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175A - 치아 임플란트를 위한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임플란트를 위한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175A
KR20190117175A KR1020180040368A KR20180040368A KR20190117175A KR 20190117175 A KR20190117175 A KR 20190117175A KR 1020180040368 A KR1020180040368 A KR 1020180040368A KR 20180040368 A KR20180040368 A KR 20180040368A KR 20190117175 A KR20190117175 A KR 20190117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auxiliary device
curvature
shield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민
이영호
김창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템
Priority to KR1020180040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7175A/ko
Priority to PCT/KR2019/002010 priority patent/WO2019194414A1/ko
Publication of KR20190117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를 위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서 하부까지의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발치와에 식립된 픽스츄어에 체결 시 발치와 및 발치와에 식립된 임플란트 주변의 골이식부위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날개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쉴드부, 픽스츄어에 체결되는 픽스츄어체결부 및 쉴드부와 픽스츄어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치아 임플란트를 위한 보조 장치{Auxiliary Device for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를 위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치아가 발치된 발치와 및 발치와에 식립된 임플란트 주변의 골이식 부위를 보호하는 치아 임플란트를 위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본래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인체조직을 대신할 수 있는 대치물을 의미하며, 특히, 치과에서는 픽스츄어(fixture), 어버트먼트(abutment) 및 크라운(crown)을 포함하는 보철물을 이용하여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실제 치아의 위치에 이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치아 임플란트는 치아를 발치한 이후에, 치아가 발치된 자리인 발치와가 자연 치유된 이후에 인공치아를 식립하는데, 발치와가 자연 치유되기까지 4개월에서 5개월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자연 치유까지의 시간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치아 발치 즉시 발치와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고 나머지 공간에 골 이식재를 이식하여 치조골을 형성시키는 골 이식술을 병행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발치 즉시 임플란트를 시술한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의 (a)와 같이 치아를 발치한 이후에 즉시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시술은 발치 후에 발치와(10)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고, 픽스츄어와 발치와 등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커버스크류(11)나 힐링 어버트먼트를 체결한다. 이후에 도 1의 (b)와 같이 발치와(10)의 나머지 공간에 골이식재를 이식하거나, 혈액이 잘 유지되도록 처리한 후, 발치와(10)의 잇몸을 봉합사(13)를 이용하여 봉합한다. 잇몸을 봉합하고 난 이후에, 발치와(10)의 나머지 공간에 연조직이 생성되고, 치조골이 안정되면, 커버스크류(11)를 제거한 후, 힐링 어버트먼트를 픽스츄어에 교체하여 결합한다. 힐링 어버트먼트를 교체하여 결합한 후 2~3주 정도가 경과하면 힐링 어버트먼트를 픽스츄어에서 제거하고, 어버트먼트를 픽스츄어에 결합한 후, 어버트먼트에 크라운을 결합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완료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 시에는, 발치와(10)의 잇몸을 봉합하였더라도, 골이식재를 이식한 부위나, 발치에 의해 발생되는 혈액이 구강 내 노출되어 감염이 증가하고, 발치와(10)에 이식한 골이식재가 퇴축 또는 사라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임플란트 주변에 골이식재를 이식한 경우에는 골이식재를 이식한 부위(이하, 골이식부위라 함)를 안전화시킬 수 없어 골이식부위가 노출 또는 가라앉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발치와(10)에 발생되는 감염 및 골이식재의 퇴축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 및 골이식부위를 안정화시키고 연조직을 봉합하여 자연 치유를 쉽게 유도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발치와를 덮어 발치와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주변에 새로운 연조직과 치조골이 생성될 공간을 보호함으로써 감염 발생 및 골이식재의 퇴축을 방지할 수 있는 치아 임플란트를 위한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를 위한 보조 장치는, 상부에서 하부까지의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발치와에 식립된 픽스츄어에 체결 시 상기 발치와 및 상기 발치와에 식립된 임플란트 주변의 