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970U - 트레이에 배치된 모종을 픽업하여 이식하는 작물 정식기 - Google Patents

트레이에 배치된 모종을 픽업하여 이식하는 작물 정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970U
KR20180001970U KR2020160007457U KR20160007457U KR20180001970U KR 20180001970 U KR20180001970 U KR 20180001970U KR 2020160007457 U KR2020160007457 U KR 2020160007457U KR 20160007457 U KR20160007457 U KR 20160007457U KR 20180001970 U KR20180001970 U KR 201800019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eedling
seedlings
pow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958Y1 (ko
Inventor
강태경
김성우
김영근
이상희
전현종
최일수
최용
현창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2020160007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95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9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9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9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작물 정식을 수행할 수 있는 작물 정식기가 개시된다. 이러한 작물 정식기는 메인 몸체, 트레이 이송 장치, 모종 푸시 장치, 모종 픽업 장치, 이송 투하 장치, 모종 정식 장치 및 동력 전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는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트레이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모종 푸시 장치는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트레이에서 빼내도록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푸시(push)할 수 있다. 상기 모종 픽업 장치는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트레이에서 빼내도록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픽업(pick up)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세로 방향을 따라 M개의 행으로 배치되고, 상기 세로 방향에 수직하게 교차하는 가로 방향을 따라 N개의 열로 배치되며, 모종들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포켓(pocket)들이 형성된다. 상기 포켓들 각각의 하부의 중심에는,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모종을 상기 제2 방향으로 푸시하기 위한 푸시홀이 형성된다. 이로써, 보다 단순한 기계적 메커니즘을 통해 작물의 정식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레이에 배치된 모종을 픽업하여 이식하는 작물 정식기{SEEDLING TRANSPLANTER PICKING UP A SEEDLING IN TRAY}
본 고안은 작물 정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채소와 같은 작물의 모종을 땅에 심을 수 있는 작물 정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에서 각종 작물을 재배할 때, 작물 성장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일정한 크기로 성장한 모종을 밭으로 옮겨 심게 되는데, 이러한 모종 정식 작업을 수행할 때 작물 정식기가 사용된다.
모종 정식 작업은 삽이나 괭이 등을 이용하여 모종이 심어지게 될 구멍을 파낸 후, 그 구멍 내에 모종을 파묻고 그 주위를 배토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허리와 무릎을 구부리는 동작을 연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행하여 정식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쉽게 몸에 피로를 느끼게 되고, 또한 작업능률이 저하되며, 특히 구멍 내에 모종이 파묻히는 깊이의 정도가 작업자마다 달라서 그 깊이가 불규칙하게 매설되거나 충분한 구멍 깊이로 심어지지 못해 모종이 죽어버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화되고 기계화된 작물 정식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2009-261278호(2009년 11월 12일 공개)에는 '육묘 포트를 구비하는 트레이의 모종을 모종 식부구에 순차적으로 반송 투입한 후, 모종 식부구가 땅에 구멍을 내어 이식할 수 있는 모종 이식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 개발된 모종 이식기 또는 정식기는 땅을 파서 구멍을 낸 후 모종을 심는 기계적 메커니즘이 매우 복잡하여 비용 증가뿐만 아니라 고장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모종이 트레이에서 반출되는 과정, 반출된 모종이 식부 장치로 이송되는 과정, 식부 장치에서 모종을 이식하는 과정이 하나의 동력에 의해 유기적으로 동기화되어 수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다 단순한 기계적 메커니즘을 통해 작물 정식을 수행할 수 있는 작물 정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물 정식기는 메인 몸체, 트레이 이송 장치, 모종 푸시 장치, 모종 픽업 장치, 모종 정식 장치 및 동력 전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는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트레이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모종 푸시 장치는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트레이에서 빼내도록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푸시(push)할 수 있다. 상기 모종 픽업 장치는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트레이에서 빼내도록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픽업(pick up)할 수 있다. 상기 이송 투하 장치는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모종 픽업 장치에 의해 픽업된 적어도 하나의 모종을 지지한 후 이송하여 투하시킬 수 있다. 상기 모종 정식 장치는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 투하 장치에 의해 투하된 적어도 하나의 모종을 정식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장치는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 상기 모종 푸시 장치, 상기 모종 픽업 장치, 상기 이송 투하 장치 및 상기 모종 정식 장치 각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세로 방향을 따라 M개의 행으로 배치되고, 상기 세로 방향에 수직하게 교차하는 가로 방향을 따라 N개의 열로 배치되며, 모종들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포켓(pocket)들이 형성된다. 상기 포켓들 각각의 하부의 중심에는,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모종을 상기 제2 방향으로 푸시하기 위한 푸시홀이 형성된다.
