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9609A - 치열교정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치열교정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9609A
KR20160049609A KR1020140146232A KR20140146232A KR20160049609A KR 20160049609 A KR20160049609 A KR 20160049609A KR 1020140146232 A KR1020140146232 A KR 1020140146232A KR 20140146232 A KR20140146232 A KR 20140146232A KR 20160049609 A KR20160049609 A KR 20160049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locking member
main body
elastic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6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7454B1 (ko
Inventor
임혁
조상환
Original Assignee
휴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6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4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49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7Sliding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 타면에 결찰슬롯을 형성한 안내부를 형성하고, 이 안내부 사이의 바닥면에 형성된 체결홈에 상단이 아치형상으로 굴곡진 탄성부재를 삽입체결하며, 결찰슬롯을 따라 잠금부재를 슬라이딩 결합하되, 이 잠금부재의 저면부가 탄성부재에 걸림도록 함으로써, 탄성부재를 타고 넘어간 잠금부재가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어 와이어슬롯을 개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래킷은, 탄성부재가 미세하게 좌우측방으로 눌림되었다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단순 작용으로 잦은 사용에도 변형 또는 파손이 일어나지 않고, 탄성부재의 변형 및 탄성력 저하가 발생되지 않아 잠금부재의 체결력이 견고하며, 와이어 슬롯 개방을 위해 잠금부재를 후방으로 이탈시 잠금부재의 가압돌기가 탄성부재를 누르는 압입감을 통해 잠금부재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에따라, 사용자가 정밀하게 잠금부재를 본체 후방으로 이동시켜 와이어슬롯을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으며, 잠금부재 일단이 본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심미감 유지와 동시에 사용자가 불쾌감 또는 이질감을 갖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치열교정용 브래킷{Orthodontics bracket}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의 결찰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잠금부재를 본체부 전단 또는 후단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탄성부재에 걸림고정하여 와이어슬롯의 상단을 개폐하는 치열교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열교정용 브래킷은 치아가 삐뚤어지고 치열이 고르지 못하여 외모가 보기 흉하게 일그러지거나, 음식물을 씹기가 어려우며, 치아의 사이로 바람이 새서 말을 할 때 발음이 불명확해지는 등 여러 가지 장애가 생기는 것을 해소하기 위한 교정치료 장치이다.
이러한, 치열교정용 브래킷은 적게는 수개월에서 많게는 수년 동안 치아에 부착된 상태로 교정치료가 행해지고, 장기간 교정치료시 치아의 교정방향 변경 및 와이어의 장력 조절을 위해 브래킷에서 와이어를 이탈시키거나 혹은 와이어 장력방향을 변경하는 시술을 행하게 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자가 결착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먼저 캡스프링의 탄성고정부가 몸체의 가이드돌기에 마찰되도록 함과 동시에, 탄성걸림부를 걸림공간 으로 밀어넣어 캡스프링이 몸체내로 진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캡스프링의 탄성고정부가 몸체의 가이드돌기를 타고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이동되되, 상기 탄성걸림부가 상기 걸림공간을 따라 전방으로 전진이동된다.
이때, 상기 캡스프링의 탄성고정부는 몸체의 가이드돌기를 타고 넘어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돌기 내측에 형성된 고정홈으로 진입된다.
