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570U - 건축용 외장 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외장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570U
KR20180001570U KR2020160006720U KR20160006720U KR20180001570U KR 20180001570 U KR20180001570 U KR 20180001570U KR 2020160006720 U KR2020160006720 U KR 2020160006720U KR 20160006720 U KR20160006720 U KR 20160006720U KR 20180001570 U KR20180001570 U KR 201800015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ide wall
corner
ang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규백
Original Assignee
연규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규백 filed Critical 연규백
Priority to KR2020160006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570U/ko
Publication of KR201800015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57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e.g.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외장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형상의 알루미늄패널의 사방 각 모서리를 모따기 후 절곡시켜 측벽을 형성하는 외장패널의 각 모서리 안쪽 틈새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도록 한 건축용 외장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사방 모서리를 모따기 하여 절곡시켜 사방에 측벽이 형성되는 패널몸체; 상기 패널몸체의 각 모서리 안쪽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주어 누수를 방지해주는 복수 개의 앵글부재; 및 상기 각 앵글부재의 외측에 겹쳐진 상태에서 앵글부재와 함께 측벽에 리벳으로 고정되는 복수 개의 몰딩부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외장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외장 패널{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외장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형상의 알루미늄패널의 사방 각 모서리를 모따기 후 절곡시켜 측벽을 형성하는 외장패널의 각 모서리 안쪽 틈새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도록 한 건축용 외장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장은 콘크리트구조물에서는 부착된 타일 또는 도포된 도료이고, 철골구조물에서는 석판이나 외장패널을 부착하여 구성한다. 그러나 타일이나 석판은 시간경과에 따른 이탈 등의 단점이 있고, 건축물 외관 변경시 떼어내 폐기처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수명이 다하지 않은 멀쩡한 건축물을 허물지 않고 리모델링, 리폼 등의 리노베이션을 통해 외관만 수선하는 방법, 건축물의 내외부를 고치는 방법, 증개축을 통해 건물을 전반적으로 고치는 방법 등으로 건축물을 개조하고 있다.
이렇게 리노베이션을 통해 건축물의 외관을 고치는 경우에 알루미늄과 알루미늄 사이에 폴리에틸렌 소재가 들어가 있는 알루미늄복합패널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건축물의 외관에 상기 알루미늄패널을 사용하기 위해서 건축물의 외관에 격자형틀을 부설하고, 이 격자형틀에도 도 1과 같이 가공해서 만든 속이 빈 상자체형 알루미늄패널을 부착하여 외관을 개보수하는데, 기존 건축물에 적용되어 개보수가 용이하고 신축 건축물에도 설치가 용이한 것으로 내구성 및 경량성과 건축물의 외장변경에 유리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과 같은 상자체형 알루미늄패널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일정크기의 사각형으로 절단한 알루미늄패널의 사방 각 모서리를 도 2처럼 모따기를 실시해야 한다. 도 3의 ①→②→③→④의 순서처럼 사방 모서리를 모따기 실시한 후 절곡시켜 사방에 측벽이 갖춰지도록 하고 이 측벽 내측에 각각 'Z'자 형상의 몰딩부재를 밀착시켜 리벳을 이용하여 부착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종래의 외장패널의 모서리 안쪽에는 모따기로 인하여 틈새가 형성되어 빗물이나 물청소에 의한 물이 틈새로 빠져나가 건축물의 내부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외장패널의 모서리 안쪽의 틈새에 실란트(sealant)를 일정량 도포하여 틈새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나 누수를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49150호가 등록된 바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에 의한 목적은 사각형상의 알루미늄패널의 사방 각 모서리를 모따기 후 절곡시켜 측벽을 형성하는 외장패널의 각 모서리 안쪽 틈새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사방 모서리를 모따기 하여 절곡시켜 사방에 측벽이 형성되는 패널몸체; 상기 패널몸체의 각 모서리 안쪽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주어 누수를 방지해주는 복수 개의 앵글부재; 및 상기 각 앵글부재의 외측에 겹쳐진 상태에서 앵글부재와 함께 측벽에 리벳으로 고정되는 복수 개의 몰딩부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외장 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각 앵글부재는 사각형상의 알루미늄판이 구비된 상태에서 하부 중앙에 V자형 절개부를 형성시키고, 제1절곡선(A)을 기준으로 하면을 수직방향으로 접어 올린 다음 제2절곡선(B)을 기준으로 V자형 절개부의 양단부가 맞닿도록 수평방향으로 접어주어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앵글부재의 두께는 0.1mm ~ 0.5mm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몰딩부재의 하부에는 앵글부재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1밀착부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측벽에 밀착되는 제2밀착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측벽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Z'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각형상의 알루미늄패널의 사방 각 모서리를 모따기 후 절곡시켜 측벽을 형성하는 외장패널의 각 모서리 안쪽 틈새에 실란트(sealant)를 도포한 후 'ㄱ'자 형태의 앵글부재를 각각 밀착시킨 다음 각 앵글부재의 외측에 'Z'자 형태의 몰딩부재가 각각 겹쳐지게 측벽에 밀착시켜 리벳으로 고정하므로 외장패널의 각 모서리 안쪽 틈새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해주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모따기 실시된 건축용 격자형 외장 패널의 사시도.
