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813B1 - 가교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이 없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교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이 없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813B1
KR102104813B1 KR1020200019584A KR20200019584A KR102104813B1 KR 102104813 B1 KR102104813 B1 KR 102104813B1 KR 1020200019584 A KR1020200019584 A KR 1020200019584A KR 20200019584 A KR20200019584 A KR 20200019584A KR 102104813 B1 KR102104813 B1 KR 102104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aluronic acid
cosmetic composition
sunscreen
skin
skin irr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창섭
Original Assignee
구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창섭 filed Critical 구창섭
Priority to KR1020200019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교 히알루론산 또는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이 없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며, 더더욱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미량으로도 유기 자외선 차단제에 의한 피부 자극을 상쇄시키면서 현저하게 상승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보인다.

Description

가교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이 없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Skin irritation-free UV-block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가교 히알루론산 또는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활동성, 혈관의 분포, 피부의 두께 및 카로티노이드 및 빌리루빈 등 인체 내외의 색소 함유 유무와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그 중 멜라노사이트에서 타이로시나제 등의 여러 효소가 작용하여 생성되는 멜라닌이라는 흑색 색소가 가장 중요하다. 멜라닌 색소의 형성에는 유전적 요인, 호르몬 분비 및 스트레스 등과 관련된 생리적 요인 및 자외선 조사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멜라닌은 피부에 존재하여 자외선 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멜라닌이 과잉생산됨으로써 기미 또는 주근깨 등을 형성할 뿐 아니라 피부노화를 촉진하며 피부암 유발에도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미, 주근깨 또는 색소침착 등과 같은 피부색소 이상침착 증상과 자외선 노출 등에 의해 발생된 과도한 멜라닌 색소 침착을 치료 또는 경감시켜주기 위해서 이전부터 아스코르빈산, 코지산, 알부틴, 하이드로퀴논, 글루타치온 또는 이들의 유도체, 타이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가진 물질들을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 사용하여 왔는데, 이들은 불충분한 미백효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 문제, 화장료에 배합시 제형 및 안정성 문제 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태양광에 포함된 자외선은 피부에 과도하게 조사되는 경우 홍반 형성이나 피부세포 내의 멜라닌 색소 생성을 촉진하여 기미나 잡티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표피에 분비되는 피지와 반응하여 과산화지질을 생성함으로써 피부 트러블을 발생시키기도 할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피부암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자외선은 그 파장에 따라 UV-A(320~400nm), UV-B(280~320nm) 및 UV-C (200~280nm)로 나누며, 짧은 파장인 UV-C로 갈수록 에너지가 크지만 짧은 파장의 자외선은 대기 중에서 대부분 흡수되므로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자외선은 UV-A와 UV-B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 차단제는 일정한 피부 부위에 특수한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제제를 말하는데, 자외선의 차단효과는 자외선 차단지수(SPF; Sun Protection Factor)라는 단위를 사용하여 그 제품의 차단 정도를 표기한다. 자외선 차단지수는 FDA(미국식품의약품안전청)의 공식에 의해 계산되는데,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지 않은 상태에서의 UV-B의 최소 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 MED)과 자외선 차단제를 바른 후의 UV-B의 최소 홍반량의 비를 나타낸다. 즉, 자연 상태의 피부가 자외선을 차단하는 정도에 대한 배수로서, 자외선 차단지수의 수치가 높을수록 햇빛 차단의 효과는 좋지만, 피부에 대한 착용감이 나빠지고 부작용 또한 높아질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는 크게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 분류되고 있으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있으나 적용되는 파장범위가 좁고, 끈적이고 번들거려 사용감이 나쁘며 분자형태로 피부에 흡수될 수 있어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으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을 반사하고 산란시켜 투과 자외선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피부자극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지만 무거운 사용감과 백화 현상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공개특허 제10-2003-0046103호).
