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0394A - 히알루로네이트 및 글루코만난의 중합체 - Google Patents
히알루로네이트 및 글루코만난의 중합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70394A KR20150070394A KR1020157013284A KR20157013284A KR20150070394A KR 20150070394 A KR20150070394 A KR 20150070394A KR 1020157013284 A KR1020157013284 A KR 1020157013284A KR 20157013284 A KR20157013284 A KR 20157013284A KR 20150070394 A KR20150070394 A KR 201500703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yaluronate
- glucomannan
- sphere
- polymer
- ph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6—Glucomannans or galactomannans, e.g. locust bean gum, guar gu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8—Cross-linked polysacchar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Explicitly spheroidal or spherical sha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36—Polysaccharides, e.g. gums, alginate; Cyclodextr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 C08B37/0072—Hyaluronic acid, i.e. HA or hyaluronan; Derivatives thereof, e.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lan) or hyaluron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87—Glucomannans or galactomannans; Tara or tara gum, i.e. D-mannose and D-galactose units, e.g. from Cesalpinia spinosa; Tamarind gum, i.e. D-galactose, D-glucose and D-xylose units, e.g. from Tamarindus indica; Gum Arabic, i.e. L-arabinose, L-rhamnose, D-galactose and D-glucuronic acid units, e.g. from Acacia Senegal or Acacia Seyal; Derivative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87—Glucomannans or galactomannans; Tara or tara gum, i.e. D-mannose and D-galactose units, e.g. from Cesalpinia spinosa; Tamarind gum, i.e. D-galactose, D-glucose and D-xylose units, e.g. from Tamarindus indica; Gum Arabic, i.e. L-arabinose, L-rhamnose, D-galactose and D-glucuronic acid units, e.g. from Acacia Senegal or Acacia Seyal;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9—Konjac gum or konjac mannan, i.e. beta-D-glucose and beta-D-mannose units linked by 1,4 bonds, e.g. from Amorphophallus species; Derivative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08J3/246—Intercrosslinking of at least two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6—Swellable particulate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01/00 or C08J2303/00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01/00 or C08J2303/00
- C08J230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 및 선행 기술의 구체 (히알루론산 단독을 기재로 하는, 필링 스피어스™ 히알루론산 구체)에 대한 시간의 함수로서 흡착-탈착 등온선 (백분율로서의 중량 변화 및 %로서의 상대 습도)을 나타내고;
도 3은 선행 기술의 필링 스피어스™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 단독을 기재로 하는, 필링 스피어스™ 히알루론산)으로 처리된 인간 피부의 절편 (도 3의 (a)) 및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본 발명에 따른 구체로 처리된 생검 (도 3의 (b))의 공초점 현미경 화상을 나타내고;
도 4는 6배 (X6)에서의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본 발명의 구체의 필링 아웃의 광학 현미경 사진을 나타내고: 상부 화상은 본 발명의 탈수된 구체를 나타내고, 하부 화상은 순수 물 및 메틸렌 블루를 사용하여 재수화된 본 발명의 구체를 나타내고;
도 5는 실시예 1의 구체의 중합체에 대해 수득된 13C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실시예:
실시예 1: 초저분자량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10 내지 40 kDa 포함)를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구체의 제조 방법.
가교제로서의 테레프탈산 이염화물의 존재 하에,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및 곤약 글루코만난으로부터 출발하여 계면 가교 중합에 의해 마이크로구체를 수득하였다.
1) 곤약 글루코만난 및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의 수용액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0 g의 저분자량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10 내지 40 kDa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짐), 0.25 g의 곤약 글루코만난 (200 내지 2000 kDa 범위의 분자량을 가짐) 및 4.8 g의 중탄산나트륨 완충제를 100 g의 탈염수에 현탁시켰다.
2) 에멀젼의 제조: 1)에서 생성된 수용액을 300 mL의 헥실 라우레이트 및 6 mL의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를 포함하는 유성 상에 유화시켰다.
구체에 관한 원하는 크기에 따라, 기계적 교반기 (100 내지 900 ㎛ 범위의 크기) 또는 울트라-투락스(Ultra-Turax)™ (5 내지 100 ㎛ 범위의 크기)를 사용하여, 이 경우에 울트라-투락스™를 사용하여, 교반을 수행하였다.
