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319B1 -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319B1
KR102574319B1 KR1020210126577A KR20210126577A KR102574319B1 KR 102574319 B1 KR102574319 B1 KR 102574319B1 KR 1020210126577 A KR1020210126577 A KR 1020210126577A KR 20210126577 A KR20210126577 A KR 20210126577A KR 102574319 B1 KR102574319 B1 KR 102574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upling
guide hole
panels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7788A (ko
Inventor
이정엽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이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준 filed Critical 이상준
Publication of KR20220117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16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locking means on later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인접한 패널 사이에 패널접합부를 부착하여 패널의 조립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체결볼트가 상호 크로스 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결합안내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패널결합부의 결합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널에 패널구조보강재가 장착되므로, 패널의 강도가 더욱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Combination System of Pannel for Prefabricated Buildings}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인접한 패널 사이에 패널접합부를 부착하여 패널의 조립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분야는 국가 오염 총량의 1/3을 차지하고, 이 가운데 주택 및 상업건축물이 국가에너지 소비의 25.7%(2000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건축물을 폐기하거나 개보수를 통하여 수명을 연장하여 폐기량을 줄이고, 재생 활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자원축적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건축분야에서 환경에 미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서, 폐기물 처리에 관한 문제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폐기물은 매립 처분 또는 소각 처분된다. 이러한 매립 또는 소각은 바다 또는 해안선을 파괴하고, 산간지역의 토양이나 지하수 등의 생태계를 파괴할 우려가 있으며, 처분장소의 만성적인 부족이나 허용수입량의 한계성이 사회문제화되고 있으며, 특히 건설폐기물의 불법투기도 근절되지 않고 있다. 또한, 소각처분은 이산화탄소 발생에 따른 지구온난화에 대한 우려, 다이옥신 등의 환경오염물질이 인류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이 강력하게 문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 처리 문제에 대한 기본적인 대책으로는, 폐기물을 배출하지 않는 것, 폐기물을 배출한다 하더라도 가급적이면 폐기물 발생량을 억제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건축분야에서도 순환형 건축을 위해 폐자재의 발생을 억제(Reduce)하고, 재사용(Reuse)하고, 재생하여 활용(Recycle)하는 3R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주 52시간 근로제', '미세먼지저감 특별법' '건설노동력 부족 및 임금상승' 등 건설시장에서의 노동력 확보 및 건설사업 환경은 점점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건설 환경개선에 대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조립식 주택이 개발되고 있다. 조립식 주택은 철골부재로 이루어진 3차원 입체 구조모듈과, 모듈의 내부를 구성하는 건축설비 및 내장재 등의 70% 이상을 공장에서 생산하고, 개별 모듈이 건설현장에서 수평, 수직으로 적층되고 연결되어 하나의 건축물이 형성된다. 이러한 조립식 주택은 해체 및 이동이 용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고 공장생산으로 표준화 및 부품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조립식 주택에 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0213호는 이동용 조립주택 및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콘과 프레임 및 외벽, 천장, 바닥면을 개별로 제작하여, 콘과 프레임을 체결하여 골격을 세우고, 바닥면, 천장, 외벽을 차례로 체결도구로 조립하고, 주택 용도에 맞게 내부를 인테리어하는 기술을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공장에서 유닛을 제작하기 위한 패널을 절단 및 조립하는 과정에서부터 오차가 발생되므로, 현장에서 패널을 다시 절단하거나 또는 폐기 처분해야 하며, 이는 공기 및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0213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 인접한 패널 사이에 패널접합부를 부착하여 패널의 조립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패널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절개부에 삽입되는 패널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결합부는 내부가 빈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패널과 마주보지 않는 일면은 개방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널결합부의 일면을 제외한 타면에 결합안내홀이 형성되고, 한 쌍의 패널의 측부가 상호 접촉되도록 위치됨에 따라 한 쌍의 상기 패널에 삽입된 한 쌍의 상기 패널결합부가 상호 접촉되면,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결합안내홀에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오목절개부와 접촉되는 상기 패널결합부의 일측에는 상기 패널에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결합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안내부는, 상기 패널결합부의 일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결합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결합부가 상기 오목절개부에 안착되면, 상기 오목절개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상기 패널의 양측에 상기 결합돌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패널결합부가 상기 오목절개부에 안착될 때, 상기 오목절개부와 연결되는 상기 패널의 외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상기 결합돌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안내부는, 상기 패널결합부의 일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결합돌부와, 상기 결합돌부의 양측을 가로지르도록 끼움 결합되는 끼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결합부가 상기 오목절개부에 안착될 때, 상기 결합돌부 및 상기 끼움판은 상기 패널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부의 일측에는 상기 끼움판이 삽입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판의 일측에는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도록 끼움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안내부는, 상기 패널결합부의 일측에 위치되며 한 쌍의 상기 결합돌부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결합부가 상기 오목절개부에 안착될 때, 상기 연결부의 외측에 상기 오목절개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오목절개부의 일면을 커버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오목절개부의 일면에 중첩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부와 상기 패널의 양측은 중첩되고 나사 결합, 볼팅 결합, 리벳 결합 또는 끼움 결합으로 상호 결합되고, 상기 패널결합부의 일측과 상기 연결부는 용접 결합, 나사 결합, 볼팅 결합 또는 리벳 결합으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안내부의 단면은 ”ㄱ”, “ㄴ”, “ㄷ”, “ㅁ”, “H", “I”, “11” 및 “+” 형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안내부의 크기는 상기 패널의 두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패널의 일면 테두리를 따라 위치되거나 또는 패널의 일면을 가로지르도록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패널구조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구조보강재의 일측은 상기 패널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결합돌부 중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상기 결합돌부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패널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결합면부 