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251B1 -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251B1
KR101440251B1 KR1020137004668A KR20137004668A KR101440251B1 KR 101440251 B1 KR101440251 B1 KR 101440251B1 KR 1020137004668 A KR1020137004668 A KR 1020137004668A KR 20137004668 A KR20137004668 A KR 20137004668A KR 101440251 B1 KR101440251 B1 KR 101440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implant
living body
housing
body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4357A (ko
Inventor
요시마사 오가와
Original Assignee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4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35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radiant energy, e.g. UV, laser, light beam or the like
    • B08B7/0057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radiant energy, e.g. UV, laser, light beam or the like by 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2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1Pharmaceuticals, e.g. medicaments, artificial body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생체 임플란트에 대한 자외선 조사가 종료한 후, 당해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생한 오존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생체 임플란트의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함과 더불어 오존을 접촉시킴으로써, 당해 생체 임플란트를 세정 처리하는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로서,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배치된, 생체 임플란트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방사 램프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오존 제거 필터와, 상기 하우징 내의 분위기 가스를 상기 오존 제거 필터에 도입하는 팬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팬은, 상기 생체 임플란트의 세정 처리의 종료에 따라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CLEANING PROCESSING DEVICE FOR BIOLOGICAL IMPLANT}
본 발명은, 생체 임플란트에 자외선을 조사함과 더불어 오존을 접촉시킴으로써, 당해 생체 임플란트를 세정 처리하는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덴탈 임플란트는, 손실된 치아의 기능을 대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턱뼈에 메워넣는 것이다. 그리고 덴탈 임플란트 수술에 있어서는, 덴탈 임플란트가 충분히 뼈와 결합(골유착(Osseointegration))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위해, 덴탈 임플란트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당해 덴탈 임플란트에 부착된 유기물을 제거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한편, 광 세정 등에 이용되는 세정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피처리물이 배치되는 처리실 내의 분위기 가스 중에 산소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당해 산소에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오존이 생성됨으로써, 피처리물에 대하여 자외선의 조사 처리 및 오존에 의한 처리의 양쪽이 행해지므로, 이들 상승 작용에 의해, 피처리물에 부착된 유기물을 높은 효율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자외선 및 오존에 의한 세정 처리는, 덴탈 임플란트 이외의 생체 임플란트, 예를 들면 대퇴골 임플란트 등에 대해서도, 이들에 부착된 유기물을 높은 효율로 제거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기대되고 있다.
그리고 덴탈 임플란트 수술 등의 생체 임플란트 수술에 있어서는, 생체 임플란트에 대한 유기물 등의 재부착을 방지하기 위해서, 생체 임플란트에 대한 자외선 조사 처리가 종료된 후, 당해 생체 임플란트가 신속하게 수술에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생체 임플란트의 세정 처리가 종료한 직후에 있어서는, 당해 생체 임플란트가 배치된 처리실 내의 분위기 가스에는, 인체에 유해한 오존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생체 임플란트를 신속하게 처리실 내로부터 취출하여 수술에 제공하는 것은 실제상 곤란하다.
또한, 오존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서, 생체 임플란트가 배치되는 처리실 내를 예를 들면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에 의해 퍼지하는 수단을 생각할 수 있는데, 이러한 수단에서는, 피처리물에 대하여 오존에 의한 처리가 행해지지 않으므로, 생체 임플란트에 부착된 유기물을 높은 효율로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
일본국 특허 제3072373호 공보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생체 임플란트에 대한 세정 처리가 종료한 후, 당해 세정 처리에 이용된 오존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는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는, 생체 임플란트의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함과 더불어 오존을 접촉시킴으로써, 당해 생체 임플란트를 세정 처리하는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로서,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배치된, 생체 임플란트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방사 램프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오존 제거 필터와, 상기 하우징 내의 분위기 가스를 상기 오존 제거 필터에 도입하는 팬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팬은, 상기 생체 임플란트의 세정 처리의 종료에 따라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하우징은, 생체 임플란트를 세정 처리하는 처리실 및 이 처리실 내의 오존을 제거하기 위한 오존 제거실을 가지고, 상기 자외선 방사 램프는, 상기 처리실 내에 배치되고, 상기 팬은, 상기 오존 제거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오존 제거 필터는, 상기 오존 처리실 내에 있어서 상기 팬에 의해 형성되는 풍로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팬이 구동됨으로써, 상기 처리실 내의 분위기 가스가 상기 오존 처리실을 통하여 순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처리실 및 상기 오존 제거실을 구획하는 격벽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격벽 중 적어도 하나가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외선 방사 램프로부터의 광에 의한 열이, 상기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또는 격벽을 통하여 상기 오존 제거 필터에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처리실 내에, 상기 자외선 방사 램프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반사경이 배치되어 있고, 당해 자외선 방사 램프로부터의 광에 의한 열이, 당해 반사경을 통하여 상기 오존 제거 필터에 전달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팬에 의해 형성되는 풍로 상에 있어서, 당해 팬에 대하여 그 상류측 및 하류측의 양쪽에 상기 오존 제거 필터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오존 제거 필터의 사이에 폐쇄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하우징은, 당해 하우징 내의 분위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가지고,
