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456A - 투명 고체 화장료 - Google Patents

투명 고체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456A
KR20190103456A KR1020197024780A KR20197024780A KR20190103456A KR 20190103456 A KR20190103456 A KR 20190103456A KR 1020197024780 A KR1020197024780 A KR 1020197024780A KR 20197024780 A KR20197024780 A KR 20197024780A KR 20190103456 A KR20190103456 A KR 20190103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transparent solid
dibutyl
glutamide
solid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2895B1 (ko
Inventor
나나 아라히라
키요타카 카와이
Original Assignee
고큐 아르코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큐 아르코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큐 아르코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3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도포한 경우에 발색하는, 투명한 고체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포 후에 색이 변화하는 투명한 고체 화장료로서, 디부틸라우릴 글루타미드(GP-1) 및 디부틸 헥사노일 글루타미드(EB-21)를 포함하는 2종 이상의 아미노산계 겔화제를 포함하며, 투명 비율이 50% 이상인, 투명한 고체 화장료.

Description

투명 고체 화장료
본 발명은, 피부에 도포한 경우에 발색하는, 투명한 고체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 메이크업 화장료에서, 무색 또는 투명한 화장료로서 입술에의 도포 후에 발색하는 것이 시판되고 있다.
투명한 화장료로서, 입술에의 도포 후에 발색하는 화장료로는 「유어 립 온리 그로스(성분: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수첨 폴리이소부텐, 트리에틸헥사노인, 메톡시케이히산 에틸헥실, 디메틸실릴화 실리카, t-부틸메톡시 디벤조일메탄, 옥틸 도데카노일,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미드, 에틸 파라벤, 디부틸 에틸 헥사노일 글루타미드, 에틸 파라벤, 토코페롤,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2, 적색 218 호 (C.I. 번호 45410)로 이루어진 액상의 그로스)」등이 시판되고 있으나, 이것은 투명한 고체 화장료는 아니다.
또한, 입술에의 도포 후에 발색하는 립밤으로는 「유어 립 온리 밤(성분: 디 페닐 디메티콘, 옥틸 도데카놀, 트리에틸헥사노인, 이소노난산 트리사이클로데칸 메틸, 팔미틴산 덱스트린, 메톡시케이히산 에틸헥실,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2,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미드, 디부틸 에틸 헥사노일 글루타미드, t-부틸메톡시 디벤조일 메탄, 페녹시 에탄올, 토코페롤, 적색 218호(C.I. 번호 45410), 적색 104호, 청색 1호부터 이루어진 고체 화장료)」등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의 투명도는 매우 낮은 데다 경도가 높고, 피부에의 부착성이나 사용감에도 문제가있다.
나아가, 투명한 고체 화장료로서, 입술에의 도포 후에 발색하는 화장료로는, 중국산 제품(브랜드명: 카이리쥬메이)의 립밤이 시판되고 있으나, 이의 색상은 약간 노란색 기운을 가지고 있으며, 무색 투명하지 않다.
고체 화장료에서, 투과율이 높고 피부에의 도포 후에 색이 변하는 것을 즐기는 기호성이 높은 화장품이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고체 화장료에서, 보다 고도의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부착성이 좋은 고품질의 고체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장료에서 투명도를 높이는 성분에 대해 예의 연구를 진행하던 중,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미드(GP-1) 및 디부틸 헥사노일 글루타미드(EB-21)의 아미노산계 겔화제에 주목하고, 이들을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가 투명도 50% 이상이라는 고도의 무색 투명성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고, 더욱 연구를 진행 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 [1] ~ [11]에 관한 것이다.
[1] 도포 후에 색이 변화하는 투명한 고체 화장료로서,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미드(GP-1) 및 디부틸 헥사노일 글루타미드(EB-21)를 포함하는 2종 이상의 아미노산계 겔화제를 포함하며, 투과율이 50 % 이상인, 투명한 고체 화장료.
[2] 아미노산계 겔화제의 농도가 3 ~ 8% 인, [1]에 기재의 투명한 고체 화장료.
[3]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미드(GP-1) 및 디부틸 헥사노일 글루타미드(EB-21)의 배합 비율이, 75 : 25 ~ 40 : 60인, [1] 또는 [2]에 기재의 투명한 고체 화장료.
