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522A - 입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입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522A
KR20210073522A KR1020217010110A KR20217010110A KR20210073522A KR 20210073522 A KR20210073522 A KR 20210073522A KR 1020217010110 A KR1020217010110 A KR 1020217010110A KR 20217010110 A KR20217010110 A KR 20217010110A KR 20210073522 A KR20210073522 A KR 20210073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oil
cosmetic composition
lip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카코 이치카와
히데유키 야마키
토모미 쿠로미야
히사오 이토
Original Assignee
샤넬 파르퓜 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넬 파르퓜 보트 filed Critical 샤넬 파르퓜 보트
Publication of KR20210073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52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4Mixtures of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매끄러운 사용감을 갖고 윤기나며 사용될 수 있는 용기의 제한이 없고 추가적으로 색전달이 거의 없으면서 균일한 착색이 가능한 입술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내부 상 및 외부 상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내부 상은 A) 고화제를 용해시키지 않는 저-점도 오일 제제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상은 B) 상기 고화제; C) 상기 고화제를 용해시키는 고-점도 오일 제제; D) 90 ℃에서 성분 A의 저-점도 오일 제제를 용해시키지만 25 ℃에서는 용해시키지 않는 결합제 오일; 및 E) 착색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성분 A, B, C, D 및 E의 총량은 80 질량% 이상인, 입술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입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용도
본 발명은 입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입술에 도포된 립스틱과 같은 입술 화장품은 입술이 접촉하는 곳, 예컨대 컵에 때때로 색을 전달하여 남긴다. 색 전달은 입술이 접촉하는 곳을 얼룩지게 할 뿐만 아니라 입술 상의 착색 재료의 지속성을 손상시킨다. 따라서, 입술 화장품의 경우, 색 전달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갖는 조성물이 요구되고, 이러한 효과를 갖는 다양한 조성물을 위해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휘발성 용매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연구되었다. 휘발성 용매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휘발성 용매의 휘발시에, 착색 물질을 함유하는 비휘발성 성분이 입술에 붙어있어 색 전달이 쉽게 일어나지 않지만, 잠시 동안 도포 후에 입술 건조를 야기하는 경향이 있고 만족스러운 윤기를 부여하기 곤란하며 사용될 수 있는 용기가 제한되는 단점을 갖는다.
한편, 휘발성 용매를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이 또한 연구되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2 및 3).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은 2가지 유형의 오일 제제, 즉, 접착성 오일 및 점액성(oozing) 오일, 및 상기 점액성 오일과 혼합시에 90 ℃에서 분산되고 25 ℃에서 고화되는 왁스를 포함하되, 이 때 25 ℃에서 혼합시 상기 접착성 오일과 상기 점액성 오일이 분리되어 접착성 오일이 점액성 오일 중에 분산되는 입술용 고형 화장품을 제안한다. 이러한 입술용 고형 화장품은 접착성 오일을 함유하는 내부 상이 점액성 오일 및 왁스를 함유하는 외부 상에 분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이 때 왁스의 고체 구조는 입술에 도포될 때 붕괴되고, 2개의 별도 층, 즉, 접착성 오일과 왁스를 함유하며 입술에 더 근접해있는 층, 및 점액성 오일을 함유하는 층으로 입술에 부착된다, 이 조성물에서, 착색 물질은 그 안에 캡슐화될 접착성 오일에 의해 습윤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입술이 컵 등에 닿더라도, 표면층에 있는 점액성 오일이 컵에 부착되는 반면 착색 물질은 컵에 거의 부착되지 않아 색 전달을 방지한다.
인용 목록
특허 문헌
특허문헌 1: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5926896호
특허문헌 2: 국제공개공보 WO 2012/165130호
특허문헌 3: 국제공개공보 WO 2011/071148호
그러나, 종래 기술 시스템에서 왁스가 점액성 오일에 분산되기 때문에, 점액성 오일은 표면 위로 나오기 전에 왁스의 미세한 고체 구조를 붕괴시켜야 하고, 따라서 입술에 도포시 층으로 분리되는데 시간이 걸린다. 또한, 입술에 도포시 착색 물질이 내부 상에서 방출되기 때문에, 색이 입술 상에 불균일하게 위치하여 고르지 않게 되기 쉽다.
이러한 상황에서, 매끄러운 사용감을 갖고 윤기를 주며 사용되는 용기의 제한이 없고 색 전달이 거의 없어 균일한 색 도포를 가능하게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필요성이 여전히 있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입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1] 내부 상(inner phase) 및 외부 상(outer phase)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내부 상은
A) 고화제를 용해시키지 않는 저-점도 오일 제제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상은
B) 상기 고화제;
C) 상기 고화제를 용해시키는 고-점도 오일 제제;
D) 90 ℃에서 성분 A의 저-점도 오일 제제를 용해시키지만 25 ℃에서는 용해시키지 않는 결합제 오일; 및
E) 착색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성분 A, B, C, D 및 E의 총량은 80 질량% 이상인, 입술 화장료 조성물.
[2] [1]에 있어서, 성분 A가, 성분 A에 함유된 실록산 단위의 총 수의 50% 이상으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실록산 단위(들) (a) 또는 실록산 단위(들) (b)를 갖는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Figure pct00001
[3] [2]에 있어서, 성분 A가 실록산 단위 (a) 및 실록산 단위 (b)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4] [2] 또는 [3]에 있어서, 성분 A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실록산 단위 (c)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Figure pct00002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성분 A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페닐 디메티콘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Figure pct00003
상기에서, x + z는 2 내지 50 범위이고, 실록산 단위는 디페닐 디메티콘에서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 배열을 가질 수 있다.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25 ℃에서 측정된 성분 A의 점도가 5 내지 1000㎟/s 범위인, 조성물.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성분 D가 옥틸도데칸올, 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레이트, 디옥틸도데실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디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비스(헥실데실/옥틸도데실)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옥틸도데실 리시놀레에이트, 스쿠알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2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인 조성물.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성분 C 함량에 대한 성분 A 함량의 비(성분 A/성분 C)가 1.0(질량 기준)을 초과하고, 성분 C 함량에 대한 성분 D 함량의 비(성분 D/성분 C)가 0.1(질량 기준)을 초과하는 것인 조성물.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성분 A, B, C 및 D가 90 ℃에서 균질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인 조성물.
