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721A - 화장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721A
KR20160112721A KR1020150038944A KR20150038944A KR20160112721A KR 20160112721 A KR20160112721 A KR 20160112721A KR 1020150038944 A KR1020150038944 A KR 1020150038944A KR 20150038944 A KR20150038944 A KR 20150038944A KR 20160112721 A KR20160112721 A KR 20160112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ascorbic acid
stabilizer
effect
production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호
오훈
Original Assignee
김주호
오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호, 오훈 filed Critical 김주호
Priority to KR1020150038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2721A/ko
Publication of KR20160112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L-아스코르빈산 및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L-아스코르빈산 및 천연색소가 안정화되도록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 (Ethylhexyl Methoxycrylene)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금속이온과의 반응성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 및 pH 변화에 따른 변색을 억제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피부에 좋은 L-아스코르빈산의 함량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연광 및 자외선 투과에도 안정적이기 때문에 투명 용기에 담겨져도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장용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L-아스코르빈산은 피부 미백 효과, 피부 진피층 내에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탄력을 회복하는 효과, 및 제외선 등에 의한 유해산소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 등 다양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화장용 제품에 L-아스코르빈산 함유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화장품에는 금속이온 또는 반응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L-아스코르빈산은 상기 금속이온 또는 반응성 물질과 쉽게 반응하여 산화될 수 있다. 또한, pH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에, 화장품에 함유된 L-아스코르빈산의 효과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화장품의 황변이나 변취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화장품의 시각적 및 심미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화장품에 색소를 첨가한다. 종래에는 타르계 색소와 같은 합성 색소를 화장품에 첨가하여 화장품 조성물의 색상을 조절했다. 하지만, 최근들어 합성 색소 사용에 따른 피부 발암 문제가 지적되고 있어 화장품에 적용이 가능한 천연 색소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천연 색소 또한, 전술된 L-아스코르빈산과 마찬가지로 금속이온에 반응성이 크고, pH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상기 L-아스코르빈산의 및 천연색소는 자연광 및 자외선이 조사될 때 반응성이 더 커진다. 때문에, 다른 물질과 반응성을 최소화 하기 위해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의 경우 자연광 및 자외선을 차단하도록 갈색 용기와 같은 자연광 및 자외선 투과가 어려운 용기에 담겨졌다. 또한, 일반적으로 L-아스코르빈산의 반응성으로 인해 상기 L-아스코르빈산은 화장용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평균 0.1wt% 내지 5wt% 함유하기 때문에, L-아스코르빈산 함량이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하지만, 다른 물질과의 반응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갈색 용기를 사용하더라도 금속이온과의 반응성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 및 pH 변화에 따른 변색을 억제하는 효과가 제한적이다. 또한, 화장용 조성물이 갈색 용기에 담겨질 경우, 시각적 및 심미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천연색소를 첨가할지라도, 갈색 용기에 의해 그 기능이 가려진다. 이에 상품으로서 화장품의 상품성이 떨어진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금속이온과의 반응성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 및 pH 변화에 따른 변색을 억제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피부에 좋은 L-아스코르빈산의 함량을 늘릴 수 있는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연광 및 자외선 투과에도 안정적이기 때문에, 투명 용기에 담겨져도 안정적인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하여 화장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아스코르빈산 및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L-아스코르빈산 및 천연색소가 안정화되도록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 (Ethylhexyl Methoxycrylene) 안정화제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화장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L-아스코르빈산은 1wt% 내지 25wt% 및 상기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 안정화제는 0.02wt% 내지 0.5w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옥틸 메톡시 신나메이트(Octyl methoxy cinnamate) 및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soamyl p-Methoxycinnam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안정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가용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L-아스코르빈산은 1wt% 내지 25wt%,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 안정화제 0.02wt% 내지 0.5wt%, 천연색소 0.001 wt% 내지 0.2wt%, 및 잔여 수분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보조 안정화제, 가용화제, 및 항산화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장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보조 안정화제는 0.01wt% 내지 0.1wt%, 상기 가용화제는 0.5wt% 내지 1.5wt% , 및 상기 항산화제는 0.01wt% 내지 0.5w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 조성물을 따르면, 금속이온과의 반응성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 및 pH 변화에 따른 변색을 억제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피부에 좋은 L-아스코르빈산의 함량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 조성물을 따르면, 자연광 및 자외선 투과에도 안정적이기 때문에 투명 용기에 담겨져도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의 샘플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아스코르빈산 및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L-아스코르빈산 및 천연색소가 안정화되도록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 (Ethylhexyl Methoxycrylene) 안정화제를 포함한다.
