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6996A - 회전식 결합형 자가결찰 치열교정 브라켓 - Google Patents

회전식 결합형 자가결찰 치열교정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6996A
KR20130076996A KR1020110145464A KR20110145464A KR20130076996A KR 20130076996 A KR20130076996 A KR 20130076996A KR 1020110145464 A KR1020110145464 A KR 1020110145464A KR 20110145464 A KR20110145464 A KR 20110145464A KR 20130076996 A KR20130076996 A KR 20130076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ation
locking
coupling
plate
orthodontic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홍범
황윤상
손인선
Original Assignee
손홍범
황윤상
손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홍범, 황윤상, 손인선 filed Critical 손홍범
Priority to KR1020110145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6996A/ko
Publication of KR20130076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7Sliding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1Brackets with reinforcing structure, e.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4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using lock p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결찰체를 결합하여 만든 치아 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가 결찰 기능을 수행하며 상황에 따라 결찰체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교환할 수 있고, 자가결찰 기능을 회전식으로 수행하는 본체와 결찰체가 결합하는 형식의 자가 결찰식 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은 부착판이 치아의 표면에 부착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횡 측이 절개되어 교정용 와이어가 슬라이딩 되어 끼워지는 삽입홈이 마련되고, 일면에 돌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판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며, 곡선으로 이루어진 상판이 형성되고, 제1잠금수단에 의해 잠기거나 열리는 제1결찰체; 제2잠금수단에 의해 잠기거나 열리는 제2결찰체; 제3잠금수단에 의해 잠기거나 열리는 제3결찰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수단은 제1, 2, 3 본체의 한 면에 형성된 결합공간과, 제1, 2, 3결찰체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잠금수단은 제1본체의 한 면에 통공되어 형성된 핀걸림부와, 제1결찰체의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잠금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잠금수단은 제2결찰체의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잠금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잠금수단은 제3본체 결합공간의 한쪽으로 마련된 잠금공간과, 상기 제3결찰체의 걸림목의 측면에 형성된 잠금판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은 상면이 곡선의 형태이기 때문에 교정치료시 환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시키며,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찰체가 파손된 경우, 치아에 부착된 본체를 제거하지 않고 손쉽게 결찰체만 교환해 주면 됨으로써 쉽게 해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교환시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교환을 하게 되는데, 이 상황은 전 치료과정에서 많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드문 경우인 결찰체의 교환에는 슬라이드 방식을 적용하고 자주 사용하는 결찰체의 개폐시에는 회전방식을 적용하여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개폐가 쉽고 결합강도가 증가하며 유격을 줄일 수 있어 우수한 치료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결합형 자가결찰 치열교정 브라켓{combined rotary self ligating orthodontic bracket}
본 발명은 본체와 결찰체를 결합하여 만든 치아 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가 결찰 기능을 수행하며 상황에 따라 결찰체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교환할 수 있고, 자가결찰 기능을 회전식으로 수행하는 본체와 결찰체가 결합하는 형식의 자가 결찰식 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가 삐뚤어지고 치열이 고르지 못한 상태를 치의학적인 용어로 "부정교합"이라 하며, 이러한 부정교합을 바로잡아 주는 치료를 교정치료라 한다.
