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331A -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 Google Patents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331A
KR20180001331A KR1020160080318A KR20160080318A KR20180001331A KR 20180001331 A KR20180001331 A KR 20180001331A KR 1020160080318 A KR1020160080318 A KR 1020160080318A KR 20160080318 A KR20160080318 A KR 20160080318A KR 20180001331 A KR20180001331 A KR 20180001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art
groove
protrusion
coupling
st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1432B1 (ko
Inventor
김철수
황두건
홍재선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0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4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01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가 제시된다.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는 소정 두께를 가져 단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가 형성되는 반원통 형상의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디부와 결합하는 반원통 형상의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결합하여 하나의 원통 형상을 이루며, 용액이 담긴 용기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어 상기 용액을 흡입하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ASSEMBLY AND DISASSEMBLY TYPE STRAW}
본 발명은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분해 가능한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 등의 용기를 이용하여 음료 또는 물을 담아 마시는 경우에 용기의 상부에 직접 입에 대고 마시거나 빨대를 이용하여 흡입을 통해 음료 또는 물을 마시게 된다.
이러한 빨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빨대의 상부를 입에 넣은 상태에서 흡입력을 이용하여 빨대를 빨면 빨대의 하부를 통해 음료수가 흡입되어 먹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음료나 물을 마시는 일회용 빨대는 하루에 수억 개씩 제조되어 판매되는데, 단순히 일회만 사용되고 버려지는 문제로 인해 쓰레기 발생을 늘리고, 환경오염의 원인 중 한 요인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4-0039145호는 이러한 조립식 빨대에 관한 것으로, 액상 물을 마시는 용도로서의 빨대를 모아서 다양한 공작물과 놀이구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한 빨대를 모아서 공작물 또는 놀이구를 만들 수 있을 뿐, 빨대로 재사용을 할 수 없어 결국 일회용품의 사용을 줄이는 효과는 얻을 수 없다.
대한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9145호(2004.05.10.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조립 및 분해 가능하여 위생적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두 개의 반원통 형상의 바디부가 결합부에 의해 결합되어 원통 형상을 이루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빨대로 사용 가능하고, 결합부가 분해되어 세척이 용이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는 소정 두께를 가져 단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가 형성되는 반원통 형상의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디부와 결합하는 반원통 형상의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결합하여 하나의 원통 형상을 이루며, 용액이 담긴 용기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어 상기 용액을 흡입하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바디부에 형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는 돌출부 또는 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와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 또는 상기 홈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부의 끼움 결합에 의해 상기 하나의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단면부 일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디부의 단면부 일측에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부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상기 하나의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패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부에 형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바디부에 형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는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패드부의 양측면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상기 복수의 패드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커지고, 상기 홈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내부로 갈수록 면적이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는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 외주연과 타측 내주연에 각각 홈부가 형성되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홈부와 결합되도록,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 내주연과 타측 외주연에 각각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의 일측 외주연의 상기 홈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일측 내주연의 상기 돌출부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 바디부의 타측 내주연의 상기 홈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타측 외주연의 상기 돌출부가 끼움 결합되고, 용액이 담긴 용기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어 상기 용액을 흡입하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커지고, 상기 홈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내부로 갈수록 면적이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는 양측 내주연에 각각 홈부가 형성되는 반원통 형상의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며, 양측 외주연에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홈부와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디부와 끼움 결합되는 반원통 형상의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결합하여 하나의 원통 형상을 이루며, 용액이 담긴 용기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어 상기 용액을 흡입하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커지고, 상기 홈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내부로 갈수록 면적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부의 두께가 상기 제2 바디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조립 및 분해 가능하여 위생적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에 관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두 개의 반원통 형상의 바디부가 결합부에 의해 결합되어 원통 형상을 이루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빨대로 사용 가능하고, 결합부가 분해되어 세척이 용이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Straw)(100)는 제1 바디부(110) 및 제2 바디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두 개의 반원통 형상의 제1 바디부(110) 및 제2 바디부(120)가 결합되어 원통 형상을 이루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용액이 담긴 용기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어 흡입력에 의해 용액을 흡입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100)는 제1 바디부(110) 및 제2 바디부(120)가 결합되어 빨대로 사용이 가능하고, 제1 바디부(110) 및 제2 바디부(120)가 간단한 방법에 의해 분해되어 세척이 용이하다. 이에 따라 상기의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100)는 재사용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100)는 제1 바디부(110) 및 제2 바디부(120)를 포함하며,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의 결합부에는 돌출부 또는 홈부가 형성되어 돌출부와 홈부의 결합에 의해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가 결합 가능하다.