여기서, 상기 캡스프링의 연결부는 가이드돌기 외면에 걸려 상기 탄성고정부와 상기 탄성걸림부가 상기 몸체에 정해진 깊이 이상 진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후, 상기 캡스프링의 탄성고정부와 탄성걸림부는 상기 연결부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굽어짐과 동시에, 상기 탄성고정부의 말단이 상기 고정홈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캡스프링의 탄성걸림부가 상방으로 정해진 각도 굽어짐에 따라, 상기 탄성걸림부 상면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공간의 상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삽입홈 상단부는 상기 캡스프링의 탄성고정부에 의해 폐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교정선이 상기 캡스프링의 탄성고정부에 차단되어 상기 삽입홈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몸체에 체결된 상기 캡스프링을 이탈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캡스프링의 공구삽입공에 공구를 삽입하여, 이 공구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캡스프링의 탄성고정부가 상기 가이드돌기를 타고 상기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홈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걸림부의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를 타고 후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탄성고정부는 상기 가이드돌기를 타고 넘어가는 순간 연결부의 탄성력에 의해 수축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탄성걸림부의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 말단에 걸림되어 상기 캡스프링이 상기 몸체에서 이탈되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상기 탄성고정부는 그 말단에 형성된 꺽임부가 상기 몸체의 지지홈에 걸림되어 상기 캡스프링이 상기 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특허문헌 1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가이드돌기를 타고 넘어가는 탄성고정부와 탄성걸림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넓어 연결부가 손쉽게 손상되거나 혹은 파손될 수 있고, 드물게 캡스프링을 전, 후 이동하더라도 연결부에 변형이 손쉽게 이루어지며, 연결부의 변형에 의해 캡스프링이 몸체에 체결되는 체결력이 저하되어 손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로, 삽입홈 개방을 위한 캡스프링을 탈착하는 사용자의 과도한 인장력에 의해 캡스프링의 걸림돌기가 몸체의 걸림홈에 걸려 파손되고, 이 파손으로 인해 캡스프링이 몸체에서 완전 이탈되어 재 사용이 불가능하며, 이로인해, 치아에 부착된 몸체를 이탈시켜 또 다른 몸체를 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셋째로, 상기의 이유로 인한 탄성력 약화로 몸체에 체결된 캡스프링에 유동이 발생되고, 캡스프링의 탄성걸림부가 몸체 일단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불쾌감 또는 이질감을 느끼며, 이에 따라 불편함을 호소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177364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부 타면에 결찰슬롯을 형성한 안내부를 형성하고, 이 안내부 사이의 바닥면에 형성된 체결홈에 상단이 아치형상으로 굴곡진 탄성부재를 삽입체결하며, 결찰슬롯을 따라 잠금부재를 슬라이딩 결합하되, 이 잠금부재의 저면부가 탄성부재에 걸림도록 함으로써, 탄성부재를 타고 넘어간 잠금부재가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어 와이어슬롯을 개폐하는 치열교정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래킷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래킷은, 일면에 치아에 부착되는 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와 대응되는 타면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결찰슬롯을 형성한 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 사이의 바닥면에 함몰형성된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 전방에 상기 안내부와 직교되게 돌출된 차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와 차단부 사이에 치열교정용 와이어가 통과되는 와이어슬롯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체결홈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삽입 체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굴곡지게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눌림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결찰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되, 저면부가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에 걸림되어 상기 와이어슬롯의 상단을 개폐하는 잠금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굴곡지게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절곡되게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양단에 상기 결찰슬롯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결찰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 상방으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 상단에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홈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상기 탄성부재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눌러 가압하는 가압돌부가 연장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차단부 상면에 상기 잠금부재를 상기 본체부에서 강제 이탈시키는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홈을 더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래킷은, 탄성부재가 미세하게 좌우측으로 눌림되었다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단순 작용으로 잦은 사용에도 변형 또는 파손이 일어나지 않고, 탄성부재의 변형 및 탄성력 저하가 발생되지 않아 잠금부재의 체결력이 견고하며, 와이어 슬롯 개방을 위해 잠금부재를 후방으로 이탈시 잠금부재의 가압돌기가 탄성부재를 누르는 압입감을 통해 잠금부재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에따라, 사용자가 정밀하게 잠금부재를 본체 후방으로 이동시켜 와이어슬롯을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의 단순 작동에 의한 탄성력 유지로 잠금부재에 유동이 발생되지 않고, 잠금부재 일단이 본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심미감 유지와 동시에 사용자가 불쾌감 또는 이질감을 갖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래킷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래킷의 잠금부재가 본체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래킷의 잠금부재에 탄성부재가 눌림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일면에 치아에 부착되는 부착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110)와 대응되는 타면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결찰슬롯(121)을 형성한 안내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120) 사이의 바닥면에 함몰형성된 체결홈(130)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120) 전방에 상기 안내부(120)와 직교되게 돌출된 차단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120)와 차단부(140) 사이에 치열교정용 와이어(W)가 통과되는 와이어슬롯(150)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복수의 치아에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슬롯(150)을 통해 통과되는 상기 치열교정용 와이어(W)에 의해 당겨진다.
상기 부착부(110)에는 상기 본체부(100)를 치아에 부착하는 접착제가 도포된다.
상기 부착부(110)는 치아 표면에 대응되도록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부(120)의 결찰슬롯(121)은 상기 잠금부재(300)의 결찰돌부(301)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안내한다.