치아나 치열이 부정교합의 상태인 경우, 외모가 보기 흉하게 일그러지며, 음식물을 씹기가 어렵고, 치아의 사이로 바람이 새서 말을 할 때 발음이 불명확해지는 등 여러 가지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장애를 바로 잡기 위한 교정치료는 브라켓과 교정용 와어어 사이의 작용에 의해 치아를 움직여서 원하는 위치에 배열을 하는 것이며, 브라켓에 교정용 와이어를 고정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브라켓의 슬롯(교정선 수용 홈)에 와이어(교정선)를 넣고 파워체인이나 리게쳐 와이어(ligature wire)를 이용해 묶는 것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엣지와이즈 교정장치는 교정용 와이어의 삽입철거 방향을 교합 평면과 일치시킨 형태이므로 삽입철거 방향의 슬롯 한 면이 없어지게 된다. 이 부족한 면을 리게쳐 와이어로 결찰하여 없어진 슬롯 한 면을 대용하는데, 이는 치료가 복잡하고 심미적으로 불리하며 마찰력에 의한 치료진행이 방해되는 문제점을 낳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 기술로서 출원번호 10-2008-0107111,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2008년 10월 30일에 출원되었다. 그 방법은 교합 평면과 평행하게 위치한 "ㄷ" 자 형태의 슬롯에 직각 방향의 교합 평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이는 또 다른 "ㄷ" 자 형태의 스프링이나 벽을 부가적으로 만들어 슬라이드(이동 변환) 형태의 개폐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슬라이드 방식만을 사용하면 크기가 커지고 이물감을 많이 느끼며 심미적으로 불량하고 파손이 잘 발생하며 교환이 어렵다. 또한, 슬라이드 방식은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유격을 필요로 하므로, 이러한 유격으로 인해 장치의 치료 기능이 저하되어 교정치료 결과 역시 나빠지게 된다.
그리고 치아 교정용 브라켓은 슬롯과 교정 와이어 간의 형태적 결합에서 발생하는 힘으로 치료하게 된다. 그런데 교정용 와이어의 삽입 철거와 치아 이동에 필요한 유격으로 인해 그 성능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유격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5이 필요한데, 기존의 리게처 와이어를 사용할 경우에는 꼬아 주는 힘으로 조절할 수 있으나 선행 기술과 같은 자가 결찰 방법에서는 이런 처치가 매우 어렵다. 즉 결합 부위에서 유격이 발생해 그 오차를 증폭하는 결과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의 브라켓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결찰체의 교환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하고 자가 결찰은 회전식으로 함으로서 그 크기를 감소시켜 심미적으로 유리하고 이물감이 적으며 마찰이 줄어 자가결찰 기능 수행이 용이하며 유격을 감소시켜 치료 결과를 좋게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최종 결합 형태는 회전식으로 수행되어 더욱 완벽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슬라이드 방식에서 발생했던 오차를 감소시키고 파절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제1실시 예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은 마련된 부착판이 치아의 표면에 부착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횡 측이 절개되어 교정용 와이어가 슬라이딩 되어 끼워지는 삽입홈이 마련되고, 일면에 돌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판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며, 곡선으로 이루어진 상판이 형성되고, 제1잠금수단에 의해 잠기거나 열리는 제1결찰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수단은 상기 제1본체의 한 면에 통공되어 형성된 핀걸림부와; 상기 제1결찰체의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잠금핀이; 상기 제1본체와 제1결찰체가 결합하여 전방으로 회전시켜 닫힐 때, 상기 잠금핀의 재질에 따른 탄성 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핀걸림부의 한 면에 압력을 가하며 휘어지다가 완전히 닫혔을 때, 잠금핀이 핀걸림부의 하단 홈으로 탄성에 의해 끼워져 회전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제2실시 예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은 마련된 부착판이 치아의 표면에 부착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횡 측이 절개되어 교정용 와이어가 슬라이딩 되어 끼워지는 삽입홈이 마련되고, 전면에 돌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판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제2본체와; 상기 제2본체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며, 곡선으로 이루어진 상판이 형성되고, 제2잠금수단에 의해 잠기거나 열리는 제2결찰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잠금수단은 제2결찰체의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잠금핀이; 상기 제2본체와 제2결찰체가 결합하여 전방으로 회전시켜 닫힐 때, 상기 잠금핀의 곡선 면이 제2본체의 하단 면에 닿아 있다가 재질에 따른 탄성 범위 내에서 스프링 작용에 의해 펼쳐져 회전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제3실시 예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은 마련된 부착판이 치아의 표면에 부착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횡 측이 절개되어 교정용 와이어가 슬라이딩 되어 끼워지는 삽입홈이 마련되고, 전면에 돌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판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제3본체와; 상기 제3본체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며, 곡선으로 이루어진 상판이 형성되고, 제3잠금수단에 의해 잠기거나 열리는 제3결찰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잠금수단은 제3본체 결합공간의 한쪽으로 마련된 잠금공간과; 상기 제3결찰체의 걸림목의 측면에 형성된 잠금판이; 상기 제3본체와 제3결찰체를 결합하여 전방으로 회전시켜 닫은 후, 제3결찰체의 걸림목이 목 수용홈에 닿는 부분까지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 잠금판이 잠금공간과 긴밀하게 맞닿아 회전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제1, 2, 3 본체의 한 면에 형성된 결합공간과,