중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상기 결합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패널구조보강재의 단면은 “ㄱ”, “ㄷ”, “ㅁ”, “ㅣ”, "ㅇ" 및 “H" 형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패널결합부는 복수 개로 구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패널결합부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패널결합부는 상기 패널의 모서리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절개부에 삽입되고, 복수 개의 상기 패널결합부 중 선택되는 다른 한 패널결합부는 상기 패널의 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절개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패널결합부의 일면과 타면 사이의 폭은 패널의 두께에 따라, 패널의 일면과 타면 사이의 폭보다 작도록 구성되고, 상기 패널결합부의 일면과 상기 패널의 일면이 상호 동일 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결합부의 타면에 외기차단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오목절개부는,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패널 중 제 1 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오목절개부와, 제 2 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오목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결합부는, 상기 제 1 오목절개부에 삽입되는 제 1 패널결합부와, 상기 제 2 오목절개부에 삽입되는 제 2 패널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제 1 패널과 마주보지 않는 상기 제 1 패널결합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개방부와, 상기 제 2 패널과 마주보지 않는 상기 제 2 패널결합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 2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안내홀은 상기 제 1 패널결합부의 일면을 제외한 타면에 형성되는 제 1 결합안내홀과, 상기 제 2 패널결합부의 일면을 제외한 타면에 형성되는 제 2 결합안내홀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호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상기 제 1 결합안내홀 및 상기 제 2 결합안내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안내홀 및 상기 제 2 결합안내홀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및 육각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 1 개방부 또는 상기 제 2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결합안내홀 및 상기 제 2 결합안내홀에 일체로 관통 삽입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체결볼트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체결볼트의 체결홈에 삽입 결합되는 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안내홀 및 상기 제 2 결합안내홀의 직경은 상기 체결볼트의 직경보다 길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제 1 결합안내홀 또는 상기 제 2 결합안내홀을 따라 이동된 후 상기 체결부가 상기 체결볼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안내홀과 상기 제 2 결합안내홀은 상호 크로스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패널 또는 상기 제 2 패널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제 1 결합안내홀 또는 상기 제 2 결합안내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패널결합부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패널결합부는 육면체로 형성되되 상호 마주보는 양측에 구비되는 경사결합면부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패널의 일면 측부에 상기 제 2 패널의 양면 사이의 단부가 밀착될 때, 상기 제 1 패널의 일면 측부와 상기 제 2 패널의 양면 사이의 단부 사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밀보강재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밀보강재는 튜브 형상 또는 봉 형상 또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 또는 발포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패널과 상기 제 2 패널이 상호 직각 형태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패널결합부의 외측과 상기 제 2 패널결합부의 외측을 일체로 커버하는 단열 재질의 결합마감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패널과 상기 제 2 패널이 상호 직각 형태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패널과 상기 제 2 패널 사이의 내부 코너 또는 외부 코너를 커버하는 방수 재질의 코너마감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상호 인접한 한 쌍의 패널결합부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로 한 쌍의 패널결합부에 연결된 한 쌍의 패널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직각으로 배열된 오목절개부의 일측과 타측에 직각으로 연결된 한 쌍의 결합면부가 안착될 때, 각각의 결합면부에 형성된 결합안내부가 패널의 양측에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패널결합부는 간단한 구조로 패널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안내부의 결합돌부 및 끼움판은 상호 동일하지 않은 방향으로 패널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패널결합부에 결합돌부의 길이 방향 또는 끼움판의 길이 방향으로 외부 압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결합안내부가 패널에서 임의로 탈거되지 않아, 패널결합부가 패널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볼트가 상호 크로스 되도록 위치되는 제 1, 2 결합안내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제 1 패널결합부와 제 2 패널결합부의 결합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널의 테두리 또는 패널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패널구조보강재가 구비되어, 패널의 강도가 더욱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널에 패널구조보강재를 설치하므로, 패널에 울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널구조보강재는 패널에 구비되는 결합돌부 또는 결합면부에 결합되므로, 별도의 결합 구조 없이 패널구조보강재가 패널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패널과 제 2 패널 사이에 기밀보강재가 위치되므로, 제 1 패널과 제 2 패널 사이를 빈틈 없이 기밀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2 패널결합부의 일측에 결합마감재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제 1, 2 패널결합부로 전달되는 외기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패널결합부의 하면에 외기차단재가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제 2 패널결합부로 전달되는 외기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2 패널의 일측에 패널마감재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제 1, 2 패널의 단부 방향으로 전달되는 외기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패널결합부 및 결합안내부가 패널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결합안내부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패널결합부가 패널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패널구조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결합안내부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결합안내부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결합안내부가 패널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제 1 패널결합부와 제 2 패널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제 1 패널결합부와 제 2 패널결합부가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제 1, 2 결합안내홀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제 1 패널결합부와 제 2 패널결합부가 경사지게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제 1 패널결합부와 제 2 패널결합부가 경사지게 결합되는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패널결합부 및 결합안내부가 패널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은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패널(1)과, 각각의 패널(1)의 일측에 위치되는 패널결합부(10)와, 패널결합부(10)를 패널(1)에 결합시키는 결합안내부(20)와, 체결부재(300: 도 10 도시)를 포함한다.
