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1138A -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1138A
KR20200141138A KR1020190067735A KR20190067735A KR20200141138A KR 20200141138 A KR20200141138 A KR 20200141138A KR 1020190067735 A KR1020190067735 A KR 1020190067735A KR 20190067735 A KR20190067735 A KR 20190067735A KR 20200141138 A KR20200141138 A KR 20200141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mplant
surface treatment
plasma
a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0215B1 (ko
Inventor
김노국
Original Assignee
(주)예스바이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스바이오테크 filed Critical (주)예스바이오테크
Priority to KR1020190067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215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2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made by galvanoplastic methods or by plating; Surface treatment; Enamelling; Perfuming; Making antisep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46Generating plasma using applied electromagnetic fields, e.g. high frequency or microwave en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의 나사골 부분에도 용이하게 플라즈마 표면처리를 하여 임플란트의 친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에 대한 것입니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는 내부에 임플란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단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타단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일측에 상기 임플란트를 거치하는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를 상기 케이스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임플란트를 길이방향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착탈하게 결합되는 캡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상기 임플란트의 나사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하여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양극선 및 음극선를 구비하며 상기 양극선 및 상기 음극선에 전기가 공급되면 상기 가스로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극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수단의 양극선부와 음극선부는 임플란트의 나사방향으로 형성되고, 케이스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복수개가 교대로 배치된다. 그래서 임플란트의 나사산 뿐만 아니라 나사골 부분에도 플라즈마 표면처리가 이루어져 임플란트의 친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임플란트 시술전 임플란트가 오래 보관되어 그 표면이 산화되었더라도 시술시 임플란트 표면을 친수성으로 간단하게 플라즈마 처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의 보관기간에 상관없이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Implant plasma surface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의 나사골 부분에도 용이하게 플라즈마 표면처리를 하여 임플란트의 친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에 대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란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이를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의 의미하며, 치과에서는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체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 반응이 적은 티타늄(titanium) 등의 픽스쳐(인공 치근), 치조골에 식립된 인공 치근에 결합되어 저작면을 형성하는 크라운 등을 의미하며, 상기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는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티타늄 및 티타늄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픽스쳐 등의 임플란트의 경우, 티타늄 표면이 소수성을 가지므로 수분을 밀어내는 성질로 인해 인공치아의 식립 후에 혈액 및 단백질을 포함하는 골조직(치조골)이 융합되는 것을 더디게 하거나, 인체의 면역반응에 의해 염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임플란트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임플란트의 표면을 개질시킨 후 밀봉 포장하여 보관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상대적으로 돌출된 임플란트의 나사산 부분에는 플라즈마 표면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졌지만 임팔란트의 나사골 부분에는 플라즈마 표면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표면처리 후 밀봉 포장되어 시술 전까지 보관되는데 상기의 임플란트의 표면은 공정 후 공기 중에 노출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화층이 증가하고 탄화수소 화합물과 같은 오염원에 의해 표면에너지가 안정화되어 소수성으로 변하게 된다. 그래서 임플란트의 표면이 산화되기 전 시술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임플란트의 보관기간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102993호 (등록일 2011.12.29) 공개특허 제10-2016-0049683호 (공개일 2016.05.10)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나사골 부분에도 용이하게 플라즈마 표면처리를 하여 임플란트의 친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 전, 임플란트의 친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간편하게 임플란트의 표면을 플라즈마 표면처리 할 수 있는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는 내부에 임플란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단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타단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일측에 상기 임플란트를 거치하는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를 상기 케이스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임플란트를 길이방향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착탈하게 결합되는 캡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상기 임플란트의 나사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하여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양극선 및 음극선를 구비하며 상기 양극선 및 상기 음극선에 전기가 공급되면 상기 가스로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극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극선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상기 케이스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연결선부와 일측이 개구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선부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양극선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음극선은 상기 양극선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상기 케이스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2연결선부와 상기 제1연결선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일측이 개구되게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선부를 따라 상기 양극선부와 교대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음극선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의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극선부 및 상기 음극선부는 0.1 ~ 7mm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극선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또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음극선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또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수단의 양극선부와 음극선부는 임플란트의 나사방향으로 형성되고, 케이스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복수개가 교대로 배치된다. 그래서 임플란트의 나사산 뿐만 아니라 나사골 부분에도 플라즈마 표면처리가 이루어져 임플란트의 친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임플란트 시술전 임플란트가 오래 보관되어 그 표면이 산화되었더라도 시술시 임플란트 표면을 친수성으로 간단하게 플라즈마 처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의 보관기간에 상관없이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전극수단의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는 케이스(10)와, 주입구(20)와, 캡(30) 및 전극수단(40)을 포함한다.
