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940A -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 - Google Patents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940A
KR20210000940A KR1020190076243A KR20190076243A KR20210000940A KR 20210000940 A KR20210000940 A KR 20210000940A KR 1020190076243 A KR1020190076243 A KR 1020190076243A KR 20190076243 A KR20190076243 A KR 20190076243A KR 20210000940 A KR20210000940 A KR 20210000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metal
lamp
housing
surface treatment
ca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5769B1 (ko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90076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7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2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made by galvanoplastic methods or by plating; Surface treatment; Enamelling; Perfuming; Making antisep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의료용 금속이 수용된 용기가 배치되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반경보다 큰 가상의 제2 반경 상의 하우징 내부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외선 조사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LAMP FOR TREATING SURFACE OF MEDICAL METAL}
본 발명은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치아 임플란트의 픽스처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유지 또는 개질하기 위한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인체 내부에 식립될 수 있는 의료용 금속은 인간의 생체 조직에 대하여 매우 안정적인 생체 친화 재료로 제작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화학적 또는 생리학적 반응성이나 인체 거부 반응이 없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의료용 금속의 대표적인 사용은 치아의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픽스처(fixture)가 있다. 이러한 픽스처에 적절한 소재로서 다양한 금속 및 합금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현재는 티타늄 금속이나 티타늄 합금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 자체는 인체에 이식시 골융합에 장시간이 소요되고, 산화 피막이 생성되어 타금속에 비해 안정성이 확보되긴 하지만 최근 들어서 이보다 더욱 개선된 인체 안정성 확보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의료용 금속의 표면을 적절히 처리함으로써 골융합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골융합 속도와 관련된 품질은 표면 조성, 표면 거칠기, 친수성 등과 같은 금속의 표면 특성 및 화학적 조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친수성이 높은 표면을 가진 금속이 생체 용액, 세포 및 조직들과의 상호 작용에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의료용 금속의 표면이 산화막 처리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탄소 원자가 결합되면서 안정화되며, 이로 인해, 의료용 금속의 표면은 저에너지 상태의 소수성 표면으로 전환되므로, 이러한 의료용 금속으로 제조된 픽스처를 치조골에 그대로 식립하는 경우 골 융착 성능이 저하되며, 표면이 유기물에 의해 오염된 경우에는 상기 픽스처가 식립된 상태에서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들어 내부에 상기 픽스처를 장착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픽스처의 표면을 개질하면서도 표면에 부착된 유기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는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92648호(발명의 명칭: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는 픽스처가 수용된 임플란트 용기가 복수 개의 자외선 램프 사이에 배치되어 표면 개질을 수행하는 종래의 표면처리장치를 게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픽스처의 표면 개질을 위해 조사되는 자외선이 표면 전체에 균일하게 조사되지 아니하여 픽스처 전체의 표면 개질을 위해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시켜야 하므로 신속한 임플란트 진행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 장치는 장시간 픽스처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때문에 발열된 픽스처를 냉각해야 하는 시간이 더 소요되므로 신속하게 임플란트 진행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료용 금속의 표면 개질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의료용 금속이 수용된 용기가 배치되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반경보다 큰 가상의 제2 반경 상의 하우징 내부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외선 조사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제1 반원통; 상기 제1 반원통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 반원통; 및 상기 제1 반원통과 제2 반원통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체결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하우징에서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LED 소자; 및 상기 LED 소자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상기 중공부를 향하도록 집광하는 집광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반경보다 큰 가상의 제3 반경 상의 하우징 내부 또는 외주면에 원통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LED 소자에서 조사된 자외선을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배치되어 상기 중공부 방향으로 자외선만 투과하는 투광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부와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캡 각각은 중앙에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캡 각각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캡 각각에 형성된 상기 체결홀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체결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상기 한 쌍의 캡 중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방열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LED 소자와, 상기 LED 소자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상기 중공부를 향하도록 집광하는 집광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대향하는 상기 한 쌍의 캡의 내측면에는 상기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기판에 외부 전원을 전달하는 단자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료용 금속이 수용된 용기의 전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램프를 구현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의료용 금속의 표면 개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모듈화된 자외선 조사부와 힌지 구조의 하우징을 포함함으로써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개폐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개폐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100)는 크게 하우징(110) 및 자외선 조사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캡(130) 및/또는 체결바(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중심축(c)을 기준으로 제1 반경(R1)을 갖도록 형성되어 의료용 금속이 수용된 용기가 배치되는 중공부(1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의료용 금속이 수용된 용기의 전방향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의료용 금속이 수용된 용기의 전방향으로 자외선이 조사되므로, 의료용 금속의 표면이 단시간에 신속하게 친수성으로 개질될 수 있으며, 잔존하는 유기물을 분해하거나 제거하여 살균 및 세정작용도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의료용 금속은 인체 내부에 식립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든 종류의 의료용 부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용 금속의 재질은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일 수 있고, 치조골에 식립되는 임플란트용 픽스처일 수 있다.