제1 바디부(110)는 길이가 긴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소정 두께를 가져 단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111, 1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111, 112)는 제2 바디부(120)와 접촉되어 결합 및 분리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제1 바디부(110)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 테프론재, 목재,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 유리재 및 자기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바디부(120)는 제1 바디부(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바디부(120)는 길이가 긴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소정 두께를 가져 단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121, 122)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121, 122)는 제1 바디부(110)와 접촉되어 가압, 슬라이딩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즉, 제2 바디부(120)는 제1 바디부(1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111, 112)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121, 122)가 형성되어 제1 바디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디부(120)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 테프론재, 목재,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 유리재 및 자기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바디부(1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동일하지 않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동일한 재질이 사용되더라도 다른 무늬, 색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110)는 투명 소재를 사용하고, 제2 바디부(120)에는 색이나 무늬 등을 구성하여 음료가 올라오는 것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가 결합하여 하나의 원통 형상을 이루며, 용액이 담긴 용기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어 용액을 흡입하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100)의 일측을 적어도 일부 입 안에 넣고 흡입력을 이용하여 용기에 담기 음료 또는 물 등의 용액을 마실 수 있다.
제1 바디부(11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111, 112)는 돌출부 또는 홈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바디부(12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121, 12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111, 112)와 대응되는 돌출부 또는 홈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가 돌출부와 홈부의 끼움 결합에 의해 하나의 원통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110)의 단면부의 양측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경우, 제1 바디부(110)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제2 바디부(120)의 단면부 양측은 홈부가 형성됨으로써, 제1 바디부(110)의 돌출부에 제2 바디부(120)의 홈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바디부(110)의 단면부의 양측에 홈부가 형성되는 경우, 제1 바디부(110)의 홈부와 결합되는 제2 바디부(120)의 단면부 양측은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제1 바디부(110)의 홈부에 제2 바디부(120)의 돌출부가 끼움 결합되어 하나의 원통 형상의 빨대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넓어지고, 홈부는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내부로 갈수록 점차 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짐로써, 돌출부가 홈부에 삽입된 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착력을 높여 내부를 통과하는 용액이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부(110)의 단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111, 112)를 가지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111, 112) 중 적어도 하나는 돌출부(112)가 형성되고 다른 적어도 하나는 홈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바디부(120)의 단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121, 122)를 가지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121, 122) 중 적어도 하나는 돌출부(121)가 형성되고 다른 적어도 하나는 홈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바디부(110)의 단면부 일측에는 돌출부(11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홈부(111)가 형성되며, 제2 바디부(120)의 단면부 일측에는 제1 바디부(110)의 돌출부(112)가 삽입되는 홈부(12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1 바디부(110)의 홈부(111)에 삽입되는 돌출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112, 121)와 홈부(111, 122)가 끼움 결합되어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가 하나의 원통 형상이 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 사이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패드부를 추가 삽입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주면에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빨대를 용기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 또는 홈을 통해 용기 또는 용기의 덮개로부터 빨대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100)는 제1 바디부(110), 제2 바디부(120), 및 복수의 패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110)는 길이가 긴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소정 두께를 가져 단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111)는 복수의 패드부(130)와 접촉되어 결합 및 분리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111)는 돌출부(111)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110)는 끝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바디부(120)는 