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987U - 음료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987U
KR20180001987U KR2020160007490U KR20160007490U KR20180001987U KR 20180001987 U KR20180001987 U KR 20180001987U KR 2020160007490 U KR2020160007490 U KR 2020160007490U KR 20160007490 U KR20160007490 U KR 20160007490U KR 20180001987 U KR20180001987 U KR 201800019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beverage
support member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895Y1 (ko
Inventor
조시영
Original Assignee
조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시영 filed Critical 조시영
Priority to KR2020160007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895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9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9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8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8Paper filter inlays therefor to be disposed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2Liquid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 제조 장치는 일측에 컵 배출구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되고, 상기 컵 배출구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지지 부재;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해 필터를 떨어뜨리는 필터 공급부; 및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지지 부재와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해 음료 재료를 떨어뜨리는 음료 재료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제조 장치{drink manufacturing apparatus}
본 고안은 음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속하게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음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적합하도록 소형으로 제작하여 필요한 음료 재료를 각각 다른 용기에 저장한 상태에 서 사용자의 간단한 버튼 조작에 의해 원하는 음료를 제공하는 음료제조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음료제조장치의 일 예로서 온수에 용해해서 마시는 커피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온수에 용해가 가능하도록 분말상의 재료(커피, 설탕, 프림)들을 일정성분비로 혼합한 상태에서 온수만 별도로 공급하여 분말상의 재료를 용해시키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선 혼합 시스템 방식과, 필요한 분말상의 재료를 각각 다른 용기에 저장해 놓은 상태에 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료를 선택하면 그에 맞도록 분말상의 재료를 혼합한 후 온수와 함께 용해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후 혼합 시스템 방식이 있다. 한편, 근래에는 수요자의 건강 인식 증대로 인해, 커피 등과 같은 분말상의 음료의 원료 대신에 찻잎을 그대로 온수에 우려낸 차 음료의 수요도 증대하고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필터가 결합된 컵 용기에 음료를 제공하여, 음료 재료의 찌꺼기를 마시는 것을 방지하는 음료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음료용 제조 장치는, 일측에 컵 배출구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되고, 상기 컵 배출구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지지 부재;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해 필터를 떨어뜨리는 필터 공급부; 및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지지 부재와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해 음료 재료를 떨어뜨리는 음료 재료 공급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는 필터 망과, 상기 필터 망의 경계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밀착부와 상기 필터 망은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필터 공급부와 이격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해 컵 용기를 떨어뜨이는 컵 용기 공급부;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되고, 상기 컵 용기 공급부와 상기 필터 공급부 각각이 상기 지지 부재 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컵 용기 공급부와 상기 필터 공급부를 이송시키는 이송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이송 유닛은, 그를 관통하는 복수의 결합 개구부들을 갖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 개구부들의 각각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컵 용기 공급부와 상기 필터 공급부에 이격되고, 상기 지지 부재 상(over)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가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가압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가압 유닛이 상기 지지 부재 상(over)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압 유닛을 이송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지지 부재와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물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되고, 상기 물 공급부에서 분사될 물을 가열하는 가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음료 재료 공급부는, 상기 음료 재료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냉각시키는 냉각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는, 컵 용기에 필터를 결합하여,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음료를 마실 때, 음료 재료의 찌꺼기를 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료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는 도 1의 음료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음료 제조 장치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5a는 도 2의 음료 재료 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2의 음료 재료 공급부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d는 도 5c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음료용 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의 음료용 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8에서 필터가 분리된 상태의 음료용 컵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필터 공급부에서 공급된 필터를 가압 유닛이 컵 용기 내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음료 제조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음료용 컵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음료 추출 부재 공급부에서 공급된 음료 추출 부재를 나타낸 종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용기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8는 도 16의 음료 추출 부재가 삽입된 음료용 컵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이용하여 인용될 것이다. 유사한 구성 요소들은 유사한 참조번호들을 이용하여 인용될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될 본 고안에 따른 테스트 장치, 및 그것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료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는 도 1의 음료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음료 제조 장치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1)는 벤딩 머신(vending machin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음료 제조 장치(1)는 케이스(10), 이송 유닛(20), 컵 용기 공급부(30), 필터 공급부(40), 음료 재료 공급부(60), 물 공급부(70), 제어부(80), 및 조작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 장치(1)는 가압 유닛(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음료 제조 장치(1)는 가압 유닛(5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케이스(10)는 음료 제조 장치(1)의 외형을 제공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직육면체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케이스(10)는 전면(11)에 컵 배출구(11a)를 가질 수 있다. 음료용 컵은 컵 배출구(11a)를 통해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상면(12)에 제1 투입구(12a)와 제2 투입구(12b)를 가질 수 있다. 케이스(10)는 제1 투입구(12a)를 덮는 제1 마개(16), 및 제2 투입구(12b)를 덮는 제2 마개(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마개들(16, 17)은 제1 투입구(12a)와 제2 투입구(12b)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컵 배출구(11a)와 인접한 지지 부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15)는 케이스(10)의 내부 공간(IS)에 위치되고, 케이스(10)의 하면(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15)는 컵 용기(10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15)는 상면에 컵 용기(100)의 하부가 삽입되는 안착 홈(15a)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위 또는 상측은 케이스(10)의 하면(13)에서 상면(12)을 향하는 방향(D1)을 의미하고, 아래 또는 하측은 케이스(10)의 상면(12)에서 하면(13)을 향하는 방향(D2)을 의미한다. 케이스(10)는 상면(12)과 하면(13)을 연결하는 전면(11)을 포함할 수 있다.