골이식부위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날개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쉴드부, 상기 픽스츄어에 체결되는 픽스츄어체결부 및 상기 쉴드부와 상기 픽스츄어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쉴드부는, 상기 픽스츄어에 체결 시에 상기 픽스츄어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주면이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쉴드부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면의 중심부에서 상기 날개부까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면의 곡률은 상기 외주면의 곡률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면의 곡률은 상기 외주면의 곡률에 4배에서 6배 사이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날개부의 가장자리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장자리의 곡률은 상기 외주면의 곡률에 0.06배에서 0.15배 사이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면은 원형, 상기 발치와의 형태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타원형 및 상기 발치와에 대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형성된 자유곡선 형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픽스츄어체결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쉴드부, 상기 픽스츄어체결부 및 상기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면의 중심부에는 나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쉴드부 및 상기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픽스츄어체결부가 상기 쉴드부 및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픽스츄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쉴드부 및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는 상기 픽스츄어체결부와 일체로 형성된 쉴드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쉴드체결부의 상부에는, 나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를 위한 보조 장치는, 발치와를 덮어 발치와에 식립된 임플란트 주변의 새로운 연조직과 치조골이 생성될 공간을 보호함으로써 감염 발생 및 골이식재의 퇴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치와 및 발치와에 식립된 임플란트 주변의 골이식부위를 덮어 치조골이 생성될 공간을 보호하고, 잇몸의 자연 치유를 유도하여 잇몸의 봉합 및 절개를 최소화함으로써 봉합사에 의한 2차 수술 방지, 시술자의 번거로움 해소 및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발치 즉시 임플란트를 시술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장치의 헤드부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시술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시술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장치의 분해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가 체결된 보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장치의 헤드부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시술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시술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의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장치(200)는 쉴드부(210), 연결부(220) 및 픽스츄어체결부(230)를 포함하고, 쉴드부(210), 연결부(220) 및 픽스츄어체결부(230)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보조 장치(200)는 치아 임플란트를 위해 치아를 발치한 즉시 발치와(510)에 식립되는 픽스츄어(540)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어버트먼트로, 커버스크류와 힐링 어버트먼트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보조 장치(200)는 티타늄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픽스츄어체결부(2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31)에 의해 보조 장치(200)는 픽스츄어(540)의 체결홀에 나사 체결된다. 쉴드부(210)는 픽스츄어체결부(230)가 픽스츄어(540)에 체결되면 픽스츄어(54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픽스츄어체결부(230)의 상부에 형성되고, 연결부(220)는 픽스츄어체결부(230)와 쉴드부(210)를 연결한다.
픽스츄어체결부(230)는 쉴드부(210)에 형성된 나사홈(214)에 제공되는 회전힘에 의해 픽스츄어(540)의 체결홀에 체결되고, 연결부(220)에 표시된 표시선(221)까지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선(221)이 형성된 연결부(220)의 단면적과 픽스츄어(540)의 체결홀 입구의 단면적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연결부(220)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쉴드부(210)의 하부부터 픽스츄어체결부(230)의 상부까지의 단면이 점차 작아지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픽스츄어(540)에 삽입된다. 이때, 연결부(220)는 반드시 단면이 점차 작아지는 원기둥 형태로 생성되는 것은 아니며, 픽스츄어(540)의 체결홀의 형태에 따라 쉴드부(210)의 하부부터 픽스츄어체결부(230)의 상부까지의 단면적이 동일한 원기둥 형태로 생성될 수도 있다.
