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409B1 - 치열 교정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치열 교정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409B1
KR102000409B1 KR1020187017587A KR20187017587A KR102000409B1 KR 102000409 B1 KR102000409 B1 KR 102000409B1 KR 1020187017587 A KR1020187017587 A KR 1020187017587A KR 20187017587 A KR20187017587 A KR 20187017587A KR 102000409 B1 KR102000409 B1 KR 102000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wire
wire holder
bracket
bracke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6459A (ko
Inventor
사다히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그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그린
Publication of KR20180086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1Brackets with reinforcing structure, e.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7Sliding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61C7/303Elastic band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환자의 치면에 대한 아치 와이어의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여러가지 굵기의 아치 와이어를 교정력의 손실 없이 장착할 수 있는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은, 환자의 치열을 교정하기 위해 이용되고, 치열 교정용의 아치 와이어(20)를 삽입 관통시키는 와이어 홀(관통공)(40A)을 구비한 와이어 홀더(40)와, 와이어 홀더(40)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고, 환자의 치면에 첩착되는 브래킷 베이스(60)를 갖는다.

Description

치열 교정용 브래킷
본 발명은, 부정렬치나 염전치(捻轉齒)의 교정에 이용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열 교정 치료에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이 이용되고 있다.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치열 교정의 대상으로 하는 환자의 치아에 부착된다. 브래킷에는, 교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아치 와이어를 장착하기 위한 와이어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아치 와이어는, 브래킷의 와이어 슬롯에 감입되고, 결찰(結紮) 링이나 고무 등의 결찰구를 이용하여 결찰됨으로써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고정된다.
이에 대하여, 결찰 작업이 불필요한 셀프 라이게이션 브래킷이라고 불리는 타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이 알려져 있다. 셀프 라이게이션 브래킷에는, 예컨대 대략 U자 형상의 로크 부재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와이어 슬롯 내에 아치 와이어를 고정하고(특허문헌 1), 탄성 스테인리스강제의 셔터를 회전시켜 와이어 슬롯 내에 아치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다(특허문헌 2).
이와 같이, 셀프 라이게이션 브래킷에서는, 로크 부재나 셔터를 이동/회전시키는 간이한 작업으로 아치 와이어를 브래킷에 장착/탈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처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보 제4444410호 특허문헌 2: 일본 공표특허공보 제2001-503305호
이들 셀프 라이게이션 브래킷에서는 아치 와이어를 삽입하는 와이어 슬롯의 내치수는 고정적이다. 한편, 아치 와이어의 외치수는 다양하다. 따라서 와이어 슬롯과 아치 와이어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경우가 있고, 또한 그 간극은, 선택하는 아치 와이어의 굵기에 따라 변동된다. 와이어 슬롯과 아치 와이어 사이의 간극은 와이어 토크의 손실을 발생시키고, 교정력을 저하시켜 버린다.
목적은, 환자의 치면에 대한 아치 와이어의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여러가지 굵기의 아치 와이어를 토크의 손실을 억제하면서 장착할 수 있는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환자의 치열을 교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있어서, 치열 교정용의 아치 와이어를 삽입 관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구비한 와이어 홀더와, 상기 와이어 홀더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환자의 치면에 첩착되는 브래킷 베이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서는, 환자의 치아에 대한 아치 와이어의 장착 작업은, 우선 브래킷 베이스를 환자의 치면에 첩착하고, 그 후 브래킷 베이스에 와이어 홀더를 장착한다. 사전에, 와이어 홀더의 관통공에 아치 와이어를 삽입해 둠으로써, 브래킷 베이스에 와이어 홀더를 감입하는 것만으로, 아치 와이어의 장착 작업은 완료된다. 브래킷을 환자의 치면에 첩착하고, 그 브래킷에 긴 아치 와이어를 장착하는 것보다, 그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치 와이어의 형상이나 외치수에 정합하는 관통공을 구비한 와이어 홀더를 적절히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아치 와이어의 토크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여러가지 사이즈의 관통공의 와이어 홀더를 적절히 구별하여 사용함으로써 여러가지 치수의 아치 와이어에 대응 가능하다. 그것은 설계한 토크를 환자의 치면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본 구성을 갖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구성하는 와이어 홀더와 브래킷 베이스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하면도이다.
도 6은 와이어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와이어 홀더의 도 3 중의 단면선 A-A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와이어 홀더의 표면으로부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와이어 홀더의 상방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와이어 홀더의 하방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와이어 홀더의 우방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한 단면선 B-B에 있어서의 와이어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홀더 고정 핀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와이어 홀더를 홀더 슬롯에 장착할 때의 홀더 고정 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3에 도시한 단면선 A-A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구성하는 와이어 홀더와 브래킷 베이스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단면선 C-C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2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구성하는 와이어 홀더와 브래킷 베이스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단면선 D-D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3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구성하는 와이어 홀더와 브래킷 베이스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단면선 J-J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제4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구성하는 와이어 홀더와 브래킷 베이스와 클립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에 도시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제5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구성하는 와이어 홀더와 브래킷 베이스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0은 제6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구성하는 와이어 홀더와 브래킷 베이스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단면선 L-L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단면도이다.
도 33은 제7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구성하는 와이어 홀더끼리를 고무로 결합한 와이어 홀더쌍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와이어 홀더쌍을 브래킷 베이스에 장착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에 있어서의 단면선 M-M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제7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구성하는 와이어 홀더와 브래킷 베이스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6에 도시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37의 단면선 Q-Q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단면도이다.
도 39는 도 37의 단면선 Q-Q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다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본 구성을 갖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을 구성하는 와이어 홀더(40)와 브래킷 베이스(6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의 정면도, 도 4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의 상면도, 도 5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의 하면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환자의 치면에 첩부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의 면을 정면(표면), 환자의 치면에 첩부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의 면을 배면(이면),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의 측면 중, 후술하는 핀 가이드 홀(60A)이 형성되는 면을 상면, 반대측의 면을 하면, 정면에서 보아 우측의 면을 우측면, 정면에서 보아 좌측의 면을 좌측면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은, 환자의 치열을 교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으로, 셀프 라이게이션 브래킷의 특징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은, 와이어 홀더(40)와 브래킷 베이스(60)를 갖는다. 와이어 홀더(40)는, 치열 교정용의 아치 와이어(20)를 삽입 관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홀(관통공)(40A)을 구비한다. 와이어 홀(40A)의 형상은 아치 와이어(20)의 횡단면 형상과 동일한 다각형, 전형적으로는 사각형으로서, 와이어 홀(40A)의 내치수는 아치 와이어(20)가 삽입 관통하는 정도로 아치 와이어(20)의 외치수보다 약간 크다. 이에 따라 아치 와이어(20)의 토크를 손실 적게 환자의 치면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서는, 와이어 홀더(40)는 단일의 와이어 홀(40A)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또, 와이어 홀더(40)에, 동일 또는 상이한 단면 형상 및 동일 또는 상이한 단면 치수를 갖는 복수의 와이어 홀(40A)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은, 브래킷 베이스(60)에 장착된 와이어 홀더(4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조를 갖는다. 브래킷 베이스(60)는, 브래킷 베이스(60)의 표면측으로부터 와이어 홀더(40)를 착탈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환자의 치면에 이면이 전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첩착된다. 