3) 형성된 구체의 가교: 400 ml의 헥실 라우레이트 및 20 g의 테레프탈산 이염화물을 포함하는 유성 상을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산 이염화물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유성 상을 교반하면서 2)에 기재된 에멀젼에 첨가하였다.
이를 90분 동안 교반하여 한편으로는 활성화 이산과, 다른 한편으로는 폴리사카라이드의 알콜 관능기 사이에 중합을 유발하도록 하였다. 이 반응은 염기성 매질 (pH 8.6)에서 유리하며, 따라서 가교가 충분하기 전에는 비교적 오랜 반응 시간이 필요하였다. 10 그램의 중합체를 수득하였다. 따라서 반응의 수율은 100%이었다.
4) 구체의 제시: 반응 후, 구체를 그의 크기에 따라, 경사에 의해 또는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하였다. 이들을 수회 세척한 다음에 동결건조에 의해 5% 내지 15%의 물 함량으로 탈수하였다.
5) 그 다음에 이들을 오일에, 예를 들어 0.2 중량%의 양으로 현탁시킨 다음에, 그대로 사용하거나 다른 화장품 또는 피부과용 성분과 함께 사용하였다.
수득된 마이크로구체는 도 1에 나타냈다. 마이크로구체의 입도분포를 마스터사이저™ 3000 (맬번) 기기를 사용하여 레이저 회절에 의해 측정하였고 구체는 39.01 ㎛의 D90 직경을 가졌다.
실시예 2: 저분자량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중량 평균 분자량 = 100 kDa)를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구체의 제조 방법.
pH 8.66에서 6.8 g의 저분자량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100 kDa의 중량 평균 분자량)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예 1의 프로토콜을 수행하였다. 수득된 중합체의 양은 5.2 g이었다. 따라서 반응의 수율은 69%이었다.
저분자량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중량 평균 분자량 = 100 kDa)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구체를 또한 수득하였나, 초저분자량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실시예 1)를 사용하여 수득된 것과 비교하였고, 반응의 수율은 더 낮았으며, 따라서 산업상 덜 관심을 끌었다. 더욱이, 수용액 중 가용화된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의 양은 더 적었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글루코만난 및 고분자량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중량 평균 분자량: 1500kDa-3000 kDa)의 구체의 제조.
pH 8.56에서 1 g의 고분자량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1500 kDa-3000 kDa의 중량 평균 분자량)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예 1의 프로토콜을 수행하였다.
생성 방법은 수행하기가 매우 곤란하였고 수득된 구체는 쉽게 파손되었다.
비교 실시예 1: 글루코만난 중합체의 구체의 제조:
0.5 g의 곤약 글루코만난 또는 1 g의 곤약 글루코만난 중 하나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예 1의 프로토콜을 수행하였다.
가교의 증거를 나타내는, 글루코만난 단독을 기재로 하는 마이크로구체를 수득하였으나, 이들은 원심분리, 세척 및 수화 단계에 의해 파괴되었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구체의 흡수 능력 및 필링 아웃 능력의 연구
원리: 이 연구는 물 흡수 및 필링 아웃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2개의 파라미터를 측정함으로써 시험관내에서 본 발명의 구체의 팽윤력을 정량할 목적이었다.
0.2 g의 구체에 의해 흡수된 물의 양;
0.2 g의 탈수된 구체에 대해, 수화된/탈수된 구체의 부피의 비, 또는 필링 아웃의 정도.
프로토콜:
0.2 g 양의 탈수된 구체를 용기의 무게를 잰 (테어(Tare)) 시험관에 도입하였다. 침강 분말의 건조 높이 (H건조)를 측정하였다.
10 ml 양의 증류수를 시린지를 사용하여 첨가하였다. 관을 볼텍스 교반하에 교반하였다 (최대 속도). 구체를 대략 1시간 동안 필링 아웃하였다. 볼텍스 교반을 수행하여 균질화한 다음에, 관을 4분 동안 4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였다. 과잉의 물을 흡입제거하였다. 구체에 의해 흡수된 물의 양 (Q물)을 하기 식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Q물 = Mtot - 테어 - 0.2
여기서, Mtot = 관의 질량 + 수화된 구체의 잔류물.
