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697B1 - 아스코르빈산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 Google Patents

아스코르빈산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697B1
KR102222697B1 KR1020190051441A KR20190051441A KR102222697B1 KR 102222697 B1 KR102222697 B1 KR 102222697B1 KR 1020190051441 A KR1020190051441 A KR 1020190051441A KR 20190051441 A KR20190051441 A KR 20190051441A KR 102222697 B1 KR102222697 B1 KR 102222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eight
cosmetic
ascorbic acid
tot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403A (ko
Inventor
정석균
김청경
최치영
김선화
채교성
김정현
김경준
Original Assignee
(주)리즈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즈케이 filed Critical (주)리즈케이
Priority to KR1020190051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697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광 및 자외선 노출에 특히 취약한 아스코르빈산의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 색소 침착 개선,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등의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고, 에칠헥실메톡시크릴렌(ethylhexylmethoxycrylen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스코르빈산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COSMETIC COMPOSITION HAVING ASCORBIC ACID AND COSMETIC PRODUCT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여 특히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나이가 들면서 주름이 생기고 탄력이 떨어지며, 기미, 주근깨 등이 생기는 등 자연노화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의 가시적인 성과 중 하나로,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비타민C'라고도 함)이 피부 주름 개선에 탁월할 뿐 아니라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기미, 주근깨, 검버섯 등의 색소 침착을 개선시키며,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등에도 우수한 효과가 있음이 널리 알려지게 되면서 피부외용제 재료로서 각광받게 되었다.
하지만, 아스코르빈산은 공기, 습기, 빛, 열, 금속이온, 산소, 염기 등에 의해 쉽게 산화되어 변색이 발생하고, 변취가 일어나는 등 안정성 측면에서 매우 취약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경우, 아스코르빈산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펩타이드를 결합하여 안정한 아스코르빈산을 얻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52204호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자연광 및 자외선 노출에 특히 취약한 아스코르빈산의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 색소 침착 개선,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등의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에칠헥실메톡시크릴렌(ethylhexylmethoxycryle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은 자연광 및 자외선 노출에 특히 취약한 아스코르빈산의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자연광 및 자외선에 노출되어도 변색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변색 등에 의해 아스코르빈산의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은 피부 주름 개선, 색소 침착 개선,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등의 우수한 효과를 자연광 및 자외선 노출 하에서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보다 많은 함량의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자연광 및 자외선 노출에 특히 취약한 아스코르빈산의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 색소 침착 개선,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등의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을 포함하며, 에칠헥실메톡시크릴렌(ethylhexylmethoxycrylene)을 포함한다.
에칠헥실메톡시크릴렌은 광안정제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아스코르빈산 또는 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자연광 및 자외선 등에 노출되어도 변색, 변취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에칠헥실메톡시크릴렌을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할 경우, 보다 많은 함량의 아스코르빈산이 조성물 내에서 안정적으로 포함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아스코르빈산을 1 중량%부터 최대 50 중량%까지, 바람직하게는 35 중량%까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중량%까지 포함할 수 있어 피부 주름 개선, 색소 침착 개선,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등의 효과가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에칠헥실메톡시크릴렌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에칠헥실메톡시크릴렌이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미만 포함될 경우, 광안정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0.5 중량%를 초과할 경우, 급성습진, 알러지 및 세포 손상과 같은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플로레틴(phloreti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로레틴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기능적 특징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으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기미, 주근깨, 검버섯 등의 색소 침착을 개선시키는 효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플로레틴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플로레틴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앞서 설명한 플로레틴의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1중량% 초과인 경우, 알러지 발생과 같은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페룰릭액시드(ferulic aci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페룰릭액시드 역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기능적 특징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으로, 피부 노화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기미, 주근깨, 검버섯 등의 색소 침착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화장료 조성물(또는 화장품)의 산패를 방지하는 산화 방지제 및 변색방지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페룰릭액시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페룰릭액시드가 0.5 중량% 미만인 경우, 앞서 설명한 페룰릭액시드의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1 중량% 초과인 경우, 알러지 발생과 같은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가용화제, pH중화제, 