상기 체결홈(130)은 내부에 상기 탄성부재(200)를 삽입 체결하여 상방으로 노출시킨다.
상기 차단부(140)는 상기 안내부(12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잠금부재(300) 일단과 맞닿아 상기 잠금부재(300)가 상기 본체부(100) 전방으로 정해진 깊이 이상 진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차단부(140)는 상면에 상기 잠금부재(300)를 상기 본체부(100)에서 강제 이탈시키는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홈(141)을 더 형성한다.
탄성부재(200)는 상기 체결홈(130)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삽입 체결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눌림된다.
상기 탄성부재(200)는 상단이 상기 잠금부재(300)의 걸림홈(302)에 수용되도록 상기 체결홈(130) 상방으로 노출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200)는 상단이 상기 잠금부재(300)의 걸림홈(302)에 걸림되어 상기 잠금부재(300)가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도록 고정한다.
잠금부재(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결찰슬롯(1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되, 저면부가 상기 탄성부재(200)의 양단에 걸림되어 상기 와이어슬롯(150)의 상단을 개폐한다.
상기 잠금부재(300)는 양단에 상기 결찰슬롯(121)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결찰돌부(301)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 상방으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300) 상단에 걸림되는 걸림홈(3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홈(302)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상기 탄성부재(200)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눌러 가압하는 가압돌부(303)가 연장형성된다.
상기 결찰돌부(301)는 단면 형상이 상기 결찰슬롯(121)의 형상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돌부(303)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잠금부재(300)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탄성부재(200)로 진입되는 시점에서 상기 탄성부재(200)를 누르면서 넘어간다.
상기 걸림홈(302)은 상기 가압돌부(303)를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도록 형성되고, 그 형상은 상기 탄성부재(200)의 형상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돌부(303)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잠금부재(300)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탄성부재(200)에 진입되는 시점에서 상기 탄성부재(200)를 하방으로 가압한 상태로 넘어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래킷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본체부(100)의 결찰슬롯(121)을 통해 잠금부재(300)의 결찰돌부(301)를 슬라이딩 결합하여 상기 잠금부재(300)를 상기 본체부(100)로 진입시킨다.
이때, 상기 잠금부재(300)의 가압돌부(303)를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된 걸림홈(302)을 상기 탄성부재(200) 상방으로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잠금부재(300)의 상기 걸림홈(302)이 상기 탄성부재(200)에 걸려 상기 잠금부재(300)가 상기 본체부(100) 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의 부착부(110)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시술자가 교정 치료를 하고자 하는 치아에 본체부(100)를 부착한다.
이후, 치아에 부착된 상기 본체부(100)의 와이어슬롯(150)을 통해 치열교정용 와이어(W)를 통과시키고, 이 치열교정용 와이어(W)가 와이어슬롯(15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잠금부재(300)를 본체부(100) 전방으로 밀어 상기 와이어슬롯(150) 상단을 폐쇄한다.
이때, 도 3를 참조하면, 시술자가 상기 잠금부재(300)를 상기 본체부(100) 전방으로 밀어내면, 상기 잠금부재(300)가 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돌부(303)가 상기 탄성부재(200)를 눌러 가압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돌부(303)는 상기 탄성부재(200) 사이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더 좁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부(303)가 상기 탄성부재(200)를 통과하는 시점에서 상기 탄성부재(200) 외면을 눌러 상기 탄성부재(20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축된다.
이어서, 상기 잠금부재(300)가 상기 본체부(100)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잠금부재(300)의 전단이 상기 차단부(140)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돌부(303)가 상기 탄성부재(200)를 벗어나고, 이에따라, 상기 탄성부재(200)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걸림홈(302)에 내주면에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잠금부재(300)로 와이어슬롯(150) 상방을 폐쇄한 상태에서, 시술자가 상기 와이어슬롯(150)을 통과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W)를 정해진 방향으로 잡아당겨 치열교정용 와이어(W)에 인장력을 부여함으로, 치열교정 치료가 행해진다.