[10]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비-전달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본 발명은 휘발성 오일 제제가 없는 신규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매끄러운 사용감을 갖고 사용될 수 있는 용기의 제한이 없으며 색 전달이 거의 없는 입술 화장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특징에 부가하여, 입술에 도포시 윤기를 더 주고 균일한 색 도포를 가능하게 하는 입술 화장품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용도가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내부 상 및 외부 상을 포함하고, 이 때
상기 내부 상은
A) 고화제를 용해시키지 않는 저-점도 오일 제제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상은
B) 상기 고화제;
C) 상기 고화제를 용해시키는 고-점도 오일 제제;
D) 90 ℃에서 성분 A의 저-점도 오일 제제를 용해시키지만 25 ℃에서는 용해시키지 않는 결합제 오일; 및
E) 착색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성분 A, B, C, D 및 E의 총량은 80 질량% 이상이다.
본 발명자들은 고화제에 의해 고화되는 고-점도 오일 제제에 저-점도 오일 제제가 분산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고화제를 용해시키지 않는 저-점도 오일 제제를 사용하는 것을 생각해냈다.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이 수득될 수 있다면, 고화제가 저-점도 오일 제제에 분산되지 않기 때문에 입술에 도포시 층 분리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다. 또한, 착색 물질은 고-점도 오일 제제와의 혼화성이 높고, 고-점도 오일 제제와 함께 외부 상에 함유되므로, 고-점도 오일 제제와 착색 물질은 입술에 도포시 입술에 쉽게 부착될 수 있고 외부 상이 입술과 접촉하기 때문에 입술에 균일하게 색을 남길 수 있다.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저-점도 오일 제제, 고-점도 오일 제제 및 고화제를 결합시키는 결합제 오일이 필요하다. 저-점도 오일 제제를 90 ℃에서 용해시키지만 25 ℃에서 용해시키지 않는 임의의 결합제 오일이 전술한 구조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는데, 저-점도 오일 제제, 고-점도 오일 제제 및 고화제가 90 ℃에서 균질하게 혼합될 수 있는 반면, 저-점도 오일 제제를 함유하는 내부 상은 25 ℃에서 고-점도 오일 제제, 고화제 및 결합제 오일을 함유하는 외부 상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근거하여 수행되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하기와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고화제가 저-점도 오일 제제에 분산되지 않으므로 입술에 도포시 층 분리 속도가 빠르고; 착색 물질이 고-점도 오일 제제와의 혼화성이 높고 고-점도 오일 제제와 함께 외부 상에 함유되기 때문에 입술에 도포시 외부 상이 먼저 입술에 접촉되므로 고-점도 오일 제제 및 착색 물질이 입술에 쉽게 부착될 수 있고 색이 입술에 균일하게 남을 수 있다.
이하, 각 성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성분 A는 고화제를 용해시키지 않는 저-점도 오일 제제이다.
성분 A의 점도는 성분 C의 고-점도 오일 제제보다 낮은 점도를 갖는 액체 오일 제제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25 ℃에서 측정된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0 ㎟/s,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0 ㎟/s,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0 ㎟/s,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 ㎟/s 범위이다. 저-점도 오일 제제의 점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입술에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 시 층 분리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성분 A는 바람직하게는 성분 A에 함유된 실록산 단위의 총 수의 50% 이상으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실록산 단위(들) (a) 또는 실록산 단위(들) (b)를 갖는 실리콘 오일을 함유한다:
Figure pct00004
실록산 단위(들) (a) 또는 실록산 단위(들) (b)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성분 A에 함유된 실록산 단위의 총 수의 60%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성분 A에 함유된 실록산 단위의 총 수의 50% 이상으로 실록산 단위(들) (a) 또는 실록산 단위(들) (b)를 갖는 실리콘 오일은 고화제를 용해시키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내부 상을 형성할 수 있다.
성분 A로서 사용되는 실리콘 오일은 실록산 단위 (a) 및 실록산 단위 (b)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실록산 단위(들) (a)를 실록산 단위의 총 수의 50% 이상으로 그리고 실록산 단위(들) (b)를 실록산 단위의 총 수의 50% 미만으로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는 실록산 단위(들) (b)를 실록산 단위의 총 수의 50% 이상으로 그리고 실록산 단위(들) (a)를 실록산 단위의 총 수의 50% 미만으로 가질 수 있다.
성분 A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실록산 단위 (c)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Figure pct00005
이는, 실록산 단위 (a) 및 실록산 단위 (b)의 적어도 하나에 부가하여, 실록산 단위 (c)를 추가로 함유하여 실리콘 오일의 윤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고 윤기의 입술 화장품이 요구되는 경우, 실록산 단위 (c)를 함유하는 실리콘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성분 A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페닐 디메티콘은 바람직하게는 성분 A로 함유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6
상기에서, x + z는 2 내지 50 범위이고, 실록산 단위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반복되는 실록산 단위 (a)의 수 x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범위이다.
반복되는 실록산 단위 (c)의 수 z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범위이다.
반복되는 실록산 단위 (a) 및 (c)의 총 수 (x + z)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2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페닐 트리메틸 디메티콘은 바람직하게는 성분 A로서 함유된다:
Figure pct00007
상기에서, x + y는 2 내지 100 범위이고, 실록산 단위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반복되는 실록산 단위 (a)의 수 x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범위이다.
반복되는 실록산 단위 (b)의 수 y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범위이다.
실록산 단위 (a) 및 (b)의 반복 단위 x 및 y의 총 수 (x + y)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디페닐 페닐 트리메틸 실록산은 바람직하게는 성분 A로서 함유된다:
Figure pct00008
상기에서, y + z는 2 내지 21 범위이되, 단 y > z 이고, 실록산 단위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반복되는 실록산 단위 (b)의 수 y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범위이다.