이 배출구에 상기 팬이 배치되어 있고, 이 팬에 대향하도록 상기 오존 제거 필터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에 의하면, 세정 처리의 종료에 따라서 팬이 구동됨으로써, 생체 임플란트가 배치된 하우징 내의 분위기 가스가, 오존 제거 필터에 도입되고, 이에 따라, 당해 분위기 가스 중의 오존이 제거되므로, 생체 임플란트에 대한 세정 처리가 종료된 후, 하우징 내의 분위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오존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의 일예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용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의 일예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의 일예에 있어서의 오존 제거실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용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의 또 다른 예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의 일예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용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의 일예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용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의 일예에 있어서의 오존 제거실의 평면도이다.
이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이하, 간단히 「세정 처리 장치」라고도 한다)는, 핀형상의 덴탈 임플란트(이하, 간단히 「임플란트」라고도 한다)(1)에 자외선을 조사함과 더불어 오존을 접촉시킴으로써 당해 임플란트(1)를 세정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의 예에서는, 임플란트(1)의 각각은, 그 일단부에 나선상으로 형성된 돌조(3)로 이루어지는 나사부(2)를 가지는 스크루 타입의 것이다.
이 세정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정면에 개폐 도어(도시 생략)를 가지는 전체의 윤곽이 직방체형상인 하우징(10)이 설치되고, 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복수의 임플란트(1)가 배치되는 처리실(11)이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이 처리실(11)의 상방에, 당해 처리실(11) 내의 분위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오존을 제거하는 오존 제거실(12)이 형성되어 있고, 처리실(11) 및 오존 제거실(12)은, 서로 격벽(15)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 격벽(15)은, 하우징(10)에 있어서의 정면 측벽부(10a) 및 배면 측벽부(10b)의 각각에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하우징(10)에 있어서의 정면 측벽부(10a)와 격벽(15)의 사이에는, 처리실(11)로부터 오존 제거실(12)에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F1)가 형성되고, 하우징(10)에 있어서의 배면 측벽부(10b)와 격벽(15)의 사이에는, 오존 제거실(12)로부터 처리실(11)에 가스가 유출되는 유출구(F2)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처리실(11) 내에는, 복수의 임플란트(1)가 일방향(도 1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인 방향, 도 2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따라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유지되는 스테이지(20)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이지(20)의 표면(21)에는, 각각 임플란트(1)의 타단부의 외경에 적합한 내경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유지부(22)가 일방향을 따라 늘어서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들 유지부(22)의 각각에, 임플란트(1)가 그 나사부(2)의 선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세워진 자세로 당해 임플란트(1)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유지됨으로써, 복수의 임플란트(1)가 일방향을 따라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의 예에서는, 스테이지(20)의 표면은 예를 들면 경면(鏡面) 가공이 실시됨으로써 후술하는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자외선을 반사하는 광 반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지(20)는, 하우징(1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테이지(20)를 하우징(10)의 외부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스테이지(20)에 대한 임플란트(1)의 부착 작업, 제거 작업 또는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스테이지(20)에 유지된 복수의 임플란트(1)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군(1G)에 있어서의 당해 임플란트(1)가 늘어서는 일방향에 평행한 양측에는, 2개의 자외선 방사 램프(30)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외선 방사 램프(30)의 각각은, 각각 임플란트(1)가 늘어서는 일방향으로 신장하는 2개의 직선상 부분(32)이 만곡 부분(33)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U자관 형상의 발광관(31)을 가지고, 2개의 자외선 조사 램프(30)는, 각각 발광관(31)의 2개의 직선상 부분(32)의 각각이 서로 상하에 위치하는 자세로, 임플란트(1)에 있어서의 나사부(2) 및 그 주변의 공간 영역을 통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자외선 방전 램프(30)의 각각과 하우징(10)의 측벽부(10c, 10d)의 사이에는,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자외선을 반사하는, 단면이 コ자형인 홈통상의 2개의 반사경(40)이, 그 배면이 하우징(10)의 측벽부(10c, 10d)에 접한 상태로 당해 자외선 방사 램프(3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하우징(10), 격벽(15) 및 스테이지(20)의 각각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또한, 반사경(40)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는, 파장 254nm 및 파장 185nm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저압 수은 램프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자외선의 조도는, 예를 들면 발광관(31)의 관벽으로부터 10mm 이간된 위치에 있어서 약 6mW/㎠ 이상이다.