[4] 수용성 유기산을 더 포함하는,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투명한 고체 화장료.
[5] 수용성 유기산은, 0.1% 수용액의 pH가 3 이하의 산인,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투명한 고체 화장료.
[6] 수용성 유기산은, 옥살산, 말산, 구연산, 호박산, 인산 또는 유산인, [4] 또는 [5]에 기재의 투명한 고체 화장료.
[7] 수용성 유기산은, 구연산 또는 인산인, [4]~[6]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투명한 고체 화장료.
[8] 탄화수소 오일 및 유제를 더 포함하는, [1]~[7]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투명한 고체 화장료.
[9] 탄화수소 오일의 배합 비율이 25 ~ 75 중량%인, [8]에 기재의 투명한 고체 화장료.
[10] 탄화수소 오일은 수첨 폴리이소부텐인, [8] 또는 [9]에 기재의 투명한 고체 화장료.
[11] 유제는, 트리에틸헥사노인, 라우린산 헥실, 호박산 디에틸헥실,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실, 디에틸헥산산 네오펜틸 글리콜, 이소스테아린산 이소부틸, 에틸헥산 산 세틸, 팔미틴산 에틸헥실, 네오펜탄산 이소스테아릴, 디카프릴산 네오펜틸 알코올, 디이소노난산 네오펜틸 글리콜,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 글리세릴, 트리에틸헥사노인, 이소노난산 트리사이클로데칸 메틸, 트리에틸헥산산 트리메틸올 프로판, 옥틸도데칸올,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에틸헥실, 이소스테아린산, 스테아로일 옥시스테아린산 옥틸도데실, 디리놀렌산 디이소프로필, 트리이소스테아린,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트리메틸올 프로판, 테트라이소스테아린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2,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2, 헥사이소노난산 디펜타에리스리틸 또는 말산 디이소스테아릴인, [8]~[10]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투명한 고체 화장료.
도포 후에 색이 변화하는 투명한 고체 화장료의 소재로서 보다 높은 투명도를 나타내는 것을 구하는데 있어서,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미드(GP-1) 및 디부틸 헥사노일 글루타미드(EB-21)는 공업적 규모로 제조하는 경우의 취급이 어려운 물질이며, 또한, 최근 그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옥틸도데카놀 또는 세타놀과의 배합물(고급 알콜 공업 주식회사: AJK-OD2046 등)이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라고는 해도, 여전히 그 조제는 쉽지 않은 가운데, 그동안 해당 용도에는 사용된 것 없는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미드(GP-1) 및 디부틸 헥사노일 글루타미드(EB-21)를 굳이 배합함으로써 지금까지 없는 무색에서 50% 이상의 투명도를 가진 고체 화장료가 얻어진 것은 놀라운 일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동시에 부착성 및 사용감이 좋은 고체 화장료를 달성할 수도 있었다.
본 발명의 고체 화장료는, 겔화제의 농도에 따라 겔 강도를, 또한 아미노산 계 겔화제 간의 배합율을 조제하는 것에 의해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염료로서 특히 C.I. 번호가 45410 등의 플루오레세인계의 염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용성 유기산을 첨가함으로써, 염료의 플루오레세인 구조의 락톤 부분이 개환하고 카복실산으로 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무색 투명을 유지하며, 피부에의 도포 후에 착색할 수 있는 고품질의 고체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화장료에서는, 다양한 장식을 추가하는 것에 의해 이의 외관을 즐길 수 있는 고체 화장료로 할 수 있다.
[도 1] 도 1은, 유제로서 트리헥사노인, 탄화수소 오일로서, 수첨 폴리이소부텐을 이용한 실시예 1의 처방에서, 산의 첨가에 의한 효과를 비교한 도이다. 말산, 구연산, 호박산, 인산 및 젖산을 이용한 경우에는 무색이며, EDTA·2Na, 아스코르빈산, 이소노난산, 이소팔미틴산, 리놀레산, 이소스테아린산을 이용한 경우에는 적색을 나타냈다.
[도 2] 도 2는, 실시예 2에서 구연산의 유무에 따른 투명도의 차이를 비교 한 도이다. 구연산이 있는 경우에는 무색, 구연산 없는 경우에는 적색을 나타냈다.