제1, 2, 3결찰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간에 슬라이딩 이동되며 끼워졌을 때, 상기 결합공간의 상하면, 좌우면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상하 방 좌우 방으로의 이동이 고정되는 결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은 상면이 곡선의 형태이기 때문에 교정치료시 환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시키며,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찰체가 파손된 경우, 치아에 부착된 본체를 제거하지 않고 손쉽게 결찰체만 교환해 주면 됨으로써 쉽게 해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교환시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교환을 하게 되는데, 이 상황은 전 치료과정에서 많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드문 경우인 결찰체의 교환에는 슬라이드 방식을 적용하고 자주 사용하는 결찰체의 개폐시에는 회전방식을 적용하여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개폐가 쉽고 결합강도가 증가하며 유격을 줄일 수 있어 우수한 치료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찰형태를 유지하는 잠금과 해제 장치는 결찰체 반대 측의 본체에 만들어 파절에 영향이 없게 하였으며, 결찰체 회전축에서 가능한 멀리 떨어진 부분에 탄성 기능이 있고 강도가 우수한 재료를 사용해 연결하는 형태로 함으로서 잠금, 해제 기능이 확실하며 부드러워 사용이 쉽고 불편감이 적으며 파손이 적게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의 제1실시 예의 모델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의 제2실시 예의 모델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의 제3실시 예의 모델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후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본체의 모델을 도시한 사시 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본체의 모델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0은 도 9의 또 다른 사시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3본체의 모델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결찰체의 모델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4는 도 13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결찰체의 모델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제3결찰체의 모델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 예의 잠기지 않은 결합상태를 모델로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도 17의 후면도 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 예의 잠기지 않은 결합상태를 모델로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도 19의 정면도 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 예의 잠기지 않은 결합상태를 모델로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도 21의 사시도 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의 치아교정시술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첨부한 도 1,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제1실시 예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은 치아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판(10)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상판(13)이 형성된 제1본체(100)와, 제1본체(100)와 결합수단(400)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고, 곡선으로 이루어진 상판(13)이 형성되며, 제1본체(100)와 결합수단(400)에 의해 결합하여 회전하며 완전히 닫혔을 때, 제1잠금수단(300)에 의해 잠기거나 열려 회전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결찰제(200)로 이루어진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제1본체(100)는 치아의 표면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부착판(10)이 마련되는데, 부착판(10)은 일정 면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부착판(10)은 치아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치아의 표면에 부착시 밀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본체(100)는 부착판(10) 이외에, 상면 횡 측이 절개되어 수직면과 수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면에 교정용 와이어가 슬라이딩 되어 끼워지도록 좌측면과 우측면이 연통 되는 삽입홈(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본체(100)의 상판(13)에 교정 치료계획에 따라 파워체인이나 고무줄을 걸어 교정력을 더할 수 있도록 돌기(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11) 일면에는 제1결찰체(200)와 슬라이딩 결합 되어 회전하며 닫혔을 때, 제1본체(100)와 제1결찰체(200)의 상판(13)이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며 긴밀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상판 수용홈(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본체(100)의 전면에는 제1결찰체(200)와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간(16)과 제1결찰체(200)의 걸림목(22)이 수용되는 목 수용홈(15)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1본체(100)의 후면에 제1결찰체(200)의 잠금핀(21)이 걸릴 수 있도록 핀걸림부(18)가 통공되어 마련된다. 핀걸림부(18)와 잠금핀(21)은 이하에서 제1잠금수단(300)과 함께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한 도 13, 도 14를 참조하면, 제1결찰체(200)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상판(13)과, 그 하단에 제1본체(100)의 결합공간(16)에 슬라이딩 되며 결합하는 결합판(20), 제1결찰체(200)의 상판(13)과 결합판(20) 사이를 연결하는 걸림목(22), 그리고 제1본체(100)의 핀걸림부(18)에 끼워져 제1본체(100)와 제1결찰체(200)를 고정하게 되는 잠금핀(21)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결찰체(200) 상판(13)에는 제1본체(100)의 돌기(12)와 동일한 형태의 돌기(12)가 형성되어, 제1본체(100)와 결합하였을 때, 사방이 완전한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첨부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에서 언급한 제1잠금수단(300)은 제1본체(100)의 핀걸림부(18)와 제1결찰체(200)의 잠금핀(21)으로 이루어진다.