길이가 긴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소정 두께를 가져 단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121)는 복수의 패드부(130)와 접촉되어 결합 및 분리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121)는 돌출부(121)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21)는 끝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패드부(130)는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제1 바디부(1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111)와 제2 바디부(12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121)를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패드부(130)는 고무 등 탄성을 가진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으나, 그 재질에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11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111)와 제2 바디부(12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121)는 돌출부(111, 1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패드부(130)의 양측면은 돌출부(111, 121)가 삽입되는 홈부(131)가 형성되어,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가 복수의 패드부(130)에 의해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11, 121)는 끝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넓어지고, 홈부(131)는 돌출부(111, 121)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내부로 갈수록 점차 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짐로써, 돌출부(111, 121)가 홈부(131)에 삽입된 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착력을 높여 내부를 통과하는 용액이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도 4의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의 결합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도 5b를 참조하면 도 4의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의 결합도의 다른 형태로, 복수의 패드부(130)가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를 연결하고,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전체적인 형태가 원통형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의 사이 공간에 복수의 패드부(130)가 배치되어 돌출부(111, 121)와 홈부(131)에 의해 끼움 결합되어 하나의 원통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조립된 형태에서는 용액이 담긴 용기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어 내부 공간부를 통해 용액을 흡입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100)의 일측을 적어도 일부 입 안에 넣고 흡입력을 이용하여 용기에 담기 음료 또는 물 등의 용액을 마실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200)는 제1 바디부(210) 및 제2 바디부(220)를 포함하며, 제1 바디부(210)와 제2 바디부(220)의 결합부에는 돌출부 또는 홈부가 형성되어 돌출부와 홈부의 결합에 의해 제1 바디부(210)와 제2 바디부(2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바디부(210)는 소정 두께를 가지며 길이가 긴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외주연과 타측 내주연에 각각 결합부(211, 2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211, 212)는 제2 바디부(220)와 접촉되어 결합 및 분리되는 부분으로, 일례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부(210)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 테프론재, 목재,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 유리재 및 자기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바디부(220)는 소정 두께를 가지며 길이가 긴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 바디부(210)와 결합 가능하도록 일측 내주연과 타측 외주연에 각각 결합부(221, 22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221, 222)는 제1 바디부(210)와 접촉되어 결합 및 분리되는 부분으로, 일례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210)의 일측 외주연과 타측 내주연에 각각 홈부(211, 212)가 형성되고, 제1 바디부(210)의 홈부(211, 212)에 삽입되도록 제2 바디부(220)는 일측 내주연과 타측 외주연에 각각 돌출부(221, 2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바디부(210)의 일측 외주연의 홈부(211)와 제2 바디부(220)의 일측 내주연의 돌출부(221)가 끼움 결합되며, 제1 바디부(210)의 타측 내주연의 홈부(212)와 제2 바디부(220)의 타측 외주연의 돌출부(222)가 끼움 결합되고, 용액이 담긴 용기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어 용액을 흡입하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부(210)의 홈부(211, 212)와 제2 바디부(220)의 돌출부(221, 222) 사이 공간에는 복수의 패드부(미도시)가 형성됨으로써, 밀착력을 높일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1 바디부(210)의 일측 외주연과 타측 내주연에 각각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1 바디부(210)의 돌출부에 삽입되도록 제2 바디부(220)는 일측 내주연과 타측 외주연에 각각 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바디부(210)의 일측 외주연은 홈부가 형성되고 타측 내주연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제1 바디부(210)의 홈부와 결합되도록 제2 바디부(220)의 일측 내주연은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1 바디부(210)의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제2 바디부(220)의 타측 외주연은 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2 바디부(220)는 제1 바디부(110)의 결합부와 대응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제1 바디부(210)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21, 222)는 끝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커지고, 홈부(211, 212)는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내부로 갈수록 면적이 커질 수 있다.