[도 3] 도 3은 실시예 3에서 탄화수소 오일의 유무에 따른 투명도의 차이를 비교한 도이다. 탄화수소 오일이 없는 경우에는 백탁하고, 탄화수소 오일이 있는 경우에는 투명하였다. 또한, 도포 후는 적색을 나타냈다.
[도 4] 도 4는 실시예 4에서 트리에틸헥사노인과 수첨 폴리이소부텐의 배합 비율에 의한 투명도의 차이를 비교한 도이다. 트리에틸헥사노인과 수첨 폴리이소부텐의 배합 비율이 95 : 0 ~ 30 : 65의 경우는 거의 무색, 20 : 75 ~ 0 : 95의 경우에는 적색을 나타냈다.
[도 5] 도 5는, 실시예 5에서,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미드(GP-1) 및 디부틸 헥사노일 글루타미드(EB-21)의 배합 비율을 변화시켜, 겔 강도 및 투과율을 비교한 도이다. GP-1 : EB-21이 75 : 25 ~ 40 : 60의 경우에는 무색, 100 : 0, 25 : 75 및 0 : 100의 경우에는 청색을 나타냈다.
본 발명에서 유제로서는, 한정되지 않으나, 트리에틸헥사노인, 라우린산 헥실, 호박산 디에틸헥실,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실, 디에틸헥산산 네오펜틸 글리콜, 이소스테아린산 이소부틸, 에틸헥산산 세틸, 팔미틴산 에틸헥실, 네오펜탄산 이소스테아릴, 디카프릴산 네오펜틸 알코올, 디이소노난산 네오펜틸 글리콜,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 글리세릴, 트리에틸헥사노인, 이소노난산 트리사이클로데칸 메틸, 트리에틸헥산산 트리메틸올 프로판, 옥틸도데칸올,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에틸헥실, 이소스테아린산, 스테아로일 옥시스테아린산 옥틸도데실, 디리놀렌산 디이소프로필, 트리이소스테아린,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트리메틸올 프로판, 테트라이소스테아린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2,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2, 헥사이소노난산 디펜타에리스리틸,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아디핀산 디이소부틸, 에틸헥산산 헥실데실, 이소노난산 에틸헥실, 이소노난산 이소데실,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실,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린산 이소프로필(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스테아린산/로진산) 디펜타에리스리틸, 이소스테아린산 수첨 피마자유, 다이머 디리놀레산 수첨 피마자유, (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2/다이머 디리놀레산) 코폴리머,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2/다이머 디리놀레산)코폴리머, 다이머 디리놀레산(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 다이머 디리놀레산 다이머 디리놀레일 비스(피토스테릴/베헤닐/이소스테아릴), 다이머 디리놀레산 디(이소스테아릴, 피토스테릴), 다이머 디리놀레일 수첨 로진 축합물, 디이소 스테아린산 다이머 디리놀레일, 다이머 디리놀레산 다이머 디리놀레일, 라우로일 글루타민산 디(콜레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 라우로일 글루타민산 디(옥틸도데실/피토스테릴/베헤닐), 미리스토일 메틸 알라닌(피토스테릴/데실테트라데실), (디글리세린/디리놀레산/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코폴리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헥사노인, 라우린산 헥실, 호박산 디에틸헥실,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실, 디에틸헥산산 네오펜틸 글리콜, 이소스테아린산 이소부틸, 에틸헥산산 세틸, 팔미틴산 에틸헥실, 네오펜탄산 이소스테아릴, 디카프릴산 네오펜틸 알코올, 디이소노난산 네오펜틸 글리콜,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 글리세릴, 트리에틸헥사노인, 이소노난산 트리사이클로데칸 메틸, 트리에틸헥산산 트리메틸올 프로판, 옥틸도데칸올,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에틸헥실, 이소스테아린산, 스테아로일 옥시스테아린산 옥틸도데실, 디리놀렌산 디이소프로필, 트리이소스테아린,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트리메틸올 프로판, 테트라이소스테아린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2,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2, 헥사이소노난산 디펜타에리스리틸, 말산 디이소스테아릴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염료로서는, 한정되지 않으나, C. I. 