즉, 핀걸림부(18)의 형태는, 글로 표현을 하자면 숫자 "7"을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잠금핀(21)은 제1본체(100)와 제1결찰체(200)가 결합수단(400)에 의해 최초 결합 되었을 때 핀걸림부(18)의 상방에 위치하는데, 제1결찰체(200)를 회전시켜 닫는 과정에서 하방으로 미끄러지게 되며, 제1본체(100)와 제1결찰체(200)의 상판(13)이 닿아 완전히 닫히게 되면, 핀걸림부(18) 하단의 홈에 끼워져 회전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잠금핀(21)의 재질은 재질에 따른 탄성 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핀걸림부(18)의 벽면의 형태에 따라 압력을 가하며 휘어지다가 탄성에 의해 핀걸림부(18) 하단의 홈으로 탄성에 의해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잠금핀의 재질로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첨부한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 예의 결합수단(400)은 상기에서 언급한 제1본체(100)의 결합공간(16)과 제1결찰체(200)의 결합판(20)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결찰체(200)의 결합판(20)을 제1본체(100)의 결합공간(16)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완전히 끼어졌을 때, 상기 결합공간(16)의 상하면, 좌우 면이 상기 결합판(20)의 상하면, 좌우면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상하 방, 좌우 방으로의 이동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결찰체(200)의 걸림목(22)은 제1본체(100)와 제1결찰체(200)의 결합시 목 수용홈(15)에 긴밀하게 수용되어 종 측으로 흔들림 없이 고정이 되도록 구성되며, 제1결찰체(200)가 제1제본체(100)와 결합수단(400)에 의해 결합하여 회전하며 완전히 닫혔을 때, 제1본체(100) 삽입홈(11)의 절개된 수직면을 벗어나지 않고 매끈하게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제1실시 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 교정 시술을 한 예를 첨부한 도 20에 나타내 보였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의 제1본체(100)의 부착판(10)을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들의 표면에 각각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고정한다.
그리고, 제1결찰체(200)들을 결합수단(400)에 의해 제1본체(100)들에 결합하게 된다.
즉, 제1본체(100)의 결합공간(16)에 제1결찰체(200)의 결합판(2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끼우고, 완전히 끼워지면 결합판(20)의 상하면과 결합공간의 상하면이 긴밀하게 밀착되어 더 이상 상하,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결합판(20)이 결합공간(16)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제1본체(100)와 제1결찰체(200)들이 결합 되면 치아 교정용 브라켓으로의 준비가 된 것인데, 이 상태에서 교정용 와이어를 제1본체(100)의 삽입홈(11)에 삽입시킨 후 제1결찰체(200)를 회전시켜 상판(13)이 완전히 맞닿아 닫히게 되면, 제1잠금수단(300)에 의해 잠겨져 교정용 와이어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력으로 교정치료를 진행하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은 상태에서 전면과 후면에 마련된 돌기(12)를 이용하여 교정치료 계획에 따라 필요하면 파워체인 또는 고무줄을 걸어 교정력을 더할 수 있다.