케이스(10)는 내부에 임플란트(1)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케이스(10)는 본체(11)와 커버(13)를 구비한다.
본체(11)는 양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임플란트(1)를 수용한다.
커버(13)는 본체(11)의 일단(11a)에 장착된다. 이때, 커버(13)는 본체(11)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패킹(14)이 장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케이스(10)는 본체(11)와 커버(13)로 구비되지만, 본체(11)와 커버(13)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주입구(20)는 본체(11)의 일단(11a)에서 본체(11)의 내부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스를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주입구(20)는 커버(13)에 관통하여 장착되며, 가스주입수단의 호스 또는 밸브와 연결되어 본체(11)의 내부로 가스를 주입한다.
캡(30)은 임플란트(1)를 본체(11)의 축방향을 따라 임플란트(1)의 길이방향으로 본체(11)의 내부에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캡(30)은 일측에 임플란트(1)를 거치하는 거치부(31)가 형성되며, 본체(11)의 타단에 착탈하게 결합된다. 이때, 캡(30)은 본체(11)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패킹(33)이 장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패킹(14,33)은 커버(13) 또는 캡(30)에 장착되지만, 본체(11)의 일단(11a) 또는 타단의 내주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시술전 임플란트는 보관용 케이스에 보관된다. 이때, 임플란트는 보관용 케이스의 뚜껑에 거치되어 진공 보관된다. 그러나, 보관용 케이스의 밀폐는 완벽하지 아니하므로 장기간 보관하게 되면 공기 중에 노출되어 보관용 케이스 내부의 임플란트는 산화된다. 이 경우, 보관용 케이스 내부의 임플란트는 시술전 반드시 플라즈마 표면처리가 되어야 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캡(30)은 임플란트가 거치된 보관용 케이스의 뚜껑이 될 수도 있다.
전극수단(40)은 가스가 주입되면 전기를 공급받아 케이스(10)의 내부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전극수단(40)은 양극선(41)과 음극선(45)을 구비한다.
양극선(41)은 제1연결선부(42)와 양극선부(44)를 구비하며,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연결선부(42)는 본체(11)의 내주면에 본체(11)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양극선부(44)는 일측(44a)이 개구되도록 본체(11)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연결선부(42)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배치된다.
음극선(45)은 제2연결선부(46)와 음극선부(48)를 구비하며,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2연결선부(46)는 양극선부(44)와 접촉되지 않도록 본체(11)의 내주면에 본체(11)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즉, 양극선부(44)의 개구된 일측(44a)에 배치된다.