상기 포켓들 각각의 하부에는 상기 푸시홀과 연결된 하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홈은 상기 푸시홀을 중심으로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들 각각의 측부에는 상기 푸시홀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측부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손잡이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포켓(pocket)들을 연결하는 연결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홈들 사이 각각에는 물빠짐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는 트레이 이송 모듈 및 트레이 이송 동력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이송 모듈은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이송 동력 제공 모듈은 상기 트레이 이송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 전달 장치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를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을 상기 트레이 이송 모듈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이송 모듈은 트레이 이송 체인부 및 트레이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이송 체인부는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를 배치시켜 체인에 의한 회전 이동을 통해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레이 걸림부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면서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고, 상기 체인이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여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이송 체인부는 한 쌍의 체인 지지 몸체들을 포함하는 체인 지지체, 한 쌍의 체인지지 몸체들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배치된 회전 톱니들, 및 상기 외측면에 배치된 회전 톱니들에 의해 연결된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레이 걸림부는 상기 체인 지지체의 하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의 하부를 걸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봉부는 상기 체인 지지체의 하면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들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회전 톱니들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 톱니들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모종 푸시 장치는 모종 푸시부 및 푸시 동력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종 푸시부는 상기 트레이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여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푸시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동력 제공 모듈은 상기 모종 푸시부와 연결되고, 상기 동력 전달 장치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푸시하기 위한 동력을 상기 모종 푸시부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종 픽업 장치는 픽업 투하 모듈 및 픽업 동력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업 투하 모듈은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트레이에서 빼내도록 상기 제3 방향으로 픽업하여 투하시킬 수 있다. 상기 픽업 동력 제공 모듈은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동력 전달 장치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트레이에서 빼내도록 픽업시키기 위한 동력을 상기 픽업 투하 모듈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픽업 투하 모듈은 지지 몸체부, 모종 픽업부 및 모종 투하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몸체부는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모종 픽업부는 상기 지지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픽업 동력 제공 모듈에서 제공된 동력에 의해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함으로써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픽업하여 상기 트레이에서 뽑아낼 수 있다. 상기 모종 투하부는 상기 지지 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모종 픽업부에 의해 픽업된 적어도 하나의 모종을 투하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 투하 장치는 모종 지지부 및 모종 이송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종 지지부는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모종 픽업 장치에 의해 투하된 적어도 하나의 모종을 지지하며, 상기 모종 정식 장치로 모종을 투하시킬 수 있는 모종 투하홀을 갖는다. 상기 모종 이송 모듈은 상기 모종 지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동력 전달 장치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모종 지지부에 지지된 모종을 상기 모종 투하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모종 정식 장치는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된 정식기 몸체, 상기 정식기 몸체에 장착되고 작물의 정식 위치를 포함하는 정식 순환 경로를 따라 회전 이동시키는 회전 이동 모듈, 및 상기 회전 이동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정식 순환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물 정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물 정식 모듈은 상단 몸체, 제1 정식삽, 제2 정식삽, 삽 오픈 유닛 및 삽 클로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 몸체는 상기 회전 이동 모듈과 연결되고, 테두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정식삽은 상기 상단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단 몸체의 일측과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정식삽은 상기 제1 정식삽과 대칭이 되도록 상기 상단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단 몸체의 타측과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 정식삽과 함께 작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삽 오픈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정식삽을 일측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제2 정식삽을 상기 일측 방향의 반대인 타측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켜,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된 작물을 정식시키기 위한 오픈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삽 클로즈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오픈 상태를 작물을 수용할 수 있는 클로즈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장치는 상기 트레이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로 제1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을 푸시하여 상기 트레이에서 빼내도록 상기 모종 푸시 장치로 제2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을 픽업하여 상기 트레이에서 빼내도록 상기 모종 픽업 장치로 제3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모종 픽업 장치에 의해 투하된 모종을 이송하여 투하시키도록 상기 이송 투하 장치로 제4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이송 투하 장치에 의해 투하된 모종을 정식하도록 상기 모종 정식 장치로 제5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종 푸시 장치는 상기 포켓들 중 어느 한 행에 배치된 포켓들에 수용된 N개의 모종들을 동시에 푸시할 수 있고, 상기 모종 픽업 장치는 상기 어느 한 행에 배치된 포켓들에 수용된 N개의 모종들을 동시에 픽업할 수 있으며, 상기 이송 투하 장치는 상기 모종 픽업 장치에 의해 픽업된 N개의 모종들을 순차적으로 투하시킬 수 있고, 상기 모종 정식 장치는 상기 이송 투하 장치에서 순차적으로 투하된 모종들을 순차적으로 정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작물 정식기에 따르면, 트레이 이송 장치가 트레이를 이송하면, 모종 푸시 장치 및 모종 픽업 장치는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푸시하면서 픽업하고, 이어서 이송 투하 장치는 픽업된 모종을 지지한 후 이송하여 투하시키면, 모종 정식 장치는 투하된 모종을 정식할 수 있다. 이때, 동력 전달 장치는 트레이 이송 장치, 모종 푸시 장치, 모종 픽업 장치, 이송 투하 장치 및 모종 정식 장치 각각으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작물 정식기는 트레이의 이송 과정, 모종을 푸시하는 과정, 모종을 픽업하는 과정, 이송 투하하는 과정 및 모종을 정식하는 과정이 하나의 동력에 의해 유기적으로 동기화되어 안정적으로 기계적 매커니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종 픽업 장치가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을 찍어내서 픽업하는 것에 동시에, 상기 모종 푸시 장치가 상기 픽업된 모종을 푸시함에 따라,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을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레이에는 모종들이 수용된 M행 N열의 포켓(pocket)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물 정식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물 정식기의 일 측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도 1의 작물 정식기의 다른 측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도 1의 작물 정식기 중 트레이 이송 장치 및 모종 푸시 장치의 상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도 1의 작물 정식기에 사용되는 트레이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도 1의 작물 정식기의 트레이 이송 장치 및 모종 푸시 장치의 하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도 4 내지 도 6의 트레이 이송 장치와 다른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도 7의 트레이 이송 장치의 하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도 5의 트레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트레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작물 정식기의 모종 픽업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는 도 1의 작물 정식기 중 이송 투하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은 도 1의 작물 정식기 중 모종 정식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4는 도 1의 작물 정식기 중 동력 전달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5는 도 1의 작물 정식기를 단순화시켜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작물 정식기에서 트레이 이송 장치가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작물 정식기에서 모종 픽업 장치가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을 찍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작물 정식기에서 모종 푸시 장치가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을 푸시하는 동시에, 모종 픽업 장치가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을 픽업하여 투하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5의 작물 정식기 중 이송 투하 장치가 모종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20은 도 15의 작물 정식기 중 이송 투하 장치가 모종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이송 투하 장치가 모종을 이송하여 투하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2은 도 15의 작물 정식기 중 작물 정식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도 22의 작물 정식 장치 중 작물 정식 모듈의 측면 및 정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5 및 도 26은 도 22의 작물 정식 장치 중 작물 정식 모듈이 오픈 상태로 변경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7 및 도 28은 도 22의 작물 정식 장치 중 작물 정식 모듈이 클로즈 상태로 변경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물 정식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물 정식기의 일 측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3은 도 1의 작물 정식기의 다른 측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작물 정식기는 메인 몸체(100), 트레이 이송 장치(200), 모종 푸시 장치(300), 모종 픽업 장치(400), 이송 투하 장치(500), 모종 정식 장치(600) 및 동력 전달 장치(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식'은 다른 곳에 일차적으로 성장한 작물을 옮겨 임의의 땅에 제대로 심는 농사 과정으로, 단순히 작물을 옮겨 심는 '이식'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몸체(100)는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200), 상기 모종 푸시 장치(300), 상기 모종 픽업 장치(400), 상기 이송 투하 장치(500), 상기 모종 정식 장치(600) 및 상기 동력 전달 장치(70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프레임이다. 상기 메인 몸체(100)는 트레인과 같은 이송 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200)는 상기 메인 몸체(100)에 장착되고, 트레이(20)를 제1 방향, 예를 들어 위에서 대각 아래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모종 푸시 장치(300)는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200)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20)에 복수의 열로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트레이(20)에서 빼내도록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 예를 들어 아래에서 대각 위로 향하는 방향으로 푸시(push)할 수 있다.