단, 제1본체(100)를 치아에 부착하는 과정과, 제1본체(100)와 제1결찰체(200)를 결합하는 과정은 교정치료 시술자에 따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의 제2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치아 교정용 브라켓의 제2실시 예를 첨부한 도 2, 도 5에 나타내 보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제2실시 예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은 치아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판(10)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상판(13)이 형성된 제2본체(101)와, 제2본체(101)와 결합수단(400)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고, 곡선으로 이루어진 상판(13)이 형성되며, 제2본체(101)와 결합수단(400)에 의해 결합하여 회전하며 완전히 닫혔을 때, 제2잠금수단(301)에 의해 잠기거나 열려 회전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결찰제(201)로 이루어진다.
첨부한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본 제2실시 예의 제2본체(101)는 제1본체(100)의 핀걸림부(18)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제2본체(101)와 제2결찰체(201)의 최초 결합시 잠금핀(21)이 걸리지 않고 매끄럽게 끼워질 수 있도록 제2본체(101)의 바닥면에 핀수용홈(17)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본체(10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결찰체(201)는 잠금핀(21)의 형상이 제1결찰체(200)의 잠금핀(21)과는 달리, 글로 표현을 하면 "J" 자 형태로 걸림목(22)의 뒷면에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결찰체(20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의 제2실시 예는 상기에서 설명했던 제1실시 예의 제1본체(100)와 제1결찰체(100)의 결합수단(400)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 되면서, 잠금수단의 구조를 달리하여 제2잠금수단(301)에 의해 잠겨지도록 형성된다.
첨부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에서 언급한 제2잠금수단(300)은 제2결찰체(201)의 잠금핀(21)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2본체(101)에 제2결찰체(201)가 결합수단(400)에 의해 최초 결합 되었을 때, 잠금핀(21)의 곡선부분이 탄성력에 의해 제2본체(101)의 바닥면에 압력을 가하며 닿아 있다가, 제2결찰체(201)를 회전시켜 닫는 과정에서, 잠금핀(21)의 재질의 탄성으로 형태가 회복되며, 곡선 면이 펼쳐진 채 바닥면에 닿아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으면 더 이상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이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잠금핀(21)의 재질은 재질에 따른 탄성 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제2본체(101)의 바닥면에 압력을 가하다가 완전히 닫혔을 때 본래의 형상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잠금핀(21)의 재질로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9을 참조하면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제2실시 예의 작용 또한 제1실시 예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의 제3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치아 교정용 브라켓의 제3실시 예를 첨부한 도 3, 도 6에 나타내 보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제3실시 예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은 치아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판(10)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상판(13)이 형성된 제3본체(102)와, 제3본체(102)와 결합수단(400)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고, 곡선으로 이루어진 상판(13)이 형성되며, 제3본체(102)와 결합수단(400)에 의해 결합하여 회전하며 완전히 닫혔을 때, 제3잠금수단(302)에 의해 잠기거나 열려 회전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3결찰제(202)로 이루어진다.
첨부한 도 11, 도 12를 참조하면, 본 제3실시 예의 제3본체(102)는 제1본체(100)의 핀걸림부(18)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제1본체(100) 결합공간(16)의 종 측 길이가 줄어들어 그만큼의 잠금공간(19)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본체(10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3결찰체(202)는 잠금핀이 없고, 걸림판(20)의 종 측 길이가 줄어든 결합공간(16)의 길이 만큼 짧아졌으며, 걸림목(22)의 측면에 잠금판(33)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결찰체(20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라켓의 제3실시 예는 상기에서 설명했던 제1실시 예의 제1본체(100)와 제1결찰체(100)의 결합수단(400)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 되면서, 잠금수단의 구조를 달리하여 제3잠금수단(302)에 의해 잠겨지도록 형성된다.