와이어 홀더(40) 및 브래킷 베이스(60)는, 예컨대 플라스틱(합성 수지), 산화지르코늄(지르코니아), 혹은 세라믹에 의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심미성을 좋게 하기 위해, 예컨대 투명 혹은 환자의 치아의 색에 가까운 색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와이어 홀더(40) 및 브래킷 베이스(60)는, 금은팔라듐 합금 등의 금속제여도 좋다. 또한, 와이어 홀더(40) 및 브래킷 베이스(60)가 서로 상이한 소재, 예컨대 와이어 홀더(40)가 세라믹제, 브래킷 베이스(60)가 금속제 등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최대의 특징은,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을, 와이어 홀더(40)와 브래킷 베이스(60)로 별체로 구성시킨 것에 있다. 종래의 브래킷은 본 실시형태의 브래킷 베이스(60)에 상당한다. 종래의 셀프 라이게이션 브래킷에서는, 와이어 슬롯의 치수가 고정적이고, 교정 기간 중에 수시 변경되는 아치 와이어에 따라 아치 와이어와 와이어 슬롯 사이의 간극이 변동되었었다. 따라서, 종래의 셀프 라이게이션 브래킷을 이용하여, 설계한 교정력을 치아에 부여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와이어 홀(40A)의 사이즈나 형상이 상이한 여러 종류의 와이어 홀더(40)를 준비해 두고, 이들을 여러 종류의 아치 와이어(20)와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아치 와이어(20)와 와이어 홀(40A) 사이의 간극을 극소화하고, 설계한 대로의 교정력을 치아에 부여할 수 있다. 또, 교정력이란, 교정 치료에 있어서 치아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이고, 치아의 이동 양식에는, 경사 이동, 치체(齒體) 이동, 정출(挺出), 압하, 회전 및 토크 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치 와이어(20)와 와이어 홀(40A) 사이의 간극을 극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 종류의 이동 양식 중 치아의 토크 이동에 대하여 특히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종래는 복수의 브래킷을 환자의 치면에 고정하는 처치를 완료시키고, 그 후에 환자의 구강 내 처치 작업으로서, 복수의 브래킷에 각각 아치 와이어(20)를 결찰 링이나 고무 등의 결찰구로 순차 결찰해 나간다. 결찰구로 순차 결찰해 나가는 작업은 장시간에 미치고, 그것이야말로 환자에게 있어 큰 부담이 되고 있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브래킷 베이스(60)를 환자의 치면에 고정하는 처치를 완료시킨다(이 작업 자체는 종래와 동등함). 그 작업과는 별도 공정으로, 아치 와이어(20)를 복수의 와이어 홀더(40)의 와이어 홀(40A)에 삽입 관통시킨다. 그 작업 자체는 환자의 구강 밖에서 실시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아치 와이어(20)에 통과된 복수의 와이어 홀더(40)를 복수의 브래킷 베이스(60)에 순차 장착해 나가는 작업이, 환자의 구강 내에서 실시된다. 육면체(블록체)로서의 와이어 홀더(40)를 그것에 정합하여 형성된 브래킷 베이스(60)의 오목부(홀더 슬롯)(60F)에 감입하고, 압입함으로써 와이어 홀더(40)는 브래킷 베이스(60)에 고정되도록 구조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 홀더(40)를 브래킷 베이스(60)에 장착하는 작업은, 와이어 홀더(40)를 브래킷 베이스(60)의 홀더 슬롯(60F)에 감입하고, 압입하는 것만의 간이한 작업이고, 종래와 같은 결찰 링이나 고무 등의 결찰구로 와이어 자체를 순차 결찰해 나가는 작업에 비교하여, 현격히 간소하고, 단시간에 완료된다. 즉 환자가 가장 부담인 구강 내 작업의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져, 환자의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종래, 환자의 구강 내에서 행하고 있었던 「브래킷에 아치 와이어(20)를 결찰 링이나 고무 등의 결찰구로 순차 결찰해 나가는」 작업을, 본 실시형태와 같이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을 와이어 홀더(40)와 브래킷 베이스(60)로 별체로 구성시킨 것에 의해, 구강 외 작업과 구강 내 작업으로 분할시키는 것을 실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하 브래킷 베이스(60) 및 와이어 홀더(40)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 베이스(60)의 상면에는, 고정 구조로서, 횡방향의 대략 중앙에 핀 가이드 홀(60A)이 형성되고, 장착된 와이어 홀더(40)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고정 핀(60B)이 유지된다. 도 1에서는, 홀더 고정 핀(60B)이 와이어 홀더(40)를 고정하기 위해 브래킷 베이스(6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다. 홀더 고정 핀(60B)은, 예컨대 코일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 고무관 등의 압박 수단에 의해 홀더 고정 핀(60B)의 선단이 브래킷 베이스(60)의 홀더 슬롯(60F)에 돌출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고, 그 선단이 브래킷 베이스(60)에 수용된 와이어 홀더(40)의 핀 슬롯(40B)에 찔러 넣어져, 브래킷 베이스(60)에 와이어 홀더(4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홀더 고정 핀(60B)은, 브래킷 베이스(60)로부터 장착된 와이어 홀더(40)를 탈착하는 경우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에 반하여 브래킷 베이스(60)의 내부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브래킷 베이스(60)의 상면에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면측의 변을 따라 홈부(60C)가 형성된다. 동일하게 하여, 브래킷 베이스(60)의 하면에는,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면측의 변을 따라 홈부(60D)가 형성된다. 홈부(60C, 60D)는, 예컨대 시술자가 특수한 플라이어 공구를 이용하여 브래킷 베이스(60)를 환자의 치아에 첩착하는, 혹은 떼어내는 등의 시술을 할 때에, 브래킷 베이스(60)를 유지하기 쉽게 하여, 브래킷 베이스(60)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된다.
브래킷 베이스(60)의 표면측에는, 와이어 홀더(40)를 수용하는 오목형의 홀더 슬롯(오목부)(60F)이 형성된다. 홀더 슬롯(60F)은, 와이어 홀더(40)의 외형상에 정합하여 형성되고, 와이어 홀더(40)가 장착되었을 때에, 와이어 홀더(40)와 밀착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브래킷 베이스(60)는, 홀더 슬롯(60F)에 장착된 와이어 홀더(40)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홀더 슬롯(60F)은, 와이어 홀더(40)의 형상에 맞춰, 와이어 홀더(40)의 이면과 상대하는 안쪽면의 면적이 개구부의 면적보다 작아지도록 가공되어 있다. 즉, 와이어 홀더(40)의 이면의 사이즈를 홀더 슬롯(60F)의 개구부보다 작게 함으로써, 와이어 홀더(40)를 장착할 때에, 와이어 홀더(40)를 브래킷 베이스(60)의 홀더 슬롯(60F)에 대하여 삽입하기 쉬우며, 또한 위치 결정하기 쉽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 홀더(40)를 브래킷 베이스(60)에 장착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 베이스(60)의 양측면에는, 아치 와이어(20)가 삽입 관통된 상태의 와이어 홀더(40)를 홀더 슬롯(60F)에 장착할 때에, 아치 와이어(20)를 통과시키기 위한 오목형의 와이어 가이드(60E)가 형성된다. 와이어 가이드(60E)의 폭은 일반적인 아치 와이어(20)의 최대폭보다 넓다. 도 6은 와이어 홀더(40)의 측면도, 도 7은 와이어 홀더(40)의 도 3 중의 A-A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와이어 가이드(60E)는, 도 1,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홀더(40)에 형성된 와이어 홀(40A)의 위치에 맞춰, 표면측으로부터 와이어 홀더(40)의 장착 시의 아치 와이어(20)의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 가이드(60E)의 상하 방향의 폭은, 와이어 홀(40A)에 장착된 상태의 아치 와이어(20)의 높이 방향보다 약간 넓게 형성된다. 또한, 브래킷 베이스(60)에 형성되는 홀더 슬롯(60F)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의 높이 방향의 폭이 안쪽면의 높이 방향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다. 홀더 슬롯(60F)의 횡단면은, 안쪽으로부터 표면측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바꿔 말하면 안쪽을 향하여 가늘어지도록 사다리꼴이다. 전형적으로는 직각 사다리꼴이지만, 등각 사다리꼴이어도 좋다. 직각 사다리꼴이면, 삽입 에러를 인식하기 쉬운 이점과 함께, 직방체 블록으로부터의 잘라냄이 비교적 용이하다. 이 홀더 슬롯(60F)의 형상은 와이어 홀더(40)의 형상에 정합하고 있다.
도 8~도 12는 와이어 홀더(4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와이어 홀더(40)의 표면으로부터의 정면도, 도 9는 와이어 홀더(40)의 상면도, 도 10은 와이어 홀더(40)의 하면도, 도 11은 와이어 홀더(40)의 측면도, 도 12는 도 8에 도시한 B-B 선에 있어서의 와이어 홀더(40)의 횡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홀더(40)는 사각뿔대 형상이다. 와이어 홀더(40)의 표면과 이면(안쪽의 면)이 평행이고, 표면보다 이면이 작다. 그리고 와이어 홀더(40)의 표면과 이면 모두, 한쪽의 각(脚)과 아랫변의 내각(內角)이 직각인 직각 사다리꼴을 나타내고 있다. 즉, 와이어 홀더(40)의 표면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변과 아랫변이 평행이고, 한쪽의 각과 아랫변의 내각이 직각인 직각 사다리꼴이다.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홀더(40)의 상면과 하면 중의 한쪽이 직각 사다리꼴이고, 다른쪽이 직사각형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홀더(40)의 측면 형상 및 횡단 형상도 직각 사다리꼴이다. 또, 와이어 홀더(40)의 표면은, 윗변과 아랫변이 평행인 등각 사다리꼴이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와이어 홀더(40)의 측면 형상 및 표면 형상도 등각 사다리꼴이어도 좋다.
와이어 홀더(40)의 직각 사다리꼴의 표면 형상은 와이어 홀더(40)의 상하의 방향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아치 와이어를 와이어 홀더(40)의 와이어 홀(40A)에 통과시키는 작업 시에 와이어 홀더(40)의 상하의 방향을 오인하는 사태를 용이하게 회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하나의 내각이 직각을 나타내는 직각 사다리꼴이기 때문에 가공성이 좋고, 등각 사다리꼴의 경우에 비교하여 제조 비용을 저감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와이어 홀더(40)를 겉쪽을 넓게 안쪽을 가늘게 한 사각뿔대 형상으로 한 것에 의해 와이어 홀더(40)를 브래킷 베이스(60)의 홀더 슬롯(60F)에 삽입하는 처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게다가 상하의 방향을 오인하여 삽입하는 사태를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와이어 홀더(40)의 표면의 폭을, 와이어 홀더(40)의 이면의 폭보다 좁게 하도록 해도 좋다. 즉, 와이어 홀더(40)의 이면의 사이즈를 홀더 슬롯(60F)의 개구부보다, 높이 방향뿐만 아니라 폭 방향에 관해서도 작게 함으로써, 와이어 홀더(40)를 장착할 때에, 와이어 홀더(40)를 브래킷 베이스(60)의 홀더 슬롯(60F)에 대하여, 더욱 위치 결정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브래킷 베이스(60)의 홀더 슬롯(60F)은, 와이어 홀더(40)의 외형상에 맞춰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와이어 홀더(40)의 상면의 중앙 근방에는, 고정 구조로서 핀 슬롯(40B)이 형성된다. 핀 슬롯(40B)은, 와이어 홀더(40)가 브래킷 베이스(60)에 장착된 경우에 핀 가이드 홀(60A)과 연통되고, 홀더 고정 핀(60B)의 선단부가 삽입된다. 홀더 고정 핀(60B)은 압박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 홀더(40)를 브래킷 베이스(60)의 홀더 슬롯(60F)에 압입하는 과정에서, 홀더 고정 핀(60B)의 선단이 핀 슬롯(40B)에 자동적으로 삽입된다. 치과 의사는 홀더 고정 핀(60B)의 선단이 핀 슬롯(40B)에 삽입되는 것에 수반되는 클릭감, 소리에 의해 와이어 홀더(40)가 브래킷 베이스(60)에 고정된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은 홀더 고정 핀(60B)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 고정 핀(60B)에는, 한쪽의 단부 근방에 후크 홀(60Ba)이 형성되고, 다른쪽의 단부(선단부) 근방에 경사면(60Bb)이 형성된다.