번호가, C. I. 20170, C. I. 20470, C. I. 60725, C. I. 60730, C. I. 42090, C. I. 73015, C. I. 73000, C. I. 42052, C. I. 69825, C. I. 42090, C. I. 61520, C. I. 74160, C. I. 61570, C. I. 61565, C. I. 59040, C. I. 42095, C. I. 42053, C. I. 10020, C. I. 42085, C. I. 45350, C. I. 47005, C. I. 47000, C. I. 21090, C. I. 19140, C. I. 11680, C. I. 18950, C. I. 10316, C. I. 11380, C. I. 11390, C. I. 13065, C. I. 18820, C. I. 15985, C. I. 45370, C. I. 12075, C. I. 21110, C. I. 15510, C. I. 45425, C. I. 11725, C. I. 14600, C. I. 12100, C. I. 16255, C. I. 45410, C. I. 45440, C. I. 45100, C. I. 16185, C. I. 15850, C. I. 15585, C. I. 15630, C. I. 45170, C. I. 15800, C. I. 15880, C. I. 12120, C. I. 45380, C. I. 26100, C. I. 73360, C. I. 17200, C. I. 12085, C. I. 45430, C. I. 45190, C. I. 12315, C. I. 15865, C. I. 26105, C. I. 16155, C. I. 16150, C. I. 14700, C. I. 12140, C. I. 15620인 염료, 바람직하게는 C. I. 번호가, C. I. 45350, C. I. 45370, C. I. 45425, C. I. 45410, C. I. 45440, C. I. 45100, C. I. 45170, C. I. 45380, C. I. 45430, C. I. 45190인 플루오레세인계 염료, 가장 바람직하게는 C. I. 번호가 C. I. 45410인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료와 함께 사용되는 수용성 유기산으로는, 0.1% 수용액의 pH가 3 이하의 산이며,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무수 옥살산, 옥살산, 말산, 구연산, 호박산, 인산, 젖산, 글리콜산, 주석산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말산, 구연산, 호박산, 인산 또는 젖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말산, 구연산, 호박산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구연산 또는 인산이다.
또한, 수용성 유기산의 배합량은, 0.0001% ~ 5.0%이며, 바람직하게는 0.001% ~ 0.1%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탄화수소 오일이 사용된다. 탄화수소 오일은 한정되지 않으나, 수첨 폴리이소부텐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이의 중합도에 따라, 팔림(parleam) 18 또는 팔림 24를 사용할 수있다.
아미노산계 겔화제의 농도는 겔 강도, 피부 부착성 및 사용감 등의 관점에서 결정되는 바, 이의 농도로는, 3 ~ 8%가 바람직하다.
아미노산계 겔화제 간의 배합 비율은 투과율의 관점에서 결정되는 바, 그 배합 비율로는, GP-1 : EB-21이 75 : 25 ~ 40 : 6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실시예 1.
유제로서 트리헥사노인, 탄화수소 오일로서 수첨 폴리이소부텐을 이용한 이하의 처방에, 각종 산의 첨가에 의한 효과를 비교하였다.
성분표시명칭 중량%
1 트리에틸헥사노인 49.95
2 수첨폴리이소부텐 40.0
3 각종산 5.0
4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미드 3.75
5 디부틸 헥사노일 글루타미드 1.25
6 적218 0.05
도 1에 결과를 나타낸다.
말산, 구연산, 호박산, 인산 또는 젖산을 이용한 경우에 투명해졌다. 상기 결과보다 0.1% 수용액의 pH가 3 이하의 수용성 산에서 투명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립스틱을 제조하고, 발색이 생기지 않는 탄화수소 오일의 로트, 발색이 생기는 탄화수소 오일의 로트를 사용한 경우의 구연산의 유무에 따른 투명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성분표시명칭 중량%
1 트리에틸헥사노인 59.95
2 수첨폴리이소부텐 30.00
3 이소스테아린산 EX 6.00
4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미드 3.00
5 디부틸 헥사노일 글루타미드 1.00
6 적218 0.05
7 구연산 0.001
도 2에 결과를 나타낸다.
구연산을 이용함으로써, 투명한 립스틱을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얻어진 립스틱은 광택이 우수하고 매끄러운 사용감을 가지는 것이었다.
실시예 3.
