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633A -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633A
KR20200021633A KR1020180097187A KR20180097187A KR20200021633A KR 20200021633 A KR20200021633 A KR 20200021633A KR 1020180097187 A KR1020180097187 A KR 1020180097187A KR 20180097187 A KR20180097187 A KR 20180097187A KR 20200021633 A KR20200021633 A KR 20200021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case
light source
ultraviolet light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0340B1 (ko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80097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3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2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made by galvanoplastic methods or by plating; Surface treatment; Enamelling; Perfuming; Making antisep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A61L2/0047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1Pharmaceuticals, e.g. medicaments, artificial body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치주조직과의 골융합도가 향상되도록 임플란트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측벽부를 따라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되,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가 수용되는 개질공간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자외선광원부; 및 상기 자외선광원부를 방열하도록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ultraviolet irradiation apparatus for surface treatment of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주조직과의 골융합도가 향상되도록 임플란트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기 위한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본래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인체조직을 대신 할 수 있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즉, 상실된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재질로 만든 픽스츄어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치아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차적인 충치 발생요인이 없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아 임플란트는 자연 치아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잇몸의 통증 및 이물감이 전혀 없으며, 관리만 잘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치아 임플란트 시술과정은 픽스츄어(fixture)를 치조골에 식립하는 1차 시술과,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골융합(osteointegration)되는 시간(3~6개월)을 기다린 후 최종보철물(crown)을 고정시키는 2차 시술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1차 시술에는 치아가 결손된 부분의 잇몸 제거 단계, 픽스츄어가 식립될 천공을 형성하는 다단계 드릴링 단계, 그리고 픽스츄어 식립단계 및 식립된 픽스츄어에 임시치아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1차 시술 후 골융합을 위해 일정 회복 기간을 거친 후 픽스츄어에 결합된 임시치아를 분리하고, 임시치아 주변에 재생된 잇몸을 제거한 뒤, 최종보철물을 삽입 및 고정하는 2차 시술을 통하여 치아 임플란트 시술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치아 임플란트 특히,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사용되는 재료는 인간의 생체 조직에 대하여 매우 안정적인 생체 친화 재료로 제작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화학적 또는 생리학적 반응성이나 인체 거부 반응이 없어야 한다. 또한, 반복되는 하중 및 순간적인 압력이 작용시에도 변형이나 파괴가 방지되도록 기계적 강도가 높아야 하기 때문에 적절한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까다롭다.
따라서, 상기 픽스츄어에 적절한 소재로서 다양한 금속 및 합금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현재는 티타늄 금속이나 티타늄 합금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은 가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체 조직에 대한 높은 생체 친화성, 높은 기계적 강도 및 생체 불활성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티타늄 및 그의 합금 자체는 인체에 이식시 골융합에 장시간이 소요되고, 산화 피막이 생성되어 타금속에 비해 안정성이 확보되긴 하지만 최근 들어서 이보다 더욱 개선된 인체 안정성 확보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한 재료로 제조된 픽스츄어의 표면을 적절히 처리함으로써 골융합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상세히, 골융합 속도와 품질은 표면 조성, 표면 거칠기, 친수성 등과 같은 픽스츄어의 표면 특성 및 화학적 조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친수성이 높은 표면을 가진 픽스츄어가 생체 용액, 세포 및 조직들과의 상호 작용에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리하여, 기존에는 티타늄 표면에 이산화티타늄(TiO2) 산화막을 입힌 픽스츄어가 생체에 안정적이고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며 세포와의 반응에서도 긍정적일 뿐만 아니라, 기계 가공만 수행한 픽스츄어보다 식립시 골융합력이 현저히 개선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티타늄 산화막을 픽스츄어 표면에 입히기 위하여, 종래에는 플라즈마 분사(plazma spraying), 스퍼터링(sputering), 이온 주입(ion implantation) 등의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픽스츄어의 표면이 산화막 처리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탄소 원자가 결합되면서 안정화된다. 이로 인해, 저에너지 상태의 소수성 표면으로 전환되므로 이러한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그대로 식립하는 경우 골융착능이 저하되며, 표면이 유기물에 의해 오염된 경우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된 상태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표면 개질된 픽스츄어의 친수성이 장시간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보관 용기를 포함하는 제품이 일부 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보관 용기를 포함하는 픽스츄어는 고가여서 소비자에게 금전적인 부담으로 다가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특정 회사의 제품을 사용하여야만 하므로 고가임에도 소비자에게 선택의 폭이 매우 좁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들어 내부에 상기 픽스츄어를 장착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픽스츄어의 표면을 개질하면서도 표면에 부착된 유기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는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가 일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는 상기 픽스츄어의 표면 개질을 위해 실질적으로 2~3시간 이상 자외선에 노출시켜야 함으로 인해 임플란트 식립이 신속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픽스츄어가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되어 가열됨으로 인해 이를 냉각시키기 위한 시간이 더 소요된다. 