컵 용기 공급부(30), 필터 공급부(40), 가압 유닛(50), 음료 재료 공급부(60), 물 공급부(70), 및 이송 유닛(20)은 케이스(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도 케이스(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10)는 컵 용기 공급부(30), 필터 공급부(40), 가압 유닛(50), 음료 재료 공급부(60), 물 공급부(70), 제어부(80), 및 이송 유닛(2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송 유닛(20)은 컵 용기 공급부(30), 필터 공급부(40), 및 가압 유닛(5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송 유닛(20)은 컵 용기 공급부(30), 필터 공급부(40) 및 가압 유닛(50)을 지지 부재(15) 상(over)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송 유닛(20)은 케이스(10)의 상면(12)에 고정될 수 있다. 이송 유닛(20)은 회전 플레이트(21)와 회전 플레이트(21)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컵 용기 공급부(30), 필터 공급부(40), 및 가압 유닛(50)은 회전 플레이트(2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플레이트(2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21)는 그를 관통하는 복수의 결합 개구부들(21a)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 개구부들(21a)의 각각은 홈 또는 홀 형태일 수 있다. 결합 개구부들(21a)은 회전 플레이트(21)의 원주 방향(또는 회전 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 개구부들(21a)은 회전 플레이트(21)의 중심(C)을 기준으로 대략 120°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컵 용기 공급부(30), 필터 공급부(40), 및 가압 유닛(50)은 결합 개구부들(21a)의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가압 유닛(50)은 컵 용기 공급부(30)로부터 회전 플레이트(21)의 회전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필터 공급부(40)는 컵 용기 공급부(30)로부터 회전 플레이트(21)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22)는 회전 플레이트(21)의 중심(C)을 기준으로 회전 플레이트(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 구동부(22)는 회전 플레이트(21)를 시계 및/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 구동부(22)는 회전 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 구동부(22)는 케이스(10)의 상면(12)에 고정될 수 있다.
컵 용기 공급부(30)는 복수의 컵 용기들(100)을 수용할 수 있다. 컵 용기 공급부(30)는 지지 부재(15)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컵 용기 공급부(30)는 결합 개구부들(21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회전 플레이트(21)에 결합될 수 있다. 컵 용기 공급부(30)는 이송 유닛(20)에 의해 지지 부재(15)와 수직하게 중첩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15)를 향해 컵 용기(100)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컵 용기 공급부(30)는 지지 부재(15) 상에 컵 용기(100)를 떨어뜨릴 수 있다. 컵 용기 공급부(30)는 이송 유닛(20)에 의해 제1 투입구(12a)와 수직하게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컵 용기 공급부(30)는 제1 투입구(12a)를 통해 외부로부터 컵 용기들(100)을 공급받을 수 있다.
컵 용기 공급부(30)는 상부 개구와 하부 개구를 갖는 제1 몸체(31), 및 힌지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제1 몸체(31)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제1 개폐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31)는 원통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몸체(31)의 내경은 컵 용기(100)의 최대 직경에 대응될 수 있다. 힌지 축은 제1 몸체(31)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투입구(12a)는 컵 용기(100)의 최대 직경 및/또는 제1 몸체(10)의 외경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필터 공급부(40)는 복수의 필터들(201)을 수용할 수 있다. 필터 공급부(40)는 컵 용기(100)에 필터(201)를 공급할 수 있다. 필터 공급부(40)는 지지 부재(15)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다. 필터 공급부(40)는 결합 개구부들(21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회전 플레이트(21)에 결합될 수 있다. 필터 공급부(40)는 이송 유닛(20)에 의해 지지 부재(15)와 수직하게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때, 필터 공급부(40)는 지지 부재(15)를 향해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필터 공급부(40)는 지지 부재(15) 상의 컵 용기(100)에 필터(201)를 떨어뜨릴 수 있다. 필터 공급부(40)는 이송 유닛(20)에 의해 제2 투입구(12b)와 수직하게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필터 공급부(40)는 제2 투입구(12b)를 통해 외부로부터 필터(201)를 공급받을 수 있다.