반복되는 실록산 단위 (c)의 수 z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범위이다.
반복되는 실록산 단위 (b) 및 (c)의 총 수 (y + z)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성분 A는 실록산 단위 (a) 또는 실록산 단위 (b)를 단독으로 갖는 화학식 4 또는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디메티콘 또는 페닐 트리메티콘일 수 있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상기에서, x는 1 내지 60 범위이고 y는 1 내지 10 범위이다.
반복 단위의 수 x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범위이다.
반복 단위의 수 y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범위이다.
이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형이 성분 A로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성분 A의 함량은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질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질량%이다.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 B로서의 고화제는 입술 화장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성분 B로서 고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성분 C로서의 고-점도 오일 제제와 성분 D로서의 결합제 오일의 혼합 용액에 융점에서 용해되지만, 성분 A로서의 저-점도 오일 제제에는 용해되지 않으며, 실온(25 ℃)에서 고화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성분 B로서 고화제의 예는 고체 왁스(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왁스, 비드 왁스, 미정질 왁스, 고체 파라핀, 목랍(Japan wax),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미강 왁스, 경랍, 밀랍, 셸락 왁스), 금속 비누(예를 들어,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아연 스테아레이트, 아연 라우레이트, 아연 미리스테이트); 덱스트린 유도체(예를 들면,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에틸헥사노에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헥실데카노에이트,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 이눌린 유도체(예를 들어, 이눌린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예를 들어, 글리세릴 베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베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 글리세릴 트리베헤네이트/이소스테아레이트/에이코산디오에이트); 및 아미노산 유도체(예를 들어, 디부틸 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를 포함한다.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유형이 조합되어 성분 B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성분 B의 함량은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질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 C로서의 고-점도 오일 제제는 성분 B인 고화제를 용해시키고 성분 A인 저-점도 오일 제제보다 높은 점도를 가지는 액체 또는 반-고체(페이스트)오일 제제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성분 A인 저-점도 오일과 혼화화되지 않고 융점에서 성분 B인 고화제를 완전히 용해시키고 입술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한 오일 제제가 바람직하다.
성분 C로서 고-점도 오일 제제의 바람직한 예는 디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이소스테아레이트), 라놀린 에스테르, 피토스테아릴 마카다미아 너트 지방산, 바셀린,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콜레스테롤 유도체(예를 들어, 콜레스테릴 스테아레이트, 지방산 Cl0-30 콜레스테롤/라노스테롤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릴-5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수소화된 폴리이소부텐 및 피토스테릴/베헤닐 다이머 디리놀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유형이 조합하여 성분 C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성분 C의 함량은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질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질량%이다.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 D인 결합제 오일은 90 ℃에서 성분 A인 저-점도 오일 제제를 용해시키지만 25 ℃에서는 용해시키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성분 D로서 결합제 오일의 바람직한 예는 옥틸도데칸올, 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레이트, 디옥틸도데실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디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비스(헥실데실/옥틸도데실)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옥틸도데실 리시놀레에이트, 스쿠알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2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유형이 조합되어 성분 D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성분 D의 함량은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30 질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질량%이다.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 E로서의 착색 물질은 입술 화장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성분 E로서 착색 물질은 예를 들면, 수용성 또는 유용성 착색 제제, 조성물을 착색 및/또는 불투명화시키고/거나 입술을 착색시키는 효과를 갖는 필러, 예컨대 안료, 자개(mother-of-pearls), 래커(불활성 광물 지지체에 흡착되는 수용성 착색 제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착색 물질을 포함한다.
이들 착색 물질은 실란, 실리콘, 지방산 비누, C9-Cl5 플루오로알콜 포스페이트, 아크릴레이트/디메티콘 공중합체, 혼합된 C9-C15 플루오로알콜 포스페이트/실리콘 공중합체, 레시틴, 카르나우바 왁스, 폴리에틸렌, 키토산 및 선택적으로 아실화된 아미노산, 예컨대 라우로일 라이신, 디소듐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및 알루미늄 아실 글루타메이트와 같은 소수성 제제에 의해 선택적으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안료는 광물 또는 유기물, 천연물 또는 합성물일 수 있다.
안료의 예는 철, 티타늄 또는 아연 산화물뿐만 아니라 복합 안료 및 고니오크로마틱, 진주광택성, 간섭성, 광변색성 또는 감온성 안료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예는 가교결합된 폴리(메틸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로부터 그리고 유기 착색 제제로부터 제조된 반구형 복합 안료를 함유한다. 이러한 복합 안료는 특히 DAITO KASEI에서 시판된다.
자개는 운모/이산화티타늄 산물과 같이 입술 화장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들은 운모/실리카/이산화티타늄 기반,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fluorphlogopite)/이산화티타늄(MAPRECOS의 SUNSHINE(등록상표), 칼슘 소듐 보로실리케이트/이산화티타늄(ENGELHARD의 REFLECKS(등록상표)) 및 칼슘 알루미늄 보로실리케이트/실리카/이산화티타늄(MERCK의 RONASTAR(등록상표)) 기반의 자개일 수 있다.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유형이 조합하여 성분 E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성분 E의 함량은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질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질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서, 성분 A, B, C, D 및 E의 총량은 8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상이다. 필수 성분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있다면 비-전달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서 성분 C 함량에 대한 성분 A 함량의 비(성분 A/성분 C)는 바람직하게는 1.0 초과(질량 기준),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초과,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5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초과이다. 또한, 성분 A/성분 C는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미만이다. 성분 A와 성분 C의 비가 전술한 범위에 있다면 비-전달 효과를 얻기 위한 층 분리가 신속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성분 C 함량에 대한 성분 D 함량의 비(성분 D/성분 C)는 바람직하게는 0.1 초과(질량 기준),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초과,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5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0.7 초과이다. 또한, 성분 D/성분 C는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미만이다. 성분 C와 성분 D의 비가 전술한 범위에 있다면 균질 시스템은 90 ℃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서, 성분 A, B, C 및 D는 바람직하게는 90 ℃에서 균질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이다.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시에 이들 성분이 90 ℃에서 균질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면 심지어 고체 상태에서도 매우 균질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다른 오일 제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는 천연 오일, 탄화수소 오일, 에스테르 오일, 고급 알콜 및 지방산을 포함한다. 성분 A 및 B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성분 C 또는 D의 조합에 따라, 이들 오일 제제는 일부 경우에 성분 C 또는 D로서 사용될 수 있다.
