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1502A - 코너 벽 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코너 벽 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502A
KR20090091502A KR1020080016801A KR20080016801A KR20090091502A KR 20090091502 A KR20090091502 A KR 20090091502A KR 1020080016801 A KR1020080016801 A KR 1020080016801A KR 20080016801 A KR20080016801 A KR 20080016801A KR 20090091502 A KR20090091502 A KR 20090091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nel
fixed
bracket
corn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3030B1 (ko
Inventor
김정택
석창균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80016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030B1/ko
Publication of KR20090091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04F19/06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between similar elements
    • E04F19/06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between similar elements in co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너 벽패널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두 개의 평행한 수평부재와 상기 양 수평부재의 한 종단을 연결하는 수직부재로 구성된 조립 브라켓을 사용하여 코너부를 형성하는 두 개의 벽패널을 조립함으로써, 내부조립이 가능하게 되어 조립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다양한 코너비드를 선택할 수 있어 벽체 마감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코너형 벽패널의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벽체 조립 브라켓, 코너비드

Description

코너 벽 패널 조립체{Corner wall panel assembly}
본 발명은 코너 벽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 단계를 단순화시키고 조립 위치를 제한하지 않는 코너 벽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가정의 욕실 등의 실내 공간에는 급수 및 배수 배관 그리고 환기 배관 등과 같은 배관 구조가 설치된다. 이러한 배관 구조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않기 위하여 벽체의 코너부에 배관부를 위치시키고 배관부 주변을 마감처리하게 된다.
도 1은 배관 구조(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기 욕실 등의 실내 공간 코너부에 2개의 벽 패널(10 및 20)을 이용하여 공간부(S)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로부터 2개의 벽 패널(10 및 20)이 실내 공간을 향하여 연장되며, 2개의 벽 패널(10 및 20)의 표면에는 타일 등과 같은 마감재가 고정된다.
도 2는 일반적인 코너 벽 패널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즉,도 1의 100 부분의 상세도)으로서, 벽체로부터 실내 공간을 향하여 서로 직교 상태로 연장된 2개의 벽 패널(10 및 2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벽 패널(10 및 20)의 선단면에는 중공의 프레임(11및 21)이 각각 고정되며, 프레임(11, 21)의 선단면에는 철편(12 및 22)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철편(12 및 22)을 대응시킴으로서 2개의 벽 패널(10 및 20)은 직교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프레임(11, 21)의 외면(즉, 실내 공간이 아닌 배관부가 수용되는 공간(S)과 대응하는 면)에 “L”자 단면을 갖는 브라켓트(30)를 고정시킴으로써 2개의 벽 패널(10 및 20)은 일체화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2개의 벽 패널(10 및 20)을 벽체에 고정하고, 벽 패널(10 및 20) 및 프레임(11, 21) 및 철편(12 및 22)의 표면(브라켓트(30)가 설치된 면의 반대면, 즉 실내 공간 대응면)에 마감재(50 및 60; 예를 들어, 타일)을 부착한다.
이후, 마감재(50 및 60)의 경계부에 비드(40)를 고정함으로써 코너 벽체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코너 벽체를 조립하는 고정에서, 프레임(11 및 21)의 전 높이(일반적으로 약 2 미터)에 걸쳐 약 10개의 철편(12 및 22)을 용접 공정을 통하여 고정시켜야 한다. 이 과정에서 철편(12 및 22)이 열에 의하여 변형되며, 따라서 변형된 철판(12 및 22) 표면에 마감재(50 및 60)가 균일하게 부착될 수 없어 외관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트(30)를 벽 패널(10 및 20)의 외부면(즉, 실내 공간의 반대면)에 고정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 시공 공간, 즉 실내가 아닌 외부에서 벽 패널(10 및 20)을 조립한 상태에서 벽체에 고정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벽 패널(10 및 20)의 조립체를 외부에서 조립한 후 시공할 경우, 시공 현장의 변화하는 시공 조건에 대응할 수 없으며, 완벽한 시공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코너 벽체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2개의 벽 패널을 시공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어 조립 완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용접 공정이 필요 없어 부재의 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코너 벽 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단부가 서로 다른 벽체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벽 패널 및 제 2 벽 패널 및 제 1 및 제 2 벽 