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806A - 상부구조 및 샤시를 포함하는 상용차 - Google Patents

상부구조 및 샤시를 포함하는 상용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806A
KR20180002806A KR1020177034989A KR20177034989A KR20180002806A KR 20180002806 A KR20180002806 A KR 20180002806A KR 1020177034989 A KR1020177034989 A KR 1020177034989A KR 20177034989 A KR20177034989 A KR 20177034989A KR 20180002806 A KR20180002806 A KR 20180002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 flow
region
chassis
air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7819B1 (ko
Inventor
캄란 노그하바이
Original Assignee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180002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62Other vehicle fittings for cleaning
    • B60S1/66Other vehicle fittings for cleaning for cleaning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04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1For commercial vehicles or tractor-trailer combinations, e.g.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이동하는 차량(1)에서,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고, 이동하는 차량에 의해 야기된 드라프트에 의해 발생된 기류(f1)가 스프레이 및 먼지 입자들이 아래에 달라붙는 것을 방해하여 차량의 측면 영역이 세청되도록 하기 위해, 기류(f1)는 차량의 코너 영역(4) 주위와 차량의 측면 영역(8)을 따라 안내된다. 기류(f)는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해 엔진 공간을 관통하여 지나간다. 엔진 공간이 상대적으로 비좁다는 것은 기류(f)가 유동 저항과 압력 강하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기류(f3)의 일부가 엔진 공간 예컨대 탑승 계단(16) 주위의 영역에서 누설될 수 있게 한다. 누설되는 기류(f3)는 기류(f1)를 약화시키고 그 방향을 바꿀 수 있어서, 이에 따라 기류의 세정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공기 저항과 연료 소모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방향전환 수단(50)은 기류(f1)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향으로 기류(f3)의 방향을 전환시키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상부구조 및 샤시를 포함하는 상용차
본 발명은 예컨대 트럭과 버스 같은 상용차의 공기역학적 특성 분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상부구조 주위에서 기류가 안내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류의 방향전환 수단을 배치하기 위해 상용차 제조에 적용될 수 있는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상용차의 캡 또는 바디의 전방 코너의 구성은 차량의 공기 저항과 캡 또는 바디 인접 측면의 파울링(fouling) 정도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고, 이러한 오염을 줄이려는 공지의 공기 디플렉터는, 일반적으로 차량이 이동 중일 때, 기류 즉 이동 차량에 의해 야기되는 드라프트(draught)를 코너 주위 그리고 캡 또는 바디의 측면을 따라 안내하기 위해 캡 또는 바디 코너 주위로 연장하는 곡선형 실드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공기 저항을 줄이고 공기가 스프레이 및 오염 입자들에 의한 하부로부터의 오염 물질에 대항하는 공기 유동에 의해 측면이 세정되도록 한다. 그러한 공기 디플렉터의 일예가 DE 2726739 A1호에 언급되어 있다.
SE 536551C2호는 이동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를 캡의 코너에 인접하는 차량의 측면을 따라 흐르는 난류로 변환시켜 하부가 파울링되지 않도록 하는 난류 발생기가 제공되어 있는 공기 디플렉터를 기재하고 있다.
공지의 해법들이 안고 있는 문제는 캡 또는 바디 코너 주위의 기류는 다른 기류에 의한 영향을 받거나 방해를 받아, 코너 주위의 기류의 세정 효과를 약화시키거나 심지어는 세정 효과가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이다. 충돌하여 와해된 기류는 예를 들면 엔진이 상부구조 아래 즉 캡 또는 바디 아래의 샤시 내에 위치하는 상용차의 경우에 나타날 수 있다. 그러한 차량에서, 상부구조의 밑면은 엔진룸의 상부 경계면을 구성한다. 그 중에서도 엔진으로부터 발생한 노이즈의 전파를 줄이려는 의도를 가지며, 엔진룸의 하부 경계면을 구성하는 케이싱이 종종 엔진 아래에 존재한다.
상부구조는 종종 샤시에 대해 탄성적으로 현수되며, 상부구조와 샤시 사이에는 갭이 제공되어서 이들 사이에서 상대 이동이 일어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지점에서 상부구조 내에 운전자 공간이 제공된다. 운전자 공간에 오르내리기를 쉽게 하기 위해, 종종 상부구조의 양 측면 위에 또는 한쪽 측면 위에만 탑승 계단이 제공된다.
차량 이동 방향으로 엔진의 전방에 라디에이터가 제공된다. 라디에이터를 엔진 전방에 위치시킴으로써 차량이 이동할 때 그에 따라 차량이 차량 이동에 의해 야기되는 드라프트를 겪을 때,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는, 엔진룸을 통과하는 그리고 캡 또는 바디의 후방 벽에 있는 구멍을 통해 엔진룸에서 나오는 기류를 냉각시킨다.