천연 오일의 예는 아보카도 오일, 동백 오일, 거북 오일,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옥수수 오일, 밍크 오일, 올리브 오일, 유채유, 난황 오일, 참깨 오일, 행도유, 밀배아유, 동백 종자 오일(camellia oleifera seed oil), 피마자유, 아마유, 홍화유, 면실유, 들깨 오일, 대두유, 땅콩오일, 차종유, 카야 오일, 미강 오일, 중국 동유, 일본 동유, 호호바 오일, 호호바씨 오일, 쌀배아유, 메도우폼 오일, 코코넛 오일, 팜유, 팜핵유, 지방산, 즉 리놀레산, 리놀렌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수소화 코코넛 지방산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를 포함한다.
탄화수소 오일의 예는 알칸, 즉 파라핀(운데칸, 트리데칸, 경질 파라핀, 액체 파라핀), 이소파라핀(이소데칸,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경질 이소파라핀, 수소화 폴리이소부텐), 수소화 폴리데센, 스쿠알란, 프리스탄, 스쿠알렌, 시클로파라핀 및 코코넛 알칸을 포함한다.
에스테르 오일의 예는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 이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이소노나노에이트, 트리시클로데칸메틸 이소노나노에이트,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 헥실데실 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트리에틸 헥사노인),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트리데실 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이소세틸 미리스테이트, 디헥실데실 미리스테이트, 디에틸 세바케이트, 디에틸헥실 세바케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이소부틸 아디페이트, 디헥실데실 아디페이트, 이소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디스테아릴 말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2-에틸헥실 스테아레이트, 헥실데실 디메틸옥타노에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옥틸도데실 에루케이트, 이소부틸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헥실데실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 디에틸헥실 숙시네이트, 비스-에톡시디글리콜 숙시네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및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를 포함한다.
고급 알콜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개 이하인 것,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8개인 것이다. 예로는 이소스테아릴 알콜, 옥틸도데칸올, 올레일 알콜, 데실테트라데칸올 및 헥실데칸올을 포함한다.
지방산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개 이하인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20개인 것이다. 예로는 올레산, 이소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및 수소화 코코넛 지방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입술 화장품의 비-전달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소량의 휘발성 오일 제제(들)를 포함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지만, 성분 A, 성분 C, 성분 D 및 다른 오일성 성분은 비-휘발성 오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휘발성 오일 제제의 허용가능한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휘발성 오일 제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휘발성 오일 제제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윤기와 함께 사용시에 매끄러운 느낌을 가지며, 사용될 수 있는 용기에 대한 제한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입술에 도포시 양호한 층 분리 특성을 가지며 착색 물질이 고-점도 오일 제제와 함께 외부 상에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입술에 도포시 착색 물질이 입술에 쉽게 부착될 수 있고 입술에 균일하게 색을 남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단계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 성분 A, B, C 및 D가 균질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하는 온도에서 용기 내에서 성분 A, B, C, D 및 E를 가열하고, 그 결과물을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하는 단계; 및
(b) 필요시에 상기 단계에서 수득된 조성물을 탈포(defoamation)하고, 전술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결과물을 소정의 용기에 충진한 후 냉각시키는 단계.
단계 (a)에서 균질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한 성분 A, B, C 및 D의 온도는 예를 들어, 70 내지 120 ℃,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다.
단계 (b)에서 냉각 온도는 결과로 수득된 조성물이 고체 상태이도록 하는 온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30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 ℃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특별한 절차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술한 성분 이외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약학 제품, 의약외품 또는 화장품과 같은 피부 케어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는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선택적인 성분(들)으로서, 예를 들어 분말 성분(들), 계면활성제(들), 보조계면활성제(들), 보습제(들), 필름제(들), 증점제(들), 젤라틴화제(들), 무기 광물(들), 격리제(들), 다가 알콜(들), 단당류(들), 올리고당(들), 아미노산(들), 식물 추출물(들), 유기 아민(들), 중합체 에멀젼(들), 항산화제(들), 산화방지 보조제(들), 피부 영양 보충제(들), 비타민(들), 혈류 촉진제(들), 살균기(들), 소염(항염)제(들),, 세포(피부) 활성화제(들), 각질용해제(들), 토닉(들), 수렴제(들), 미백제(들), UV 흡수제(들), 변색(fading) 억제제(들), 보존제(들), 완충제(들) 및/또는 방향제(들)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함유될 수 있다. 이들 선택적인 성분은 목표로 하는 배합 형태 및 용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분말 성분의 예는 무기 분말(예를 들어, 활석, 카올린, 운모, 견운모, 백운모(muscovite), 금운모, 합성 운모, 딥 레드 운모(deep red mica), 흑운모(biotite), 질석, 탄산 마그네슘, 탄산 칼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바륨 실리케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스트론튬 실리케이트, 텅스텐산 금속염, 실리카, 제올라이트, 바륨 설페이트, 마그네슘 설페이트, 연소된 칼슘 설페이트(석고), 칼슘 포스페이트, 불소 아파타이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 분말, 금속 비누(예를 들어, 아연 미리스테이트, 칼슘 팔미테이트,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붕소 질화물); 유기 분말(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분말, 셀룰로오스 분말); 금속 분말 안료(예를 들어, 알루미늄 분말, 구리 분말), 유기 안료, 예컨대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및 천연 안료(예를 들면, 클로로필, β-카로틴)을 포함한다. 