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631U - 치열 교정기의 클립 장탈착기구 - Google Patents

치열 교정기의 클립 장탈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631U
KR20180001631U KR2020160006819U KR20160006819U KR20180001631U KR 20180001631 U KR20180001631 U KR 20180001631U KR 2020160006819 U KR2020160006819 U KR 2020160006819U KR 20160006819 U KR20160006819 U KR 20160006819U KR 20180001631 U KR20180001631 U KR 201800016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pushing
stopping groove
bracket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668Y1 (ko
Inventor
문승수
문성혜
Original Assignee
문승수
문성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승수, 문성혜 filed Critical 문승수
Priority to KR2020160006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66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6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6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6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6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61C7/023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for debonding or removing orthodon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클립의 장착은 물론, 브라켓에 조립된 클립의 탈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치열 교정기의 클립 장탈착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일단부의 중간부분에 스토핑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핑홈의 일단 내면에서 바깥쪽 둘레로 이어지는 부분에 제1푸시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토핑홈의 반대방향으로 이어지는 제1푸시돌기의 바깥쪽 둘레를 따라 로크푸시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장탈착부재; 상기 장탈착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치열 교정기의 클립 장탈착기구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치열 교정기의 클립 장탈착기구{PUT AND PULL DEVICE OF CLIP FOR BRACE}
본 고안은 클립의 장착은 물론, 브라켓에 조립된 클립의 탈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치열 교정기의 클립 장탈착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치열 교정기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 치열 교정기는 치아표면에 브라켓을 고정시킨 후 브라켓을 아치와이어(Arch wire : 교정용 와이어)로 연결시켜 아치와이어에 의해 발생 되는 인장력으로 고르지 못한 치열을 교정한다.
이러한 브라켓의 구조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고 있는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100)은 클립(20)이 조립되어 와이어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100)은 그 하부에 판 형상의 베이스(10)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0)의 하면이 치아전면이나 치아후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치아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중단에는 치아에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홀(11)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삽입홈(12)이 조성됨으로써, 상기 삽입홈(12) 내에 와이어(30)가 삽입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클립(20)은, 일단이 상기 체결홀(11)에 삽입되고, 타단에는 고리 형상의 후크부(2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후크부(21)의 내측에는 삽입공간(24)이 조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후크부(21)가 와이어(30)를 지지하도록 클립(20)을 브라켓(100)에 조립하게 되면, 상기 후크부(21)의 내면이 상기 브라켓(100)의 전단부 외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브라켓(100)의 전단부가 상기 삽입공간(24) 내에 삽입 구비된다. 이때에, 상기 후크부(21)의 끝부분 내면이 삽입홈(12)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함으로써, 상기 후크부(21)의 단부 내면에 와이어(30)의 상단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2)의 길이방향으로 와이어(30)가 삽입되어, 상기 후크부(21)의 단부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와이어(30)가 지지될 수 있다.