라디에이터, 엔진 및 경계면들은 엔진룸을 상대적으로 비좁게 하며, 엔진룸을 통과하는 공기가 실질적으로 유동 저항과 압력 강하를 겪게 한다. 이는, 엔진룸으로부터 기류의 일부가 예를 들어 탑승 계산 주위 영역에서 그리고 상부구조와 샤시 사이의 캡을 통해 누설되게 하며, 누설된 기류는 캡 또는 바디 주위의 기류에 영향을 주는데 그 중에서 캡 또는 바디 측에 가까운 지점으로부터 밀어 내게 된다. 이는 공기 저항 그에 따라 연료 소모를 증가시키고, 제한된 기류에 의해 차량의 측면이 세정되게 하며, 또는 차량 측면을 통과하는 기류가 아무런 세정 작용을 하지 못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차량의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연료 소모도 줄이기 위해 기류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수단을 제안함으로써, 상용차의 공기 역학적 특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상부구조의 측면의 파울링(fouling) 정도를 줄이기 위해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수단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 및 다른 목적은 아래에 기재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의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 수단(redirecting means)을 사용하면 엔진 공간에서부터 캡 또는 바디의 측면으로 흐르는 불규칙한 누설 유동을 줄일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코너 영역 주위로 그리고 측면을 따라 안내되는 기류(air flow) 즉 이동하는 차량에 의해 야기되는 드라프트가 밀어내지지(push away) 않고, 그 대신 측면에 인접하여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공기 저항을 줄여주고 그에 따라 연료 소모도 줄이게 되며, 휠로부터 캡과 차량 도어 측면에 도달하는 스프레이와 다른 먼지 입자들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항하게 한다.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방향전환 수단은 차량의 코너 영역과 측면 영역 사이의 전이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전방 영역 내의 공기 유입 구멍으로부터 전이 영역까지의 경로가 최단 경로를 나타내고 누설 유동에 대해 저항이 가장 작다는 점에서 이 지점이 바람직한 지점이다.
다른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방향전환 수단이 탑승 계단 위에 위치하고 있다. 방향전환 수단이 탑승 계단에 미리 조립되어 차량의 후속 조립용 유닛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이는 차량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방향전환 수단이 샤시 위에 탄력적으로 현수되어 있는 캡을 구비하는 차량에 채용되면 유리할 수 있다. 이 방향전환 수단은 캡이 샤시에 대해 상대적으로 튈 수 있도록 캡과 샤시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격(clearance)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게 되며, 이 간격을 통해 유동이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방향전환 수단이, 이동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를 코너 영역에 이웃하는 차량의 측면 영역을 추종하는 난류로 변화시키기에 적합한 난류 발생기를 구비하는 차량에 채용되면 유리할 수 있다. 난류 발생기(turbulence generator)는 차량의 공기 저항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캡 또는 바디 측면의 오염 정도를 줄여주게 되며, 또한 차량의 공기 저항이 감소되는 동시에 난류의 세정 효과(cleaning effect)는 증가하게 된다. 이는, 방향전환 수단이 난류가 차량 측면에 인접하여 통과하게 할 수 있으며 엔진으로부터 누설되는 유동으로 밀어 내어지지 않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이점들이 특허청구범위, 실시형태의 설명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 기재되어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실시예들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을 기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디플렉터 및 방향전환 수단을 구비하는 차량의 전방 영역을 앞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공기 디플렉터를 구비하는 전방 코너 일부의 측면 절단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공기 디플렉터가 제공된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공기 디플렉터의 또 다른 실시형태가 제공된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차량에서 엔진룸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공기 디플렉터를 구비한 전방 코너의 일부를 절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공기 디플렉터 및 방향전환 수단을 구비하는 전방 코너의 일부를 절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방향전환 수단을 구비한 탑승 계단 전방을 비스듬히 바라본 도면이다.
도 1은 차량(1)의 전방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서, 차량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세미트레일러를 끌기 위한 트랙터 차량 형태의 화물 차량이다. 차량(1)은 차량의 이동 방향으로 전방을 향하는 전방면(6)을 구비하는 캡(2) 형태의 상부구조를 구비한다. 이 캡은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샤시(3) 형태의 프레임 위에 탄력적으로 장착된다.
적어도 하나의 전방 코너 영역(4)이 전방면(6)의 각 측면 위에 위치한다. 도 1에는 그 중에서 하나의 전방 코너 영역만이 도시되어 있다. 캡(2) 레벨에서, 각 전방 코너 영역(4)은 전방면(6)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부 전방 해치(7)와 코너 영역으로부터 차량의 이동 방향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며 차량 도어를 포함하는 측면 영역(8) 사이에 위치하는 곡선형 코너 패널(5) 형태를 취한다. 샤시(3) 레벨에서, 전방 코너 영역(4)은 범퍼(11)의 곡면 영역(10) 형태를 취한다. 곡면 영역(10)의 상부 부분은 차량 전방면(6)의 일부인 하부 전방 해치(12)와 도어(9) 아래의 계단통(14) 내에 위치하는 계단(13) 형태의 계산 요소들을 구비하는 탑승 계단(16) 사이에서 연장한다. 곡면 영역(10)의 하부 부분은 범퍼(11)의 전방 부분(15)과 탑승 계단(16) 사이에서 연장한다.
