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935B1 -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935B1
KR101688935B1 KR1020160019844A KR20160019844A KR101688935B1 KR 101688935 B1 KR101688935 B1 KR 101688935B1 KR 1020160019844 A KR1020160019844 A KR 1020160019844A KR 20160019844 A KR20160019844 A KR 20160019844A KR 101688935 B1 KR101688935 B1 KR 101688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ultraviolet light
ultraviolet
contain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60019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6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 B65D11/18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two mating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65D43/0231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8Applications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2/00Packaging for dental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1Pharmaceuticals, e.g. medicaments, artificial body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픽스츄어의 식립시 초기 골형성 촉진 및 골융합 기간의 단축을 위해 픽스츄어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되 개질된 표면 상태가 장기간 유지되도록, 본 발명은 자외선 반사물질을 통해 내면에 형성된 반사층의 내부를 따라 1차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된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츄어가 수납 및 인출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도록 하면부에 형성된 연통공의 하부 외곽을 따라 장착가이드부가 돌설된 용기본체부; 상기 수납된 픽스츄어가 밀폐 보관되도록 상기 용기본체부의 상단부에 착탈되는 실링커버; 상기 용기본체부의 내면을 지지하되 상기 수용된 픽스츄어를 고정하는 파지부; 및 상기 수용된 픽스츄어에서 피시술자의 치조골에 식립되는 나사부와 대향되되 상기 반사층을 향해 경사 배치되도록 상기 장착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통공을 통해 상기 픽스츄어의 2차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를 위한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발광부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package for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픽스츄어의 식립시 초기 골형성 촉진 및 골융합 기간의 단축을 위해 픽스츄어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되 개질된 표면 상태가 장기간 유지되는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란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이를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의 의미하며, 치과에서는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체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 반응이 적은 티타늄(titanium) 등의 픽스츄어(인공 치근), 치조골에 식립된 인공 치근에 결합되어 저작면을 형성하는 크라운 등을 의미하며, 상기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는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픽스츄어 등의 임플란트는 식립시 이물질이나 세균 등에 의한 오염으로 치조골 등의 구강 내부 조직이 감염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향균 처리된 후 밀봉 포장되어 보관된다.
또한, 현재 대부분의 픽스츄어는 RBM, SLA 등의 공정을 통해 친수성 표면을 갖도록 처리된다. 이때, 상기 픽스츄어의 표면은 공정 후 공기 중에 노출되면 시간의 지남에 따라 산화층이 증가하고 탄화수소 화합물과 같은 오염원에 의해 표면에너지가 안정화되어 소수성으로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체액 및 혈액에 대한 젖음성이 저하되어 골융합 반응이 느려지고 임플란트가 안정화되기까지의 회복 기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살균된 픽스츄어를 용기에 포장한 후 용기 외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용기 내부에 포장된 픽스츄어의 표면 에너지를 증가시킴으로써 친수성을 확보하는 기술이 고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외선 처리 장치는 낮은 투과성을 갖는 자외선이 용기 외부에서 용기 내부로 조사되기 위해, 자외선이 투과 가능한 특수한 재질의 용기가 요구되므로 용기의 단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발광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의 강도는 용기의 투과율에 따라 감소 될 뿐만 아니라 발광장치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표면 처리 및 살균에 충분한 강도의 자외선이 픽스츄어에 조사되기 위해 높은 강도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발광장치가 요구되므로 장치의 구성이 복잡화되고 전력 소모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고강도 자외선이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에는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미칠 우려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5884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픽스츄어의 식립시 초기 골형성 촉진 및 골융합 기간의 단축을 위해 픽스츄어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되 개질된 표면 상태가 장기간 유지되는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외선 반사물질을 통해 내면에 형성된 반사층의 내부를 따라 1차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된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츄어가 수납 및 인출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도록 하면부에 형성된 연통공의 하부 외곽을 따라 장착가이드부가 돌설된 용기본체부; 상기 수납된 픽스츄어가 밀폐 보관되도록 상기 용기본체부의 상단부에 착탈되는 실링커버; 상기 용기본체부의 내면을 지지하되 상기 수용된 픽스츄어를 고정하는 파지부; 및 상기 수용된 픽스츄어에서 피시술자의 치조골에 식립되는 나사부와 대향되되 상기 반사층을 향해 경사 배치되도록 상기 장착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통공을 통해 상기 픽스츄어의 2차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를 위한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발광부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본체부의 하면부는 일측 테두리로부터 타측 테두리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하면부의 일측 테두리에서 상기 반사층 및 상기 자외선 발광부 사이의 각도는 45도 ~ 75도로 설정되고, 상기 자외선 발광부에는 상기 장착가이드부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용기본체부의 하면부 타측 테두리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장착안내지지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부는 상기 반사층의 진공 증착을 위해 상기 수용공간의 최대직경부를 기준으로 한 수직방향을 따라 좌우로 분할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부는 상기 파지부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단턱이 형성되되 상기 단턱의 하부를 따라 협소화된 광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나사부의 측면부에 대응되는 하부 내면에 상기 픽스츄어의 외면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간격을 갖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집광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집광관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픽스츄어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1간격 미만의 기설정된 제2간격을 갖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광차폐부가 구비되되, 상기 광차폐부의 하부에는 상기 자외선의 누설 흐름이 차단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배진 반사라운드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부의 내면에는 기설정된 면적의 오목 내지 볼록 중 어느 하나의 구배면으로 형성된 복수의 엠보부가 원주방향 및 상하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자외선 발광부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배치됨에 따라 자외선이 별도의 매질을 통과하지 않고 픽스츄어의 표면에 직접 조사될 수 있으므로 자외선을 통한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투과를 위한 고가의 소재나 고강도의 자외선이 요구되지 않아 저비용 및 저전력의 경제적인 장치 구성이 가능하다.