상기 모종 픽업 장치(400)는 상기 메인 몸체(100)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20)에 복수의 열로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트레이(20)에서 빼내도록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 예를 들어 위에서 대각 아래로 향하는 방향으로 픽업(pick up)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일정 각도 경사진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이송 투하 장치(500)는 상기 메인 몸체(100)에 장착되고, 상기 모종 픽업 장치(400)에 의해 픽업된 적어도 하나의 모종을 지지한 후 이송하여 투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 투하 장치(500)는 상기 모종 픽업 장치(4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모종 픽업 장치(400)에서 픽업된 후 투하된 모종을 지지할 수 있고, 이후 이를 이송하여 투하시킬 수 있다.
상기 모종 정식 장치(600)는 상기 메인 몸체(100)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 투하 장치(500)에 의해 투하된 적어도 하나의 모종을 정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종 정식 장치(600)는 상기 이송 투하 장치(5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 투하 장치(500)에서 투하된 모종을 수용한 후, 토양으로 이동시켜 심을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장치(700)는 상기 메인 몸체(100)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200), 상기 모종 푸시 장치(300), 상기 모종 픽업 장치(400), 상기 이송 투하 장치(500) 및 상기 모종 정식 장치(600) 각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200), 상기 모종 푸시 장치(300), 상기 모종 픽업 장치(400), 상기 이송 투하 장치(500) 및 상기 모종 정식 장치(600) 각각은 좌우 한 쌍이 배치되어 상기 메인 몸체(100)에 장착되어 상기 동력 전달 장치(70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작물 정식기 중 트레이 이송 장치 및 모종 푸시 장치의 상부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5는 도 1의 작물 정식기에 사용되는 트레이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6은 도 1의 작물 정식기의 트레이 이송 장치 및 모종 푸시 장치의 하부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7은 도 4 내지 도 6의 트레이 이송 장치와 다른 예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8은 도 7의 트레이 이송 장치의 하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200)는 트레이 이송 모듈(210) 및 트레이 이송 동력 제공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이송 모듈(210)은 상기 메인 몸체(100)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20)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이송 동력 제공 모듈(220)은 상기 트레이 이송 모듈(210)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 전달 장치(700)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20)를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을 상기 트레이 이송 모듈(21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트레이 이송 모듈(210)은 트레이 이송 체인부(212) 및 트레이 걸림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이송 체인부(212)는 상기 메인 몸체(100)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20)를 배치시켜 체인에 의한 회전 이동을 통해 상기 트레이(20)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레이 걸림부(214)는 상기 트레이(20)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면서 상기 트레이(20)를 지지하고, 상기 체인들이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여 상기 트레이(20)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트레이 이송 체인부(212)는 도 4에서와 같이, 한 쌍의 체인 지지 몸체들, 한 쌍의 체인지지 몸체들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각 한 쌍으로 배치된 회전 톱니들, 및 한 쌍으로 배치된 회전 톱니들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걸림부(214)는 도 4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체인들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트레이(20)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봉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트레이 이송 체인부(212)는 도 7에서와 같이, 한 쌍의 체인 지지 몸체들을 포함하는 체인 지지체, 한 쌍의 체인지지 몸체들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배치된 회전 톱니들, 및 상기 외측면에 배치된 회전 톱니들에 의해 연결된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걸림부(214)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체인 지지체의 하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20)의 하부를 걸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봉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봉부는 상기 체인 지지체의 하면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들, 예를 들어 4개의 개구부들에 각각 배치되고, 각각은 4개의 회전봉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톱니들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 톱니들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동력 제공 모듈(220)은 제1 회전캠부(222) 및 트레이 이송력 전달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캠부(220)는 상기 메인 몸체(100)에 장착되고, 상기 동력 전달 장치(700)로부터 제공된 동력에 의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이송력 전달부(224)는 상기 트레이 이송 체인부(212)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캠부(222)가 1 회전할 때마다 상기 트레이(20)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한 열 이동시킬 수 있는 트레이 이송력을 상기 트레이 이송 체인부(212)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레이 이송력 전달부(224)는 상기 제1 회전캠부(222)가 1 회전할 때, 회전 왕복 운동을 수행하여 상기 트레이 이송 체인부(212)의 회전 톱니들을 상기 트레이(20)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한 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5의 트레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트레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200)에 의해 장착되어 이동되는 상기 트레이(20)에는,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세로 방향을 따라 M개의 행으로 배치되고, 상기 세로 방향에 수직하게 교차하는 가로 방향을 따라 N개의 열로 배치되며, 모종들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포켓들(pockets; 22)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포켓들(22)은 10행 4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포켓들(22) 각각의 하부의 중심에는,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모종을 상기 제2 방향으로 푸시하기 위한 푸시홀(H)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포켓들(22) 각각은 평면적으로 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푸시홀(H)은 상기 원 모양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고, 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들(22) 각각의 하부에는 상기 푸시홀(H)과 연결된 하부홈(P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홈(P1)은 상기 푸시홀(H)을 중심으로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홈(P1)의 폭은 상기 푸시홀(H)의 지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그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포켓들(22) 각각의 측부에는 상기 푸시홀(H)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측부홈들(P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부홈들(P2)은 평면적으로 8각형 꼭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20)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손잡이부들(2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부들(24)은 상기 트레이(20)의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아래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들(24)을 통해 상기 트레이(20)을 들어 옮길 수 있다.