증점제, 지용성 항산화제 및 안정화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습제는 피부의 보습감과 유연감을 부여하기 위한 성분으로, 폴리올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프로판디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보습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습제가 20 중량% 미만인 경우, 앞서 설명한 보습제의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50 중량% 초과인 경우, 보습감과 유연감은 보다 향상될 수 있으나 끈적임과 답답한 사용감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가용화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이 본래의 용해도 이상으로 용해될 수 있도록 하는 성분으로, 실예로, 옥틸도데세스-25, 옥틸도데세스-16,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 니코틴아미드, 카페인, 소듐PCA, 소듐 살리실레이트, 우레아 및 하이드록시에틸우레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가용화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용화제가 3 중량% 미만인 경우, 앞서 설명한 가용화제의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5 중량% 초과인 경우, 경피 수분손실에 의한 피부 건조, 피부장벽 약화, 피부 자극과 같은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pH중화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pH조절을 위한 성분으로, 실예로, 염산, 황산, 인산, 인산수소이암모늄,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이칼륨, 인산이수소암모늄, 인산이수소나트륨, 인산이수소칼륨, 인산삼나트륨, 인산삼칼륨, 아세트산, 암모늄 아세테이트, 나트륨 아세테이트, 칼륨 아세테이트, 나트륨 시트레이트, 이암모늄 시트레이트,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암모늄,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 소듐 클로라이드 및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카르니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pH중화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0.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pH중화제가 0.1 중량% 미만인 경우, pH조절 효과가 미비하거나,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구현되지 않아 제형 안정성이 좋지 못할 수 있고, 0.3 중량% 초과하는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pH에 과도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증점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한 성분으로, 실예로, 카보머,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잔탄검,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헥토라이트, 벤토나이트,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덱스트린팔미테이트, 덱스트린팔미테이트/에칠헥사노에이트, 덱스트린미리스테이트, 스테아로일이눌린, 폴리에틸렌, 세레신, 오조케라이트,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 카나우바 왁스, 비즈왁스 및 스테아릴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증점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증점제가 0.1 중량% 미만인 경우, 점도 증진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0.5 중량% 초과인 경우, 점도가 과하게 높아져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안정화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으로, 2가 금속염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황산 마그네슘(MgSO4),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아세틸살리실산 마그네슘, 아세틸살리실산 칼슘, 수산화칼슘, 황산바륨, 염화스트론튬, 브롬화스트론튬, 아세틸시스테인, 유비퀴논, 멜라토닌, 티오틱애씨드, 수퍼옥사이드디스뮤타아제, 울금뿌리추출물, 트록세루틴 및 황산아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안정화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안정화제가 0.1 중량% 미만인 경우, 안정화제의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0.5 중량% 초과인 경우, 피부 자극과 같은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가용화제, pH중화제, 증점제 또는 안정화제 외에도 지용성 항산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용성 항산화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항산화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으로, 실예로, 토코페놀로 합성 토코페놀 또는 천연 토코페놀을 포함하거나, 지방산 아스코르빈산 에스테르인 아스코빌 팔미테이트, 스테아레이트, 부틸 하이드록시 톨루엔, 부틸 하이드록시 아니솔, 프로필 갤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지용성 항산화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3 내지 0.7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용성 항산화제가 0.3 중량% 미만인 경우, 항산화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0.7 중량% 초과인 경우, 사용감을 저해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포함하며, 여기서 화장품은 스킨, 로션, 크림, 젤, 에센스, 세럼, 토너, 자외선 차단제, 클렌징제, 파운데이션 및 팩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이 바람직하며, 두피용, 두발용, 바디용, 얼굴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비교예 및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비교예 및 실시예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
하기 표 1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각 성분들과 중량을 나타낸 표이다. 단위는 g이다.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아스코르빈산 15 15 15 15 15
에칠헥실메톡시크릴렌 - - - - -
플로레틴 0.2 0.2 0.2 0.2 0.2
페룰릭애씨드 0.5 0.5 0.5 0.5 0.5
폴리올 43 43 43 43 43
가용화제 4 4 4 4 4
에탄올 14 14 14 14 14
pH 중화제 0.2 0.2 0.2 0.2 0.2
지용성 항산화제 0.5 0.5 0.5 0.5 0.5
증점제 0.3 0.3 0.3 0.3 0.3
황산 마그네슘 0.1 0.1 0.1 0.1 0.1
부틸메톡시벤조일메탄 - 0.1 - - -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 - 0.1 - -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 - - 0.1 -
부티옥틸 살리실산염 - - - - 0.1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하기 표 2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각 성분들과 중량을 나타낸 표이다. 단위는 g이다.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아스코르빈산 15 15 15 15 15
에칠헥실메톡시크릴렌 0.1 0.2 0.3 0.4 0.5
플로레틴 0.2 0.2 0.2 0.2 0.2
페룰릭애씨드 0.5 0.5 0.5 0.5 0.5
폴리올 43 43 43 43 43
가용화제 4 4 4 4 4
에탄올 14 14 14 14 14
pH 중화제 0.2 0.2 0.2 0.2 0.2
지용성 항산화제 0.5 0.5 0.5 0.5 0.5
증점제 0.3 0.3 0.3 0.3 0.3
황산 마그네슘 0.1 0.1 0.1 0.1 0.1
실험예 1: 주름 개선 효과
앞서 설명한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의 화장료 조성물과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주름 개선 효과를 실험하였다.