둘째, 좌우로 분할 구비된 용기본체부를 통해 증착 공정에 대한 직접적인 노출면적이 증가되어 복잡한 형상을 갖는 내면부에도 반사층의 용이한 진공 증착이 가능하며, 진공 증착된 반사층 표면의 균일화, 반사층 및 자외선 발광부의 경사 배치에 따른 반사층으로의 입사량 증가를 통해 픽스츄어의 표면을 향해 반사되는 자외선 광량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 및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픽스츄어의 나사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협소화된 광통로를 형성하는 집광관부가 구비되어 자외선의 반사 이동 경로가 최소화되므로 집광관부 내면의 반사층을 경유하여 픽스츄어에 조사되는 실질적인 자외선의 강도가 증가될 수 있어 제품의 표면 개질 처리 및 유지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집광관부의 내면에 형성된 엠보부가 볼록 내지 오목한 복수의 구배면을 형성하므로 엠보부 표면의 반사층을 따라 복잡한 방향으로 난반사 내지는 확산된 자외선이 나선형의 조밀한 피치간격을 갖는 나사산의 상하부 경사면 및 나사산 사이의 표면으로 정밀하게 조사될 수 있어 제품의 표면 개질 처리 및 유지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의 용기본체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100)는 용기본체부(10), 실링커버(20), 파지부(30), 그리고 자외선 발광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본체부(10)의 내면에는 자외선 반사물질로 구비된 반사층(11)이 형성되되, 상기 반사층(11)의 내부를 따라 1차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된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츄어(90)가 수납 및 인출되는 수납공간(k)이 형성된다.
그리고, 자외선 반사물질은 알루미늄 내지는 세라믹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알루미늄은 모든 파장의 방사 에너지를 반사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고순도의 알루미늄일수록 높은 반사성을 가지게 되며, 99.8% 이상의 순도를 갖는 알루미늄의 경우에는 방사 에너지의 90% 이상을 반사할 수 있다.
또한, 이산화세륨, 산화아연, 이산화지르코늄 등의 세라믹을 이용한 다층 코팅의 경우에는 99% 이상의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픽스츄어(90)는 체액이나 혈액에 대해 높은 젖음성을 갖도록 1차 표면 개질 처리되며, 식립시 감염이 예방되도록 1차 살균 처리된 후 상기 수납공간(k)에 수용된다.
예를 들어, 1차 표면 개질 처리는 산화알루미늄 내지는 산화티타늄, 인산칼슘 등의 생체 친화성 매질을 분사하여 표면에 거칠기를 형성하는 RBM(resorbable blasting media) 표면 처리, RBM 표면 처리 후 산성 용액 등을 이용한 화학적인 에칭을 수행하는 SLA(sandblasted, large-grit, acid-etched) 표면 처리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1차 살균 처리는 픽스츄어(90)를 세정액, 자외선, 플라즈마, 오존 등에 노출시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본체부(10)는 상기 픽스츄어(90)를 수납, 인출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된 형태이기만 하면 원기둥, 다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에 대한 밀폐성 향상을 위해서는 개구의 단면적이 최소화됨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픽스츄어(90)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본체부(10)는 상하방향 폭이 넓고 좌우방향 폭이 좁은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실링커버(20)는 상기 수납된 픽스츄어(90)가 밀폐 보관되도록 상기 용기본체부(10)의 상단부에 착탈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커버(20)의 상부에는 픽스츄어(90)의 체결을 위한 스크류(미도시)가 수납되도록 스크류수납홈(28)이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수납홈(28)의 상부는 수납홈커버(29)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개구는 상기 용기본체부(10)의 상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실링커버(20)에서 상기 개구의 테두리와 접촉되는 부분에 구비된 밀폐패킹(27)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k)이 외부 공기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납공간(k)은 외부 공기로부터 차단된 밀폐 상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진공 상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실링커버(20)는 일부분이 상기 용기본체부(10)에 힌지 연결된 힌지식이나 상기 용기본체부(10)와 분리되는 착탈식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결합방식에 있어서도 회전 개폐식이나 강제 끼움식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커버(20)가 상기 용기본체부(10)와 분리 가능한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용기본체부(10)에 회전 결합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부(10)의 하면부에는 상기 수납공간(k)과 연통되는 연통공(15)이 형성되되, 상기 연통공(15)의 하부 외곽을 따라 장착가이드부(16a,16b)가 돌설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가이드부(16a,16b)는 상기 용기본체부(10)의 하면부(10e) 테두리를 따라 하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 발광부(40)는 상기 장착가이드부(16a,16b)의 내면을 따라 상기 용기본체부(10)의 하면부(10e)에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자외선 발광부(40)는 자외선(L)을 방출하는 램프부(40a)와, 상기 램프부(40a)가 고정되는 기판부(40b)로 구비되며, 상기 램프부(40a)는 상기 연통공(15)에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공(15)은 상기 수용공간(k)에 수용된 픽스츄어(90)에서 피시술자의 치조골에 식립되는 나사부(90b)와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부(10)의 하면부(10e)에 결합된 자외선 발광부(40)의 램프부(40a) 및 상기 나사부(90b)가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외선 발광부(40)는 상기 연통공(15)을 통해 상기 픽스츄어(90)의 2차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를 위한 자외선(L)을 방출한다.