더불어, 제대로 냉각되지 못한 픽스츄어를 식립시 피시술자의 시술부위 조직이 손상될 수 있으며, 이는 나아가 안정적인 골융합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는 상기 픽스츄어가 수용된 앰플로부터 상기 픽스츄어를 분리한 후 상기 조사장치의 내부에 장착함에 따라 실질적으로 상기 픽스츄어가 외부환경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져 2차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는 상기 픽스츄어의 표면 개질을 위해 자외선에 노출시키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발생되는 오존량도 더불어 증가되므로 사용자가 유해한 환경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픽스츄어가 개별 포장되는 용기부에 자외선 조사램프가 구비되는 포장용기가 일부 개시되었다. 그러나, 각각의 포장용기를 제조하는 비용이 고가여서 임플란트의 전반적인 비용이 증가하며, 구비된 램프가 불량이거나 외부요인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 픽스츄어의 표면 개질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8696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주조직과의 골융합도가 향상되도록 임플란트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기 위한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측벽부를 따라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되,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가 수용되는 개질공간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자외선광원부; 및 상기 자외선광원부를 방열하도록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는 자외선이 조사되어 표면이 개질되는 임플란트와, 상기 임플란트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중공형으로 구비되되 자외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구비되는 자외선투영창을 포함하는 앰플부를 포함하며,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는 상기 개질공간에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방향으로 삽입 및 배치되며, 상기 자외선광원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감싸여지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광원부는, 상기 개질공간을 감싸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어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파장을 방출하는 엘이디 램프와, 상기 엘이디 램프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방열핀이 구비되는 방열판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송풍팬과 상기 자외선광원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버부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은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부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자외선광원부가 상기 앰플부를 감싸며 최소한의 간극으로 배치되고 진공압 상태의 고광량을 갖는 UV-C 범위의 진공자외선이 공기 중에서의 감쇠가 최소화되며 픽스츄어에 조사되므로 고에너지의 자외선에 의한 상기 픽스츄어의 원주방향 전체 표면이 단시간에 신속하고 균일하게 개질 및 살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자외선광원부 및 상기 케이스 사이에 열전달 면적이 증가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된 상기 방열판부는 표면 개질시 상기 자외선광원부에서 발생된 열을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와 열교환하여 외부로 배출하므로 상기 자외선광원부 및 상기 앰플부의 과열에 따른 표면 개질능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앰플부가 석영 재질로 구비되어 자외선의 투과율이 향상되면서도 마개부에 의해 폐쇄된 양단부의 외측이 열수축성 비닐커버에 의해 밀폐되어 실질적으로 진공압 상태와 유사한 밀폐상태로 구비되므로 자외선의 조사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서, 상기 임플란트는 상실된 자연 치아를 대체하기 위해 구강 내부에 식립되는 보철물로, 특히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f)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100)는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에 자외선이 조사됨에 따라 친수성 표면 개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100)는 자외선광원부(20), 송풍팬(30), 앰플부(5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술한 구성부품이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10)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자외선광원부(20) 및 상기 앰플부(50)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 측벽부의 하단측을 따라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개의 유입공(11a)이 관통된 유입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자외선광원부(20) 및 상기 앰플부(50)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일면이 개구된 정육면체, 직육면체, 원주 등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자외선광원부(20) 및 상기 앰플부(50)가 배치되는 상단부와, 상기 앰플부(50)의 하단부를 받침하며 측벽부에 복수개의 상기 유입공(11a)이 형성된 상기 유입부(11)를 포함하는 하단부로 구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외선광원부(20) 및 상기 앰플부(50)가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수용되므로 이물질 등의 침투로 인한 기계의 오작동이 방지되며 외적 심미감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유입공(11a)이 상기 케이스(10)의 측변부 하단측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30)이 회전됨에 따라 외부 공기가 상기 유입공(11a)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공기가 표면 개질에 의해 발생된 열을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하므로 열전달 성능이 개선되어 상기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100)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유입부는 상기 케이스(10)의 측벽부 전체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개의 상기 유입공이 상기 케이스(10)의 측벽부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30)이 회전됨에 따라 외부 공기가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10)의 측벽부 전체에 상기 유입공이 형성되므로 상기 측벽부 하단측에만 상기 유입공이 형성되는 경우보다 열전달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외선광원부(2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중앙측에 배치되되,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를 수용하도록 상면이 개구된 개질공간(s)의 측면부를 감싸며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광원부(20)는 상기 개질공간(s)을 감싸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어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파장을 방출하는 엘이디 램프(LED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엘이디 램프는 100~200nm의 파장을 갖는 UV-C 범위의 원자외선 을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원자외선은 다량으로 방출되어 광량이 풍부하며, 단파장의 고에너지를 가지므로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이 단시간에 신속하게 개질될 수 있다. 또한, 200~280nm의 파장을 갖는 UV-C 범위의 원자외선이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에 조사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f)가 포장된 상기 앰플부(50)의 내부에 존재하는 산소 분자가 결합 에너지를 초과하는 에너지 충격을 통해 외곽 전자가 들뜬 상태로 전환되면서 반응성 발생기인 오존으로 전환된다. 