이와 같은 자외선 차단제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구체적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 형태는 현재 자외선 차단용 제품에 대부분 적용되고 있는 방법이지만 전술한 근본적인 단점은 존재한다. 또한, 무기물이나 고분자 입자 표면에 무기 차단제인 이산화티탄을 흡착시키거나 입자 내부에 유기 차단제를 함유하는 형태는 피부안전도 측면에서는 보완을 하였으나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자외선 차단 효율이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이산화티탄이나 산화아연과 같은 무기물을 초미립자로 제조하여 기존 무기 차단제의 단점을 보완하고 고효율의 차단효과를 갖는 형태가 있으나, 이는 백화현상을 완전히 감소시킬 수 없으며 입자 크기가 작아질수록 사용감이 나빠지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화학 물질을 재료로 한 자외선 차단제는 그 부작용이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에, 인체에 전혀 무해한 천연 자외선 차단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가교 히알루론산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히알루론산은 β-D-N-아세틸글루코사민과 β-D-글루쿠론산이 교대로 결합된 직쇄상의 고분자 다당이다. 히알루론산은 포유동물의 피하조직과 연골조직 같은 결합조직에 분포되는 것 외에, 눈의 초자체나 탯줄 등에 존재하며 연쇄구균이나 간균류의 협막 등에도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히알루론산을 얻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닭 벼슬, 탯줄 등에서 추출하는 방법과, 연쇄구균, 간균을 배양한 후 이것으로부터 추출 정제하는 방법 등이 있다.
우수한 생체적합성을 가지는 천연 히알루론산은 종간 특이성을 갖지 않고 조직이나 장기특이성을 갖지 않으며 피부의 보습력 증진, 피부 탄력 유지 및 피부 손상 시에 피부 하층부의 손상을 줄여주고 피부의 주요구성 성분인 콜라겐이 세포 사이로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도록 윤활유와 같은 역할도 한다. 또한, 히알루론산은 피부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며, 세포 재생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히알루론산은 당사슬의 길이에 따라서 중량평균분자량이 상이하며, 중량평균분자량에 따라서 작용하는 피부 부위에도 차이가 생긴다. 즉, 중량평균분자량이 작을수록 피부를 쉽게 침투할 수 있으므로, 중량평균분자량이 작은 히알루론산은 진피층에, 중량평균분자량이 큰 히알루론산은 각질층에서 작용하여, 피부 보습 및 재생력을 부여하게 된다.
한편, 천연 히알루론산을 본연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기계적 물성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체내에 존재하는 히알루로니다아제라는 효소에 의해 쉽게 분해되어 제거되기 때문에 다양한 응용에 있어 제한이 따르게 된다.
이와 같은 천연 히알루론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따라서, 구조적으로 안정한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널리 진행되고 있다(Laurent, T.C. "The chemistry, biology and medical applications of hyaluronan and its derivatives" Portland Press Ltd., London, 1998).
이와 같은 히알루론산 유도체는 수술 후의 유착 방지제, 주름살 개선제, 성형 보조물, 관절기능 개선제, 약물 전달체 및 세포배양 지지체(Scaffold) 등 다양한 용도로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주름살 개선제와 성형 보조제 등은 상업적 용도로 활발한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F. Manna, M. Dentini, P. Desider, O. De Pita, E. Mortilla, B. Maras, Journal of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13(1999) 183-192).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하나로서, 가교제를 사용하여 히알루론산들을 상호 공유결합시킨 히알루론산 가교물은 우수한 생체적합성, 물리적 안정성 및 생분해성이 있으며, 미국특허 제4,716,224호, 제4,963,666호, 제5,017,229호, 제5,356,883호 등에는 그것의 제조방법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교 히알루론산의 개발에 따라 히알루론산이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여 화장품 내지 경피 적용 제제로서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제10-2018-0003443호 "중량평균분자량이 상이한 히알루론산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17-0076223호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가교 히알루론산의 자외선 차단 효과에 대해서는 어떠한 내용도 없는 상태이다.
1.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3-0046103호 2.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5-0041394호 3.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8-0003443호 4.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7-0076223호
따라서, 본 발명은 가교 히알루론산을 포함하여 우수한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교 히알루론산 또는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이 없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가교 히알루론산의 가교제는 디비닐설폰, 1,3-부타디엔디에폭시드, 1,2,7,8-디에폭시옥탄, 1,5-헥사디엔디에폭시드,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A 다이글리시딜에테르, 디비닐설폰, 에피클로르히드린, 1,4-부탄다이올 다이글리시딜 에테르(BDDE), 1,4-비스(2,3-에폭시프로폭시)부탄, 1,4-비스글리시딜옥시부탄, 1,2-비스(2,3-에폭시프로폭시)에틸렌 및 1-(2,3-에폭시프로필)-2,3-에폭시사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및 3,4-메틸 벤질리덴 캄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가교 히알루론산 또는 허용가능한 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0.1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가교 