후크 홀(60Ba)은, 브래킷 베이스(60)[핀 가이드 홀(60A)]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의 홀더 고정 핀(60B)을 인출할 때에, 후크를 걸기 위해 이용된다. 또, 홀더 고정 핀(60B)의 후크 홀(60Ba)이 형성된 면과, 핀 가이드 홀(60A)의 내면과의 사이에, 후크를 삽입 가능한 공극이 형성된다. 홀더 고정 핀(60B)의 경사면(60Bb)은, 아치 와이어(20)를 홀더 슬롯(60F)에 장착할 때에, 아치 와이어(20)와의 접촉에 의해 홀더 고정 핀(60B)을 밀어 올리도록(브래킷 베이스(60)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도록) 작용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와이어 홀더(40)를 홀더 슬롯(60F)에 장착할 때의 홀더 고정 핀(60B)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3에 도시한 A-A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 고정 핀(60B)은, 핀 가이드 홀(60A)의 내부에 수용된 탄성 부재(60G)에 의해, 브래킷 베이스(60)의 내부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또한, 홀더 고정 핀(60B)의 경사면(60Bb)은, 홀더 슬롯(60F)의 개구부를 향하여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 고정 핀(60B)의 경사면(60Bb)은 홀더 슬롯(60F)에 돌출한 상태에 있다.
와이어 홀더(40)가 홀더 슬롯(60F)에 삽입되면,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홀더(40)의 이면과 상면의 각부(41C)가 경사면(60Bb)과 접촉한다. 이 때문에, 홀더 고정 핀(60B)이, 탄성 부재(60G)에 의한 압박에 반하여, 도 14b 중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밀려 올라간다. 또, 와이어 홀더(40)의 이면과 상면의 각부(41C)를 모따기함으로써, 경사면(60Bb)과의 접촉에 의한 홀더 고정 핀(60B)의 밀어 올림을 순조롭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홀더(40)가 홀더 슬롯(60F)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가 되면, 핀 가이드 홀(60A)과 핀 슬롯(40B)이 연통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밀려 올라가 있던 홀더 고정 핀(60B)의 선단부가 핀 슬롯(40B)에 삽입된다. 핀 슬롯(40B)은, 도 14a~도 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면측의 면이 홀더 고정 핀(60B)의 삽입 방향과 동일한, 즉 상면으로부터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홀더 고정 핀(60B)은, 선단부가 핀 슬롯(40B)에 삽입됨으로써, 브래킷 베이스(60)에 수용된 와이어 홀더(40)에 걸어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설명에서는, 홀더 고정 핀(60B)은, 탄성 부재(60G)에 의해 브래킷 베이스(60)의 내부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압박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홀더 고정 핀(60B)과 핀 가이드 홀(60A)의 마찰 계수를 높게 하거나 하여, 용이하게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홀더 고정 핀(60B)을 핀 가이드 홀(60A)에 의해 유지시킴으로써 탄성 부재(60G)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와이어 홀더(40)의 홀더 슬롯(60F)에 대한 삽입 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 고정 핀(60B)이 밀려 올라가면, 홀더 고정 핀(60B)이 밀려 올라간 상태인 채로 되지만, 와이어 홀더(40)의 장착 완료 시에, 홀더 고정 핀(60B)의 상단부를 밀어 내리는 것만으로 간단히 와이어 홀더(40)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에 장착되는 아치 와이어(20)는,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면 형상을 장방형으로 한다. 또, 아치 와이어(20)의 횡단면 형상을 정방형, 혹은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 또한 타원, 원형으로 해도 좋다. 그것에 따라 여러 형상의 와이어 홀(40A)을 구비한 여러 종류의 와이어 홀더(40)가 준비된다.
와이어 홀더(40)에 형성된 와이어 홀(40A)의 개구부는, 아치 와이어(20)를 삽입 관통 가능한 사이즈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은, 셀프 라이게이션 브래킷의 특징을 갖고 있고, 와이어 홀더(40)에 의해 아치 와이어(20)를 완전히 고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와이어 홀(40A)의 개구부의 사이즈는, 기본적으로 아치 와이어(20)의 횡단면보다 작아진다. 또,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을 부착한 치아에 따라서는, 와이어 홀(40A)에 있어서 아치 와이어(20)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치 와이어(20)를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에 장착하는 경우, 사전에 아치 와이어(20)를 와이어 홀더(40)의 와이어 홀(40A)에 삽입 관통시킨 상태로 하여, 와이어 홀더(40)를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 슬롯(60F)에 장착한다. 통상, 치열 교정 치료를 할 때에는 복수의 치아에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을 부착하고, 이들 복수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에 대하여 아치 와이어(20)를 부착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의 경우, 복수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의 각각에 장착하는 복수의 와이어 홀더(40)에 아치 와이어(20)를 삽입 관통시킨 후에, 환자에 대하여 시술할 수 있다. 즉, 환자에 대한 시술로서는, 복수의 와이어 홀더(40)를 대응하는 브래킷 베이스(60)에 대하여, 각각 위치 결정하여 홀더 슬롯(60F)에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와이어 홀더(40)[아치 와이어(20)]의 브래킷 베이스(60)의 장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시술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필요한 교정력에 따라 여러가지 굵기의 아치 와이어를 구별하여 사용할 때, 그 아치 와이어의 굵기에 정합하는 내치수의 와이어 홀을 구비한 와이어 홀더를 여러가지 와이어 홀의 내치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와이어 홀더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치 와이어와 와이어 홀 사이에 간극을 해소시켜, 교정력의 손실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도 2, 도 11, 도 12에 있어서, 와이어 홀더(40)의 와이어 홀(40A)은, 아치 와이어(20)의 횡단면 형상에 맞춰 개구면을 장방형으로 하여, 장변이 수직[와이어 홀더(40)의 이면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지만, 개구면의 장방형을 경사시킨 상태로 형성해도 좋다. 즉, 와이어 홀(40A)의 방향을 바꿈으로써, 아치 와이어(20)에 의해 가해지는 교정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치 와이어(20)의 방향이 상이한 복수 종의 와이어 홀더(40)를 준비해 두고, 치열 교정 치료의 단계나 치료 대상으로 하는 치아에 따라 와이어 홀더(40)를 선택함으로써, 교정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홀더(40)는, 아치 와이어(20)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에 대한 장착을 간단히 하며, 교정력의 조정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변형예)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101)에 관하여, 도 15, 도 16,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101)을 구성하는 와이어 홀더(41)와 브래킷 베이스(61)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치열 교정용 브래킷(101)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있어서의 C-C 선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1)의 단면도이다. 또, 도 1~도 14에 도시한 기본 구성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1)은, 와이어 홀더(41)와 브래킷 베이스(61)를 갖는다. 와이어 홀더(41)는, 치열 교정용의 아치 와이어(20)를 삽입 관통시키는 와이어 홀(41A)을 구비한다. 브래킷 베이스(61)의 상면과 하면의 각각에는, 브래킷 베이스(61)에 장착된 와이어 홀더(4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조로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의 대략 중앙의 전면 근방에 걸림 돌기(61Ba, 61Bb)가 형성된다[걸림 돌기(61Bb)는 도 17에 도시]. 또한, 브래킷 베이스(61)에는 홈부(61C, 61D), 와이어 가이드(61E), 홀더 슬롯(61F)이 형성된다.
한편, 와이어 홀더(41)의 전면측에는, 브래킷 커버(41C)가 형성된다. 브래킷 커버(41C)는, 브래킷 베이스(61)의 전면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브래킷 베이스(61)의 전면의 종횡의 사이즈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 브래킷 커버(41C)는, 심미성을 좋게 하기 위해, 예컨대 투명 혹은 환자의 치아의 색에 가까운 색으로 형성된다. 브래킷 커버(41C)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이면[브래킷 베이스(61)]측으로 연장된 연장부(41D, 41E)가 형성된다. 연장부(41D, 41E)는, 와이어 홀더(41)가 브래킷 베이스(61)에 장착된 경우에,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 베이스(61)의 상면과 하면의 각각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연장부(41D, 41E)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는, 와이어 홀더(41)가 브래킷 베이스(61)에 장착된 경우에, 브래킷 베이스(61)의 걸림 돌기(61Ba, 61Bb)를 걸기 위한 고정 기구로서 부착 홀(41Ba, 41Bb)이 형성된다. 부착 홀(41Ba, 41Bb)은, 와이어 홀더(41)가 브래킷 베이스(61)에 장착되면, 각각 걸림 돌기(61Ba, 61Bb)가 관통된다. 이에 따라, 브래킷 베이스(61)에 장착된 와이어 홀더(41)를 고정한다.
제1 변형예의 와이어 홀더(41)는, 탄성(가요성)을 갖도록, 예컨대 플라스틱(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다. 즉, 연장부(41D)를 상방향, 연장부(41E)를 하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연장부(41D, 41E)의 사이가 넓어지도록 한다.