이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에 침착되는 탄소 원자가 상기 오존과 결합되어 분리됨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이 저에너지 상태의 소수성에서 고에너지 상태의 친수성으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 램프는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이디 램프는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를 둘레 방향으로 감싸며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표면 개질을 위해 400nm 파장 이하의 비교적 낮은 에너지를 갖는 근자외선에서 장시간 노출됨으로 인하여 상기 픽스츄어(f)가 가열되던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되므로 별도의 복잡한 냉각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자외선 조사장치가 컴팩트하게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자외선광원부(20)는 상기 개질공간(s)을 감싸도록 복수개 배치된 진공압 상태의 용기(21)와, 상기 용기(21) 내부에 배치되어 100~280nm의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방전 전극(22)을 포함하는 엑시머 램프(excimer lamp)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자외선광원부(20)는 내면측 상기 개질공간(s)으로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케이스(10)의 하단부 중앙측에는 상기 자외선광원부(20)가 안착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 돌설되되 상면부가 평탄하게 형성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외선광원부(20)는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10)의 상단부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광원부(20)는 엑시머 램프로 구비되는 경우 석영(quartz) 재질의 상기 용기(21) 내부에 방전 가스가 충진된 진공압 상태로 구비되되, 상기 용기(21)의 내측에 상기 방전 전극(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방전 가스는 불소(fluorine), 염소(chlorine) 등의 할로겐 가스 또는 제논(크세논,xenon), 크립톤(krypton) 등의 가스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전 전극(22)은 봉, 스프링, 파이프 또는 도전성 테이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 전극(22)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두랄루민, 구리 및 구리합금 등의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도전성 물질, 실버 페이스트, ITO(Indium Tin Oxide), ATO(Aluminum Tin Oxide) 등의 도전성 코팅용액 및 복원력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합금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엑시머 램프는 상기 용기(21) 내에 진공압 상태로 충진된 상기 방전가스가 상기 방전 전극에서 형성되는 전기력에 의해 방전됨에 따라 엑시머 분자(들뜬 상태의 분자)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엑시머 분자가 기저상태로 천이될 때 기설정된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엑시머 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통하여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될 수 있으며, 잔존하는 유기물을 분해하거나 제거하여 살균 및 세정작용도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엑시머 램프는 진공압 상태의 상기 용기(21) 내부에서 100~200nm의 파장을 갖는 UV-C 범위의 원자외선 특히, 진공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다. 이러한 진공자외선은 진공압 상태에서 다량으로 방출되어 광량이 풍부하며, 단파장의 고에너지를 가지므로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이 단시간에 신속하게 개질될 수 있다.
또한, 200~280nm의 파장을 갖는 UV-C 범위의 원자외선이 상기 용기(21)를 투과하여 조사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f)가 포장된 상기 앰플부(50)의 내부에 존재하는 산소 분자가 결합 에너지를 초과하는 에너지 충격을 통해 외곽 전자가 들뜬 상태로 전환되면서 반응성 발생기인 오존으로 전환된다. 이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에 침착되는 탄소 원자가 상기 오존과 결합되어 분리됨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이 저에너지 상태의 소수성에서 고에너지 상태의 친수성으로 전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용기(21)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또는 투영성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보다 흡광계수가 낮은 석영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자외선 투과율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으며, 자외선이 갖는 살균력이 보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자외선광원부(20)로부터 조사되는 원자외선이 상기 용기(21)의 외면(20a)과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앰플부(50)의 내부로 실질적으로 투과되어 표면 개질능 및 살균/세정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21)의 외면(20a)과 상기 자외선광원부(20)의 외면(20a)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자외선광원부(2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를 수용하도록 일면이 개구된 상기 개질공간(s)의 측면부를 감싸며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는 자외선이 조사되어 표면이 개질되는 임플란트와, 상기 임플란트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중공형으로 구비되되 자외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구비되는 자외선투영창(51)을 포함하는 상기 앰플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라 함은 표면에 자외선이 조사됨에 따라 친수성으로 표면 개질되는 상기 픽스츄어(f), 또는 상기 픽스츄어(f)를 내부에 보관하는 상기 앰플부(50), 또는 상기 픽스츄어(f) 및 상기 앰플부(50)를 동시에 포괄하는 구성, 또는 표면 개질이 요구되는 임플란트 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는 상기 개질공간(s)에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방향으로 삽입 및 배치되며, 상기 자외선광원부(20)에 둘레방향을 따라 감싸여지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개질공간(s)이라 함은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가 표면 개질을 위해 배치되는 공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질공간(s)의 일면은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가 삽입되도록 개구되되 타면은 상기 케이스(10)의 안착부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부가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가 안착되도록 받침하되, 상기 안착부의 어느 일측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유입공(11a)으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개질공간(s) 내부로 유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개질공간(s)의 측벽면은 각 상기 자외선광원부(20)의 내벽면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즉, 상기 개질공간(s)은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가 수용되도록 일면이 개구되되, 측면은 각 상기 자외선광원부(20)의 내벽면에 의해 차단되며, 타면은 상기 케이스(10)의 안착부에 의해 차단되는 공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 상기 자외선광원부(20)는 직육면체 등의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방전 전극(22)은 상기 용기(21)의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자외선광원부(20)는 상기 개질공간(s)의 형상이 육면체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되도록 4개 구비되어 각 쌍마다 각각 상기 개질공간(s)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자외선광원부(20)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개질공간(s)에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가 상기 개질공간(s)의 일면으로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 및 상기 자외선광원부(20) 사이 