제2 바디부(220)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 테프론재, 목재,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 유리재 및 자기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바디부(2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동일하지 않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동일한 재질이 사용되더라도 다른 무늬, 색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210)는 투명 소재를 사용하고, 제2 바디부(220)에는 색이나 무늬 등을 구성하여 음료가 올라오는 것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300)는 제1 바디부(310) 및 제2 바디부(320)를 포함하며, 제1 바디부(310)와 제2 바디부(320)의 결합부에는 돌출부 또는 홈부가 형성되어 돌출부와 홈부의 결합에 의해 제1 바디부(310)와 제2 바디부(3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바디부(310)는 소정 두께를 가지며 길이가 긴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 내주연에 각각 결합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311)는 제2 바디부(320)와 접촉되어 결합 및 분리되는 부분으로, 일례로 홈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부(310)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 테프론재, 목재,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 유리재 및 자기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바디부(320)는 소정 두께를 가지며 길이가 긴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 바디부(310)에 적어도 일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바디부(320)보다 직경이 작은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부(310)의 두께보다 제2 바디부(320)의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바디부(310)의 두께와 제2 바디부(320)의 두께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바디부(320)의 양측 외주연에는 제1 바디부(310)의 결합부(311)과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태의 결합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바디부(320)에 형성되는 결합부(321)는 제1 바디부(310)와 접촉되어 결합 및 분리되는 부분으로, 일례로 돌출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310)의 양측 내주연에는 홈부(311)가 형성되고, 제1 바디부(310)의 홈부(311)에 삽입되도록 제2 바디부(320)의 양측 외주연에는 돌출부(321)가 형성됨으로써, 제1 바디부(310)의 적어도 일부에 제2 바디부(3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바디부(310)의 홈부(311)와 제2 바디부(320)의 돌출부(321)가 끼움 결합되며, 용액이 담긴 용기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어 용액을 흡입하도록 결합된 형태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부(310)의 홈부(311)와 제2 바디부(320)의 돌출부(321) 사이 공간에는 복수의 패드부(미도시)가 형성됨으로써, 밀착력을 높일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1 바디부(310)의 양측 내주연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1 바디부(310)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제2 바디부(320)의 양측 외주연에는 홈부가 형성됨으로써, 제1 바디부(310)의 적어도 일부에 제2 바디부(3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부(310)의 홈부와 제2 바디부(320)의 돌출부 사이 공간에는 복수의 패드부(미도시)가 형성됨으로써, 밀착력을 높일 수도 있다.
즉, 제2 바디부(320)는 제1 바디부(110)의 결합부와 대응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제1 바디부(310)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커지고, 홈부는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내부로 갈수록 면적이 커질 수 있다.
제2 바디부(320)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 테프론재, 목재,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 유리재 및 자기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바디부(3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동일하지 않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동일한 재질이 사용되더라도 다른 무늬, 색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310)는 투명 소재를 사용하여 음료가 올라오는 것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바디부(320)에는 색이나 무늬 등을 구성하여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는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로 구분되어 두 개의 바디부의 디자인을 다르게 구성하는 것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결합 형태에 따라 빨대의 형상 또한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 또는 슬라이딩 등의 방법에 의해 쉽게 조립 및 분리 가능하여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두 개의 반원통 형상의 바디부가 결합부에 의해 결합되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됨으로써 빨대로 사용 가능하고, 결합부가 분해되어 세척이 용이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빨대
110, 210, 310: 제1 바디부