차량이 움직일 때,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고, 스프레이 및 먼지 입자들에 의해 아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류(f1)에 의해 측면 영역(8)이 연속적으로 세정되도록 하기 위해, 차량 이동에 의해 야기되는 드라프트(f)에 의해 발생된 제1 기류(f1)가 전방 코너 영역(4) 주위로 그리고 측면 영역(8)을 따라 안내된다.
캡(2)과 샤시(3) 사이의 각 전방 코너 영역(4)에, 실질적으로 코너 영역 전체 주위를 그리고 코너 영역을 따라 연장하며 계속해서 도어(9)의 하부 에지를 따라 연장하는, 바깥쪽으로 개방된 리세스(19)가 존재한다. 샤시(3)의 외측 위에 중첩되게 탄력적으로 현수되어 있는 캡(2)이 샤시에 대해 상대적으로 스프링 이동을 하기 위한 수직방향 간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리세스(19)가 제공된다. 리세스(19) 자체가 필수의 간격을 구성하고 그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캡과 샤시가 서로 충돌하지 않으면서 캡(2)이 샤시(3)에 대해 상대적으로 튈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리세스(19) 내에 자리잡고 있는 공기 디플렉터(2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공기 디플렉터(20)는 난류 발생기로 공지되어 있는 형태이며, 공기 저항을 추가로 감소시키고 세정 효과(cleaning effect)를 향상시키기 위해, 측면 영역(8)에 달라붙을 수 있거나 접근할 수 있는 와류 공기(v)인 2차 기류를 발생시키는 블레이드 등과 같이 공기역학적으로 작용하는 표면을 포함한다. 공기 디플렉터의 배출구(31)(도 7)는 전방 코너 영역(4)과 측면 영역(8) 사이의 코너 전이 영역(48) 내에 혹은 실질적으로 코너 전이 영역(48) 내에서 차량의 종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공기 디플렉터(20)는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세장형의 공기-채널링 덕트를 포함한다. 도 2는 전방면(6)에 인접한 지점에서 덕트(21)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덕트(21)는 캡(2)의 전방 코너 영역(4)에 연결되어 있고, 전방면(6)에서부터 캡의 측면(8)까지 실질적으로 코너 영역 전체 주위로 곡선 형태로 연장하고 있다. 지점 A-A(도 2)에서 덕트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는 도 3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덕트(21)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아래쪽을 지향하는 2개의 대향 측부(22, 23)와, 양 대향 측부를 서로 연결하는 아치형의 상부(26)를 포함한다. 대향 측부 각각은 자유 하부 말단 에지(24, 25)를 구비한다. 제1 측부(22)는 차량의 외부를 향하고 있고, 제2 측부(23)는 차량 내에 안착되어 있는 엔진(32)을 향하고 있다. 대향 측부(22, 23)는 바깥으로 개방된 리세스(19) 내의 샤시(3)를 향해 하향 연장하지만, 간격(18)을 남겨 두어서 캡(2)이 샤시(3)와 충돌하지 않으면서 캡이 샤시에 대해 상대적으로 튈 수 있게 된다.
도 4는 공기 디플렉터(20)의 다른 실시형태를 묘사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하향 개방 덕트(21)의 제2 측부(23)가 샤시(3)에 연결되어 있어서 자유 하부 말단 에지를 구비하지 않고, 대신에 자유 상부 말단 에지(27)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측부(23)는 샤시(3)에서부터 캡(2)을 향해 연장하지만, 아치형 부분(26) 내에 구멍 형태의 간격(18)을 남겨서, 캡(2)이 샤시(3)와 충돌하지 않으면서 캡이 샤시에 대해 상대적으로 튈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이 이동 중일 때, 이동하는 차량에 의해 야기된 드라프트(f)에 의해 발생된 기류(f2)가 리세스(19) 내로 안내되어, 공기 디플렉터(20) 위를 통과한다. 공기 디플렉터(20)는 기류(f2)가 공기 디플렉터(20)를 빠져 나간 후에 기류(f2)를 와류(v)인 2차 기류로 변환시키며, 와류(v)는 측면 영역(8)을 따라 이동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와류(v)는 실질적으로 차량 도어(9)의 하부를 따라 이동하며, 그런 다음 휠(30) 위에 장착되어 있는 머드가드(29)의 경사면을 따라 위로 안내된다. 와류(v)는 공기 저항을 줄여주고, 스프레이와 휠(30)에서 나오는 다른 먼지 입자들이 캡(2)과 차량 도어(9)의 측면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한다.