가압 유닛(50)는 컵 용기(100) 내로 떨어진 필터(201)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 유닛(50)는 지지 부재(15)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다. 가압 유닛(50)은 결합 개구부들(21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회전 플레이트(21)에 결합될 수 있다. 가압 유닛(50)은 이송 유닛(20)에 의해 지지 부재(15)와 수직하게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가압 유닛(50)은 컵 용기(100) 내의 필터를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할 수 있다. 가압 유닛(50)는 필터(201)와 접촉하는 접촉 부재(51)와 접촉 부재(51)를 상하(D1, D2)로 이동시키는 구동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52)는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리니어 모터 등일 수 있다.
접촉 부재(51)는 필터(201)의 형상에 대응된 베이스(51a)와, 베이스(51a)의 경계로부터 아래를 향해 연장된 측벽(51b)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20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51a)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51b)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51a) 및/또는 측벽(51b)의 직경들은 필터(201)의 직경에 대응될 수 있다.
음료 재료 공급부(60)는 컵 용기(100) 내에 음료 재료(M)를 공급할 수 있다. 음료 재료 공급부(60)는 지지 부재(15)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음료 재료 공급부(60)는 컵 배출구(11a)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음료 재료(M)는 분쇄된 원두, 찻잎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음료 재료 공급부(6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도 5에서 후술한다.
물 공급부(70)는 지지 부재(15)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물 공급부(70)는 컵 배출구(11a)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물 공급부(70)는 컵 용기(100) 내로 물(W)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 공급부(70)는 온수, 냉수, 정수 등을 공급할 수 있다. 물 공급부(70)는 내부에 물(W)이 수용되는 수조(미도시)와 물(W)을 컵 용기(100)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배관(미부호), 및 수조 내의 물(W)을 가이드 배관으로 유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미도시)는 펌프(PUMP)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80)는 이송 유닛(20), 컵 용기 공급부(30), 필터 공급부(40) 가압 유닛(50), 음료 재료 공급부(60), 및 물 공급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케이스(10)의 외부에 배치된 조작부(90)로부터 사용자의 조작 신호(S)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부(80)는 조작부(90)에서 입력된 조작 신호(S)에 대응하여, 음료 재료 공급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a는 도 2의 음료 재료 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음료 재료 공급부(60)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61), 가이드 관(62), 커버 부재(63) 및 냉각 유닛(65)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1)은 음료 재료(M)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61)은 상부에 상부 개구(61b)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61)은 상부 개구(61b)의 경계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측벽부(61c) 및 측벽부(61c)의 하단과 연결되는 바닥부(61d)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61c)는 그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홀(61a)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하우징(61)은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 관(62)은 하우징(61) 내의 음료 재료(M)를 컵 용기로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관(62)은 공급 홀(61a)과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관(62)은 내부에 그의 일단과 그의 타단을 관통하는 가이드 유로(62a)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관(62)의 일단은 공급 홀(61a)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 재료(M)는 가이드 유로(62a)를 따라 이동하여, 가이드 관(62)의 타단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가이드 관(62)는 지지 부재(15) 상의 컵 용기(100)와 수직하게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도 2 참조).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가이드 관(62)의 일부는 지지 부재(15) 상의 컵 용기(100)와 수직하게 중첩될 수 있다. 가이드 관(62)과 하우징(6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부재(63)는 하우징(61)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커버 부재(63)는 하우징(61)의 상부 개구(61b)를 개폐할 수 있다. 커버 부재(63)가 하우징(61)의 상부 개구(61b)를 폐쇄할 때, 이물질이 하우징(61)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 유닛(65)는 하우징(61)과 연결되어, 하우징(61)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61) 내의 음료 재료(M)는 냉장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냉각 유닛(65)은 하우징(61)의 바닥부(61d)와 연결될 수 있다. 냉각 유닛(65)는 펠티어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c는 도 2의 음료 재료 공급부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d는 도 5c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면, 음료 재료 공급부(60a)는 하우징(61), 가이드 관(62), 냉각 유닛(65) 및 음료 공급 부재(66)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1)은 상부가 개구될 수 있다. 하우징(61)은 내부에 수용 공간들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61)은 바닥부(61d), 측벽부(61c) 및 구획부(61e)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61c)는 바닥부(61d)의 경계로부터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측벽부(61c)는 그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홀(61a)을 가질 수 있다. 구획부(61e)는 바닥부(61d)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획부(61e)는 바닥부(61d)의 중간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구획부(61e)는 서로 대향된 측벽부(61c)의 내측면들 연결할 수 있다. 구획부(61e)는 하우징(61)의 내부 공간을 복수로 구획할 수 있다.