간격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의 외면에 자외선 조사량이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따라 표면 개질수준이 불균일하던 종래와 달리, 본 발명은 상기 자외선광원부(20)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까지의 간격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 개질 수준이 균일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자외선 조사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 개질시 각 앰플부(50)에 수용된 픽스츄어(f)가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수준으로 개질되어 불량률이 최소화되므로 표면 처리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개질공간(s)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가 삽입되어 표면 개질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개질공간(s)의 길이방향 길이는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의 길이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수의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가 동시에 일정한 수준으로 표면 개질되므로 제조비용 및 제조부품이 절감됨에 따라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용기는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직육면체, 정육면체 등의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방전 전극은 상기 용기의 내부에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자외선광원부(20)는 상기 엘이디 램프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10)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방열핀이 구비되는 방열판부(2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부(23)의 각 상기 방열핀은 상기 케이스(10) 및 상기 자외선광원부(20) 사이에 구비되되, 열전달 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엘이디 램프를 감싸며 상호간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방열핀의 일측은 복수개의 상기 자외선광원부(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벽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부(23)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기 방열핀은 상호간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1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방열핀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유입공(11a)으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의 표면 개질시 상기 자외선광원부(20)로부터 발생된 열이 상기 방열판부(23)로 열전도되어 상기 유입공(11a)으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상기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100)의 열전달 성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방열판부(23)가 상기 자외선광원부(20)의 외측 및 상기 케이스(10)의 내벽면 사이 전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방열판부(23)가 상기 자외선광원부(20) 및 상기 케이스(10)와 상호 직각으로 배치되는 경우보다 단면적이 확대되어 열전달 성능이 더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광원부(20) 및 상기 케이스(10) 사이에 열전달 면적이 증가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된 상기 방열판부(23)는 표면 개질시 상기 자외선광원부(20)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유입공(11a)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와 열교환하여 외부로 배출하므로 과열에 따른 표면 개질능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방열판부는 상기 자외선광원부(20)의 외측 및 상기 케이스(10)의 내벽면과 상호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각 상기 방열핀이 상기 자외선광원부(20) 및 상기 케이스(10) 사이에 직각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자외선광원부(20)의 대각선 외측과 상기 케이스(10)의 대각선 내측 사이에는 방열핀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열판부가 상기 자외선광원부(20) 및 상기 케이스(10) 사이에 단순히 직각으로 배치되므로 제조과정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경우보다 용이하여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앰플부(50)는 상기 자외선광원부(2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이 내부에 수용되는 치아 임플란트 즉,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을 개질하도록 투과되는 상기 자외선투영창(51)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내부가 밀폐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앰플부(50)는 내부에 상기 픽스츄어(f)가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개질공간(s)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자외선투영창(51)은 양단부가 개구되는 중공형의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며 투영의 석영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자외선광원부(20)의 용기(21) 및 상기 앰플부(50)의 자외선투영창(51)이 자외선 투과율이 높은 석영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자외선광원부(20)로부터 조사되는 원자외선 특히, 진공자외선이 실질적으로 투과되어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에 조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투영창(51)의 개구된 양단부를 커버하는 마개부(52a,52b)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마개부(52a)의 내측단에는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부 내주면이 끼움 결합되는 결속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표면 개질시 요구되는 상기 자외선투영창(51) 내부의 산소량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마개부(52a,52b)의 내주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유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픽스츄어(f)의 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마개부(52b)에는 테두리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소의 자외선 투과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돌설되되 내측단에 상기 픽스츄어(f)의 단부가 점접촉되는 받침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마개부(52b)의 외측 하단부에는 상기 케이스(10)으로부터 상기 개질공간(s)으로 돌설되는 결합돌기(미도시)와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결합돌기(미도시)는 상기 케이스(10)의 안착부의 중앙부에 상측방향으로 연장 돌설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부(52b)의 외측 하단부 중앙측에는 상기 결합돌기(미도시)와 대응되어 길이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상기 결합홈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앰플부(50)가 상기 개질공간(s)으로 삽입되면 상기 마개부(52b)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부(미도시)에 상기 결합돌기(미도시)가 형합되어 상기 앰플부(50)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상기 앰플부(50)를 상기 개질공간(s)에 삽입 및 인출하는 과정을 반복하더라도 상기 자외선광원부(20)로부터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 위치가 가이드되므로 표면 개질의 정확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개부(52a,52b) 및 상기 자외선투영창(51)의 연결부는 열에 의해 