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813A - 보철물 포장 케이스 - Google Patents

보철물 포장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813A
KR20180002813A KR1020177035031A KR20177035031A KR20180002813A KR 20180002813 A KR20180002813 A KR 20180002813A KR 1020177035031 A KR1020177035031 A KR 1020177035031A KR 20177035031 A KR20177035031 A KR 20177035031A KR 20180002813 A KR20180002813 A KR 20180002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ase
prosthesis
primary
cas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2979B1 (ko
Inventor
데루오 이시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난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난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난토
Publication of KR20180002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95Packages or dispensers for prostheses or other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1Gamma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2Cosmetic aspects, e.g. inlays; Determination of the col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2/00Packaging for dental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61C5/77Methods or devices for making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75Skull or cran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8Aseptic storing means
    • A61L2202/182Rigid packag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1Pharmaceuticals, e.g. medicaments, artificial body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보철물 포장 케이스(20)는, 보철물(10)을 수용하는 1차 포장 케이스(30)와, 1차 포장 케이스(30)를 수용하는 2차 포장 케이스(40)를 구비하며, 보철물(10)과 1차 포장 케이스(30)가 각각 지르코니아를 포함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2차 포장 케이스(40)가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1차 포장 케이스(30)와 2차 포장 케이스(40)에 의해 보철물(10)을 이중 포장한 상태로 γ선 멸균 처리와 가열 처리가 실시되어, 보철물(10)을 천연 뼈에 근사한 색으로 변색시킨다.

Description

보철물 포장 케이스, 보철물, 포장 케이스붙이 보철물
본 발명은,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영구치의 치근결손 등일 때에 턱뼈에 심어지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처를 수용하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철물은, 신체의 결손된 부위의 형태와 기능을 보충하는 인공물이다.
보철물은, 치과에서는 의치, 크라운, 브릿지, 치과용 임플란트 등이다. 외과에서는 인공 뼈, 인공 장기, 인공 관절 임플란트 등이다. 미용 외과에서는 실리콘 백, 실리콘 수지판 등이다. 의안, 의이(義耳), 의지(義肢)도 보철물에 포함된다.
체내에 심어지는 보철물을 프로테제, 몸의 표면에 장착하는 보철물을 에피테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특히, 체내에 심어지는 임플란트가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어, 치과용 임플란트는, 충치나 파손에 의해 영구치의 치근이 없어진 경우에 치조골에 마련한 구멍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이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처(인공치근)와, 픽스처에 나사로 장착되는 어버트먼트(지지대)로 구성된다. 어버트먼트에는, 임플란트 크라운(인공치관)이 장착된다.
치과용 임플란트(픽스처, 어버트먼트)는, 티타늄이나 티타늄 합금 등의 금속 외에 알루미나나 지르코니아 등의 세라믹에 의해 형성된다. 금속 알레르기의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치과용 임플란트는 세라믹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플란트는 체내에 심어지기 때문에, 멸균(살균)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요구된다. 임플란트의 멸균 처리에는, 산화에틸렌 가스에 의한 가스 멸균과, γ선을 조사하는 γ선 멸균 처리가 있다.
산화에틸렌 가스에 의한 멸균은 2~4시간을 필요로 하고, 또한 멸균 후의 에어레이션에 8~12시간 이상을 필요로 한다. 또한, 산화에틸렌 가스는 독성이나 연소성이 높아 취급에 주의를 요한다. 산화에틸렌 가스에 의한 가스 멸균은 작업 효율이 현저하게 낮아 취급도 어렵다.
한편, γ선 멸균 처리는 처리 시간이 짧고 잔류 가스 등의 위험도 없는 점에서 우수하다.
임플란트를 지르코니아로 형성한 경우에는, γ선 멸균 처리는 채용되지 않았다. 지르코니아에 γ선 멸균 처리를 실시하면 농갈색화되어 심미성이 손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농갈색화된 지르코니아를 가열함으로써 백색화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특허문헌 1). 이 기술에 의해, 임플란트를 지르코니아로 형성한 경우이어도 γ선 멸균 처리를 채용할 수 있게 되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15-03942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로 백색화한 임플란트를 적절히 밀폐 수용할 수 있는 포장 케이스가 개발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포장 케이스는, 지르코니아제의 임플란트를 수용한 상태로 γ선 멸균 처리와 가열 처리가 실시되므로, 내방사선성, 내열성 등의 성질이 요구된다. 또한, 임플란트의 멸균 상태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비발진성, 내구성, 안정성 등의 성질이 요구된다.
금속 알레르기의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포장 케이스에 대해서도 금속 이외의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르코니아제의 보철물을 수용한 상태로 γ선 멸균 처리와 가열 처리가 실시되고, 그 후도 멸균 상태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보철물 포장 케이스, 보철물, 포장 케이스붙이 보철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보철물 포장 케이스의 제1 실시형태는, 보철물을 수용하는 1차 포장 케이스와, 상기 1차 포장 케이스를 수용하는 2차 포장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보철물과 상기 1차 포장 케이스가 각각 지르코니아를 포함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 포장 케이스가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 포장 케이스와 상기 2차 포장 케이스에 의해 상기 보철물을 이중 포장한 상태로 γ선 멸균 처리와 가열 처리가 실시되어, 상기 보철물을 천연 뼈에 근사한 색으로 변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보철물 포장 케이스의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근사한 색은, L*a*b* 표색계에서 L*가 60~90, a*가 -5~10, b*가 -5~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보철물 포장 케이스의 제3 실시형태는,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가열 처리는, 최고 온도가 100℃~3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보철물 포장 케이스의 제4 실시형태는,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1차 포장 케이스는, 상기 보철물을 수용하는 1차 병체와, 상기 1차 병체에 끼워맞춤되는 1차 덮개체와, 상기 1차 병체와 상기 1차 덮개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1차 시일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보철물 포장 케이스의 제5 실시형태는,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2차 포장 케이스는, 상기 1차 포장 케이스를 수용하는 2차 병체와, 상기 2차 병체에 나사결합되는 2차 덮개체와, 상기 2차 병체와 상기 2차 덮개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2차 시일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보철물 포장 케이스의 제6 실시형태는, 제1 내지 제5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2차 포장 케이스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보철물 포장 케이스의 제7 실시형태는, 제1 내지 제6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은, 체내에 심어지는 임플란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보철물 포장 케이스의 제8 실시형태는,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은, 치과용 임플란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보철물 포장 케이스의 제9 실시형태는,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은, 인공 관절 임플란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보철물 포장 케이스의 제10 실시형태는,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은, 인공 뼈 또는 골보전재(骨補塡材; bone prosthetic materia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보철물의 실시형태는, 지르코니아를 포함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γ선 멸균 처리와 가열 처리가 실시되어 천연 뼈에 근사한 색으로 변색되는 보철물로서, 지르코니아를 포함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1차 포장 케이스와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2차 포장 케이스에 의해 이중 포장된 상태로 γ선 멸균 처리와 가열 처리가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포장 케이스붙이 보철물의 실시형태는, 보철물과, 상기 보철물을 수용하는 1차 포장 케이스와, 상기 1차 포장 케이스를 수용하는 2차 포장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보철물과 상기 1차 포장 케이스가 각각 지르코니아를 포함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 포장 케이스가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 포장 케이스와 상기 2차 포장 케이스에 의해 상기 보철물을 이중 포장한 상태로 γ선 멸균 처리와 가열 처리가 실시되어, 상기 보철물이 천연 뼈에 근사한 색으로 변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철물 포장 케이스는, 지르코니아를 포함한 보철물을 수용한 상태로 γ선 멸균 처리와 가열 처리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천연 뼈에 근사한 색으로 착색된 보철물의 멸균 상태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철물 및 포장 케이스붙이 보철물은, 천연 뼈에 근사한 색으로 착색된다. 착색 재료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인체에 대한 악영향이 전혀 없다.