L-아스코르빈산 및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L-아스코르빈산 피부노화, 피부장해, 및 피부 색소침착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상기 천연색소는 피부에 무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 안정화제는 상기 L-아스코르빈산 및 천연색소를 자연광 및 자외선, 금속 이온, 및 반응성물질에 대한 반응 안정화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에, 상기 L-아스코르빈산 및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을 투명용기에 담더라도 상기 L-아스코르빈산 및 천연색소가 자연광 및 자외선, 금속이온, 및 반응성물질에 대해 안정하다. 이에,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때, 상기 화장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L-아스코르빈산은 1wt% 내지 25wt% 및 상기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 안정화제는 0.02wt% 내지 0.5w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아스코르빈산이 1wt% 미만일 경우, 피부노화, 피부장해, 및 피부 색소침착 등을 억제하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아스코르빈산이 25wt%를 상회할 경우, 상기 혼합 용액에 침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 안정화제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L-아스코르빈산 함량을 25wt%까지 증량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 안정화제를 포함함에 따라 자연광, 자외선, 금속이온, 및 반응성 물질로부터 L-아스코르빈산 및 천연색소를 안정화할 수 있다. 이에, L-아스코르빈산 함유량이 높고 천연색소로 색깔을 나타내고, 투명용기에 담겨져도 안정한 화장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 안정화제가 0.02wt% 미만일 경우, 안정화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상기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 안정화제가 0.5wt%를 상회할 경우, 0.5wt% 초과 범위에서는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 상승이 저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색소는 상기 화장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wt% 내지 0.2wt%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색소가 0.0001wt% 미만 포함될 경우, 색상 발현도가 낮아질 수 있고, 0.2wt%를 상회할 경우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옥틸 메톡시 신나메이트(Octyl methoxy cinnamate) 및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soamyl p-Methoxycinnam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안정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안정화제를 더 포함할 경우 상기 L-아스코르빈산 및 상기 천연색소의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 안정화제는 상기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 안정화제 중량에 대하여 5wt% 내지 20wt%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 안정화제 중량에 대하여 상기 보조 안정화제가 5wt%미만일 경우 상기 화장용 조성물의 안정성 향상이 미미할 수 있고, 20wt%를 상회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 상승이 저조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조 안정화제는 상기 화장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wt% 내지 0.1wt%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가용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를 더 포함함에 따라, 상기 화장용 조성물에 포함된 지용성 성분 및 수용성 성분의 혼합이 용이해진다. 상기 가용화제는 폴리솔베이트 60 (polysorbate 60), 폴리솔베이토 80 (polysorbate 80), PEG-40 수소화 카스터 오일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PEG-60 수소화 카스터 오일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옥틸도데세스-16(Octyldodeceth-16), 옥틸도데세스-20(Octyldodeceth-20), 및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 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 에테르(PEG(Polyethyleneglycol)-240/HDI(hexamethylenediisocyanate)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는 상기 화장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wt% 내지 1.5wt%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가 상기 화장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wt% 미만 포함할 경우 상기 화장용 조성물에 상 분리가 일어날 수 있으며, 1.5wt%를 상회할 경우 상기 화장용 조성물을 피부에 발랐을 때 피부가 건조해질 수 있다.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항산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는 지용성 항산화제 및 수용성 항산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지용성 및 수용성 항산화제를 모두 포함할 경우 항산화효과가 더 뛰어나다. 상기 항산화제로는 토코페롤 및 카페익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항산화제는 상기 화장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wt% 내지 0.5w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가 상기 화장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wt%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항산화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0.5wt%를 상회할 경우 함유량 상승에 따른 항산화 효과 상승도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화장용 조성물에 알란토인, 디엘펜타놀(DL-panthenol), 카페인,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및 pH중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용 조성물에 상기 알란토인이 포함될 경우, 상기 화장용 조성물을 피부에 발랐을 때 각질용해 효과, 피부 재생효과, 및 피부 세포 상층 박리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화장용 조성물에 디엘펜타놀(DL-panthenol)이 포함될 경우, 상기 화장용 조성물을 피부에 발랐을 때 피부보호제 역할을 수행하며 피부 보습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화장용 조성물에 카페인이 포함될 경우, 상기 화장용 조성물을 피부에 발랐을 때 피부결을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있고, 자연광 및 자외선을 흡수하여 피부암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화장용 조성물에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이 포함될 경우, 상기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된 물질들의 용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항미생물 효과를 가지고 있어 방부제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상기 화장용 조성물의 저장성이 향상된다.