재수화된 구체에 의해 형성된 겔의 높이 (H습윤)를 측정하였다.
물 흡수 능력은 Q물과 탈수된 구체의 질량 (0.2 g) 사이의 비에 상응하였다.
필링 아웃의 정도는 H건조와 H습윤 사이의 비에 상응하였다.
시험을 6회 수행하였다.
(i) 실시예 1에 따라 수득된 본 발명에 따른 0.2 g의 탈수된 구체, (ii) 0.2 g의 필링 스피어스™ 히알루론산 및 (iii) 실시예 1에 규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HA 구체로서 공지된 본 발명의 구체에 대해 동일한 히알루로네이트 (10 g의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를 사용하여 수득된, 글루코만난 없이 0.2 g의 탈수된 히알루로네이트 구체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필링 스피어스™ 히알루론산은 본 출원인에 의해 판매되고,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계면 가교에 의해, 고분자량 히알루로네이트 (250 kDa 내지 3 MDa) 단독으로부터 수득하였다.
결과: 수득된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제시하였다.
<표 1>
0.2 g의 구체에 의해 흡수된 물의 양
평균 ± 표준 편차, n=6
** : 필링 스피어스™ 히알루론산에 대한 통계상 유의성, p<0.01
결론: 본 발명의 중합체는 물을 그의 중량의 24배까지; 즉 필링 스피어스™ 히알루론산보다 1.4배 더 흡수할 수 있었다.
<표 2>
필링 아웃의 정도
평균 ± 표준 편차, n=6
** : 필링 스피어스™ 히알루론산에 대한 통계상 유의성, p<0.01
결론:
본 발명의 중합체는 필링 아웃력이, 필링 스피어스™ 히알루론산의 것보다 4배 더 높으며, HA 구체, 즉 어떠한 글루코만난도 포함하지 않는 동일한 히알루로네이트 중합체의 구체의 것보다 2.8배 더 높았다.
실시예 5: 동적 증기 흡착에 의해 측정된 흡수 능력
원리: 본 연구는 0 내지 90%의 상이한 상대 습도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중합체의 중량의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시험관내에서 중합체의 물 보류 능력을 정량화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프로토콜: 탈수된 형태의 5 mg의 구체를 고 성능 열천칭에 도입하였다. 25℃에서, 불활성 기체 (질소)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0%의 상대 습도에서 60℃에서 120분 동안 챔버를 예비-건조시켰다. 그 다음, 습도의 단계를 10% 내지 90% 그 다음에 90% 내지 10%로 프로그래밍하였다. 각각의 단계에서 120분의 평형 시간을 허용하였다. (i) 실시예 1에 따라 수득된 본 발명의 구체에 대해, 및 (ii) 필링 스피어스™ 히알루론산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과:
수득된 결과를 도 2에 제시하였다.
상대 습도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에서, 최고 곡선은 본 발명의 구체를 나타내고, 최저 곡선은 필링 스피어스™ 히알루론산을 나타낸다.
도 2의 그래프는 테레프탈산 이염화물을 사용하여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것들보다 본 발명의 구체가 더 양호한 물 보류 능력을 가짐을 나타낸다.
최대 상대 습도점 (90%)에서, 본 발명의 중합체의 마이크로구체에 의해 수득된 값은 필링 스피어스™ 히알루론산 중합체의 것보다 20% 더 높았다.
실시예 6: 피부 생검에 대한 생체외 시험을 사용한 각질층의 팽윤
목적: 인간 생검에 대한 생체외 시험에 의해 본 발명의 중합체의 팽윤력을 입증하기 위해, 특히 실시예 1에 따라 수득된 구체의 팽윤력을, 필링 스피어스™ 히알루론산과 비교하였다.
원리: 인간 피부의 조직학 절편상에서 그의 두께를 측정함으로써 각질층의 팽윤을 결정하였다.
각질층의 두께 변화의 정량적 평가 뿐만 아니라 가시화의 신규 방법을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프로토콜: 인간 생검을 정상 상대 습도 조건 (44%) 하에 대략 16시간 동안 배치하여 피부를 평형화하도록 하였다.