와이어 홀더(41)를 브래킷 베이스(61)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연장부(41D, 41E)의 사이를 넓힌 상태로 하여 와이어 홀더(41)를 홀더 슬롯(61F)에 삽입시키고, 장착이 완료된 후에 원래로 되돌린다. 이에 따라, 걸림 돌기(61Ba, 61Bb)가 각각 부착 홀(41Ba, 41Bb)에 끼워 맞춰진다.
와이어 홀더(41)를 브래킷 베이스(61)로부터 탈착하는 경우에는, 동일하게 하여, 연장부(41D, 41E)의 사이를 넓힌 상태로 하여, 와이어 홀더(41)를 홀더 슬롯(61F)으로부터 인출함으로써, 걸림 돌기(61Ba, 61Bb)와 부착 홀(41Ba, 41Bb)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 도 15~도 17에서는, 브래킷 베이스(61)와 와이어 홀더(41)에는, 상면과 하면의 2개소에 고정 구조가 형성되어 있지만, 장착된 와이어 홀더(41)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1개소에만 고정 구조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 15 및 도 17에서는, 걸림 돌기(61Ba, 61Bb)는, 브래킷 베이스(61)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대략 직방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전면측[와이어 홀더(41)가 장착되는 쪽]에 사면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와이어 홀더(41)를 브래킷 베이스(61)에 장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연장부(41D, 41E)의 단부를 걸림 돌기(61Ba, 61Bb)의 사면부에 접촉시킨 후, 더욱 이동시킴으로써 연장부(41D, 41E)를 사면부를 따라 넓어지게 할 수 있다. 와이어 홀더(41)가 완전히 장착된 위치까지 압입되면, 부착 홀(41Ba, 41Bb)에 걸림 돌기(61Ba, 61Bb)가 관통하고, 연장부(41D, 41E)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와이어 홀더(41)와 브래킷 베이스(61)가 고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와이어 홀더(41)를 브래킷 베이스(61)에 장착시킬 때에, 미리 연장부(41D, 41E)의 사이를 넓히기 위한 작업을 하지 않고, 와이어 홀더(41)를 브래킷 베이스(61)에 장착하는 방향으로 압입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와이어 홀더(41)를 브래킷 베이스(61)에 장착하여 고정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변형예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1)은, 와이어 홀더(41)를 이용함으로써 전술한 기본 구성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또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101)은, 와이어 홀더(41)를 브래킷 베이스(61)에 장착한 경우에, 브래킷 베이스(61)의 전면 전체가 브래킷 커버(41C)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브래킷 커버(41C)를 눈에 잘 띄지 않는 색 등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치열 교정용 브래킷(101)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심미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변형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102)에 관하여, 도 18, 도 19,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제2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102)을 구성하는 와이어 홀더(42)와 브래킷 베이스(62)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102)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0a는 도 19의 D-D 선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2)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20b는 도 20a의 프레임선 A의 확대도이다. 도 20c, 도 20d는, 도 20b의 걸림 돌기(62Ba)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또, 도 1~도 14에 도시한 기본 구성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2)은, 와이어 홀더(42)와 브래킷 베이스(62)를 갖는다. 와이어 홀더(42)는, 치열 교정용의 아치 와이어(20)를 삽입 관통시키는 와이어 홀(42A)을 구비한다. 브래킷 베이스(62)에는, 브래킷 베이스(62)에 장착된 와이어 홀더(4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조로서, 도 18 및 도 2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 슬롯(62F)의 내측의 상면과 하면의 각각에 선형의 걸림 돌기(선형 돌기)(62Ba, 62Bb)가 형성된다. 걸림 돌기(62Ba, 62Bb)는, 예컨대 홀더 슬롯(62F)의 내측의 깊이 방향의 어느 위치(예컨대 대략 중앙의 위치)에, 홀더 슬롯(62F)의 횡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또, 걸림 돌기(62Ba, 62Bb)는, 홀더 슬롯(62F)의 내측의 횡방향의 일부에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걸림 돌기(62Ba, 62Bb)는, 전형적으로는 홀더 슬롯(62F)의 동일 심도, 바꿔 말하면 홀더 슬롯(62F)의 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다. 물론 걸림 돌기(62Ba, 62Bb)는, 홀더 슬롯(62F)의 상이한 심도, 바꿔 말하면 홀더 슬롯(62F)의 저면으로부터 상이한 높이에 엇갈리게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걸림 돌기(62Ba, 62Bb)를 홀더 슬롯(62F)의 동일 심도로 형성하는 경우, 걸림 돌기(62Ba, 62Bb)의 정점 간 거리(간극 거리)는, 와이어 홀더(42)의 선단면의 윗변과 아랫변의 거리, 즉 높이보다 약간 길게, 와이어 홀더(42)를 홀더 슬롯(62F)에 삽입할 때에는 걸림 돌기(62Ba, 62Bb)가 와이어 홀더(42)의 선단면에 완충하지 않고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돌기(62Ba, 62Bb)는, 단면 이등변 삼각 형상의 선형 돌기이고, 그 표면은 홀더 슬롯(62F)의 심도 방향에 대하여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브래킷 베이스(62)에는, 홈부(62C, 62D), 와이어 가이드(62E), 홀더 슬롯(62F)이 형성된다. 또한, 브래킷 베이스(62)에는, 홀더 슬롯(62F)이 형성된 범위의 상면측과 하면측의 표면의 일부가 연장되어 연장부(62Ga, 62Gb)가 형성된다. 연장부(62Ga, 62Gb)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홀더(42)가 브래킷 베이스(62)에 장착된 상태일 때에, 와이어 홀더(42)의 표면보다 약간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와이어 홀더(42)의 상면과 하면의 각각에는, 와이어 홀더(42)가 브래킷 베이스(62)에 장착된 경우에, 브래킷 베이스(62)의 걸림 돌기(62Ba, 62Bb)를 걸기 위한 고정 기구로서, 횡방향 전체에 걸쳐 부착 슬롯(부착 홈)(42Ba, 42Bb)이 형성된다. 또, 부착 슬롯(42Ba, 42Bb)은, 와이어 홀더(42)의 횡방향의 일부에만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부착 슬롯(42Ba, 42Bb)은, 와이어 홀더(42)가 브래킷 베이스(62)에 장착되면, 각각 홀더 슬롯(62F)의 내측에서 걸림 돌기(62Ba, 62Bb)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브래킷 베이스(62)에 장착된 와이어 홀더(42)를 고정한다.
제2 변형예의 브래킷 베이스(62)는, 탄성(가요성)을 갖도록, 예컨대 플라스틱(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다. 즉, 와이어 홀더(42)를 브래킷 베이스(62)의 홀더 슬롯(62F)에 삽입함으로써, 브래킷 베이스(62)의 홀더 슬롯(62F)이 밀려 넓혀져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브래킷 베이스(62)의 양측면에는, 와이어 가이드(62E)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홀더 슬롯(62F)을 상하 방향으로 넓히기 쉽게 되어 있다.
제2 변형예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2)에 있어서, 와이어 홀더(42)의 브래킷 베이스(62)에 대한 장착/탈착은, 브래킷 베이스(62)의 변형, 구체적으로는 개구를 확대하는 것과 같은 바깥 방향으로의 만곡에 의해 실현된다. 와이어 홀더(42)를 브래킷 베이스(62)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와이어 홀더(42)를 홀더 슬롯(62F)에 삽입하여, 홀더 슬롯(62F)의 내면에 압접시킴으로써 브래킷 베이스(62)를 변형시킨다. 와이어 홀더(42)를, 걸림 돌기(62Ba, 62Bb)에 걸지 않고, 홀더 슬롯(62F)에 압접하여 삽입하는 것은, 걸림 돌기(62Ba, 62Bb)의 표면이 와이어 홀더(42)를 홀더 슬롯(62F)에 삽입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음으로써 실현된다. 그 때문에, 걸림 돌기(62Ba, 62Bb)의 단면 형상은 이등변 삼각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2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돌기(62Ba, 62Bb)의 단면 형상은, 밑각이 부등인 삼각 형상이어도 좋다. 걸림 돌기(62Ba, 62Bb)는, 홀더 슬롯(62F)의 심도 방향에 대하여 경사가 완만한 면이 홀더 슬롯(62F)의 개구를 향하고, 경사가 급한 면이 홀더 슬롯(62F)의 저면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와이어 홀더(42)는, 경사가 완만한 면을 따라 변형되면서 홀더 슬롯(62F)에 장착되고, 경사가 급한 면을 따라 변형되면서 홀더 슬롯(62F)으로부터 탈착된다. 따라서, 와이어 홀더(42)를 탈착할 때에 필요한 단위 거리당의 와이어 홀더(42)의 변형량은, 와이어 홀더(42)를 장착할 때의 그것보다 크다. 즉, 와이어 홀더(42)를 홀더 슬롯(62F)으로부터 탈착할 때에 필요한 외력은, 와이어 홀더(42)를 홀더 슬롯(62F)에 장착할 때의 외력보다 크다. 이에 따라, 걸림 돌기(62Ba, 62Bb)의 단면 형상이 이등변 삼각 형상인 경우에 비교하여, 와이어 홀더(42)를 브래킷 베이스(62)에 장착하기 쉽고, 와이어 홀더(42)가 브래킷 베이스(62)로부터 탈락하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도 2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돌기(62Ba, 62Bb)의 단면 형상은, 직각 삼각 형상이어도 좋다. 이 경우, 걸림 돌기(62Ba, 62Bb)는, 그 사면이 홀더 슬롯(62F)의 개구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또, 걸림 돌기(62Ba, 62Bb)의 단면 형상은 삼각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원호 형상이어도 좋다.