히알루론산 또는 허용가능한 염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KDa ~ 9,000KDa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kDa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가교 히알루론산 또는 허용가능한 염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가 매우 뛰어나고, 피부 자극이 없어 화장품 조성물로 매우 유용하며, 특히 종래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사용하였을 때 미량으로도 현저하게 상승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발휘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가교 히알루론산 또는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가 매우 뛰어나고, 피부 자극이 없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가교 히알루론산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으로 가교제와 히알루론산의 가교반응을 진행하는 단계, 수득된 가교 히알루론산을 절단하는 단계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가교제로는 디비닐설폰, 1,3-부타디엔디에폭시드, 1,2,7,8-디에폭시옥탄, 1,5-헥사디엔디에폭시드,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A 다이글리시딜에테르, 디비닐설폰, 에피클로르히드린, 1,4-부탄다이올 다이글리시딜 에테르(BDDE), 1,4-비스(2,3-에폭시프로폭시)부탄, 1,4-비스글리시딜옥시부탄, 1,2-비스(2,3-에폭시프로폭시)에틸렌 및 1-(2,3-에폭시프로필)-2,3-에폭시사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히알루론산의 중량평균분자량, 가교결합도 등은 목적하는 제품의 성질에 따라 적의 결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비닐설폰을 가교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교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그 예를 들면, P가교된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는 구체적으로, i)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오일상 및 ii) 염기성 수용액에 히알루론산과 수용성 가교제가 용해된 수상이 혼합된 w/o 에멀전에서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PEGDG)임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를 들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허용가능한 가교 히알루론산 염은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그 예를 들면 소듐염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교 히알루론산은 피부 보습, 피부 재생, 피부 미백, 피부 탄력 개선, 피부 노화 억제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것이라면 그 중량평균분자량 등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5,000KDa ~ 9,000KDa, 더욱 바람직하게 7,000kDa으로, 이와 같은 이유는 분자량이 너무 작은 경우 실질적으로 피부 내로 흡수되어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우며 분자량이 너무 크면 피부 보호막이 너무 두꺼워져 사용감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가교 히알루론산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0.1중량% 포함하는 바람직하며, 그 미만의 경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효과 상승이 제한이 되며, 제형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가교 하일루론산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미량으로도 현저한 상승 효과를 보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및 3,4-메틸 벤질리덴 캄파 등을 포함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량 역시 통상의 범위 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의 화장품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화장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고점도 유화제형, 저점도 유화제형 및 가용화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장품 조성물 배합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선로션, 선크림,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에 따라 추가로 수상성분, 유상성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콜, 점증제, 킬레이트제, 방부제, 향료 등을 선택하여 배합 첨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실시예의 기술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 실시예 비교예 조성물 제조 1>
가교제로 디비닐설폰을 사용하여 제조한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KDa ~ 15,000KDa인 가교 히알루론산을 이용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가교 히알루론산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경우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함유되어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경우로 나누어 제조하였으며, 비교예 조성물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단독으로 포함하도록 제조하였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수상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2.0 2.0 2.0 2.0 2.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3.0 3.0
부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산탄검 0.1 0.1 0.1 0.1 0.1