공지의 코너 영역(4)들과 공기 디플렉터(20)들이 안고 있는 문제는, 1차 기류(f1) 및/또는 2차 기류 즉 와류(v)가, 캡(2) 아래의 샤시(3) 내에 위치하는 엔진을 구비하는 차량 위에 일어날 수 있는 다른 기류들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방해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 5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차량(1)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디젤 엔진인 엔진(32)이 전방면(6) 뒤에서 캡(2)의 플로어(34) 아래의 엔진룸(33) 내에 자리잡고 있다. 플로어(34)는 엔진룸(33) 연장부의 상부 경계를 구성한다.
엔진(32)이 샤시 내에서 차량 프레임(36)에 장착되어 있다. 차량 프레임은 2개의 세장형 평행 프레임 측면 부재(37)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크로스-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다만, 도면에는 하나의 측면 부재만이 도시되어 있다. 차량 프레임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파워트레인을 통해 도시되어 있지 않은 견인 휠에 추진 토크를 전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엔진(32) 아래 지점에서 프레임 측면 부재들(37) 사이에 소음 실드(38)가 위치하고 있으며, 소음 실드는 엔진룸(33) 연장부의 하부 경계를 구성한다.
가스 스프링 형태의 복수의 스프링 수단(40)이 캡(2)과 차량 프레임(36)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각 가스 스프링(40)의 일 단부가 직접적으로 혹은 중간 브래킷(41)을 거쳐 차량 프레임(36)에 대해 지탱하고 있고, 타 단부는 캡(2)에 대해 지탱하고 있다. 스프링 수단(40)은 캡(2)을 지지하고, 차량(1)이 운행하는 중에 탄력 상태로 차량의 밸런스를 유지한다.
전방 영역(6)의 상부 및 하부 해치(7, 12)에는 이동 차량에 의해 야기되는 드라프트에 의해 발생된 기류(f)를 냉각 시스템(43)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의도된 유입 구멍(42)이 제공되어 있다. 냉각 시스템(43)은 도시되지 않은 라인 시스템 내를 순환하는 순환 냉각제를 포함하고 있다. 순환 냉각제는 엔진(32)을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엔진 내의 열을 전방 영역(6)인 가깝게 위치하는 라디에이터(44)에서 배출한다. 순환 냉각제는 라디에이터 내에서 기류(f)에 의해 냉각되며, 기류(f)는 유입 구멍(42)을 통과한 후에 라디에이터 내의 통로를 통과하여 진행하고 터널 형상의 엔진룸(33)을 통과한다. 엔진룸(33)을 통과한 기류(f)는 캡(2)의 후방 에지에 있는 구멍(45)을 통해 빠져 나간다. 엔진룸을 통과하는 기류(f)의 경로가 화살표(fa, fb)로 표기되어 있다. 라디에이터(44)에는 라이데이터를 향하는 기류(f)를 증가시키기 위해 팬(46)이 제공될 수 있다. 팬(46)은 작동 중일 수도 있도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어떠한 경우에서도 차량이 운행 중일 때에는 기류(f)가 엔진룸(33)을 통과하게 된다.
차량의 동력 장치 즉 라디에이터(44), 엔진(32) 및 기어박스(35) 뿐만 아니라 캡 플로어(34), 소음 실드(38) 및 엔진(32) 주위의 다른 부품들은 엔진룸(33)을 상대적으로 비좁게 만들며, 엔진룸을 통과하는 기류(f)가 실질적인 유동 저항 및 압력 강하를 겪게 한다. 이는, 기류(f)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기류(f3)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탑승 계단(16) 주위 영역에서 및/또는 캡(2)과 샤시(3) 사이의 간격(18)과 리세스(19)를 통해 누출되게 하는데, 이는 탑승 계단(16), 리세스(19) 및 간격(18)으로의 경로가 최단 경로와 기류(f3)에 대해 최저의 저항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누출되는 기류(f3)는 1차 기류(f1) 및/또는 1차 기류(f1)의 세정 효과를 일으키는 와류(v)인 2차 기류를 약화시키거나 방향을 바꾸어서 이들 기류가 약화되거나 심지어는 정지되게 할 수 있으며, 공기 저항 이에 따라 연료 소모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여러 기류들을 합성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차량이 움직일 때, 이동 차량에 의해 야기된 드라프트(f)에 의해 발생된 1차 기류(f1)는 전방 코너 영역(4) 주위로 그리고 측면 영역(8)을 따라 안내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동 차량에 의해 야기된 드라프트(f)에 의해 발생된 기류(f2)는 리세스(19) 내로 그리고 기류(f2)를 2차 기류 즉 와류(v)로 변환시키는 공기 디플렉터(20)를 관통하게 안내된다. 기류(f)는 전방면(6) 내의 유입 구멍(42)을 통과하고, 엔진(32)을 지나 엔진룸(33)을 통과하여 지나 캡의 후방 에지에서 구멍(45)을 통해 빠져 나간다. 누출 기류(f3)는 1차 기류(f1) 및/또는 2차 기류 즉 와류(v)와 충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1차 기류(f1) 및/또는 2차 기류 즉 와류(v)을 약화시키고 이들의 방향을 바꾸어서, 기류들(f1, v)의 세정 효과를 감소시키거나 심지어는 세정 효과가 없게 하며, 공기 저항 이에 따라 연료 소모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방향전환 수단(50)이 기류(f)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기류(f3)를 1차 기류(f1) 및/또는 2차 기류 즉 측면 영역(8)을 따라 유동하는 와류(v)에 영향을 주지 않고 방해하지 않는 방향(f5)으로 방향을 전환시키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방향은 차량 이동 방향에서 후방으로 캡의 후방 에지에 있는 구멍(45)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도 7에는 단지 하나의 전방 코너 영역(4)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시되어 있지 않은 차량의 다른 전방 코너 영역(4)에 적어도 하나의 방향전환 수단(50)이 존재할 수 있다.