수축되는 열수축성 비닐커버(54a,54b)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앰플부(50)의 내부 역시 상기 자외선광원부(20)의 진공압 상태와 유사한 밀폐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자외선이 공기 중에 노출되면 에너지가 감쇠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기 자외선광원부(20) 및 이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앰플부(50)를 실질적으로 투과하여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에 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표면 개질 및 살균/세정력이 우수한 UV-C 범위의 자외선을 통하여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 개질능 및 살균/세정능이 현저히 개선되면서도 처리시간이 단축되어 임플란트 식립의 전반적인 과정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부(52a,52b) 및 상기 자외선투영창(51)의 연결부를 통해 유기물 등의 오염물질이 침투됨을 실질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자외선투영창은 적어도 일측이 개구된 원통용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마개부 또는 상기 자외선투영창의 커버된 일면에 상기 결합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앰플부는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어느 일측에만 마개부가 형성되고, 자외선투영창이 상기 마개부가 형성된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앰플부는 상단이 개구된 자외선투영창과, 상기 자외선투영창의 개구된 상단에 배치되는 마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앰플부의 하단은 상기 케이스(10)의 안착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앰플부의 하단부는 상기 자외선투영창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밀폐된 상기 자외선투영창 하단부 내면에는 테두리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소의 자외선 투과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돌설되되 내측단에 상기 픽스츄어(f)의 단부가 점접촉되는 받침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앰플부(50)는 상기 개질공간(s)의 개구된 일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자외선광원부(20)에 의해 둘러쌓인 형태로 배치되어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질공간(s)은 상기 앰플부(50)의 외주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앰플부(50)의 외주면과 상기 자외선광원부(20)의 내면 사이가 실질적으로 최소한의 간격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표면 개질이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광원부(20)에서 조사되는 190~230nm 파장 영역의 원자외선, 특히 진공자외선이 상기 용기(21)를 투과함과 동시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상기 자외선투영창(51)을 실질적으로 투과하여 상기 앰플부(50)의 내부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에너지의 자외선을 통하여 상기 픽스츄어(f) 표면 개질 및 살균/세정 효율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앰플부(50)의 외주면 및 상기 자외선광원부(20)의 내면 사이가 실질적으로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앰플부(50)의 외주면이 상기 자외선광원부(20)의 내면에 최대한 인접하게 배치되면서도 이격되므로 마찰 간섭됨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40)는 중공형 몸체의 일측이 상기 케이스(1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개구되되, 중공형 몸체의 타면부에 상기 유입공(11a)으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공(40a)이 관통된 토출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40)의 외주 형상은 상기 케이스(10)의 외주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버부(40)의 하측이 상기 케이스(10)의 상측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부(40) 일측 테두리의 외측에는 상기 케이스(10)측으로 연장 돌설되어 제1끼움돌기(41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40) 일측 테두리의 내측에는 제1단턱부(41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40)와 대향되는 상기 케이스(10)의 단부 테두리에는 단부의 내측이 상기 커버부(40)측으로 연장 돌설되어 제2끼움돌기(13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부의 외측에 제2단턱부(13b)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40)가 상기 케이스(10)에 결합시 상기 제1끼움돌기(41b)가 상기 제2단턱부(13b)에 끼움되며, 상기 제2끼움돌기(13a)가 상기 제1단턱부(41a)에 끼움되어 상기 케이스(10) 및 상기 커버부(4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40)의 타측에는 상기 유입공(11a)으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토출공(40a)이 관통된 상기 토출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토출공(40a)은 상기 송풍팬(30)의 최대 직경에 대응되어 상기 커버부(40)의 타면에 원형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토출공(40a)은 상기 커버부(40)의 타면 전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공(11a)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30)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유동되어 상기 방열판부(2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교환하며, 가열된 공기는 상기 토출공(40a)으로 유동되어 상기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팬(30)은 상기 자외선광원부(20)에 의해 발생하 열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유입부(11)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부로 송풍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송풍팬(30)은 상기 커버부(40)의 내부 중앙측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날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30)은 상기 커버부(40)가 상기 케이스(10)에 결합시 상기 유입부(11)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부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커버부(4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30)이 회전됨에 따라 상호 결합된 상기 케이스(10) 및 상기 커버부(4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동되도록 상기 송풍팬(30)의 날개 형상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송풍팬(30)은 상기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100)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표면 개질에 의해 발생한 열을 공기를 통해 열교환 시켜 외부로 배출하므로 고온에 의한 기계의 오조작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팬(30)의 회전축은 상기 케이스(10) 및 상기 커버부(40)의 결합시 상기 개질공간(s)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는 상기 개질공간(s)의 개구된 일면을 커버하도록 차단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차단부재(미도시)는 상기 송풍팬(30)의 회전축에 연결되되 상기 커버부(40)의 개구된 일측 중앙부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개질공간(s)의 일면을 커버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송풍팬은 상기 케이스(10)의 하단부 내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0)의 하단부 내측에는 상기 송풍팬이 회전되되 상면부에 상기 앰플부(50)가 안착되도록 안착지지부(미도시)가 원주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의 회전축은 상기 안착지지부(미도시) 