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150Y1 -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150Y1
KR200486150Y1 KR2020170003380U KR20170003380U KR200486150Y1 KR 200486150 Y1 KR200486150 Y1 KR 200486150Y1 KR 2020170003380 U KR2020170003380 U KR 2020170003380U KR 20170003380 U KR20170003380 U KR 20170003380U KR 200486150 Y1 KR200486150 Y1 KR 200486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receptacle
cartridge
extrac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408U (ko
Inventor
김윤우
Original Assignee
김윤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우 filed Critical 김윤우
Publication of KR201800004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1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the infusion outflow velocity, e.g. for brewing smaller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42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a cartridge, e.g. having grooves or protrusions to separate cartridge from the bottom of the brew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2Liquid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1/00Devices having a modula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량조절부가 형성된 본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유체수용체와 결합하는 상측결합부 및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원료투입구가 형성된 수용본체 및 상기 수용본체 내에 수용된 추출원료를 포함하는 음료추출 카트리지의 상기 원료투입구와 결합하는 하측결합부를 포함하는 음료추출 장치용 유량조절기를 제공한다. 상기 유량조절기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의 구성요소가 음료의 보관이나 음용, 음료추출 카트리지에 급수 및 추출음료의 수집 등의 용도에 따라 분해 및 재조립 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CARTRIDGE FOR INFUSING BEVERAGE AND DEVICE FOR BOTH INFUSING BEVERAGE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추출원료로부터 음료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음료추출 카트리지와, 상기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할 수 있고, 음료를 보관 및 음용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음료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음용되고 있는 음료 중 커피, 홍차, 녹차 등 다양한 종류의 음료는 커피원두나 찻잎을 가공하여 온수 또는 냉수에 의해 유효성분이 추출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음료는 원재료로부터 음용하기에 적당한 농도의 유효성분이 온수 또는 냉수에 포함되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 단계의 가공을 거쳐야 하므로, 음료가 완성되기까지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술한 종류의 음료는 대부분 추출원료에 온수 또는 냉수를 가하기만 하면 유효성분이 추출될 수 있도록 가공된 상태로 유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커피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21553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추출원료가 수용된 캡슐 내에 수증기를 압입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커피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는, 홍차 및 녹차는 추출원료를 수용시킨 티백(tea bag)을 용기에 넣은 후 온수 또는 냉수를 가하는 방법 등으로 유효성분이 침출되도록 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즉, 현재 추출원료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음용하는 음료는, 음료 제조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다양한 도구 및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 및 개발도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음료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음료추출 장치용 유량조절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음료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고, 음료의 보관 및 음용에도 사용될 수 있는 음료추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고안은 유량조절부가 형성된 본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유체수용체와 결합하는 상측결합부 및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원료투입구가 형성된 수용본체 및 상기 수용본체 내에 수용된 추출원료를 포함하는 음료추출 카트리지의 상기 원료투입구와 결합하는 하측결합부를 포함하는 음료추출 장치용 유량조절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고안의 상기 유량조절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양은 상기 유체수용체의 저면에 관통 형성된 제1유출구와 상기 유량조절부에 관통 형성된 제2유출구의 포개어짐 정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고안의 상기 포개어짐 정도는 상기 상측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유체수용체를 회전시켜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원료투입구가 형성된 수용본체 및 상기 수용본체 내에 수용된 추출원료를 포함하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추출 장치로서,
내부에 외측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되며, 하측에 제1고정부가 형성된 외측수용체;
내부에 내측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되며, 하측에는 상기 제1고정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고정부가 형성된 내측수용체;
중간 부분에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며,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외측수용체의 상단부 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멈춤리브 및 상기 외측수용체 또는 내측수용체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며 상기 외측수용체 또는 내측수용체의 상단부에 체결되도록 일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가 각각 형성된 커버; 및