도 3은 건축용 외장패널의 사방 모서리 모따기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패널몸체에 'ㄱ'자 형태의 앵글부재와 'Z'자 형태의 몰딩부재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ㄱ'자 형태의 앵글부재를 제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Z'자 형태의 몰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패널몸체에 'ㄱ'자 형태의 앵글부재와 'Z'자 형태의 몰딩부재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ㄱ'자 형태의 앵글부재를 제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Z'자 형태의 몰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건축용 외장 패널(1)은 크게 패널몸체(10)와, 복수 개의 앵글부재(20) 및 복수 개의 몰딩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패널몸체(10)는 건축용 패널의 전면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일정크기의 사각형상으로 절단한 금속 또는 알루미늄패널의 사방 각 모서리를 모따기 하여 절곡시키므로 측벽(1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패널몸체(10)를 도면상에서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각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앵글부재(20)는 상기 패널몸체(10)의 각 모서리 안쪽에 모따기로 인하여 형성된 틈새(C)를 막아주어 누수를 방지해주는 것으로, 상기 앵글부재(20)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앵글부재(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알루미늄판이 구비된 상태에서 하부 중앙에 V자형 절개부(21)를 형성시킨다. 그런 다음 제1절곡선(A)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접어 올려 수평면을 갖는 하판(22)과 수직면을 갖는 상판(23)으로 구획시킨다. 그리고 제2절곡선(B)을 기준으로 V자형 절개부(21)의 양단부가 맞닿도록 수평방향으로 접어주므로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앵글부재(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몸체(10)의 각 모서리 안쪽에 실란트(sealant)를 도포한 후 'ㄱ'자 형태의 앵글부재(20)의 하판(22)이 패널몸체(10)의 내측 바닥에 밀착되고 상판(23)이 측벽(11)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시킨다. 그런 다음 각 앵글부재(20)의 외측에 'Z'자 형태의 몰딩부재(30)를 각각 겹쳐지도록 측벽(11)에 밀착시켜 리벳으로 고정시키므로 외장패널의 모서리 안쪽 틈새(C)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각 앵글부재(20)의 두께는 0.1mm ~ 0.5mm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앵글부재(20)의 두께가 0.1mm 이하일 경우에는 강성이 약하여 절곡시 쉽게 찢어져 파손됨은 물론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앵글부재(20)의 두께가 0.5mm 이상일 경우에는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제조단가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몰딩부재(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Z'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는 앵글부재(20)의 하판(22)에 밀착되는 제1밀착부(31)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측벽(11)에 밀착되는 제2밀착부(32)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측벽(11)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3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부(33)에는 건축용 패널을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가 관통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구멍(도면에 미도시함)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앵글부재(20)와 몰딩부재(30)를 각각 도면상에서는 복수 개로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앵글부재(20)와 몰딩부재(30)는 하나의 사각형상으로 구비시켜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에 의하면, 외장패널의 각 모서리 안쪽 틈새에 실란트(sealant)를 도포하여 1차로 누수를 차단하고 재차 'ㄱ'자 형태의 앵글부재를 각각 밀착시킨 다음 각 앵글부재의 외측에 'Z'자 형태의 몰딩부재를 각각 겹쳐지게 측벽에 밀착시켜 리벳으로 고정하므로 외장패널의 각 모서리 안쪽 틈새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제품의 품질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 건축용 외장 패널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1 : 건축용 외장 패널
10 : 패널몸체
11 : 측벽
20 : 앵글부재
21 : 절개부 22 : 하판 23 : 상판
30 : 몰딩부재
31 : 제1밀착부 32 : 제2밀착부 33 : 플랜지부

Claims (4)

  1. 사각 형상의 알루미늄패널의 사방 각 모서리를 모따기 하여 절곡시켜 측벽이 형성된 외장패널의 각 모서리 안쪽 틈새를 통해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건축용 외장 패널에 관한 것으로,
    사방 모서리를 모따기 하여 절곡시켜 사방에 측벽이 형성되는 패널몸체;
    상기 패널몸체의 각 모서리 안쪽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주어 누수를 방지해주는 복수 개의 앵글부재; 및
    상기 각 앵글부재의 외측에 겹쳐진 상태에서 앵글부재와 함께 측벽에 리벳으로 고정되는 복수 개의 몰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앵글부재는,
    사각형상의 알루미늄판이 구비된 상태에서 하부 중앙에 V자형 절개부를 형성시키고, 제1절곡선(A)을 기준으로 하면을 수직방향으로 접어 올린 다음 제2절곡선(B)을 기준으로 V자형 절개부의 양단부가 맞닿도록 수평방향으로 접어주어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 패널.