상세히, 상기 자외선 발광부(40)의 램프부(40a)는 150nm~400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램프부(40a)는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발광하는 LED 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은 파장 범위에 따라 UV-V, UV-C, UV-B, UV-A로 분류될 수 있다. 즉, UV-V는 100nm~200nm의 파장범위, UV-C는 200nm~280nm의 파장범위, UV-B는 280nm~315nm의 파장범위, UV-A는 315nm~400nm의 파장범위에 대응되는 자외선을 의미하며, 파장이 짧을수록 높은 에너지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은 산소 분자의 결합 에너지를 초과하는 에너지 충격을 통해 산소 분자의 외각 전자를 여기시켜 산소 분자를 반응성 발생기인 오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픽스츄어(90)의 표면은 1차 표면 개질 처리를 통해 -OH의 작용기를 갖는 고에너지 상태의 친수성 표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형성된 -0H의 작용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탄소와 결합되어 안정화되고, 상기 픽스츄어(90)의 표면이 저에너지 상태의 소수성 표면으로 전환된다.
이때, 상기 자외선을 통해 발생된 오존은 픽스츄어(90)의 표면에 침착된 탄소 원자와 결합되어 픽스츄어 표면으로부터 탄소 원자를 분리시킬 수 있으며, 픽스츄어의 표면을 고에너지 상태의 친수성으로 재전환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픽스츄어의 표면에 조사된 자외선은 유기물질의 결합고리를 깨트려 표면 세정 효과를 부여하고,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를 태워 죽이는 살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외선 발광부(40)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파장 범위가 150nm 미만인 경우에는 과도한 에너지로 인해 외부 누출시 피부조직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며, 상기 자외선 발광부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파장 범위가 400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실질적인 살균 및 표면 개질 효과가 부족할 우려가 있다.
이처럼, 상기 자외선 발광부(40)가 상기 픽스츄어(90)와 직접적으로 대향 배치되도록 용기본체부(10)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자외선 발광부(40)에서 방출된 자외선이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제외한 별도의 매질을 통과하지 않고 픽스츄어(90)에 직접 조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 발광부(40)가 상기 용기본체부(10)의 내부에 집약된 하나의 부품으로 구비되므로 자외선 발광부(40)로부터 픽스츄어(90)까지의 간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외선(L)을 통한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더욱이, 픽스츄어(90)의 보관시 지속적인 자외선 조가가 이루어짐에 따라 픽스츄어(90)가 포장용기(100)로부터 인출되기 전까지, 픽스츄어(90)의 표면에 친수성 개질을 위한 충분한 자외선(L)이 지속적으로 조사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표면 개질 유지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특수한 재질의 합성수지가 요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조사 거리에 반비례하여 급감하는 강도를 보상하기 위한 고강도의 자외선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저비용 및 저전력의 경제적인 장치 구성이 가능하며, 고강도의 자외선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외선 발광부(40)로부터 방출된 자외선은 광화학반응을 통해 공기 중의 산소 분자로 오존을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픽스츄어의 표면은 상기 용기본체부 내부에 생성된 오존에 노출됨에 따라 고에너지 상태로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발광부(40)로부터 방출된 자외선이 용기본체부(10) 내부의 한정된 공간에 수용된 공기에 집중 조사됨에 따라 광화학 반응이 픽스츄어와 인접한 부분에서 활발하게 발생될 수 있으며, 픽스츄어의 표면에 다량의 오존이 분포되어 오존을 통한 표면 개질 처리 및 살균 처리 성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스츄어(90)의 표면이 친수성 개질을 위한 오존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표면 개질 유지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외선 발광부(40)는 상기 반사층(11)을 향해 경사 배치되도록 상기 장착가이드부(16a,16b)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자외선 발광부(40)는 상하 방향으로 긴 용기본체부(10)의 불필요한 부피 증가 방지를 위해 상기 용기본체부(10)의 하면부(10e)에 장착되며, 나사부(90b)의 하단과 대향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발광부가 수평으로 배치되는 경우, 대부분의 자외선(L)이 빛의 직진성에 따라 나사부(90b)의 하단측을 향하게 되며 자외선 발광부(40)로부터 방사상으로 방출되는 일부의 자외선(L)만 상기 반사층(11)을 통해 반사되어 상기 나사부(90b)의 측면부측으로 조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자외선 발광부(40)가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반사층(11)으로 입사되는 자외선(L)의 광량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으며, 픽스츄어(90)에서 대부분의 표면을 형성하는 나사부(90b)의 측면부측으로 자외선(L)의 원활한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외선(L)을 통한 픽스츄어(90)의 표면 개질 처리 및 살균 처리 성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으며, 픽스츄어(90)의 표면에 친수성 개질에 요구되는 충분한 자외선(L)이 지속적으로 조사될 수 있어 제품의 표면 개질 유지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본체부(10)의 하면부(10e)는 일측 테두리로부터 타측 테두리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면부(10e)의 일측 테두리에서 상기 반사층(11) 및 상기 자외선 발광부(40) 사이의 각도는 45도 ~ 75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반사층(11)을 향해 