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682A - 커튼월구조체 - Google Patents

커튼월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682A
KR20200118682A KR1020190040948A KR20190040948A KR20200118682A KR 20200118682 A KR20200118682 A KR 20200118682A KR 1020190040948 A KR1020190040948 A KR 1020190040948A KR 20190040948 A KR20190040948 A KR 20190040948A KR 20200118682 A KR20200118682 A KR 20200118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horizontal
wall panel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7639B1 (ko
Inventor
신정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은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은데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은데코
Priority to KR1020190040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63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8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월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를 형성하는 지지프레임에 지지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구조물을 형성하는 경우, 실외측 마감 및 단열을 위한 CRC 보드 및 단열보드를 지지프레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커튼월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구조체는 강화유리와 함께 CRC보드 등과 같은 불투명 외벽패널을 커튼월에 적용함으로서 강화유리만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커튼월보다 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되고, 강화유리와 외벽패널의 조합을 통해 건물 외면을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벽패널을 별도의 지지구 또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외벽패널에 대한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지지구 또는 브라켓을 분리 제거하면 해당 외벽패널만을 손쉽게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커튼월구조체에 있어서의 교체 시공상의 문제점과 어려움을 일시에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커튼월구조체{Curtain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커튼월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화유리와 함께 CRC보드 등과 같은 불투명 외벽패널을 커튼월에 적용함으로서 강화유리만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커튼월보다 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되고, 강화유리와 외벽패널의 조합을 통해 건물 외면을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 가능하고, 외벽패널의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커튼월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월(curtain wall)은 강화유리패널을 이용하여 건물의 외면을 마감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체로서, 통상적으로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구비하고, 어댑터를 통해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에 강화유리패널을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커튼월은 미려한 외관을 위해 외벽의 대부분을 유리로 처리하기 때문에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냉난방 비용이 증가하며, 또한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커튼월의 규격은 건물의 커튼월 설치 면적에 따라서 결정되고 있으며, 강화유리패널이 설치되는 구획부는 통상적으로 사각형으로 구성되며, 각 구획실의 크기는 가로세로의 길이가 수 미터에 달하게 되고, 구획부에 고정 설치되는 강화유리패널도 이에 따라서 가로 세로길이가 수 미터가 되며, 패널의 두께는 5mm 이상으로 두꺼운 것을 사용하고 있다.
강화유리패널의 중량이 매우 무거움에 따라 이를 지탱하게 되는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의 강도와 지지력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으며, 그 종류는 강화유리패널을 지탱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유리패널의 사이로 노출되는 커튼월과, 노출되지 않는 커튼월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설치하고 있다.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은 통상 "ㄱ"형 브라켓으로 서로 유격없이 결합하고 있으나, 이 경우 지진이나 태풍 또는 하중과 같은 외압의 발생시에는 수평바와 수직바가 서로 뒤틀리면서 강화유리패널을 파손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90123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94019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3017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화유리와 함께 CRC보드 등과 같은 불투명 외벽패널을 커튼월에 적용함으로서 강화유리만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커튼월보다 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되고, 강화유리와 외벽패널의 조합을 통해 건물 외면을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 가능한 커튼월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벽패널을 별도의 지지구 또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외벽패널에 대한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지지구 또는 브라켓을 분리 제거하면 해당 외벽패널만을 손쉽게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커튼월구조체에 있어서의 교체 시공상의 문제점과 어려움을 일시에 해결할 수 있는 커튼월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구조체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강화유리 및 외벽패널을 포함하는 외벽마감부와; 상기 외벽패널을 상기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된 수직리브에 지지시키도록 일 측이 상기 수직리브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외벽패널에 결합되는 수평결합프레임; 또는 상기 외벽패널을 상기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된 수평리브에 지지시키도록 일 측이 상기 수평리브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외벽패널에 결합되는 수직결합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결합프레임은 커튼월구조체의 외곽 측에 배치되는 외벽패널 또는 일 측에 설치된 강화유리와 수평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외벽패널을 상기 수직프레임의 수직리브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평마감브라켓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따라 상기 외벽패널을 연속되게 배치시, 좌우로 서로 인접하는 일 측의 외벽패널과 타 측의 외벽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의 수직리브에 좌우 양측 외벽패널을 각각 결합시키기 위한 수평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마감브라켓은 상기 수직리브의 단부 측 일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내측에 제1삽입홈이 형성된 제1소켓부와, 상기 외벽패널의 후면 가장자리 일부 및 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제1소켓부로부터 연장된 