자외선 방사 램프(30)로서 이용되는 저압 수은 램프의 일예의 사양을 들면, 발광관이 합성 석영 유리제이고, 발광 길이가 200mm, 램프 입력이 25W이다.
하우징(10)의 오존 제거실(12) 내에는, 처리실(11) 내의 분위기 가스를 당해 오존 제거실(12)을 통하여 순환시키는 팬(16)이 배치되어 있음과 더불어, 이 팬(16)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 풍로 상에 있어서, 당해 팬(16)에 대하여 그 상류측 및 하류측의 각각에, 직사각형의 판형상의 오존 제거 필터(17)가 배치되어 있다. 오존 제거 필터(17)의 각각은, 그 4개의 측면이 하우징(10)의 측벽부(10c, 10d) 및 상벽부(10e) 및 격벽(15)에 접하는 상태에서 오존 제거실(12)에 압입됨으로써 고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2개의 오존 제거 필터(17)의 사이에는 폐쇄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존 제거 필터(17)는, 예를 들면 무기 섬유 페이퍼에 의해 형성된 벌집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기체에, 예를 들면 망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오존 제거용 촉매가 담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세정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스테이지(20)의 유지부(22)의 각각에, 임플란트(1)를 그 나사부(2)의 선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세워진 자세로 유지시키고, 이 상태에서, 자외선 방사 램프(30)의 각각을 점등시킴으로써, 임플란트(1)에 있어서의 나사부(2)를 형성하는 돌조(突條)(3)에 대하여, 당해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자외선이 직접 조사됨과 더불어 반사경(40) 및 스테이지(20)의 표면의 각각에 반사되어 조사되는 결과, 당해 돌조(3)의 표면 전면에 자외선이 조사되고, 또한, 처리실(11) 내의 분위기 가스 중의 산소에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당해 처리실(11) 내에는 오존이 생성되어서 임플란트(1)의 나사부(2)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1)의 나사부(2)를 형성하는 돌조(3)의 표면 전면 즉 돌조(3)의 상면(3a) 및 하면(3b)의 양쪽에 자외선이 조사됨과 더불어, 당해 나사부(2)에 오존이 접촉함으로써, 당해 임플란트(1)의 나사부(2)에 부착된 유기물이 분해 제거되고, 이에 따라, 임플란트(1)의 세정 처리가 달성된다.
한편, 격벽(15) 및 반사경(40)의 각각은,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광이 조사됨으로써 가열되는데, 격벽(15)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므로 당해 격벽(15)에 발생한 열이 오존 제거 필터(17)에 전달됨과 더불어, 반사경(40) 및 하우징(10)의 각각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므로 당해 반사경(40)에 발생한 열이 당해 하우징(10)을 통하여 오존 제거 필터(17)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당해 오존 제거 필터(17)가 가열된다.
그리고 자외선 방사 램프(30)가 소등함으로써 임플란트(1)의 세정 처리가 종료하고, 당해 세정 처리의 종료에 따라서 팬(16)이 구동됨으로써, 처리실(11) 내의 분위기 가스가 오존 제거실(12) 내에 배치된 오존 제거 필터(17)를 통하여 순환되는 결과, 처리실(11) 내에 발생한 오존이 제거되고, 그 후, 처리실(11) 내로부터 임플란트(1)가 취출된다.
이상에 있어서,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자외선의 조사 시간은, 예를 들면 5∼30분간이다.
또한, 처리실(11) 내에 있어서의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생성되는 오존의 농도는, 100ppm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400ppm이다.