또한, 의료용 금속이 수용된 용기는 후술할 자외선 조사부(120)에 의해 조사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용기이며, 이러한 용기의 크기 및/또는 형상에 따라 상기 중공부(111)를 형성하는 제1 반경(R1)의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육면체 또는 다각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후술할 자외선 조사부(120)에서 발광되는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써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10)은 제1 반원통(112)과, 상기 제1 반원통(112)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 반원통(113)과, 상기 제1 반원통(112)과 제2 반원통(113)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체결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힌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10)은 원통 형상으로서, 절반으로 개폐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제조의 용이성과 유지, 보수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1 반원통(112)과 제2 반원통(113)의 결합에 따른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한 쌍의 캡(13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체결바(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캡(130)은 상기 중공부(111)와 대응되는 관통홀(131)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131)은 상기 제1 반경(R1)과 대응되거나 더 큰 반지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상기 한 쌍의 캡(130) 중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방열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열홀(132)에 의해 후술할 자외선 조사부(12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방열하여 의료용 금속의 온도를 신속하게 낮출 수 있으며, 후술할 자외선 조사부(1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견고한 체결을 위해, 상기 한 쌍의 캡(130) 각각은 중앙에 체결홀(134)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캡(130) 각각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체결돌기(133)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캡(130) 각각에 형성된 상기 체결홀(134)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체결바(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한 쌍의 캡(130)을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한 후, 상기 체결바(140)를 상기 체결홀(134)에 삽입하여 상기 체결바(140)의 일단과 타단을 상기 체결홀(134)에 체결함으로써 하우징(110)은 개폐할 수 없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대향하는 상기 한 쌍의 캡(130)의 내측면에는 후술할 기판(121)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기판(121)에 외부 전원을 전달하는 단자부(13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조사부(120)는 복수 개가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효과적으로 상기 중공부(111)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해, 상기 자외선 조사부(120)는 상기 중공부(111)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반경(R1)보다 큰 가상의 제2 반경(R2) 상의 하우징(110) 내부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에서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개별적인 착탈이 가능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미도시되었으나, 센서에 의해 상기 자외선 조사부(120) 개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람 등으로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는 수광센서 또는 통전감지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자외선 조사부(120)는 기판(121)과, 상기 기판(121) 상에 실장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LED 소자(122)와, 상기 LED 소자(122)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상기 중공부(111)를 향하도록 집광하는 집광렌즈(1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중공부(111)로 더욱 효율적인 자외선의 집중을 도모하기 위해, 상기 자외선 조사부(120)는 상기 중심축(c)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반경(R2)보다 큰 가상의 제3 반경(R3) 상의 하우징(110) 내부 또는 외주면에 원통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LED 소자(122)에서 조사된 자외선을 상기 중심축(c)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상기 자외선 조사부(120)는 상기 중공부(111)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배치되어 상기 중공부(111) 방향으로 자외선만 투과하는 투광관(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투광관(125)이 배치될 경우에는 의료용 금속이 수용된 용기는 상기 투광관(12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의료용 금속이 수용된 용기의 전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램프를 구현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의료용 금속의 표면 개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110) 내부에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모듈화된 자외선 조사부(120)와 힌지(114) 구조의 하우징(110)을 포함함으로써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R1: 제1 반경 R2: 제2 반경
R3: 제3 반경 100: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
110: 하우징 111: 중공부
112: 제1 반원통 113: 제2 반원통
114: 힌지 120: 자외선 조사부
121: 기판 122: LED 소자
123: 집광렌즈 124: 반사경
125: 투광관 130: 한 쌍의 캡
131: 관통홀 132: 방열홀
133: 체결돌기 134: 체결홀
135: 단자부 140: 체결바

Claims (10)

  1.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의료용 금속이 수용된 용기가 배치되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반경보다 큰 가상의 제2 반경 상의 하우징 내부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외선 조사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반원통;
    상기 제1 반원통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 반원통; 및
    상기 제1 반원통과 제2 반원통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체결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힌지;를 포함하는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하우징에서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LED 소자; 및