피부를, 한편으로는 특히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로,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필링 스피어스™ 히알루론산으로, 4 mg/㎠ 피부의 양으로 처리한 후, 세포의 대략 15개 층에 의해 구성된 각질층의 두께를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 및 필링 스피어스™ 히알루론산은 각각 0.2%의 양으로 유성 지지체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중의 현탁액 중 탈수된 구체의 형태이었다.
제어된 분위기 중에서, 즉 44%에서 고정된 상대 습도에서 4시간 동안 인간 생검을 두 제품으로 처리하였다.
처리의 종료시에, 생검을 동결시키고 액체 질소에서 보관하였다. 10 ㎛ 절편을 생성시킨 다음에 준비하여 TCS-SP2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각질층의 두께를 절편당 5회 측정으로, 생검당 10개의 절편에 대해 관찰하였다. 레이카(Leica)™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형광성을 정량화하였다.
각질층의 두께의 측정에 관해 수득된 평균에 대하여, 본 발명의 구체와 필링 스피어스™ 히알루론산 사이의 비교를 스튜던트 t 검정(Student t test) (유의성 ***: p < 0.001)을 사용하여 통계학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결과를 하기 표 및 도 3의 (a) 및 (b)에 제시하였다: 평균 ± SD, n = 50 ***. 본 발명의 구체에 관해 수득된 결과는 필링 스피어스™ 히알루론산과 비교하여 통계상 유의하였다, p < 0.001.
결론: 본 발명의 구체로 처리하여 수득된 결과는 필링 스피어스™ 히알루론산에 의한 처리로 수득된 것보다 더 큰 각질층의 팽윤을 나타냈다. 필링 스피어스™ 히알루론산과 비교된 본 발명의 구체의 효능은 이러한 각질층 팽윤 시험에 유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를 사용하여 필링 스피어스™ 히알루론산에 의해 야기되는 것보다 17% 초과로 각질층을 두껍게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통계상 유의하다 (p < 0.0003).
실시예 7: 광학 현미경법에 의한 구체의 필링 아웃
원리:
본 연구는 광학 현미경법에 의해 필링 스피어스™ 히알루론산의 필링 아웃을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화상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탈수된 구체, 그 다음에 재수화된 형태의 구체의 표면적을 계산하였다. 이러한 기법을 사용한 필링 아웃 인자는 표면적의 비로서 정의된다.
결과 및 논의:
본 발명의 구체를 그의 탈수된 형태로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경우, 이들이 작고 치밀하게 나타났다. 재수화 후, 이들은 더 볼륨있고 매우 둥근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의 각각의 형태의 표면을 화상 프로세싱 소프트웨어에 의해 분석하였다 (도 4).
그로 인해 수득된 필링 아웃 인자는 x6이었다.
결론: - 광학 현미경 기법은 물과 접촉하여 본 발명의 구체의 뛰어난 필링 아웃 거동을 확인해주었다.
실시예 8: 본 발명의 중합체의 핵 자기 공명 연구
원리: 탄소 13 (13C) NMR 분석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중합체 중 탄소 원자를 동정하도록 하였다.
프로토콜:
실시예 1에 따라 건조 형태로 수득된 구체를 탄소 13 NMR에 의해 분석하였다.
결과:
도 5는 그로 인해 수득된 곡선을 나타낸다.
약어:
TP: 테레프탈레이트
HA: 히알루로네이트
KG: 글루코만난
적분을 기반으로 한 계산에 따라, 본 발명의 중합체의 특성화는 다음을 확립하였다:
히알루로네이트 기는 본 발명의 중합체 중 건조물의 중량 기준으로 50% 내지 90%, 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를 나타내고;
글루코만난 기 (Gluc)는 본 발명의 중합체 중 건조물의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10%,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를 나타내고;
가교제로부터 수득된 기, 즉 테레프탈레이트 기는 본 발명의 중합체 중 건조물의 중량 기준으로 10% 내지 40%,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를 나타낸다.