120, 220, 320: 제2 바디부
111, 112: 제1 결합부
121, 122: 제2 결합부
130: 패드부

Claims (10)

  1. 소정 두께를 가져 단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가 형성되는 반원통 형상의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디부와 결합하는 반원통 형상의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결합하여 하나의 원통 형상을 이루며, 용액이 담긴 용기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어 상기 용액을 흡입하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에 형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는 돌출부 또는 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와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 또는 상기 홈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부의 끼움 결합에 의해 상기 하나의 원통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단면부 일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디부의 단면부 일측에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부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상기 하나의 원통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패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부에 형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바디부에 형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는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패드부의 양측면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상기 복수의 패드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커지고, 상기 홈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내부로 갈수록 면적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6.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 외주연과 타측 내주연에 각각 홈부가 형성되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홈부와 결합되도록,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 내주연과 타측 외주연에 각각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의 일측 외주연의 상기 홈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일측 내주연의 상기 돌출부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 바디부의 타측 내주연의 상기 홈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타측 외주연의 상기 돌출부가 끼움 결합되고, 용액이 담긴 용기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어 상기 용액을 흡입하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커지고, 상기 홈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내부로 갈수록 면적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8. 양측 내주연에 각각 홈부가 형성되는 반원통 형상의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며, 양측 외주연에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홈부와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디부와 끼움 결합되는 반원통 형상의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결합하여 하나의 원통 형상을 이루며, 용액이 담긴 용기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어 상기 용액을 흡입하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커지고, 상기 홈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내부로 갈수록 면적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의 두께가 상기 제2 바디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KR1020160080318A 2016-06-27 2016-06-27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KR101861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318A KR101861432B1 (ko) 2016-06-27 2016-06-27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318A KR101861432B1 (ko) 2016-06-27 2016-06-27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31A true KR20180001331A (ko) 2018-01-04
KR101861432B1 KR101861432B1 (ko) 2018-05-25

Family

ID=6099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318A KR101861432B1 (ko) 2016-06-27 2016-06-27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432B1 (ko)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9001601U1 (de) 2019-04-03 2019-06-17 SliderStraw UG (haftungsbeschränkt) Trinkröhrchen
DE102018005018B3 (de) 2018-05-31 2019-08-22 SliderStraw UG (haftungsbeschränkt) Trinkröhrchen
KR102041075B1 (ko) * 2019-05-14 2019-11-05 임희진 분리형 스트로우
TWI677307B (zh) * 2018-07-24 2019-11-21 林紫綺 環保結合式吸管結構
CN110495757A (zh) * 2018-05-17 2019-11-26 张清达 一种组合式吸管