이소스테아린산을 포함하는 이하의 처방에 따라 립스틱을 제조하고, 탄화수소 오일 또는/및 이소스테아린산을 포함하지 않는 립스틱과 투명도를 비교하였다.
성분표시명칭 중량%
탄화수소오일 및 이소스테아린산 없음 이소스테아린산 없음 이소스테아린산 있음
1 트리에틸헥사노인 94.45 49.95 49.95
2 수첨폴리이소부텐 - 45.0 40.0
3 이소스테아린산 - - 5.0
4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미드 3.75
5 디부틸 헥사노일 글루타미드 1.25
6 적218 0.05
도 3에 결과를 나타낸다.
탄화수소 오일인 수첨 이소부텐이 없는 경우, 립스틱은 백탁하였다. 또한, 이소스테아린산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조절가능하였지만, 이소스테아린산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미드 및 디부틸 헥사노일 글루타미드의 용해도가 증가하고, 투명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유제(트리에틸헥사노인(TOG))과 이소부텐의 배합 비율에 의한 투명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도 4에 결과를 나타낸다.
수첨 폴리이소부텐의 함유량이 25 ~ 75 중량%에서 투과율이 50 %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미드(GP-1) 및 디부틸 헥사노일 글루타미드(EB-21)의 배합 비율의 차이에 의한 겔 강도 및 투과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겔화제(GP-1:EB-21) = 75:25의 경우의 겔 강도
겔농도 겔강도
3% 유제에 의해서는 고화하지 않음
4% 거의 고화
5% 거의 고화
6% 고화
도 5에 결과를 나타낸다.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미드(GP-1) 및 디부틸 헥사노일 글루타미드 (EB-21)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투과율이 현저히 낮고,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미드 : 디부틸 헥사노일 글루타미드가 75 ~ 40% : 25 ~ 60%의 배합 비율인 경우 높은 투과율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1. 도포 후에 색이 변화하는 투명한 고체 화장료로서,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미드(GP-1) 및 디부틸 헥사노일 글루타미드(EB-21)를 포함하는 2종 이상의 아미노산계 겔화제를 포함하며, 투과율이 50 % 이상인, 투명한 고체 화장료.
  2. 제1항에 있어서,
    아미노산계 겔화제의 농도가 3 ~ 8% 인, 투명한 고체 화장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미드(GP-1) 및 디부틸 헥사노일 글루타미드(EB-21)의 배합 비율이, 75 : 25 ~ 40 : 60인, 투명한 고체 화장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유기산을 더 포함하는 투명한 고체 화장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유기산은, 0.1% 수용액의 pH가 3 이하의 산인, 투명한 고체 화장료.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수용성 유기산은, 옥살산, 말산, 구연산, 호박산, 인산 또는 젖산인, 투명한 고체 화장료.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유기산은, 구연산 또는 인산인, 투명한 고체 화장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화수소 오일 및 유제를 더 포함하는, 투명한 고체 화장료.
  9. 제8항에 있어서,
    탄화수소 오일의 배합 비율이 25 ~ 75 중량%인, 투명한 고체 화장료.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탄화수소 오일은 수첨 폴리이소부텐인, 투명한 고체 화장료.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제는, 트리에틸헥사노인, 라우린산 헥실, 호박산 디에틸헥실,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실, 디에틸헥산산 네오펜틸 글리콜, 이소스테아린산 이소부틸, 에틸헥산 산 세틸, 팔미틴산 에틸헥실, 네오펜탄산 이소스테아릴, 디카프릴산 네오펜틸 알코올, 디이소노난산 네오펜틸 글리콜,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 글리세릴, 트리에틸헥사노인, 이소노난산 트리사이클로데칸 메틸, 트리에틸헥산산 트리메틸올 프로판, 옥틸도데칸올,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에틸헥실, 이소스테아린산, 스테아로일 옥시스테아린산 옥틸도데실, 디리놀렌산 디이소프로필, 트리이소스테아린,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트리메틸올 프로판, 테트라이소스테아린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2,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2, 헥사이소노난산 디펜타에리스리틸 또는 말산 디이소스테아릴인, 투명한 고체 화장료.