상기 외측수용체 저면 또는 상기 내측수용체 저면과 상기 음료추출 카트리지의 상기 원료투입구를 연결하여 상기 외측수용체 저면 또는 상기 내측수용체 저면에 관통 형성된 제1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를 포함하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고안의 상기 유량조절기는 유량조절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외측수용체 또는 상기 내측수용체와 결합하는 상측결합부 및 상기 음료추출 카트리지의 상기 원료투입구와 결합하는 하측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고안의 상기 유량조절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양은 상기 저면에 관통 형성된 제1유출구와 상기 유량조절부에 관통 형성된 제2유출구의 포개어짐 정도에 따라 조절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고안의 상기 포개어짐 정도는 상기 상측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외측수용체 또는 상기 내측수용체를 회전시켜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고안의 상기 저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저면 안에 가상의 원이 존재한다 가정할 경우, 상기 제1유출구는 상기 가상의 원의 원주 일부에 관통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고안의 상기 본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 안에 상기 가상의 원과 동일한 가상의 원이 존재한다 가정할 경우, 상기 제2유출구는 상기 가상의 원의 원주 일부에 관통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고안의 상기 내측수용체는,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내측수용체의 상단부가 상기 외측수용체의 상단부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내측수용체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추출 카트리지가 온수 또는 냉수가 수용된 용기를 단순히 결합시키는 것으로 온수 또는 냉수가 추출원료를 통과하여 유효성분이 추출된 음료가 배출되도록 하고, 음료 추출 후에는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음료 추출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의 구성요소가 음료의 보관이나 음용, 음료추출 카트리지에 급수 및 추출음료의 수집 등의 용도에 따라 분해 및 재조립 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음료추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음료추출 장치의 분해도
도 3은 음료추출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음료추출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음료추출 장치의 사용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6은 음료추출 장치에 포함된 유량조절기의 사시도(좌) 및 단면도(우)
도 7은 음료추출 장치에 포함된 유량조절기의 평면도(좌) 및 음료추출 장치에 포함된 외측수용체의 저면도(우)
도 8은 음료추출 장치에 포함된 유량조절기 및 외측수용체의 결합상태에 관한 사용상태도(좌 : 사시도, 우 : 저면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의 사시도, 분해도 및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100)는 음료추출 카트리지(10), 배출구(11), 원료투입구(12), 외측수용체(20), 제1유출구(21), 제1고정부(22), 외측수용체 개구부(23), 내측수용체(30), 제2고정부(31), 내측수용체 개구부(32), 커버(40), 삽입공(41), 멈춤리브(42), 결합부(43), 유량조절기(50), 본체(51), 상측결합부(52), 하측결합부(53), 제2유출구(54), 상부필터 고정공(55) 및 상부필터(6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외측수용체(20)는 내부에 외측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용기로, 그 외형은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외측수용체(20)의 하측에는 제1고정부(22)가 형성되는데, 제1고정부(22)는 후술하는 제2고정부(31)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형성되며, 외측수용체(20) 저면에는 외측수용공간 및 외측수용체(20)의 외부가 상통될 수 있도록 제1유출구(21)가 관통 형성된다.
내측수용체(30)는 내부에 내측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용기로, 그 외형은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내측수용체(30)의 하측에는 상기 제1고정부(22)와 결합하는 제2고정부(31)가 형성된다.
제1고정부(22) 및 제2고정부(31)가 서로 체결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고정부(22)가 상기 제2고정부(31)와 접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수용체(30)는 외측수용체(20) 내의 외측수용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내측수용체(30)의 외경은 외측수용체(20)의 내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달리 외측수용체(20)와 내측수용체(30)의 형상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내측수용체(30)가 외측수용체(20) 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1고정부(22) 및 제2고정부(31)의 분리 가능한 결합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외측수용체(20)의 하측 내주면에 형성된 제1고정부(22)인 걸림턱 및 내측수용체(30)의 하측 외주면에 형성된 제2고정부(31)인 걸림턱을 상응하도록 형성하여, 상호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내측수용체(30)는, 제1고정부(22) 및 제2고정부(31)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체결되었을 경우, 그 상단부가 외측수용체(20)의 상단부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1고정부(22) 및 제2고정부(31)가 서로 체결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수용체(20) 및 내측수용체(30)를 서로 분리하고자 할 경우, 양 손으로 외측수용체(20) 및 내측수용체(30)를 각각 파지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내측수용체(30)의 상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파지하고 회전력을 가하기 용이할 정도의 폭을 갖는 파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40)는 내측수용체(30)의 상측을 커버하며 내측수용체(30)의 상단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커버(4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결합부(43)가 돌출 형성되고, 결합부(43)에는 걸림턱 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커버(4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반경방향, 즉 외주연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멈춤리브(42)가 돌출 형성된다.