음료 공급 부재(66)는 내부에 음료 재료(M)를 수용할 수 있다. 음료 공급 부재(66)는 하우징(61)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 하우징(61) 내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음료 공급 부재(66)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음료 공급 부재들(66)은 구획부(61e)의 의해 구획? 공간들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벽부(61c)와 구획부(61e)는 음료 공급 부재들(66)의 일부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음료 공급 부재(66)는 하우징(6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음료 공급 부재(66)는 수용부(67), 차폐부(68)와 손잡이부(69)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67)는 내부에 음료 재료(M)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부(67)는 일측면에 개구부(67a)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67a)는 공급 홀(61a)과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차폐부(68)은 개구부(67a)를 차폐할 수 있다. 차폐부(68)는 개구부(67a)를 덮을 수 있다. 차폐부(68)는 수용부(67)의 일면에 탈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폐부(68)는 스티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폐부(68)는 개구부(67a)의 크기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손잡이부(69)는 차폐부(68)로부터 상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손잡이부(69)는 수용부(67)의 일면에 부착되거나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차폐부(68)과 손잡이부(69)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부(69)를 통해 외력을 차폐부(68)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폐부(68)은 수용부(67)의 일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차폐부(68)에 의패 폐쇄된 개구부(68a)가 개방될 수 있다. 개구부(68a)가 개방됨으로써, 수용부(68) 내의 음료 재료(M)는 개구부(68a), 공급 홀(61a) 및 가이드 관(6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음료용 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의 음료용 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8에서 필터가 분리된 상태의 음료용 컵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음료용 컵은 음료 제조 장치(1)에서 제조된 음료용 컵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음료용 컵은 음료가 수용되는 컵 용기(100) 및 필터(2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료용 컵은 뚜껑과, 단열 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컵 용기(100)는 상부에 제1 개구부(110)를 가질 수 있다. 즉, 컵 용기(100)는 상부가 개구된 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컵 용기(10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컵 형상으로 제공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통형의 컵 형상이나 다각통형의 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컵 용기(100)는 내부에 제1 개구부(110)와 연결되는 저장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컵 용기(100)는 상부 중심과 하부 중심을 지나가는 가상의 중심 축(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컵 용기(100)는 사용 용도의 따라 스테인리스 강, 종이 등의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료용 컵이 일회용으로 사용될 때, 컵 용기(100)은 종이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컵 용기(100)는 바닥부(120)와, 바닥부(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측벽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컵 용기(100)는 측벽부(130)의 상부와 연결되는 플랜지부(140)와, 바닥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20)는 컵 용기(100)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바닥부(120)는 원형의 플레이트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바닥부(120)는 상면과 하면이 평탄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닥부(12)는 제1 개구부(110)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측벽부(130)는 바닥부(120)와 측벽부(130)를 연결할 수 있다. 측벽부(130)는 바닥부(120)의 경계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측벽부(130)는 바닥부(120)와 제1 각도(θ11)를 형성하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각도(θ11)는 90도 이상 180도 미만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각도(θ11)는 둔각일 수 있다. 즉, 측벽부(130)의 폭(W1)은 상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컵 용기(100)는 원통형의 컵 형상으로 제공됨으로써, 측벽부(130)의 직경은 상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들에서, 측벽부(130)는 바닥부(120)와 상측으로 대략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측벽부(130)의 폭(W1)은 일정할 수 있다. 또한, 측벽부(130)는 상하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단면(이하, 측벽부(130)의 단면)이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벽부(130)의 단면은 원형의 링 형상, 다각형의 링 형상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측벽부(130)는 내측면(130b)에 외측(O)을 향해 함몰된 삽입 홈(131)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내측(I)은 상기 중심 축(미도시)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O)은 상기 중심 축과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삽입 홈(131)은 측벽부(130)의 둘레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컵 용기(100)는 원통형의 컵 형상으로 제공됨으로써, 삽입 홈(131)은 원형의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삽입 홈(131)은 상하 방향으로 자른 단면이 대략 "ㄷ"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삽입 홈(131)은 측벽부(13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측벽부(130)의 중간부 또는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측벽부(130)는 바닥부(120)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돌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32)는 측벽부(130)의 내측면(130b)으로부터 내측(I)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32)는 측벽부(130)의 둘레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삽입 홈(131)은 돌출부(132)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 홈(131)은 측벽부(130)의 둘레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32)는 측벽부(130)와 삽입 홈(131) 사이에 경사면(132a)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132a)는 측벽부(130)의 내측면(130b)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플랜지부(140)는 측벽부(130)의 상단으로부터 외측(O)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플랜지부(140)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플랜지부(140)는 뚜껑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지지부(150)는 바닥부(120)의 경계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150)는 원통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150)는 음료용 컵이 책상 등에 놓여질 때, 바닥부(120)가 책상 등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150)는 바닥부(120)를 통한 방열이나, 책상 등에 있는 이물질에 의해 바닥부(1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터(201)는 제1 개구부(110)를 통해 컵 용기(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201)는 탄성 부재(220)와 필터 망(23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220)는 내측에 개구(221)를 갖는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탄성 부재(220)는 링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탄성 부재(220)가 컵 용기(100)의 내측면(130b)에 제공된 삽입 홈(131)에 삽입됨으로써, 필터(201)는 컵 용기(10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220)는 소정의 폭(W2)을 가질 수 있다. 탄성 부재(220)의 폭(W2)은 필터(201)의 폭일 수 있다.