패널(1)은 건축물의 각 부위별 벽체, 바닥, 천장, 지붕 등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는 단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용 목적 및 사용되는 부위에 따라 패널(1)의 형태 및 두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패널의 정면은 삼각형,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널(1)은 목재, 시멘트, 유리섬유, 스틸, 메쉬, 섬유,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킨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널(1)은 목재, 스틸 등으로 조립하여 형성되는 패널지지층(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패널(1)의 일측, 예를 들면 패널(1)의 꼭짓점 또는 모서리는 오목하게 오목절개부(2)가 형성된다. 또한, 패널(1)의 변에도 오목하게 오목절개부(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호 인접한 패널(1)들은 오목절개부(2)에 장착되는 패널결합부(10)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어, 조립식 건축물이 완성된다. 오목절개부(2)는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직접 패널(1)에 절개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공장에서 패널(1)에 형성될 수도 있다.
패널결합부(10)는 패널(1)의 오목절개부(2)에 삽입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내부가 빈 육면체 또는 오면체 형태 등의 다면체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패널결합부(10)는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패널결합부(10)가 지붕 쪽에 적용되는 경우 삼각 기둥 등의 오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패널(1)의 오목절개부(2)와 맞닿지 않는 패널결합부(10)의 일면은 개방되도록 개방부(11)가 형성되고, 패널결합부(10)의 일면을 제외한 타면 즉, 결합면부(12)에 결합안내홀(12a)이 형성된다. 결합안내홀(12a)은 예를 들면 결합면부(12)의 중앙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안내홀(12a)의 일측에는 결합안내홀(12a)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가이드홀(12b)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12b)은 경우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그리고 패널결합부(10)가 패널(1)의 오목절개부(2)에 삽입되면, 패널(1)의 오목절개부(2)와 맞닿는 패널결합부(10)의 결합면부(12)에 형성되는 결합안내홀(12a)에 결합수단(미도시)이 삽입되어, 패널결합부(10)와 패널(1)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수단은 통상의 볼트, 피스, 리벳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볼트, 피스, 리벳은 금속 또는 목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결합안내부(20)는 오목절개부(2)와 접촉되는 패널결합부(10)의 일측에 패널(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돌부(22)를 포함한다. 결합돌부(22)는 오목절개부(2)와 접촉되는 결합면부(12)의 양측에 오목절개부(2)와 일체로 연결되는 패널(1)의 양측을 덮도록 돌출 형성된다. 결합돌부(22)는 패널결합부(10)의 일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때, 패널(1)의 양측에는 결합돌부(22)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삽입홈(2a)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부(22)는 삽입홈(2a)에 삽입되므로 패널(1)의 양측에서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게 된다. 그리고 결합돌부(22)와 패널(1)의 양측은 상호 중첩되며, 상호 중첩된 결합돌부(22)와 패널(1)의 양측은 통상의 나사 결합, 볼팅 결합, 리벳 결합, 끼움 결합 또는 접착 결합 등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접착 결합의 경우, 실리콘 또는 접착제 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패널결합부(10) 또는 결합안내부(20)는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패널결합부(10) 또는 결합안내부(20)는 목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체결부재(300)는 예를 들면, 볼트, 너트 등으로 구성되어 한 쌍의 패널(1)을 상호 체결시키는 것이다. 즉, 한 쌍의 패널(1)의 측부가 상호 접촉되도록 위치됨에 따라 한 쌍의 패널(1)에 삽입된 한 쌍의 패널결합부(10)가 상호 접촉되면,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결합안내홀(12a)에 체결부재(300)가 체결된다. 체결부재(300), 결합안내홀(12a) 및 가이드홀(12b)은 도 10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결합안내부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결합안내부(20)는 직각으로 연결된 한 쌍의 결합면부(12)에 각각 형성되도록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직각으로 배열된 오목절개부(2)의 일측과 타측에 직각으로 연결된 한 쌍의 결합면부(12)가 안착될 때, 각각의 결합면부(12)에 형성된 결합안내부(20)가 패널(1)의 양측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패널결합부가 패널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패널(1)은 복수 개로 구성되며, 이러한 패널(1)들이 상호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건축물의 벽체, 바닥, 천장, 지붕 등으로 구성되고, 상호 인접한 패널(1)들은 각각의 패널(1)에 삽입된 패널결합부(10) 간의 결합에 의하여 상호 견고하게 체결되어, 조립식 건축물이 완성된다.