또한, 팬(16)은, 임플란트(1)의 세정 처리의 종료(도시의 예에서는 자외선 조사 램프(30)의 소등)에 따라서 구동되는데, 팬(16)이 구동되는 타이밍은, 임플란트(1)의 세정 처리의 종료와 동시거나, 임플란트(1)의 세정 처리가 종료하기 전 혹은 종료한 후여도 된다.
또한, 팬(16)의 작동 시간 즉 오존의 제거 처리 시간은, 오존 제거 필터(17)의 오존 제거 처리 능력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되는데, 예를 들면 10∼300초간이다.
또한, 처리실(11) 내에 있어서의 오존의 제거 처리가 종료했을 때의 오존의 농도는, 0.1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존 제거 필터(17)는,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광에 의한 열이 격벽(15) 및 반사경(40) 및 하우징(10)을 통하여 전달됨으로써 가열되는데, 당해 오존 제거 필터(17)의 온도는, 예를 들면 자외선 방사 램프(30)의 소등 시에 있어서 50∼60℃이다.
상기의 세정 처리 장치에 의하면, 세정 처리의 종료에 따라서 팬(16)이 구동됨으로써, 임플란트(1)가 배치된 처리실(11) 내의 분위기 가스가, 오존 제거실(12) 내에 있어서의 오존 제거 필터(17)를 통하여 순환되고, 이에 따라, 당해 분위기 가스 중의 오존이 제거되므로, 생체 임플란트(1)에 대한 세정 처리가 종료된 후, 처리실(11) 내의 분위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오존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오존 제거 필터(17)는,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광에 의한 열이 격벽(15) 및 반사경(40) 및 하우징(10)을 통하여 전달됨으로써 가열되므로, 당해 오존 제거 필터(17)에 있어서의 오존 제거용 촉매의 활성이 높아지는 결과, 높은 효율로 오존의 제거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팬(16)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 풍로 상에 있어서, 당해 팬(16)에 대하여 그 상류측 및 하류측의 양쪽에, 오존 제거 필터(17)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2개의 오존 제거 필터(17)에 폐쇄 공간(S)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팬(16)에 고농도의 오존을 포함하는 가스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팬(16)의 일부 부품이 오존에 의해 부식되기 쉬운 재료 예를 들면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도, 당해 부품의 오존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용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용 측면도이다.
이 세정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1면에 스테이지(20)가 수용되는 개구가 형성된,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자외선을 반사하는 직사각형의 통형상의 반사경(40)이, 그 측면이 하우징(10)의 측벽부(10c, 10d)에 접하고, 그 상면이 격벽(15)으로부터 이간된 상태에서, 스테이지(20), 당해 스테이지(20)에 유지된 복수의 임플란트(1)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군(G1), 및 자외선 방사 램프(3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세정 처리 장치와 동일하다.
이러한 세정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스테이지(20)의 유지부(22)의 각각에, 임플란트(1)를 그 나사부(2)의 선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세워진 자세로 유지시키고, 이 상태에서, 자외선 방사 램프(30)의 각각을 점등시킴으로써, 임플란트(1)에 있어서의 나사부(2)를 형성하는 돌조(3)에 대하여, 당해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자외선이 조사됨과 더불어 반사경(40) 및 스테이지(20)의 표면의 각각에 반사되어 조사되는 결과, 당해 돌조(3)의 표면 전면에 자외선이 조사되고, 또한, 처리실(11) 내의 분위기 가스 중의 산소에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당해 처리실(11) 내에는 오존이 생성되어 임플란트(1)의 나사부(2)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1)의 나사부(2)를 형성하는 돌조(3)의 표면 전면 즉 돌조(3)의 상면(3a) 및 하면(3b)의 양쪽에 자외선이 조사됨과 더불어, 당해 나사부(2)에 오존이 접촉함으로써, 당해 임플란트(1)의 나사부(2)에 부착된 유기물이 분해 제거되고, 이에 따라, 임플란트(1)의 세정 처리가 달성된다.
한편, 반사경(40)은,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광이 조사됨으로써 가열되는데, 반사경(40) 및 하우징(10)의 각각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므로 당해 반사경(40)에 발생한 열이 당해 하우징(10)을 통하여 오존 제거 필터(17)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당해 오존 제거 필터(17)가 가열된다.
그리고, 자외선 방사 램프(30)가 소등함으로써 임플란트(1)의 세정 처리가 종료하고, 당해 세정 처리의 종료에 따라서 팬(16)이 구동됨으로써, 처리실(11) 내의 분위기 가스가 오존 제거실(12) 내에 배치된 오존 제거 필터(17)를 통하여 순환되는 결과, 처리실(11) 내에 발생한 오존이 제거되고, 그 후, 처리실(11) 내로부터 임플란트(1)가 취출된다.