실험 방법은 3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1일 2회씩 눈 주위에 화장료 조성물을 균일하게 도포하도록 하였고, 도포 전 주름 깊이와 3개월 후 눈 주위 주름 깊이를 육안 판정과 영상분석법을 통해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하기 표 3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에 대한 결과이고, 하기 표 4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대한 결과이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도포 전 [㎛] 317 288 302 324 338
90일 도포 후 [㎛] 301 253 256 281 297
주름 깊이 감소율[%] 5.05 12.15 15.23 13.27 12.1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도포 전 [㎛] 315 321 308 331 295
90일 도포 후 [㎛] 280 276 261 274 231
주름 깊이 감소율[%] 11.11 14.02 15.26 17.22 21.69
표 3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칠헥실메톡시크릴렌을 0.3g 이상 포함하는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비교예의 모든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주름 깊이 감소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 특히, 에칠헥실메톡시크릴렌을 0.4g 이상 포함하는 실시예 4와 실시예 5의 주름 깊이 감소율이 17% 이상으로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결과적으로, 에칠헥실메톡시크릴렌을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3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경우, 부틸메톡시벤조일메탄,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또는 부티옥틸 살리실산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자연광 안정도
앞서 설명한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의 화장료 조성물과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자연광 안정도를 실험하였다.
실험 방법은 화장료 조성물을 직경 40mm, 높이 10mm의 투명 유리병에 담은 후, 14일동안 자연광을 조사한 뒤, 색 변화 정도를 측정하여 안정도를 평가하였다. 안정도의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안정도 1: 색 변화 정도(탈색 정도)가 90% 이상
안정도 3: 색 변화 정도(탈색 정도)가 50%
안정도 5: 색 변화 정도(탈색 정도)가 거의 없음
하기 표 5는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에 대한 결과이고, 하기 표 6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대한 결과이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1 2 2 2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2 2 3 4 5
표 5와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모든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의 모든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자연광에서의 안정도가 동일하거나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에칠헥실메톡시크릴렌을 0.3g 이상 포함하는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이 자연광에서의 안정도가 우수하였으며, 에칠헥실메톡시크릴렌을 0.5g 포함하는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은 색 변화(탈색)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결과적으로, 에칠헥실메톡시크릴렌을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3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경우, 부틸메톡시벤조일메탄,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또는 부티옥틸 살리실산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자연광에서의 안정도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자외선(UV) 안정도
앞서 설명한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의 화장료 조성물과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자외선 안정도를 실험하였다.
실험 방법은 화장료 조성물을 직경 40mm, 높이 10mm의 투명 유리병에 담은 후, 아틀라스 선테스트(Atlas SunTest) CPS+에 넣고, 24시간동안 태양광 노출 실험을 적용한 뒤, 색 변화 정도를 측정하여 안정도를 평가하였다. 태양광 노출은 70℃, 300~800㎚ Lux, 760W/m2의 조건에서 진행하였다. 안정도의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안정도 1: 색 변화 정도(탈색 정도)가 90% 이상
안정도 3: 색 변화 정도(탈색 정도)가 50%
안정도 5: 색 변화 정도(탈색 정도)가 거의 없음
하기 표 7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에 대한 결과이고, 하기 표 8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대한 결과이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1 2 2 2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3 4 4 5 5
표 7과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모든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의 모든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태양광(자외선)에서의 안정도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에칠헥실메톡시크릴렌을 0.4g 이상 포함하는 실시예 4와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은 색 변화(탈색)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음을 볼 수 있었다.