상기 트레이(20)에는 상기 포켓들(22)을 연결하는 연결홈들(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홈들(26)은 상기 포켓들(22)을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홈들(26-a) 및 상기 포켓들(22)을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홈들(26-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홈들(26)은 상기 포켓들(22)에 수용된 모종들 사이에서 물이 이동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홈들(26) 사이 각각에는 물빠짐홀(2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20) 중 상기 포켓들(22)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복수의 물빠짐홀들(28)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20)로 물을 제공할 때 상기 포켓들(22)에 수용된 모종들로 제공되는 부분이 상기 물빠짐홀들(28)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모종 푸시 장치(300)는 모종 푸시부(310) 및 푸시 동력 제공 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종 푸시부(310)는 상기 트레이(2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여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푸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20)는 M개의 열과 N개의 행으로 구성된 포켓들(22)을 구비하고(단, M 및 N 각각은 2 이상의 정수임), 상기 포켓들(22) 각각에는 푸시홀(H)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푸시 동력 제공 모듈(320)은 상기 모종 푸시부(310)와 연결되고, 상기 동력 전달 장치(700)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푸시하기 위한 동력을 상기 모종 푸시부(31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동력 제공 모듈(320)은 제2 회전캠부(322) 및 푸시력 전달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캠부(322)는 상기 메인 몸체(100)에 장착되고, 상기 동력 전달 장치(700)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이용하여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푸시력 전달부(324)는 상기 모종 푸시부(310)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캠부(322)가 1 회전할 때마다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푸시할 수 있는 푸시력을 상기 모종 푸시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종 푸시부(310)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고, 상기 트레이(20)에 형성된 상기 푸시홀(H)을 관통하여 모종을 푸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푸시봉(312), 예를 들어 N개의 푸시봉들(3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종 푸시부(310)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푸시한 후,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도 11은 도 1의 작물 정식기의 모종 픽업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모종 픽업 장치(400)는 픽업 투하 모듈(410) 및 픽업 동력 제공 모듈(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업 투하 모듈(410)은 상기 메인 몸체(100)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트레이(20)에서 빼내도록 상기 제3 방향으로 픽업하여 투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픽업 투하 모듈(410)은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와 마주보는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픽업 동력 제공 모듈(420)은 상기 메인 몸체(100)에 장착되고, 상기 동력 전달 장치(700)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트레이(20)에서 빼내도록 픽업시키기 위한 동력을 상기 픽업 투하 모듈(41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픽업 투하 모듈(410)은 지지 몸체부(412), 모종 픽업부(414), 모종 투하부(416) 및 픽업 가이드부(4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몸체부(412)는 상기 메인 몸체(100)에 장착되어 상기 모종 픽업부(414), 상기 모종 투하부(416) 및 상기 픽업 가이드부(418)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모종 픽업부(414)는 상기 지지 몸체부(412)에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픽업 동력 제공 모듈(420)에서 제공된 동력에 의해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함으로써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픽업하여 상기 트레이(20)에서 뽑아낼 수 있다.
상기 모종 픽업부(414)는 적어도 하나의 모종 픽업 유닛(414a), 예를 들어 N개의 모종 픽업 유닛들(414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종 픽업 유닛(414a)은 상기 지지 몸체부(412)에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픽업 동력 제공 모듈(420)에서 제공된 동력에 의해 상기 제3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모종을 찍어서 픽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종 픽업 유닛(414a)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모종을 찍어 픽업한 후,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3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모종 투하부(416)는 상기 지지 몸체부(510)에 장착되고, 상기 모종 픽업부(414)에 의해 픽업된 적어도 하나의 모종을 투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종 투하부(416)는 적어도 하나의 모종 투하 유닛(416a), 예를 들어 N개의 모종 투하 유닛들(416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종 투하 유닛(416a)은 상기 지지 몸체부(510)에 장착되고, 상기 모종 픽업 유닛(414a)이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모종을 찍어 픽업한 후 상기 제3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모종 픽업 유닛(414a)에 의해 픽업된 모종을 밀어서 투하시킬 수 있다.
상기 모종 투하 유닛(416a)은 상기 모종 픽업 유닛(414a)을 통과시킬 수 있는 유닛 통과홀을 갖고, 상기 모종 픽업 유닛(414a)에 의해 픽업된 모종을 밀어서 투하시킬 수 있는 푸시 투하부(41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종 투하 유닛(416a)은, 예를 들어 상기 모종 픽업 유닛(414a)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픽업 가이드부(418)는 상기 지지 몸체부(412)에 장착되고, 상기 모종 픽업부(414)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픽업 가이드부(418)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중간 일부가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픽업 동력 제공 모듈(420)은 제3 회전캠부(422) 및 픽업력 전달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회전캠부(422)는 상기 메인 몸체(100)에 장착되고, 상기 동력 전달 장치(700)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이용하여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픽업력 전달부(424)는 상기 제3 회전캠부(424)가 1 회전할 때마다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켜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픽업할 수 있는 픽업력을 상기 모종 픽업부(414)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픽업력 전달부(424)는 상기 메인 몸체(100)에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3 회전캠부(424)가 1 회전할 때마다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임의의 각도로 회전 운동하여, 상기 모종 픽업부(414)를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픽업력 전달부(424)는 상기 각도로 회전 운동할 때, 상기 모종 픽업부(414)의 일부를 밀어 상기 모종 픽업부(414)를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작물 정식기 중 이송 투하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3은 도 1의 작물 정식기 중 모종 정식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모종 정식 장치(600)는 상기 메인 몸체(100)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 투하 장치(500)에 의해 모종들을 순차적으로 제공받아 회전 이동시켜 토양에 정식할 수 있다. 상기 모종 정식 장치(60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별도의 도면들을 이용하여 후술하겠다.