보철물 및 포장 케이스붙이 보철물은, 보철물 포장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로 γ선 멸균 처리와 가열 처리가 실시되고 그대로 보관·운반된다. 따라서, 멸균 상태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보철물 포장 케이스가 보철물과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철물에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치과용 임플란트(5)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 케이스(2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1차 포장 케이스(30)의 1차 병(31)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 평면도, (b) 정면도, (c) IIIc-IIIc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1차 포장 케이스(30)의 1차 캡(35)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 평면도, (b) 정면도, (c) IVc-IVc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2차 포장 케이스(40)의 2차 병(41)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 정면도, (b) Vb-Vb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2차 포장 케이스(40)의 2차 캡(45)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 평면도, (b) VIb-VIb 단면도이다.
도 7은, 보철물 S1~S13의 측색 결과(L*a*b* 표색계의 색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보철물 S1~S13의 측색 결과(파장과 반사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보철물 S1~S13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보철물 T1~T13의 측색 결과(L*a*b* 표색계의 색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보철물 T1~T13의 측색 결과(파장과 반사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보철물 T1~T13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인공 관절 임플란트(7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인공 뼈(8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 나타내는 각종 치수 등은 일례이다.
〔치과용 임플란트(5)〕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치과용 임플란트(5)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보철물, 임플란트, 포장 케이스붙이 보철물)(5)는, 치조골(2)에 고정된다.
치과용 임플란트(5)는, 치조골(2)에 고정되는 픽스처(10)와, 픽스처(10)에 대해 끼워맞춤되는 어버트먼트(8)를 구비한다.
픽스처(1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12)가 형성된다. 또한 수나사(12)의 선단 측에는 셀프 탭(13)이 형성된다. 픽스처(10)는, 수나사(12)를 치조골(2)에 형성한 구멍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치조골(2)에 고정된다.
어버트먼트(보철물, 임플란트, 포장 케이스붙이 보철물)(8)의 외주면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크라운(6)이 장착된다. 임플란트 크라운(6)은, 상부 구조 또는 인공 치관이라고도 불린다.
임플란트 크라운(6)보다 기단(基端) 측은 잇몸(4)으로 덮인다.
어버트먼트(8)와 픽스처(10)는, 지르코니아를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에 의해 형성된다. 임플란트 크라운(보철물, 임플란트, 포장 케이스붙이 보철물)(6)도 지르코니아로 형성되는 경우이어도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픽스처(10) 등에는 γ선 멸균 처리와 가열 처리가 실시된다. 특히, 픽스처(10)는 체내(치조골(2))에 심어지기 때문에, 감염 예방으로서 멸균 처리가 필수적이다.
〔포장 케이스(2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 케이스(2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1차 포장 케이스(30)의 1차 병(31)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 평면도, (b) 정면도, (c) IIIc-IIIc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1차 포장 케이스(30)의 1차 캡(35)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 정면도, (b) 평면도, (c) IVc-IVc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2차 포장 케이스(40)의 2차 병(41)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 정면도, (b) Vb-Vb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2차 포장 케이스(40)의 2차 캡(45)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 평면도, (b) VIb-VIb 단면도이다.
픽스처(10)는, 멸균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 직전까지 포장 케이스(20)에 밀폐 수용된다. 포장 케이스(보철물 포장 케이스)(20)는, 1차 포장 케이스(30)와 2차 포장 케이스(40)를 구비하고, 픽스처(10)를 이중 포장한다.
1차 포장 케이스(30)는, 픽스처(10)를 직접 수용하여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수송이나 보관 중에 픽스처(10)를 적절히 보호한다. 2차 포장 케이스(40)는, 1차 포장 케이스(30)를 수용하여 수송이나 보관 중에 픽스처(10)를 적절히 보호한다.
〔1차 포장 케이스(30)〕
1차 포장 케이스(30)는 1차 병(31), 1차 캡(35) 및 1차 O링(39)을 구비하고, 1차 병(31)의 입구부(32)에 1차 캡(35)을 끼워맞춤함으로써 연결된다.
1차 O링(1차 시일체)(39)은,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 고무로 이루어지며, 1차 병(31)과 1차 캡(35)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1차 포장 케이스(30)의 내부가 밀폐된다.
1차 O링(39)은, 실리콘 고무 외에 예를 들어 테플론(등록상표) 등의 불소 고무로 이루어지는 경우이어도 된다.
1차 포장 케이스(30)(1차 병(31)과 1차 캡(35))는, 지르코니아를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에 의해 형성된다. 즉, 1차 포장 케이스(30)는 픽스처(10)와 동일 재료로 형성된다.