픽스츄어체결부(230)가 픽스츄어(540)에 체결되면, 발치와(510) 및 발치와(510)에 식립된 픽스츄어(540) 주변에 골이식재(550)가 이식된 골이식부위가 쉴드부(210)에 형성된 특정 두께(T)를 갖는 날개부(215)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쉴드부(210)의 상부는 발치와(510)를 덮을 수 있는 날개부(215)를 포함하고, 축 방향을 기준으로 날개부(215)를 포함하는 쉴드부(210)의 상부에서 연결부(220)와 연결되는 쉴드부(210)의 하부까지의 단면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쉴드부(210)의 외주면(213)은 픽스츄어(540) 주변에 이식된 골이식재(550)에 의한 치조골(520)이 외주면(213)을 따라 생성되도록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특정 두께(T)를 갖는 날개부(215)의 가장자리(212)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보조 장치(200) 체결 시에 발치와(510) 주변의 잇몸(530)에 발생될 수 있는 상처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날개부(215)는 발치와(510)를 덮어서 발치와(510)로의 세균침투, 악취 및 흔들림, 치조골의 손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 장치(200)가 픽스츄어(540)에 체결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도 5와 같이, 연조직인 잇몸(530)이 쉴드부(210)의 상부면(211)을 덮을 수 있다. 이때, 시술자는 잇몸(530)을 봉합하여 쉴드부(210)의 상부면(211)을 덮도록 추가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쉴드부(210)는 나사홈(214)을 기준으로 하는 중심부에서 날개부(215)까지의 상부면(211)이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유선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부면(211)의 곡률은 쉴드부(210)의 외주면(213)이 갖는 곡률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상부면(211)의 곡률은 외주면(213)의 곡률이 작을수록 작아지고, 외주면(213)의 곡률이 클수록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주면(213)의 곡률은,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진행할 발치와(510)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피시술자의 구강 구조의 특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발치와(510)에 식립되는 픽스츄어(540)는 일반형, 와이드형 등과 같이 사이즈가 규격화되어 있고,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진행할 발치와(510)의 위치 또는 피시술자의 구강 구조의 특징에 따라 사이즈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픽스츄어(540)의 사이즈에 따라 픽스츄어(540)에 체결될 보조 장치(200)의 사이즈도 달라지며, 보조 장치(200)의 사이즈에 따라 외주면(213)의 곡률, 상부면(211)의 곡률 및 가장자리(212)의 곡률이 상이해질 수 있다. 이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아울러,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수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시술자의 상태에 따라 변경 가능한 수치임을 명확히 하는 바이다. 예를 들면, 외주면(213)의 곡률의 수치는 픽스츄어의 직경의 수치에 0.5~0.9를 곱한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면(211)의 곡률은 외주면(213)의 곡률에 4~6을 곱한 값의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고, 가장자리(212)의 곡률은 외주면(213)의 곡률에 0.06에서 0.15를 곱한 값의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픽스츄어
Figure pat00001
3.5
픽스츄어
Figure pat00002
4.1
픽스츄어
Figure pat00003
6.1
상부면(211)의 곡률 9R 10R 20R
외주면(213)의 곡률 2R 2R 4R
가장자리(212)의 곡률 0.276R 0.274R 0.269R
쉴드부(210)의 상부면(211)을 위에서 바라보면 도 3의 (a) 내지 (c)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면(211)은 도 3의 (a)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3의 (b)와 같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면(211)은 도 3의 (c)와 같이 자유곡선으로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도 3의 (b)는 발치와(510)의 형태를 기반으로 형성된 형태이고, 도 3의 (c)는 발치와(510)의 부분을 3D스캐너로 스캔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상부면(211)의 형태는 치아 임플란트를 시술할 발치와(510)의 위치에 따라 도 3의 (a) 또는 (b)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고, 피시술자의 발치와(510)의 형태를 기반으로 도 3의 (c)와 같이 맞춤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아울러, 상부면(211)의 형태와 관계없이 외주면(213)의 곡률은 모든 방향에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면(211)이 도 3의 (b)와 같이 타원형으로 형성된 경우라 하더라도, 상부면(211)에서 지름이 짧은 방향에서의 외주면(213)의 곡률과 지름이 긴 방향에서의 외주면(213)의 곡률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스츄어(540)에 보조 장치(200)를 체결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보조 장치(200)에 의해 덮인 발치와(510)에 치조골과 연조직의 생성이 완료되면, 쉴드부(210)에 형성된 나사홈(214)에 회전힘을 제공하여 픽스츄어(540)로부터 보조 장치(200)를 제거한다. 