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9852A -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 - Google Patents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9852A
KR20220119852A KR1020210023213A KR20210023213A KR20220119852A KR 20220119852 A KR20220119852 A KR 20220119852A KR 1020210023213 A KR1020210023213 A KR 1020210023213A KR 20210023213 A KR20210023213 A KR 20210023213A KR 20220119852 A KR20220119852 A KR 20220119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groove
self
stoppe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4739B1 (ko
Inventor
원용대
Original Assignee
원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용대 filed Critical 원용대
Priority to KR1020210023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739B1/ko
Publication of KR20220119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7Sliding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25Mouth tissue protecting means, e.g. bracket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3Brackets with two or more recesses for 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에 부착되고 와이어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딩 이동하는 캡; 및 상기 캡의 하면에 부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캡을 마주보는 면에 제1 홈 및 제2 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1 홈 또는 상기 제2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SELF-LIGATION ORTHODONTIC BRACKET}
본 발명은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치아 교정은 치아에 적당한 힘을 가하여 치조골 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치아를 움직여 주는 시술이다. 치열이 고르지 않거나, 부정교합이 있는 경우, 저작 기능, 치아 건강, 발음 등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치아 교정이 필요할 수 있다.
치아 교정은 치료 대상이 되는 치아를 치열교정기에 의하여 미량씩 이동시키고 고정시켜 주는 방식으로 긴 기간 동안(예를 들어, 2년 간) 이루어진다. 치아 교정기는 치료 대상이 되는 치아(즉, 목적 치아)의 표면에 직접 부착되어 고정되는 브라켓(bracket)과,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목적 치아에 소정의 압력 또는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wire)를 포함한다. 와이어는 오링(oring) 등의 연결부재에 의해 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다.
치아 교정 시, 1인 당 약 20여개의 브라켓이 치아에 부착되고 와이어는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한 달에 한 번) 교체된다. 치과의사가 와이어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1시간 이상의 긴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와이어 교체가 용이한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을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와이어 교체가 용이한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치아에 부착되고 와이어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딩 이동하는 캡; 및 상기 캡의 하면에 부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가이드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캡을 마주보는 면에 제1 홈 및 제2 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1 홈 또는 상기 제2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이 제공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캡의 하면에 부착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홈 또는 상기 제2 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의 하면에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 사이의 이동 시, 상기 리세스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각각은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양측으로 연장되는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캡의 상기 날개는, 상기 돌출부의 하측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제1 벽면; 바닥면; 및 상기 제1 벽면과 마주보는 제2 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벽면과 상기 바닥면을 제공하는 제1 구조체; 및 상기 제2 벽면을 제공하고, 상기 제1 구조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조체의 폭은 상기 제1 구조체의 폭보다 작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는 상기 제2 구조체의 양측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2 구조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캡은 상기 제2 구조체의 상측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에 의하면, 치아 교정 시 와이어를 교체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에서 수용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다른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에서 수용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에서 수용부가 개폐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의 본체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의 캡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의 캡에 스토퍼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에서 스토퍼가 제1 홈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에서 스토퍼가 제2 홈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에서 본체와 가이드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에서 수용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다른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에서 수용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에서 수용부가 개폐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은, 본체(100), 가이드(200), 캡(300), 스토퍼(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수용부(S)가 구비되고, 교정을 위한 와이어(W)는 본체(100)의 수용부(S)에 수용될 수 있다. 캡(300)은 수용부(S)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캡(300)이 수용부(S)를 개방하면 와이어(W)는 수용부(S)로 인입되거나, 수용부(S)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와이어(W)가 수용부(S)로 인입된 후에는 캡(300)이 수용부(S)를 폐쇄할 수 있다. 치과의사는 캡(30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와이어(W)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캡(300)이 수용부(S)를 폐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캡(300)은 한 쌍의 가이드(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캡(300)은 한 쌍의 가이드(200)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후퇴)하여 수용부(S)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4(a)의 수용부(S) 폐쇄 상태에서, 도 4(b)의 수용부(S) 개방 상태로 변경되면, 와이어(W)는 수용부(S) 상부를 통해 출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의 본체(10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치아에 부착되고 와이어(W)를 수용하는 수용부(S)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100)의 일면은 치아에 부착되고, 상기 일면은 치아의 표면에 대응하여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면은 접착제 등에 의해 치아에 부착될 수 있다.