제1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로부터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1안착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연결브라켓은 상기 외벽패널의 후면 가장자리 일부 및 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된 제2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로부터 상기 수직리브에 접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수직리브에 대해 상기 제2안착부를 이격되게 지지하는 이격리브와, 상기 이격리브로부터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2안착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결합프레임은 커튼월구조체의 외곽 측에 배치되는 외벽패널 또는 일 측에 설치된 강화유리와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외벽패널을 상기 수평프레임의 수평리브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직마감브라켓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기 외벽패널을 연속되게 배치시, 상하로 서로 인접하는 일 측의 외벽패널과 타 측의 외벽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수평프레임의 수평리브에 상하 양측 외벽패널을 함께 결합시키기 위한 수직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마감브라켓은 상기 수평리브의 단부 측 일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내측에 제3삽입홈이 형성된 제3소켓부와, 상기 외벽패널의 전면 및 후면 가장자리 일부와 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상기 제3소켓부로부터 연장된 제3안착부와, 상기 제3안착부로부터 상기 수평프레임에 접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3안착부를 지지하는 제3지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연결브라켓은 상기 수평리브의 단부 측 일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내측에 삽입홈이 형성된 제4소켓부와, 상기 제4소켓부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에 상하로 인접하는 일 측 외벽패널과 타 측 외벽패널의 전면 및 후면 가장자리 일부와 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4안착부와, 상기 제4안착부로부터 상기 수평프레임에 접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4안착부를 지지하는 제4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프레임에 대해 상기 외벽패널을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외벽패널의 하단과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해 상기 외벽패널을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외벽패널의 좌측 및 우측 단부와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구조체는 강화유리와 함께 CRC보드 등과 같은 불투명 외벽패널을 커튼월에 적용함으로서 강화유리만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커튼월보다 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되고, 강화유리와 외벽패널의 조합을 통해 건물 외면을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벽패널을 별도의 지지구 또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외벽패널에 대한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지지구 또는 브라켓을 분리 제거하면 해당 외벽패널만을 손쉽게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커튼월구조체에 있어서의 교체 시공상의 문제점과 어려움을 일시에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구조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튼월구조체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의 확대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의 확대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C의 확대도.
도 6은 보조프레임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구조체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튼월구조체의 측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D의 확대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E의 확대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F의 확대도.
도 12는 보조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구조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구조체(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구조체(1)는 지지프레임(110)과, 외벽마감부(120)와, 결합프레임부와, 보조프레임(160)과, 내벽마감부를 구비한다.
지지프레임(110)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11) 및 수평프레임(1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직프레임(111)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수평방향으로 서로 나란하도록 좌우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수평프레임(115)은 수직프레임(111)에 대해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수직프레임(111)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수평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일 측의 수직프레임(111)과 타 측의 수직프레임(111)에 양단이 각각 연결 및 고정된다.
수직프레임(111)과 수평프레임(115)은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되어 격자 구조를 이루며, 수직프레임(111)과 수평프레임(115) 사이에는 외벽패널(125) 또는 강화유리(121)를 설치할 수 있게 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프레임(111)과 수평프레임(115) 각각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월구조체(1)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직리브(112)와 수평리브(116)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리브(112)와 수평리브(116)는 각각 수직프레임(111)과 수평프레임(115)의 전후 폭 방향 일 측 중앙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외벽마감부(120)는 지지프레임(110)의 외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강화유리(121) 및 외벽패널(125)을 포함한다.
외벽패널(125)은 천연펄프인 셀룰로스 섬유와, 포틀랜드 시멘트, 규사 등을 물과 배합하여 고압으로 가압한 후, 오토클레이브 양생과정을 거쳐 생산되는 건축 자재로서 온도편차에 따른 길이변화가 적고 내수성, 불연성 및 난연성을 갖는 CRC보드를 적용할 수 있다.
외벽마감부(120)는 강화유리(121)와 외벽패널(125)을 특정 패턴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강화유리(121) 상호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강화유리(121)와 외벽패널(125)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외벽패널(125) 상호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르게 다양한 조합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결합프레임부는 외벽패널(125)을 수평프레임(1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프레임(1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수직리브(112)에 지지시키도록 일 측이 수직리브(112)에 결합되고 타 측은 외벽패널(125)에 결합되는 수평결합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결합프레임은 수평마감브라켓(140)과, 수평연결브라켓(150)을 포함한다.