1차 포장 케이스(30)를 픽스처(10)와는 다른 재료로 형성한 경우에는, 1차 포장 케이스(30)로부터 픽스처(10)에 불순물(이물질: 컨태미네이션)을 부착시킨다.
그래서, 1차 포장 케이스(30)는 픽스처(10)와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1차 포장 케이스(30)로부터 픽스처(10)에의 불순물 부착이 회피된다. 이에 의해, 1차 포장 케이스(30)는 픽스처(10)의 멸균 상태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1차 포장 케이스(30)(1차 병(31)과 1차 캡(35))를 지르코니아로 형성한 경우에는, 나사결합 이외의 연결 구조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1차 병(31)과 1차 캡(35)을 나사결합한 경우에는, 나사끼리(나사 입구, 스크류 캡) 눌어붙어(갉아먹어) 개봉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1차 포장 케이스(30)에서는, 1차 병(31)과 1차 캡(35)은 끼워맞춤하여 연결된다.
1차 병(1차 병체)(31)은 가늘고 긴(세장(細長)의), 바닥이 있는 통형 부재로서, 넓은 입구부(32)를 가진다.
즉, 1차 병(31)은 가늘고 긴, 넓은 입구의 병이다.
입구부(32)의 외주면에는, 높은 진원도(眞圓度)를 갖는 끼워맞춤부(32a)가 형성된다. 끼워맞춤부(32a)는, 1차 병(3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전체길이의 1/4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이 끼워맞춤부(32a)에는, 1차 캡(35)이 끼워맞춤된다.
끼워맞춤부(32a)의 일부에는, O링 홈(32b)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O링 홈(32b)에는 1차 O링(39)이 배치된다.
1차 병(31)은, 픽스처(10)의 외형과 거의 동일 형상의 수용부(33)를 가진다. 수용부(33)는, 1차 병(31)의 선단(입구부(32))으로부터 길이 방향의 중앙까지 파고들어간다. 수용부(33)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픽스처(10)의 길이 방향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수용부(33)의 바닥부에는, 픽스처(10)의 셀프 탭(13)에 걸어맞춤되는 회전 방지부(33a)가 형성된다. 셀프 탭(13)과 회전 방지부(33a)가 걸어맞춤함으로써, 수용부(33)에서 픽스처(10)가 축둘레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수용된다.
1차 병(31) 중에서 수용부(33)보다 바닥단 측에는 파지부(34)가 형성된다. 파지부(34)는, 길이 방향의 중앙이 잘록해지는 형상을 가지며, 바닥단으로 향함에 따라 약간 직경 확대된다. 이에 의해, 1차 병(31)을 손가락으로 잡기 쉽게 할 수 있다.
파지부(34)의 일부에는, 픽스처(10)의 크기가 각인된다. 「38-10」의 각인은, 픽스처(10)가 직경 3.8mm, 길이 10mm인 것을 의미한다.
파지부(34)의 내부는, 1차 병(31)을 경량화하기 위해 살빼기 구멍(34a)이 형성된다. 살빼기 구멍(34a)은, 1차 병(31)의 바닥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의 중앙 부근까지 파고 들어간다.
1차 캡(1차 덮개체)(35)은, 짧고 바닥이 있는 통형 부재로서, 1차 병(31)에 끼워넣어지는 통부(36)를 가진다.
통부(36)의 내주면에는, 높은 진원도를 갖는 끼워맞춤부(36a)가 형성된다. 끼워맞춤부(36a)는, 1차 캡(35)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전체길이의 1/2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끼워맞춤부(36a)는, 1차 병(31)의 끼워맞춤부(32a)에 끼워맞춤한다. 또한, 끼워맞춤부(36a)는, 1차 캡(35)을 1차 병(31)에 끼워맞춤하였을 때에 1차 O링(39)에 밀착된다.
1차 캡(35) 중에서 통부(36)보다 바닥단 측에는 파지부(37)가 형성된다. 파지부(37)는, 길이 방향의 중앙이 잘록해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의해, 1차 캡(35)을 손가락으로 잡기 쉽게 할 수 있다.
파지부(34)의 내부는, 1차 캡(35)을 경량화하기 위해 살빼기 구멍(37a)이 형성된다. 살빼기 구멍(37a)은, 통부(36)의 바닥면으로부터 1차 캡(35)의 바닥단으로 향하여 파고들어간다.
〔2차 포장 케이스(40)〕
2차 포장 케이스(40)는 2차 병(41), 2차 캡(45) 및 2차 O링(49)을 구비하고, 2차 병(41)의 입구부(42)에 2차 캡(45)을 나사결합함으로써 연결된다.
2차 O링(2차 시일체)(49)은, 1차 O링(39)과 마찬가지로 실리콘 고무나 불소 고무 등의 내열성 고무로 이루어지며, 2차 병(41)과 2차 캡(45)의 사이에 배치된다. 2차 O링(49)은, 2차 포장 케이스(40)의 내부를 밀폐한다.
2차 포장 케이스(40)(2차 병(41)과 2차 캡(45))는, 내열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2차 포장 케이스(40)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Polyether ether ketone)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2차 포장 케이스(40)는, 가열 처리가 실시되어도 손상되지 않는 내구성(난연성, 내열성)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는, 200℃ 정도로 가열되어도 손상되지 않는 성능이 필요하다.
그래서, 2차 포장 케이스(40)는 내열성 수지로 형성되고, 픽스처(10)를 수용한 상태로 가열 처리를 받는다.
또한, 2차 포장 케이스(40)는, 가열 처리시에 내부 공기의 팽창에 따라 개봉되지 않는 구조가 요구된다. 왜냐하면, 1차 포장 케이스(30)의 1차 병(31)과 1차 캡(35)은 끼워맞춤되어 있을 뿐이므로, 가열 처리에 의해 내부 공기가 팽창하면 개봉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그래서, 2차 포장 케이스(40)에서는, 1차 병(31)과 1차 캡(35)이 이동할 수 없는 구조가 채용된다. 구체적으로는, 2차 포장 케이스(40)에서는, 2차 병(41)과 2차 캡(45)은 나사결합하여 연결되어 1차 포장 케이스(30)를 간극 없이 수용한다.