본체(100)는 금속, 세라믹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세라믹 소재는 Al2O3 및 ZrO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l2O3는 단결정 및/또는 다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단결정이 사용되는 경우, 본체(100)는 투명하고, 다결정이 사용되는 경우, 본체(100)는 불투명할 수 있다. ZrO2가 사용되는 경우, 본체(100)는 불투명할 수 있다. 다만, 본체(100)의 투명도는 단결정 Al2O3, 다결정 Al2O3, ZrO2의 비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수용부(S)는 본체(10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본체(100)를 치열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S)는 와이어(W)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S)는 와이어(W)의 적어도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수용부(S)는 와이어(W)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수용부(S)는 와이어(W)가 삽입될 수 있는 홈 또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S)는 바닥면(101)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W)는 수용부(S)의 바닥면(101)에 안착될 수 있다. 수용부(S)는 적어도 하나의 벽면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S)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벽면(102)과 제2 벽면(103)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W)는 제1 벽면(102)과 제2 벽면(10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와이어(W)는 치아에 지속적인 장력을 주기 위한 구성이다. 와이어(W)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W)는 아치(arch)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W)는 초탄성(superelasticity) 또는 형상기억(shape-memory)의 특성을 가진 합금으로 형성되고, U자 등의 특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W)의 원래의 형상(예를 들어, U자 형태)으로 복원하려는 성질에 의해, 치아 및 주위조직은 부정 교합 위치에서 정상 위치로 이동하도록 리모델링(remodeling)될 수 있다.
본체(100)에는 제1 홈(110)과 제2 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110)과 제2 홈(120)은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110)과 제2 홈(120)은 캡(300)의 이동 방향(제1 방향 또는 x축 방향이라 함)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홈(110)과 제2 홈(120)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제2 방향 또는 y축 방향이라 함)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홈(110)과 제2 홈(120) 각각은 아래로 볼록하게 함몰되어, 내측면이 U자형의 곡면을 형성할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1 홈(110)과 제2 홈(120)은 캡(30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캡(300)은 제1 홈(110)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제2 홈(120)에 대응하는 제2 위치에서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본체(100)는 제1 구조체(100a)와 제2 구조체(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조체(100a)와 제2 구조체(100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된다는 것은 접합부가 없이 한 개의 물품으로 제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제1 구조체(100a)와 제2 구조체(100b)는 독립적으로 제작된 후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구조체(100a)와 제2 구조체(100b) 사이에 접합부가 존재할 수 있다.
제1 구조체(100a)는 수용부(S)의 제1 벽면(102)과 바닥면(101)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구조체(100b)는 수용부(S)의 제2 벽면(103)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구조체(100b)는 제1 구조체(100a)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1 벽면(102)과 제2 벽면(103)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1 구조체(100a)와 제2 구조체(100b)는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조체(100a)와 제2 구조체(100b)는 모두 치아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구조체(100a)와 제2 구조체(100b) 각각의, 치아에 부착되는 면은, 치아의 표면에 대응되게 서로 부드럽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구조체(100b)의 폭(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길이)은, 제1 구조체(100a)의 폭(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구조체(100b)는 제1 구조체(100a)의 중심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구조체(100a)은 가상의 면에 대해 대칭을 이루고, 제2 구조체(100b) 역시 상기 가상의 면에 대해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제2 구조체(100b)는 제1 구조체(100a)보다 짧은 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2 구조체(100b)의 양 옆으로 제1 구조체(100a)가 노출될 수 있다. 즉,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T자 형을 이룰 수 있다.