음극선부(48)는 제1연결선부(42)와 접촉되지 않도록 일측(48a)이 개구되게 본체(11)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연결선부(46)를 따라 양극선부(44)와 교대되도록 복수개가 배치된다. 이때, 양극선부(44) 및 음극선부(48)는 0.1 ~ 7mm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교대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양극선부(44) 및 음극선부(48)가 교대로 배치되므로 임플란트(1)의 나사산(1a) 뿐만 아니라 나사골(1b)에도 플라즈마 처리가 이루어져 임플란트의 친수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양극선(41)과 음극선(45)은 모두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었지만 케이스(10)의 내부 및 외부 어디에든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양극선(41) 및 음극선(45) 모두 케이스(10)의 내부 및 외부에 배치되거나, 둘 중 하나가 내부 나머지 하나가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임플란트의 빠른 골융합을 유도하고 염증 유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임플란트의 표면을 개질하는 플라즈마 표면처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상대적으로 돌출된 임플란트의 나사산 부분에는 플라즈마 표면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졌지만 임팔란트의 나사골 부분에는 플라즈마 표면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표면처리 후 밀봉 포장되어 시술 전까지 보관되는데 보관용 케이스의 밀폐가 완벽하지 않으므로 임플란트의 보관기간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실시예의 경우, 보관용 케이스에 보관중인 임플란트의 표면이 산화된 경우, 케이스(10)의 커버(13)에 주입구(20)를 장착한 후, 가스주입수단의 호스 또는 밸브와 연결한다. 그리고 시술할 임플란트(1)를 보관용 케이스에서 꺼내 거치부(31)에 거치한 후, 본체(11)의 타단에 캡(30)을 장착한다. 본체(11)의 내부에 임플란트(1)가 수용되면 가스주입수단을 이용하여 본체(11)의 내부로 가스를 주입한다. 이때, 가스는 주입구(20)를 통해 플라즈마 표면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계속해서 주입한다. 가스를 주입하기 전, 본체(11)의 내부에는 공기가 채워져있다. 가스가 주입되면 내부 압력에 의해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고, 가스가 본체(11)의 내부에 채워진다. 본체(11)의 일단(11a)과 타단이 커버(13)와 캡(30)에 장착된 패킹(14,33)에 의해 밀폐되더라도 패킹(14,33)은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만들어지므로 완벽하게 밀폐되지 않는다. 그리고 내부의 압력이 높으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플라즈마가 원활하게 발생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가스를 주입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극수단(40)으로 전기를 공급한다. 제1연결선부(42) 및 제2연결선부(46)로 전기가 공급되면, 제1연결선부(42)를 따라 복수의 양극선부(44)에 전기가 흐르게 되고, 제2연결선부(46)를 따라 복수의 음극선부(48)에 전기가 흐르게 된다. 그러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와 반응하여 플라즈마 상태를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플라즈마 상태가 계속되면, 거치부(31)에 거치된 임플란트(1)의 표면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임플란트(1)의 나사산(1a)의 방향으로 형성된 양극선부(44)와 음극선부(48)는 서로 교대하여 배치되므로 임플란트(1)의 나사산(1a) 뿐만 아니라 나사골(1b)에도 플라즈마 표면처리가 이루어진다. 그래서 임플란트(1)의 친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캡(30)은 임플란트가 거치된 보관용 케이스의 뚜껑이 될 수도 있다. 그래서 임플란트 시술전 임플란트가 거치된 보관용 케이스의 뚜껑을 본체(11)의 타단에 장착한 후, 임플란트를 플라즈마 표면처리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구성 및 사용방법이 간단하므로 임플란트 시술전 임플란트의 표면을 개질할 수 있다. 그래서 임플란트를 장시간 보관하여 그 표면이 산화된 임플란트도 간단하게 표면처리하여 시술할 수 있다.
1 : 임플란트 1a : 나사산
1b : 나사골 10 : 케이스
11 : 본체 11a : 일단
13 : 커버 14 : 패킹
20 : 주입구 30 : 캡
31 : 거치부 33 : 패킹
40 : 전극수단 41 : 양극선
42 : 제1연결선부 44 : 양극선부
44a : 일측 45 : 음극선
46 : 제2연결선부 48 : 음극선부
48a : 일측

Claims (4)

  1. 내부에 임플란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단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타단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일측에 상기 임플란트를 거치하는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를 상기 케이스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임플란트를 길이방향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착탈하게 결합되는 캡과,
    상기 임플란트의 나사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하여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양극선 및 음극선을 구비하며, 상기 양극선 및 상기 음극선에 전기가 공급되면 상기 가스로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선은 상기 케이스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연결선부와, 일측이 개구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선부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양극선부를 구비하며,
    상기 음극선은 상기 양극선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2연결선부와, 상기 제1연결선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일측이 개구되게 상기 케이스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선부를 따라 상기 양극선부와 교대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음극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선부 및 상기 음극선부는 0.1 ~ 7mm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선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또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음극선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또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