와이어 홀더(42)를 압입함으로써 가장 안쪽의 장착 위치에 도달하면, 홀더 슬롯(62F)에 형성된 걸림 돌기(62Ba, 62Bb)가 각각 와이어 홀더(42)의 부착 슬롯(42Ba, 42Bb)에 삽입되고, 와이어 홀더(42)와 브래킷 베이스(62)를 고정 상태로 한다. 또한, 와이어 홀더(42)를 브래킷 베이스(62)로부터 탈착하는 경우에는, 연장부(62Ga, 62Gb)의 사이를 넓힌 상태로 하여, 와이어 홀더(42)를 홀더 슬롯(62F)으로부터 인출함으로써, 걸림 돌기(62Ba, 62Bb)와 부착 슬롯(42Ba, 42Bb)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 도 18에서는, 걸림 돌기(62Ba, 62Bb)는, 홀더 슬롯(62F)의 횡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횡방향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와이어 홀더(42)에 형성되는 고정 구조와 결합 가능한 형상이면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브래킷 베이스(62)가 탄성(가요성)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브래킷 베이스(62)의 외형을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걸림 돌기(62Ba, 62Bb)만을 변형 가능하게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환자의 치아에 부착된 상태의 브래킷 베이스(62)에 부하를 부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변형예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2)은, 와이어 홀더(42)를 이용함으로써, 전술한 기본 구성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또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102)은, 와이어 홀더(42)의 삽입에 의해 브래킷 베이스(62)를 변형시켜 장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 홀더(42)의 삽입 전에 브래킷 베이스(62)를 변형시킨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없어 와이어 홀더(42)의 장착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설명에서는, 와이어 홀더(42)의 홀더 슬롯(62F)에 걸림 돌기(선형 돌기)(62Ba, 62Bb)를 형성하고, 그것이 감입되는 부착 슬롯(부착 홈)(42Ba, 42Bb)을 와이어 홀더(42)에 형성했지만, 제조상의 간이성 및 수율 향상을 위해, 와이어 홀더(42)의 홀더 슬롯(62F)에 부착 슬롯(부착 홈)(42Ba, 42Bb)을 형성하고, 그것에 감입되는 걸림 돌기(선형 돌기)(62Ba, 62Bb)를 와이어 홀더(42)에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와이어 홀더의 홀더 슬롯에 부착 슬롯(부착 홈)을 형성하고, 그것에 감입되는 걸림 돌기(선형 돌기)를 와이어 홀더에 형성하도록 해도 좋은 것은, 이하의 설명에서도 동일하다.
(제3 변형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107)에 관하여, 도 21, 도 22,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제3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107)을 구성하는 와이어 홀더(47)와 브래킷 베이스(67)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107)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J-J 선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7)의 단면도이다. 또, 도 1~도 14에 도시한 기본 구성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3 변형예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7)은, 기본 구성과 상이한 고정 구조를 형성한 것으로, 그 밖에 관해서는 기본적으로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제3 변형예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7)은, 와이어 홀더(47)와 브래킷 베이스(67)를 갖는다. 와이어 홀더(47)는, 치열 교정용의 아치 와이어(20)를 삽입 관통시키는 와이어 홀(47A)을 구비한다. 또한, 브래킷 베이스(67)에는, 홈부(67C, 67D), 와이어 가이드(67E), 홀더 슬롯(67F)이 형성된다. 또한, 브래킷 베이스(67)에는, 고정 구조로서, 클립(81)이 형성된다.
클립(81)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형상을 하고 있고, 예컨대 금속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클립(81)의 한쪽 단부는, 브래킷 베이스(67)의 표면에 연장된다. 클립(81)의 한쪽 단부의 근방에는, 클립(81)에 대한 작업 시에 후크를 걸기 위해 이용하는 후크 홀(81A)이 형성된다. 또한, 클립(81)의 다른쪽 단부는, 브래킷 베이스(67)의 하면에 연장되고, 브래킷 베이스(67)의 하면에 형성된 클립 유지 슬릿(67B)에 삽입된다.
클립(81)은, 와이어 홀더(47)를 브래킷 베이스(67)에 장착할 때에는, 홀더 슬롯(67F)의 개구면이 해방되도록,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를 밀어 내릴 수 있다. 이때, 클립(81)의 선단부를,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 베이스(67)의 표면 하부에 걸리게 한다. 이에 따라, 클립(81)에 대하여 조작을 하지 않고, 와이어 홀더(47)를 홀더 슬롯(67F)에 삽입시키는 작업을 간단히 할 수 있다.
와이어 홀더(47)를 홀더 슬롯(67F)에 장착시킨 후,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81)의 선단부를 와이어 홀더(47)의 표면에 압접시킨다. 이에 따라, 와이어 홀더(47)와 브래킷 베이스(67)를 고정 상태로 할 수 있다. 클립(81)을 이용한 경우, 와이어 홀더(47)의 표면의 어느 위치에 클립(81)의 선단이 압접되어 있더라도 고정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와이어 홀더(47)의 장착 후에 클립(81)에 대하여 부하가 부여되어 다소의 위치 어긋남이 생겼다 하더라도, 안정적으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홀더(47)를 홀더 슬롯(67F)으로부터 탈착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립(81)은 도 21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 홀더(47)를 홀더 슬롯(67F)으로부터 간단히 꺼내는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변형예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7)은, 와이어 홀더(47)를 이용함으로써 전술한 기본 구성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또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107)은,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로 형성된 클립(81)을 이용함으로써, 브래킷 베이스(67)에 장착된 와이어 홀더(47)를 간단한 작업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 상태로 할 수 있다.
(제4 변형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108)에 관하여, 도 24, 도 25, 도 26,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제4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108)을 구성하는 와이어 홀더(48)와 브래킷 베이스(68)와 클립(82A, 82B)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5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108)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6은 도 25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8)의 측면도, 도 27은 도 25에 도시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108)의 정면도이다. 또, 도 1~도 14에 도시한 기본 구성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4 변형예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8)은, 와이어 홀더(48)와 브래킷 베이스(68)와 2개의 클립(82A, 82B)을 갖는다. 와이어 홀더(48)는, 치열 교정용의 아치 와이어(20)를 삽입 관통시키는 와이어 홀(48A)을 구비한다. 와이어 홀더(48)는 기본 구성의 와이어 홀더(41)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한, 브래킷 베이스(68)에는 홀더 슬롯(68F)이 형성된다. 제4 변형예에서는, 홀더 슬롯(68F)의 양측면을 해방한 구조로 하고 있다. 또한, 홀더 슬롯(68F)의 횡방향의 사이즈는, 와이어 홀더(48)의 횡방향의 사이즈보다 작게 하고 있다. 또한, 브래킷 베이스(68)의 양측면의 이면측 근방에는, 종방향으로 클립 장착판(68Ba)이 형성되어 있다.
클립(82A, 82B)은, 도 24~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상이 대략 C자 형상을 하고 있고, 해방되어 있는 쪽을 표면측이 되도록 브래킷 베이스(68)에 장착된다. 클립(82A, 82B)의 외형상은, 브래킷 베이스(68)의 외형상에 맞춰 형성되어 있고, 브래킷 베이스(68)의 상하면과 이면에 상당하는 부분이 대략 직선형으로 형성된다. 클립(82A, 82B)의 상하면과 상당하는 부분에는, 이면에 상당하는 부분의 근방에 판 유지 부재(82Aa, 82Ab)가 형성된다. 판 유지 부재(82Aa)는, 클립(82A, 82B)의 상면과 상당하는 부분으로부터, 이면에 상당하는 부분과 클립 장착판(68Ba)의 판두께 만큼의 간격을 띄우고, 하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다. 판 유지 부재(82Ab)는, 클립(82A, 82B)의 하면과 상당하는 부분으로부터, 이면에 상당하는 부분과 클립 장착판(68Ba)의 판두께분의 간격을 띄우고, 상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 클립(82B)의 상세한 구성에 관해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클립(82A)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설명을 생략한다.
와이어 홀더(48)를 브래킷 베이스(68)에 장착할 때에는, 클립(82A, 82B)은 탈착된 상태가 된다. 와이어 홀더(48)를 홀더 슬롯(68F)에 장착시킨 후, 브래킷 베이스(68)의 양측면측으로부터 각각 클립(82A, 82B)을 장착한다. 클립(82A)은, 이면에 상당하는 부분과 판 유지 부재(82Aa, 82Ab) 사이에,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장착판(68Ba)을 끼워 넣음으로써, 브래킷 베이스(68)에 장착시킬 수 있다. 또, 클립(82B)도 동일하게 장착된다.
또한, 클립(82A)의 선단부(82Ac, 82Ad)는, 도 25~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홀더(48)의 표면에 각각 압접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 홀더(48)와 브래킷 베이스(68)를 고정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도 24~도 27에서는, 브래킷 베이스(68)의 양측면에 있어서 2개의 클립(82A, 82B)을 이용하여, 와이어 홀더(48)를 고정하고 있지만, 어느 한쪽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4 변형예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8)은, 와이어 홀더(48)를 이용함으로써 전술한 기본 구성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또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108)은, 클립(82A, 82B)을 이용함으로써, 브래킷 베이스(68)의 측면에 있어서 와이어 홀더(48)를 간단히 고정 상태로 할 수 있다.