즉, 고리 형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클립(20)의 타단부가 벌어지면서 후크부(21)가 탄성력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후크부(21)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와이어(30)의 상단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치열 교정을 위해 브라켓(10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베이스(10)가 치아에 부착된 상태에서 클립(20)을 밀어 넣어 조립해야 하는데, 브라켓은 물론 클립의 크기가 치아보다도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있어, 시술자가 손으로 클립을 미는 데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위생상 청결하지 못하여 환자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브라켓(100)에 구비된 와이어(30)를 클립(20)이 커버하는 상태에서 와이어가 노출되는 상태로 클립의 탈착이 필요한 경우, 클립에만 힘을 가하여 클립을 브라켓으로부터 언록 상태로 탈착해야 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립의 크기가 작아 손으로는 이를 정교하게 시술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클립의 조립은 물론, 브라켓에 조립된 상태의 클립을 쉽게 탈착할 수 있는 기구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고안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489625 B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클립의 장착은 물론, 브라켓에 조립된 클립의 탈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치열 교정기의 클립 장탈착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일단부의 중간부분에 스토핑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핑홈의 일단 내면에서 바깥쪽 둘레로 이어지는 부분에 제1푸시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토핑홈의 반대방향으로 이어지는 제1푸시돌기의 바깥쪽 둘레를 따라 로크푸시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장탈착부재; 상기 장탈착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로크푸시부는 그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의 곡률이, 상기 로크푸시부가 접촉되는 클립 외면의 볼록한 곡면의 곡률과 대응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탈착부재의 타단부로 이어지는 로크푸시부의 끝부분에 상기 장탈착부재의 둘레를 따라 마감부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핑홈의 타단 내면에서 바깥쪽 둘레로 이어지는 부분에 제2푸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토핑홈의 반대방향으로 이어지는 제2푸시돌기의 바깥쪽 둘레를 따라 언록푸시부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푸시돌기는 제2푸시돌기보다 장탈착부재의 일단부 방향으로 더 길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고안은, 클립에 접촉되는 로크푸시부가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클립의 조립과정에서 로크푸시부의 외면이 클립의 외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클립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언록푸시부를 클립에 걸어 클립을 브라켓으로부터 탈착시, 제1푸시돌기의 일면이 브라켓의 일부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클립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여 클립이 브라켓으로부터 완전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적용 가능한 브라켓 및 클립의 구성을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브라켓과 클립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클립이 브라켓에 조립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클립 장탈착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a, 5b는 본 고안에 따른 클립 장탈착기구를 이용하여 클립을 브라켓에 장착하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6b는 본 고안에 따른 클립 장탈착기구를 이용하여 브라켓에 장착된 클립을 탈착하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치열 교정기의 클립 장탈착기구는, 장탈착부재(50)와, 손잡이(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클립 장탈착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먼저 장탈착부재(50)는 일단부의 중간부분에 스토핑홈(51)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토핑홈(51)의 일단 내면에서 바깥쪽 둘레로 이어지는 부분에 제1푸시돌기(5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푸시돌기(52)를 기준으로 스토핑홈(51)의 반대방향으로 이어지는 제1푸시돌기(52)의 바깥쪽 둘레를 따라 로크푸시부(53)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장탈착부재(50)는 도 5a, 5b 및 도 6a,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100)에 구비된 클립(20)에 접촉되어 클립(20)을 밀게 되는 것으로, 금속재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클립(20)을 보다 안정적으로 밀어내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손잡이(60)는 상기 장탈착부재(50)의 타단부에 결합 구비되는 것으로, 시술자가 클립 장탈착기구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사용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장탈착부재(50)가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해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탈착부재(50)의 타단부 중간에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60)의 단부에는 상기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슬롯 내에 고리 구조로 걸려지면서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60)에 장탈착부재(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클립(20)을 브라켓(100)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로크푸시부(53)를 클립(20)에 접촉한 상태에서 브라켓(100)을 향해 클립(20)을 밀게 되는데, 이때에 클립(20)에 접촉되는 로크푸시부(53)가 일정 곡률을 갖는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로크푸시부(53)의 오목한 곡면이 클립(20)의 외면을 감싸듯이 접촉되어 클립(20)을 밀게 된다.
따라서, 클립(20)을 밀어 조립하는 과정에서 로크푸시부(53)의 외면이 클립(20)의 외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클립(20)을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조립하게 되고, 이에 클립(20)의 조립 안정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특히, 도 5a,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로크푸시부(53)가 접촉되는 클립(20)의 외면은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립(20)의 경우,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고리 부분의 바깥쪽 외면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록한 부분의 클립(20) 외면에 로크푸시부(53)가 접촉된다.