이상에 있어서,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자외선의 조사 시간, 처리실(11) 내에 있어서의 오존의 농도, 팬(16)이 구동되는 타이밍, 팬(16)의 작동 시간, 처리실(11) 내에 있어서의 오존의 제거 처리가 종료했을 때의 오존의 농도, 오존 제거 필터(17)의 온도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세정 처리 장치와 동일하다.
상기의 세정 처리 장치에 의하면, 세정 처리의 종료에 따라서 팬(16)이 구동됨으로써, 임플란트(1)가 배치된 처리실(11) 내의 분위기 가스가, 오존 제거실(12) 내에 있어서의 오존 제거 필터(17)를 통하여 순환되고, 이에 따라, 당해 분위기 가스 중의 오존이 제거되므로, 생체 임플란트(1)에 대한 세정 처리가 종료한 후, 처리실(11) 내의 분위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오존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오존 제거 필터(17)는,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광에 의한 열이 반사경(40) 및 하우징(10)을 통하여 전달됨으로써 가열되기 때문에, 당해 오존 제거 필터(17)에 있어서의 오존 제거용 촉매의 활성을 높일 수 있는 결과, 높은 효율로 오존의 제거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팬(16)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 풍로 상에 있어서, 당해 팬(16)에 대하여 그 상류측 및 하류측의 양쪽에, 오존 제거 필터(17)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2개의 오존 제거 필터(17)에 폐쇄 공간(S)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팬(16)에 고농도의 오존을 포함하는 가스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팬(16)의 일부 부품이 오존에 의해 부식되기 쉬운 재료 예를 들면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당해 부품의 오존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의 또 다른 예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용 측면도이다.
이 세정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정면 측벽부(10a)가 개폐 도어에 의해 구성된 전체의 윤곽이 직방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이 설치되고, 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도 1에 도시하는 세정 처리 장치와 동일한 구성의 스테이지(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테이지(20)에 유지된 복수의 임플란트(1)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군(1G)에 있어서의 당해 임플란트(1)가 늘어서는 일방향에 평행한 양측에는, 도 1에 도시하는 세정 처리 장치와 동일한 구성의 2개의 자외선 방사 램프(30)가, 각각 발광관(31)의 2개의 직선상 부분(32)의 각각이 서로 상하에 위치하는 자세로, 임플란트(1)에 있어서의 나사부(2) 및 그 주변의 공간 영역을 통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0)에 있어서의 배면 측벽부(10b)에는, 하우징(10) 내의 분위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E)가 형성되고, 이 배출구(E)에 팬(16)이 배치되어 있고, 이 팬(16)에 대향하도록, 도 1에 도시하는 세정 처리 장치와 동일한 구성의 오존 제거 필터(17)가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존 제거 필터(17)는, 그 4개의 측면이 하우징(10)의 상벽부(10e), 하벽부(10f) 및 2개의 측벽부의 각각에 접하는 상태에서 당해 하우징(10) 내에 압입됨으로써 고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하우징(10)의 정면 측벽부(10b)와 오존 제거 필터(17)의 사이에는 폐쇄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세정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스테이지(20)의 유지부(22)의 각각에, 임플란트(1)를 그 나사부(2)의 선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세워진 자세로 유지시키고, 이 상태에서, 자외선 방사 램프(30)의 각각을 점등시킴으로써, 임플란트(1)에 있어서의 나사부(2)를 형성하는 돌조(3)에 대하여, 당해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자외선이 조사되고, 또한, 하우징(10) 내의 분위기 가스 중의 산소에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당해 하우징(10) 내에는 오존이 생성되어 임플란트(1)의 나사부(2)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1)의 나사부(2)를 형성하는 돌조(3)에 자외선이 조사됨과 더불어, 당해 나사부(2)에 오존이 접촉함으로써, 당해 임플란트(1)의 나사부(2)에 부착된 유기물이 분해 제거되고, 이에 따라, 임플란트(1)의 세정 처리가 달성된다.
한편, 하우징(10)은,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광이 조사됨으로써 가열되는데, 하우징(10)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므로 당해 하우징(10)에 발생한 열이 오존 제거 필터(17)에 전달됨과 더불어,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광이 오존 제거 필터(17)에 조사됨으로써, 당해 오존 제거 필터(17)가 가열된다.