상기 화장용 조성물에 pH중화제가 포함될 경우, 안정한 pH 범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화장용 조성물의 저장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의 용매에는 이가 알코올 또는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는,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프로판디올로 이로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의 샘플 사진이다.
왼쪽 샘플의 경우, 치자황색소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로, 나랑색을 띈다.
오른쪽 샘플의 경우 치자황색소 및 파프리카색소오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로 살구색을 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은 에틸헥실 메톨시크릴렌을 포함함에 따라, 투명용기에 담겨져도 색 변화가 없고, 아름다운 색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은 심미적인 효과가 뛰어나 상품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험예(example)를 제시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성분
함량(wt%)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L-아스코르빈산 12 12 12 12 12 12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 0.05 0.1 0.15 0.1 0.1 0.1
치자황색색소 0.07 0.07 0.07 0.07 0.07 0.07
옥틸 메톡시 신나메이트 - - - 0.02 - 0.04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 - - - 0.02 -
알란토인 0.1 0.1 0.1 0.1 0.1 0.1
디엘펜타놀 0.1 0.1 0.1 0.1 0.1 0.1
카페인 0.1 0.1 0.1 0.1 0.1 0.1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 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 에테르 0.25 0.25 0.25 0.25 0.25 0.25
프로판디올 15 15 15 15 15 15
1,3-부틸렌글리콜 20 20 20 20 20 20
수용성 항산화제 0.2 0.2 0.2 0.2 0.2 0.2
pH 중화제 0.8 0.8 0.8 0.8 0.8 0.8
알코올(에탄올) 10 10 10 10 10 10
지용성 항산화제 0.2 0.2 0.2 0.2 0.2 0.2
PEG-60 수소화 카스터 오일 0.4 0.4 0.4 0.4 0.4 0.4
폴리솔베이트 60 0.4 0.4 0.4 0.4 0.4 0.4
옥틸도데세스-16 0.1 0.1 0.1 0.1 0.1 0.1
수분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성분
함량(wt%)
제조예 7 제조예 8 제조예 9 제조예 10 제조예 11 제조예 12
L-아스코르빈산 16 16 16 16 16 16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 0.05 0.1 0.15 0.1 0.1 0.1
치자황색색소 0.07 0.07 0.07 0.07 0.07 0.07
파프리카색소오일 0.0004 0.0004 0.0004 0.0004 0.0004 0.0004
옥틸 메톡시 신나메이트 - - - 0.02 - 0.04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 - - - 0.02 -
알란토인 0.1 0.1 0.1 0.1 0.1 0.1
디엘펜타놀 0.1 0.1 0.1 0.1 0.1 0.1
카페인 0.1 0.1 0.1 0.1 0.1 0.1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 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 에테르 0.25 0.25 0.25 0.25 0.25 0.25
프로판디올 15 15 15 15 15 15
1,3-부틸렌글리콜 15 15 15 15 15 15
수용성 항산화제 0.2 0.2 0.2 0.2 0.2 0.2
pH 중화제 0.8 0.8 0.8 0.8 0.8 0.8
알코올(에탄올) 10 10 10 10 10 10
지용성 항산화제 0.2 0.2 0.2 0.2 0.2 0.2
PEG-60 수소화 카스터 오일 0.4 0.4 0.4 0.4 0.4 0.4
폴리솔베이트 60 0.4 0.4 0.4 0.4 0.4 0.4
옥틸도데세스-16 0.1 0.1 0.1 0.1 0.1 0.1
수분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상기 [표 1] 및 [표 2]의 조성으로 혼합용액을 제조한 뒤, 자연탈포를 위해 방치하여 화장용 조성물을 제조했다. 이 때, 상기 [표 1] 및 [표 2]의 제조예 1 내지 12의 치자황색색소는 (주)엠에스씨에서 개발되고, 식품첨가물공전에 사용되는 '치자황색소 300'을 사용했다.