그리고 패널(1)의 모서리 및 각 변에는 오목하게 오목절개부(2)가 형성되고, 각각의 오목절개부(2)에 각각의 패널결합부(10)가 삽입된다. 패널결합부(10)는 복수 개로 구성되되, 복수 개의 패널결합부(10)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패널결합부(10)는 패널(1)의 모서리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절개부(2)에 삽입되고, 복수 개의 패널결합부(10) 중 선택되는 다른 한 패널결합부(10)는 패널(1)의 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절개부(2)에 삽입된다. 그리고 각각의 패널결합부(10)는 결합안내부(20)에 의하여 패널(1)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패널구조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건축물의 벽체, 바닥, 천장, 지붕 등으로 구성되는 패널(1)의 일면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패널구조보강재(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패널구조보강재(3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마치 방패연의 뼈대와 같이 패널(1)의 일면 테두리를 따라 위치되거나 또는 패널(1)의 일면을 수평, 수직 또는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패널구조보강재(30)는 패널(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패널(1)은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패널(1)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패널(1)은 마치 북과 같이 울릴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패널(1)에 패널구조보강재(30)를 설치하므로, 패널(1)의 강도를 보강하고 패널(1)에 울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패널구조보강재(30)는 건축물의 실내와 마주보는 패널(1)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패널구조보강재(30)의 양 단부는 패널(1)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결합돌부(22) 중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결합돌부(22)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패널구조보강재(30)의 양 단부는 패널(1)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결합면부(12) 중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결합면부(12)에 결합될 수 있다. 패널구조보강재(30)의 단면은 “ㄱ”, “ㄷ”, “ㅁ”, “ㅣ”, "ㅇ" 및 “H" 형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패널구조보강재(30)에 의하여 패널(1)의 강도가 더욱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널구조보강재(30)는 패널(1)에 구비되는 결합돌부(22) 또는 결합면부(12)에 결합되므로, 별도의 결합 구조 없이 패널구조보강재(30)가 패널(1)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결합안내부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결합안내부(20)는, 패널(1)의 양측 폭에 대응되도록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결합돌부(22)와, 패널결합부(10)의 일측에 위치되며 한 쌍의 결합돌부(22)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26)를 포함한다. 그리고 패널결합부(10)가 오목절개부(2)에 안착될 때, 패널결합부(1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연결부(26)의 외측에 오목절개부(2)가 위치된다. 이때, 연결부(26)의 폭은 오목절개부(2)의 일면을 커버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된다. 즉, 패널(1) 두께에 따라 연결부(26)의 폭이 달라지므로, 오목절개부(2)의 폭에 따라 연결부(26)의 길이가 결정되고, 연결부(26)의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돌부(22)가 패널(1)의 양측에 맞닿도록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부(26)는 오목절개부(2)의 일면에 중첩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패널결합부(10)의 일측과 연결부(26)는 통상의 용접 결합, 나사 결합, 볼팅 결합, 리벳 결합 또는 접착 결합 등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안내부(20)의 단면은 ”ㄱ”, “ㄴ”, “ㄷ”, “ㅁ”, “H", “I”, “11” 및 “+” 형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안내부(20)의 크기 및 폭은 패널(1)의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결합안내부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안내부가 패널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결합안내부(20)는 패널결합부(10)의 일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결합돌부(22)와, 한 쌍의 결합돌부(22)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6)와, 한 쌍의 결합돌부(22)의 양측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끼움 결합되는 끼움판(2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돌부(22)의 상측에는 끼움판(24)이 삽입되도록 끼움홈(22a)이 형성되고, 끼움판(24)의 하측에는 끼움홈(22a)에 삽입되도록 끼움안내홈(24a)이 형성되어, 끼움판(24)은 결합돌부(22)에 직교 하도록 삽입된다.
한편, 패널결합부(10)가 오목절개부(2)에 안착될 때, 결합돌부(22) 및 끼움판(24)은 패널(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처럼 결합돌부(22) 및 끼움판(24)이 패널(1) 내부로 삽입되면, 결합돌부(22) 및 끼움판(24)은 상호 동일하지 않은 방향으로 패널(1)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패널결합부(10)에 결합돌부(22)의 길이 방향 또는 끼움판(24)의 길이 방향으로 외부 압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결합안내부(20)가 패널(1)에서 임의로 탈거되지 않아, 패널결합부(10)가 패널(1)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제 1 패널결합부와 제 2 패널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제 1 패널결합부와 제 2 패널결합부가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오목절개부는, 예를 들면 모서리가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패널 즉, 제 1 패널(50)과 제 2 패널(60) 중 제 1 패널(50)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 1 오목절개부(52)와, 제 2 패널(60)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 2 오목절개부(62)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오목절개부(52)는 제 1 패널(50)의 변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 2 오목절개부(62)는 제 2 패널(60)의 변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패널결합부는, 제 1 오목절개부(52)에 삽입되는 제 1 패널결합부(100)와, 제 2 오목절개부(62)에 삽입되는 제 2 패널결합부(200)를 포함한다. 결합안내부는, 제 1 패널결합부(100)에 구비되는 제 1 결합안내부(150)와, 제 2 패널결합부(200)에 구비되는 제 2 결합안내부(250)를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패널(50)의 상측 및 측방에 각각 제 2 패널(60)이 위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제 1 패널결합부(100)는 예를 들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패널(50)과 마주보지 않는 제 1 패널결합부(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개방부(110)와, 제 1 개방부(110)를 제외한 제 1 패널결합부(10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 1 결합면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결합면부(120)에 제 1 결합안내홀(122) 및 제 1 가이드홀(124)이 형성된다.