    상기 LED 소자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상기 중공부를 향하도록 집광하는 집광렌즈;를 포함하는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반경보다 큰 가상의 제3 반경 상의 하우징 내부 또는 외주면에 원통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LED 소자에서 조사된 자외선을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더 포함하는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배치되어 상기 중공부 방향으로 자외선만 투과하는 투광관을 더 포함하는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와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캡을 더 포함하는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캡 각각은 중앙에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캡 각각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캡 각각에 형성된 상기 체결홀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체결바;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
  9.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한 쌍의 캡 중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방열홀이 형성되는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LED 소자와, 상기 LED 소자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상기 중공부를 향하도록 집광하는 집광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대향하는 상기 한 쌍의 캡의 내측면에는 상기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기판에 외부 전원을 전달하는 단자부가 각각 형성되는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
KR1020190076243A 2019-06-26 2019-06-26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 KR102285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243A KR102285769B1 (ko) 2019-06-26 2019-06-26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243A KR102285769B1 (ko) 2019-06-26 2019-06-26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940A true KR20210000940A (ko) 2021-01-06
KR102285769B1 KR102285769B1 (ko) 2021-08-04

Family

ID=74128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243A KR102285769B1 (ko) 2019-06-26 2019-06-26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7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3894A (zh) * 2022-02-17 2022-04-15 北京冠美口腔医院管理有限公司 一种牙科种植体骨结合率加速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139A (ko) * 2004-09-06 2006-03-09 주경원 치과의료기용 세척 및 소독 기구
KR20130028008A (ko) * 2011-09-08 2013-03-18 쇼오트 아게 가스 및/또는 액체를 살균하기 위한 장치
KR20150080489A (ko) * 2012-10-31 2015-07-09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야마 자외선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
KR20190024842A (ko) * 2018-08-31 2019-03-08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JP2019076624A (ja) * 2017-10-26 2019-05-23 日機装株式会社 殺菌装置
KR20190065580A (ko) * 2017-12-04 2019-06-12 김현석 자외선엘이디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139A (ko) * 2004-09-06 2006-03-09 주경원 치과의료기용 세척 및 소독 기구
KR20130028008A (ko) * 2011-09-08 2013-03-18 쇼오트 아게 가스 및/또는 액체를 살균하기 위한 장치
KR20150080489A (ko) * 2012-10-31 2015-07-09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야마 자외선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
JP2019076624A (ja) * 2017-10-26 2019-05-23 日機装株式会社 殺菌装置
KR20190065580A (ko) * 2017-12-04 2019-06-12 김현석 자외선엘이디 살균장치
KR20190024842A (ko) * 2018-08-31 2019-03-08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3894A (zh) * 2022-02-17 2022-04-15 北京冠美口腔医院管理有限公司 一种牙科种植体骨结合率加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5769B1 (ko) 202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1854B (zh) 杀菌装置
US8203124B2 (en) Sterilization apparatus
KR101705830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CA2530677C (en) Apparatus for irradiation of fluid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and method for the same
RU2577303C2 (ru) Дезинфицирующий основной блок для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их линз
JP5585473B2 (ja) インプラント用紫外線照射装置
WO2017191925A1 (ko) 임플란트 포장 용기
KR101688931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JP4867883B2 (ja) 殺菌装置
KR101675506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20210000940A (ko)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
KR101773349B1 (ko) 안과용 렌즈 소독 보관 케이스
KR10168893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JP2011045810A (ja) 紫外光源と紫外光活性光触媒による殺菌・消臭システム
KR102162336B1 (ko) 표면개질 처리 중 발생한 오존의 제거장치
KR102404234B1 (ko) 임플란트용 자외선 살균장치
US20230045570A1 (en) Light radiation device for medical treatment
KR102064951B1 (ko) 치아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KR20200021633A (ko)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CN112245614A (zh) 一种用于生物样本存放运输的消毒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10003533A (ko)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장치
JP2021041094A (ja) 殺菌装置
KR102250286B1 (ko)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장치
RU4450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ерилизации
KR102214444B1 (ko) 유전체 배리어 방전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