018-05-14 2019-11-22 한기훈 트리플 히알루론산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5857B1 (ko) 2019-04-08 2019-08-30 (주)우성씨앤티 가교 히알루론산과 프리바이오틱스를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JP2021059514A (ja) * 2019-10-08 2021-04-15 横浜油脂工業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オイルからなる油性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04813B1 (ko) 2020-02-18 2020-04-27 구창섭 가교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이 없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KR20210105040A (ko) 2020-02-18 2021-08-26 권태동 모링가 오일을 함유하는 자가유화 라멜라액정 에멀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에멀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1246764A1 (ko) * 2020-06-01 2021-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방법,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조성물, 미용 조성물, 의료 용품 및 미용 용품
WO2022045823A1 (ko) * 2020-08-31 2022-03-03 주식회사 바임 생분해성 고분자 분산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피부 개선용 시스템
CN114129471A (zh) * 2021-12-06 2022-03-04 华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悬浮增稠组合物及其应用
CN114129471B (zh) * 2021-12-06 2023-07-18 华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悬浮增稠组合物及其应用
CN116251037A (zh) * 2021-12-09 2023-06-13 华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水解透明质酸钠自组装结构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532B1 (ko)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4532B1 (ko) 분자량이 상이한 히알루론산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550750B (zh) 含有不同分子量透明质酸的化妆品组合物
JP6598207B2 (ja) 水溶性ヒアルロン酸ゲ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67937B1 (ko)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74210B1 (ko) 스티키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JP2011506734A (ja) 乳濁物中の架橋ヒアルロン酸
KR101582660B1 (ko) 방사선을 이용한 콜라겐 함유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제조
KR101768710B1 (ko) 주름개선 기능성을 갖는 속눈썹 연장시술용 패치 제조방법
JPH0215022A (ja) 抗炎症性皮膚湿潤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KR101782591B1 (ko) 즉각적인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4044808A2 (en) Fast-penetration cosmetic dermal filler for topical application
JP2005179374A (ja) 油中水型エマルション形態の組成物とその美容のための使用
JP2020536592A (ja) ヒアルロン酸およびヒドロキシアパタイトを含む経皮充填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0141986A1 (en) Silicone gel composition containing hyaluronic acid and/or its salt for prevention and repair of skin scars
KR20180060537A (ko) 피부재생 및 보습기능을 강화한 미백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20230049560A (ko) 천연물 유래의 피부개선용 화장조성물
WO2019013670A1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маска для нанесения на кожу и способ ее нанесения
JPH07233045A (ja) 皮膚外用剤
CN1144578C (zh) L-2-氧代噻唑烷-4-羧酸与多元醇的结合使用
BR102017007126A2 (pt) Compositions for topical use containing reticulated glycosaminoglycans
KR101739106B1 (ko) 피부 보호막을 형성하는 크림형 하이드로겔 팩 및 그 제조방법
JP2011207849A (ja) 口唇用化粧料
JP6898622B2 (ja) 皮膚又は粘膜の外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皮膚又は粘膜の外用剤の基剤
US11612557B1 (en) Lyophilic colloids
EP3558227A1 (en) Silicone-in-water cosmet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