그리고, 자외선 방사 램프(30)가 소등함으로써 임플란트(1)의 세정 처리가 종료하고, 당해 세정 처리의 종료에 따라서 팬(16)이 구동됨으로써, 하우징(10) 내의 분위기 가스가 오존 제거 필터(17)에 도입되는 결과, 하우징(10) 내에 발생한 오존이 제거되고, 그 후, 하우징(10) 내로부터 임플란트(1)가 취출된다.
상기의 세정 처리 장치에 의하면, 세정 처리의 종료에 따라서 팬(16)이 구동됨으로써, 임플란트(1)가 배치된 하우징(10) 내의 분위기 가스가, 오존 제거 필터(17)에 도입됨으로써, 당해 분위기 가스 중의 오존이 제거되므로, 생체 임플란트(1)에 대한 세정 처리가 종료한 후, 하우징(10) 내의 분위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오존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오존 제거 필터(17)는,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광에 의한 열이 하우징(10)을 통하여 전달됨과 더불어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광이 조사됨으로써 가열되기 때문에, 당해 오존 제거 필터(17)에 있어서의 오존 제거용 촉매의 활성이 높아지는 결과, 높은 효율로 오존의 제거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팬(16)이 설치된 하우징(10)의 배면 측벽부(10b)와 오존 제거 필터(17)의 사이에는 폐쇄 공간(S)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팬(16)에 고농도의 오존을 포함하는 가스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팬(16)의 일부의 부품이 오존에 의해 부식되기 쉬운 재료 예를 들면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당해 부품의 오존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세정 처리 장치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는, 공기 중의 산소로부터 오존을 생성할 수 있는 자외선을 방사하는 것이면, 저압 수은 램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크세논 가스 등이 봉입된 엑시머 램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방사 램프(30) 및 반사경(40)의 형태 및 배치 위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설계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자외선 방사 램프(30)의 발광관(31)의 형상은, 직관형상의 것이거나 전체가 직방체상인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세정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하우징(10), 격벽(15) 및 반사경(40)의 각각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광에 의한 열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세정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하우징(10), 격벽(15) 및 반사경(40)을 통하여 오존 제거 필터(17)에 전달되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세정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하우징(10) 및 반사경(40)을 통하여 오존 제거 필터(17)에 전달되는데, 하우징(10), 격벽(15) 및 반사경(4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전달되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하우징(10), 격벽(15) 및 반사경(40) 중, 오존 제거 필터(17)에 대한 열 전달에 기여하는 것만이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그 외의 것은, 금속 이외의 적절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스테이지(20)가,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광이 조사됨으로써 가열되고, 당해 스테이지(20)에 발생한 열이 하우징(10)을 통하여 오존 제거 필터(17)에 전달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직접광만에 의해, 임플란트(1)에 대한 필요한 자외선 조사가 달성되면, 반사경(40)은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세정 처리 장치는 모두, 처리 대상물인 임플란트(1)를 세정 처리하기 위한 오존이, 자외선 방사 램프(30)로부터의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것인데, 자외선 방사 램프(30)와는 별개로 예를 들면 고주파나 고전압에 의한 방전을 이용한 오존 발생기가 설치되고, 당해 오존 발생기로부터 발생한 오존을, 임플란트(1)에 접촉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 처리 장치의 처리 대상물은 덴탈 임플란트에 한정되지 않고, 대퇴골 임플란트 등의 다른 생체 임플란트여도 된다.