입사되는 자외선(L)의 광량이 최대화되되 자외선(L)의 반사 이동 경로가 최소화되기 위해서는 상기 반사층(11) 및 상기 자외선 발광부(40) 사이의 각도가 60도로 설정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반사층(11) 및 상기 자외선 발광부(40) 사이의 각도가 45도 미만인 경우에서는 상기 자외선 발광부(40)로부터 방출된 자외선(L)의 반사 이동 경로가 과다하게 증가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나사부(90b)의 상부에 도달되는 광량이 감소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층(11) 및 상기 자외선 발광부(40) 사이의 각도가 75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외선 발광부(40)로부터 방출된 자외선(L)이 픽스츄어(90) 외면 각 부분에 균일하게 조사되지 못하고 수용공간(k)의 상측으로 소실되는 광량이 증가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자외선 발광부(40)에는 상기 장착가이드부(16a,16b)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용기본체부(10)의 하면부(10e) 타측 테두리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장착안내지지부(4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기판부(40b)는 상기 램프부(40a)의 구동을 위한 회로가 실장된 회로부(41)와 상기 회로부(41)의 일측에 구비된 장착안내지지부(42)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가이드부(16a,16b)는 상기 용기본체부(10)의 하면부(10e) 테두리를 따라 돌설되되, 상기 하면부(10e)의 타측 테두리에 대응되는 부분(16c)이 개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로부(41)는 상기 하면부(10e)의 타측 테두리로부터 상기 장착가이드부(16a,16b)의 내부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되, 상기 회로부(41)가 상기 장착가이드부(16a,16b)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공(15)과 대응되는 부분을 따라 상기 램프부(40a)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안내지지부(42)는 상기 회로부(41)에서 상기 장착가이드부(16a,16b)가 개방된 부분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로부(41)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연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착가이드부(16a,16b) 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기 자외선 발광부(40)의 결합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안내지지부(42)를 그립한 상태에서 상기 장착가이드부(16a,16b)의 내면을 따라 상기 자외선 발광부(40)를 조립하면 상기 램프부(40a) 및 상기 연통공(15)이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안내지지부(42)는 상기 하면부(10e)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하면부(10e)의 경사방향을 따라 기울어진 용기본체부(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부(10)가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으며, 픽스츄어(90)의 인출을 위한 실링커버(20)가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가이드부(16a,16b)의 내면에는 상기 용기본체부(1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기판부(40b)의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조립돌기(17a,17b)가 돌설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부(40b)를 상기 장착가이드부(16a,16b)의 내부를 따라 상측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 기판부(40b)의 하단면에 상기 조립돌기(17a,17b)에 걸림되어 가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부(40b)의 상면부가 상기 용기본체부(10)의 하면부에 밀착되어 상기 조립돌기(17a,17b)에 의해 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가이드부(16a,16b)와 접촉되는 상기 기판부(40b)의 하부 테두리부가 실링수단(13b)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의 픽스츄어(90)가 외부 공기로부터 차단되어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기판부(40b)의 조립 위치가 상기 장착가이드부(16a,16b)를 통해 안내되되, 기판부(40b)가 조립돌기(17a,17b)에 걸림되어 가결합된 상태에서 실링수단(13b)을 통해 밀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본체부(10)는 상기 반사층(11)의 진공 증착을 위해 상기 수용공간(k)의 최대직경부를 기준으로 한 수직방향을 따라 좌우로 분할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용기본체부(10)는 상부가 개구된 원기둥형 용기가 상기 수용공간(k)의 최대직경부를 기준으로 한 수직방향의 절단면을 따라 좌우로 갈라진 한쌍의 분할몸체(10a,10b)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분할몸체(10a,10b)의 내면에는 자외선 반사물질의 진공 증착을 통해 반사층(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쌍의 분할몸체(10a,10b)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부(10)의 내면에 연속된 반사층(11)이 형성되고, 상기 반사층(11)의 내부를 따라 상기 수납공간(k)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공간(k)은 픽스츄어(90)의 수납시 외부 공기의 함유량이 최소화되도록 픽스츄어(90)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단면은 상기 수납공간(k)의 최대직경부를 기준으로 설정되어 상기 각 분할몸체(10a,10b)가 상기 절단면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분할몸체(10a,10b)는 상호 대향되는 각각 테두리부(12a,12b)가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실링수단(13a)에 의해 밀폐 결합됨에 따라 용기본체부(10)로 조립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용기본체부(10)가 수용공간(k)의 최대직경부를 기준으로 분할된 한쌍의 부재로 구비되므로 분할된 각각의 내면에 대한 측방향 노출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다.