여기서, 분말 성분은 소수성 처리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지방산 비누(예를 들어, 소듐 라우레이트 및 소듐 팔미테이트); 고급 알킬 설페이트 염(예를 들어,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및 포타슘 라우릴 설페이트); 알킬에테르 설페이트 염(예를 들어, 트리에탄올아민 POE-라우릴 설페이트 및 POE-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N-아실 사르코신산(예를 들어, 소듐 라우로일사르코시네이트); 고급 지방산 아미드 설포네이트(예를 들어, 소듐 N-미리스토일-N-메틸 타우레이트, 소듐 코코일 메틸 타우라이드 및 소듐 라우릴 메틸타우라이드); 포스페이트 염(소듐 POE-올레일 에테르 포스페이트, POE-스테아릴 에테르 인산 등); 설포숙시네이트(예를 들어, 소듐 디-2-에틸헥실설포숙시네이트, 소듐 모노라우로일 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설포숙시네이트 및 소듐 라우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설포숙시네이트); 알킬 벤젠설포네이트(예를 들어, 선형 소듐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선형 트리에탄올아민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및 선형 도데실벤젠설폰산);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설페이트 염(예를 들어, 소듐 코코모노글리세라이드 설페이트); N-아실 글루타메이트(예를 들어, 모노소듐 N-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디소듐 N-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및 모노소듐 N-미리스틸-L-글루타메이트); 설페이트화 오일(예를 들어, 로드유(Turkey red oil)); POE-알킬에테르 카복실산; POE-알킬알릴에테르 카복실레이트; α-올레핀 설포네이트;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설포네이트; 2차 알콜 설페이트 에스테르 염; 고급 지방산 알킬올아미드 설페이트 에스테르 염; 소듐 라우로일 모노에탄올아미드 숙시네이트; 디에탄올아민 N-팔미토일 아스파르테이트; 및 소듐 카제인을 포함한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예를 들어,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알킬피리디늄 염(예를 들어,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디알킬디메틸암모늄 염; 폴리(N,N'-디메틸-3,5-메틸렌 피페리디늄)클로라이드; 알킬 4급 암모늄 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 염; 알킬이소퀴놀리늄 염; 디알킬모르폴륨 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민 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밀 알콜 지방산 유도체;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및 벤즈에티늄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이미다졸린계 양쪽성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소듐 2-운데실-N,N,N-(하이드록시에틸카복시메틸)-2-이미다졸린; 및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 하이드록사이드-1-카복시에틸옥시 디소듐 염); 및 베타인계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2-헵타데실-N-카복시메틸-N-하이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 아세테이트 베타인, 알킬 베타인, 아미드 베타인 및 설포베타인)을 포함한다.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 디글리세롤 소르비탄 펜타-2-에틸헥실레이트 및 디글리세롤 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레이트; 글리세릴 폴리글리세릴 지방산, 예컨대 글리세릴 모노-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릴 모노에루케이트, 글리세릴 세스퀴올레에이트,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α,α'-올레에이트 피로글루타메이트 및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말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모노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수소화 피마자 오일 유도체; 글리세린 알킬 에테르; 및 스테아레트-2를 포함한다.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POE-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및 POE-소르비탄 테트라올레에이트; POE 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POE-소르비톨 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톨 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톨 펜타올레이트 및 POE-소르비톨 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POE-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및 POE-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POE-모노올레에이트, 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레에이트 및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POE-알킬 에테르, 예컨대 POE-라우릴 에테르, POE-올레일 에테르, POE-스테아릴 에테르, POE-베헤닐 에테르, POE-2-옥틸도데실 에테르 및 POE-콜레스탄올 에테르; 플루로닉(Pluronic) 유형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플루로닉); POE-POP-알킬 에테르, 예컨대 POE-POP-세틸 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 POE-POP-모노부틸 에테르, POE-POP-수소화 라놀린 및 POE-POP-글리세린 에테르; 및 스테아레트-2l을 포함한다.
유용성 증점제가 증점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쇄에 실록산 결합을 갖고 실리콘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이 가교되거나 장쇄 탄화수소가 측쇄에 도입된 실리콘 유도체(예를 들어, (디메티콘/비닐 디메티콘) 가교 중합체, (디메티콘/페닐 비닐 디메티콘) 가교 중합체, (비닐 디메티콘/라우릴 디메티콘) 가교 중합체); 이중 쇄 장쇄 알킬 인산 에스테르의 알루미늄 염(예를 들어, 디헥사데실 포스페이트의 알루미늄 염); 레시틴; 무정형 실리카; l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적으로 개질된 점토 광물과 같은 점토 광물이 또한 증점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가 알콜의 예로는 2가 알콜,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1,2-부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2,3-부틸렌 글리콜, 펜타메틸렌 글리콜, 2-부텐-1,4-디올, 헥실렌 글리콜 및 옥틸렌 글리콜; 3가 알콜, 예컨대 글리세린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4가 알콜, 예컨대 펜타에리트리톨(예컨대, l,2,6-헥산트리올); 5가 알콜, 예컨대 자일리톨; 6가 알콜, 예컨대 소르비톨 및 만니톨; 다가 알콜 중합체, 예컨대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2가 알콜 알킬 에테르,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및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2가 알콜 알킬 에테르, 예컨대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및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2가 알콜 에테르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글리세롤 모노알킬 에테르, 예컨대 키밀 알콜, 세라킬 알콜 및 바틸 알콜; 및 당 알콜, 예컨대 소르비톨, 말티톨, 말토트리오스, 만니톨, 수크로스, 에리트리톨, 글루코스, 프럭토스, 전분 당, 말토스, 자일리토스, 및 전분 당의 환원 알콜을 포함한다.