외주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송풍팬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송풍팬은 상기 커버부(40)의 토출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케이스(10)의 유입부(11)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걸림가이드판(12)은 상기 자외선광원부(20) 및 상기 커버부(40) 일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앰플부(50)가 상기 개질공간(s)에 삽입시 상기 앰플부(50)의 상단부가 걸림되도록 중앙부에 관통홀(1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걸림가이드판(12)은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엘이디 램프 및 상기 방열판부(23)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측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가이드판(12)의 외곽측에는 상기 방열판부(23)에 결합 및 고정되도록 나사가 삽입되는 나사홀(1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가이드판(12)이 상기 엘이디 램프를 커버하며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배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걸림가이드판(12)이 상기 자외선광원부(20)의 상측을 차단하므로 자외선이 상측으로 직접적으로 누출됨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가이드판(12)의 중앙부에는 상기 앰플부(50)가 가이드되며 삽입되도록 상기 관통홀(1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12b)의 크기는 상기 앰플부(50)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형, 원형 등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가이드판(12)이 상기 케이스(10)에 배치시 상기 관통홀(12b)의 내부는 상기 개질공간(s)의 개구된 일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가이드판(12)의 관통홀(12b)로 상기 앰플부(50)가 삽입되고, 상기 앰플부(50)의 상기 마개부(52a) 외주가 걸림되므로 상기 앰플부(50)를 상기 개질공간(s)에 삽입시 상기 자외선광원부(20)와의 직접 접촉이 방지되어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가이드판(12)은 상기 방열판부(23)에 고정된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앰플부(50)가 상기 관통홀(12b)을 거쳐 상기 개질공간(s)으로 삽입된 이후에 상기 커버부(40)가 상기 케이스(10)와 결합되어 표면 개질이 진행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100)는 상기 송풍팬(30)과 상기 자외선광원부(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100)는 상기 송풍팬(30) 및 상기 자외선광원부(20)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도록 구비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30) 및 상기 자외선광원부(20)는 스위치 조작을 통해 각각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도록 상기 제어부(60)에 회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자외선광원부(20)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된 경과시간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된 경과시간을 가시적으로 확인하여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 개질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앰플부(50)의 하면부가 안착되는 상기 개질공간(s)의 타면에는 선택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기설정된 신호가 감지되는 센서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앰플부(50)가 상기 개질공간(s)에 삽입 및 안착되면 각 대향면이 접촉되면서 상기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접촉신호가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신호에 따라 상기 개질공간(s)에 상기 앰플부(50)의 배치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앰플부(50)가 결합되어 자외선이 조사되는 시간이 판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의 기본적인 기능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200)는 케이스(210), 자외선광원부(220), 송풍팬(230), 커버부(240). 앰플부(25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10)는 상기 자외선광원부(220) 및 상기 앰플부(250)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일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10) 측벽부의 하단측을 따라 복수개의 유입공(211a)이 관통된 유입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0)는 상기 자외선광원부(220) 및 상기 앰플부(250)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일면이 개구된 원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210)는 상기 자외선광원부(220) 및 상기 앰플부(250)가 배치되는 상단부와, 상기 앰플부(250)의 하단부를 받침하며 측벽부에 복수개의 상기 유입공(211a)이 형성된 상기 유입부(211)를 포함하는 하단부로 구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외선광원부(220) 및 상기 앰플부(250)가 상기 케이스(210)의 내측에 수용되므로 이물질 등의 침투로 인한 기계의 오작동이 방지되며 외적 심미감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유입공(211a)이 상기 케이스(210)의 측변부 하단측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230)이 회전됨에 따라 외부 공기가 상기 유입공(211a)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공기가 표면 개질에 의해 발생된 열을 상기 케이스(210)의 외부로 배출하므로 열전달 성능이 개선되어 상기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200)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유입부는 상기 케이스(20)의 측벽부 전체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개의 상기 유입공이 상기 케이스(20)의 측벽부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230)이 회전됨에 따라 외부 공기가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210)의 측벽부 전체에 상기 유입공이 형성되므로 상기 측벽부 하단측에만 상기 유입공이 형성되는 경우보다 열전달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외선광원부(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중앙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자외선광원부(220)는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를 수용하도록 상면이 개구된 개질공간(s)의 측면부를 감싸며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광원부(220)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반호형으로 구비되어 전체 결합시 중공형 원주 형태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로 구비되는 경우 중공형 원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광원부(220)는 상기 개질공간(s)을 감싸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진공압 상태의 용기 내부에 배치되어 자외선을 방출하는 방전 전극을 포함하는 엘이디 램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자외선광원부(220)는 내면측 상기 개질공간(s)으로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상기 케이스(210)의 내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케이스(210)의 하단부 중앙측에는 상기 자외선광원부(220)가 안착되도록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 돌설되되 상면부가 평탄하게 형성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외선광원부(220)는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210)의 상단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를 수용하도록 상면이 개구된 개질공간(s)의 측면부를 감싸며 배치되는 상기 