수평마감브라켓(140)은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월구조체(1)의 외곽 측에 배치되는 외벽패널(125) 또는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에 설치된 강화유리(121)와 수평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외벽패널(125)을 수직프레임(111)의 수직리브(112)에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제1소켓부(141)와, 제1안착부(142)와, 제1지지리브(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소켓부(141)는 수직프레임(111)에 구비된 수직리브(112)의 단부 측 일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내측에 제1삽입홈이 형성된다.
제1안착부(142)는 외벽패널(125)의 후면 가장자리 일부 및 측면에 접하도록 제1소켓부(141)의 일 측으로부터 제1소켓부(14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제1지지리브(143)는 제1안착부(142)로부터 수직프레임(111)에 접하도록 연장되어 수직프레임(111)에 대해 제1안착부(142)를 지지한다.
수평연결브라켓(150)은 수평프레임(115)을 따라 외벽패널(125)을 연속적으로 배치시, 좌우로 서로 인접하는 일 측의 외벽패널(125)과 타 측의 외벽패널(125) 사이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111)의 수직리브(112)에 좌우 양측의 외벽패널(125)을 각각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제2안착부(151)와, 이격리브(152)와, 제2지지리브(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안착부(151)는 외벽패널(125)의 후면 가장자리 일부 및 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격리브(152)는 수직리브(112)에 대해 제2안착부(151)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제2안착부(151)로부터 수직리브(112)에 접하도록 절곡되게 연장된다. 이격리브(152)는 수직프레임(111)의 수직리브(112)와 맞닿게 설치되어 수직프레임(111)과 외벽패널(125) 사이에 실링을 위한 실링재를 주입시 외벽패널(125)과 수직프레임(111) 사이의 공간으로 실링재가 흘러들어가 실링재가 과주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지지리브(153)는 이격리브(152)로부터 수직프레임(111)에 접하도록 연장되어 수직프레임(111)에 대해 제2안착부(151)를 지지한다.
강화유리(121)는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일 측 수직프레임(111)의 수직리브(112)와 타 측 수직프레임(111)의 수직리브(112) 사이에서 가장자리가 수직프레임(111)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수직리브(112)와 강화유리(121) 사이에 형성된 틈에 실링재를 주입하여 수직프레임(111)에 강화유리(12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보조프레임(160)은 수평프레임(115)에 대해 외벽패널(125)을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외벽패널(125)의 하단과 수평프레임(115) 사이에 개재된다.
보조프레임(160)은 외벽패널(125) 하방에 위치하는 수평프레임(115)의 수평리브(116)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부가 수평프레임(115)과 수평리브(116)의 연결 부위에 형성된 단차부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단차결합부(161)와, 단차결합부(161)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수평리브(116)에 밀착되는 제1수직연장부(162)와, 제1수직연장부(162)로부터 수평프레임(115)과 멀어지도록 수평리브와 나란하고 수평리브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 수평연장부(163)와, 수평연장부(163)의 단부로부터 수평리브(116)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된 제2수직연장부(164)와, 수평연장부(163)의 일 측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일정 길이 연장되어 외벽패널(125)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토퍼(1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조프레임(160)은 고정피스를 이용하여 수평리브(116)에 고정시킬 수 있다.
내벽마감부는 외벽마감부(120)의 후방 측 즉, 실내 측 지지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실내 측 마감을 위한 내벽패널(170)과, 단열을 위한 단열패널(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벽패널(170)은 사각 평판 형상의 마감패널(171)과, 마감패널(171)이 장착되는 마감프레임(172)과, 마감프레임(172)을 파지하는 파지브라켓(1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감프레임(172)은 마감패널(171)의 저면 또는 후면 일부와 측면이 접하도록 설치되어 마감패널(171)을 지지하는 장착부와, 장착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마감패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스커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커트부의 단부에는 마감프레임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파지브라켓(173)은 일 측이 피스부재(P)를 통해 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되고 마감프레임의 스커트부에 마련된 걸림돌기가 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과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되어 스커트부를 파지하는 파지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감패널(171)은 지지프레임(110)의 내측에 복수의 파지브라켓(173)을 고정시킨 뒤, 스커트부를 파지브라켓(173)의 파지리브와 지지프레임(110) 사이로 끼워넣으면 지지프레임(110)에 고정되고, 마감패널(171)을 지지프레임(110)으로부터 잡아당기면 지지프레임(110)으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어 설치 및 해체 작업이 매우 간편하다.