제2 구조체(100b)의 높이는 제1 구조체(100a)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벽면(103)의 높이는 제1 벽면(102)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홈(110)과 제2 홈(120)은 제2 구조체(100b)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캡(300)은 제2 구조체(100b)의 상측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캡(300)은 제1 구조체(100a)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캡(300)은 제2 벽면(103)의 상측에서 이동하며, 제1 벽면(102)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2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캡(3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200)할 수 있다. 즉, 캡(300)은 한 쌍의 가이드(210, 220)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210, 220)는 제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200)는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200)는 본체(100)와 독립적으로 제작된 후에 본체(1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200)는 접착부재 등에 의해 본체(100)에 부착될 수 있다.
가이드(200)는 본체(100)의 양측에 부착될 수 있다. 가이드(200)는 본체(100)의 제2 구조체(100b)의 양측에 부착될 수 있다. 가이드(200)의 일면은 제1 구조체(100a)에, 타면은 제2 구조체(100b)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되기 위한 상기 일면과 타면은 모두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200)에 있어서, 적어도 한 외측면은 수용부(S)의 제3 벽면(104)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수용부(S)는 제1 구조체(100a), 제2 구조체(100b), 그리고 가이드(200)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 벽면(104)은 제2 벽면(103)과 평평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200)는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된다는 것은 접합부가 없이 한 개의 물품으로 제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체(100)와 가이드(200)는 한 개의 물품으로 함께 제작될 수 있다.
도 5에서 가이드(200)가 별도 제작되어 본체(100)에 부착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에서 본체와 가이드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도 5의 본체(100)와 가이드(200)가 일체로 형성된 것(B)이 도시되고 있다.
각각의 가이드(200)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30, 240)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200)의 내측면(한 쌍의 가이드(210, 2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돌출부(230, 240)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230, 240)는 제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230, 240)의 하측에는 공간이 마련되며, 캡(30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간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돌출부(230, 240)의 단부는 본체(100)의 일부(제2 구조체(100b))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캡(3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돌출부(230, 240)와 본체(100)(제2 구조체(10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캡(300)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있어서, 상기 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캡(300)은 한 쌍의 가이드(200)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탈될 수 없고, 돌출부(230, 240)에 의해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탈될 수 없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의 캡(30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캡(300)은 한 쌍의 가이드(200) 사이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수용부(S)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캡(300)의 전단부는 수용부(S)의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수용부(S)를 폐쇄할 수 있고, 수용부(S)의 상부에서 벗어남으로써 수용부(S)를 개방할 수 있다. 수용부(S)를 개방하게 되면, 와이어(W)는 수용부(S)의 상부를 통해 출입할 수 있다.
캡(300)의 양측에는 날개(310)가 구비될 수 있다. 날개(310)는 캡(300)의 양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캡(300)의 양 날개(310)는 돌출부(230, 240)의 하측에 위치하여 돌출부(230, 240) 하측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캡(300)은 본체(100)의 일부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캡(300)은 제2 구조체(100b)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캡(300)은 제1 홈(110)과 제2 홈(12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캡(300)은 제1 홈(110)과 제2 홈(120)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의 캡(300)에 스토퍼(400)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스토퍼(400)는 캡(300)의 하면에 부착되어 캡(3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스토퍼(400)는 접착부재에 의해 캡(3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캡(300)이 슬라이딩 이동을 하면 스토퍼(400)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400)는 본체(100)와 캡(3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400)는 제2 구조체(100b)와 캡(3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400)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400)는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400)는 부착부(410)와 삽입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부(410)는 캡(300)의 하면에 부착되는 부분이다. 부착부(410)는 평평한 면을 포함할 수 있고, 얇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착부(410)는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420)는 부착부(410)의 일단에 결합되고, 본체(100)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420)는 U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420)는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420)는 제1 홈(110) 및 제2 홈(12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삽입부(420)는 본체(100)의 제1 홈(110) 또는 제2 홈(120)에 삽입될 수 있다. 캡(300)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면, 삽입부(420)는 제1 홈(110) 또는 제2 홈(120)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420)가 제1 홈(110) 또는 제2 홈(120)에 삽입되는 경우, 캡(300)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삽입부(420)가 제1 홈(110)에 삽입되는 경우, 캡(300)은 제1 위치에서 고정되고, 삽입부(420)가 제2 홈(120)에 삽입되는 경우, 캡(300)은 제2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삽입부(420)가 제1 홈(110)에 삽입되는 경우, 캡(300)은 수용부(S)를 폐쇄할 수 있고, 삽입부(420)가 제2 홈(120)에 삽입되는 경우, 캡(300)은 수용부(S)를 개방할 수 있다.