실시예 9: 조성물의 예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부분 A, B, C, D, E 또는 F를 함께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생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실시예 1에 따라 수득되고 바람직하게는 0.2%의 양으로 유성 지지체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중에 현탁된 본 발명의 구체를 나타낸다.
제제 예:
Claims (32)
- 히알루로네이트 및 글루코만난의 1종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는 1개 이상의 히알루로네이트 기 및 1개 이상의 글루코만난 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는 가교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
-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에서, 히알루로네이트 기와 글루코만난 기 사이의 각각의 결합이 1개 이상의 에스테르 결합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합체의 히알루로네이트 기가 유리하게는 5 kDa 내지 200 kDa 범위, 바람직하게는 10 kDa 내지 40 kDa 범위의 낮은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하게는 0.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의 물 함량으로 탈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알루로네이트 화합물과 글루코만난 화합물 사이의 가교, 바람직하게는 계면 가교에 의해 수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
- 제5항에 있어서, 계면 가교에 사용되는 가교제가 테레프탈산, 세바스산, 숙신산 및 푸마르산 이염화물 또는 그의 혼합물, 더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 이염화물로부터 선택된 산 이염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의 글루코만난 기가 곤약 글루코만난, 염 또는 에스테르화 유도체로부터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의 히알루로네이트 기가 히알루로네이트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의 염 또는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로부터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의 글루코만난 기가 200 kDa 내지 2000 kDa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300 ㎛, 더 바람직하게는 3 ㎛ 내지 20 ㎛의 레이저 회절에 의해 측정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
- 히알루로네이트 기와 글루코만난 기 사이의 각각의 결합이 1개 이상의 에스테르 결합, 바람직하게는 2개의 에스테르 결합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로네이트 및 글루코만난의 중합체.
- 제11항에 있어서, 유리하게는 가교제,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 이염화물을 사용하여, 히알루로네이트 화합물과 글루코만난 화합물 사이의 1개 이상의 에스테르 결합에 의한 가교에 의해 수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제3항 및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 표피를 필링 아웃하기 위한 작용제로서의, 및/또는 피부의 수화를 개선하기 위한, 및/또는 미용적 관심의 또 다른 성분을 캡슐화하기 위한, 히알루로네이트 및 글루코만난의 중합체의 용도.
- 피부의 윤곽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및/또는 표피를 플럼핑하기 위한, 및/또는 표피를 필링 아웃하기 위한, 및/또는 표피의 표면을 위한 필링제로서의, 및/또는 수화제로서의, 및/또는 피부의 탄력성을 개선하기 위한, 및/또는 표피에서의 주름의 외관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및/또는 수분 흡수제로서의,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의 용도.
-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국소 적용에 의한 중합체의 용도.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구체 및/또는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 및 적절한 화장품 또는 피부과용 비히클을 포함하는, 국소 투여를 위한 화장품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 제17항에 있어서, 중합체 및/또는 구체가 화장품 조성물 중에, 총 화장품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건조물의 중량 기준으로 0.0001% 내지 20% 범위, 더 유리하게는 0.0005% 내지 10% 범위, 특히 0.002% 내지 0.006% 범위의 양으로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투여를 위한 화장품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필링제, 타이트닝제 및 수화제로부터 선택된 미용적 관심의 1종 이상의 다른 성분을 포함하는, 국소 투여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 제20항에 있어서, 히알루로네이트 화합물이 유리하게는 5 kDa 내지 200 kDa 범위, 바람직하게는 10 kDa 내지 40 kDa 범위의 낮은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테레프탈산, 세바스산, 숙신산 및 푸마르산 이염화물 또는 그의 혼합물, 더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 이염화물로부터 선택된 산 이염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상이 수성 상이고, 제2 상이 유성 상, 바람직하게는 지방산 에스테르의 유성 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상 중 글루코만난의 농도가 상기 제1 상의 총 중량에 대하여 건조물의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상 중 히알루로네이트 화합물의 농도가 상기 제1 상의 총 중량에 대하여 건조물의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25% 범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상 중 히알루로네이트 화합물과 글루코만난 화합물 사이의 비가 건조물의 중량 기준으로 75%/25% 내지 99%/1% 범위, 바람직하게는 90%/10% 내지 99%/1% 범위; 특히 98%/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제2 상 중에, 제2 상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범위의 중량 농도로 존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0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와 c) 사이에 또는 단계 c) 후에 구체를 세척하는 하나 이상의 단계, 및/또는 단계 b)와 c) 사이에 또는 단계 c) 후에 구체를 분리하는 하나 이상의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0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와 c) 사이에 또는 단계 c) 후에 구체를 건조시키는 하나 이상의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0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
- 수분 흡수제로서의, 및/또는 표피를 필링 아웃하기 위한 작용제로서의, 및/또는 피부 및/또는 점막의 표면을 필링하기 위한, 및/또는 피부의 수화를 개선하기 위한, 및/또는 미용적 관심의 또 다른 성분을 캡슐화하기 위한, 및/또는 피부의 윤곽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및/또는 표피를 플럼핑하기 위한, 및/또는 표피를 필링 아웃하기 위한, 및/또는 표피의 표면을 위한 필링제로서의, 및/또는 수화제로서의, 및/또는 피부의 탄력성을 개선하기 위한, 및/또는 표피에서의 주름의 외관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체의 용도.