이에, 상기 로크푸시부(53)는, 그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의 곡률이 상기 로크푸시부(53)가 접촉되는 클립(20) 외면의 볼록한 곡면의 곡률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로크푸시부(53)의 오목한 곡면이 클립(20)의 볼록한 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지지됨으로써, 로크푸시부(53)의 미끄러짐 없이 클립(20)을 더욱 안정적으로 밀어 조립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장탈착부재(50)의 타단부로 이어지는 로크푸시부(53)의 끝부분에 상기 장탈착부재(50)의 둘레를 따라 마감부(54)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로크푸시부(53)에서 마감부(54)로 이어지는 장탈착부재(50)의 바깥쪽 둘레의 형상이 대략 'S'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로크푸시부(53)의 끝부분이 둥글게 마감 형성됨으로써, 클립(20)의 외면에 찍힘이나 스크래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6a,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스토핑홈(51)의 타단 내면에서 바깥쪽 둘레로 이어지는 부분에 제2푸시돌기(5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토핑홈(51)의 반대방향으로 이어지는 제2푸시돌기(55)의 바깥쪽 둘레를 따라 언록푸시부(56)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브라켓(100)에 조립된 클립(20)을 언록상태로 탈착하기 위해서는 언록푸시부(56)를 클립(20)에 접촉한 상태에서 브라켓(1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클립(20)을 밀게 된다.
예컨대, 클립(20)에 형성된 후크부(21)의 단부가 상기 후크부(21)의 중단으로부터 분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바, 상기 후크부(21)의 중단에는 분기홈(26)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언록푸시부(56)의 외면을 분기홈(26)에 건 상태에서, 클립(20)을 브라켓(100)으로부터 빼내는 방향으로 힘을 주게 되면, 클립(20)이 브라켓(100)으로부터 언록상태로 탈착된다. 이 같은 언록상태에서는, 클립(20)이 와이어(30)를 더 이상 커버하지 않게 되면서 와이어(3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클립(20)이 브라켓(100)으로부터 탈착 이동시, 상기 제2푸시돌기(55)와 마주하는 제1푸시돌기(52)의 일면이 브라켓(100)의 일부에 걸려지게 되면서 클립(20)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클립(20)이 브라켓(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분기홈(26)과 마주하는 브라켓(100)의 위치에 스토퍼(16)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클립(20)이 브라켓(100)으로부터 탈착되는 과정에서 제1푸시돌기(52)가 스토퍼(16)에 걸려지게 되고, 이에 클립(20)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여 클립(20)이 브라켓(100)으로부터 완전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푸시돌기(52)는 제2푸시돌기(55)보다 장탈착부재(50)의 일단부 방향으로 더 길게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스토핑홈(51)의 일단 내면과 타단 내면 사이의 거리는 클립(20)의 탈착상태에서 분기홈(26)과 스토퍼(16)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50 : 장탈착부재 51 : 스토핑홈
52 : 제1푸시돌기 53 : 로크푸시부
54 : 마감부 55 : 제2푸시돌기
56 : 언록푸시부 60 : 손잡이

Claims (5)

  1. 일단부의 중간부분에 스토핑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핑홈의 일단 내면에서 바깥쪽 둘레로 이어지는 부분에 제1푸시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토핑홈의 반대방향으로 이어지는 제1푸시돌기의 바깥쪽 둘레를 따라 로크푸시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장탈착부재;
    상기 장탈착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치열 교정기의 클립 장탈착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푸시부는 그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의 곡률이, 상기 로크푸시부가 접촉되는 클립 외면의 볼록한 곡면의 곡률과 대응하거나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기의 클립 장탈착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탈착부재의 타단부로 이어지는 로크푸시부의 끝부분에 상기 장탈착부재의 둘레를 따라 마감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기의 클립 장탈착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홈의 타단 내면에서 바깥쪽 둘레로 이어지는 부분에 제2푸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토핑홈의 반대방향으로 이어지는 제2푸시돌기의 바깥쪽 둘레를 따라 언록푸시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기의 클립 장탈착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푸시돌기는 제2푸시돌기보다 장탈착부재의 일단부 방향으로 더 길게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기의 클립 장탈착기구.