필터 망(230)은 탄성 부재(220)의 개구(221)를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음료를 마실 때, 컵 용기(100)의 바닥부(120) 상에 배치된 음료 재료(M)가 탄성 부재(220)의 개구(221)를 통해 빠져나가 사용자가 음료 재료(M)를 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필터 망(230)은 음료 재료(M)를 거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필터 망(230)은 탄성 부재(220)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들에서, 필터 망(230)은 탄성 부재(220)의 상면에 접착되거나, 탄성 부재(220)의 개구(2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재료(M)는 믹스커피, 인삼차, 생강차 등과 같이 물에 녹여서 마시는 분상 또는 과립상 재료와, 꿀차, 매실액기스 등과 같이 물에 희석하여 마시는 액상 재료와, 녹차, 홍차, 원두커피, 옥수수 수염차, 감잎차, 국화차, 뽕잎차, 보리차, 현미녹차 등과 같이 물에 우려서 마시는 고상 재료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뚜껑(미도시)은 컵 용기(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뚜껑은 컵 용기(100)의 제1 개구부(110)를 개폐할 수 있다. 상세하게, 뚜껑의 하부는 컵 용기(100)의 플랜지부(140)를 감쌀 수 있다. 또한, 뚜껑의 하부는 내측면에 컵 용기(100)의 플랜지부(140)가 삽입되는 링 형상의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외력으로 뚜껑의 홈에 플랜지부(140)를 삽입할 때, 뚜껑은 컵 용기(1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외력으로 뚜껑의 홈에서 플랜지부(140)를 분리할 때, 뚜껑은 컵 용기(100)의 상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뚜껑은 컵 용기(100)의 상단과 인접한 영역에 컵 용기(100) 내의 음료를 배출하는 배출 홀(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뚜껑은 배출 홀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 부재는 배출 홀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단열 부재(300)는 컵 용기(100)의 외측면(130a)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열 부재(300)는 컵 용기(100)의 외측면(130a)에 접착제 등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들에서, 단열 부재(300)는 컵 용기(100)와 착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단열 부재(300)는 올록볼록한 엠보싱 패턴(310, 320)을 가질 수 있다. 엠보싱 패턴(310, 320)은 외측(O)으로 볼록한 볼록부(310)과, 내측(I)으로 오목한 오목부(320)을 포함할 수 있다. 볼록부(310)와 오목부(320)는 연결될 수 있다. 엠보싱 패턴(310, 320)은 컵 용기(100)의 외측면(130a)을 감싸는 나선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엠보싱 패턴(310, 320)은 컵 용기(100)의 외측면(130a)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음료용 컵을 손으로 잡을 때, 볼록부(310)와 접촉할 수 있다. 즉, 엠보싱 패턴(310, 320)은 사용자의 손과 단열 부재(300)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어, 음료의 열이 사용자의 손에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필터 공급부에서 공급된 필터를 가압 유닛이 컵 용기 내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2, 도 8, 도 9, 및 도 10a을 참조하면, 이송 유닛(20)은 컵 용기 공급부(30)가 지지 부재(15) 상(over)에 수직하게 중첩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컵 용기 공급부(30)는 컵 용기(100)를 지지 부재(15) 상에 떨어뜨릴 수 있다.
이송 유닛(20)은 필터 공급부(40)가 지지 부재(15) 상(over)에 수직하게 중첩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컵 용기 공급부(30)는 이송 유닛(20)에 의해 이송되어, 지지 부재(15)와 수직하게 중첩되도록 위치되지 않는다.