- 제31항에 있어서, 국소 적용에 의한 구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1260164 | 2012-10-25 | ||
FR1260164A FR2997406B1 (fr) | 2012-10-25 | 2012-10-25 | Polymere de hyaluronate et de glucomannane |
US201261718765P | 2012-10-26 | 2012-10-26 | |
US61/718,765 | 2012-10-26 | ||
PCT/FR2013/052546 WO2014064391A1 (fr) | 2012-10-25 | 2013-10-24 | Polymere de hyaluronate et de glucomanna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0394A true KR20150070394A (ko) | 2015-06-24 |
KR102168100B1 KR102168100B1 (ko) | 2020-10-20 |
Family
ID=47833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3284A Active KR102168100B1 (ko) | 2012-10-25 | 2013-10-24 | 히알루로네이트 및 글루코만난의 중합체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1439579B2 (ko) |
EP (1) | EP2912073A1 (ko) |
JP (1) | JP6301941B2 (ko) |
KR (1) | KR102168100B1 (ko) |
CN (1) | CN104870479B (ko) |
BR (1) | BR112015009105B1 (ko) |
FR (1) | FR2997406B1 (ko) |
WO (1) | WO2014064391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3443A (ko) * | 2016-06-30 | 2018-01-09 | (주)아모레퍼시픽 | 분자량이 상이한 히알루론산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20200144837A (ko) * | 2019-06-19 | 2020-12-30 | (주)아모레퍼시픽 | 하이드로겔 마스크시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324752A1 (en) * | 2015-05-04 | 2016-11-10 | Makefield Llc | Ascorbic acid and biopolymer cosmetic compositions |
CN104799642B (zh) * | 2015-05-09 | 2016-02-24 | 福建农林大学 | 一种药愈颈椎枕及其制备方法 |
CN105054292B (zh) * | 2015-07-03 | 2018-09-18 | 福建农林大学 | 一种魔芋清口气烟嘴滤芯及其制备方法 |
CN105496906B (zh) * | 2016-01-29 | 2018-05-11 | 福建农林大学 | 芦荟魔芋葡甘聚糖面膜及其制备方法 |
WO2018090073A1 (en) * | 2016-11-16 | 2018-05-24 | Ultraceuticals R&D Pty Ltd | Nanospheres for cosmetic and pharmaceutical use |
US10660419B2 (en) | 2016-12-15 | 2020-05-26 | Elc Management Llc | Packaged skin treatment composition and method |
CN108653818B (zh) * | 2018-05-24 | 2020-12-29 | 上海其胜生物制剂有限公司 | 一种可逆的胶原刺激填充剂及其制备方法 |
CN109745582B (zh) * | 2019-03-11 | 2021-11-19 | 西南科技大学 | 一种白芨多糖复合细胞支架的制备方法 |
FR3098719A1 (fr) | 2019-07-19 | 2021-01-22 | Laboratoire Promicea | Nouvelle composition de maquillage et/ou de soin des lèvres |
EP4247322A4 (en) * | 2020-11-20 | 2024-07-24 | L'Oreal | COMPOSITION FOR THE CARE OF A KERATIN MATERIAL |
CN112870092A (zh) * | 2021-01-29 | 2021-06-01 | 广州集妍化妆品科技有限公司 | 一种两相型精华及其制备方法 |
CA3227409A1 (en) * | 2021-08-12 | 2023-02-16 | Roc Opco Llc | Composition of hyaluronic acid and use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retinoids to improve skin |
CN113925827A (zh) * | 2021-10-13 | 2022-01-14 | 振德医疗用品股份有限公司 | 一种失禁护理软膏及其制备方法 |
CN114682180A (zh) * | 2022-03-09 | 2022-07-01 | 睿藻生物科技(苏州)有限公司 | 一种天然虾青素水溶微胶囊及其制备方法 |
CN118141707B (zh) * | 2024-02-05 | 2024-09-24 | 华泽睿孚生物技术(广州)有限公司 | 一种填充和丰盈肌肤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043111A1 (en) * | 2007-10-04 | 2009-04-09 | Ultraceuticals R & D Pty Ltd | Composition and method for dermal regeneration |
CN102380129A (zh) * | 2011-10-31 | 2012-03-21 | 昆明理工大学 | 一种透明质酸钠和魔芋葡甘聚糖多孔支架材料及其制备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595821A (fr) | 1924-12-08 | 1925-10-09 | Merck E | Procédé pour séparer les liquides en mélange |