KR2020160006819U 2016-11-24 2016-11-24 치열 교정기의 클립 장탈착기구 KR2004866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819U KR200486668Y1 (ko) 2016-11-24 2016-11-24 치열 교정기의 클립 장탈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819U KR200486668Y1 (ko) 2016-11-24 2016-11-24 치열 교정기의 클립 장탈착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631U true KR20180001631U (ko) 2018-06-01
KR200486668Y1 KR200486668Y1 (ko) 2018-06-20

Family

ID=6259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819U KR200486668Y1 (ko) 2016-11-24 2016-11-24 치열 교정기의 클립 장탈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668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9367A (ja) * 2002-12-09 2008-10-02 Tomii Kk 歯列矯正ブラケットに装着されるクリップの開放ツール、開放方法及び装着方法
JP2009006149A (ja) * 2007-06-28 2009-01-15 Ormco Corp 歯列矯正器の自己結紮に使用される歯列矯正用ハンドツール、このような歯列矯正用ハンドツールを使用するための方法、自己結紮する歯列矯正器(self−ligatingorthodonticbracket)及び歯列矯正器システム
KR200464616Y1 (ko) * 2011-01-18 2013-02-15 휴비트 주식회사 자가결찰 브래킷의 커버 개폐용 툴
US20150017595A1 (en) * 2013-07-12 2015-01-15 Bernhard Förster Gmbh Orthodontic Tool for Opening a Self-ligating Bracket
KR101489625B1 (ko) 2014-08-14 2015-02-04 문승수 치열 교정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9367A (ja) * 2002-12-09 2008-10-02 Tomii Kk 歯列矯正ブラケットに装着されるクリップの開放ツール、開放方法及び装着方法
JP2009006149A (ja) * 2007-06-28 2009-01-15 Ormco Corp 歯列矯正器の自己結紮に使用される歯列矯正用ハンドツール、このような歯列矯正用ハンドツールを使用するための方法、自己結紮する歯列矯正器(self−ligatingorthodonticbracket)及び歯列矯正器システム
KR200464616Y1 (ko) * 2011-01-18 2013-02-15 휴비트 주식회사 자가결찰 브래킷의 커버 개폐용 툴
US20150017595A1 (en) * 2013-07-12 2015-01-15 Bernhard Förster Gmbh Orthodontic Tool for Opening a Self-ligating Bracket
KR101489625B1 (ko) 2014-08-14 2015-02-04 문승수 치열 교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668Y1 (ko)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9765B2 (ja) 歯列矯正用装置及び歯列矯正用キャップの着脱方法
KR101489625B1 (ko) 치열 교정기구
JP6313528B2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CN108206495B (zh) 线缆固定装置及方法
JP2006192272A (ja) 自己結紮歯科矯正ブラケット
CN107850100B (zh) 固定件
RU2012137269A (ru) Держатель картриджа, устройство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пособ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картриджа в держателе картриджа
JP2015504501A (ja) ホースクランプ
KR20160049609A (ko) 치열교정용 브래킷
JP2013145049A (ja) 結合要素および結合要素のためのロック解除要素
JP2007189806A (ja) ワイヤーハーネス固定具
KR200486668Y1 (ko) 치열 교정기의 클립 장탈착기구
JP2007050030A (ja) 歯列矯正用キャップおよび歯列矯正用アタッチメント
JP2006297052A (ja) 歯列矯正具
JP3129689U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JP3983822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及びワイパーブレード用の交換キット
KR20180127123A (ko) 치열교정용 브래킷
WO2018135569A1 (ja) 歯科矯正用のブラケットおよびブラケット位置決め用治具
JP5462582B2 (ja) ヘルメットの内装体掛け具
KR20170076259A (ko) 치열교정용 브래킷
JP3187297U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WO2012137839A1 (ja) クリップ
JP3138148U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JP3067787U (ja) 歯列矯正用ワイヤロック装置
KR101501197B1 (ko)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브라켓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