도 14는 도 1의 작물 정식기 중 동력 전달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 전달 장치(700)는 외부, 예를 트랙터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트레이(20)을 이송시키도록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200)로 제1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모종을 푸시하여 상기 트레이(20)에서 빼내도록 상기 모종 푸시 장치(300)로 제2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모종을 픽업하여 상기 트레이(20)에서 빼내도록 상기 모종 픽업 장치(400)로 제3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모종 픽업 장치(400)에 의해 투하된 모종을 이송하여 투하시키도록 상기 이송 투하 장치(500)로 제4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이송 투하 장치(500)에 의해 투하된 모종을 정식하도록 상기 모종 정식 장치(600)로 제5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력들은 회전 동력들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모종들은 한 행이 예를 들어 4 개의 열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200)가 상기 트레이(20)를 한 행 이동시키면, 상기 모종 푸시 장치(300)는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한 행의 4개의 모종들을 동시에 푸시할 수 있고, 상기 모종 픽업 장치(400)는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한 행의 4개의 모종들을 동시에 픽업할 수 있으며, 상기 이송 투하 장치(500)는 상기 모종 픽업 장치(400)에 의해 픽업된 한 행의 4개의 모종들을 순차적으로 투하시킬 수 있고, 상기 모종 정식 장치(600)는 상기 이송 투하 장치(500)에서 순차적으로 투하된 모종들을 순차적으로 정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동력, 상기 제2 동력 및 상기 제3 동력이 일 회전하는 회전 동력일 때, 상기 제4 동력은 4 회전하는 회전 동력일 수 있고, 상기 제5 동력은 4개의 모종들이 모두 정식될 수 있도록 회전 동력일 수 있다.
이하, 상기 작물 정식기가 동작되는 구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5는 도 1의 작물 정식기를 단순화시켜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작물 정식기에서 트레이 이송 장치가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우선 복수의 모종들(10)이 수용된 트레이(20)를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200)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동력 전달 장치(700)는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200)에 상기 제1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트레이(20)를 한 열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7은 도 15의 작물 정식기에서 모종 픽업 장치가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을 찍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8은 도 15의 작물 정식기에서 모종 푸시 장치가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을 푸시하는 동시에, 모종 픽업 장치가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을 픽업하여 투하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19는 도 15의 작물 정식기 중 이송 투하 장치가 모종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20은 도 15의 작물 정식기 중 이송 투하 장치가 모종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동력 전달 장치(700)는 상기 모종 픽업 장치(400)에 상기 제3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한 열의 모종들(20)을 동시에 찍을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동력 전달 장치(700)는 상기 모종 푸시 장치(300)에 상기 제2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한 열의 모종들(10)을 동시에 푸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또는 연이어서, 상기 모종 픽업 장치(400)가 상기 모종 푸시 장치(300)에 의해 푸시되는 모종들(10)을 픽업하여 상기 트레이(20)에서 빼낸 후 상기 이송 투하 장치(500)로 투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모종 푸시 장치(300)에 의한 모종 푸시 과정이 상기 모종 픽업 장치(400)에 의한 모종 픽업 과정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1는 도 20의 이송 투하 장치가 모종을 이송하여 투하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동력 전달 장치(700)는 상기 이송 투하 장치(500)에 상기 제4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모종 픽업 장치(400)에 의해 투하된 모종들(10)을 이동시켜 순차적으로 상기 작물 정식 장치(600)로 투하시킬 수 있다.
도 12와, 도 19 내지 도 21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이송 투하 장치(500)는 모종 지지부(510) 및 모종 이송 모듈(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종 지지부(510)는 상기 메인 몸체(100)에 장착되고, 상기 모종 픽업 장치(400)에 의해 투하된 적어도 하나의 모종(10)을 지지하며, 상기 모종 정식 장치(600)로 모종을 투하시킬 수 있는 모종 투하홀(51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모종 이송 모듈(520)은 상기 모종 지지부(510)에 장착되고, 상기 동력 전달 장치(700)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모종 지지부(510)에 지지된 모종(10)을 상기 모종 투하홀(512)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모종 이송 모듈(520)은 회전 이송부(522), 제4 회전캠부(524) 및 회전력 전달부(5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이송부(522)는 상기 모종 지지부(510)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회전 칸막이(522a)를 이동시켜 상기 모종 지지부(510)에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모종(10)을 상기 모종 투하홀(512)을 향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 이송부(522)는 상기 모종 지지부(510)에 지지된 4개의 모종들(10)을 이동시켜 상기 모종 투하홀(512)을 통해 순차적으로 투하시킬 수 있다.
상기 제4 회전캠부(524)는 상기 메인 몸체(100)에 장착되고, 상기 동력 전달 장치(700)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이용하여 제4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력 전달부(526)는 상기 제4 회전캠부(524)가 1 회전할 때마다 상기 회전 칸막이(522a)를 기준 거리, 예를 들어 이웃하는 회전 칸막이들(522a) 사이의 이격 거리 만큼 이동시킬 수 있는 회전력을 상기 회전 이송부(522)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200)가 상기 트레이(20)를 이송하면, 상기 모종 푸시 장치(300) 및 상기 모종 픽업 장치(400)는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모종들(10) 중 적어도 하나를 푸시하면서 픽업하고, 이어서 상기 이송 투하 장치(500)는 상기 픽업된 모종(10)을 지지한 후 이송하여 투하시키면, 상기 모종 정식 장치(600)는 투하된 모종을 정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력 전달 장치(700)는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200), 상기 모종 푸시 장치(300), 상기 모종 픽업 장치(400), 상기 이송 투하 장치(500) 및 상기 모종 정식 장치(600) 각각으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작물 정식기는 트레이 이송 과정, 모종 푸시 과정, 모종 픽업 과정, 모종 이송 투하 과정 및 모종 정식 과정이 하나의 동력에 의해 유기적으로 동기화되어 안정적으로 기계적 매커니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종 픽업 장치(400)가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모종(10)을 찍어내서 픽업하는 것에 동시에, 상기 모종 푸시 장치(300)가 상기 픽업된 모종(10)을 푸시함에 따라,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모종(10)을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작물 정식 장치(600)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2는 도 15의 작물 정식기 중 작물 정식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3 및 도 24는 도 22의 작물 정식 장치 중 작물 정식 모듈의 측면 및 정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작물 정식 장치(600)는 정식기 몸체(6100), 회전 이동 모듈(6200) 및 적어도 하나의 작물 정식 모듈(6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식기 몸체(6100)는 상기 회전 이동 모듈(6200)을 장착시키기 위한 베이스 몸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이동 모듈(6200)은 상기 정식기 몸체(6100)에 설치되고 작물의 정식 위치를 포함하는 정식 순환 경로를 따라 회전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 이동 모듈(6200)은 상측 회전 톱니(6210), 상기 상측 회전 톱니(6210)의 하부에 배치된 하측 회전 톱니(6220), 및 상기 상측 회전 톱니(6210)와 상기 하측 회전 톱니(6220) 사이를 연결하는 순환 체인(6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 체인(6230)은 상기 정식 순환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작물 정식 모듈(6300)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한편, 상기 회전 이동 모듈(6200)은 상기 상측 및 하측 회전 톱니들(6210, 6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 동력 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정식 순환 경로는 상기 작물의 정식 위치와 상측으로 대응되는 위치인 작물의 공급 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식 순환 경로는 상하측으로 길게 연장된 고리 형상을 갖고, 상기 작물의 정식 위치는 상기 정식 순환 경로의 하부에, 그리고 상기 작물의 공급 위치는 상기 정식 순환 경로의 상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물 정식 모듈(6300)은 상기 회전 이동 모듈(6200)의 순환 체인(6230)과 연결되어 상기 정식 순환 경로를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작물 정식 모듈(6300)은 상기 작물의 공급 위치에서 도달할 때, 상기 작물 공급 장치로부터 정식할 모종(10)을 공급받고, 상기 작물의 정식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정식할 모종(10)을 배출시켜 땅으로 정식된다.