유상
헥실라우레이트 3.0 3.0 3.0 3.0 3.0
사이클로메티콘 12.0 12.0 12.0 12.0 12.0
글리셀리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피이지30폴리하이드로시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폴리솔베이트 60 2.0 2.0 2.0 2.0 2.0

자외선
차단제
가교 하알루론산 0.0004 0.0001 0.0001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5.0 5.0
옥토크릴렌 5.0 5.0

첨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 실험예 1: 자외선 차단지수(SPF) 및 자외선A 차단등급(PA) 측정>
식약청 고시 '기능성 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중 자외선차단 기능성 시험법에 따라 실시예와 비교예의 조성물에 대한 자외선 차단지수(SPF) 및 자외선A 차단지수(PA)을 측정하였다.
시료가 2mg/cm2수준이 되도록 Transpore tape에 도포하고, 15분 건조 후 SPF 290 analyzer로 측정하였다. 자외선 차단지수는 3회 실험치의 평균값으로 정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자외선A 차단등급(PA) 자외선 차단지수 (SPF)
실시예 1 16.23 51.12
실시예 2 21.02 60.12
실시예 3 20.08 60.28
비교예 1 10.21 33.29
비교예 2 10.12 33.41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기 자외선 차단제 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미량의 가교 히알루론산을 포함한 실시예 2와 3에서도 현저한 상승효과를 보였다.
< 실험예 2: 피부자극도 평가>
피부 자극 평가를 위하여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청 기준 피부안전성 검사법에 따라 인체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시험자로 20~35세의 여성 20명을 선정하고 피시험자의 등 정중선을 피해 양쪽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 각각 도포하고, 1시간 동안 방치해 놓은 후 하기 판정 기준에 따라서 피부 자극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 강한 트러블, ++: 약한 트러블, +: 미약한 트러블, -: 음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 0 0 0 0 0
++ 0 0 0 7 8
+ 0 1 1 13 12
- 20 19 19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자극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종래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만을 포함하는 비교예의 조성물에서는 피부 자극을 유발하였으나 여기에 가교 히알루론산을 미량 포함한 실시예 2와 3의 조성물에서는 피부 자극이 나타나지 않는 효과를 보였다.
< 실시예 비교예 조성물 제조 2>
가교제로 디비닐설폰을 사용하여 제조한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KDa ~ 15,000KDa인 가교 히알루론산을 이용하여 하기 표 4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4의 조성물에서 가교 하일루론산의 중량평균분량이 대략 실시예 4는 3,000KDa, 실시예 5는 7,000KDa, 실시예 6은 9,000KDa, 실시예 7은 12,000KDa으로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수상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2.0 2.0 2.0 2.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3.0
부틸렌글리콜 5.0 5.0 5.0 5.0
산탄검 0.1 0.1 0.1 0.1


유상
헥실라우레이트 3.0 3.0 3.0 3.0
사이클로메티콘 12.0 12.0 12.0 12.0
글리셀리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피이지30폴리하이드로시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폴리솔베이트 60 2.0 2.0 2.0 2.0

자외선
차단제

가교 하알루론산

0.0004

0.0004

0.0004

0.0004

첨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 실험예 2: 자외선 차단지수(SPF) 및 자외선A 차단등급(PA) 측정>
식약청 고시 '기능성 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중 자외선차단 기능성 시험법에 따라 실시예와 비교예의 조성물에 대한 자외선 차단지수(SPF) 및 자외선A 차단지수(PA)을 측정하였다.
시료가 2mg/cm2수준이 되도록 Transpore tape에 도포하고, 15분 건조 후 SPF 290 analyzer로 측정하였다. 자외선 차단지수는 3회 실험치의 평균값으로 정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자외선A 차단등급(PA) 자외선 차단지수 (SPF)
실시예 4 14.08 48.12
실시예 5 21.08 60.12
실시예 6 17.01 54.12
실시예 7 17.12 54.12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3,000KDa의 실시예 4 보다는 실시예 5 내지 7에서 향상된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7,000KDa을 사용한 실시예 5에서 현저하게 상승된 결과를 보였으며, 12,000KDa의 실시예 7에서는 실시예 6과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가교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피부 자극이 없으며 매우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보이며, 더더욱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미량으로도 유기 자외선 차단제에 의한 피부 자극을 상쇄시키면서 현저하게 상승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보여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로서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가교 히알루론산 또는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0.0004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이 없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히알루론산의 가교제는 디비닐설폰, 1,3-부타디엔디에폭시드, 1,2,7,8-디에폭시옥탄, 1,5-헥사디엔디에폭시드, 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A 다이글리시딜에테르, 디비닐설폰, 에피클로르히드린, 1,4-부탄다이올 다이글리시딜 에테르(BDDE), 1,4-비스(2,3-에폭시프로폭시)부탄, 1,4-비스글리시딜옥시부탄, 1,2-비스(2,3-에폭시프로폭시)에틸렌 및 1-(2,3-에폭시프로필)-2,3-에폭시사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및 3,4-메틸 벤질리덴 캄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히알루론산 또는 허용가능한 염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KDa ~ 9,000K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히알루론산 또는 허용가능한 염의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k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7. 삭제
KR1020200019584A 2020-02-18 2020-02-18 가교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이 없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KR102104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584A KR102104813B1 (ko) 2020-02-18 2020-02-18 가교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이 없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584A KR102104813B1 (ko) 2020-02-18 2020-02-18 가교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이 없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4813B1 true KR102104813B1 (ko) 2020-04-27