반면, 상기 본체부(100)의 와이어슬롯(150)을 통과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W)를 이탈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부(140)의 공구삽입홈(141)을 통해 공구를 삽입하고, 그 상태에서 공구를 시술자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상기 공구삽입홈(141)에 삽입된 공구가 상기 잠금부재(300)의 전단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잠금부재(300)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가압돌부(303)가 상기 탄성부재(200)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200)를 타고 넘어간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재(300)가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에 위치되는 시점에서 상기 가압돌부(303)가 상기 탄성부재(200)를 지나게 되고, 이때, 상기 탄성부재(200)가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걸림홈(302) 내면에 밀착된다.
특히, 상기 걸림홈(302)에 걸림된 탄성부재(200)는 상기 잠금부재(300)가 상기 본체부(100) 후방으로 더 후퇴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잠금부재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부(100)에 체결되는 잠금부재(300)가 탄성부재(200)에 걸리도록 하여 와이어슬롯(150)을 개폐하는 구조는, 탄성부재(200)가 미세하게 좌우측방으로 눌림되었다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단순 작용으로 잦은 사용에도 변형 또는 파손이 일어나지 않고, 탄성부재(200)의 변형 및 탄성력 저하가 발생되지 않아 잠금부재(300)의 체결력이 견고하며, 와이어 슬롯(150) 개방을 위해 잠금부재(300)를 후방으로 이탈시 잠금부재(300)의 가압돌부(303)가 탄성부재(200)를 누르는 압입감을 통해 잠금부재(300)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에따라, 사용자가 정밀하게 잠금부재(300)를 본체 후방으로 이동시켜 와이어슬롯(150)을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200)의 단순 작동에 의한 탄성력 유지로 잠금부재(300)에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다.
100 : 본체부 110 : 부착부
120 : 안내부 121 : 결찰슬롯
130 : 체결홈 140 : 차단부
141 : 공구 삽입홈 150 : 와이어슬롯
200 : 탄성부재 300 : 잠금부재
301 : 결찰돌부 302 : 걸림홈
303 : 가압돌부 W : 치열교정용 와이어

Claims (4)

  1. 일면에 치아에 부착되는 부착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110)와 대응되는 타면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결찰슬롯(121)을 형성한 안내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120) 사이의 바닥면에 함몰형성된 체결홈(130)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120) 전방에 상기 안내부(120)와 직교되게 돌출된 차단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120)와 차단부(140) 사이에 치열교정용 와이어(W)가 통과되는 와이어슬롯(150)이 형성된 본체부(100);
    상기 체결홈(130)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삽입 체결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눌림되는 탄성부재(200);
    상기 본체부(100)의 결찰슬롯(1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되, 저면부가 상기 탄성부재(200)의 양단에 걸림되어 상기 와이어슬롯(150)의 상단을 개폐하는 잠금부재(3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브래킷.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00)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굴곡지게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절곡되게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브래킷.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300)는,
    양단에 상기 결찰슬롯(121)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결찰돌부(301)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 상방으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300) 상단에 걸림되는 걸림홈(3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홈(302)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상기 탄성부재(200)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눌러 가압하는 가압돌부(303)가 연장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브래킷.
  4. 제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차단부(140) 상면에 상기 잠금부재(300)를 상기 본체부(100)에서 강제 이탈시키는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홈(141)을 더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브래킷.