멈춤리브(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0)가 내측수용체(30)의 상측에 결합되었을 때 내측수용체(30)의 상단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멈춤리브(42)는 외측수용체(20)의 상단부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커버(40)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타방향, 즉 결합부(43)가 돌출된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반구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40)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은 타방향을 향하여 원뿔대 등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평판 형상을 가져서 타방향으로는 돌출되지 않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커버40)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이 타방향으로 반구형 또는 원뿔대 형상 등으로 돌출되었을 때, 이 돌출된 부분은 내측수용체(30)의 개방된 상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커버(40)의 중간 부분에는 삽입공(41)이 관통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22) 및 제2고정부(31)가 체결되어 내측수용체(30)가 외측수용체(20) 내에 삽입된 상태일 때 내측수용공간에 음료를 보관하거나 음용하는 용기로 활용될 수 있다.
즉, 내측수용공간에 음료를 수용시킨 후 커버(40)를 내측수용체(30) 상측에 체결시켜 음료를 보관할 수 있고, 삽입공(41)에 빨대를 삽입하여 내측수용체(30)에 수용된 음료를 용이하게 음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100)는 음료를 추출하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는데, 이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의 사용상태도 및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100)로 음료를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수용체(20), 내측수용체(30) 및 커버(40)를 각각 분리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수용체(30)의 개방된 상측이 커버되도록 커버(40)를 안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멈춤리브(42)가 내측수용체(30)의 상단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커버(40)의 타측이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지라도 이 부분이 내측수용체(30)의 상측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커버(40)는 내측수용체(30)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커버(40) 내에는 음료추출 카트리지(10)가 안착된다.
여기서 음료추출 카트리지(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11)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원료투입구(12)가 형성된 수용본체를 갖는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용본체 내의 수용공간에는 추출원료가 수용된다.
커버(40)의 타측에는 음료추출 카트리지(10)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11)가 삽입공(41)을 향하도록 안착된다.
커버(40)에 안착된 음료추출 카트리지(10)의 타측에는 외측수용체(30)가 결합된다.
이후, 외측수용체(20)의 개방된 상측으로 온수나 냉수, 다른 음료, 주류 등의 액체를 가하면, 이 액체가 제1유출구(21)를 통하여 원료투입구(12) 내로 유입되어 수용본체 내의 추출원료를 통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추출원료 내의 유효성분이 액체에 의해 추출되고, 액체에 유효성분이 포함되어 완성된 음료가 배출구(11) 및 삽입공(41)을 통과하여 내측수용체(30) 내의 외측수용공간에 수집된다.
이와 같이 음료추출 카트리지(10)가 개재된 상태로 재조합된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100)는 음료를 추출하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기(50)의 사시도(좌) 및 단면도(우)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기(50)의 평면도(좌) 및 외측수용체(20)의 저면도(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기(50)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기(50)는 본체(51), 상측결합부(52), 하측결합부(53), 제2유출구(54) 및 상부필터 고정공(55)을 포함한다.