보조 장치(200)가 제거된 픽스츄어(540)에는 크라운을 결합하기 위한 어버트먼트를 결합하고, 어버트먼트에 크라운을 결합함으로써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종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장치의 분해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가 체결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장치(600)는 제1 구성부(610)와 제2 구성부(640)를 포함하여 분리형으로 형성된다. 특히, 보조 장치(600)는 쉴드부(620)의 상부면(621)이 도 3의 (b)와 (c)의 형태로 형성될 때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아울러, 제1 구성부(610)는 쉴드부(620) 및 연결부(630)를 포함하고, 제2 구성부(640)는 쉴드체결부(650) 및 픽스츄어체결부(660)를 포함한다. 보조 장치(600)는 치아 임플란트를 위해 치아를 발치한 즉시 발치와(510)에 식립되는 픽스츄어(540)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어버트먼트로, 커버스크류와 힐링 어버트먼트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보조 장치(600)는 티타늄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1 구성부(610)의 쉴드부(620)와 연결부(630)는 관통홀(624)이 형성되고, 제2 구성부(640)는 제1 구성부(610)의 상부에서 제1 구성부(610)에 형성된 관통홀(624)에 삽입되어 제1 구성부(610)를 관통한다. 제1 구성부(610)를 관통한 제2 구성부(640)의 픽스츄어체결부(660)는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661)에 의해 픽스츄어(540)에 나사 체결된다.
제1 구성부(610)를 관통한 제2 구성부(640)의 쉴드체결부(650)는 제2 구성부(640)의 픽스츄어체결부(660)가 제1 구성부(610)를 관통하여 픽스츄어(540)에 체결된 후에 제1 구성부(610)에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1 구성부(610)에 형성된 관통홀(624)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구성부(640)의 픽스츄어체결부(660)가 픽스츄어(540)에 체결되면, 연결부(630)의 표시선(631)의 상부까지 픽스츄어(54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구성부(640)가 제1 구성부(610)를 관통한 후, 픽스츄어체결부(660)가 픽스츄어(540)에 나사 체결되도록 쉴드체결부(650)의 상부면에는 나사홈(651)이 형성된다.
아울러, 쉴드부(620)의 상부면(621), 가장자리(622), 외주면(623), 날개부(625)는 도 2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상부면(211), 가장자리(212), 외주면(213), 날개부(215)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분리형으로 형성된 보조 장치(600)를 발치와(510)에 식립된 픽스츄어(540)에 체결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시술자는 제1 구성부(610)를 연결부(630)에 표시된 표시선(631)까지 픽스츄어(540)에 삽입하고, 제1 구성부(610)의 관통홀(624)을 통해 제2 구성부(640)를 관통시킨다. 그리고, 제2 구성부(640)에 형성된 나사홈(651)에 회전 힘을 가하여 픽스츄어체결부(660)를 픽스츄어(65)에 나사 체결시킨다. 따라서, 상부면(621)이 도 3의 (b) 및 (c)의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도 발치와(510)의 형태에 맞게 보조 장치(600)를 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510: 발치와 11: 커버스크류
13: 봉합사 200, 600: 보조 장치
210, 620: 쉴드부 211, 621: 상부면
212, 622: 가장자리 213, 623: 외주면
214, 651: 나사홈 215, 625: 날개부
220, 630: 연결부 221, 631: 표시선
230, 660: 픽스츄어체결부 231, 661: 나사산
520: 치조골 530: 잇몸
540: 픽스츄어 550: 골이식재
610: 제1 구성부 624: 관통홀
640: 제2 구성부 650: 쉴드체결부

Claims (13)

  1. 상부에서 하부까지의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발치와에 식립된 픽스츄어에 체결 시 상기 발치와 및 상기 발치와에 식립된 임플란트 주변의 골이식부위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날개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쉴드부;
    상기 픽스츄어에 체결되는 픽스츄어체결부; 및
    상기 쉴드부와 상기 픽스츄어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상기 픽스츄어에 체결 시에 상기 픽스츄어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주면이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면의 중심부에서 상기 날개부까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의 곡률은 상기 외주면의 곡률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의 곡률은 상기 외주면의 곡률에 4배에서 6배 사이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가장자리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의 곡률은 상기 외주면의 곡률에 0.06배에서 0.15배 사이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은 원형, 상기 발치와의 형태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타원형 및 상기 발치와에 대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형성된 자유곡선 형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체결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 상기 픽스츄어체결부 및 상기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의 중심부에는 나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 및 상기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픽스츄어체결부가 상기 쉴드부 및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픽스츄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 및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는 상기 픽스츄어체결부와 일체로 형성된 쉴드체결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쉴드체결부의 상부에는,