1: 임플란트 1G: 임플란트군
2: 나사부 3: 돌조
3a: 상면 3b: 하면
10: 하우징 10a: 정면 측벽부
10b: 배면 측벽부 10c, 10d: 측벽부
10e: 상벽부 10f: 하벽부
11: 처리실 12: 오존 제거실
15: 격벽 16: 팬
17: 오존 제거 필터 20: 스테이지
21: 표면 22: 유지부
30: 자외선 방사 램프 31: 발광관
32: 직선상 부분 33: 만곡 부분
40: 반사경 41: 평면 미러
E: 배출구 F1: 유입구
F2: 유출구 S: 폐쇄 공간

Claims (6)

  1. 생체 임플란트의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함과 더불어 오존을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생체 임플란트를 세정 처리하는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로서,
    생체 임플란트를 세정 처리하는 처리실, 및 이 처리실의 상방에 형성된, 상기 처리실 내의 오존을 제거하기 위한 오존 제거실을 구비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상기 처리실 내에서, 생체 임플란트의 양측에 배치된, 생체 임플란트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방사 램프와,
    상기 오존 제거실 내에 배치된 오존 제거 필터와,
    상기 처리실 내의 분위기 가스를 상기 오존 제거 필터에 도입하는, 상기 생체 임플란트의 세정 처리의 종료에 따라 구동되는 팬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처리실 및 상기 오존 제거실을 구획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격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존 제거 필터는, 상기 오존 제거실 내에 있어서 상기 팬에 의해 형성되는 풍로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팬이 구동됨으로써, 상기 처리실 내의 분위기 가스가 상기 오존 제거실을 통하여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외선 방사 램프로부터의 광에 의한 열이, 상기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통하여 상기 오존 제거 필터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처리실 내에, 상기 자외선 방사 램프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반사경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자외선 방사 램프로부터의 광에 의한 열이, 상기 반사경을 통하여 상기 오존 제거 필터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팬에 의해 형성되는 풍로 상에 있어서, 상기 팬에 대하여 그 상류측 및 하류측의 양쪽에 상기 오존 제거 필터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오존 제거 필터의 사이에 폐쇄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
  6. 삭제
KR1020137004668A 2010-09-30 2011-09-05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 KR101440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21828A JP5423634B2 (ja) 2010-09-30 2010-09-30 生体インプラント用洗浄処理装置
JPJP-P-2010-221828 2010-09-30
PCT/JP2011/070163 WO2012043157A1 (ja) 2010-09-30 2011-09-05 生体インプラント用洗浄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357A KR20130054357A (ko) 2013-05-24
KR101440251B1 true KR101440251B1 (ko) 2014-09-12

Family

ID=4589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668A KR101440251B1 (ko) 2010-09-30 2011-09-05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68570B2 (ko)
JP (1) JP5423634B2 (ko)
KR (1) KR101440251B1 (ko)
CN (1) CN103140191B (ko)
WO (1) WO201204315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933B1 (ko) * 2015-11-25 2016-08-25 (주) 메코텍티타늄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KR101850505B1 (ko) * 2016-10-05 2018-04-19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
KR20210000941A (ko) * 2019-06-26 2021-01-06 주식회사 디오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3232B (zh) * 2012-06-21 2015-04-15 浙江大学 牙科无菌化供给系统
JP5616405B2 (ja) * 2012-08-13 2014-10-29 学校法人愛知学院 生体親和性に優れたインプラント材料の処理方法
CA2896159C (en) * 2012-12-21 2017-11-28 Edward CHEPPA Heating apparatus with a disinfection device
CL2014001654A1 (es) * 2014-06-20 2014-09-05 Jose Portela Leon Francisco Un dispositivo electrico de entrega y embalaje para implantes dentales y ortopedicos, de cualquier forma tamaño o composicion porque esta provisto de una bateria interna o sistema de alimentacion electrica que suministre energia electrica a ledes o cualquier elemento de iluminacion, ubicados a una distancia minima, alrededor de los costados del implante y dispuestos en 360 grados alrededor de su superficie.
KR101675506B1 (ko) * 2015-10-19 2016-11-11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1675508B1 (ko) * 2015-10-19 2016-11-11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1688935B1 (ko) * 2016-02-19 2017-01-02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1688931B1 (ko) * 2016-02-19 2017-01-02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2571404B1 (ko) * 2016-05-02 2023-08-2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임플란트 포장 용기
KR102254592B1 (ko) * 2017-03-22 2021-05-21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살균 방법
KR101904017B1 (ko) * 2017-08-29 2018-10-04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US11864967B2 (en) * 2018-08-28 2024-01-09 Dio Corporation Packaging container for dental implant
KR101991785B1 (ko) * 2018-08-31 2019-06-21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KR102090208B1 (ko) * 2019-03-08 2020-03-17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자외선 방전램프 장치
JP7184683B2 (ja) * 2019-03-18 2022-12-06 ウシオ電機株式会社 除染方法
JP7304768B2 (ja) * 2019-08-16 2023-07-07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熱処理装置および熱処理装置の洗浄方法
KR102269661B1 (ko) * 2019-08-26 2021-06-28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자외선 방전램프 장치
KR102118511B1 (ko) * 2020-02-26 2020-06-03 박지훈 치과 임플란트 부품 세척장치
CN117000682A (zh) * 2022-05-06 2023-11-07 杭州启明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经试剂处理后的植入体的处理方法和清洁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6003A (ja) 1998-08-24 2000-03-03 Nikon Corp 光学部品の洗浄方法
JP2005080808A (ja) 2003-09-08 2005-03-31 Daito Hanbai Kk パチンコ玉洗浄装置
JP2005342314A (ja) 2004-06-04 2005-12-15 Koichi Arai 殺菌装置
JP2010068875A (ja) 2008-09-16 2010-04-02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生体適合性材料の表面浄化方法とそれに用いる洗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0730A (ja) * 1985-08-15 1987-02-21 Canon Inc 紫外線・オゾン処理装置
US4772795A (en) * 1987-03-20 1988-09-20 Kyowairika Co., Ltd. UV-sterilizer for a dental implement such as a reamer and drill
DE3881473T2 (de) * 1987-10-22 1993-09-09 Duthie Jun Robert E Verfahren und sterilisationsvorrichtung.