자외선광원부(220)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와 원주방향을 따라 균일한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배치되어 표면 개질이 균일하게 진행되므로 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외선광원부(220)는 상기 엘이디 램프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210)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방열핀이 구비되는 방열판부(22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부(223)의 각 상기 방열핀은 상기 케이스(210) 및 상기 자외선광원부(220) 사이에 구비되되, 열전달 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엘이디 램프를 감싸며 상호간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방열핀의 일측은 복수개의 상기 자외선광원부(2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케이스(210)의 내벽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부(223)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기 방열핀은 상호간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21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방열핀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유입공(211a)으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의 표면 개질시 상기 자외선광원부(220)로부터 발생된 열이 상기 자외선광원부(220)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상기 방열판부(223)로 열전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공(211a)으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에 의해 상기 방열핀이 냉각되고 가열된 공기가 상기 케이스(210)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상기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200)의 열전달 성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부(223)는 원주 형상으로 구비된 상기 케이스(210) 및 상기 자외선광원부(220)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케이스(10)가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보다 제조가 용이하므로 제조 시간 및 제조 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걸림가이드판(212)은 상기 자외선광원부(220) 및 상기 커버부(240) 일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앰플부(250)가 상기 개질공간(s)에 삽입시 상기 앰플부(250)의 상단부가 걸림되도록 중앙부에 관통홀(21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걸림가이드판(212)은 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엘이디 램프 및 상기 방열판부(223)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케이스(210)의 상부측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가이드판(212)의 외곽측에는 상기 방열판부(223)에 결합 및 고정되도록 나사가 삽입되는 나사홀(21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가이드판(212)이 상기 엘이디 램프를 커버하며 상기 케이스(210)의 일측에 배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걸림가이드판(212)이 상기 자외선광원부(220)의 상측을 차단하므로 자외선이 상측으로 직접적으로 누출됨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가이드판(212)의 중앙부에는 상기 앰플부(250)가 가이드되며 삽입되도록 상기 관통홀(21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212b)의 크기는 상기 앰플부(250)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형, 원형 등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가이드판(212)이 상기 케이스(210)에 배치시 상기 관통홀(212b)의 내부는 상기 개질공간(s)의 개구된 일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가이드판(212)의 관통홀(212b)로 상기 앰플부(250)가 삽입되고, 상기 앰플부(250)의 상단부 외주가 걸림되므로 상기 앰플부(250)를 상기 개질공간(s)에 삽입시 상기 자외선광원부(220)와의 직접 접촉이 방지되어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240)는 중공형 몸체의 일측이 상기 케이스(210)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개구되되, 중공형 몸체의 타면부에 상기 유입공(211a)으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공(240a)이 관통된 토출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240)의 외주 형상은 상기 케이스(210)의 외주와 대응되는 원주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버부(240)의 하측이 상기 케이스(210)의 상측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240)의 타측에는 상기 유입공(211a)으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토출공(240a)이 관통된 상기 토출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토출공(240a)은 상기 송풍팬(230)의 최대 직경에 대응되어 상기 커버부(240)의 타면에 원형 형상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토출공(240a)은 상기 커버부(240)의 타면 전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공(211a)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230)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유동되어 상기 방열판부(22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교환하며, 가열된 공기는 상기 토출공(240a)으로 유동되어 상기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200)에는 상기 자외선광원부(220) 및 상기 앰플부(250)를 커버하되 내면에 자외선 반사막(미도시)이 형성된 내측프레임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프레임부(미도시)는 상기 엑시머램프의 용기 외측 및 상기 방열핀의 내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프레임부(미도시)의 내주면에 상기 자외선 반사막(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프레임부(미도시)의 내주면은 상기 자외선광원부(22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광원부(220)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이 상기 반사막(미도시)에 반사되어 상기 앰플부(250)에 간접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의 전체적인 표면이 실질적으로 개질될 수 있으며 표면 개질에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외선 반사막(미도시)에는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성된 엠보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자외선이 상기 자외선 반사막(미도시)의 엠보부를 통해 난반사되면서 픽스츄어의 나사산, 단차부 및 하단부의 미세한 표면까지 조사됨에 따라 표면 개질능 및 살균/세정능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외선광원부(220)는 상기 케이스(210)로부터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자외선광원부(220)를 상기 케이스(2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한 후 상기 케이스(210)의 세척이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먼지 등에 의한 오염으로 인한 열전달 성능 및 표면 개질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100,200)는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가 상기 자외선광원부(20,220)의 내면과 최소한의 간극으로 배치되어 진공압 상태에서 고광량을 갖는 UV-C 범위의 진공자외선이 공기 중에서의 감쇠가 최소화되어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에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앰플부(50)가 자전되지 않고 고에너지의 자외선에 의한 상기 픽스츄어(f)의 전체적인 원주방향 표면이 3~10분 내외의 단시간에 균일하게 개질 및 살균되므로 임플란트 식립시 치주조직과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앰플부(50,250)가 석영 재질로 구비되어 자외선의 투과율이 향상되면서도 상기 마개부에 의해 폐쇄된 양단부의 외측이 상기 열수축성 비닐커버에 의해 밀폐되어 실질적으로 진공압 상태와 유사한 밀폐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UV-C 범위의 진공자외선이 상기 용기 및 상기 자외선투영창을 연속적으로 투과하더라도 에너지 감쇠가 최소화되므로 자외선의 조사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210: 케이스 20,220: 자외선광원부