FR2688422A1 (fr) * | 1992-03-11 | 1993-09-17 | Coletica | Microcapsules a parois en polysaccharides contenant des fonctions alcools primaires, et compositions en contenant. |
FR2694895B1 (fr) * | 1992-08-20 | 1994-11-10 | Coletica | Procédé de fabrication de microparticules en émulsion par modification de la composition chimique de la phase dispersée après émulsification. |
FR2777193B1 (fr) * | 1998-04-14 | 2001-06-08 | Coletica | Particule a groupement hydroxamique chelatante d'ions metalliques et leur utilisation en cosmetique ou en pharmacie |
AU2002239697A1 (en) * | 2000-10-24 | 2002-06-03 | Clear Solutions Biotech, Inc. | Sodium hyaluronate microspheres |
FR2847267B1 (fr) | 2002-11-19 | 2006-07-28 | Coletica | Procede de test de l'activite d'une substance potentiellement active pour inhiber l'activite enzymatique de la phospholipase a2 |
FR2855968B1 (fr) | 2003-06-13 | 2012-11-30 | Coletica | Stimulation de la synthese et de l'activite d'une isoforme de la lysyl oxydase-like loxl pour stimuler la formation de fibres elastiques |
US20050036974A1 (en) | 2003-07-17 | 2005-02-17 | L'oreal | Beta-endorphin activity in cosmetics and dermatology |
FR2882366B1 (fr) * | 2005-02-18 | 2008-04-18 | Coletica Sa | Polymere reticule de carbohydrate, notamment a base de polysaccharides et/ou de polyols |
GB2423252B (en) * | 2005-02-18 | 2007-10-17 | Engelhard Lyon | Cross-linked polymer of carbohydrate, notably based on polysaccharides, and/or on oligosaccharides and/or on polyols |
FR2893252B1 (fr) | 2005-11-17 | 2008-02-15 | Engelhard Lyon Sa | Extraits vegetaux stimulant has2 |
US20080038780A1 (en) * | 2006-02-15 | 2008-02-14 | Novozymes Biopolymer A/S | Production of low molecular weight hyaluronic acid |
FR2918569B1 (fr) | 2007-07-09 | 2012-09-28 | Engelhard Lyon | Substances inhibant la glycation des proteines. |
FR2929511B1 (fr) | 2008-04-02 | 2010-12-31 |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 Nouveau principe actif stimulant la proliferation et/ou l'activite des fibroblastes. |
-
2012
- 2012-10-25 FR FR1260164A patent/FR2997406B1/fr active Active
-
2013
- 2013-10-24 CN CN201380061336.2A patent/CN104870479B/zh active Active
- 2013-10-24 JP JP2015538535A patent/JP6301941B2/ja active Active
- 2013-10-24 WO PCT/FR2013/052546 patent/WO2014064391A1/fr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10-24 US US14/438,251 patent/US11439579B2/en active Active
- 2013-10-24 BR BR112015009105-9A patent/BR112015009105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3-10-24 KR KR1020157013284A patent/KR102168100B1/ko active Active
- 2013-10-24 EP EP13789881.3A patent/EP2912073A1/fr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043111A1 (en) * | 2007-10-04 | 2009-04-09 | Ultraceuticals R & D Pty Ltd | Composition and method for dermal regeneration |
CN102380129A (zh) * | 2011-10-31 | 2012-03-21 | 昆明理工大学 | 一种透明质酸钠和魔芋葡甘聚糖多孔支架材料及其制备方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Chen 등, Advanced Materials Research. 510 (2012) 673-678* *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3443A (ko) * | 2016-06-30 | 2018-01-09 | (주)아모레퍼시픽 | 분자량이 상이한 히알루론산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20200144837A (ko) * | 2019-06-19 | 2020-12-30 | (주)아모레퍼시픽 | 하이드로겔 마스크시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301941B2 (ja) | 2018-03-28 |