상기 작물 정식 모듈(6300)은 상단 몸체(6310), 제1 정식삽(6320), 제2 정식삽(6330), 삽 오픈 유닛(6340), 삽 클로즈 유닛(6350), 제1 스프링(6360) 및 제2 스프링(63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 몸체(6310)는 상기 회전 이동 모듈(6200)의 순환 체인(6230)과 연결되고, 테두리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상단 몸체(6310)는 체인 연결부(6312)에 의해 상기 순환 체인(6230)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위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의 테두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정식삽(6320)은 상기 상단 몸체(63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단 몸체(6310)의 일측과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정식삽(6320)은 제1 힌지 결합부(6322)에 의해 상기 상단 몸체(6310)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힌지 결합부(6322)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정식삽(6330)은 상기 제1 정식삽(6320)과 대칭이 되도록 상기 상단 몸체(63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단 몸체(6310)의 타측과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정식삽(6330)은 제2 힌지 결합부(6332)에 의해 상기 상단 몸체(6310)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2 힌지 결합부(6332)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6320, 6330)은 서로 모아서 접촉되어 클로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 내부에는 정식할 작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6320, 6330)은 아래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 오픈 유닛(6340)은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6320, 633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6320, 6330)과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삽 오픈 유닛(6340)은 상기 제1 정식삽(6320)을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하나인 일측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제2 정식삽(6330)을 상기 일측 방향의 반대인 타측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6320, 6330)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된 작물을 정식시키기 위한 오픈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삽 클로즈 유닛(6350)은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6320, 633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6320, 6330)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오픈 상태를 정식할 새로운 작물을 수용할 수 있는 상기 클로즈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스프링(6360)은 상기 삽 클로즈 유닛(6350)과 상기 상단 몸체(6310) 사이를 연결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스프링(6360)은 상기 삽 클로즈 유닛(6350)에 상기 클로즈 상태로 유지 또는 변경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스프링(6360)은 상기 제1 정식삽(632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스프링(6370)은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6320, 6330) 사이를 연결한다. 그에 따라, 상기 제2 스프링(6370)은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6320, 6330)이 상기 오픈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클로즈 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은 도 22의 작물 정식 장치 중 작물 정식 모듈이 오픈 상태로 변경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27 및 도 28은 도 22의 작물 정식 장치 중 작물 정식 모듈이 클로즈 상태로 변경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삽 오픈 유닛(6340)은 제1 오픈 막대(6342), 제2 오픈 막대(6344) 및 오픈 롤러(63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오픈 막대(6342)는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6320, 6330)에 걸쳐 형성되도록 연장된 형상을 갖고, 일단부가 메인 회전축(A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정식삽(6320)의 일측면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오픈 막대(6344)는 상기 제2 정식삽(6330)에서 상기 상단 몸체(6310)를 거쳐 상부로 연장된 형상을 갖고, 일단부가 상기 제1 오픈 막대(6342)의 타단부와 서브 회전축(A2)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오픈 롤러(6346)은 상기 제2 오픈 막대(6344)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작물 정식 장치(600)는 상기 작물의 정식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 오픈 가이드바(6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픈 가이드바(6110)는 상기 정식 순환 경로를 따라 이동시 상기 오픈 롤러(6346)를 가압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6320, 6330)을 상기 오픈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픈 가이드바(6110)는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정식기 몸체(6100) 또는 상기 회전 이동 모듈(6200)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오픈 막대(6344)는 상기 오픈 롤러(6346)가 가압될 때, 일 방향, 예를 들어 상기 상단 몸체(631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의 배치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오픈 가이드바(6110)는 상기 작물 정식 모듈(6300)이 상기 정식 순환 경로를 따라 이동시 상기 오픈 롤러(6346)에 가압하는 힘이 증가되도록, 이동 방향에 따라 두께가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오픈 막대(6342)에는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오픈 가이드홈(6342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정식삽(6330)의 일측면에는 상기 오픈 가이드홈(6342a)에 삽입되는 오픈 가이드 돌기(633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픈 가이드 돌기(6334)가 상기 오픈 가이드홈(6342a)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오픈 막대(6342)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삽 클로즈 유닛(6350)은 제1 클로즈 막대(6352), 제2 클로즈 막대(6354) 및 클로즈 롤러(63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로즈 막대(6352)는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6320, 6330)에 걸쳐 형성되도록 연장된 형상을 갖고, 일단부가 상기 메인 회전축(A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정식삽(6320)의 일측면에 연결된다. 상기 제2 클로즈 막대(6354)는 상기 제1 정식삽(6320)의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고, 일단부가 상기 제1 클로즈 막대(6352)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스프링(6360)을 통해 상기 상단 몸체(631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클로즈 막대들(6352, 6354)은 서로 일체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클로즈 롤러(6356)은 상기 제2 클로즈 막대(6354)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작물 정식 장치(600)는 상기 정식 순환 경로 중 상기 작물의 정식 위치가 아닌 다른 어느 한 위치, 예를 들어 상기 작물의 정식 위치 및 상기 작물의 공급 위치의 중간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 클로즈 가이드바(6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로즈 가이드바(6120)는 상기 작물 정식 모듈(6300)이 상기 정식 순환 경로를 따라 이동시 상기 클로즈 롤러를 누르거나 가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6320, 6330)을 상기 클로즈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클로즈 막대(6352)에는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클로즈 가이드홈(6352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정식삽(6330)의 일측면에는 상기 클로즈 가이드홈(6352a)에 삽입되는 클로즈 가이드 돌기(633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로즈 가이드 돌기(6336)가 상기 클로즈 가이드홈(6352a)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클로즈 막대(6352)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클로즈 