KR1020190067735A 2019-06-10 2019-06-10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 KR102320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735A KR102320215B1 (ko) 2019-06-10 2019-06-10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735A KR102320215B1 (ko) 2019-06-10 2019-06-10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138A true KR20200141138A (ko) 2020-12-18
KR102320215B1 KR102320215B1 (ko) 2021-11-02

Family

ID=7404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735A KR102320215B1 (ko) 2019-06-10 2019-06-10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2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272A1 (ko) * 2021-04-26 2022-11-03 주식회사 플라즈맵 피처리물 처리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3017B2 (ja) * 1993-06-07 1998-09-24 工業技術院長 抗血栓性医用材料及び医療用具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製造装置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
JP2003325553A (ja) * 2002-05-14 2003-11-18 Advance Co Ltd インプラントの製造方法
KR101102993B1 (ko) 2011-03-29 2012-01-0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 처리 장치
KR20140045282A (ko) * 2010-07-16 2014-04-16 아아페 바이오머티리얼스 게엠베하 Mg 스크류 상의 아파타이트 코팅
KR20160049683A (ko) 2014-10-28 2016-05-10 주식회사 피글 임플란트 산화막 제거장치
JP2017501771A (ja) * 2013-12-10 2017-01-19 ノバ プラズマ リミテッド インプラントを扱うための容器、機器、及び方法
JP2018519873A (ja) * 2015-05-11 2018-07-26 ノバ プラズマ リミテッド インプラントを操作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3017B2 (ja) * 1993-06-07 1998-09-24 工業技術院長 抗血栓性医用材料及び医療用具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製造装置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
JP2003325553A (ja) * 2002-05-14 2003-11-18 Advance Co Ltd インプラントの製造方法
KR20140045282A (ko) * 2010-07-16 2014-04-16 아아페 바이오머티리얼스 게엠베하 Mg 스크류 상의 아파타이트 코팅
KR101102993B1 (ko) 2011-03-29 2012-01-0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 처리 장치
JP2017501771A (ja) * 2013-12-10 2017-01-19 ノバ プラズマ リミテッド インプラントを扱うための容器、機器、及び方法
KR20160049683A (ko) 2014-10-28 2016-05-10 주식회사 피글 임플란트 산화막 제거장치
JP2018519873A (ja) * 2015-05-11 2018-07-26 ノバ プラズマ リミテッド インプラントを操作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272A1 (ko) * 2021-04-26 2022-11-03 주식회사 플라즈맵 피처리물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215B1 (ko)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548B1 (ko) 임플란트 수납 용기
KR101252767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임플란트 유닛의 표면처리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임플란트 유닛 및 임플란트 유닛의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
Okayasu et al. Decision tree for the management of periimplant diseases
CO4440603A1 (es) Un material biocompatible de hidrogel de oxido de polietileno, metodo para su produccion y uso de este
US1163327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erile delivery of prostheses
KR20160065698A (ko) 광학 플라즈마를 이용한 임플란트 표면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임플란트 표면 처리 장치
KR102320215B1 (ko) 임플란트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
KR20120027604A (ko) 골이식 임플란트 시술용 임시 체결 부재
KR102351510B1 (ko) 플라즈마 치과 임플란트 캡슐레이션 장치
WO20161984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erile delivery of prostheses
KR101685934B1 (ko) 임플란트 치료용 어버트먼트
US20170020635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untering gingival effects in dental restoration
KR20080103318A (ko) 응급 임플란트용 고정체
KR101380919B1 (ko) 지대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장치
KR101675500B1 (ko) 무치악 환자의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09137B1 (ko) 세포 및/또는 약물 주입용 임플란트
KR101671711B1 (ko) 뼈 성장의 촉진을 도모하는 자장 발생 장치와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장치 및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
KR102047451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CN107708603A (zh) 补缀物包装盒、补缀物、带有包装盒的补缀物
KR102387694B1 (ko) 임플란트 수납 용기
KR102602281B1 (ko) 플라즈마 표면처리를 위한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보관용기
US202302932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erile delivery of prostheses
ES2810808T3 (es)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ón de implantes con superficie personalizada
KR20190117175A (ko) 치아 임플란트를 위한 보조 장치
CN213641323U (zh) 一种防继发龋齿的义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