방향전환 수단은 그 수단이 위치하는 환경을 견딜 수 있는 강도 특성을 갖는 임의의 바람직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방향전환 수단은 예를 들어 적당한 특성을 구비하는 플라스틱 소재 또는 금속 합금 바람직하기로는 금속판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방향전환 수단(50)은 동력장치(44, 32, 35)(도 5)와 엔진룸(33)(도 7)을 향하는 측면 영역(6)의 측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종 방향으로 다양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종 방향은 공기(f)가 유입되는 유입 구멍(42)으로부터 공기(f)가 엔진룸(33)에서 빠져나가는 캡의 후방 에지에 있는 구멍(45)을 향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방향전환 수단이, 종 방향으로는 전방 코너 영역(4)과 측면 영역(8) 사이의 코너 전이 영역(48) 내에 또는 실질적으로 그 코너 전이 영역 내에 위치하고, 수직 방향으로는 캡(2)과 샤시(3) 사이의 간격(19, 18) 영역 내에 또는 실질적으로 그 간격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방향전환 수단(50)은 샤시(3)와 관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진보성을 상실하지 않으면서 캡(2)과도 연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한 실시형태에서, 방향전환 수단(50)은, 캡이 수직방향으로의 튐 동작이 큰 경우에도 전방 코너 영역(4) 또는 캡(2)의 다른 부분을 칠 위험이 없으면서 기류(f3)의 기능을 유지하며 기류(f3)의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방식으로, 캡(2)에서부터 늘어져서 캡(2)과 샤시(3) 사이의 리세스(19)(도 1) 내의 간격(18) 영역 내로 혹은 실질적으로 리세스(19) 내의 간격(18) 영역 내로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하향 연장하게 배치되게 된다. 방향전환 수단(50)은 차량의 내면 위에 위치할 때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진보성을 상실하지 않으면서 외면과 연계될 수 있다.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방향전환 수단(50)은 탑승 계단(16)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은 브래킷에 장착되어 있다. 도 8은 탑승 계단(16) 자체가 샤시(3) 또는 더 상세하게는 프레임 측면 부재(37)에 고정되어 있는 로드베어링 구조물(51)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계단통(14)을 형성하기 위해, 탑승 계단(16)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두 개의 대향 측부들(52, 53), 전방 측부(54) 및 로드베어링 구조물(51)과 연계되어 있으며 두 개의 대향 측부들(52, 53)을 서로 연결하는 후방 측부(55)를 구비한다. 스텝(13)은 전방 측부(54) 위에 위치하지만,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방향전환 수단(50)은 적당한 고정장치(56)에 의해 코너 영역(4)을 향하는 수직인 전방 측부(52)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방향전환 수단(50)을 차량의 단부 영역을 향하는 수직의 후방 측부(53) 또는 진보성을 상실하지 않으면서 탑승 계단(16)과 연계된 다른 일부 지점에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캡과 샤시가 서로 충돌하지 않으면서 캡(2)이 샤시(3)에 대해 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깥으로 개방된 리세스(19)가 실질적으로 전방 코너 영역(4) 주위에서 코너 영역 전체를 따라 연장하고 이어서 도어(9)의 하부 에지를 따라 연장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바깥으로 개방된 리세스(19)는 도어(9)와 탑승 계단(16) 사이에서 연장하게 된다. 도 8은, 3차 기류(f3)를 방향 전환하기 위해(도 7), 탑승 계단의 상부 에지(17)로부터 바깥으로 개방된 리세스(19)(도 1)를 향해 거리 x만큼 돌출하는 지점에서 수직인 전방 측부(52)에 연결되어 있는 방향전환 수단(50)을 도시하고 있다. 캡이 수직 방향으로 크게 튀는 중에 전방 코너 영역(4) 또는 캡의 다른 부분들을 칠 위험이 없으면서도 기능을 유지하도록, 방향전환 수단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 위쪽으로 캡(2)과 샤시(3) 사이의 리세스(19)(도 1) 내의 간격(18) 영역 내로 또는 실질적으로 리세스(19) 내의 간격(18) 영역 내로 연장한다.