패널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브라켓트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트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한 종단이 서로 대응되는 수평의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 상기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의 서로 대응하는 종단을 연결하는 수직의 제 3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트의 제 1 부재의 내면에는 제 1 벽 패널에 고정된 프레임의 내측면이 고정되고, 제 2 부재의 내면에는 제 2 벽 패널에 고정된 프레임의 전면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벽 패널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벽 패널 조립체는 각 벽 패널의 단부에 고정되어, 브라켓트와 각 벽 패널을 연결하는 사각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2 벽 패널의 선단면과 브라켓트의 제 2 부재 사이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된 평면 부재와, 상기 평면 부재의 외측종단에서 연장되어 평면 부재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차폐 부재로 구성된 코너 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벽 패널은 그 외부 표면에 마감재가 부착되며, 마감재와 코너 비드의 경계부에 마감재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벽 패널 조립체는 벽 패널을 시공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함으로써 시공 조건에 대처할 수 있어 조립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벽 패널 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간 코너부에 공간부(S)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너 벽 패널 조립체를 구성하는 부재의 형상 및 기능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벽 패널 조립체의 일부 평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벽 패널 조립체는 제 1 단부가 벽체에 고정되는 제 1 벽 패널(110) 및 제 2 벽 패널(120), 각 벽 패널(110 및 120)의 제 2 단부(즉, 벽체에 고정되는 제 1 단부의 반대 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4각 프레임(111 및 121) 및 벽 패널(110 및 120)을 연결 고정하는 브라켓트(13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제 1 벽 패널(110) 및 제 2 벽 패널(120)은 코너 벽체의 양 면에 수직으로 각각 고정되며, 따라서 제 1 벽 패널(110) 및 제 2 벽 패널(120)은 직교 상태로 대응한다.
한편, 제 1 벽 패널(110) 및 제 2 벽 패널(120)의 외면(즉, 실내 공간 대응면)에는 마감재(151 및 152: 예를 들어, 타일)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벽 패널(120)의 외면 전체에는 단일의 마감재(152)가 부착되어 있지만, 제 1 벽 패널(110)의 외면에는 주 마감재(151)만이 부착되어 있다. 이는 두 개의 벽 패널(110, 120)을 브라켓트(130)로 조립 후, 제 1 벽 패널(110)의 외면에 부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서인데, 상기 부 마감재(153)는 제 2 벽 패널(120)과 대응하는 엣지부 일부까지 부착된다.
브라켓트(130)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한 종단이 서로 대응하는 수평의 제 1 및 제 2 부재(131 및 132) 및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131 및 132)의 서로 대응하는 종단을 연결하는 수직의 제 3 부재(13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브라켓트(130)의 제 1 부재(131) 내면에는 제 1 벽 패널(110)에 고정된 프레임(111)의 내측면이 고정되며, 제 2 부재(132)의 내면에는 제 2 벽 패널(120)에 고정된 프레임(121)의 전면이 고정된다.
따라서, 브라켓트(130)에 의하여 제 1 벽 패널(110)과 제 2 벽 패널(120)가 직교하는 상태로 연결되며, 실내 공간의 반대 영역에 배관 구조가 위치하는 공간(S)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브라켓트(130)에 의하여 제 1 벽 패널(110)과 제 2 벽 패널(120)은 흔들림 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각 벽 패널(110, 120)에 수직 방향의 외력(도 3의 F1, F2)이 작용하여도 브라켓트(130)를 통하여 인접한 다른 벽 패녈에 전달되며, 따라서 외력에 의한 각 벽 패널의 흔들림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제 1 벽 패널(110)과 제 2 벽 패널(120)의 경계부에는 코너 비드(170)가 장착되며, 따라서 제 1 벽 패널(110)의 종단과 제 2 벽 패널(120)의 종단은 외부에서 관찰되지 않는다.
코너 비드(170)는 제 2 벽 패널(120)의 선단면에 고정된 프레임(121)의 전면과 브라켓트(130)의 제 2 부재(132)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브라켓트(130)에 고정된 평면 부재(171) 및 평면 부재(171)의 외측 종단에서 연장되어 평면 부재(171)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차폐 부재(172)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벽 패널(110)과 제 2 벽 패널(120)의 결합시 제 1 벽 패널(110)의 종단부는 코너 비드(170)의 평면 부재(171)와 차폐 부재(172) 사이에 위치하며, 따라서 제 1 벽 패널(120)와 제 2 벽 패널(120)의 경계부는 외부에서 관찰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벽 패널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도 3, 도 4 및 도 5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코너 벽 패널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 및 도 5의 조립 단계를 거쳐 도 3에 도시된 코너 벽 패널 조립체(물론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된 상태임)가 완성된다.