(제5 변형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110)에 관하여, 도 28,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제5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110)을 구성하는 와이어 홀더(50)와 브래킷 베이스(7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9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11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 도 1~도 14에 도시한 기본 구성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5 변형예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10)은, 와이어 홀더(50)와 브래킷 베이스(70)를 갖는다. 와이어 홀더(50)는, 치열 교정용의 아치 와이어(20)를 삽입 관통시키는 와이어 홀(50A)을 구비한다. 브래킷 베이스(70)에는, 표면에 한 쌍의 윙(70A, 70B)이 형성된다. 윙(70A, 70B)은, 와이어 홀더(50)를 유지하기 위한 홀더(70Aa, 70Ba)를 형성하고, 홀더에 유지된 와이어 홀더(50)를 고정하기 위한 결찰용 와이어(혹은 결찰용 고무)(83)를 걸기 위한 결찰부(70Ab, 70Ac, 70Bb, 70Bc)가 형성된다. 윙(70A, 70B)은, 브래킷 베이스(70)의 기대부(基臺部)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윙(70A)은, 기대로부터 신장되는 2개의 결찰부(70Ab, 70Ac) 사이에, 와이어 홀더(50)의 외형상에 맞춘 홀더(70Aa)를 형성한다. 동일하게, 윙(70B)은, 기대로부터 신장되는 2개의 결찰부(70Bb, 70Bc) 사이에, 와이어 홀더(50)의 외형상에 맞춘 홀더(70Ba)를 형성한다. 한 쌍의 윙(70A, 70B)을 이격시켜 형성함으로써, 홀더(70Aa, 70Ba)에 의해 와이어 홀더(50)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결찰용 와이어(혹은 결찰용 고무)(83)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홀더(50)의 표면으로부터 결찰부(70Ab, 70Ac, 70Bb, 70Bc)의 이면을 통과시켜 결찰함으로써, 홀더(70Aa, 70Ba)에 유지된 와이어 홀더(50)를 고정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5 변형예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10)은, 와이어 홀더(50)를 이용함으로써 전술한 기본 구성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또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110)은,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결찰의 기술을 이용하여 와이어 홀더(50)를 고정할 수 있다. 치열 교정용 브래킷(110)에서는, 아치 와이어(20)를 와이어 홀더(50)의 와이어 홀(50A)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결찰의 기술을 이용하더라도, 셀프 라이게이션 브래킷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제6 변형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111)에 관하여, 도 30, 도 31, 도 3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제6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111)을 구성하는 와이어 홀더(51)와 브래킷 베이스(71)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1은 치열 교정용 브래킷(111)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2는 도 31의 L-L 선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11)의 단면도이다. 또, 도 1~도 14에 도시한 기본 구성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6 변형예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11)에 있어서, 와이어 홀더(51)의 브래킷 베이스(71)에 대한 장착/탈착은, 와이어 홀더(51)의 변형에 의해 실현된다. 이것은, 제1 변형예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1)과 동일하다. 제1 변형예와의 차이는, 와이어 홀더(51)를 브래킷 베이스(7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조와, 와이어 홀더(51)의 브래킷 베이스(71)에 대한 장착/탈착하기 위한 구조에 있다.
제6 변형예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11)은, 와이어 홀더(51)와 브래킷 베이스(71)를 갖는다. 와이어 홀더(51)는, 탄성 변형되도록, 예컨대 플라스틱(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브래킷 베이스(71)는, 와이어 홀더(51)의 탈착 시에 변형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예컨대 세라믹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와이어 홀더(51)는, 표면 형상이 직사각형, 횡단면[와이어 홀(51A)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면] 형상이 사다리꼴인 블록체이다. 브래킷 베이스(71)는, 직방체 형상의 블록체이고, 그 표면에는 와이어 홀더(51)의 형상에 정합하는 형상의 오목 형상의 홀더 슬롯(71F)이 형성되어 있다. 홀더 슬롯(71F)의 내측의 상면과 하면은 저면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와이어 홀더(51)를 브래킷 베이스(71)에 고정하기 위해, 와이어 홀더(51)에는 걸림 돌기(51Ba, 51Bb)가 형성되고, 브래킷 베이스(71)에는 걸림 홈(71Ba, 71Bb)이 형성된다. 걸림 돌기(51Ba, 51Bb)는, 각각 와이어 홀더(51)의 상면과 하면에 횡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걸림 돌기(51Ba, 51Bb)는, 단면 삼각 형상의 선형의 돌기이고, 와이어 홀더(51)의 두께 대략 중앙의 위치로부터 저면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걸림 홈(71Ba, 71Bb)은, 각각 홀더 슬롯(71F)의 내측의 상면과 하면에 횡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걸림 홈(71Ba, 71Bb)은, 걸림 돌기(51Ba, 51Bb)의 단면 형상과 정합하는 단면 형상의 홈이고, 홀더 슬롯(71F)의 내측의 깊이 방향의 대략 중앙의 위치로부터 가장 안쪽부에 걸쳐 형성된다.
또한, 와이어 홀더(51)를 홀더 슬롯(71F)에 장착할 때, 와이어 홀더(51)가 탄성 변형시키기 위해, 와이어 홀더(51)에는 슬롯(51Ca, 51Cb)이 형성되고, 홀더 슬롯(71F)에 고정된 와이어 홀더(51)를 홀더 슬롯(71F)으로부터 탈착하기 위해, 브래킷 베이스(71)에는 관통 홈(플라이어 가이드 슬롯)(71Ga, 71Gb)이 형성된다.
슬롯(51Ca, 51Cb)은 와이어 홀더(51)의 이면(저면)으로부터 표면을 향하여 절입된 동폭의 공극이고, 와이어 홀더(51)의 횡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슬롯(51Ca)은 와이어 홀(51A)과 와이어 홀더(51)의 상면 사이의 대략 중앙에, 상면과 평행으로 형성되고, 슬롯(51Cb)은 와이어 홀(51A)과 와이어 홀더(51)의 하면 사이의 대략 중앙에 하면과 평행으로 형성된다. 슬롯(51Ca, 51Cb)은 전형적으로는 와이어 홀(51A)의 폭과 대략 등가인 폭으로 형성되고, 와이어 홀더(51)의 이면으로부터 와이어 홀(51A)의 내측의 와이어 홀더(51)의 표면측의 면까지의 깊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슬롯(51Ca, 51Cb)을 형성하고, 브래킷 베이스(71)의 양측면의 와이어 가이드(71E)의 가로폭을 와이어 홀더(51)의 최대폭보다 약간 좁게 형성함으로써, 도 31,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홀더(51)가 브래킷 베이스(71)에 장착된 상태에서, 슬롯(51Ca, 51Cb)은 와이어 가이드(71E)의 바닥 가장자리와 함께 아치 와이어(20)를 삽입 관통하는 다른 와이어 홀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와이어 홀(51A)과는 별도의 와이어 홀이 형성됨으로써, 치열 교정용 브래킷(111)을 치면에 첩착한 상태에서, 아치 와이어(20)를 삽입 관통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치열에 가하는 교정력의 방향, 강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브래킷 베이스(71)의 플라이어 가이드 슬롯(71Ga, 71Gb)은, 각각 상하의 측벽의 표면의 폭 중앙에 형성되고, 상하의 측벽을 그 수직 방향으로 관통한 오목 형상의 홈이다. 그 홈의 깊이는, 와이어 홀더(51)의 두께에 등가 또는 와이어 홀더(51)의 두께보다 약간 짧다.