KR1020140146232A 2014-10-27 2014-10-27 치열교정용 브래킷 KR102307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232A KR102307454B1 (ko) 2014-10-27 2014-10-27 치열교정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232A KR102307454B1 (ko) 2014-10-27 2014-10-27 치열교정용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609A true KR20160049609A (ko) 2016-05-10
KR102307454B1 KR102307454B1 (ko) 2021-10-06

Family

ID=5602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6232A KR102307454B1 (ko) 2014-10-27 2014-10-27 치열교정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45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453A (ko) * 2016-09-21 2019-06-05 프리미어 오소돈틱 디자인스 엘엘엘피 치열 교정용 브래킷
KR102249132B1 (ko) * 2021-01-13 2021-05-07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치열교정 브라켓
KR102263019B1 (ko) * 2021-02-22 2021-06-08 원용대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
WO2022002191A1 (zh) * 2020-07-03 2022-01-06 广州欧欧医疗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可止锁的正畸器具
KR20220119852A (ko) * 2021-02-22 2022-08-30 원용대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
KR102455441B1 (ko) * 2021-12-15 2022-10-18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슬라이드형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55734A1 (en) * 2006-04-19 2009-06-18 Damon Dwight H Orthodontic bracket
US20090325120A1 (en) * 2007-07-23 2009-12-31 Ultradent Products, Inc.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with sliding ligation cover
KR20100022122A (ko) * 2007-06-28 2010-02-26 오름코 코포레이션 자가-결찰형 치열교정 브래킷 및 이를 배치하기 위한 장치
KR20110042258A (ko) * 2008-08-13 2011-04-26 오름코 코포레이션 심미적 치열교정용 브래킷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274081A (zh) * 2011-05-09 2011-12-14 杭州西湖生物材料有限公司 牙用正畸自锁托槽系统
KR101177364B1 (ko) 2010-11-18 2012-08-29 휴비트 주식회사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KR20130138128A (ko) * 2012-06-08 2013-12-18 마이크로 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치아교정기의 자동잠금 위치고정장치
US20140141384A1 (en) * 2012-11-16 2014-05-22 Rolf Hagelganz Self-ligating Orthodontic Appliance with Sliding Cove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55734A1 (en) * 2006-04-19 2009-06-18 Damon Dwight H Orthodontic bracket
KR20100022122A (ko) * 2007-06-28 2010-02-26 오름코 코포레이션 자가-결찰형 치열교정 브래킷 및 이를 배치하기 위한 장치
US20090325120A1 (en) * 2007-07-23 2009-12-31 Ultradent Products, Inc.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with sliding ligation cover
KR20110042258A (ko) * 2008-08-13 2011-04-26 오름코 코포레이션 심미적 치열교정용 브래킷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77364B1 (ko) 2010-11-18 2012-08-29 휴비트 주식회사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CN102274081A (zh) * 2011-05-09 2011-12-14 杭州西湖生物材料有限公司 牙用正畸自锁托槽系统
KR20130138128A (ko) * 2012-06-08 2013-12-18 마이크로 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치아교정기의 자동잠금 위치고정장치
US20140141384A1 (en) * 2012-11-16 2014-05-22 Rolf Hagelganz Self-ligating Orthodontic Appliance with Sliding Cove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453A (ko) * 2016-09-21 2019-06-05 프리미어 오소돈틱 디자인스 엘엘엘피 치열 교정용 브래킷
WO2022002191A1 (zh) * 2020-07-03 2022-01-06 广州欧欧医疗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可止锁的正畸器具
KR102249132B1 (ko) * 2021-01-13 2021-05-07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치열교정 브라켓
KR102263019B1 (ko) * 2021-02-22 2021-06-08 원용대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
KR20220119852A (ko) * 2021-02-22 2022-08-30 원용대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
KR102455441B1 (ko) * 2021-12-15 2022-10-18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슬라이드형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WO2023113247A1 (ko) *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슬라이드형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454B1 (ko) 202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9609A (ko) 치열교정용 브래킷
KR102131166B1 (ko) 슬라이딩 커버를 가진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 장치
JP4833250B2 (ja) 歯列矯正ブラケットに装着されるクリップの開放ツール
US8920164B2 (en) Orthodontic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and removing orthodontic cap
KR102000409B1 (ko) 치열 교정용 브래킷
KR100959151B1 (ko) 자가결찰방식의 치열교정장치
KR101177364B1 (ko)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US8568139B2 (en) Orthodontic bracket
KR100925286B1 (ko) 치아 교정용 브라켓
US20110020762A1 (en) Orthodontic bracket
US11617634B2 (en) Orthodontic bracket having ligating member
KR20160111141A (ko) 치과 교정시술용 덴탈 와이어 서포터 및 이를 갖는 치아교정장치
KR101489625B1 (ko) 치열 교정기구
CN108770339B (zh) 自锁式正畸托槽
KR20140058392A (ko) 설측브라켓
US7186114B2 (en) Self-ligating lingual orthodontic bracket
CA1303880C (en) Molded distal stop and attachment to fix orthodontic appliance into mouth
WO2016043446A1 (ko) 치열교정용 브래킷
KR102455441B1 (ko) 슬라이드형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KR20180136673A (ko) 치열교정용 브래킷
KR20180127123A (ko) 치열교정용 브래킷
KR20170076259A (ko) 치열교정용 브래킷
KR20180075903A (ko) 치열교정용 자가결찰 브래킷
KR20130076996A (ko) 회전식 결합형 자가결찰 치열교정 브라켓
KR20180127121A (ko) 치열교정용 브래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