막대(6352)에는 상기 클로즈 가이드홈(6352a)의 일단부와 연결된 걸림홈(6352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픈 가이드바가(6110)가 상기 오픈 롤러(6346)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오픈 가이드 돌기(6334)가 상기 오픈 가이드홈(6342a)을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클로즈 가이드 돌기(6352)가 상기 클로즈 가이드홈(6352a)의 일단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스프링(6360)에 의해 상기 걸림홈(6352b)에 걸려 고정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6320, 6330)은 상기 오픈 상태로 변경된 후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클로즈 가이드바(6120)가 상기 클로즈 롤러(6356)가 가압하게 되면, 상기 클로즈 가이드 돌기(6336)가 상기 걸림홈(6352b)에서 상기 클로즈 가이드홈(6352a)의 일단부로 이동한 후, 다시 상기 제2 스프링(6370)에 의해 상기 클로즈 가이드 돌기(6336)가 상기 클로즈 가이드홈(6352a)의 타단부로 이동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6320, 6330)은 상기 클로즈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물 정식 모듈(6300)이 상기 회전 이동 모듈(6200)에 의해 상기 정식 순환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작물의 정식 위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6320, 6330)이 상기 삽 오픈 유닛(6340)에 의해 상기 오픈 상태로 변경한 후, 상기 삽 클로즈 유닛(6350)에 의해 다시 상기 클로즈 상태로 변경함에 따라, 보다 단순한 기계적 메커니즘을 통해 작물 정식을 수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이 단순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낮추고, 고장 발생이 적고, 고장 수리가 간편해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메인 몸체 200 : 트레이 이송 장치
210 : 트레이 이송 모듈 212 : 트레이 이송 체인부
214 : 트레이 걸림부 220 : 트레이 이송 동력 제공 모듈
222 : 제1 회전캠 224 : 트레이 이송력 전달부
300 : 푸시 장치 310 : 모종 푸시부
312 : 푸시봉 320 : 푸시 동력 제공 모듈
322 : 제2 회전캠부 324 : 푸시력 전달부
400 : 모종 픽업 장치 410 : 픽업 투하 모듈
412 : 지지 몸체부 414 : 모종 픽업부
414a : 모종 픽업 유닛 416 : 모종 투하부
416a : 모종 투하 유닛 416b : 푸시 투하부
418 : 픽업 가이드부 420 : 픽업 동력 제공 모듈
422 : 제3 회전캠부 424 : 픽업력 전달부
500 : 이송 투하 모듈 510 : 모종 지지부
512 : 모종 투하홀 520 : 모종 이송 모듈
522 : 회전 이송부 522a : 회전 칸막이
524 : 제4 회전캠부 526 : 회전력 전달부
600 : 작물 정식 장치 700 : 동력 전달 장치
10 : 모종 20 : 트레이
22 : 포켓 H : 푸시홀
P1 : 하부홈 P2 : 측부홈
24 : 손잡이부 26 : 연결홈부
26-a : 제1 연결홈 26-b : 제2 연결홈
28 : 물빠짐홀 6100 : 정식기 몸체
6200 : 회전 이동 모듈 6300 : 작물 정식 모듈

Claims (18)

  1. 메인 몸체;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트레이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트레이 이송 장치;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트레이에서 빼내도록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푸시(push)할 수 있는 모종 푸시 장치;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트레이에서 빼내도록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픽업(pick up)할 수 있는 모종 픽업 장치;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모종 픽업 장치에 의해 픽업된 적어도 하나의 모종을 지지한 후 이송하여 투하시킬 수 있는 이송 투하 장치;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 투하 장치에 의해 투하된 적어도 하나의 모종을 정식할 수 있는 모종 정식 장치; 및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 상기 모종 푸시 장치, 상기 모종 픽업 장치, 상기 이송 투하 장치 및 상기 모종 정식 장치 각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동력 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세로 방향을 따라 M개의 행으로 배치되고, 상기 세로 방향에 수직하게 교차하는 가로 방향을 따라 N개의 열로 배치되며, 모종들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포켓(pocket)들이 형성되고,
    상기 포켓들 각각의 하부의 중심에는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모종을 상기 제2 방향으로 푸시하기 위한 푸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정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들 각각의 하부에는
    상기 푸시홀과 연결된 하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정식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홈은
    상기 푸시홀을 중심으로 십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정식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들 각각의 측부에는
    상기 푸시홀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측부홈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정식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손잡이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정식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포켓(pocket)들을 연결하는 연결홈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정식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홈들 사이 각각에는
    물빠짐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정식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는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트레이 이송 모듈; 및
    상기 트레이 이송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 전달 장치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를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을 상기 트레이 이송 모듈로 제공할 수 있는 트레이 이송 동력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정식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이송 모듈은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를 배치시켜 체인에 의한 회전 이동을 통해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트레이 이송 체인부; 및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면서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고, 상기 체인이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여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트레이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정식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이송 체인부는
    한 쌍의 체인 지지 몸체들을 포함하는 체인 지지체;
    한 쌍의 체인지지 몸체들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배치된 회전 톱니들; 및
    상기 외측면에 배치된 회전 톱니들에 의해 연결된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걸림부는
    상기 체인 지지체의 하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의 하부를 걸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정식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부는
    상기 체인 지지체의 하면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들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회전 톱니들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 톱니들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정식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푸시 장치는
    상기 트레이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여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푸시할 수 있는 모종 푸시부; 및
    상기 모종 푸시부와 연결되고, 상기 동력 전달 장치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푸시하기 위한 동력을 상기 모종 푸시부로 제공할 수 있는 푸시 동력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정식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픽업 장치는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트레이에서 빼내도록 상기 제3 방향으로 픽업하여 투하시킬 수 있는 픽업 투하 모듈; 및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동력 전달 장치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트레이에서 빼내도록 픽업시키기 위한 동력을 상기 픽업 투하 모듈로 제공할 수 있는 픽업 동력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정식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투하 모듈은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된 지지 몸체부;