    나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
KR1020180040368A 2018-04-06 2018-04-06 치아 임플란트를 위한 보조 장치 KR20190117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368A KR20190117175A (ko) 2018-04-06 2018-04-06 치아 임플란트를 위한 보조 장치
PCT/KR2019/002010 WO2019194414A1 (ko) 2018-04-06 2019-02-20 치아 임플란트를 위한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368A KR20190117175A (ko) 2018-04-06 2018-04-06 치아 임플란트를 위한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175A true KR20190117175A (ko) 2019-10-16

Family

ID=68100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368A KR20190117175A (ko) 2018-04-06 2018-04-06 치아 임플란트를 위한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17175A (ko)
WO (1) WO20191944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471B1 (ko) 2020-11-30 2021-07-30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츄어 가이드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3970A (ja) * 1998-09-14 2000-03-28 Gc Corp 歯科インプラント用カバースクリュー
KR101140620B1 (ko) * 2010-09-13 2012-05-0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골이식 임플란트 시술용 임시 체결 부재
KR101296741B1 (ko) * 2011-11-25 2013-08-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힐링 어버트먼트
KR101144322B1 (ko) * 2011-12-23 2012-05-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멤브레인
KR101164444B1 (ko) * 2012-03-08 2012-07-12 주식회사 덴티스 임플란트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471B1 (ko) 2020-11-30 2021-07-30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츄어 가이드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4414A1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218B1 (ko) 임플란트 장치
KR101452849B1 (ko)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한 치아보철물 제조방법
DK2699194T3 (en) Healing STIFT SYSTEM KNOGLEKONTURERING
US20050048440A1 (en) Dental implants and methods for their fabrication and use
US9980792B2 (en) Hybrid temporary anchorage device impla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1419832B1 (ko) 임플란트용 소재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가공장치
EP2835110B1 (en) Denture-fixing attachment having freely adjustable angle and position
US20060008773A1 (en) Titanium-mesh umbrella device for bone grafting
KR101446072B1 (ko)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TWI578965B (zh) Dental implants
KR20190040590A (ko) 시술 과정이 감소되는 범용 어버트먼트
KR101388185B1 (ko)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KR20130016540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KR101473835B1 (ko)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이 가능한 보호 캡
KR20160011322A (ko) 구강 스캔과 캐드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방법
KR20190117175A (ko) 치아 임플란트를 위한 보조 장치
KR101820489B1 (ko) 시술 과정이 감소되는 범용 어버트먼트
US9968424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ementless retention of dental crowns to implants
KR20200114338A (ko) 치아 임플란트를 위한 보조 장치
Jones Open flap socket shield in the esthetic zone.
US20200253697A1 (en) Multi-function dental implant system
KR100743929B1 (ko) 임플란트용 인공 치근과 마운트의 결합구조
KR102255014B1 (ko) 경사 어버트먼트 취부용 지그
KR20210028029A (ko) 유지력이 향상된 임플란트용 스마트 어버트먼트
KR100760610B1 (ko) 인공치아용 어버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