첨부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에서 언급한 제3잠금수단(302)는 제3본체(102)의 잠금공간(19)과 제3결찰체(202)의 잠금판(23)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3본체(102)에 제3결찰체(202)가 결합수단(400)에 의해 결합하여,제3결찰체(202)를 회전시켜 완전히 닫은 후에 제3결찰체(202)의 걸림목(22)이 목수용홈(15)에 닿는 부분까지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 잠금판(23)이 잠금공간(19)과 긴밀하게 맞닿아 더 이상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이 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21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제2실시 예의 작용 또한 제1실시 예와 동일하다.
앞에서 설명된 실시 예의 작용에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인 자가결찰을 위해 장착한 가변성의 부가적 장치의 손상이 쉬운 점과, 그 손상시 자가결찰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점을 본 발명에서는, 치아에 부착된 본체를 제거하지 않고 손쉽게 결찰체만 교환해 주면 됨으로써 쉽게 해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교환시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교환을 하게 되는데, 이 상황은 전 치료과정에서 많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드문 경우인 결찰체의 교환에는 슬라이드 방식을 적용하고 자주 사용하는 결찰체의 개폐시에는 회전방식을 적용하여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개폐가 쉽고 결합 강도가 증가하며 유격을 줄일 수 있어 우수한 치료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100 : 제1본체 101 : 제2본체
102 : 제3본체 200 : 제1결찰체
201 : 제2결찰체 202 : 제3결찰체
300 : 제1잠금수단 301 : 제2잠금수단
302 : 제3잠금수단 400 : 결합수단
10 : 부착판 11 : 삽입홈
12 : 돌기 13 : 상판
14 : 상판 수용홈 15 : 목 수용홈
16 : 결합공간 17 : 핀 수용홈
18 : 핀 걸림부 19 : 잠금공간
20 : 결합판 21 : 잠금핀
22 : 걸림목 23 : 잠금판

Claims (7)

  1. 마련된 부착판이 치아의 표면에 부착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횡측이 절개되어 교정용 와이어가 슬라이딩 되어 끼워지는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면에 곡선으로 이루어진 상판과 돌기가 형성된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며, 상면에 곡선으로 이루어진 상판과 돌기가 형성되고, 제1잠금수단에 의해 잠기거나 열리는 제1결찰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라켓.
  2. 마련된 부착판이 치아의 표면에 부착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횡측이 절개되어 교정용 와이어가 슬라이딩 되어 끼워지는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면에 곡선으로 이루어진 상판과 돌기가 형성된 제2본체와;
    상기 제2본체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며, 상면에 곡선으로 이루어진 상판과 돌기가 형성되고, 제2잠금수단에 의해 잠기거나 열리는 제2결찰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라켓.
  3. 마련된 부착판이 치아의 표면에 부착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횡측이 절개되어 교정용 와이어가 슬라이딩 되어 끼워지는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면에 곡선으로 이루어진 상판과 돌기가 형성된 제3본체와;
    상기 제3본체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며, 곡선으로 이루어진 상판이 형성되고, 제3잠금수단에 의해 잠기거나 열리는 제3결찰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라켓.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제1, 2, 3 본체의 한 면에 형성된 결합공간과,
    제1, 2, 3 결찰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간에 슬라이딩 이동되며 끼워졌을 때, 상기 결합공간의 상하면, 좌우면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상하 방 좌우 방으로의 이동이 고정되는 결합판;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라켓.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수단은
    상기 제1본체의 한 면에 통공되어 형성된 핀걸림부와;
    상기 제1결찰체의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잠금핀이;
    상기 제1본체와 제1결찰체가 결합되어 회전하며 닫힐 때, 상기 잠금핀의 재질에 따른 탄성 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핀걸림부의 한 면에 압력을 가하며 휘어지다가 완전히 닫혔을 때, 잠금핀이 핀걸림부의 하단 홈으로 탄성에 의해 끼워져 회전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라켓.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잠금수단은
    상기 제2결찰체의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잠금핀이;
    상기 잠금핀의 곡선 면이 구부러져 탄성에 의해 제2본체의 바닥면에 압력을 가하며 닿아 있다가 상기 제2본체와 제2결찰체가 결합되어 회전하며 닫힐 때, 재질에 따른 탄성 범위 내에서 형태가 회복되며 펼쳐진 상태로 바닥면을 지탱하여 회전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라켓.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잠금수단은
    상기 제3본체 결합공간의 한쪽으로 마련된 잠금공간과;
    상기 제3결찰체의 걸림목의 측면에 형성된 잠금판이;
    상기 제3본체와 제3결찰체를 결합하여 회전시켜 닫은 후, 제3결찰체의 걸림목이 제3본체의 목 수용홈에 닿는 부분까지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 잠금판이 잠금공간과 긴밀하게 맞닿아 회전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라켓.