WO2014064391A1 (fr) | 2014-05-01 |
FR2997406B1 (fr) | 2015-07-03 |
EP2912073A1 (fr) | 2015-09-02 |
FR2997406A1 (fr) | 2014-05-02 |
BR112015009105A2 (pt) | 2017-07-04 |
KR102168100B1 (ko) | 2020-10-20 |
CN104870479A (zh) | 2015-08-26 |
CN104870479B (zh) | 2018-07-06 |
US11439579B2 (en) | 2022-09-13 |
JP2015535307A (ja) | 2015-12-10 |
BR112015009105B1 (pt) | 2021-03-30 |
US20150283055A1 (en) | 2015-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68100B1 (ko) | 히알루로네이트 및 글루코만난의 중합체 | |
KR102156007B1 (ko) | 화장적 또는 약학적 보습 성분 | |
AU2008337407B2 (en) | Crosslinked hyaluronic acid in emulsion | |
CN101766546B (zh) | 单糖与c-糖苷衍生物的组合及其美容学应用 | |
AU2007324534B2 (en) | Fine-granulometry fungal extract chitine-glucane | |
WO2013139965A2 (en) | Exopolysaccharide for the treatment and/or care of the skin, mucous membranes and/or nails | |
KR100955846B1 (ko) | 피부 수렴효과를 가지는 미용 조성물 | |
JP7403593B2 (ja) | 複合粉体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070081192A (ko) | 오리자놀, 미강유 및 인지질이 내포된 리포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JP5137256B2 (ja) | 皮膚効果剤の増強された送達 | |
KR102502514B1 (ko) |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JP5469455B2 (ja) | 少なくとも1種のc−グリコシド誘導体及び少なくとも1種のヒアルロン酸を含む組成物及びその化粧料としての使用 | |
JP7471049B2 (ja) | 生分解性樹脂粒子を含む化粧料用組成物 | |
JP7426770B2 (ja) | 複合粉体 | |
KR102628359B1 (ko) | 스몰 리포좀 액정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 주름 개선 및 보습용 다기능성 화장품 | |
KR102585994B1 (ko) |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2005179286A (ja) | ヒアルロン合成促進剤の皮膚老化防止剤への利用 | |
US20040013627A1 (en) | Propylene glycol hyaluronate ester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 |
KR102827958B1 (ko) | 피부흡수 촉진용 히알루론산 나노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 |
KR20100079344A (ko) | 나노스피어에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아미노산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220077460A (ko) | 마사지 장치용 화장품 조성물 | |
KR20230116300A (ko) | 저분자 폴리 글루탐산을 활용한 화장료 조성물 | |
AU2022328283A1 (en) | Composition of hyaluronic acid and use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retinoids to improve skin | |
BR102017006568B1 (pt) | Composição cosmética de uso tópico e uso de uma composição cosmética | |
HK1131171A (en) | Propylene glycol hyaluronate ester and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5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0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4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0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4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2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0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7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6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4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2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0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