먼저, 제 2 벽 패널(120)의 전면에 프레임(121)이 고정되고, 제 2 벽 패널(120)의 내측면 및 프레임(121) 내측면에 마감재(152)가 부착된다. 또한, 프레임(121)의 선단면 및 마감재(152)의 선단면에는 코너 비드(170)의 평면 부재(171)가 고정된다.
이후, 제 2 벽 패널(120)의 종단은 벽체(도 1의 H)에 직교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제 1 벽 패널(110)의 전면에 프레임(111)이 고정되며, 제 1 벽 패널(110)의 내측면에 주 마감재(151)가 부착된다. (도 4의 상태)
이 상태에서, 브라켓트(130)의 제 1 부재(131)를 제 1 벽 패널(110)에 고정시킨다. 즉, 브라켓트(130)의 제 1 부재(131) 선단에는 제 1 부재(131)에서 수직 연장된 고정편(13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편(131a)이 제 1 벽 패널(110)과 프레임(111)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브라켓트(130)의 제 1 부재(131)가 제 1 벽 패널(110)에 고정된다 (도 5의 상태).
여기서, 브라켓트(130)와 제 1 벽 패널(110)의 보다 견고한 고정 상태를 얻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 수단(201; 고정 볼트)를 브라켓트(130)의 제 1 부재(131)와 프레임(111)에 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벽 패널(110)에 브라켓트(13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브라켓트(130)를 통하여 제 1 벽 패널(110)을 제 2 벽 패널(120)에 고정시킨다.
즉, 브라켓트(130)의 제 2 부재(132)의 내면을 제 2 벽 패널(120)의선단(실제로는 프레임(121) 및 코너 비드(170)의 평면 부재(171))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고정 수단(202: 예를 들어, 체결 볼트)을 이용하여 브라켓트(130)와 제 2 벽 패널(120)을 고정한다.
이후, 제 1 벽 패널(110)의 종단을 또 다른 벽체(도 1의 V)에 직교 상태로 고정시키고 제 1 벽 패널(110)의 종단부 표면에 부마감재(153)를 고정시킴으로써 도 3에 도시된 최종적인 벽 패널 조립체가 벽체에 장착된다.
이 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벽 패널(110)의 종단부는 코너 비드(170)의 평면 부재(171)와 차폐 부재(172) 사이에 위치하며, 따라서 제 1 벽 패널(120)과 제 2 벽 패널(120)의 경계부는 코너 비드(170)에 의하여 외부에서 관찰되지 않는다.
여기서, 코너 비드(170)의 차폐 부재(172)와 제 1 벽 패널(110)의 경계부(도 3의 A) 그리고 코너 비드(170)의 차폐 부재(172)와 제 2 벽 패널(120)의 경계부(도 3의 B)에 마감재층, 예를 들어, 실리콘층을 형성함으로서 조립체의 미관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경계부를 통하여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내 공간인 욕실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코너부에 배관 구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코너 벽 패널 조립체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벽 패널 조립체의 평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코너 벽 패널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 2 벽 패널 11: 프레임
12: 철편 20: 제 1 벽 패널
21: 프레임 22: 철편
30: 브라켓트 40: 코너 비드
50: 타일 60: 타일
100: 코너 벽 판넬 부분 110: 제 1 벽 패널
111: 프레임 120: 제 2 벽 패널
121: 프레임 130: 브라켓트
131: 제 1 부재 131a: 고정편
132: 제 2 부재 133: 제 3 부재
151: 마감재 152: 마감재
153: 부 마감재 170: 코너 비드
171: 평면부재 172: 차폐부재
201: 고정 부재 202: 고정 부재
A: 제 1 벽 패널의 경계부 B: 제 2 벽 패널의 경계부
S: 배관부가 수용되는 공간 H, V: 벽 판넬

Claims (4)

  1. 제 1 단부가 서로 다른 벽체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벽 패널 및 제 2 벽 패널 및 제 1 및 제 2 벽 패널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브라켓트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트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한 종단이 서로 대응되는 수평의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 상기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의 서로 대응하는 종단을 연결하는 수직의 제 3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트의 제 1 부재의 내면에는 제 1 벽 패널에 고정된 프레임의 내측면이 고정되고, 제 2 부재의 내면에는 제 2 벽 패널에 고정된 프레임의 전면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벽 패널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벽 패널의 단부에 고정되어, 브라켓트와 각 벽 패널을 연결하는 사각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벽 패널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벽 패널의 선단면과 브라켓트의 제 2 부재 사이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된 평면 부재와, 상기 평면 부재의 외측종단에서 연장되어 평면 부재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차폐 부재로 구성된 코너 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벽 패널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벽 패널은 그 외부 표면에 마감재가 부착되며, 마감재와 코너 비드의 경계부에 마감재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벽 패널 조립체.