즉, 반사층(11)의 진공 증착 공정에 대한 직접적인 노출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증착 공정의 난이도가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진공 장착된 반사층(11)이 한층 균일한 표면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반사층(11)의 반사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반사층(11)을 통한 자외선의 반사시 강도 저하가 최소화되므로 상기 반사층(11)을 경유하여 상기 픽스츄어(90)에 조사되는 실질적인 자외선(L)량이 증가되는 효과를 제공하여 제품의 표면 개질 성능 및 살균 처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픽스츄어(90)의 표면에 친수성 개질에 요구되는 충분한 자외선(L)이 지속적으로 조사될 수 있어 제품의 표면 개질 유지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반사층(11)은 상기 용기본체부(10)의 내면 전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부(10)의 하면부(10e)로부터 상기 수납공간(k)에 수납된 픽스츄어(90)의 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까지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실링수단(13a,13b)은 공기나 수분 등에 대한 밀폐성능이 뛰어난 실리콘 계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분할몸체(10a,10b) 중 하나(10b)의 테두리부(12b)에는 안내돌기(14b)가 돌설되되, 다른 하나(10a)의 테두리부(12a)에는 결합 위치가 안내되도록 상기 안내돌기(14b)가 삽입되는 안내홈부(미도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내돌기(14b) 및 상기 안내홈부(미도시)는 상기 각 분할몸체(10a,10b)의 테두리부(12a,12b)가 상호 정렬될 수 있도록 각 분할몸체(10a,10b)의 테두리부(12a,12b)를 따라 복수개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각 안내돌기(14b)가 대응되는 위치의 안내홈부(미도시)에 삽입되면 상기 각 분할몸체(10a,10b)의 테두리부(12a,12b)가 상호 정렬되도록 가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 공정의 난이도가 감소될 수 있으며, 정확한 조립/결합을 통해 불량율이 감소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지부(30)는 상기 용기본체부(10)의 내면을 지지하되 상기 수용된 픽스츄어(90)를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픽스츄어(90)의 외부에는 상기 피시술자의 치조골에 식립되는 나사부(90b)가 구비되며, 상단 내부를 따라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내지 크라운 등의 식립물이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픽스츄어(90)는 상기 파지부(30)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체결공에 마운트(90a)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마운트(90a)를 통해 상기 파지부(3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마운트(90a)는 상기 체결공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시술용 공구에 그립되는 부품으로, 픽스츄어(90)의 운반시 나사부(90b) 등의 손상이나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픽스츄어(90)는 상기 파지부(3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나사부(90b)가 상기 용기본체부(1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용기본체부(10)에 수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부(10) 및 픽스츄어(90) 간의 마찰/접촉에 따른 손상 없이 상기 픽스츄어(90)가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지부(30)는 상기 실링커버(20)에 결합되되 상기 픽스츄어(90)의 상부 외면을 감싸도록 연장된 하우징(30a)과, 상기 하우징(30a)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픽스츄어(90)를 탄발 고정하는 그립부(30c)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30a)의 상면부에는 상기 실링커버(20)의 하면부로부터 돌설된 결합돌기(26)가 끼움 고정되는 결합홈부(36)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30a)의 하부는 일측면부가 개방된 원호형 관 형상(30b)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원호형 관 형상(30b)으로 연장된 하우징(30a)의 하단부를 따라 그립부(30c)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30c)는 상기 픽스츄어(90)의 직경 미만으로 이격된 한쌍의 탄성편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픽스츄어(90)의 상단 내지 체결공에 결합된 마운트(90a)가 탄성편 사이에 탄발적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픽스츄어(90)는 나사부(90b)가 상기 자외선 발광부(40)가 배치된 수납공간(k)의 하부를 향하도록 하우징(30a)의 측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30c) 사이로 삽입되어 탄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픽스츄어(90)의 상단 내지 마운트(90a)는 하우징(30a)의 측면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원호형 관 형상(30b)으로 연장된 부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a)의 상부 외경은 상기 용기본체부(10)의 상부 내경에 대응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용기본체부(10) 내부에 수용된 파지부(30)가 용기본체부(10)의 내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파지부(3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픽스츄어(90)는 상기 실링커버(20)가 상기 용기본체부(1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실링커버(20)에 결합된 파지부(30)와 함께 수납공간(k)에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픽스츄어(90)는 상기 실링커버(20)의 분리와 함께 상기 용기본체부(1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하우징(30a)의 측면 개방부를 따라 그립부(30c)에 탄발 고정된 마운트(90a) 등이 외부로 노출되어 시술용 공구를 이용한 일련의 시술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파지부(30)가 용기본체부(10)의 내면을 지지하되, 픽스츄어(90)의 나사부(90a)가 용기본체부(20b)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픽스츄어(90)를 고정하므로 운반 및 보관시 픽스츄어(90)의 유동 및 유동에 따른 마찰 손상 등이 방지될 수 있어 제품의 보관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실링커버(20) 및 용기본체부(10)의 결합 및 분리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90)가 상기 실링커버(20)에 결합된 파지부(30)와 함께 수납공간(k)에 수납되고 수납공간(k)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부(30c)의 하면부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구배지게 함몰 형성되되 함몰된 면을 따라 자외선 반사물질로 형성된 