US5185532A (en) * 1991-05-21 1993-02-09 Oral Card Products Dental instrument sterilizer
JPH0681682U (ja) * 1993-04-28 1994-11-22 孝志 河野 油切り機構付き光ドライ洗浄装置
EP1071476B1 (en) * 1998-04-17 2006-02-22 Tommy Busted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terilising a member
JP3072373B1 (ja) 1999-07-05 2000-07-31 工業技術院長 汚濁物質、雑菌付着抑制機能および耐酸性を有する人工歯根ならびに製造方法
US7160566B2 (en) * 2003-02-07 2007-01-09 Boc, Inc. Food surface sanitation tunnel
CN2827374Y (zh) * 2005-07-14 2006-10-18 詹国梁 臭氧杀菌除味器
JP5585473B2 (ja) * 2011-01-31 2014-09-10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インプラント用紫外線照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6003A (ja) 1998-08-24 2000-03-03 Nikon Corp 光学部品の洗浄方法
JP2005080808A (ja) 2003-09-08 2005-03-31 Daito Hanbai Kk パチンコ玉洗浄装置
JP2005342314A (ja) 2004-06-04 2005-12-15 Koichi Arai 殺菌装置
JP2010068875A (ja) 2008-09-16 2010-04-02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生体適合性材料の表面浄化方法とそれに用いる洗浄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933B1 (ko) * 2015-11-25 2016-08-25 (주) 메코텍티타늄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KR101850505B1 (ko) * 2016-10-05 2018-04-19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
KR20210000941A (ko) * 2019-06-26 2021-01-06 주식회사 디오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장치
KR102250286B1 (ko) * 2019-06-26 2021-05-10 주식회사 디오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68570B2 (en) 2015-10-27
JP5423634B2 (ja) 2014-02-19
CN103140191B (zh) 2015-07-22
WO2012043157A1 (ja) 2012-04-05
CN103140191A (zh) 2013-06-05
KR20130054357A (ko) 2013-05-24
US20130167873A1 (en) 2013-07-04
JP2012075549A (ja)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0251B1 (ko) 생체 임플란트용 세정 처리 장치
JP5387537B2 (ja)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用光照射装置
US8729501B2 (en)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for implants
US20070274879A1 (en) Uv sterilizer
WO2013153728A1 (ja) 紫外線殺菌装置
KR20190128352A (ko)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장치
KR101688931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20200107649A (ko) 표면개질 처리 중 발생한 오존의 제거장치
KR200267848Y1 (ko) 공기의 살균정화장치
KR102285769B1 (ko)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
JPH11290426A (ja) 殺菌装置
KR200173987Y1 (ko) 내벽에 주름진 반사경을 가지는 자외선 살균기
KR20070088999A (ko) 살균 장치
JP2012000118A (ja) 人工歯根の有機汚染物除去装置
JP2000066003A (ja) 光学部品の洗浄方法
KR200418654Y1 (ko) 플라즈마 방전소자
JP2016174661A (ja) 生体適合性材料の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KR200216336Y1 (ko) 자외선 오존 살균기
JP2012000120A (ja) 人工歯根の有機汚染物除去装置
KR200276040Y1 (ko) 공기 살균 장치
JP2017205700A (ja) 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KR102214444B1 (ko) 유전체 배리어 방전램프
JP5299451B2 (ja) インプラント用紫外線照射装置
KR20030069626A (ko) 공기 살균 장치
JP2002037222A (ja) 容器の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