캡(300)의 하면에는 스토퍼(4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32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간(320)은 스토퍼(400)의 부착부(410)를 수용할 수 있다. 부착부(410)는 캡(300) 하면의 공간(320)에 삽입되고, 상기 공간(320)의 표면(321)에 부착될 수 있다.
캡(300)의 하면에는 스토퍼(400)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330)가 마련될 수 있다. 리세스(330)는 삽입부(420)의 도피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리세스(330)는 삽입부(420)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공간(320)과 연결될 수 있다. 리세스(330)의 깊이는 상기 공간(320)의 깊이보다 클 수 있다.
삽입부(420)는 캡(300)의 하면 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부착부(410)와의 연결부위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즉, 삽입부(420)와 부착부(410)의 연결부위는 꺾어지고 삽입부(420)는 캡(300)의 하면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삽입부(420)는 캡(300)의 하면 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삽입부(420)는 리세스(330) 내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에서 스토퍼(400)가 제1 홈(110)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에서 스토퍼(400)가 제2 홈(120)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캡(300)이 수용부(S)를 폐쇄하는 경우, 스토퍼(400)의 삽입부(420)는 제1 홀(110)에 삽입된다. 제1 홀(110)에 삽입된 삽입부(420)에 의하여 캡(300)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즉, 캡(300)은 제1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캡(300)은 도 10의 위치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수용부(S)를 개방할 수 있다. 이 때, 캡(300)의 슬라이딩 이동과 함께 스토퍼(400)도 함께 이동한다. 삽입부(420)는 제1 홀(110)에서 제2 홀(120) 측으로 이동되어 제2 홀(120)로 삽입된다. 제2 홀(120)에 삽입된 삽입부(420)에 의하여 캡(300)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즉, 캡(300)은 제2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캡(30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스토퍼(400)가 제1 홀(110)에서 제2 홀(120) 측으로 이동될 때, 또는 제2 홀(120)에서 제1 홀(110) 측으로 이동될 때, 제1 홀(110) 및 제2 홀(120) 사이에서 삽입부(420)는 캡(300) 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 때, 삽입부(420)는 캡(300)의 리세스(330) 내로 진입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체(100)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삽입부(420)는, 캡(300)의 제1 홀(110) 및 제2 홀(120) 사이에서의 슬라이딩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캡(300)의 외측면에는 공구 삽입을 위한 홀(3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340)은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치과의사는 공구를 상기 홀(340)에 삽입하여 캡(300)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공구 삽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치과의사가 손가락으로 직접 상기 홀(340)을 이용하여 캡(300)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본체
100a: 제1 구조체
100b: 제2 구조체
S: 수용부
101: 바닥면
102, 103, 104: 벽면
110: 제1 홈
120: 제2 홈
200, 210, 220: 가이드
230, 240: 돌출부
300: 캡
310: 날개
320: 공간
330: 리세스
340: 홀
400: 스토퍼
410: 부착부
420: 삽입부
W: 와이어

Claims (7)

  1. 치아에 부착되고 와이어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딩 이동하는 캡; 및
    상기 캡의 하면에 부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가이드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캡을 마주보는 면에 제1 홈 및 제2 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1 홈 또는 상기 제2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캡의 하면에 부착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홈 또는 상기 제2 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하면에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 사이의 이동 시, 상기 리세스 내부로 진입하는,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각각은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양측으로 연장되는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캡의 상기 날개는, 상기 돌출부의 하측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제1 벽면; 바닥면; 및 상기 제1 벽면과 마주보는 제2 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벽면과 상기 바닥면을 제공하는 제1 구조체; 및