또한, 상기 [표 2]의 제조예7 내지 12의 파프리카색소오일은 (주)엠이스씨의 '유용성파프리카10만'을 사용했다.
<비교예>
성분
함량(wt%)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L-아스코르빈산 16 16 16 16 16 16 16 16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 - - - - - - - -
치자황색색소 0.07 0.07 0.07 0.07 0.07 0.07 0.07 0.07
알란토인 0.1 0.1 0.1 0.1 0.1 0.1 0.1 0.1
디엘펜타놀 0.1 0.1 0.1 0.1 0.1 0.1 0.1 0.1
카페인 0.1 0.1 0.1 0.1 0.1 0.1 0.1 0.1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 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 에테르 0.25 0.25 0.25 0.25 0.25 0.25 0.25 0.25
프로판디올 15 15 15 15 15 15 15 15
1,3-부틸렌글리콜 15 15 15 15 15 15 15 15
수용성 항산화제 0.2 0.2 0.2 0.2 0.2 0.2 0.2 0.2
pH 중화제 0.8 0.8 0.8 0.8 0.8 0.8 0.8 0.8
알코올(에탄올) 10 10 10 10 10 10 10 10
지용성 항산화제 0.2 0.2 0.2 0.2 0.2 0.2 0.2 0.2
PEG-60 수소화 카스터 오일 0.4 0.4 0.4 0.4 0.4 0.4 0.4 0.4
폴리솔베이트 60 0.4 0.4 0.4 0.4 0.4 0.4 0.4 0.4
옥틸도데세스-16 0.1 0.1 0.1 0.1 0.1 0.1 0.1 0.1
3-(4-메틸벤지리딘)-디엘-캄포 - 0.1 - - - - - -
옥시벤존 - - 0.1 - - - - -
아보벤존 - - - 0.1 - - - -
옥틸 살리실산염 - - - - 0.1 - - -
부티옥틸 살리실산염 - - - - - 0.1 - -
메톡시신나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
- - - - - - 0.1 -
페닐벤지미다졸설포닉산 - - - - - - - 0.1
수분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상기 [표 3]의 중량비를 갖는 혼합 용액을 상기 제조예와 같은 조건에서 자연탈포하여 화장용 조성물을 제조했다.
이 때, 비교예 1의 경우, 상기 제조예와 비교하여 별도의 안정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곤 상기 제조예와 동일한 조건에서 화장용 조성물을 제조했다.
또한, 비교예 2 내지 8의 경우, 각각 종래에 자외선에 대한 안정제로 사용되는 3-(4-메틸벤지리딘)-디엘-캄포(3-(4-methylbenzylidene)-dl-camphor), 옥시벤존(Oxybenzone), 아보벤존(Avobenzone), 옥틸 살리실산염(Octyl salicylate), 부티옥틸 살리실산염(Butyoctyl salicylate), 메톡시신나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methoxycinnamidopropyl hydroxysultaine ), 및 페닐벤지미다졸설포닉산(Phenylbenzimidazole sulfonic acid)를 순서대로 비교 안정제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곤 상기 제조예와 동일한 조건에서 화장용 조성물을 제조했다.