도 7의 방향전환 수단(50)은 진보성을 상실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다양한 실시형태 모두는 3차 기류(f3)의 적어도 일부를 받아들이고 방향 전환하기에 적합한 가이드 면(58)을 구비한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면(58)은 실질적으로 수직면에서 연장하지만, 특정 차량에서 기류(f3)를 소망하는 방향으로 전환시키기는 더 유리하다면 기류(f3)를 소망하는 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가이드 면의 적어도 일부가 수직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배치할 수도 있다.
가이드 면(58)은 전방 코너 영역(4)에서서 방향(47)으로 전방면(6)의 연장부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가상선(59)과 각도 α를 형성하며, 탑승 계단(16)에 걸쳐 차량의 종 방향으로 연장하는 메인 연장부를 구비한다. 각도 α는 0° 내지 90° 사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20° 내지 70° 사이, 더 유리하기로는 30° 내지 50° 사이일 수 있다.
가이드 면(58)은 실질적으로 평탄형일 수 있지만, 예컨대 기류(f3)를 방향 전환시키기 위해 돌출부, 리지 또는 융기된 에지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면(58)은 다양한 파도모양 또는 곡선 형태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러한 곡선 형태의 일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 가이드 면(58)은 실질적으로 평탄형인 영역(60)과 이웃하는 곡선형 영역(61) 형태를 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면(58)은 곡선 영역(61)과 이웃하고 있는 실질적으로 평탄형인 복수의 영역(6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면(58)은 예컨대 코너 영역(4)에 가까운 엔진룸에 있는 컴포넌트 위에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 컴포넌트는 그 자체가 방향전환 수단(50)을 구성하게 될 것이다. 가이드 면(58)은 액체 등을 세정하기 위한 용기 위에 또는 코너 영역(4), 탑승 계단(16) 또는 이들 근방 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저장 격실 등의 위에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탑승 계단(16)(도 8)의 상부 에지(17)에서 수직방향 측부들(52, 53) 사이의 수평면에서 연장하는 플레이트 등의 형태를 취하는 제2 방향전환 수단(62)을 도시하고 있다. 제2 방향전환 수단(62)은, 기류(f3)의 방향을 전환시키고 기류가 탑승 계단(16)에서 아래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면서 측면 영역(8)을 지나 진행하며, 1차 기류(f1) 및/또는 2차 기류 즉 와류(v)에 영향을 주는 가이드 면을 구비한다. 제2 방향전환 수단(62)은 캡(2) 또는 샤시(3)와 연계될 수 있지만, 샤시 구조물의 일부를 형성하는 탑승 계단(16)과 연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특허청구범위에 규정되어 있는 것과 같은 본 발명의 기본 사상으로부터 일탈하지 않으면서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기 때문에, 본 발명이 기재되어 있는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2)

  1. 상부구조(2) 및 샤시(3)를 포함하는 상용차(1)로,
    상부구조(2)에는, 차량 이동 방향으로 전방을 향하며, 차량의 전방 이동에 의해 발생되어 상용차(1)를 통과하여 지나는 기류(f)를 형성하는 드라프트를 겪기에 적합한 전방면(6)과, 상기 전방면의 양 측면 위에 적어도 하나의 전방 코너 영역(4)과, 각 전방 코너 영역(4)은 기류(f)가 1차 기류(f1) 및/또는 2차 기류(v)로 상기 전방 코너 영역(4) 주위와 측면 영역(8)을 따라 안내되게 구성되도록 각 전방 코너 영역(4)으로부터 차량(1) 진행 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연장하는 측면 영역(8)과, 및 공간(33)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시(3)와 연관되어 있는 동력 장치(44, 32, 35)를 냉각시키기 위해 기류(f)의 일부(fa, fb, f3)가 통과하도록 구성된 공간(3)이 제공되어 있는 상용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전환 수단(50)이 전방 코너 영역(4)과 측면 영역(8) 사이의 코너 전이 영역(48)에 또는 실질적으로 그 코너 전이 영역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방향전환 수단(50)은 실질적으로 수직면에서 연장하며 전방 코너 영역(4)에서부터 전방면(6)의 연장부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가상선(59)과 각도(α)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차량(1)의 종 방향으로 연장하는 메인 연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각도(α)는 0° 내지 90° 사이이되, 바람직하기로는 20° 내지 70° 사이이어서, 방향전환 수단(50)이, 기류(f)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며, 주로 차량의 종 방향으로 공간(33)을 통과하여 유동하도록 의도하되, 1차 기류(f1) 및/또는 2차 기류(v)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향(f5)으로 엔진 공간(33)으로부터 누설되도록 기류(f3)의 방향을 전환시키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2. 제1항에 있어서,