Family

ID=7046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584A KR102104813B1 (ko) 2020-02-18 2020-02-18 가교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이 없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81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0090B1 (en) * 1997-12-05 2001-01-30 Beiersdorf Ag Use of polysaccharides for improving the light protection effect of cosmetic or dermatological light protection compositions
KR20030046103A (ko) 2001-12-05 2003-06-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화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US20100135935A1 (en) * 2008-11-28 2010-06-03 Leshchiner Adelya K Composition usin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for topical cosmetic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KR20150041394A (ko) 2013-10-08 2015-04-16 주식회사 엔에프씨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놀트리아진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6223A (ko) 2015-12-24 2017-07-04 코웨이 주식회사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3443A (ko) 2016-06-30 2018-01-09 (주)아모레퍼시픽 분자량이 상이한 히알루론산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0361A (ko) * 2016-07-20 2018-01-3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히알루론산 하이드로 겔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15857B1 (ko) * 2019-04-08 2019-08-30 (주)우성씨앤티 가교 히알루론산과 프리바이오틱스를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0090B1 (en) * 1997-12-05 2001-01-30 Beiersdorf Ag Use of polysaccharides for improving the light protection effect of cosmetic or dermatological light protection compositions
KR20030046103A (ko) 2001-12-05 2003-06-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화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US20100135935A1 (en) * 2008-11-28 2010-06-03 Leshchiner Adelya K Composition usin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for topical cosmetic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KR20150041394A (ko) 2013-10-08 2015-04-16 주식회사 엔에프씨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놀트리아진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6223A (ko) 2015-12-24 2017-07-04 코웨이 주식회사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3443A (ko) 2016-06-30 2018-01-09 (주)아모레퍼시픽 분자량이 상이한 히알루론산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0361A (ko) * 2016-07-20 2018-01-3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히알루론산 하이드로 겔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15857B1 (ko) * 2019-04-08 2019-08-30 (주)우성씨앤티 가교 히알루론산과 프리바이오틱스를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546B1 (ko) 피부 외용제
KR101068276B1 (ko) 투명한 태양광 차단 겔 및 그의 사용 방법
KR101663053B1 (ko) 모발 표면 개질용 조성물
EP2649986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rejuvenating the skin
CN106860088B (zh) 一种美白祛疤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102222697B1 (ko) 아스코르빈산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EP2906193B1 (en) Modified hyaluronic acid derivatives and use thereof
KR101001287B1 (ko) 하이드록시 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레스베라트롤 포접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H0826967A (ja) クロロゲン酸又はその誘導体含有化粧料
KR101717496B1 (ko)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2104813B1 (ko) 가교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이 없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KR102520887B1 (ko) 다공성 복합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12129B1 (ko) 비타민 씨와 수용성 베타 글루칸을 함유하는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2354352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N105726351B (zh) 降低紫外线引起的脂质过氧化的协同组合物、制剂及相关方法
JP3766070B2 (ja) 紫外線防御効果を有する耐水性o/w型化粧料
EP3283135B1 (en) Composition for covering and protecting scars
JPH11222412A (ja) 皮膚外用剤
KR20230077180A (ko) 계면활성제 프리 액상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102630A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7149620A (ja) 日焼け予防剤
KR20230044050A (ko) 히알루론산 복합물을 이용하여 보습 강화한 자외선 차단 조성물
KR20180099232A (ko) 아프젤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능이 향상된 spf 부스터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678663B1 (ko)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0290177A (ja) 一酸化窒素捕捉剤及び老化防止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