필터 공급부(40)는 필터(201)를 지지 부재(15) 상의 컵 용기(100)로 떨어뜨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201)는 중력에 의해 떨어지게 되고, 제1 개구부(110)를 통해 컵 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201)는 탄성 부재(220)의 폭(W2)이 측벽부(130)의 폭(W1)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
도 2, 도 8, 도 9,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이송 유닛(20)은 가압 유닛(50)이 지지 부재(15) 상(over)에 수직하게 중첩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필터 공급부(40)는 이송 유닛(20)에 의해 이송되어, 지지 부재(15)와 수직하게 중첩되도록 위치되지 않는다.
가압 유닛(50)의 구동부(52)는 접촉 부재(51)를 아래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 부재(51)는 탄성 부재(220)에 접촉할 수 있다. 구동부(52)는 탄성 부재(220)와 접촉된 접촉 부재(51)를 아래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 도 8, 도 9, 및 도 10c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220)는 가압 유닛(50)에 의해 아래 쪽으로 이동할 때, 폭이 감소할 수 있다. 탄성 부재(220)는 가압 유닛(50)에 의해 아래 쪽으로 이동하여, 컵 용기(100)의 삽입 홈(131)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탄성 부재(220)는 탄성력에 의해 폭이 원상 복귀되어, 삽입 홈(131)에 삽입될 수 있다. 탄성 부재(220)가 삽입 홈(131)에 삽입됨으로써, 필터(201)는 컵 용기(10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용 컵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52)는 접촉 부재(51)를 위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필터(201)는 중력에 의해 아래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220)는 삽입 홈(131)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탄성 부재(220)는 삽입 홈(131)에 삽입될 수 있고, 필터(201)는 컵 용기(10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음료 제조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의 음료 제조 장치는 도 2의 음료 제조 장치와 달리, 음료 재료 공급부, 필터 공급부, 및 가압 유닛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의 음료 제조 장치는 도 2의 음료 제조 장치와 달리, 음료 추출 부재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면, 음료 제조 장치(1)는 케이스(10), 이송 유닛(20), 컵 용기 공급부(30), 음료 추출 부재 공급부(45), 물 공급부(70), 제어부(80), 및 조작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유닛(20)은 컵 용기 공급부(30)과 음료 추출 부재 공급부(45)에 연결될 수 있다. 이송 유닛(20)은 컵 용기 공급부(30)와 음료 추출 부재 공급부(45)을 지지 부재(15) 상(over)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송 유닛(20)은 회전 플레이트(21)와 회전 플레이트(21)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추출 부재 공급부(45)는 이송 유닛(20)에 의해 지지 부재(15) 상(over)에 수직하게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음료 추출 부재 공급부(45)는 음료 추출 부재(202)를 지지 부재(15)를 향해 떨어뜨릴 수 있다. 음료 추출 부재(202)는 내부에 음료 재료를 수용할 수 있다. 음료 추출 부재(202)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도 13은 도 12의 음료용 컵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음료용 컵은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음료용 컵와 유사하다. 그러므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고,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은 컵 용기(100), 음료 추출 부재(202), 뚜껑(미도시) 및 단열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음료 추출 부재(202)는 제1 개구부(110)를 통해 컵 용기(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음료 추출 부재(202)는 내부에 음료 재료(M)를 수용하는 용기부(210)와, 용기부(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필터 망(230)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부(210)는 상부에 제2 개구부(211)를 가질 수 있다. 즉, 용기부(210)는 상부가 개구된 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용기부(210)는 내부에 제1 개구부(110)와 연결되는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용기부(210)는 용기 바닥부(212)와, 용기 바닥부(212)의 상부에 배치된 용기 측벽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바닥부(212)는 용기부(210)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바닥부(212)는 컵 용기(100)의 바닥부(120)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컵 용기(100)의 바닥부(120)가 원형의 플레이트로 제공될 경우, 용기 바닥부(212)도 원형의 플레이트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용기 바닥부(212)의 크기는 컵 용기(100)의 바닥부(12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용기 바닥부(212)는 그를 관통하는 제3 개구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제3 개구부 상에 필터 망이 위치될 수 있다. 용기 바닥부(212)는 제2 개구부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용기부(210)는 음료 재료(M)에서 추출된 음료가 빠져나가는 복수의 추출 홀들(21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추출 홀들(214)은 용기 측벽부(213)와 용기 바닥부(212)에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부(2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용기부(210)는 여과지(Filter paper)로 제공될 수 있다.