2차 병(2차 병체)(41)은 가늘고 긴, 바닥이 있는 통형 부재로서, 넓은 입구부(42)를 가진다.
즉, 2차 병(41)은, 1차 병(31)과 마찬가지로 가늘고 긴, 넓은 입구의 병이다.
입구부(42)의 외주면에는, 선단 측에 O링 홈(42a)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입구부(42)의 외주면에는, O링 홈(42a)보다 바닥단 측에 나사부(42b)와 퇴피홈(42c)이 형성된다. 이 나사부(42b)에는, 2차 캡(45)이 나사결합된다.
2차 병(41)은, 봉함시의 1차 포장 케이스(30)의 외형과 거의 동일 형상의 수용부(43)를 가진다. 수용부(43)는, 2차 병(41)의 선단(입구부(42))으로부터 길이 방향의 중앙 부근까지 파고들어간다. 수용부(43)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봉함시의 1차 포장 케이스(30)의 길이 방향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2차 병(41) 중에서 수용부(33)보다 바닥단 측에는 파지부(44)가 형성된다. 파지부(34)는 원기둥 형상을 가진다. 이에 의해, 2차 병(41)을 손가락으로 잡기 쉽게 할 수 있다.
2차 캡(2차 덮개체)(45)은 짧은 바닥이 있는 통형 부재로서, 2차 병(41)에 비틀려 들어가는 통부(46)를 가진다.
통부(46)의 내주면에는 나사부(46a)가 형성된다. 나사부(46a)는, 2차 병(41)의 나사부(42b)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통부(46)의 내주면에는, 나사부(42b)보다 바닥단 측에 테이퍼 구멍부(46b)가 형성된다. 테이퍼 구멍부(46b)는, 2차 캡(45)을 2차 병(41)에 나사결합하였을 때에 2차 O링(49)에 밀착된다.
2차 캡(45) 중에서 통부(46)보다 바닥단 측에는 파지부(47)가 형성된다. 파지부(47)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3개의 모따기(47a)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2차 캡(45)을 손가락으로 잡기 쉽게 할 수 있다.
〔제조 방법: 공정 A〕
픽스처(10)와 포장 케이스(20)는, 각각 이하의 공정 A를 거쳐 제조된다.
〔제1 공정 A1: 형성 공정〕
픽스처(10)와 동일 형상의 캐비티를 갖는 금형에 지르코니아의 분말(토소 주식회사 PXA-200 타입 등)을 넣고 프레스 성형한다. 그 후에 프레스 성형품을 예를 들어 1500℃ 이상의 온도로 소결한다. 이에 의해, 픽스처(10)의 형성품이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1차 포장 케이스(30)를 프레스 소결 처리를 거쳐 형성한다.
어버트먼트(8)나 임플란트 크라운(6)이 지르코니아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프레스 소결 처리를 거쳐 형성된다.
별도로 2차 포장 케이스(40)를 PEEK의 원재료를 절삭 가공하여 형성한다.
〔제2 공정 A2: γ선 멸균 처리 공정(농갈색화 공정)〕
우선, 포장 케이스(20)에 픽스처(10)를 수용한다. 1차 포장 케이스(30)에 픽스처(10)를 수용하고, 이 1차 포장 케이스(30)를 2차 포장 케이스(40)에 수용한다.
다음에, 픽스처(10)를 수용한 포장 케이스(20)에 대해 γ선을 조사하여 멸균(살균)한다. γ선을 예를 들어 25kGy(25kSv) 이상 조사한다.
γ선은, 2차 포장 케이스(40), 1차 포장 케이스(30) 및 픽스처(10)를 투과한다. 이에 의해, 픽스처(10)와 1차 포장 케이스(30)는 농갈색화된다. 픽스처(10)와 1차 포장 케이스(30)는 외면뿐만 아니라 내부도 농갈색화된다.
또, 2차 포장 케이스(40)는 외관에 변색 등의 변화는 보이지 않는다.
〔제3 공정 A3: 가열 처리 공정(백색화 공정)〕
픽스처(10)를 수용한 포장 케이스(20)를 100℃~300℃로 가열한다. 최고 온도가 100℃~300℃가 되면 된다. 가열 시간이나 보유지지 시간 등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농갈색화된 픽스처(10)와 1차 포장 케이스(30)가 백색화되어 천연치아에 근사한 색으로 착색된다. 픽스처(10)와 1차 포장 케이스(30)는, 외면뿐만 아니라 내부도 천연치아에 근사한 색으로 착색된다. 즉, 천연치아에 근사한 색으로 착색된 보철물(픽스처(10))을 얻을 수 있다.
〔검증 실험 1〕
표 1은, 상술한 제조 공정 A(A1~A3)를 거쳐 형성된 보철물 S1~S13의 측색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 pct00001
도 7은, 보철물 S1~S13의 측색 결과(L*a*b* 표색계의 색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보철물 S1~S13의 측색 결과(파장과 반사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보철물 S1~S13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색계: Lab표색계(CIE 1976(L*, a*, b*) 색공간(CIELAB), JIS Z 8729)
분광 측색계: 코니카 미놀타사(구 미놀타 카메라사) 제품 CM-1000
보철물 S1~S13 및 비교예 S21, S22의 재료: 토소 주식회사 PXA-233P
보철물 S1: 제3 공정 A3에서 최고 온도를 100℃로 하였다.
보철물 S2: 제3 공정 A3에서 최고 온도를 110℃로 하였다.
보철물 S3: 제3 공정 A3에서 최고 온도를 120℃로 하였다.
보철물 S4: 제3 공정 A3에서 최고 온도를 130℃로 하였다.
보철물 S5: 제3 공정 A3에서 최고 온도를 140℃로 하였다.
보철물 S6: 제3 공정 A3에서 최고 온도를 150℃로 하였다.
보철물 S7: 제3 공정 A3에서 최고 온도를 160℃로 하였다.
보철물 S8: 제3 공정 A3에서 최고 온도를 170℃로 하였다.
보철물 S9: 제3 공정 A3에서 최고 온도를 180℃로 하였다.
보철물 S10: 제3 공정 A3에서 최고 온도를 190℃로 하였다.
보철물 S11: 제3 공정 A3에서 최고 온도를 200℃로 하였다.
보철물 S12: 제3 공정 A3에서 최고 온도를 250℃로 하였다.