제 2 패널결합부(200)는 제 1 패널결합부(100)와 유사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2 패널(60)과 마주보지 않는 제 2 패널결합부(2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 2 개방부(210)와, 제 1 개방부(110)를 제외한 제 2 패널결합부(20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 2 결합면부(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결합면부(220)에 제 2 결합안내홀(222) 및 제 2 가이드홀(224)이 형성된다. 제 1 결합안내홀(122) 및 제 2 결합안내홀(222)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및 육각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2 가이드홀(124, 224)은 제 1, 2 결합안내홀(122, 222)의 단부에 제 1, 2 결합안내홀(122, 222)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체결부재(300)는 상호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제 1 결합안내홀(122) 및 제 2 결합안내홀(222)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제 1 개방부(110) 또는 제 2 개방부(210)를 통하여 제 1 결합안내홀(122) 및 제 2 결합안내홀(222)에 일체로 관통 삽입되는 체결볼트(310) 및 체결볼트(310)에 결합되는 체결부(320)를 포함한다. 체결볼트(310)는 그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볼트(310)는 일단부에 헤드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헤드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체결부(320)가 체결볼트(310)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체결볼트(310)의 양 단부에 체결부(32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체결부(320)는, 체결볼트(310)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체결볼트(310)의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홈(미도시)에 삽입 결합되도록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볼트(310)의 양 단부는 원뿔 형태로 첨예하도록 형성되므로, 체결볼트(310)의 양 단부는 제 1, 2 결합안내홀(122, 222)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체결부(320)는 체결볼트(310)의 단부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한, 제 1, 2 패널결합부(100, 200)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제 1, 2 결합안내홀(122, 222)은 2개 이상 구비되고, 체결부재(300) 또한 2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체결볼트(310)를 이용하여 제 1, 2 패널결합부(100, 20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로 제 1, 2 패널결합부(100, 200)에 연결된 제 1, 2 패널(50, 60)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제 1, 2 결합안내홀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패널(50)과 제 2 패널(60)의 경우, 내부 벽체 및 기타 구성요소 또는 외부 압력 등으로 인한 형상 변형이 올 수 있다. 이러한 형상 변형이 발생된 경우, 상호 결합되는 제 1 패널결합부(100)와 제 2 패널결합부(200)의 위치를 미세하게 X축 또는 Y축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 1 결합안내홀(122) 및 제 2 결합안내홀(222)의 직경은 체결볼트(310)의 직경보다 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결합안내홀(122) 및 제 2 결합안내홀(222)은 상호 크로스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체결볼트(310)가 제 1, 2 결합안내홀(122, 2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패널결합부(100) 또는 제 2 패널결합부(200)의 위치 변화에 따라 체결볼트(310)가 제 1 결합안내홀(122) 또는 제 2 결합안내홀(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 후, 체결부(320)가 체결볼트(3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체결볼트(310)가 제 1, 2 결합안내홀(122, 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제 1 패널결합부(100)와 제 2 패널결합부(200) 간의 무게 중심이 일정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제 1 패널결합부(100)와 제 2 패널결합부(200)의 결합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1 패널(50)의 일면 측부에 제 2 패널(60)의 양면 사이의 단부가 밀착될 때, 제 1 패널(50)의 일면 측부와 제 2 패널(60)의 양면 사이의 단부 사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밀보강재(400)가 위치될 수 있다. 기밀보강재(400)는 튜브 형상 또는 봉 형상 또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 또는 발포성 재질로 형성되어, 제 1 패널(50)과 제 2 패널(60) 사이를 빈틈 없이 기밀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부(320)가 체결볼트(310)에 결합되면 기밀보강재(400)가 압축되면서 제 1 패널(50)과 제 2 패널(60) 사이를 빈틈없이 견고하게 체결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현장 상황에 따라 제 1 패널결합부(100)와 제 2 패널결합부(200)의 결합 과정에서 단차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때, 체결볼트(310)의 일측이 제 1 가이드홀(124) 또는 제 2 가이드홀(224)에 용이하게 관통되도록 안내되고, 체결볼트(310)의 타측이 제 2 결합안내홀(222) 또는 제 1 결합안내홀(122)에 관통된다. 그 후, 체결볼트(310)의 타측에 체결부(320)가 결합되어 제 1, 2 패널결합부(100, 200)가 결합 과정에서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제 1 패널결합부와 제 2 패널결합부가 경사지게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에 구비되는 제 1 패널결합부와 제 2 패널결합부가 경사지게 결합되는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패널(50)은 건축물의 측벽 역할을 하고 제 2 패널(60)은 건축물의 지붕 역할을 하는 경우, 제 2 패널(60)은 제 1 패널(50)에 직각이 아니라 경사지게 결합된다. 이때, 제 1 패널결합부(100)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제 2 패널결합부(200)는 육면체로 형성되되 제 2 패널결합부(200)의 결합면부 중 상호 마주보는 양측에 구비되는 경사결합면부(230)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이처럼 제 2 패널결합부(200)는 경사결합면부(230)를 구비하므로, 제 2 패널결합부(200)는 경사지게 위치된 제 2 패널(60)을 제 1 패널(5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4을 참조하면, 건축물의 바닥 역할을 하는 제 2 패널(60)을 구비한다. 