슬롯(51Ca, 51Cb)을 와이어 홀더(51)에 형성함으로써, 와이어 홀더(51)를 홀더 슬롯(71F)에 위치 맞춤하고, 압입하는 것만으로 브래킷 베이스(71)에 와이어 홀더(51)를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 홀더(51)는, 홀더 슬롯(71F)의 내면에 압접됨으로써, 슬롯(51Ca, 51Cb)이 막히고, 와이어 홀더(51)가 배면측에 약간 아치형으로 만곡하도록 변형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 홀더(51)의 배면의 폭이 좁아지고, 홀더 슬롯(71F)에 대한 와이어 홀더(51)의 삽입 발출이 촉진될 수 있다. 슬롯(51Ca, 51Cb)이 형성된 위치에 있어서, 와이어 홀더(51)의 폭이 얇아진다. 이에 따라 와이어 홀더(51)를 브래킷 베이스(71)에 강고히 장착하면서도, 와이어 홀더(51)를 홀더 슬롯(71F)에 용이하게 삽입하고, 또한 발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와이어 홀더(51)가 홀더 슬롯(71F)의 가장 안쪽에 도달했을 때, 와이어 홀더(51)가 만곡 상태로부터 정상 상태로 복원하는 복원력에 의해, 홀더 슬롯(71F)에 형성된 걸림 홈(71Ba, 71Bb)에 와이어 홀더(51)의 걸림 돌기(51Ba, 51Bb)가 자동적으로 삽입되고, 와이어 홀더(51)와 브래킷 베이스(71)를 고정 상태로 한다. 치과 의사는 걸림 돌기(51Ba, 51Bb)가 걸림 홈(71Ba, 71Bb)에 감입되는 것에 수반되는 클릭감, 소리에 의해 와이어 홀더(51)가 브래킷 베이스(71)에 고정된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브래킷 베이스(71)로부터 와이어 홀더(51)를 탈착할 때에는, 플라이어의 클립 선단에 부착된 가는 로드를 플라이어 가이드 슬롯(71Ga, 71Gb)에 삽입 관통하고, 와이어 홀더(51)를 상하로부터 가압하여, 그 절입부(슬롯)(51Ca, 51Cb)를 막도록 와이어 홀더(51)의 두께를 약간 얇게 변형시킨다. 이에 따라, 걸림 돌기(51Ba, 51Bb)가 걸림 홈(71Ba, 71Bb)으로부터 벗어난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 홀더(51)를 홀더 슬롯(71F)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또, 도 30, 도 32에 도시한 와이어 홀더(51)에는, 2개의 슬롯(51Ca, 51Cb)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와이어 홀더(5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와이어 홀더(51)가 변형 가능하다면, 1개의 슬롯, 혹은 3개 이상의 슬롯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슬롯의 폭(표면 개구부의 폭)을 변경함으로써 와이어 홀더(51)의 변형량을 조정할 수 있고, 슬롯(51Ca, 51Cb)은, 와이어 홀(51A)의 폭과 상이해도 좋고, 서로 상이한 폭이어도 좋다. 또한, 슬롯(51Ca, 51Cb)은 깊이 방향에 걸쳐 동폭으로 하고 있지만, 슬롯의 깊이 방향을 향하여 테이퍼상으로 넓어지는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슬롯(51Ca, 51Cb)은, 와이어 홀더(51)의 변형량에 따라, 그 깊이가 적어도 와이어 홀더(51)의 깊이(두께)의 1/3 초과이면 되고, 와이어 가이드(71E)의 바닥 가장자리로부터 상부에 노출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슬롯(51Ca, 51Cb)은 와이어 홀더(51)의 상면과 평행으로 하는 방향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적어도 한쪽을 와이어 홀더(51)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걸림 돌기(51Ba, 51Bb)는, 와이어 홀더(51)의 횡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와이어 홀더(51)의 횡방향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것에 맞춰, 걸림 홈(71Ba, 71Bb)은 홀더 슬롯(71F)의 내측의 상면과 하면에 횡방향의 일부, 홀더 슬롯(71F)에 장착된 와이어 홀더(51)의 걸림 돌기(51Ba, 51B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6 변형예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11)은, 와이어 홀더(51)를 이용함으로써, 전술한 기본 구성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6 변형예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11)에서는, 와이어 홀더(51)를 변형시킴으로써, 브래킷 베이스(71)에 대하여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또한 브래킷 베이스(71)에 대하여 부하를 부여하지 않는다. 또한, 와이어 홀더(51)를 홀더 슬롯(71F)에 압접하는 것만으로 와이어 홀더(51)를 브래킷 베이스(71)에 장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강 내의 좁은 작업 환경에서도, 와이어 홀더(51)를 브래킷 베이스(71)에 장착시키는 작업은 용이하고, 시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1 변형예와 같이, 브래킷 베이스(61)를 와이어 홀더(41)로 덮는 고정 구조가 아니라, 홀더 슬롯(71F)의 내측에서 와이어 홀더(51)를 고정하는 고정 구조이기 때문에, 브래킷 자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제6 변형예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11)에서는, 슬롯(51Ca, 51Cb)이 이면으로부터 표면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면에서 슬롯(51Ca, 51Cb)이 보이지 않는다. 그 때문에, 심미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 복수의 와이어 홀더(51)가 탄성체로 결합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도 33,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홀더(51)와 다른 와이어 홀더(51)가 고무(51H)에 의해 결합된다. 고무(51H)는,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와이어 홀더(51)의 표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타단이 다른 와이어 홀더(51)의 표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또한, 고무(51H)는, 그 일단이 와이어 홀더(51)의 측면에 접착되고, 타단이 다른 와이어 홀더(51)의 측면에 접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고무(51H)는, 접착제에 의해 와이어 홀더(51)에 접착되는 것이 아니라, 와이어 홀더(51)에 일체 성형되어 있어도 좋다.
고무(51H)의 길이는, 인접하는 2개의 치아의 각각에 대하여, 서로 접근하는 방향의 교정력을 가하는 것인지, 서로 이격하는 방향의 교정력을 가하는 것인지에 따라 조정된다. 길이가 2개의 치아에 각각 장착된 브래킷 베이스(71)의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고무(51H)를 이용하고, 고무(51H)를 신장한 상태에서, 와이어 홀더쌍(112)을 구성하는 2개의 와이어 홀더(51)는 각각 브래킷 베이스(71)에 장착함으로써, 고무(51H)의 복원력에 의해, 인접하는 2개의 치아의 각각에 서로 접근하는 방향의 교정력을 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길이가 2개의 치아에 각각 장착된 브래킷 베이스(71)의 사이의 거리보다 긴 고무(51H)를 이용하고, 고무(51H)를 수축한 상태에서, 와이어 홀더쌍(112)을 구성하는 2개의 와이어 홀더(51)는 각각 브래킷 베이스(71)에 장착함으로써, 고무(51H)의 복원력에 의해, 인접하는 2개의 치아의 각각에 서로 이격하는 방향의 교정력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무(51H)로 결합된 와이어 홀더쌍(112)을 치열 교정에 사용함으로써, 아치 와이어(20)만으로는 교정력이 부족한 경우에, 그 부족분을 고무(51H)의 복원력으로 보충할 수 있고, 치료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고무(51H)는, 다른 탄성체, 예컨대 코일 스프링이어도 좋다. 고무(51H) 대신에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경우, 코일 스프링의 길이에 따라, 구체적으로는, 코일 스프링의 길이가 인접하는 2개의 치아에 각각 장착된 브래킷 베이스(71)의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경우, 2개의 치아의 각각에 서로 접근하는 방향의 교정력을 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코일 스프링의 길이가 인접하는 2개의 치아에 각각 장착된 브래킷 베이스(71)의 사이의 거리보다 긴 경우, 2개의 치아의 각각에 서로 이격하는 방향의 교정력을 가할 수 있다.
(제7 변형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7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115)에 관하여, 도 36, 도 37, 도 38, 도 3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6은 제7 변형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115)을 구성하는 와이어 홀더(55)와 브래킷 베이스(75)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7은 치열 교정용 브래킷(115)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8은 도 37의 P-P 선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15)의 단면도이다. 도 39는 도 37의 P-P 선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15)의 다른 단면도이다. 제6 변형예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11)과 마찬가지로, 제7 변형예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15)에 있어서, 와이어 홀더(55)의 브래킷 베이스(75)에 대한 장착/탈착은, 와이어 홀더(55)의 변형에 의해 실현된다. 제7 변형예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15)은, 제6 변형예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11)의 와이어 홀더(51)에 이면에 형성되는 슬롯(51Ca, 51Cb)이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고, 그 밖에 관해서는 기본적으로 제6 변형예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1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와이어 홀더(55)에는, 와이어 홀(55A), 와이어 부착 슬롯(부착 홈)(55Ba, 55Bb)이 형성된다. 이들 구성은, 제2 변형예의 와이어 홀더(42)와 동일하다. 또한, 와이어 홀더(55)에는, 슬롯(55Ca)이 와이어 홀(55A)과 와이어 홀더(55)의 상면 사이, 상면 근처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롯(55Cb)은 와이어 홀(55A)과 와이어 홀더(55)의 하면 사이, 하면 근처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슬롯(55Ca, 55Cb)은 횡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슬롯(55Ca, 55Cb)은, 와이어 홀더(55)의 표면으로부터 안쪽(이면)을 향하여, 적어도 깊이(두께)의 1/2 초과이며 4/5 또는 2/3 미만의 심도, 예컨대 부착 슬롯(55Ba, 55Bb)이 형성된 깊이, 혹은 더욱 깊은 위치까지 도달하는 절입부(공극)이다. 예컨대, 슬롯(55Ca, 55Cb)의 공극은, 예컨대 도 36,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홀더(55)의 상면과 평행이 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와이어 홀더(55)에는, 플라이어의 클립 선단을 받는 받이부(55Ga, 55Gb)가 형성되어 있다. 플라이어 받이부(55Ga, 55Gb)로서, 와이어 홀더(55)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오목부가 형성된다. 와이어 홀더(55)가 브래킷 베이스(75)에 장착된 상태에서, 플라이어 받이부(55Ga, 55Gb)는, 각각 브래킷 베이스(75)의 관통공(75Ga, 75Gb)과 연속하는 플라이어 삽입 구멍을 구성한다.
와이어 홀더(55)를 브래킷 베이스(75)로부터 탈착하는 경우에는, 이 플라이어 삽입 구멍에 전용의 압출구를 삽입하고, 와이어 홀더(55)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부터 힘을 가함으로써, 슬롯(55Ca, 55Cb)이 막히도록 와이어 홀더(54)를 약간 얇게 변형시킨다. 이에 따라, 부착 슬롯(55Ba, 55Bb)이 걸림 돌기(75Ba, 75Bb)로부터 벗어난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 홀더(55)를 홀더 슬롯(75F)으로부터 인출함으로써, 걸림 돌기(75Ba, 75Bb)와 부착 슬롯(55Ba, 55Bb)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브래킷 베이스(75)에는 걸림 돌기(선형 돌기)(75Ba, 75Bb), 홈부(75C, 75D), 와이어 가이드(75E), 홀더 슬롯(75F)이 형성된다. 이들 구성은, 제2 변형예의 브래킷 베이스(62)와 동일하다. 또, 제7 변형예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11)에서는, 제2 변형예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2)에 있어서의 연장부(62Ga, 62Gb)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 베이스(75)에는 그 상측벽을 그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플라이어 가이드 홀)(75Ga)이 폭 중앙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브래킷 베이스(75)에는 그 하측벽을 그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75Gb)이 폭 중앙에 형성된다.
관통공(75Ga, 75Gb)이 형성되는 위치는, 심도 방향에 관하여, 브래킷 베이스(75)의 표면으로부터, 와이어 홀더(55)가 브래킷 베이스(75)에 장착된 상태에서, 와이어 홀더(55)의 절입부(슬롯)(55Ca, 55Cb)의 절입 깊이까지의 범위의 중간 정도의 위치이다.