다시 말해 결과적으로, 에칠헥실메톡시크릴렌을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경우, 부틸메톡시벤조일메탄,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또는 부티옥틸 살리실산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태양광(자외선)에서의 안정도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인 아스코르빈산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Claims (12)

  1.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에칠헥실메톡시크릴렌(ethylhexylmethoxycrylene)을 포함하고,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가 금속염 0.1 내지 0.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칠헥실메톡시크릴렌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플로레틴(phloretin) 및 페룰릭액시드(ferulic aci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레틴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릭액시드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가용화제, pH중화제, 증점제 및 지용성 항산화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폴리올이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가 금속염은 황산 마그네슘(MgSO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지용성 항산화제를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3 내지 0.7 중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7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스킨, 로션, 크림, 젤, 에센스, 세럼, 토너, 자외선 차단제, 클렌징제, 파운데이션 및 팩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KR1020190051441A 2019-05-02 2019-05-02 아스코르빈산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222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441A KR102222697B1 (ko) 2019-05-02 2019-05-02 아스코르빈산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441A KR102222697B1 (ko) 2019-05-02 2019-05-02 아스코르빈산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403A KR20200127403A (ko) 2020-11-11
KR102222697B1 true KR102222697B1 (ko) 2021-03-04

Family

ID=73451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441A KR102222697B1 (ko) 2019-05-02 2019-05-02 아스코르빈산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6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912A1 (en) * 2022-06-21 2023-12-28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hydrophilic antioxidants and thiopyridinone compounds
FR3141623A1 (fr) * 2022-11-04 2024-05-10 L'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des antioxydants hydrophiles et des composés de thiopyridinone
KR102676163B1 (ko) * 2024-02-01 2024-06-19 한국콜마주식회사 비타민c의 역가 유지율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며, 향취가 개선된 이중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669A1 (ko) * 2022-11-18 2024-05-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25620B1 (en) 2014-11-27 2019-11-20 Celltrion Inc. Stable peptide-conjugated ascorbic acid derivative,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me
KR20160112721A (ko) * 2015-03-20 2016-09-28 김주호 화장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912A1 (en) * 2022-06-21 2023-12-28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hydrophilic antioxidants and thiopyridinone compounds
FR3141623A1 (fr) * 2022-11-04 2024-05-10 L'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des antioxydants hydrophiles et des composés de thiopyridinone
KR102676163B1 (ko) * 2024-02-01 2024-06-19 한국콜마주식회사 비타민c의 역가 유지율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며, 향취가 개선된 이중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403A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697B1 (ko) 아스코르빈산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US6110966A (en) Triple action complex
US6337320B1 (en) Reparatives for ultraviolet radiation skin damage
US20050281766A1 (en) Method of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of epithelia
KR102006947B1 (ko)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CN104434707A (zh) 美白祛斑精华
CN110623882A (zh) 一种美白祛斑面膜及其制备方法
EP2649986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rejuvenating the skin
CA2639525A1 (en) Topical composition for the protection and/or treatment of radiation related skin damages
CN110897995A (zh) 一种美白膏霜及其制备方法
US9468597B1 (en) Stabilized L-ascorbic acid skin serum
KR102217827B1 (ko) 자외선 차단용 패치
US9913785B2 (en) Topical chicory extract skin care composition providing broad spectrum sunscreen
AU655790B2 (en) Novel compositions
KR101001287B1 (ko) 하이드록시 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레스베라트롤 포접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00066420A (ko) 소듐 디엔에이와 아스타잔틴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4525A (ko) 초석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4352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H700735B1 (de) Kosmetische Komposition für die Verjüngung des Erscheinungsbildes der Haut.
KR20230077180A (ko) 계면활성제 프리 액상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2009001575A (ja) オゾン溶存グリセリン溶液を含む化粧料、医薬部外品、医薬(医薬品)等の外用剤
JP2003342159A (ja) 皮膚老化防止化粧料
CN112263525A (zh) 一种具有美白功效的天然化妆品
KR20160024527A (ko) 돌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04813B1 (ko) 가교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이 없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