보조반사층(32)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그립부(30c)의 하면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구배면으로 형성되며, 픽스츄어(90)의 삽입되도록 개방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보조반사층(32)을 통해 상기 자외선 발광부(30)의 하부로부터 방출되거나 용기본체부(10) 내면의 반사층(11)에 반사되어 그립부(30c)를 향하는 자외선(L)이 상기 픽스츄어(90)의 외면측으로 재반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본체부(10)의 상부로의 자외선(L)의 소실이 최소화되고, 실질적으로 픽스츄어(90)의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에 사용되는 자외선(L)의 광량이 증가될 수 있어 제품의 표면 개질/살균 처리 및 표면 개질 유지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의 용기본체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본체부(210)의 세부적인 형상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부(210)는 수납공간(k)에 수납된 픽스츄어(90)의 나사부(90b)의 측면부와 대응되는 하부 내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집광관부(218)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집광관부(218)는 상기 용기본체부(210)의 하면부에 형성된 연통공(215)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용기본체부(210) 및 상기 실링커버(20)의 결합에 따라 수납공간에 배치된 파지부(30)의 하부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집광관부(218)는 상기 용기본체부(210)의 내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파지부(30)의 그립부(30c)가 안착되는 단턱(218a)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된 파지부(30)가 실링커버(20) 및 상기 집광관부(218) 상단부의 단턱(218a)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지지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광관부(218)는 상기 용기본체부(210)에서 상기 나사부(90b)의 측면부와 대응되는 상기 단턱(218a)의 하부를 따라 협소화된 광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광관부(218)의 내면에는 반사층(2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층(211)은 상기 용기본체부(210)의 내면 전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증착 공정의 효율성을 위해서 상기 집광관부(218)의 내면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반사층(211)은 용기본체부(210)가 조립되기 전 상태인 각 분할몸체(210a,210b)에 진공 증착을 통해 형성되므로 집광관부(218) 내지는 광차폐부(219) 등 복잡하고 협소화된 부분의 내면에도 균일한 표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광관부(218)는 상기 램프부(40a)의 단면적을 초과하는 단면적을 갖되, 상기 집관광부(218)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픽스츄어(90)의 나사부(90b) 외면까지가 기설정된 제1간격을 갖도록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간격은 상기 픽스츄어(90)의 최대직경부를 기준으로 한 픽스츄어(90)의 외면 및 상기 집광관부(218) 내면 사이의 간격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간격은 반사층(211)의 증착 두께 및 자외선의 유동 가능성을 고려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자외선 발광부(30)로부터 방출된 자외선은 상기 집광관부(218)의 내면에 형성된 반사층(211)을 따라 반사되어 상기 픽스츄어(90)의 나사부(90b)로 조사되되, 광원인 자외선 발광부(30)로부터 픽스츄어(90)에 도달되기까지 자외선의 반사 이동경로가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조사 거리에 따른 강도 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픽스츄어(90)의 단위면적당 조사되는 실질적인 자외선의 강도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표면 개질/살균 처리 및 표면 개질 유지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광관부(218)의 상단부에는 상기 나사부(90b)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된 광차폐부(219)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광차폐부(219)는 상기 그립부(30c)와 접하는 상기 집광관부(218)의 상단부 내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광차폐부(219) 및 상기 나사부(90b)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간격 미만으로 기설정된 제2간격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간격은 상기 픽스츄어(90)의 최대직경부를 기준으로 한 픽스츄어(90)의 외면 및 상기 광차폐부(219)의 내면 사이 간격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간격은 상기 픽스츄어(90) 및 상기 광차폐부(219)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되되, 광차폐부(219) 및 픽스츄어(90) 간의 접촉/마찰에 따른 손상이 방지되도록 파지부(30)에 고정된 픽스츄어(90)의 진동시 유격 등을 고려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차폐부(219)의 하부에는 상기 자외선의 누설 흐름이 차단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배진 반사라운드부(219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누설 흐름이라는 말은 상기 자외선 발광부(40)로부터 방출된 자외선이 직사 내지는 반사된 상태에서 실질적인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 대상부인 나사부(90b)가 배치되는 집광관부(218)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벗어나 파지부(30) 등이 배치된 용기본체부(10)의 상부로 이동되는 흐름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반사라운드부(219a)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광차폐부(219)의 하면부 및 그로부터 상기 광차폐부(219) 하부의 집광관부(218) 내면으로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반사라운드부(219a)에 증착 형성된 반사층(211)을 통해 상기 집광관부(218)의 상부를 향해 조사된 자외선이 상기 집광관부(218)의 내부 및 상기 픽스츄어(90)의 외면측으로 재반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외선 발광부(40)로부터 방출된 자외선이 상기 나사부(90b)가 배치된 집광관부(218)의 내부 공간에 집중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표면 개질/살균 처리 및 표면 개질 유지 성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용기본체부 내지 상기 집광관부의 내면 프로파일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부(210)의 내면에는 기설정된 면적의 오목 내지 볼록 중 어느 하나의 구배면으로 형성된 복수의 엠보부(210c,210d)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엠보부(210c,210d)는 상기 용기본체부(210)의 