KR1020110145464A 2011-12-29 2011-12-29 회전식 결합형 자가결찰 치열교정 브라켓 KR20130076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464A KR20130076996A (ko) 2011-12-29 2011-12-29 회전식 결합형 자가결찰 치열교정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464A KR20130076996A (ko) 2011-12-29 2011-12-29 회전식 결합형 자가결찰 치열교정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996A true KR20130076996A (ko) 2013-07-09

Family

ID=4899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464A KR20130076996A (ko) 2011-12-29 2011-12-29 회전식 결합형 자가결찰 치열교정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699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038B1 (ko) * 2013-10-07 2014-02-21 이종호 자가 결찰 브래킷
WO2016013992A1 (en) * 2014-07-23 2016-01-28 Aydin Resai Self-ligating bracket
EP3158968A4 (en) * 2014-06-20 2018-01-24 Li Ji Bracket, bracket straightening system and teeth straightening method
WO2019177386A1 (ko) * 2018-03-15 2019-09-19 이효연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038B1 (ko) * 2013-10-07 2014-02-21 이종호 자가 결찰 브래킷
EP3158968A4 (en) * 2014-06-20 2018-01-24 Li Ji Bracket, bracket straightening system and teeth straightening method
WO2016013992A1 (en) * 2014-07-23 2016-01-28 Aydin Resai Self-ligating bracket
WO2019177386A1 (ko) * 2018-03-15 2019-09-19 이효연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1422B2 (en) Dental wire supporter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2131166B1 (ko) 슬라이딩 커버를 가진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 장치
JP5415612B2 (ja) 自己結紮式歯列矯正ブラケット
US20230200948A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7175428B2 (en) Shape memory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JP4662582B2 (ja) 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
KR101839172B1 (ko) 설측브라켓
CA3016218C (en) Orthopedic-orthodontic molar distalizer
US20050244781A1 (en) Orthodontic treatment method for concurrent correction of multiple conditions
US7740475B2 (en) Orthodontic apparatus with adjustable base plate and connecting plate
JPH0371896B2 (ko)
US10105193B2 (en) Orthodontic bracket
US20160367340A1 (en)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of correcting malpositioned teeth
US20180014915A1 (en) Low Profile Orthodontic Bracket
WO2018219348A1 (zh) 一种正畸自锁托槽
KR20130076996A (ko) 회전식 결합형 자가결찰 치열교정 브라켓
TW201417781A (zh) 用於矯正牙齒的定位調整裝置
JP2016515885A (ja) 自己結紮式歯科矯正装具
KR102058983B1 (ko) 다중 슬롯을 구비한 치열 교정 브라켓 어셈블리
US20160310241A1 (en) Orthodontic Bracket
CN203763274U (zh) 一种具有双重自锁系统的正畸托槽
CN202801829U (zh) 一种工作翼上自带弹性圈锁扣的自锁托槽
KR20180006038A (ko) 자가 결찰 브라켓
KR20110048885A (ko) 치아교정용 호선 및 이를 사용한 치아교정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