보철물 S13: 제3 공정 A3에서 최고 온도를 300℃로 하였다.
비교예 S21: 제1 공정 A1를 거쳤다(제2 공정 A2 및 제3 공정 A3을 생략함).
비교예 S22: 제1 공정 A1 및 제2 공정 A2를 거쳤다(제3 공정 A3을 생략함).
비교예 S23: 종래의 인공치아(VITA사 CEREC VITABLOCS MarkII).
보철물 S1~S13은, γ선 멸균 처리(제2 공정 A2) 후에 가열 처리(제3 공정 A3)됨으로써 천연 뼈에 근사한 색으로 변색하였다. 가열 처리(제3 공정 A3)는, 최고 온도가 100℃~300℃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연 뼈에 근사한 색은, L*a*b* 표색계에서 L*가 60~90, a*가 -5~10, b*가 -5~10이다. 상세하게는 L*가 65~89, a*가 -2~6, b*가 -1~8이다.
보철물 S1~S13은 농갈색인 비교예 S22보다 백색계이며, 순백색인 비교예 S21보다 갈색계이다. 따라서, 보철물 S1~S13은 비교예 S23과 마찬가지로 천연 뼈에 근사한 색으로 변색되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철물 S1~S13은 비교예 S23과 비교하면 반사율이 높지만 파형 형상은 근사하다. 보철물 S1~S13은 비교예 S23과 파형 형상이 근사하기 때문에, 비교예 S23에 근사한 색(천연 뼈에 근사한 색)으로 변색되었다고 인정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철물 S1~S13이 천연 뼈에 근사한 색(비교예 S23과 마찬가지의 색)으로 착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가열 처리(제3 공정 A3)에서의 최고 온도를 100℃ 내지 300℃의 사이에서 설정함으로써, 환자(장착자)의 천연치아에 근사한 색을 갖는 보철물 S1~S13을 얻을 수 있었다.
〔제조 방법: 공정 B〕
픽스처(10)와 포장 케이스(20)는, 각각 이하의 공정 B를 거쳐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공정 B1: 형성 공정〕
프레스 소결 처리를 거쳐 픽스처(10)와 1차 포장 케이스(30)를 형성한다. PEEK의 원재료를 절삭 가공하여 2차 포장 케이스(40)를 형성한다.
제1 공정 B1은, 제1 공정 A1과 동일한 공정이다.
〔제2 공정 B2: 표면 처리 공정(레이저 가공 공정)〕
픽스처(10)에 대해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표면을 조면(粗面)화한다.
레이저광에는, Nd: YAG 레이저 또는 YVO4 레이저가 이용된다. 예를 들어, Nd: YAG 레이저, YVO4 레이저의 기본파(고체 레이저: 파장 1064nm, 섬유 레이저: 1090nm)를 이용할 수 있다. 레이저광의 광경(직경)은, 예를 들어 5~50μm이다.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픽스처(10)는 변색(농갈색화)된다.
〔제3 공정 B3: 고온 가열 처리 공정(색 되돌림화 공정)〕
픽스처(10)를 700℃로 가열한다. 가열 시간이나 유지 시간 등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변색(농갈색화)된 픽스처(10)가 백색화된다. 픽스처(10)는, 외면뿐만 아니라 내부도 백색화된다.
〔제4 공정 B4: γ선 멸균 처리 공정(농갈색화 공정)〕
픽스처(10)와 포장 케이스(20)에 대해 γ선을 조사하여 살균한다.
제4 공정 B4는, 제2 공정 A2와 동일한 공정이다.
〔제5 공정 B5: 가열 처리 공정(백색화 공정)〕
픽스처(10)를 수용한 포장 케이스(20)를 100℃~300℃로 가열한다.
제5 공정 B5는, 제3 공정 A3과 동일한 공정이다.
〔검증 실험 2〕
표 2는, 상술한 제조 공정 B(B1~B5)를 거쳐 형성된 보철물 T1~T13의 측색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 pct00002
도 10은, 보철물 T1~T13의 측색 결과(L*a*b* 표색계의 색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보철물 T1~T13의 측색 결과(파장과 반사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보철물 S1~S13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색계: Lab 표색계(CIE 1976(L*, a*, b*) 색공간(CIELAB), JIS Z 8729)
분광 측색계: 코니카 미놀타사(구 미놀타 카메라사) 제품 CM-1000
보철물 T1~T13 및 비교예 T21~T23의 재료: 토소 주식회사 PXA-233P
보철물 T1: 제5 공정 B5에서 최고 온도를 100℃로 하였다.
보철물 T2: 제5 공정 B5에서 최고 온도를 110℃로 하였다.
보철물 T3: 제5 공정 B5에서 최고 온도를 120℃로 하였다.
보철물 T4: 제5 공정 B5에서 최고 온도를 130℃로 하였다.
보철물 T5: 제5 공정 B5에서 최고 온도를 140℃로 하였다.
보철물 T6: 제5 공정 B5에서 최고 온도를 150℃로 하였다.
보철물 T7: 제5 공정 B5에서 최고 온도를 160℃로 하였다.
보철물 T8: 제5 공정 B5에서 최고 온도를 170℃로 하였다.
보철물 T9: 제5 공정 B5에서 최고 온도를 180℃로 하였다.
보철물 T10: 제5 공정 B5에서 최고 온도를 190℃로 하였다.
보철물 T11: 제5 공정 B5에서 최고 온도를 200℃로 하였다.
보철물 T12: 제5 공정 B5에서 최고 온도를 250℃로 하였다.
보철물 T13: 제5 공정 B5에서 최고 온도를 300℃로 하였다.
비교예 T21: 제1 공정 B1 및 제2 공정 B2를 거쳤다(제3 공정 B3~제5 공정 B5를 생략함).
비교예 T22: 제1 공정 B1~제3 공정 B3을 거쳤다(제4 공정 B4 및 제5 공정 B5를 생략함).
비교예 T23: 제1 공정 B1~제4 공정 B4를 거쳤다(제5 공정 B5를 생략함).
비교예 T24: 종래의 인공치아(VITA사 CEREC VITABLOCS MarkII). 비교예 S23과 동일물이다.