브래킷 베이스(75)로부터 와이어 홀더(55)를 탈착하려면, 플라이어의 클립 선단에 부착된 가는 로드를 관통공(75Ga, 75Gb)에 삽입 관통하고, 와이어 홀더(54)를 상하로부터 가압하여, 그 절입부(슬롯)(55Ca, 55Cb)를 막도록 와이어 홀더(54)를 그 두께를 약간 얇게 변형시킴으로써, 선형 돌기(75Ba, 75Bb)를 와이어 부착 슬롯(부착 홈)(55Ba, 55Bb)으로부터 벗어나게 하여 전방으로 인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제7 변형예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15)은, 전술한 기본 구성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또한, 슬롯(55Ca, 55Cb)이 와이어 홀더(55)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은, 와이어 홀더(55)의 브래킷 베이스(75)에 대한 장착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 베이스(75)에 치열 교정용의 아치 와이어(20)를 삽입 관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홀(75H)을 형성해도 좋다. 와이어 홀(75A)은, 와이어 홀더(55)의 와이어 홀(55A)과 동일한 단면 형상과 동일한 단면 치수여도 좋고, 와이어 홀(55A)과의 단면 형상과 단면 치수 중 적어도 한쪽이 상이해도 좋다. 이와 같이, 와이어 홀더(55)의 와이어 홀(55A)과는 별도로, 브래킷 베이스(75)에 와이어 홀(75H)을 형성함으로써, 치열 교정에, 예컨대 복수의 아치 와이어를 사용하여 교정력 등을 복수의 방향으로 복잡하게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100: 치열 교정용 브래킷 20: 아치 와이어
40: 와이어 홀더 41A: 와이어 홀
60: 브래킷 베이스 61F: 홀더 슬롯.

Claims (11)

  1. 환자의 치열을 교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으로서,
    치열 교정용의 아치 와이어를 삽입 관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구비한 와이어 홀더와,
    상기 와이어 홀더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환자의 치면에 첩착되는 브래킷 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브래킷 베이스에는, 상기 와이어 홀더가 감입되는 홀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홀더에는, 상기 와이어 홀더를 만곡시키고, 상기 브래킷 베이스의 상기 홀더 슬롯에 대한 상기 와이어 홀더의 삽입 발출을 촉진하기 위해, 이면으로부터 표면을 향하여 형성되어 상기 이면을 향해 개방된 형상을 갖는 적어도 1개의 절입부가 상기 관통공과 평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홀더는, 사각뿔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홀더의 횡단면 형상은 사다리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베이스에는 상기 와이어 홀더가 감입되는 홀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홀더의 측면에는 횡방향으로 선형 돌기와 홈부 중의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 베이스의 상기 홀더 슬롯의 내면에는 횡방향에 걸쳐 선형 돌기와 홈부 중의 다른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선형 돌기가 상기 홈부에 감입됨으로써, 상기 와이어 홀더가 상기 브래킷 베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베이스에는 상기 와이어 홀더가 감입되는 홀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홀더의 높이는 상기 브래킷 베이스의 상기 홀더 슬롯의 홀더 수납부의 깊이와 등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홀더는 다른 와이어 홀더와 탄성체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고무 또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7017587A 2015-12-20 2016-12-20 치열 교정용 브래킷 KR102000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48088 2015-12-20
JPJP-P-2015-248088 2015-12-20
PCT/JP2016/087992 WO2017110831A1 (ja) 2015-12-20 2016-12-20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459A KR20180086459A (ko) 2018-07-31
KR102000409B1 true KR102000409B1 (ko) 2019-07-15

Family

ID=59089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587A KR102000409B1 (ko) 2015-12-20 2016-12-20 치열 교정용 브래킷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289451A1 (ko)
JP (1) JP6313528B2 (ko)
KR (1) KR102000409B1 (ko)
CN (1) CN108697489B (ko)
DE (1) DE112016005848T5 (ko)
WO (1) WO20171108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277B1 (ko) * 2021-11-16 2022-03-29 주식회사 임진과학 무선주파수 발생기를 내장한 치아 부착용 브래킷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16578A1 (en) * 2018-01-16 2019-07-18 Dalia El-Bokle Dalman orthodontic bracket
CN108784861B (zh) * 2018-04-30 2024-03-29 广州欧欧医疗科技有限责任公司 异形弓丝止锁装置及其使用方法
CN109394359B (zh) * 2018-11-16 2024-04-02 海南大学 一种牙齿正畸的装置及使用方法
JP6950903B2 (ja) * 2019-02-04 2021-10-13 康寛 斉宮 歯科矯正用のブラケット
KR102239513B1 (ko) 2019-05-15 2021-04-12 이도훈 치아교정용 와인더
WO2021125404A1 (ko) * 2019-12-20 2021-06-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열교정용 브라켓 유닛
US11324573B2 (en) 2020-07-03 2022-05-10 Aadvance Technologies, Llc Orthodontic device
KR102237979B1 (ko) * 2021-02-05 2021-04-07 김덕수 교체형 슬롯블록을 갖춘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CN115281865B (zh) * 2022-08-26 2024-03-01 濮阳市第三人民医院(濮阳市口腔医院) 一种口腔医学矫正植体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8967A1 (en) * 2001-12-20 2003-06-26 Tepper Harry W. Orthodontic snap-in bracket
US20120301838A1 (en) * 2010-02-20 2012-11-29 Robert Kabbani Tooth Top Par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8132A (en) * 1966-05-02 1969-04-15 James M Rubin Orthodontic method and apparatus
US4687441A (en) * 1985-05-10 1987-08-18 Klepacki Frank H Elastomeric securing means for orthodontic appliances
US5098288A (en) * 1990-05-04 1992-03-24 Tp Orthodontics, Inc. Flexible bonding pad for an orthodontic bracket
US5356288A (en) * 1992-12-07 1994-10-18 Howard Cohen Dual orthodontic bracket
US5913680A (en) 1994-03-07 1999-06-22 Voudouris; John C. Orthodontic bracket
EP0931518A1 (en) * 1997-05-16 1999-07-28 Shofu Inc. Orthodontic device
JP4444410B2 (ja) 1999-10-08 2010-03-31 トミー株式会社 歯列矯正ブラケットおよび歯列矯正ブラケット用ツール
JP2002345846A (ja) * 2001-05-30 2002-12-03 Aichi Steel Works Ltd 矯正ワイヤ用アタッチメント
WO2004060193A1 (ja) * 2003-01-07 2004-07-22 Chikami Miltec Inc.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およびアーチワイヤ
DE102004016317B4 (de) * 2004-03-30 2007-09-06 Bernhard Förster Gmbh Kieferorthopädische Vorrichtung
KR100763315B1 (ko) * 2005-03-09 2007-10-04 차경석 치아 교정용 브라켓
US20120064475A1 (en) * 2009-03-13 2012-03-15 Ultradent Products, Inc. Orthodontic Brackets Including a Ceramic or Polymer Bracket Base and a Metal Insert Having a Selectively Removable Labial Web Cover
DE102011116646B3 (de) * 2011-10-21 2012-11-29 Heliocos Gmbh Kieferorthopädisches Regulierungssystem
US8550814B1 (en) * 2012-08-16 2013-10-08 Monte Collins Multi-component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US9198740B2 (en) * 2013-08-19 2015-12-01 Premier Orthodontic Designs, Lllp Orthodontic brack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8967A1 (en) * 2001-12-20 2003-06-26 Tepper Harry W. Orthodontic snap-in bracket
US20120301838A1 (en) * 2010-02-20 2012-11-29 Robert Kabbani Tooth Top Par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277B1 (ko) * 2021-11-16 2022-03-29 주식회사 임진과학 무선주파수 발생기를 내장한 치아 부착용 브래킷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97489A (zh) 2018-10-23
DE112016005848T5 (de) 2018-08-30
US20180289451A1 (en) 2018-10-11
CN108697489B (zh) 2020-03-06
JPWO2017110831A1 (ja) 2017-12-21
JP6313528B2 (ja) 2018-04-18
WO2017110831A1 (ja) 2017-06-29
KR20180086459A (ko)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409B1 (ko) 치열 교정용 브래킷
US7481651B2 (en) Orthodontic device
US8636508B2 (en) Self-ligating brackets for orthodontics
US9901422B2 (en) Dental wire supporter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US20070134612A1 (en) Dento-facial orthopedic treatment and orthodontic arch wire for implementing the same
KR101565802B1 (ko)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
US11298212B2 (en) Set of brackets for orthodontics
MXPA04000426A (es) Freno ortodontico autoligante estetico.
CN108770339B (zh) 自锁式正畸托槽
JP6441304B2 (ja) 歯科矯正装具及びその作動方法
JP2021526392A (ja) 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
KR100991835B1 (ko) 치아교정장치
US20190015178A1 (en) Arrangement having a bracket and a clip
KR101538007B1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102418082B1 (ko) 치열교정용 자가결찰 브라켓
US20140295369A1 (en) Orthodontic Accessory
US11395720B2 (en) Self ligating orthodontic bracket with coplanar spring
EP3981358A1 (en) Self-ligating bracket and clip
WO2018135569A1 (ja) 歯科矯正用のブラケットおよびブラケット位置決め用治具
KR20170076259A (ko) 치열교정용 브래킷
US20220192792A1 (en) Set of brackets for orthodontics
KR101501197B1 (ko)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브라켓 세트
KR101648419B1 (ko)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JP2006334231A (ja) 歯列矯正器具、なら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ブラケットおよびキ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