단열패널(180)은 외벽패널(125)과 내벽패널(170) 사이에 설치되어 외벽패널(125) 또는 강화유리(121)와 마감패널(171) 사이의 공간을 통해 실외 측에서 실내 측으로 또는 실내 측에서 실외 측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단열패널(180)은 선택적으로 설치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구조체(1)는 강화유리(121) 이외에도 CRC보드와 같은 외벽패널(125)을 강화유리(121)와 함께 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커튼월구조체(1)를 제공 및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구조체는 내벽마감부를 통해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실내 측에 설치되는 마감패널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의 마감패널을 선택하여 설치함으로써 실내 분위기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구조체(2)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구조체(2)는 지지프레임(210)과, 외벽마감부(220)와, 결합프레임부와, 보조프레임과, 내벽마감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구조체의 내벽마감부는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구조체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벽마감부와 동일한 구조를 적용하였으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지지프레임(210)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211) 및 수직프레임(2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프레임(211)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수직방향으로 서로 나란하도록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수직프레임(215)은 수평프레임(211)에 대해 직교하는 수직방향으로 수평프레임(211)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수직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일 측의 수평프레임(211)과 타 측의 수평프레임(211)에 양단이 각각 연결 및 고정된다.
수평프레임(211)과 수직프레임(215)은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되어 격자 구조를 이루며, 수평프레임(211)과 수직프레임(215) 사이에는 외벽패널(225) 또는 강화유리(221)를 설치할 수 있게 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프레임(211)과 수직프레임(215) 각각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월구조체(2)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평리브(212)와 수직리브(216)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리브(212)와 수직리브(216)는 각각 수평프레임(211)과 수직프레임(215)의 전후 폭 방향 일 측 중앙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외벽마감부(220)는 지지프레임(210)의 외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강화유리(221) 및 외벽패널(225)을 포함한다.
외벽패널(225)은 천연펄프인 셀룰로스 섬유와, 포틀랜드 시멘트, 규사 등을 물과 배합하여 고압으로 가압한 후, 오토클레이브 양생과정을 거쳐 생산되는 건축 자재로서 온도편차에 따른 길이변화가 적고 내수성, 불연성 및 난연성을 갖는 CRC보드를 적용할 수 있다.
외벽마감부(220)는 강화유리(221)와 외벽패널(225)을 특정 패턴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강화유리(221) 상호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강화유리(221)와 외벽패널(225)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외벽패널(225) 상호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르게 다양한 조합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결합프레임부는 외벽패널(225)을 수직프레임(2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프레임(2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수평리브(212)에 지지시키도록 일 측이 수평리브(212)에 결합되고 타 측은 외벽패널(225)에 결합되는 수직결합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직결합프레임은 수직마감브라켓(240)과, 수직연결브라켓(250)을 포함한다.
수직마감브라켓(24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월구조체(2)의 외곽 측에 배치되는 외벽패널(225)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에 설치된 강화유리(221)와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외벽패널(225)을 수평프레임(211)의 수평리브(212)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3소켓부(241)와, 제3안착부(242)와, 제3지지리브(2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소켓부(241)는 수평리브(212)의 단부 측 일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내측에 제3삽입홈이 형성된다.
제3안착부(242)는 외벽패널(225)의 하단 측 또는 상단 측 전면 및 후면 가장자리 일부와 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제3소켓부(241)로부터 연장된다.
제3지지리브(243)는 제3안착부(242)로부터 수평프레임(211)에 접하도록 연장되어 수평프레임(211)에 대해 제3안착부(242)를 지지한다. 제3지지리브(243)의 단부에는 수평프레임(211)에 대해 제3안착부(242)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211)과 접촉되는 접촉리브(244)가 절곡되게 연장된다.
수직연결브라켓(250)은 수직프레임(215)을 따라 외벽패널(225)을 연속되게 배치시, 상하로 서로 인접하는 일 측의 외벽패널(225)과 타 측의 외벽패널(225) 사이에 위치하는 수평프레임(211)의 수평리브(212)에 상하 양측 외벽패널(225)을 함께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4소켓부(251)와, 제4안착부(252)와, 제4지지리브(2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4소켓부(251)는 수평리브(212)의 단부 측 일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내측에 삽입홈이 형성된다.
제4안착부(252)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제4소켓부(251)의 서로 대향되는 상하 양측에 상하로 인접하는 일 측 외벽패널(225)과 타 측 외벽패널(225)의 전면 및 후면 가장자리 일부와 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형성된다.