제 2 패널(60)의 모서리 및 변에는 오목하게 제 2 오목절개부(62)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 2 오목절개부(62)에 제 2 패널결합부(200)가 삽입되고, 이어서 제 2 결합안내부에 의하여 제 2 패널결합부(200)가 제 2 패널(6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 2 오목절개부(62)와 맞닿지 않은 제 2 패널결합부(200)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폭은 제 2 패널(60)의 두께에 따라 제 2 패널(60)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폭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2 패널결합부(200)의 상면은 제 2 패널(60)의 상면과 상호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제 2 패널결합부(200)의 하면은 제 2 패널(60)의 하면보다 상부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 2 패널결합부(200)의 하면에 외기차단재(410)가 설치된다. 외기차단재(410)의 하면은 제 2 패널(60)의 하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된다. 외기차단재(410)는 단열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지면으로부터 제 2 패널결합부(200)로 전달되는 외기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도 15를 참조하면, 어느 한 제 2 패널(60)의 상부 일측에 제 1 패널(50)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위치되고, 어느 한 제 2 패널(60)의 상부 타측에 다른 한 제 2 패널(60)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 1, 2 패널(50, 60)의 상호 마주보는 모서리 및 변에는 오목하게 제 1, 2 오목절개부(52, 62)가 형성되고, 제 1, 2 오목절개부(52, 62)에 제 1, 2 패널결합부(100, 200)가 삽입된다. 그리고 제 1, 2 패널결합부(100, 200)는 체결부재(300)에 의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호 인접한 제 1, 2 패널(50, 60)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 1, 2 오목절개부(52, 62)와 맞닿지 않은 제 1, 2 패널결합부(100, 200)의 외면과 내면 사이의 폭은 제 1, 2 패널(50, 60)의 외면과 내면 사이의 폭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1, 2 패널결합부(100, 200)의 내면은 제 1, 2 패널(50, 60)의 내면과 상호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제 1, 2 패널결합부(100, 200)의 외면은 제 1, 2 패널(50, 60)의 외면보다 안쪽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 1, 2 패널결합부(100, 200)의 외면을 일체로 커버하도록 결합마감재(420)가 설치된다. 결합마감재(420)의 외면은 제 1, 2 패널(50, 60)의 외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된다. 결합마감재(420)는 통상의 단열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제 1, 2 패널결합부(100, 200)로 전달되는 외기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 1 패널(50)과 제 2 패널(60)이 상호 직각 형태로 배열된 상태에서, 제 1 패널(50)과 제 2 패널(60) 사이의 내부 코너를 커버하도록 내부코너마감재(450)가 설치되고, 제 1 패널(50)과 제 2 패널(60) 사이의 외부 코너를 커버하도록 외부코너마감재(440)가 설치되어, 제 1 패널(50)과 제 2 패널(60) 사이의 내부 코너와 외부 코너가 외부로부터 커버된다. 외부코너마감재(440)는 빗물 등으로부터 방수되도록 통상의 방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제 1, 2 패널(50, 60)을 일체로 커버하는 패널조인트마감재(430) 및 제 1 패널(50)과 제 2 패널(60) 사이의 내부 코너와 내부코너마감재(450)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보강재(45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내부코너마감재(450), 외부코너마감재(440), 패널조인트마감재(430) 및 패널보강재(452)는 제 1, 2 패널(50, 60)로 전달되는 외기를 차단할 수도 있고, 제 1, 2 패널(50, 60)의 강도를 보강할 수도 있으며, 제 1, 2 패널(50, 60)의 외형을 미려하게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패널 2: 오목절개부
2a: 삽입홈
10: 패널결합부 11: 개방부
12: 결합면부 12a: 결합안내홀
12b: 가이드홀 20: 결합안내부
22: 결합돌부 22a: 끼움홈
24: 끼움판 24a: 끼움안내홈
26: 연결부 30: 패널구조보강재
50: 제 1 패널 52: 제 1 오목절개부
60: 제 2 패널 62: 제 2 오목절개부
100: 제 1 패널결합부 110: 제 1 개방부
120: 제 1 결합면부 122: 제 1 결합안내홀
124: 제 1 가이드홀 150: 제 1 결합안내부
200: 제 2 패널결합부 210: 제 2 개방부
220: 제 2 결합면부 222: 제 2 결합안내홀
224: 제 2 가이드홀 230: 경사결합면부
250: 제 2 결합안내부
300: 체결부재 310: 체결볼트
320: 체결부
400: 기밀보강재 410: 외기차단재
420: 결합마감재 430: 패널조인트마감재
440: 외부코너마감재 450: 내부코너마감재
452: 패널보강재

Claims (26)

  1.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패널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절개부에 삽입되는 패널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결합부는 내부가 빈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패널과 마주보지 않는 일면은 개방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널결합부의 일면을 제외한 타면에 결합안내홀이 형성되고,
    한 쌍의 패널의 측부가 상호 접촉되도록 위치됨에 따라 한 쌍의 상기 패널에 삽입된 한 쌍의 상기 패널결합부가 상호 접촉되면,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결합안내홀에 체결부재가 체결되고,
    상기 오목절개부는,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패널 중 제 1 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오목절개부와, 제 2 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오목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결합부는, 상기 제 1 오목절개부에 삽입되는 제 1 패널결합부와, 상기 제 2 오목절개부에 삽입되는 제 2 패널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제 1 패널과 마주보지 않는 상기 제 1 패널결합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개방부와, 상기 제 2 패널과 마주보지 않는 상기 제 2 패널결합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 2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안내홀은 상기 제 1 패널결합부의 일면을 제외한 타면에 형성되는 제 1 결합안내홀과, 상기 제 2 패널결합부의 일면을 제외한 타면에 형성되는 제 2 