항산화제의 예로는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유도체, 예컨대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및 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글루코시드,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소듐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및 아스코르빌 소르베이트; 토코페롤 및 이의 유도체, 예컨대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토코페릴 소르베이트 및 토코페롤의 기타 에스테르; 디부틸 하이드록시톨루엔(BHT) 및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BHA); 갈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유기 및/또는 무기 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자외선차단제의 예로는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예컨대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예를 들어, HOFFMANN LA ROCHE로부터 Parsol 1789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제품); 신남산 유도체, 예컨대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예를 들어, HOFFMANN LA ROCHE로부터 Parsol MCX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제품); 살리실레이트; 파라-아미노벤조산; 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벤조페논 유도체; 벤질리덴캄포 유도체, 예컨대 테레프탈릴리덴 디캄포 설폰산; 페닐벤즈이미다졸 유도체; 트리아진 유도체; 페닐벤조트리아졸 유도체; 및 안트라닐산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코팅될 수 있거나 캡슐화될 수 있다.
무기 자외선차단제의 예로는 코팅 또는 코팅되지 않은 금속 산화물로부터 형성된 안료 및 나노안료를 포함한다. 나노안료의 예로는 산화티탄, 산화철,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및 산화세륨 나노안료를 포함하며, 이들은 모두 UV 광보호제로 널리 알려져 있다.
살균소독제의 예로는 p-옥시벤조에이트 에스테르(예를 들어, 메틸파라벤 및 프로필파라벤) 및 페녹시에탄올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선택적인 성분으로서, 문헌[International Cosmetic compon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l3판, 2010년, 미국화장품협회(Personal Care Products Council) 출판]에서 언급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함유되는 이들 선택적인 성분의 양은 상기 선택적인 성분이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약학 제품, 의약외품, 화장품 등의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품 형태는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립스틱(스틱 타입, 크림 타입, 액체 타입 등), 립 글로스, 립 라이너 및 립 밤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표의 조성비는 질량비(단위: g)를 기준으로 한다,
<혼화성 시험 1>
고화제를 용해시키지 않는 저-점도 오일 제제를 찾기 위해 혼화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제조 공정: 각각의 오일 제제 및 고화제를 90 ℃에서 가열하고, 교반하여 혼합하고, 방치하여 두었을 때의 오일 혼합 상태를 관찰하였다. 2개의 균일하게 분리된 층에 의한 경계를 갖는 것은 "불용성"으로 평가되었다.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분 A는 응고제를 용해시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분 명칭 시험
실시예
1-1
시험
실시예
1-2
시험
실시예
1-3
시험
실시예
1-4
시험
실시예
1-5
비교예
1-6
비교예
1-7
성분 A 디페닐 디메티콘*1 80 80
디페닐 디메티콘*2 80
디메티콘*3 80
디메티콘*4 80
비교 성분 디페닐실록시 페닐 트리메티콘*5 80
트리메틸 펜타페닐 트리실록산*6 80
성분B 고화제*7 20 20 20 20 20 20 20
90 ℃에서 혼화성 불용성 불용성 불용성 불용성 불용성 용해성 용해성
* 1 실리콘 오일 KF-53 (Shin-Etsu Chemical)
* 2 실리콘 오일 KF-54 (Shin-Etsu Chemical)
* 3 실리콘 오일 KF-96-10cs (Shin-Etsu Chemical)
* 4 실리콘 오일 KF-96-20cs (Shin-Etsu Chemical)
* 5 실리콘 오일 KF-56A (Shin-Etsu Chemical)(화학식 3에서 y<z인 화합물, 성분 A에 해당하지 않음)
* 6 실리콘 오일 PH-1555 (Dow corning Toray)
* 7 고화제 LIP WAX PZ-80-20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합성 왁스 (INA Trading)
<혼화성 시험 2>
결합제 오일의 부재하에 90 ℃에서 고화제를 용해시키지 않는 저-점도 오일 제제와 함께 90 ℃에서 균질하게 용해되고 25 ℃에서는 분리되는 결합제 오일을 찾기 위해 혼화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제조 공정: 각각의 오일 제제를 90 ℃에서 가열하고, 교반하여 혼합하고, 방치하여 두었을 때의 오일 혼합 상태 및 25 ℃에서 이 오일 혼합물의 혼합 상태를 관찰하였다. 2개의 균일하게 분리된 층에 의한 경계를 갖는 것을 "분리"로 평가하고 경계없이 반투명 상태 또는 투명한 혼화 상태를 "균질"로 평가하였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분 D는 90 ℃에서 성분 A와 균질 상태로 있었고 25 ℃에서는 분리되어, 결합제 오일로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분 명칭 시험
실시예
2-1
시험
실시예
2-2
시험
실시예
2-3
시험
실시예
2-4
시험
실시예
2-5
비교예
2-6
비교예
2-7
성분A 디페닐 디메티콘*1 50 50 50
디페닐 디메티콘*2 50
디메티콘*3 50
디메티콘*4 50 50
성분D 옥틸도데칸올 50 50 50 50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50
비교
성분
트리에틸 헥사노인 50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50
90 ℃에서 혼화성 균질 균질 균질 균질 균질 균질 균질
25 ℃에서 혼화성 분리 분리 분리 분리 분리 균질 균질
* 1 실리콘 오일 KF-53 (Shin-Etsu Chemical)
* 2 실리콘 오일 KF-54 (Shin-Etsu Chemical)
* 3 실리콘 오일 KF-96-10cs (Shin-Etsu Chemical)
* 4 실리콘 오일 KF-96-20cs (Shin-Etsu Chemical)
<혼화성 시험 3>
분리시에 비-전달 및 윤기 효과를 부여하는 성분 A, 성분 D로부터 분리되는 고-점도 오일 제제인 성분 C, 및 90 ℃에서 성분 A와 성분 C가 균질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하는 결합제 오일인 성분 D의 적절한 비율을 알아내기 위해 3가지 성분의 혼합물을 준비하여 90 ℃에서의 혼화성 및 25 ℃에서의 분리를 관찰하였다.