제4지지리브(253)는 상부에 위치하는 제4안착부(252)로부터 수평프레임(211)에 접하도록 연장되어 수평프레임(211)에 대해 제4안착부(252)를 지지하며, 제4지지리브(253)의 단부에는 수평프레임(211)에 대해 제4안착부(252)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211)과 접촉되는 접촉리브(2)가 절곡되게 연장된다.
강화유리(221)는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일 측 수평프레임(211)의 수평리브(212)와 타 측 수평프레임(211)의 수평리브(212) 사이에서 가장자리가 수평프레임(211)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수평리브(212)와 강화유리(221) 사이에 형성된 틈에 실링재를 주입하여 수평프레임(211)에 강화유리(22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보조프레임은 수직프레임(215)에 대해 외벽패널(225)을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외벽패널(225)의 좌측 및 우측 단부와 수직프레임(215) 사이에 개재된다.
보조프레임(260)은 외벽패널(225)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수직프레임(215)의 수직리브(216)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 측이 수직프레임(215)과 수직리브(216)의 연결 부위에 형성된 단차부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단차결합부(261)와, 단차결합부(261)로부터 연장되어 일정 길이 연장되어 수직프레임(215)에 밀착되는 제1수평연장부(262)와, 제1수평연장부(262)로부터 수직프레임과 멀어지도록 수직리브(216)와 나란한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수직연장부(263)와, 수직연장부(263)의 단부로부터 수직리브(216)을 향해 연장된 제2수평연장부(264)와, 수직연장부(263)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일정 길이 연장되어 외벽패널(225)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를 지지하는 스토퍼(2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조프레임(260)은 고정피스를 이용하여 제1수직연장부(262)를 수직리브(216)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구조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2 : 커튼월구조체 110, 210 : 지지프레임
111, 215 : 수직프레임 112, 216 : 수직리브
115, 211 : 수평프레임 116, 212 : 수평리브
120, 220 : 외벽마감부 121, 221 : 강화유리
125, 225 : 외벽패널 140 : 수평마감브라켓
141 : 제1소켓부 142 : 제1안착부
143 : 지지리브 150 : 수평연결브라켓
151 : 제2안착부 152 : 이격리브
153 : 제2지지리브 160, 260 : 보조프레임
240 : 수직마감브라켓 241 : 제3소켓부
242 : 제3안착부 243 : 제3지지리브
250 : 수직연결브라켓 251 : 제4소켓부
252 : 제4안착부 253 : 제4지지리브

Claims (7)

  1.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강화유리 및 외벽패널을 포함하는 외벽마감부와;
    상기 외벽패널을 상기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된 수직리브에 지지시키도록 일 측이 상기 수직리브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외벽패널에 결합되는 수평결합프레임; 또는 상기 외벽패널을 상기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된 수평리브에 지지시키도록 일 측이 상기 수평리브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외벽패널에 결합되는 수직결합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결합프레임은
    커튼월구조체의 외곽 측에 배치되는 외벽패널 또는 일 측에 설치된 강화유리와 수평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외벽패널을 상기 수직프레임의 수직리브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평마감브라켓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따라 상기 외벽패널을 연속되게 배치시, 좌우로 서로 인접하는 일 측의 외벽패널과 타 측의 외벽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의 수직리브에 좌우 양측 외벽패널을 각각 결합시키기 위한 수평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마감브라켓은 상기 수직리브의 단부 측 일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내측에 제1삽입홈이 형성된 제1소켓부와, 상기 외벽패널의 후면 가장자리 일부 및 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제1소켓부로부터 연장된 제1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로부터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1안착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연결브라켓은 상기 외벽패널의 후면 가장자리 일부 및 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된 제2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로부터 상기 수직리브에 접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수직리브에 대해 상기 제2안착부를 이격되게 지지하는 이격리브와, 상기 이격리브로부터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2안착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결합프레임은
    커튼월구조체의 외곽 측에 배치되는 외벽패널 또는 일 측에 설치된 강화유리와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외벽패널을 상기 수평프레임의 수평리브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직마감브라켓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기 외벽패널을 연속되게 배치시, 상하로 서로 인접하는 일 측의 외벽패널과 타 측의 외벽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수평프레임의 수평리브에 상하 양측 외벽패널을 함께 결합시키기 위한 수직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마감브라켓은 상기 수평리브의 단부 측 일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내측에 제3삽입홈이 형성된 제3소켓부와, 상기 외벽패널의 전면 및 후면 가장자리 일부와 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상기 제3소켓부로부터 연장된 제3안착부와, 상기 제3안착부로부터 상기 수평프레임에 접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3안착부를 지지하는 제3지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연결브라켓은 상기 수평리브의 단부 측 일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내측에 삽입홈이 형성된 제4소켓부와, 상기 제4소켓부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에 상하로 인접하는 일 측 외벽패널과 타 측 외벽패널의 전면 및 후면 가장자리 일부와 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4안착부와, 상기 제4안착부로부터 상기 수평프레임에 접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4안착부를 지지하는 제4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에 대해 상기 외벽패널을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외벽패널의 하단과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해 상기 외벽패널을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외벽패널의 좌측 및 우측 단부와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구조체.