    상기 지지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픽업 동력 제공 모듈에서 제공된 동력에 의해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함으로써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픽업하여 상기 트레이에서 뽑아낼 수 있는 모종 픽업부; 및
    상기 지지 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모종 픽업부에 의해 픽업된 적어도 하나의 모종을 투하시킬 수 있는 모종 투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정식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투하 장치는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모종 픽업 장치에 의해 투하된 적어도 하나의 모종을 지지하며, 상기 모종 정식 장치로 모종을 투하시킬 수 있는 모종 투하홀을 갖는 모종 지지부; 및
    상기 모종 지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동력 전달 장치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모종 지지부에 지지된 모종을 상기 모종 투하홀로 이동시킬 수 있는 모종 이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정식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정식 장치는
    상기 메인 몸체에 장착된 정식기 몸체;
    상기 정식기 몸체에 장착되고, 작물의 정식 위치를 포함하는 정식 순환 경로를 따라 회전 이동시키는 회전 이동 모듈; 및
    상기 회전 이동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정식 순환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물 정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작물 정식 모듈은
    상기 회전 이동 모듈과 연결되고, 테두리 형태를 갖는 상단 몸체;
    상기 상단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단 몸체의 일측과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제1 정식삽;
    상기 제1 정식삽과 대칭이 되도록 상기 상단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단 몸체의 타측과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 정식삽과 함께 작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시키는 제2 정식삽;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정식삽을 일측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제2 정식삽을 상기 일측 방향의 반대인 타측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켜,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된 작물을 정식시키기 위한 오픈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는 삽 오픈 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정식삽들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오픈 상태를 작물을 수용할 수 있는 클로즈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는 삽 클로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정식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장치는
    상기 트레이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로 제1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을 푸시하여 상기 트레이에서 빼내도록 상기 모종 푸시 장치로 제2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모종을 픽업하여 상기 트레이에서 빼내도록 상기 모종 픽업 장치로 제3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모종 픽업 장치에 의해 투하된 모종을 이송하여 투하시키도록 상기 이송 투하 장치로 제4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이송 투하 장치에 의해 투하된 모종을 정식하도록 상기 모종 정식 장치로 제5 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정식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푸시 장치는 상기 포켓들 중 어느 한 행에 배치된 포켓들에 수용된 N개의 모종들을 동시에 푸시할 수 있고,
    상기 모종 픽업 장치는 상기 어느 한 행에 배치된 포켓들에 수용된 N개의 모종들을 동시에 픽업할 수 있으며,
    상기 이송 투하 장치는 상기 모종 픽업 장치에 의해 픽업된 N개의 모종들을 순차적으로 투하시킬 수 있고,
    상기 모종 정식 장치는 상기 이송 투하 장치에서 순차적으로 투하된 모종들을 순차적으로 정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정식기.
KR2020160007457U 2016-12-22 2016-12-22 트레이에 배치된 모종을 픽업하여 이식하는 작물 정식기 KR200487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457U KR200487958Y1 (ko) 2016-12-22 2016-12-22 트레이에 배치된 모종을 픽업하여 이식하는 작물 정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457U KR200487958Y1 (ko) 2016-12-22 2016-12-22 트레이에 배치된 모종을 픽업하여 이식하는 작물 정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970U true KR20180001970U (ko) 2018-07-02
KR200487958Y1 KR200487958Y1 (ko) 2018-11-28

Family

ID=6290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457U KR200487958Y1 (ko) 2016-12-22 2016-12-22 트레이에 배치된 모종을 픽업하여 이식하는 작물 정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9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077B1 (ko) * 2018-09-21 2019-10-01 (주) 우진공업 모종이식기의 모종 종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290B1 (ko) 2020-08-28 2023-09-06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생분해성 포트 전용 채소 정식기 이송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6676B2 (ja) * 1991-01-18 1997-12-08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移植機
JPH10215690A (ja) * 1997-02-05 1998-08-18 Tohoku Tachibana:Kk 育苗トレイ
JP2009261278A (ja) * 2008-04-23 2009-11-12 Iseki & Co Ltd 苗移植機
JP4573037B2 (ja) * 2005-03-29 2010-11-04 井関農機株式会社 野菜苗移植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6676B2 (ja) * 1991-01-18 1997-12-08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移植機
JPH10215690A (ja) * 1997-02-05 1998-08-18 Tohoku Tachibana:Kk 育苗トレイ
JP4573037B2 (ja) * 2005-03-29 2010-11-04 井関農機株式会社 野菜苗移植機
JP2009261278A (ja) * 2008-04-23 2009-11-12 Iseki & Co Ltd 苗移植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077B1 (ko) * 2018-09-21 2019-10-01 (주) 우진공업 모종이식기의 모종 종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958Y1 (ko) 201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1800B2 (en) Independently automated mechanical transplanter
EP355247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cing plant bulbs
KR101938081B1 (ko) 고구마 순 이식기
US7316189B2 (en) Automated planter
KR200487958Y1 (ko) 트레이에 배치된 모종을 픽업하여 이식하는 작물 정식기
KR101883828B1 (ko) 모종 픽업 장치를 포함한 작물 정식기
JP2000106776A (ja) 水耕栽培における自動栽培装置
KR100933133B1 (ko) 종구 파종기
JP2013110984A (ja) 播種機
WO2016195604A1 (en) A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eedlings or plant propagation materials and process thereof
KR101816403B1 (ko) 이식기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
JPH069442B2 (ja) 苗植え付け装置
KR101790024B1 (ko) 작물 정식기
JPH09121627A (ja) 苗植機
KR20190036674A (ko) 병목해소장치와 절단장치가 구비된 감자 파종기
JPH0965722A (ja) 苗移植機
GB2387757A (en) Automated planter
JPH0799852A (ja) 株間隔調整式搬送栽培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栽培パネル
AU2003304392B2 (en) Automated planter
WO2020140482A1 (zh) 高速送秧方法、高速插秧方法以及高速插秧机
JPH08298872A (ja) 苗栽培用のトレー
JP2005278409A (ja) 移植機
JP2006121971A (ja) 苗挿し機
JP2002176858A (ja) 苗挿し機
JP2002095313A (ja) 苗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