<실험예 1 - 자외선 분위기 하의 화장용 조성물 특성 평가>
상기 제조예 1 내지 12 및 상기 비교예 1 내지 8에 의해 제조된 화장용 조성물을 직경 20mm 및 높이 55mm의 투명 유리병에 95 부피%를 담은 뒤, UV등 30cm 아래 배치했다. 이 후, 25일간 상기 UV등의 전원을 연결하여 UV를 조사한 뒤, 상기 화장용 조성물들의 특성을 평가했다. 이 때, 상기 UV등은, 20W의 파워를 갖고, 580mm의 램프 길이를 갖는다.
이 때, 안정도 기준은 5점을 척도로 하였다. 상세하게는,
- 안정도 1 : 탈색의 정도가 90% 이상으로 탈색이 매우 심함
- 안정도 3 : 탈색정도가 50%에 가까움
- 안정도 5 : 색의 변화가 거의 없음
상기와 같은 기준으로 안정도를 측정했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12의 안정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구분 안정도 구분 안정도
제조예 1 4 제조예 7 5
제조예 2 5 제조예 8 5
제조예 3 5 제조예 9 5
제조예 4 5 제조예 10 5
제조예 5 5 제조예 11 5
제조예 6 5 제조예 12 5
상기 비교예 1 내지 8의 안정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구분 안정도 구분 안정도
비교예 1 0.1 비교예 5 2
비교예 2 3 비교예 6 2
비교예 3 3 비교예 7 1
비교예 4 2 비교예 8 1
상기 [표 4] 및 [표 5]를 참조하면,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에 해당하는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12는 평균 약 4.9의 높은 안정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아무런 안정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안정도가 0.1로 화장용 조성물의 변색이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다른 안정제들을 첨가한 비교예 2 내지 8 또한 저조한 안정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보조 안정제를 첨가한 제조예 4 내지 6 및 제조예 10 내지 12의 경우, 더욱 오랜시간 화장용 조성물의 색이 유지됨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L-아스코르빈산 및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에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을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안정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보조 안정화제를 더 포함할 경우, 안정화 특성이 더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자연광 분위기 하의 화장용 조성물 특성 평가>
상기 제조예 1 내지 12 및 상기 비교예 1 내지 8에 의해 제조된 화장용 조성물을 직경 20mm 및 높이 55mm의 투명 유리병에 95 부피%를 담은 뒤 14일 동안 자연광 에 노출시킨 뒤(창가에 배치함) 안정도를 측정했다. 안정도 평가 기준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다.
상기 제조예1 내지 12의 안정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6]와 같다.
구분 안정도 구분 안정도
제조예 1 3 제조예 7 4
제조예 2 4 제조예 8 5
제조예 3 5 제조예 9 5
제조예 4 4 제조예 10 5
제조예 5 4 제조예 11 5
제조예 6 4 제조예 12 5
상기 비교예 1 내지 8의 안정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7]와 같다.