원형 형상의 본체(51) 중간 부분에는 유량조절부로 제2유출구(54)가 관통 형성되어 있고, 본체(51)의 테두리에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 상측결합부(52)를 통해 외측수용체(20)가 결합될 경우, 상기 유량조절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양은 외측수용체(20)의 저면에 관통 형성된 제1유출구(21)와 상기 본체(51)에 관통 형성된 제2유출구(54)의 포개어짐 정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유출구(21)는 외측수용체(20) 저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저면 안에 가상의 원이 존재한다 가정할 경우, 상기 가상의 원의 원주 일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유출구(54)는 상기 본체(51)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51) 안에 상기 가상의 원과 동일한 가상의 원이 존재한다 가정할 경우, 상기 제2유출구(54)는 상기 가상의 원의 원주 일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가상의 원의 원주 일부에 형성된 상기 제1유출구(21) 및 제2유출구(54)는 상기 상측결합부에 결합된 외측수용체를 회전시켜 포개어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체(51)에 형성된 하측결합부(53)를 통해 음료추출 카트리지(10)의, 원료투입구(12)가 결합될 경우 상기 유량조절부를 통과한 유체는 음료추출 카트리지(10)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본체(51)의 중심에는 상부필터 고정공(55)이 형성되어 상부필터(6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필터(60)는 음료추출 카트리지(10)에 커피 등의 차류를 충진할 경우, 충진된 차류의 상부를 덮어 상기 차류가 유체와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유출구(54)를 통과한 유체가 상기 차류에 직접적으로 낙하하여 물길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음료추출 카트리지 10 배출구 11
원료투입구 12 외측수용체 20
제1유출구 21 제1고정부 22
외측수용체 개구부 23 내측수용체 30
제2고정부 31 내측수용체 개구부 32
커버 40 삽입공 41
멈춤리브 42 결합부 43
유량조절기 50 본체 51
상측결합부 52 하측결합부 53
제2유출구 54 상부필터 고정공 55
상부필터 60

Claims (7)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원료투입구가 형성된 수용본체 및 상기 수용본체 내에 수용된 추출원료를 포함하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추출 장치로서,
    내부에 외측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되며, 제1고정부가 형성된 외측수용체;
    내부에 내측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되며, 상기 제1고정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고정부가 형성된 내측수용체;
    상기 외측수용체 또는 내측수용체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며 상기 외측수용체 또는 내측수용체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커버; 및
    상기 외측수용체 저면과 상기 음료추출 카트리지의 상기 원료투입구를 연결하여 상기 외측수용체 저면에 관통 형성된 제1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조절기는 유량조절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외측수용체와 결합하는 상측결합부 및 상기 음료추출 카트리지의 상기 원료투입구와 결합하는 하측결합부를 포함하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170003380U 2016-08-01 2017-06-29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KR20048615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98231 2016-08-01
KR1020160098231 2016-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08U KR20180000408U (ko) 2018-02-09
KR200486150Y1 true KR200486150Y1 (ko) 2018-04-06

Family

ID=6128256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135U KR20180000405U (ko) 2016-08-01 2016-10-23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KR2020170003380U KR200486150Y1 (ko) 2016-08-01 2017-06-29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KR2020170003375U KR20180000407U (ko) 2016-08-01 2017-06-29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135U KR20180000405U (ko) 2016-08-01 2016-10-23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375U KR20180000407U (ko) 2016-08-01 2017-06-29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180000405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904Y1 (ko) * 2014-01-23 2015-01-14 강명곤 커피 드립퍼 및 이를 위한 수량 조절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624B1 (ko) * 2014-06-26 2016-08-16 김윤우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904Y1 (ko) * 2014-01-23 2015-01-14 강명곤 커피 드립퍼 및 이를 위한 수량 조절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07U (ko) 2018-02-09
KR20180000405U (ko) 2018-02-09
KR20180000408U (ko) 2018-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0648B2 (en) Single-serve coffee pod
TWI592123B (zh) 沖泡飲料的設備及方法
US9968216B2 (en) Beverage forming device and method with moving beverage cartridge holder
EP2666394B1 (en) Beverage extraction device
EP2781175B1 (en) A refillable device
US8960078B2 (en) Reusable beverage cartridge
US7540232B2 (en) Hot beverage maker brew basket adaptor
EP2294949B1 (en) Pitcher with infuser
US9402501B1 (en) Adjustable tamper coffee apparatus, brewing machine utilizing such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coffee
US10080460B2 (en)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US20140342068A1 (en) Beverage forming device and method with beverage outlet control
TW201221443A (en) Beverage cartridge
US20060169149A1 (en) Basket for holding coffee grounds in coffee brewing machine
US20150327713A1 (en) Single serve brewing system for drip coffee makers
KR101648624B1 (ko)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KR200486150Y1 (ko)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US20090117239A1 (en) Retained loose coffee container and method
KR20160100873A (ko)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US20230210300A1 (en) Multi-use portafilter
JP2016202325A (ja) 飲料抽出装置
KR20180014673A (ko) 음료추출 및 음료보관용 휴대용 컵 세트
US20200305632A1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KR101787271B1 (ko)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KR101584181B1 (ko) 핸드드립커피 텀블러
KR20200090339A (ko) 음료추출 및 음료보관용 휴대용 컵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