  3. 상기 각 앵글부재의 두께는 0.1mm ~ 0.5mm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몰딩부재의 하부에는 앵글부재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1밀착부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측벽에 밀착되는 제2밀착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측벽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Z'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 패널.
KR2020160006720U 2016-11-18 2016-11-18 건축용 외장 패널 KR201800015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720U KR20180001570U (ko) 2016-11-18 2016-11-18 건축용 외장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720U KR20180001570U (ko) 2016-11-18 2016-11-18 건축용 외장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570U true KR20180001570U (ko) 2018-05-28

Family

ID=62296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720U KR20180001570U (ko) 2016-11-18 2016-11-18 건축용 외장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570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875B1 (ko) * 2018-10-22 2019-09-11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오염 방지 조인트 복합패널을 포함하는 구조물 및 설치방법
KR102094244B1 (ko) * 2019-10-14 2020-03-27 최원덕 건물 외장재 제조방법
KR102105714B1 (ko) * 2020-01-21 2020-04-28 황영식 알루미늄 외벽패널 몰딩
KR102137211B1 (ko) * 2020-03-01 2020-07-23 황영식 알루미늄 외벽패널 몰딩 제작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150B1 (ko) 1997-12-13 2002-11-18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과도금밀착성이양호한아연-니켈합금전기도금욕의첨가제및이를이용한아연-니켈전기합금도금강판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150B1 (ko) 1997-12-13 2002-11-18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과도금밀착성이양호한아연-니켈합금전기도금욕의첨가제및이를이용한아연-니켈전기합금도금강판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875B1 (ko) * 2018-10-22 2019-09-11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오염 방지 조인트 복합패널을 포함하는 구조물 및 설치방법
KR102094244B1 (ko) * 2019-10-14 2020-03-27 최원덕 건물 외장재 제조방법
KR102105714B1 (ko) * 2020-01-21 2020-04-28 황영식 알루미늄 외벽패널 몰딩
KR102137211B1 (ko) * 2020-03-01 2020-07-23 황영식 알루미늄 외벽패널 몰딩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1570U (ko) 건축용 외장 패널
KR101939244B1 (ko) 옥상 방수패널
KR20120114080A (ko) 조적조 건축물용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60106B1 (ko) 합성목재 패널 조립체
KR102063361B1 (ko) 건물 외벽 리모델링 시공방법
KR101621757B1 (ko) 건물의 가장자리 상단부 및 건물의 가장자리 측면에 발생 되는 누수부위 시공용 시공패널 및 그 시공패널을 이용한 시공방법
KR20160000880A (ko)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및 그 방수 부재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CN206457959U (zh) 格栅单元及幕墙结构
JP5643608B2 (ja) 屋上設置物の固定方法及び固定構造
KR101296429B1 (ko) 알루미늄 일체형 커튼 월 유닛
KR101705780B1 (ko) 복합 패널 프레임 구조
KR20070085022A (ko) 옥상 코너부의 방수 보호대
KR20170044225A (ko) 패시브 하우스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패시브 하우스 시공 방법
KR101020607B1 (ko) 배습핀과 배습핀을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JP2011052414A (ja) 建物外壁の改修構造
KR200469082Y1 (ko) 조립식 건축물용 모서리 마감 몰드
KR20090091502A (ko) 코너 벽 패널 조립체
JP6302236B2 (ja) 建物外壁の止水構造
CN219283611U (zh) 一种多台空调机组悬吊集风箱
JP2018150782A (ja) 断熱パネルの両端を凹凸形フレーム金具で構成した外壁断熱パネル
CN211143334U (zh) 一种整体卫生间墙板与底板的连接结构
KR200378622Y1 (ko) 건물의 외벽 장식몰딩 연결구조
JP6702815B2 (ja) 外壁目地の止水構造、及び止水処理方法
KR20040030756A (ko) (철판)으로 테두리를 보강한 콘크리트 블록
JP2015190202A (ja) 化粧外壁材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