결합안내홀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호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상기 제 1 결합안내홀 및 상기 제 2 결합안내홀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 1 개방부 또는 상기 제 2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결합안내홀 및 상기 제 2 결합안내홀에 일체로 관통 삽입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체결볼트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안내홀 및 상기 제 2 결합안내홀의 직경은 상기 체결볼트의 직경보다 길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제 1 결합안내홀 또는 상기 제 2 결합안내홀을 따라 이동된 후 상기 체결부가 상기 체결볼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결합안내홀과 상기 제 2 결합안내홀은 상호 크로스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패널 또는 상기 제 2 패널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제 1 결합안내홀 또는 상기 제 2 결합안내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 1 결합안내홀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가이드홀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1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안내홀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가이드홀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2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절개부와 접촉되는 상기 패널결합부의 일측에는 상기 패널에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결합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안내부는, 상기 패널결합부의 일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결합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결합부가 상기 오목절개부에 안착되면, 상기 오목절개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상기 패널의 양측에 상기 결합돌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결합부가 상기 오목절개부에 안착될 때, 상기 오목절개부와 연결되는 상기 패널의 외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상기 결합돌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안내부는, 상기 패널결합부의 일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결합돌부와, 상기 결합돌부의 양측을 가로지르도록 끼움 결합되는 끼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결합부가 상기 오목절개부에 안착될 때, 상기 결합돌부 및 상기 끼움판은 상기 패널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부의 일측에는 상기 끼움판이 삽입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판의 일측에는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도록 끼움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안내부는, 상기 패널결합부의 일측에 위치되며 한 쌍의 상기 결합돌부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결합부가 상기 오목절개부에 안착될 때, 상기 연결부의 외측에 상기 오목절개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오목절개부의 일면을 커버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오목절개부의 일면에 중첩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부와 상기 패널의 양측은 중첩되고 나사 결합, 볼팅 결합, 리벳 결합 또는 끼움 결합으로 상호 결합되고,
    상기 패널결합부의 일측과 상기 연결부는 용접 결합, 나사 결합, 볼팅 결합 또는 리벳 결합으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안내부의 단면은 ”ㄱ”, “ㄴ”, “ㄷ”, “ㅁ”, “H", “I”, “11” 및 “+” 형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안내부의 크기는 상기 패널의 두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12.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패널의 일면 테두리를 따라 위치되거나 또는 패널의 일면을 가로지르도록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패널구조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구조보강재의 일측은 상기 패널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결합돌부 중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상기 결합돌부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패널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결합면부 중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상기 결합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구조보강재의 단면은 “ㄱ”, “ㄷ”, “ㅁ”, “ㅣ”, "ㅇ" 및 “H" 형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결합부는 복수 개로 구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패널결합부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패널결합부는 상기 패널의 모서리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절개부에 삽입되고, 복수 개의 상기 패널결합부 중 선택되는 다른 한 패널결합부는 상기 패널의 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절개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결합부의 일면과 타면 사이의 폭은 패널의 두께에 따라, 패널의 일면과 타면 사이의 폭보다 작도록 구성되고,
    상기 패널결합부의 일면과 상기 패널의 일면이 상호 동일 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결합부의 타면에 외기차단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16. 삭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안내홀 및 상기 제 2 결합안내홀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및 육각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18. 삭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체결볼트의 체결홈에 삽입 결합되는 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20. 삭제