보철물 T1~T13은, γ선 멸균 처리(제4 공정 B4) 후에 가열 처리(제5 공정 B5)됨으로써 천연 뼈에 근사한 색으로 변색하였다. 가열 처리(제5 공정 B5)는, 최고 온도가 100℃~300℃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연 뼈에 근사한 색은, L*a*b* 표색계에서 L*가 60~90, a*가 -5~10, b*가 -5~10이다. 상세하게는 L*가 65~89, a*가 -2~6, b*가 -1~8이다.
보철물 T1~T13은 농갈색인 비교예 T21, T23보다 하얗고, 순백색인 비교예 T22보다 갈색이다. 따라서, 보철물 S1~S13은 비교예 T24와 마찬가지로 천연 뼈에 근사한 색으로 변색되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철물 T1~T13은 비교예 T24와 비교하면 반사율이 높지만 파형 형상은 근사하다. 보철물 T1~T13은 비교예 T24와 파형 형상이 근사하기 때문에, 비교예 T24에 근사한 색(천연 뼈에 근사한 색)으로 변색되었다고 인정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철물 T1~T13이 천연 뼈에 근사한 색(비교예 T24와 마찬가지의 색)으로 착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가열 처리(제5 공정 B5)에서의 최고 온도를 100℃ 내지 300℃의 사이에서 설정함으로써, 환자(장착자)의 천연치아에 근사한 색을 갖는 보철물 T1~T13을 얻을 수 있었다.
〔포장 케이스(20)의 작용 효과〕
이와 같이, 포장 케이스(20)는, 지르코니아제의 픽스처(10)를 수용한 상태로 γ선 멸균 처리와 가열 처리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천연 뼈에 근사한 색으로 착색된 픽스처(10)의 멸균 상태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1차 포장 케이스(30)는 픽스처(10)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픽스처(10)에 이물질을 부착시키지 않는다(비발진성). 특히, 1차 포장 케이스(30)는 지르코니아를 포함한 세라믹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금속 알레르기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1차 포장 케이스(30)는, γ선 멸균 처리와 가열 처리를 받아도 변질되는 일도 없고(내방사선성, 내열성), 픽스처(10)를 장기간에 걸쳐 수용할 수 있다(내구성, 안정성).
또한, 1차 포장 케이스(30)는, 1차 병(31)과 1차 캡(35)이 끼워맞춤되어 연결된다. 이 때문에, 1차 병(31)과 1차 캡(35)이 눌어붙어 개봉이 어려워지는 일은 없다. 즉,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지는 1차 포장 케이스(30)는 봉함이나 개봉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2차 포장 케이스(40)는, 2차 병(41)과 2차 캡(45)이 나사결합되어 연결됨과 아울러, 1차 포장 케이스(30)를 간극 없이 수용한다. 이 때문에, 2차 포장 케이스(40)는 가열 처리시에 1차 포장 케이스(30)가 개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2차 포장 케이스(40)는, γ선 멸균 처리와 가열 처리를 받아도 변질되는 일도 없고(내방사선성, 내열성), 픽스처(10)를 장기간에 걸쳐 수용할 수 있다(내구성, 안정성).
포장 케이스(20)는, 천연 뼈에 근사한 색으로 착색된 어버트먼트(8)나 임플란트 크라운(6)을 수용하는 경우이어도 된다.
〔픽스처(10)의 작용 효과〕
픽스처(10)는, 천연 뼈에 근사한 색으로 착색된다. 또한, 픽스처(10)는 착색 재료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인체에 대한 악영향이 전혀 없다. 마찬가지로 어버트먼트(8)나 임플란트 크라운(6)을 천연 뼈에 근사한 색으로 착색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구강 내의 심미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 포장 케이스(20)도 천연 뼈에 근사한 색(픽스처(10)와 동일 색)으로 착색된다.
픽스처(10)는, 포장 케이스(20)에 수용된 상태로 γ선 멸균 처리와 가열 처리가 실시된다. 그리고, 그대로 보관·운반된다. 따라서, 픽스처(10)는 멸균 상태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특히, 1차 포장 케이스(30)가 픽스처(10)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픽스처(10)에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는다. 픽스처(10)에 금속이 부착되지 않으므로, 금속 알레르기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인공 관절 임플란트(70)〕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인공 관절 임플란트(7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보철물은, 인공 관절 임플란트(70)이어도 된다.
인공 관절 임플란트(70)는, 지르코니아를 포함한 세라믹에 의해 형성된다. 인공 관절 임플란트(70)의 일부가 지르코니아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이어도 된다.
인공 관절 임플란트(보철물, 임플란트, 포장 케이스붙이 보철물)(70)는, 고관절의 골반(71)과 대퇴골(72)에 심어진다.
인공 관절 임플란트(70)의 제조 공정에서도, γ선 멸균 처리(제2 공정 A2, 제4 공정 B4) 후에 가열 처리(제3 공정 A3, 제5 공정 B5)가 이루어진다.
〔인공 뼈(80)〕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인공 뼈(8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보철물은, 인공 뼈(80)(artificial bone)이어도 된다.
인공 뼈(보철물, 임플란트, 포장 케이스붙이 보철물)(80)는, 두개골(81)의 결손 부분에 배치되는 두개 플레이트이다.
인공 뼈(80)는, 지르코니아를 포함한 세라믹에 의해 형성된다. 인공 뼈(80)의 일부가 지르코니아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이어도 된다.
인공 뼈(80)의 제조 공정에서도, γ선 멸균 처리(제2 공정 A2, 제4 공정 B4) 후에 가열 처리(제3 공정 A3, 제5 공정 B5)가 이루어진다.
〔인공 관절 임플란트(70), 인공 뼈(80)의 작용 효과〕
인공 관절 임플란트(70)나 인공 뼈(80)는, 착색 재료를 이용하지 않고 천연 뼈에 근사한 색으로 착색된다. 이 때문에, 심미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한, 착색 재료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인체에 대한 악영향이 전혀 없다.
인공 관절 임플란트(70)나 인공 뼈(80)는, 포장 케이스(20)와 동일 구성의 포장 케이스(도시생략)에 이중 포장된다. 이 포장 케이스는, 인공 관절 임플란트(70)나 인공 뼈(80)의 외형과 거의 동일 형상의 수용부를 가진다.