제조 공정: 각각의 오일 제제를 90 ℃에서 가열하고,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이어서, 방치하여 두었을 때의 오일의 혼합 상태 및 25 ℃에서 이 오일 혼합물의 혼합 상태를 평가하되, 2개의 균일하게 분리된 층에 의한 경계를 갖는 것을 "분리"로 평가하고 경계없이 반투명 상태 또는 투명한 혼화 상태를 "균질"로 평가하였다. 2개 층으로 명백하게 분리되지 않지만 탁하고 용해되지 않은 상태를 "탁함"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가 표 3에 나타나있다.
시험 시험
실시예
3-1
시험
실시예
3-2
시험
실시예
3-3
시험
실시예
3-4
시험
실시예
3-5
시험
실시예
3-6
시험
실시예
3-7
시험
실시예
3-8
비교예
3-9
성분A 디페닐 디메티콘*1 10.0 12.0 14.0 16.0 18.0 20.0 22.0 24.0 26.0
성분C 디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이소스테아레이트) 5.0 5.0 5.0 5.0 5.0 5.0 5.0 5.0 5.0
성분D 옥틸도데칸올 20.0 18.0 16.0 14.0 12.0 10.0 8.0 6.0 4.0
90℃에서 혼화성 균질 균질 균질 균질 균질 균질 균질 균질 탁함
25℃에서 혼화성 분리 분리 분리 분리 분리 분리 분리 분리 분리
* 1 실리콘 오일 KF-53 (Shin-Etsu Chemical)
<혼화성 시험 4>
90 ℃에서의 혼화성 및 25 ℃에서의 분리를 관찰하기 위해 립스틱 배합물을 가정하여 고화제 및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은 단순 배합물을 준비하였다.
제조 공정: 각각의 오일 제제를 90 ℃에서 가열하고,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이어서, 방치하여 두었을 때의 오일 혼합 상태 및 25 ℃에서 이 오일 혼합물의 혼합 상태를 평가하되, 2개의 균일하게 분리된 층에 의한 경계를 갖는 것을 "분리"로 평가하고 경계없이 반투명 상태 또는 투명한 혼화 상태를 "균질"로 평가하였다. 2개 층으로 명백하게 분리되지 않지만 탁하고 용해되지 않은 상태를 "탁함"으로 평가하였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90 ℃에서 균질 상태 및 25 ℃에서 분리 상태를 제공하는 것은 시험 실시예의 블렌딩된 성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 실시예
4-1
비교예 4-2 비교예 4-3 비교예 4-4 비교예 4-5
성분A 디페닐 디메티콘*1 48 24 24 24 -
비교
성분
디페닐실록시 페닐 트리메티콘*5 - 24 24 24 48
성분C 디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이소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에이트 12 12 12 12 8
폴리글리세릴-5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 - 18 - -
수소화 폴리이소부텐 - - - 5 -
피토스테아릴/베헤닐 다이머 디리놀레에이트 - - - 13 -
성분D 옥틸도데칸올 18 18 - - 18
90℃에서 혼화성 균질 균질 분리 균질 균질
25℃에서 혼화성 분리 균질 분리 탁함 균질
* 1 실리콘 오일 KF-53 (Shin-Etsu Chemical)
* 5 실리콘 오일 KF-56A (Shin-Etsu Chemical)
<스팁 타입 립스틱의 배합 및 평가>
상기 수행된 혼화성 시험 4에 근거하여, 스틱 타입 립스틱을 준비하여 윤기, 비-전달 효과, 색 균일성 및 사용감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내었다.
립스틱의 제조 공정:
모든 성분들을 칭량한 후, 90 ℃에서 가열하고 이후에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하여 오일상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탈포후, 결과물을 립스틱 용기에 90 ℃에서 채우고 냉각시켜 시험용 스틱 타입 립스틱을 제공하였다.
평가 방법:
5명의 평가자가 다음과 같이 4등급 평가를 수행하였다.
+; 좋음
0; 중간
-; 나쁨
--; 매우 나쁨
시험 실시예
5-1
비교예 5-2 비교예 5-3 비교예 5-4 비교예 5-5
성분A 디페닐 디메티콘*1 48 24 24 24 -
비교
성분
디페닐실록시 페닐 트리메티콘*5 - 24 24 24 48
성분 C 디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이소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에이트 12 12 12 12 12
폴리글리세릴-5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 - 18 - -
수소화 폴리이소부텐 - - - 5 -
피토스테아릴/베헤닐 다이머 디리놀레에이트 - - - 13 -
성분 D 옥틸도데칸올 18 18 - - 18
성분 B 고화제*7 8 8 8 8 8
성분 E 착색 물질*8 4 4 4 4 4
윤기 + - -- 0 0
비-전달 효과 + - 0 - --
색 균일성 + 0 -- -- -
사용감 + 0 - 0 0
* 1 실리콘 오일 KF-53 (Shin-Etsu Chemical)
* 5 실리콘 오일 KF-56A (Shin-Etsu Chemical)
* 7 고화제 LIP WAX PZ-80-20:(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 합성 왁스 (INA Trading)
* 8 착색 물질 Red 202
표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 실시예 5-1, 즉 본 발명에 따른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높은 윤기, 높은 비-전달 효과를 제공하였으며, 색 불균일이 없고, 균질했고 도포시 매끄러운 사용감을 가졌다.
반면에, 비교예는 평가 항목들 중 어떠한 항목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를 제공하지 않았고, 특히 색 균일성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불량한 평가를 제공하였다.
<크림 타입 립스틱의 배합 및 평가>
크림 타입 립스틱을 하기와 같이 준비하여, 윤기, 비-전달 효과, 색 균일성 및 사용감을 확인하였다. 결과는 양호한 윤기, 비-전달 효과 및 도포 시 매끄러운 사용감, 및 불균일이 없는 균일한 도포를 보여주었다.
립스틱의 제조 공정:
모든 성분들을 칭량한 후, 90 ℃에서 가열하고 이후에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하여 오일상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탈포후, 결과물을 90 ℃에서 립스틱 용기에 채운 후 냉각시켜 시험용 크림 타입 립스틱을 제공하였다.