    방향전환 수단(50)이 동력 장치(44, 32, 35)와 공간(33) 전방을 향하는 측면 공간(8)의 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방향전환 수단(50)이 기류(f3)를 차량(1) 이동 방향 후방으로 방향 전환시키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4.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α)가 30° 내지 5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5.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면(58)이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50)과 이웃하는 곡선형 영역(6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6.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2)이 샤시(3) 위에 탄력있게 장착되고, 캡(2)과 샤시(3) 사이에는 각 전방 코너 영역(4)과 측면 영역(8) 주위로 그리고 전방 코너 영역(4)과 측면 영역(8)을 따라 연장하며, 캡(2)이 샤시(3)와 서로 충돌하지 않으면서 캡(2)이 샤시(3)에 대해 상대적으로 튈 수 있게 만드는 간격(18)을 남기는, 바깥쪽이 개방된 리세스(19)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7. 제6항에 있어서,
    방향전환 수단(50)이 샤시(3)와 연계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수직 상향으로 상기 간격(18) 내로 또는 실질적으로 상기 간격(18) 내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8.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전환 수단(50)이 탑승 계단(16)과 연계되어 있고, 탑승 계산의 상부 에지(17)에서부터 거리 x만큼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9. 제1항에 있어서,
    제2 방향전환 수단(62)이 실질적으로 탑승 계단(16)의 상부 에지(17)에서 두 개의 수직 측부들(52, 53) 사이의 수평면에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10. 제1항에 있어서,
    각 전방 코너 영역(4)에, 이동하는 차량에 의해 야기된 드라프트에 의해 발생된 기류(f)를 전방 코너 영역(4)에 이웃하는 차량(1)의 측면 영역(8)을 추종하는 와류(v)로 변환시키기에 적합한 와류 발생기 형태의 공기 디플렉터(20)가 적어도 하나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11. 제10항에 있어서,
    공기 디플렉터(20)의 공기 배출구(31)가 전방 코너 영역(4)과 측면 영역(8) 사이의 코너 전이 영역(48) 내에 또는 실질적으로 그 코너 전이 영역(48)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12. 상부구조(2) 및 샤시(3)를 포함하는 상용차(1)로, 상부구조(2)에는, 차량 이동 방향으로 전방을 향하며, 차량의 전방 이동에 의해 발생되어 상용차(1)를 통과하여 지나는 기류(f)를 형성하는 드라프트를 겪기에 적합한 전방면(6)과, 상기 전방면의 양 측에 위에 적어도 하나의 전방 코너 영역(4)과, 각 전방 코너 영역(4)은 기류(f)가 1차 기류(f1) 및/또는 2차 기류(v)로 상기 전방 코너 영역(4) 주위와 측면 영역(8)을 따라 안내되게 구성되도록 각 전방 코너 영역(4)으로부터 차량(1) 진행 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연장하는 측면 영역(8)과, 및 공간(33)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시(3)와 연관되어 있는 동력 장치(44, 32, 35)를 냉각시키기 위해 기류(f)의 일부(fa, fb, f3)가 통과하도록 구성된 공간(3)이 제공되어 있는 상용차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용차에 적어도 하나의 방향전환 수단(50)을 제공하되, 적어도 하나의 방향전환 수단(50)이 전방 코너 영역(4)과 측면 영역(8) 사이의 코너 전이 영역(48)에 또는 실질적으로 그 코너 전이 영역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방향전환 수단(50)은 실질적으로 수직면에서 연장하며 전방 코너 영역(4)에서부터 전방면(6)의 연장부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가상선(59)과 각도(α)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차량(1)의 종 방향으로 연장하는 메인 연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각도(α)는 0° 내지 90° 사이이되, 바람직하기로는 20° 내지 70° 사이이어서, 방향전환 수단(50)이, 기류(f)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며, 주로 차량의 종 방향으로 공간(33)을 통과하여 유동하도록 의도하되, 1차 기류(f1) 및/또는 2차 기류(v)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향(f5)으로 엔진 공간(33)으로부터 누설되도록 기류(f3)의 방향을 전환시키기에 적합하게, 상기 상용차에 적어도 하나의 방향전환 수단(50)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제조 방법.