이 때문에, 포장 케이스는, 인공 관절 임플란트(70) 등을 수용한 상태로 γ선 멸균 처리와 가열 처리가 실시된다. 따라서, 천연 뼈에 근사한 색으로 착색된 인공 관절 임플란트(70) 등은 멸균 상태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그 밖의 구성〕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술한 실시형태에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한 것을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든 구체적인 재료나 층 구성 등은 단지 일례에 불과하며,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보철물과 보철물 포장 케이스(포장 케이스붙이 보철물)는, 지르코니아(산화 지르코늄)를 주성분으로 하는 생체 적합성 세라믹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보철물과 보철물 포장 케이스는, 부피비에서 지르코니아가 50% 이상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보철물과 보철물 포장 케이스(포장 케이스붙이 보철물)의 재료는, 지르코니아 복합 재료(지르코니아와 다른 세라믹 재료를 조합한 것)이어도 된다. 다른 세라믹 재료는, 알루미나(산화 알루미늄)나 산화 이트륨, 산화 하프늄, 산화 실리콘, 산화 마그네슘, 산화 세륨 등이다.
본 발명의 보철물과 보철물 포장 케이스(포장 케이스붙이 보철물)의 재료는, 지르코니아와 금속이나 합금을 조합한 것이어도 된다. 금속이나 합금은 구리, 티타늄, 티타늄 합금 등이다.
본 발명의 보철물과 보철물 포장 케이스(포장 케이스붙이 보철물)의 재료는, 지르코니아와 카본이나, 수지나 유리 등을 조합한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보철물과 보철물 포장 케이스(포장 케이스붙이 보철물)의 제조 공정은, γ선 멸균 처리(제2 공정 A2, 제4 공정 B4) 후에 가열 처리(제3 공정 A3, 제5 공정 B5)가 이루어진다.
형성 공정(제1 공정 A1, B1)에서는, 임의의 제조 방법·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표면 처리 공정(제2 공정 B2) 및 고온 가열 처리 공정(제3 공정 B3)에서는, 임의의 제조 방법·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공 관절 임플란트는 고관절에 한정하지 않고, 어깨관절, 무릎관절, 주관절, 손목, 발목 및 턱관절 등에 심어지는 경우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인공 뼈는, 뼈의 결손 부분에 배치되는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부러진 뼈를 고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경우이어도 된다. 인공 뼈는, 예를 들어 나사못, 볼트, 못, 압정, 바늘 등의 형상이어도 된다.
인공 뼈와 같이 특정의 형상을 갖는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골보전재(도시생략)(bone prosthetic material)와 같이 특정의 형상을 가지지 않는 경우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보철물은, 뼈에 고정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체내에 심어지는 것이면 되고, 몸의 표면에 배치되어 일부가 체내에 심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픽스처(10)는, 나사 깍기 기능(셀프 탭(13))을 구비하지 않는 것(노멀형)이어도 된다. 1차 병(31)의 수용부(33)에 회전 방지부(33a)가 없어도 된다.
5 치과용 임플란트(보철물, 임플란트, 포장 케이스붙이 보철물)
6 임플란트 크라운(보철물, 임플란트, 포장 케이스붙이 보철물)
10 픽스처(보철물, 임플란트, 포장 케이스붙이 보철물)
20 포장 케이스(보철물 포장 케이스)
30 1차 포장 케이스
31 1차 병(1차 병체)
35 1차 캡(1차 덮개체)
39 1차 O링(1차 시일체)
40 2차 포장 케이스
41 2차 병(2차 병체)
45 2차 캡(2차 덮개체)
49 2차 O링(2차 시일체)
70 인공 관절 임플란트(보철물, 임플란트, 포장 케이스붙이 보철물)
80 인공 뼈(보철물, 임플란트, 포장 케이스붙이 보철물)

Claims (12)

  1. 보철물을 수용하는 1차 포장 케이스와,
    상기 1차 포장 케이스를 수용하는 2차 포장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보철물과 상기 1차 포장 케이스가 각각 지르코니아를 포함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 포장 케이스가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 포장 케이스와 상기 2차 포장 케이스에 의해 상기 보철물을 이중 포장한 상태로 γ선 멸균 처리와 가열 처리가 실시되어, 상기 보철물을 천연 뼈에 근사한 색으로 변색시키는 보철물 포장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사한 색은, L*a*b* 표색계에서 L*가 60~90, a*가 -5~10, b*가 -5~10인 보철물 포장 케이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열 처리는, 최고 온도가 100℃~300℃인 보철물 포장 케이스.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포장 케이스는,
    상기 보철물을 수용하는 1차 병체와,
    상기 1차 병체에 끼워맞춤되는 1차 덮개체와,
    상기 1차 병체와 상기 1차 덮개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1차 시일체를 구비하는 보철물 포장 케이스.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포장 케이스는,
    상기 1차 포장 케이스를 수용하는 2차 병체와,
    상기 2차 병체에 나사결합되는 2차 덮개체와,
    상기 2차 병체와 상기 2차 덮개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2차 시일체를 구비하는 보철물 포장 케이스.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포장 케이스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철물 포장 케이스.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은, 체내에 심어지는 임플란트인 보철물 포장 케이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은, 치과용 임플란트인 보철물 포장 케이스.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은, 인공 관절 임플란트인 보철물 포장 케이스.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은, 인공 뼈 또는 골보전재(骨補塡材; bone prosthetic material)인 보철물 포장 케이스.
  11. 지르코니아를 포함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γ선 멸균 처리와 가열 처리가 실시되어 천연 뼈에 근사한 색으로 변색되는 보철물로서,
    지르코니아를 포함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1차 포장 케이스와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2차 포장 케이스에 의해 이중 포장된 상태로 γ선 멸균 처리와 가열 처리가 실시되는 보철물.
  12. 보철물과,
    상기 보철물을 수용하는 1차 포장 케이스와,
    상기 1차 포장 케이스를 수용하는 2차 포장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보철물과 상기 1차 포장 케이스가 각각 지르코니아를 포함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 포장 케이스가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 포장 케이스와 상기 2차 포장 케이스에 의해 상기 보철물을 이중 포장한 상태로 γ선 멸균 처리와 가열 처리가 실시되어, 상기 보철물이 천연 뼈에 근사한 색으로 변색되는 포장 케이스붙이 보철물.