내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가공 편의성을 위해 상기 집광관부(218)의 내면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각 엠보부(210c,210d)는 상기 용기본체부(210)의 내면을 따라 원주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다단 배치되되,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각각은 상호 연속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각각은 일부분이 상호 중첩되도록 엇갈림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각 엠보부(210c,210d)는 상단 및 하단이 정렬되도록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각 엠보부(210c,210d)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하나의 중앙부 상부 및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하나의 좌측단 내지 우측단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엠보부(210c,210d)의 면적은 나사산의 피치간격 및 각도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엠보부(210c,210d)의 상하폭은 상기 나사산의 피치간격에 대응하여 설정되며, 상기 각 엠보부(210c,210d)의 좌우폭은 상기 나사산의 각도에 대응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오목형 엠보부(210c)는 직사각형의 면 중앙부가 오목하게 함몰되어 면중앙부로부터 사각단면의 테두리까지가 라운드지게 연결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볼록형 엠보부(210d)는 직사각형의 면 중앙부가 볼록하게 돌출되어 면중앙부로부터 사각단면의 테두리까지가 라운드지게 연결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엠보부(210c)는 오목형으로만 구비될 수 있으며,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엠보부(210d)는 볼록형으로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엠보부(210c,210d)는 오목형 및 볼록형의 조합으로 상하방향 및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형 및 볼록형이 순차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엠보부(210c,210d)의 반사층(211)을 따라 반사되는 자외선이 집광관부(218)를 통한 반사 이동경로의 감소로 강화된 상태에서 볼록 내지 오목한 구배면을 따라 복잡한 방향으로 난반사 내지는 확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난반사 내지 확산된 자외선이 나선형의 조밀한 피치간격을 갖는 나사산의 상하부 경사면 및 나사산 사이의 표면으로 정밀하게 조사될 수 있어 제품의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픽스츄어(90)의 표면에 친수성 개질에 요구되는 충분한 자외선(L)이 지속적으로 조사될 수 있어 제품의 표면 개질 유지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용기본체부(210)의 분할을 통해 집광관부(218) 및 엠보부(210c,210d) 등의 복잡한 형상을 갖는 내면부에도 용이한 진공 증착이 가능하며, 증착된 표면의 균일화를 통해 반사층(211)의 반사능이 향상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 및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각 엠보부(210c,210d)는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각 엠보부 사이에 평탄면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자외선 발광부(40)로부터 방출된 자외선이 각 엠보부(210c,210d)로 효율적으로 분산될 수 있으며, 픽스츄어(90)의 표면 전체에 균일한 자외선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장용기(200)의 자외선 발광부(40)에는 단자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단자부는 USB 방식 내지는 휴대폰 배터리 방식으로 외부 전력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스위칭 수단 없이도 단자부 및 외부 전력원 간의 접속 및 단락에 따라 자외선 발광부의 전원이 제어될 수 있으며, 내부에 별도의 전력원이 요구되지 않아 제품의 구성이 컴팩트화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200: 포장용기 10,210: 용기본체부
10a,10b,210a,210b: 분할몸체 11,211: 반사층
15,215: 연통공 16a,16b,216a,216b: 장착가이드부
20: 실링커버 26: 결합돌기
27: 밀폐패킹 28: 스크류수납홈
29: 수납홈커버 30: 파지부
30a: 하우징 30c: 그립부
32: 보조반사층 36: 결합홈부
40: 자외선 발광부 40a: 램프부
40b: 기판부 90: 픽스츄어
90a: 마운트 90b: 나사부
218: 집광관부 219: 광차폐부
219a: 라운드부 210c,210d: 엠보부
L: 자외선 k: 수납공간

Claims (5)

  1. 자외선 반사물질을 통해 내면에 형성된 반사층의 내부를 따라 1차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된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츄어가 수납 및 인출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도록 하면부에 형성된 연통공의 하부 외곽을 따라 장착가이드부가 돌설된 용기본체부;
    상기 수납된 픽스츄어가 밀폐 보관되도록 상기 용기본체부의 상단부에 착탈되는 실링커버;
    상기 용기본체부의 내면을 지지하되 상기 수납된 픽스츄어를 고정하는 파지부; 및
    상기 수납된 픽스츄어에서 피시술자의 치조골에 식립되는 나사부와 대향되되 상기 반사층을 향해 경사 배치되도록 상기 장착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통공을 통해 상기 픽스츄어의 2차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를 위한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발광부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부의 하면부는 일측 테두리로부터 타측 테두리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하면부의 일측 테두리에서 상기 반사층 및 상기 자외선 발광부 사이의 각도는 45도 ~ 75도로 설정되고,
    상기 자외선 발광부에는 상기 장착가이드부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용기본체부의 하면부 타측 테두리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장착안내지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부는 상기 반사층의 진공 증착을 위해 상기 수납공간의 최대직경부를 기준으로 한 수직방향을 따라 좌우로 분할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부는 상기 파지부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단턱이 형성되되 상기 단턱의 하부를 따라 협소화된 광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나사부의 측면부에 대응되는 하부 내면에 상기 픽스츄어의 외면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간격을 갖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집광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집광관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픽스츄어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1간격 미만의 기설정된 제2간격을 갖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광차폐부가 구비되되,