KR1020197024780A 2017-01-25 2017-01-25 투명 고체 화장료 KR102152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02534 WO2018138802A1 (ja) 2017-01-25 2017-01-25 透明な固体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456A true KR20190103456A (ko) 2019-09-04
KR102152895B1 KR102152895B1 (ko) 2020-09-07

Family

ID=6297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780A KR102152895B1 (ko) 2017-01-25 2017-01-25 투명 고체 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405606A1 (ko)
EP (1) EP3574889A4 (ko)
JP (1) JP6738101B2 (ko)
KR (1) KR102152895B1 (ko)
CN (1) CN110225742A (ko)
WO (1) WO20181388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0711B1 (en) * 2016-10-24 2022-08-17 Ajinomoto Co., Inc. Gel composition
WO2020100968A1 (ja) * 2018-11-14 2020-05-22 味の素株式会社 N-アシル酸性アミノ酸ジアルキルアミドおよびアルキルアミンを含有する組成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591A (ko) * 2008-05-12 2010-12-30 고큐 아르코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사용감과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및 그 제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7612A (ja) * 2002-10-31 2004-08-05 Kansai Koso Kk 色変わり化粧料及びクレンジング用セット化粧料
JP2004285012A (ja) * 2003-03-24 2004-10-14 Kanebo Ltd 油性化粧料
JP2009114161A (ja) * 2007-11-05 2009-05-28 Assainir Inc ゲル化剤組成物を用いた透明基剤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WO2010128639A1 (ja) * 2009-05-08 2010-11-11 ロート製薬株式会社 油性組成物及び棒状製剤
JP5663111B1 (ja) * 2014-07-08 2015-02-04 高級アルコール工業株式会社 新規エステル化合物ならびにこれを含む化粧料および化粧品
JP2015221772A (ja) * 2014-05-23 2015-12-10 日光ケミカルズ株式会社 炭化水素油、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および皮膚外用剤
CN104352361B (zh) * 2014-11-20 2017-05-24 广州神采化妆品有限公司 一种可变色的透明唇膏及其制备方法
KR20160123845A (ko) * 2015-04-17 2016-10-26 (주)젠텍 복합 안료,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591A (ko) * 2008-05-12 2010-12-30 고큐 아르코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사용감과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및 그 제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74889A1 (en) 2019-12-04
KR102152895B1 (ko) 2020-09-07
EP3574889A4 (en) 2020-09-30
US20200405606A1 (en) 2020-12-31
JP6738101B2 (ja) 2020-08-12
CN110225742A (zh) 2019-09-10
WO2018138802A1 (ja) 2018-08-02
JPWO2018138802A1 (ja)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332251B2 (en) Moisturizing compositions for lip
KR20060130215A (ko)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
JP2008013464A (ja) エマルション組成物
US10792235B2 (en) Transparent oily solid cosmetics
JP2006193495A (ja) 化粧料
JP2019131492A (ja) 皮膚外用剤または化粧料
KR102188422B1 (ko) 유중수형(Water-in-oil) 타입의 입체적 형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3456A (ko) 투명 고체 화장료
EP3603614A1 (en) Solid premixed cosmetic preparation
KR20140078356A (ko) 즉각적인 피부톤 및 피부결 개선과 피부 결점 은폐가 가능한 액상형 화장료 조성물
EP3766477A1 (en) Solid-form cosmetic
JP2005187465A (ja) 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の高級脂肪酸エステルの塩を含む乳化された皮膚外用剤、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エステル塩の安定化方法
KR20180131337A (ko) W/o형 유화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프리믹스
JP5530058B2 (ja) カロテノイドが安定化された水性製剤
KR101957401B1 (ko) 화장료
JP4672328B2 (ja)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塩を含む皮膚外用剤、該皮膚外用剤の安定化方法および安定化剤
JP6169240B1 (ja) リノール酸含有組成物
US10555881B2 (en) Stabilization of nonionic polysaccharides with butylene glycol
JPWO2017179356A1 (ja) 過脂肪剤および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JP7246821B2 (ja) 油性化粧料
KR20210073522A (ko) 입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160071744A (ko)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827037A (zh) 透明固態式化妝品
WO2014069566A1 (ja) 皮膚外用組成物
WO2021256566A1 (ja) アスコルビン酸及び/又はその塩を含有する皮膚外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