필터 망(230)은 용기부(210)의 제2 개구부(미부호)를 덮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망(230)은 가장자리를 용기부(210)의 상단에 접착하여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 망(230)은 제2 개구부 상에 배치되어 제2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 필터 망(230)은 여과지(filter paper)일 수 있다. 이와 달리, 필터 망(230)은 여과성이 있고, 인체에 무해한 직물 또는 금속 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측벽부(130)는 내측면(130b)에 제1 마찰면(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찰면(133)은 오돌토돌한 복수의 제1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찰면(133)은 측벽부(130)의 내측면(130b)의 둘레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용기 측벽부(213)는 외측면에 제1 마찰면(133)과 접촉하는 제2 마찰면(2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마찰면(215)은 오돌토돌한 복수의 제2 돌기들을 포함할 있다. 제2 마찰면(215)은 용기 측벽부(213)의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마찰면들(133, 213)이 접촉함에 따라, 마찰력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 추출 부재(202)는 컵 용기(10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음료 제조 장치(1)는 케이스(10), 필터 공급 부재(45), 음료 재료 공급부(60), 물 공급부(70), 제어부(미도시), 조작부(90), 및 마운팅 부재(55)를 포함할 수 있다. 물공급부(70)는 수조, 가이드 배관, 구동부, 가열 부재(71) 및 산도 조절 부재(7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부재(71)는 물 공급부(70)에서 공급하는 물(W)을 가열할 수 있다. 가열 부재(71)는 컵 용기(100)로 공급되는 물(W)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열 부재(71)는 음료 추출 부재(203, 도 17 참조) 내의 음료 재료(M, 도 17 참조)에 따라, 물(W)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산도 조절 부재(72)는 물 공급부(70)에서 공급하는 물(W)의 산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산도 조절 부재(72)는 물(W)을 중성, 산성, 및/또는 알칼리성으로 만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산도 조절 부재(72)는 음료 추출 부재(203) 내의 음료 재료(M)에 따라, 물(W)의 산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필터 공급부(45)는 지지 부재(15)의 위에 위치될 수 있다. 필터 공급부(45)는 지지 부재(15)와 수직하게 중첩될 수 있다. 필터 공급부(45)는 지지 부재(15) 상의 컵 용기(100)로 필터(203)를 떨어뜨릴 수 있다.
마운팅 부재(55)는 하우징(10)의 전면(11)과 음료 추출 부재 공급부(45)를 연결할 수 있다. 마운팅 부재(55)는 음료 추출 부재 공급부(45)를 케이스(10)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필터 공급부에서 공급된 필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밀착부의 종단면도이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도 6 내지 도 9,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필터(203)는 밀착부(250), 및 필터 망(237)을 포함할 수 았다. 실시 예에서, 밀착부(250)는 필터 망(237)의 경계 영역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즉, 밀착부(250)의 하단은 필터 망(237)의 경계와 연결될 수 있다. 밀착부(250)는 필터 망(237)과 둔각(θ21)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밀착부(250)는 필터 망(237)과 대략 105°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착부(250)의 상단의 폭(W5)은 밀착부(250)의 하단의 폭(W7)보다 클 수 있다. 밀착부(250)는 물 등의 액체와 접촉할 때, 팽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밀착부(250)는 물과 접촉할 때, 폭 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서, 필터(203)는 밀착부(250)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걸림턱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부는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걸림턱부는 후술할 컵 용기(100, 도 18 참조)의 측벽부(130, 도 18 참조)의 걸림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203)는 컵 용기(10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필터 망(237)은 여과지(filter pape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다라, 필터 망(237)은 물 등의 액체를 통과시키지만, 음료 재료(M, 도 18 참조)는 통과시키지 못한다.
도 18은 도 16의 필터가 삽입된 음료용 컵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18를 참조하면, 음료용 컵은 컵 용기(100), 필터(203), 단열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컵 용기(100)는 상부에 제1 개구부(110)를 가질 수 있다. 제1 개구부(110)의 폭은 필터(203)의 폭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개구부(110)의 폭은 필터 망(237)의 폭보다 크고, 밀착부(250)의 상단의 폭(W5)보다 클 수 있다. 컵 용기(100)는 바닥부(120)와 측벽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250)는 측벽부(130)와 마주보는 면에 오돌토돌한 돌기들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밀착부(250)는 측벽부(130)의 내측면(130b)과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측벽부(130)는 바닥부(120)와 제1 각도(θ11)를 형성할 있다. 제1 각도(θ11)는 둔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벽부(130)의 폭은 바닥부(120)로부터 제1 개구부(110)를 향해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전술한 제2 각도(θ21, θ22)는 제1 각도(θ11)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203)가 컵 용기(100) 내에 삽입될 때, 필터(203)는 바닥부(120)로부터 소정의 높이(L)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203)는 필터 망(237)의 폭과 측벽부(130)의 폭이 대략 동일한 높이에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밀착부(250)는 측벽부(130)의 내측면(130b)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203)는 중력에 의해 더 이상 바닥부(120)를 향해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높이(L)는 바닥부(120)로부터 제1 개구부(110)를 향한 이격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높이(L)는 0이상일 수 있고, 바닥부(120)와 제1 개구부(110) 간의 이격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음료 제조 장치 10: 케이스
20: 이송 유닛 30: 컵 용기 공급부
40: 필터 공급부 45: 음료 추출 부재 공급부
50: 가압 유닛 60: 음료 재료 공급부
70: 물 공급부 80: 제어부
90: 제어부

Claims (10)