    상기 광차폐부의 하부에는 상기 자외선의 누설 흐름이 차단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배진 반사라운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부의 내면에는 기설정된 면적의 오목 내지 볼록 중 어느 하나의 구배면으로 형성된 복수의 엠보부가 원주방향 및 상하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20160019844A 2016-02-19 2016-02-19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1688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844A KR101688935B1 (ko) 2016-02-19 2016-02-19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844A KR101688935B1 (ko) 2016-02-19 2016-02-19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935B1 true KR101688935B1 (ko) 2017-01-02

Family

ID=5781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844A KR101688935B1 (ko) 2016-02-19 2016-02-19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9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731U (ko) * 2017-03-10 2018-09-19 (주)포인트닉스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WO2019216485A1 (ko) * 2018-05-08 2019-11-14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장치
KR20220042601A (ko) * 2020-09-28 2022-04-05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임플란트 처리기용 서포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949B1 (ko) * 2007-02-28 2007-06-04 주식회사 메가젠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0958841B1 (ko) 2008-09-24 2010-05-1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부품 포장용 앰플
KR20130054357A (ko) * 2010-09-30 2013-05-24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
KR101445819B1 (ko) * 2013-05-14 2014-09-29 박규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노화 회복을 위한 자외선 조사 시스템
KR101483431B1 (ko) * 2014-01-14 2015-01-16 주식회사 디오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춰 포장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949B1 (ko) * 2007-02-28 2007-06-04 주식회사 메가젠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0958841B1 (ko) 2008-09-24 2010-05-1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부품 포장용 앰플
KR20130054357A (ko) * 2010-09-30 2013-05-24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
KR101445819B1 (ko) * 2013-05-14 2014-09-29 박규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노화 회복을 위한 자외선 조사 시스템
KR101483431B1 (ko) * 2014-01-14 2015-01-16 주식회사 디오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춰 포장케이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731U (ko) * 2017-03-10 2018-09-19 (주)포인트닉스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200488409Y1 (ko) 2017-03-10 2019-01-28 (주)포인트닉스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1942573B1 (ko) 2017-03-10 2019-01-28 (주)포인트닉스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WO2019216485A1 (ko) * 2018-05-08 2019-11-14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장치
US11872104B2 (en) 2018-05-08 2024-01-16 Wonik Qnc Corporation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device
KR20220042601A (ko) * 2020-09-28 2022-04-05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임플란트 처리기용 서포터
KR102451707B1 (ko) 2020-09-28 2022-10-07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임플란트 처리기용 서포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931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1705830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1675508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1675506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US11872104B2 (en)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device
KR10168893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206495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1440251B1 (ko)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
KR101445819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노화 회복을 위한 자외선 조사 시스템
KR102571404B1 (ko) 임플란트 포장 용기
US11864967B2 (en) Packaging container for dental implant
KR10185050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
WO2018066747A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1769780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2590340B1 (ko)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WO2010058254A1 (en) Device for the sterilization of dental screws and/or dental prostheses
KR102529279B1 (ko) 플라즈마 처리 용기,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047451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20210149933A (ko) 광촉매 및 자외선을 이용한 환형 구조의 공기 살균 모듈
KR102209803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1769783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US20220409346A1 (en) Implant packaging bottle
KR102172858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2404234B1 (ko) 임플란트용 자외선 살균장치
KR102064960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