KR1020177034989A 2015-05-21 2016-05-12 상부구조 및 샤시를 포함하는 상용차 KR101997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550642A SE538862C2 (sv) 2015-05-21 2015-05-21 Metod och kommersiellt fordon innefattande omdirigeringsmedel för luftflöde
SE1550642-1 2015-05-21
PCT/SE2016/050426 WO2016186550A1 (en) 2015-05-21 2016-05-12 A commercial vehicle comprising a superstructure and a chass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806A true KR20180002806A (ko) 2018-01-08
KR101997819B1 KR101997819B1 (ko) 2019-10-01

Family

ID=57320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989A KR101997819B1 (ko) 2015-05-21 2016-05-12 상부구조 및 샤시를 포함하는 상용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297866B1 (ko)
KR (1) KR101997819B1 (ko)
CN (1) CN107531143B (ko)
SE (1) SE538862C2 (ko)
WO (1) WO20161865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09623B3 (de) * 2019-07-02 2020-10-08 Magna Exteriors Gmbh Vorrichtung zur Verbesserung der Aerodynamik an einem Nutzfahrzeug
CN110254533A (zh) * 2019-07-31 2019-09-20 安徽合力股份有限公司 一种叉车驾驶室
IT202100021989A1 (it) * 2021-08-17 2023-02-17 Iveco Spa Deflettore frontale per veicolo
DE102022123963A1 (de) 2022-09-19 2024-03-21 Quantron Ag Aerodynamikvorrichtung und fahrzeug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01339A1 (de) * 1977-01-27 1978-08-03 Steyr Daimler Puch Ag Schallmindernde verkleidung fuer das antriebsaggregat von frontlenker-lastkraftwagen mit kippbarem fahrerhaus
EP0476286A1 (de) * 1990-09-10 1992-03-25 MAN Nutzfahrzeuge Aktiengesellschaft Kapselung der Verbrennungskraftmaschine in einem Nutzfahrzeug
SE501861C2 (sv) * 1992-12-30 1995-06-06 Saab Scania Ab Arrangemang för att dämpa ljudöverföring genom ett utrymme eller spalt mellan ett fordonschassi och en på chassit fjädrat upphängd hytt
KR20120125333A (ko) * 2010-02-03 2012-11-14 자크리토에 액시오네르노에 오브쉐스트보 ˝트윈 트레이딩 컴퍼니˝ 재료로부터 추출물을 생성하는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
WO2013191616A1 (en) * 2012-06-18 2013-12-27 Scania Cv Ab Air deflector and freight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40346U (de) * 1969-10-14 1970-01-15 Daimler Benz Ag Fahrerhaus von nutzkraftwagen
DE2726739C2 (de) 1977-06-14 1986-12-11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Luftleitvorrichtung für Kraftwagen, insbesondere Nutzkraftwagen
US20090025994A1 (en) * 2004-10-13 2009-01-29 Mitsubishi Fuso Truck And Bus Corporation Truck
WO2010026444A1 (en) * 2008-09-04 2010-03-11 Renault Trucks Vehicle cab with a front air nozzle
SE534570C2 (sv) * 2010-02-03 2011-10-11 Scania Cv Ab Luftriktare och virvelgenerator och lastfordon försett med nämnda luftrikta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01339A1 (de) * 1977-01-27 1978-08-03 Steyr Daimler Puch Ag Schallmindernde verkleidung fuer das antriebsaggregat von frontlenker-lastkraftwagen mit kippbarem fahrerhaus
EP0476286A1 (de) * 1990-09-10 1992-03-25 MAN Nutzfahrzeuge Aktiengesellschaft Kapselung der Verbrennungskraftmaschine in einem Nutzfahrzeug
SE501861C2 (sv) * 1992-12-30 1995-06-06 Saab Scania Ab Arrangemang för att dämpa ljudöverföring genom ett utrymme eller spalt mellan ett fordonschassi och en på chassit fjädrat upphängd hytt
KR20120125333A (ko) * 2010-02-03 2012-11-14 자크리토에 액시오네르노에 오브쉐스트보 ˝트윈 트레이딩 컴퍼니˝ 재료로부터 추출물을 생성하는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
WO2013191616A1 (en) * 2012-06-18 2013-12-27 Scania Cv Ab Air deflector and freight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819B1 (ko) 2019-10-01
SE1550642A1 (sv) 2016-11-22
SE538862C2 (sv) 2017-01-10
EP3297866A4 (en) 2019-02-20
EP3297866B1 (en) 2020-04-22
EP3297866A1 (en) 2018-03-28
CN107531143A (zh) 2018-01-02
WO2016186550A1 (en) 2016-11-24
CN107531143B (zh)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2806A (ko) 상부구조 및 샤시를 포함하는 상용차
US11059528B2 (en) Air resistance reduction device for vehicle
JP6477762B2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US9714602B2 (en) Airflow directing member for a vehicle engine compartment
KR101373796B1 (ko) 와류 발생기를 구비한 공기 변류기 및 이 공기 변류기를 구비한 화물 자동차
US10562374B2 (en) Vehicle air intake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JP4935240B2 (ja) 車体前部構造
JP7176404B2 (ja) 自動車のデフレクタ構造
JP2008049815A (ja) 車体前部構造
US20140265435A1 (en) Bumper with enhanced cooling and associated drag reduction device
JP6336883B2 (ja) アンダーカバー
JP6336884B2 (ja) 自動車用導風部品並びにアンダーカバー及び導風ダクト
JP6488255B2 (ja) 車両の整流装置
TWI691151B (zh) 電力轉換裝置及搭載有電力轉換裝置之鐵道車輛
JP4692881B2 (ja) 車両の下部構造
JP2016055751A (ja) 車両のアンダカバー構造
EP2282908B1 (en) Arrangement for cooling an area behind a vehicle engine
RU2578645C1 (ru) Воздушный дефлектор и груз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101846920B1 (ko) 차량용 범퍼빔
JP6048388B2 (ja) 自動車の前部構造
JP6465140B2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2016068808A (ja) 車両のデフレクタ
JP2012126297A (ja) 自動車の冷却装置
JP2016020190A (ja) 自動車の下部構造
TW201431724A (zh) 輪拱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