  1. 일측에 컵 배출구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되고, 상기 컵 배출구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지지 부재;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해 필터를 떨어뜨리는 필터 공급부; 및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지지 부재와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해 음료 재료를 떨어뜨리는 음료 재료 공급부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필터 망과, 상기 필터 망의 경계 영역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밀착부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와 상기 필터 망은 둔각을 형성하는 음료 제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필터 공급부와 이격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해 컵 용기를 떨어뜨이는 컵 용기 공급부;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되고, 상기 컵 용기 공급부와 상기 필터 공급부 각각이 상기 지지 부재 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컵 용기 공급부와 상기 필터 공급부를 이송시키는 이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그를 관통하는 복수의 결합 개구부들을 갖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음료용 제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 개구부들의 각각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음료용 제조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컵 용기 공급부와 상기 필터 공급부에 이격되고, 상기 지지 부재 상(over)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가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가압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가압 유닛이 상기 지지 부재 상(over)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압 유닛을 이송시키는 음료 제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지지 부재와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물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되고, 상기 물 공급부에서 분사될 물을 가열하는 가열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재료 공급부는, 상기 음료 재료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냉각시키는 냉각 유닛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
KR2020160007490U 2016-12-22 2016-12-22 음료 제조 장치 KR2004888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490U KR200488895Y1 (ko) 2016-12-22 2016-12-22 음료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490U KR200488895Y1 (ko) 2016-12-22 2016-12-22 음료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987U true KR20180001987U (ko) 2018-07-02
KR200488895Y1 KR200488895Y1 (ko) 2019-04-03

Family

ID=62905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490U KR200488895Y1 (ko) 2016-12-22 2016-12-22 음료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89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259B1 (ko) * 1984-10-31 1989-10-28 파이오니아 가부시끼가이샤 자기 헤드
JP2000057432A (ja) * 1998-08-10 2000-02-25 Fuji Electric Co Ltd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の原料冷却装置
JP3790592B2 (ja) * 1996-12-12 2006-06-28 サンデン株式会社 カップ供給装置
KR20090103295A (ko) * 2008-03-28 2009-10-0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음료자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259B1 (ko) * 1984-10-31 1989-10-28 파이오니아 가부시끼가이샤 자기 헤드
JP3790592B2 (ja) * 1996-12-12 2006-06-28 サンデン株式会社 カップ供給装置
JP2000057432A (ja) * 1998-08-10 2000-02-25 Fuji Electric Co Ltd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の原料冷却装置
KR20090103295A (ko) * 2008-03-28 2009-10-0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음료자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895Y1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1176B1 (en) A brewing receptacle and a foam unit and a beverage maker comprising such a brewing receptacle
AU2014241782B2 (en) Reusable beverage cartridge
EP2175763B1 (en) Support with a double resting surface for cups and other containers in machines for the production of beverages
EP1699329B1 (en) A beverage maker incorporating multiple beverage collection chambers
JP4448125B2 (ja) 抽出及び/又は煎じ出しによる飲料の即席生成にも使用可能な、飲料保存流通缶
WO2016131065A1 (en) Internet-enabled beverage maker
US20060137533A1 (en) System for simultaneously brewing and dispensing multiple beverages from a single unitary structure
PL1710172T3 (pl) Urządzenie i pojemnik jednorazowego użytku do wytwarzania produktów płynnych, zwłaszcza napojów
AU2014375282B2 (en) Beverage machine
CA3159111A1 (en) Reusable beverage cartridge
RU247241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посредственн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горячего напитка из растворимого порошка
KR200488895Y1 (ko) 음료 제조 장치
US9241594B2 (en) Beverage brewing system and method
JP6507814B2 (ja) 飲料抽出装置
EP1582127B1 (en) Device for adapting an express coffee machine to the use of coffee single-dose capsules
KR102062169B1 (ko)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US11013359B2 (en) Drip contain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KR102221396B1 (ko)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KR200486150Y1 (ko)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US20160309950A1 (en) Filter assembly and a reservoir for an appliance
JP6646867B2 (ja) 飲料抽出装置
KR20230079583A (ko) 차 추출용기, 차 추출용기를 포함하는 차 추출 조립체, 차 추출용기를 포함하는 차 추출 병뚜껑
CN113543682A (zh) 具有饮料容器放置机构和饮料制备流体容器放置机构的饮料分配系统
JP2016209348A (ja) 飲料抽出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