성분 A 디페닐 디메티콘*1 46.5
성분 B LIP WAX PZ-80-20*7 5.0
성분 C 디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이소스테아레이트)
10.0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에이트 14.0
성분 D 옥틸도데칸올 18.0
성분 E Red 202 4.0
Pearl 안료 GOLD*8 0.5
Pearl 안료 RED*9 0.5
선택
성분
보존제: 페녹시에탄올 0.8
유기-개질된 점토 광물: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1.0
향료 0.2
* 1 실리콘 오일 KF-53 (Shin-Etsu Chemical)
* 7 LIP WAX PZ-80-20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 및 합성 왁스 (GNA Trading)
* 8 진주 안료 GOLD TIMIRON SUPER GOLD (Merck)
* 9 진주 안료 RED RONASTAR RED (Merck)

Claims (10)

  1. 내부 상(inner phase) 및 외부 상(outer phase)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내부 상은
    A) 고화제를 용해시키지 않는 저-점도 오일 제제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상은
    B) 상기 고화제;
    C) 상기 고화제를 용해시키는 고-점도 오일 제제;
    D) 90 ℃에서 성분 A의 저-점도 오일 제제를 용해시키지만 25 ℃에서는 용해시키지 않는 결합제 오일; 및
    E) 착색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성분 A, B, C, D 및 E의 총량은 80 질량% 이상인, 입술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가, 성분 A에 함유된 실록산 단위의 총 수의 50% 이상으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실록산 단위(들) (a) 또는 실록산 단위(들) (b)를 갖는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Figure pct00011
  3.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 A가 실록산 단위 (a) 및 실록산 단위 (b)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성분 A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실록산 단위 (c)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Figure pct00012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페닐 디메티콘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00013

    상기에서, x + z는 2 내지 50 범위이고, 실록산 단위는 디페닐 디메티콘에서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 배열을 가질 수 있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5 ℃에서 측정된 성분 A의 점도가 5 내지 1000㎟/s 범위인 것인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D가 옥틸도데칸올, 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레이트, 디옥틸도데실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디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비스(헥실데실/옥틸도데실)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옥틸도데실 리시놀레에이트, 스쿠알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2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인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C 함량에 대한 성분 A 함량의 비(성분 A/성분 C)가 1.0(질량 기준)을 초과하고, 성분 C에 대한 성분 D 함량의 비(성분 D/성분 C)가 0.1(질량 기준)을 초과하는 것인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 B, C 및 D가 90 ℃에서 균질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인 조성물.
  10.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비-전달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조성물의 용도.
KR1020217010110A 2018-10-10 2019-10-10 입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2100735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91852 2018-10-10
JP2018191852A JP7282498B2 (ja) 2018-10-10 2018-10-10 口唇化粧料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PCT/JP2019/041233 WO2020075875A1 (en) 2018-10-10 2019-10-10 Lip cosmetic composition and us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522A true KR20210073522A (ko) 2021-06-18

Family

ID=6854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110A KR20210073522A (ko) 2018-10-10 2019-10-10 입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78940A1 (ko)
EP (1) EP3863595B1 (ko)
JP (1) JP7282498B2 (ko)
KR (1) KR20210073522A (ko)
CN (1) CN113271914A (ko)
WO (1) WO2020075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4364A (zh) * 2022-07-21 2022-10-11 中山市美源化妆品有限公司 一种抗转移抗污染亮光口红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6896B2 (ja) 1976-05-19 1984-07-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ハロゲン濃度計
US20060013790A1 (en) * 2004-07-16 2006-01-19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defined silicone polymer and a gelling agent
US8580283B2 (en) * 2006-12-20 2013-11-12 Avon Products, Inc. Gel-based lipstick having improved rheology
EP2298273B1 (en) * 2008-06-12 2022-06-01 Shiseido Company, Ltd. Oil-in-oil type cosmetic preparation
ES2645713T3 (es) 2009-12-11 2017-12-07 Shiseido Company, Ltd. Cosmética labial
JP5280490B2 (ja) 2011-06-01 2013-09-04 株式会社 資生堂 唇用固形化粧料
KR20180000738A (ko) * 2015-06-25 2018-01-03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묻어남 방지 화장용 조성물
CN107496201A (zh) * 2017-09-09 2017-12-22 上海禾雅化妆品有限公司 一种乳化口红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271914A (zh) 2021-08-17
US20210378940A1 (en) 2021-12-09
WO2020075875A1 (en) 2020-04-16
JP7282498B2 (ja) 2023-05-29
EP3863595A1 (en) 2021-08-18
JP2020059672A (ja) 2020-04-16
EP3863595B1 (en) 202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0001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RU2672915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губ в форме обратной эмульсии, содержащей влагоудерживающее вещество, и способ ухода за губами с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JP7431208B2 (ja) ペラルゴン酸エステルを含む親油性化粧品用組成物
US11123269B2 (en) Transparent solid composition
US11039994B2 (en) Mixtures of pelargonic acid esters
US11123274B2 (e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diglycerol tetrapelargonate
EP3863595B1 (en) Lip cosmetic composition
JP2018203625A (ja) W/o型乳化物およびこれを製造するためのプレミックス
BR112015031661B1 (pt) composição em forma de emulsão e processo cosmético para tratar uma matéria queratínica
US20200046613A1 (en) A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fatty acid-based gelling agent and a polyamide
KR101815127B1 (ko)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915642A1 (en) Novel composite body and emulsion composition
JP2022063984A (ja) 水中油型乳化固形化粧料
US11197806B2 (en)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fatty acid-based gelling agent and a co-gelling agent
JP7193399B2 (ja) 口唇化粧料
WO2024083569A1 (en) Makeup and/or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volatile solvent, a particular polyester, an alkylcellulose and a dyestuff, and process using same
JP2018203741A (ja) W/o型乳化物およびこれを製造するためのプレミ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