KR1020080016801A 2008-02-25 2008-02-25 코너 벽 패널 조립체 KR100983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801A KR100983030B1 (ko) 2008-02-25 2008-02-25 코너 벽 패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801A KR100983030B1 (ko) 2008-02-25 2008-02-25 코너 벽 패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502A true KR20090091502A (ko) 2009-08-28
KR100983030B1 KR100983030B1 (ko) 2010-09-17

Family

ID=4120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801A KR100983030B1 (ko) 2008-02-25 2008-02-25 코너 벽 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0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1843A (zh) * 2013-12-30 2014-04-23 王东彬 一种边角墙板的连接结构
KR20200001032U (ko) 2018-11-14 2020-05-22 (주)티케이이엔지 벽체 코너용 철근 선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661B1 (ko) * 2016-07-01 2017-03-30 (주)삼정스틸 구조보강 유지보수형 방음벽 및 그 방음벽의 설치 및 교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768Y1 (ko) * 1992-11-27 1995-08-21 박원배 벽판넬의 코너부 조립구조
KR0157240B1 (ko) * 1994-10-26 1999-03-30 성재갑 조립식 패널의 코너 연결부위용 조립 브라켓
KR200219015Y1 (ko) 1998-10-22 2001-04-02 성재갑 평면연결용 브래킷 및 코너연결용 브래킷으로 벽파넬을 연결하여 만든 조립식 욕실용 벽
JP4179257B2 (ja) 2004-09-24 2008-11-12 松下電工株式会社 壁面パネルのコーナー連結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1843A (zh) * 2013-12-30 2014-04-23 王东彬 一种边角墙板的连接结构
KR20200001032U (ko) 2018-11-14 2020-05-22 (주)티케이이엔지 벽체 코너용 철근 선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3030B1 (ko) 201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193B1 (ko) 리모델링이 용이한 커튼월 시스템
KR101161112B1 (ko) 패널조립구조체
US20220195735A1 (en) Architectural bracket, building wall structure, and plank member construction method
KR100983030B1 (ko) 코너 벽 패널 조립체
KR102270906B1 (ko) 알루미늄 복합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98799A (ko) 건물의 벽체 구조물
JP5512112B2 (ja) 床構造およびユニット式建物の施工方法
JP2012021309A (ja) バルコニーの防水構造
KR20230171515A (ko) 건식 벽체용 면진 장치
JP5103108B2 (ja) バルコニー構造及びバルコニーユニット
KR101793317B1 (ko) 커튼월 백 패널 구조물
JP6604773B2 (ja) 建物の建具枠取付構造
KR102594475B1 (ko) 벽체마감 금속패널 및 그 금속패널을 이용한 무코킹 벽체 시공구조
KR20130046069A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조립용 패널 프레임
KR100663996B1 (ko)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
KR20200118682A (ko) 커튼월구조체
KR102293621B1 (ko) 무용접 단열하지 시스템
KR102531021B1 (ko) 방수성이 향상된 방음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방음터널
KR102591239B1 (ko) 방수벽체마감 금속패널과 그 고정용 클램핑 클립 및 그들을 이용한 무코킹 방수벽체 시공구조
JP6159562B2 (ja) 床フレームの設置構造
JP5791416B2 (ja) 建物の床構造
KR100955106B1 (ko) 노출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노출 콘크리트 패널 시공 조립체
KR101036909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내화시공시스템
KR20130087259A (ko) 창틀 조립이 간편한 실내칸막이
KR101529242B1 (ko)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