구분 안정도 구분 안정도
비교예 1 0.1 비교예 5 2
비교예 2 3 비교예 6 2
비교예 3 3 비교예 7 1
비교예 4 2 비교예 8 1
상기 [표 6] 및 [표 7]을 참조하면,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에 해당하는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12는 평균 약 4.4의 높은 안정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아무런 안정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안정도가 0.1로 화장용 조성물의 변색이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다른 안정제들을 첨가한 비교예 2 내지 8 또한 저조한 안정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보조 안정제를 첨가한 제조예 4 내지 6 및 제조예 10 내지 12의 경우, 더 높은 안정도 값을 갖거나 더욱 오랜시간 화장용 조성물의 색이 유지됨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L-아스코르빈산 및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에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을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안정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보조 안정화제를 더 포함할 경우, 안정화 특성이 더 향상됨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L-아스코르빈산 및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L-아스코르빈산 및 천연색소가 안정화되도록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 (Ethylhexyl Methoxycrylene)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L-아스코르빈산은 1wt% 내지 25wt% 및 상기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 안정화제는 0.02wt% 내지 0.5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옥틸 메톡시 신나메이트(Octyl methoxy cinnamate) 및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soamyl p-Methoxycinnam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안정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가용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5. L-아스코르빈산은 1wt% 내지 25wt%, 에틸헥실 메톡시크릴렌 안정화제 0.02wt% 내지 0.5wt%, 천연색소 0.001 wt% 내지 0.2wt%, 및 잔여 수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보조 안정화제, 가용화제, 및 항산화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장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보조 안정화제는 0.2wt% 내지 0.4wt%, 상기 가용화제는 0.5wt% 내지 1.5wt% , 및 상기 항산화제는 1.0wt% 내지 2.0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20150038944A 2015-03-20 2015-03-20 화장용 조성물 KR20160112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944A KR20160112721A (ko) 2015-03-20 2015-03-20 화장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944A KR20160112721A (ko) 2015-03-20 2015-03-20 화장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721A true KR20160112721A (ko) 2016-09-28

Family

ID=57101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944A KR20160112721A (ko) 2015-03-20 2015-03-20 화장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272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835A (ko) * 2017-12-28 2019-07-08 김주호 일광 및 고온조건에 안정한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7403A (ko) * 2019-05-02 2020-11-11 (주)리즈케이 아스코르빈산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N115137657A (zh) * 2022-07-29 2022-10-04 上海百雀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化妆品栀子色素颜色稳定的组合物及其应用
FR3124389A1 (fr) * 2021-06-28 2022-12-30 L'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transparente avec acide ascorbique et filtre UV hydrosoluble
FR3141621A1 (fr) * 2022-11-04 2024-05-10 L'oreal Améliorer la photostabilité du composé thiopyridinone sans l'utilisation de filtres uv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835A (ko) * 2017-12-28 2019-07-08 김주호 일광 및 고온조건에 안정한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7403A (ko) * 2019-05-02 2020-11-11 (주)리즈케이 아스코르빈산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FR3124389A1 (fr) * 2021-06-28 2022-12-30 L'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transparente avec acide ascorbique et filtre UV hydrosoluble
WO2023275083A1 (en) * 2021-06-28 2023-01-05 L'oreal Transparent cosmetic composition with ascorbic acid and water-soluble uv screening agent
CN115137657A (zh) * 2022-07-29 2022-10-04 上海百雀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化妆品栀子色素颜色稳定的组合物及其应用
CN115137657B (zh) * 2022-07-29 2024-02-23 上海百雀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化妆品栀子色素颜色稳定的组合物及其应用
FR3141621A1 (fr) * 2022-11-04 2024-05-10 L'oreal Améliorer la photostabilité du composé thiopyridinone sans l'utilisation de filtres uv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2721A (ko) 화장용 조성물
KR100740393B1 (ko) 미녹시딜 함유 제제
KR101061289B1 (ko)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68288A (ko) 양육모제 조성물
KR101941881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772B1 (ko) 유화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6714768B (zh) O/w乳剂
KR20190076425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9023B1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6700A (ko) 유중수 형태의 투명한 자외선 차단 조성물
CN104640536A (zh) 摩斯型用于隔离紫外线的化妆品组合物
JP2021095354A (ja) 特定の成分の組合せを含む安定な組成物
CN108697600A (zh) 含羟基化二苯基甲烷衍生物的无水组合物
KR102322440B1 (ko) 내수성이 있는 무스형의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4341A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1687A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폴리다틴을 함유한 베이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393979B1 (ko) 페룰산과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7072915A (zh) O/w乳剂
KR20110078358A (ko) 저점도의 자외선 차단용 유액 조성물
KR20160111212A (ko) 알긴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6420A (ko) 소듐 디엔에이와 아스타잔틴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286079B1 (ko) 투명 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3456A (ko) 투명 고체 화장료
US20100303745A1 (en) Skin bronzer
KR20220162410A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