KR1020190040948A 2019-04-08 2019-04-08 커튼월구조체 KR102247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948A KR102247639B1 (ko) 2019-04-08 2019-04-08 커튼월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948A KR102247639B1 (ko) 2019-04-08 2019-04-08 커튼월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682A true KR20200118682A (ko) 2020-10-16
KR102247639B1 KR102247639B1 (ko) 2021-05-03

Family

ID=73035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948A KR102247639B1 (ko) 2019-04-08 2019-04-08 커튼월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6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579A (ko) * 2020-12-30 2022-07-07 임희진 커튼월용 프레임의 단열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171B1 (ko) 2007-04-06 2008-05-20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바노출형 건물용 커튼월에 있어서 그라스패널 설치 바
KR20100094019A (ko) 2009-02-18 2010-08-26 박종태 역보 시스템 커튼월
KR20110090123A (ko) 2010-02-02 2011-08-10 광건티앤씨(주) 적층식 외벽패널의 용이 설치 및 교체를 위한 고정체 구조
KR101461545B1 (ko) * 2013-12-27 2014-11-13 주식회사 조운건설 외벽마감구조
KR20170048130A (ko) * 2015-10-23 2017-05-08 주식회사 조은데코 벽체 마감 시공용 프레임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171B1 (ko) 2007-04-06 2008-05-20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바노출형 건물용 커튼월에 있어서 그라스패널 설치 바
KR20100094019A (ko) 2009-02-18 2010-08-26 박종태 역보 시스템 커튼월
KR20110090123A (ko) 2010-02-02 2011-08-10 광건티앤씨(주) 적층식 외벽패널의 용이 설치 및 교체를 위한 고정체 구조
KR101461545B1 (ko) * 2013-12-27 2014-11-13 주식회사 조운건설 외벽마감구조
KR20170048130A (ko) * 2015-10-23 2017-05-08 주식회사 조은데코 벽체 마감 시공용 프레임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579A (ko) * 2020-12-30 2022-07-07 임희진 커튼월용 프레임의 단열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639B1 (ko) 202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754B1 (ko) 벽체 마감 시공용 프레임 조립체
KR101640193B1 (ko) 리모델링이 용이한 커튼월 시스템
KR101461545B1 (ko) 외벽마감구조
US10508433B2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102247639B1 (ko) 커튼월구조체
KR20110095223A (ko) 유리판넬과 허니콤판넬이 구비된 건물의 벽면 마감재
KR102270906B1 (ko) 알루미늄 복합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298195B1 (ko) 단열성을 향상시킨 커튼월 프레임
KR101177502B1 (ko)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KR100983030B1 (ko) 코너 벽 패널 조립체
KR100943239B1 (ko) 칸막이용 스터드
KR101325925B1 (ko) 사춤재가 구비된 창호틀
CN210459881U (zh) 一种铝合金装饰线系统
CN210767284U (zh) 一种装配式建筑的绿色墙体保温结构
CN211143435U (zh) 一种幕墙用排水龙骨及连接支撑组件和幕墙系统
CN210622074U (zh) 一种天花吊顶侧板系统
KR101094461B1 (ko) 창호
KR100945680B1 (ko) 복합패널을 이용한 지하 이중벽의 설치구조 및 방법
KR20200132062A (ko) 연결브라켓 교체형 창호프레임
KR102274452B1 (ko) 조립식 건축 외장패널
KR102626105B1 (ko) 건축물의 외부단열 시공방법
CN103266703B (zh) 陶土板幕墙安装结构
KR20130085823A (ko)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체 결합구조
KR102541628B1 (ko) 커튼 월용 석재 판넬의 포 사이드 타입(4-side type) 결합구조
KR102535615B1 (ko) 개량형 외벽패널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