  21. 삭제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결합부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패널결합부는 육면체로 형성되되 상호 마주보는 양측에 구비되는 경사결합면부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의 일면 측부에 상기 제 2 패널의 양면 사이의 단부가 밀착될 때, 상기 제 1 패널의 일면 측부와 상기 제 2 패널의 양면 사이의 단부 사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밀보강재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보강재는 튜브 형상 또는 봉 형상 또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 또는 발포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과 상기 제 2 패널이 상호 직각 형태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패널결합부의 외측과 상기 제 2 패널결합부의 외측을 일체로 커버하는 단열 재질의 결합마감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과 상기 제 2 패널이 상호 직각 형태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패널과 상기 제 2 패널 사이의 내부 코너 또는 외부 코너를 커버하는 방수 재질의 코너마감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KR1020210126577A 2021-02-17 2021-09-24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KR102574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087 2021-02-17
KR20210021087 2021-02-17
KR20210045635 2021-04-08
KR1020210045635 2021-04-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788A KR20220117788A (ko) 2022-08-24
KR102574319B1 true KR102574319B1 (ko) 2023-09-11

Family

ID=83111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577A KR102574319B1 (ko) 2021-02-17 2021-09-24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31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580A (ja) * 1998-08-25 2000-05-16 Sekisui Chem Co Ltd 建物構造及び該建物構造を用いたユニット建物
JP2000291231A (ja) * 1999-04-09 2000-10-17 Inax Corp 出隅材の留付金具及び留付構造
JP2004108141A (ja) * 2002-08-30 2004-04-08 Toei Housing Corp 構造用接合金物
JP2010248844A (ja) * 2009-04-20 2010-11-04 Misawa Homes Co Ltd 柱の固定構造
JP2011117212A (ja) * 2009-12-04 2011-06-16 Misawa Homes Co Ltd 構造部材の連結構造
KR101448604B1 (ko) * 2009-03-13 2014-10-1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모듈러 건축물용 모듈 유닛
KR101978320B1 (ko) * 2017-06-12 2019-05-1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모듈러 건축물의 결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563A (en) * 1975-06-24 1977-01-10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Electronic clock with alarm
KR101020213B1 (ko) 2010-07-23 2011-03-08 스타코 주식회사 이동용 조립주택 및 조립방법
KR101658020B1 (ko) * 2014-02-07 2016-09-30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구조물용 파일 접합 구조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580A (ja) * 1998-08-25 2000-05-16 Sekisui Chem Co Ltd 建物構造及び該建物構造を用いたユニット建物
JP2000291231A (ja) * 1999-04-09 2000-10-17 Inax Corp 出隅材の留付金具及び留付構造
JP2004108141A (ja) * 2002-08-30 2004-04-08 Toei Housing Corp 構造用接合金物
KR101448604B1 (ko) * 2009-03-13 2014-10-1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모듈러 건축물용 모듈 유닛
JP2010248844A (ja) * 2009-04-20 2010-11-04 Misawa Homes Co Ltd 柱の固定構造
JP2011117212A (ja) * 2009-12-04 2011-06-16 Misawa Homes Co Ltd 構造部材の連結構造
KR101978320B1 (ko) * 2017-06-12 2019-05-1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모듈러 건축물의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788A (ko) 202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453B1 (ko) 모듈러 조립 주택 및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
KR101486023B1 (ko) 방폭패널, 방폭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방폭 조립식 구조체
KR101441255B1 (ko) 방폭패널, 방폭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방폭 조립식 구조체
KR102574319B1 (ko)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KR101293734B1 (ko) 조적조 건축물용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7270598A (ja) 構造壁
KR102574318B1 (ko)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결합 구조
US20060026922A1 (en) Rapidly assembled finishing-free modular house with single-boards
JP5378265B2 (ja) 木造建築物の断熱構造
KR20230043554A (ko)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KR102574317B1 (ko)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KR101021605B1 (ko) 생태패널에 의한 커튼월 외벽구조 및 이를 적용한 생태건축물의 지붕구조
KR100963587B1 (ko) 유닛 모듈라 시스템의 연결구, 모듈라 유닛 및 그 모듈라유닛의 제작방법
KR20230043555A (ko)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결합 구조
KR101320709B1 (ko) 보강파이프를 구비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KR102249451B1 (ko) 맞댐 체결형 스터드
JP2008280747A (ja) 耐震壁
KR101655081B1 (ko) 연결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주택
KR101419264B1 (ko) 경사 방향 결합용 방음판을 갖는 방음벽
KR200315005Y1 (ko) 조립식 건축물
CN206070803U (zh) L形钢管混凝土密柱钢板耗能剪力墙结构
CN215212591U (zh) 一种组合式小型房屋
KR20230086305A (ko) 조립식건축물용 패널용 열교차단 결합시스템
KR101571847B1 (ko)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KR101858794B1 (ko) T형 부재의 접합 구조체 및 접합 구조체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