KR1020177035031A 2015-07-01 2015-07-01 보철물 포장 케이스 KR101832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68951 WO2017002224A1 (ja) 2015-07-01 2015-07-01 補綴物包装ケース、補綴物、包装ケース付補綴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813A true KR20180002813A (ko) 2018-01-08
KR101832979B1 KR101832979B1 (ko) 2018-02-28

Family

ID=57608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031A KR101832979B1 (ko) 2015-07-01 2015-07-01 보철물 포장 케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85796B2 (ko)
EP (1) EP3318217B1 (ko)
JP (1) JP6085774B1 (ko)
KR (1) KR101832979B1 (ko)
CN (1) CN107708603A (ko)
ES (1) ES2788719T3 (ko)
WO (1) WO20170022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668Y1 (ko) * 2017-07-13 2019-12-16 (주)쓰리디케이피 의료용 나사 케이스
JP7038535B2 (ja) * 2017-12-11 2022-03-18 テルモ株式会社 キャップ
KR102651928B1 (ko) 2019-07-23 2024-03-27 라인치과기공주식회사 치기공물 살균 포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2800A (en) * 1990-03-21 1991-11-05 Core-Vent Corporation Dental implant handle, and dental implant package including a dental implant handle
JP3188325B2 (ja) 1992-10-28 2001-07-16 理化学研究所 ポリエンマクロライド物質、その製造法、及びこれを用いた抗菌剤と抗腫瘍剤
JPH08150160A (ja) * 1994-11-30 1996-06-11 Nikon Corp 骨内インプラント用セット
DE59812221D1 (de) 1997-05-26 2004-12-09 Straumann Holding Ag Waldenbur Verpackung mit einem behälter und einem in diesem angeordneten dentalimplantat
DE19913158B4 (de) * 1999-03-24 2004-09-30 Degudent Gmbh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Dental-Implantaten
US6561805B2 (en) * 1999-08-12 2003-05-13 Nobel Biocare Ab Universal implant delivery system
ATE429188T1 (de) * 2002-01-11 2009-05-15 Nobel Biocare Ab Zahnimplantatseinbringungssystem
DE602005023979D1 (de) * 2005-08-03 2010-11-18 Straumann Holding Ag Halteelement für ein Zahnimplantat
US7451870B2 (en) * 2006-02-06 2008-11-18 Zimmer Dental, Inc. Medical implant package with a cap having a cavity
EP2610232B1 (en) 2006-07-25 2019-06-26 Tosoh Corporation Zirconia sintered bodies with high total light transmission
JP5277541B2 (ja) 2006-07-25 2013-08-28 東ソー株式会社 高強度ジルコニア焼結体および製造方法
KR100759260B1 (ko) * 2006-10-19 2007-09-17 주식회사 메가젠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JP5004644B2 (ja) 2007-04-23 2012-08-22 株式会社ジーシー フィクスチャー用収納容器
EP2282696B1 (de) * 2008-06-06 2017-01-04 Thommen Medical Ag Verpackung für dentalimplantat
US8361381B2 (en) 2008-09-25 2013-01-29 Smith & Nephew, Inc. Medical implants having a porous coated surface
JP5677722B2 (ja) * 2009-01-29 2015-02-25 京セラメディカル株式会社 硬組織代替材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おいて用いられる処理溶液
EP2279708B1 (de) * 2009-07-27 2013-05-15 Straumann Holding AG Behälter für ein medizinisches Instrument oder Implantat, insbesondere ein dentalmedizinisches Instrument oder ein Dentalimplantat
FR2974290B1 (fr) * 2011-04-22 2014-09-05 Selenium Medical Ensemble medical comprenant un objet medical et un emballage contenant ledit objet
KR101306318B1 (ko) * 2011-11-18 2013-09-09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 픽스츄어 포장용 세라믹 하부시
DE102012112945A1 (de) * 2012-12-21 2014-07-10 Aesculap Ag Medizinische Sterilverpackung und Verwendung einer medizinischen Sterilverpackung
JP5849278B2 (ja) * 2013-08-20 2016-01-27 株式会社ナントー 補綴物の製造方法
DE102014105608A1 (de) * 2014-04-22 2015-10-22 Ribaxx Ag Verfahren zur Sterilisation von Zirkonoxid-Implantaten mit Gamma-Strah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979B1 (ko) 2018-02-28
US20180296314A1 (en) 2018-10-18
EP3318217A1 (en) 2018-05-09
CN107708603A (zh) 2018-02-16
WO2017002224A1 (ja) 2017-01-05
EP3318217A4 (en) 2019-03-20
JPWO2017002224A1 (ja) 2017-07-13
ES2788719T3 (es) 2020-10-22
JP6085774B1 (ja) 2017-03-01
US10285796B2 (en) 2019-05-14
EP3318217B1 (en)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562B1 (ko) 보철물의 제조방법
KR101439344B1 (ko) 임플란트 보관용 앰플
KR101832979B1 (ko) 보철물 포장 케이스
Shafie Clinical and laboratory manual of dental implant abutments
US1163327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erile delivery of prostheses
US4671410A (en) Package for sterile and contamination-free storage of artificial implants
KR20090000395A (ko) 치과용 픽스처 포장용기
WO20161984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erile delivery of prostheses
EP1985257B1 (en) Container for dental implant
KR20200021633A (ko)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EP3393528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sterilized ceramic body comprising stabilized zirconia of a defined colour
Xiao et al. Opinions Regarding Reuse or Replacement of Implant Prosthesis Retaining Screws: A Systematic Review.
JP2017169821A (ja) 歯科インプラントの製造方法および歯科インプラントの調整方法
KR20200141138A (ko)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
Bushra et al. Esthetic patient satisfaction, marginal bone loss and peri-implant tissue success in esthetic zone: systematic review
CN211355983U (zh) 牙科种植体与覆盖螺丝共用包装瓶
Rathee et al. An insight into dental implant abutment selection criteria: an overview
Vlasova et al. Solving the problem of replacing a missing tooth in esthetically significant area
Aherne et al. Zirconia abutment for the single tooth implant
Gallucci Esthetic integration rationale for Implant Rehabilitations
ABLA et al. Morse taper implant: A case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