30,230: 송풍팬 40,240: 커버부
50,250: 앰플부 f: 픽스츄어
100,200: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Claims (5)

  1. 측벽부를 따라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되,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가 수용되는 개질공간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자외선광원부; 및
    상기 자외선광원부를 방열하도록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는 자외선이 조사되어 표면이 개질되는 임플란트와, 상기 임플란트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중공형으로 구비되되 자외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구비되는 자외선투영창을 포함하는 앰플부를 포함하며,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는 상기 개질공간에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방향으로 삽입 및 배치되며, 상기 자외선광원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감싸여지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광원부는,
    상기 개질공간을 감싸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어 상기 임플란트 표면개질 대상체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파장을 방출하는 엘이디 램프와,
    상기 엘이디 램프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방열핀이 구비되는 방열판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송풍팬과 상기 자외선광원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은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부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KR1020180097187A 2018-08-21 2018-08-21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KR102590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187A KR102590340B1 (ko) 2018-08-21 2018-08-21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187A KR102590340B1 (ko) 2018-08-21 2018-08-21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633A true KR20200021633A (ko) 2020-03-02
KR102590340B1 KR102590340B1 (ko) 2023-10-17

Family

ID=6980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187A KR102590340B1 (ko) 2018-08-21 2018-08-21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3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3894A (zh) * 2022-02-17 2022-04-15 北京冠美口腔医院管理有限公司 一种牙科种植体骨结合率加速器
KR20240022379A (ko) * 2022-08-11 2024-02-20 주식회사 플라즈맵 포장 용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2195A (ja) * 1997-06-02 2000-09-19 インスティトゥート・シュトラウマン・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インプラント用保持部品及びインプラントを保管するアンプル
KR101102993B1 (ko) * 2011-03-29 2012-01-0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 처리 장치
KR101445819B1 (ko) * 2013-05-14 2014-09-29 박규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노화 회복을 위한 자외선 조사 시스템
KR20170113127A (ko) * 2016-03-31 2017-10-12 호야 칸데오 옵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방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광 조사 장치
KR20180086967A (ko) 2017-01-24 2018-08-01 (주)포인트닉스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2195A (ja) * 1997-06-02 2000-09-19 インスティトゥート・シュトラウマン・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インプラント用保持部品及びインプラントを保管するアンプル
KR101102993B1 (ko) * 2011-03-29 2012-01-0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 처리 장치
KR101445819B1 (ko) * 2013-05-14 2014-09-29 박규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노화 회복을 위한 자외선 조사 시스템
KR20170113127A (ko) * 2016-03-31 2017-10-12 호야 칸데오 옵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방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광 조사 장치
KR20180086967A (ko) 2017-01-24 2018-08-01 (주)포인트닉스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3894A (zh) * 2022-02-17 2022-04-15 北京冠美口腔医院管理有限公司 一种牙科种植体骨结合率加速器
KR20240022379A (ko) * 2022-08-11 2024-02-20 주식회사 플라즈맵 포장 용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340B1 (ko)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017B1 (ko) 치아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KR10151618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US11872104B2 (en)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device
KR101675508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1991785B1 (ko) 치아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KR101675506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US11864967B2 (en) Packaging container for dental implant
KR20200021633A (ko)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KR20190088753A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2351510B1 (ko) 플라즈마 치과 임플란트 캡슐레이션 장치
JP3203603U (ja) 紫外線照射装置
WO2011113568A1 (en) Surface treatment method
KR102064951B1 (ko) 치아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KR20210148801A (ko) 플라즈마 처리 용기,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68893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2047451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20180037711A (ko)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
KR102106993B1 (ko) 치아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KR102064960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2172858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1769783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20200083194A (ko) 임플란트용 자외선 살균장치
KR102250286B1 (ko)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장치
AU2019351639B2 (en) Apparatus for treating surface of medical metal
KR20210000940A (ko)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