    상기 제2 벽면을 제공하고, 상기 제1 구조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조체의 폭은 상기 제1 구조체의 폭보다 작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는 상기 제2 구조체의 양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2 구조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캡은 상기 제2 구조체의 상측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
KR1020210023213A 2021-02-22 2021-02-22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 KR102554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213A KR102554739B1 (ko) 2021-02-22 2021-02-22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213A KR102554739B1 (ko) 2021-02-22 2021-02-22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852A true KR20220119852A (ko) 2022-08-30
KR102554739B1 KR102554739B1 (ko) 2023-07-11

Family

ID=8311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213A KR102554739B1 (ko) 2021-02-22 2021-02-22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659B1 (ko) 2022-12-14 2023-08-09 강태원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제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403A (ko) * 2012-11-16 2015-09-21 월드 클래스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슬라이딩 커버를 가진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 장치
KR20160049609A (ko) * 2014-10-27 2016-05-10 휴비트 주식회사 치열교정용 브래킷
KR101693239B1 (ko) * 2016-07-06 2017-01-10 주식회사 페네시아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102137000B1 (ko) * 2019-04-22 2020-07-24 주식회사 메디센 치과 교정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403A (ko) * 2012-11-16 2015-09-21 월드 클래스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슬라이딩 커버를 가진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 장치
KR20160049609A (ko) * 2014-10-27 2016-05-10 휴비트 주식회사 치열교정용 브래킷
KR101693239B1 (ko) * 2016-07-06 2017-01-10 주식회사 페네시아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102137000B1 (ko) * 2019-04-22 2020-07-24 주식회사 메디센 치과 교정용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659B1 (ko) 2022-12-14 2023-08-09 강태원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739B1 (ko)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18850C (en) Orthodontic bracket
KR102263019B1 (ko)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
US7857618B2 (en) Orthodontic bracket including mechanism for reducing slot width for early torque control
EP1723927B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4698017A (en) Orthodontic brackets
US10226311B2 (en) Clip-base-bracket assembly having a base for an orthodontic apparatus and orthodontic apparatus comprising same
EP1679048A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ITFI20070069A1 (it) Attacco ortodontico
JP7164220B2 (ja) 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
US20070269763A1 (en) Orthodontic bracket
CN109414302A (zh) 自锁正畸托槽
US20140199648A1 (en) Constructive system of a self-ligating bracket with variable resistance to sliding
JP6441304B2 (ja) 歯科矯正装具及びその作動方法
KR102605863B1 (ko) 결찰 부재를 갖는 자가-결찰 브래킷
US11633262B2 (en) Self-ligating bracket for orthodontics
US8932053B2 (en) Assembly formed by a bracket, a clip and a base for an orthodontic apparatus, and orthodontic apparatus comprising same
KR20220119852A (ko) 자가결찰식 치아 교정 브라켓
WO2004006797A3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20020006595A1 (en) Orthodontic tools
JP2024504222A (ja) スライド型自己結紮歯列矯正ブラケット組立体
US11076936B2 (en) Ceramic self-ligating bracket with high labial pull strength
US20170014207A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e and set comprising a plurality of such braces
US20190090990A1 (en) Orthodontic bracket
KR101698126B1 (ko)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20230062793A (ko)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