CN110495758A (zh) * 2018-05-17 2019-11-26 张清达 一种可拆卸式吸管
WO2019228582A1 (de) 2018-05-31 2019-12-05 Sliderstraw Ug Trinkröhrchen
WO2019242002A1 (zh) * 2018-06-22 2019-12-26 邱智清 一种具有环状体结合的环保吸管
CN110786705A (zh) * 2018-08-02 2020-02-14 林紫绮 环保结合式吸管结构
WO2020044132A1 (en) * 2018-08-28 2020-03-05 Lu Wen Yu Drinking straw
WO2020054988A1 (ko) * 2018-09-13 2020-03-19 고연지 세척 가능한 조립형 실리콘 빨대
WO2020067676A1 (ko) * 2018-09-27 2020-04-02 김영수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조립식 빨대
KR102101886B1 (ko) * 2018-11-12 2020-04-17 김준휘 안팎이 뒤집어져 세척이 용이한 다회용 빨대
TWI692332B (zh) * 2018-11-09 2020-05-01 沅澄創意科技有限公司 能防止液體滲漏的組合式吸管
EP3656256A1 (en) * 2018-11-26 2020-05-27 LG Corporation Limited A resealable drinking straw
TWI697305B (zh) * 2018-08-29 2020-07-01 蘋信心文化事業有限公司 易清洗式吸管
KR20200124608A (ko) * 2019-04-24 2020-11-03 전주엽 탈부착식 빨대
EP3738480A1 (en) * 2019-05-14 2020-11-18 Shanghai Chenxin Industrial Co., Ltd. Washable drinking straw
KR102228119B1 (ko) * 2019-11-25 2021-03-16 윤태연 랩핑형 빨대
WO2021096073A1 (ko) * 2019-11-12 2021-05-20 김한주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US11039702B2 (en) * 2017-06-12 2021-06-22 April Allen Separable drinking straw to facilitate cleaning of internal walls
WO2021159411A1 (zh) * 2020-02-13 2021-08-19 龙海有限公司 一种可拆卸的中空吸管
KR20220092012A (ko) * 2020-12-24 2022-07-01 에스케이실트론 주식회사 원료공급용 호퍼, 원료공급방법 및 원료공급시스템
US11542074B1 (en) 2021-07-02 2023-01-03 Munchkin, Inc. Flip straw cup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4301B1 (ja) * 2018-09-26 2020-02-12 株式会社ケイプラスモールドジャパン 飲用ストロー
WO2020218864A1 (ko) * 2019-04-24 2020-10-29 전주엽 탈부착식 빨대
WO2020257508A1 (en) * 2019-06-21 2020-12-24 Slurp-C LLC Straw apparatus
WO2021162140A1 (ko) * 2020-02-12 2021-08-19 김한주 세척 및 재사용이 가능한 결합식 스트로우
DE102020115147A1 (de) 2020-05-26 2021-12-02 Michael Kaufmann Wiederverwendbarer Trinkhalm
EP3915442B1 (de) 2020-05-26 2023-08-16 Michael Kaufmann Wiederverwendbarer trinkhal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6172A (ja) * 1999-10-15 2001-04-27 Takada Seisakusho:Kk 組立て式管体
JP2014155524A (ja) * 2013-02-14 2014-08-28 Toppan Printing Co Ltd ストロー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9702B2 (en) * 2017-06-12 2021-06-22 April Allen Separable drinking straw to facilitate cleaning of internal walls
CN110495757A (zh) * 2018-05-17 2019-11-26 张清达 一种组合式吸管
CN110495758A (zh) * 2018-05-17 2019-11-26 张清达 一种可拆卸式吸管
CN112040816A (zh) * 2018-05-31 2020-12-04 斯莱德斯兆有限责任公司 饮用管
DE102018005018B3 (de) 2018-05-31 2019-08-22 SliderStraw UG (haftungsbeschränkt) Trinkröhrchen
CN112040816B (zh) * 2018-05-31 2023-11-14 斯莱德斯兆有限责任公司 饮用管
JP2021524766A (ja) * 2018-05-31 2021-09-16 スライダー・ストロー・ウンターネーマーゲゼルシャフト ストロー
WO2019228582A1 (de) 2018-05-31 2019-12-05 Sliderstraw Ug Trinkröhrchen
WO2019242002A1 (zh) * 2018-06-22 2019-12-26 邱智清 一种具有环状体结合的环保吸管
TWI677307B (zh) * 2018-07-24 2019-11-21 林紫綺 環保結合式吸管結構
CN110786705A (zh) * 2018-08-02 2020-02-14 林紫绮 环保结合式吸管结构
WO2020044132A1 (en) * 2018-08-28 2020-03-05 Lu Wen Yu Drinking straw
TWI697305B (zh) * 2018-08-29 2020-07-01 蘋信心文化事業有限公司 易清洗式吸管
WO2020054988A1 (ko) * 2018-09-13 2020-03-19 고연지 세척 가능한 조립형 실리콘 빨대
KR102089172B1 (ko) * 2018-09-13 2020-05-22 고연지 세척 가능한 조립형 실리콘 빨대
WO2020067676A1 (ko) * 2018-09-27 2020-04-02 김영수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조립식 빨대
TWI692332B (zh) * 2018-11-09 2020-05-01 沅澄創意科技有限公司 能防止液體滲漏的組合式吸管
KR102101886B1 (ko) * 2018-11-12 2020-04-17 김준휘 안팎이 뒤집어져 세척이 용이한 다회용 빨대
EP3656256A1 (en) * 2018-11-26 2020-05-27 LG Corporation Limited A resealable drinking straw
GB2579263A (en) * 2018-11-26 2020-06-17 Lg Corporation Ltd A reasealable drinking straw
DE202019001601U1 (de) 2019-04-03 2019-06-17 SliderStraw UG (haftungsbeschränkt) Trinkröhrchen
KR20200124608A (ko) * 2019-04-24 2020-11-03 전주엽 탈부착식 빨대
WO2020230967A1 (ko) * 2019-05-14 2020-11-19 임희진 분리형 스트로우
EP3738480A1 (en) * 2019-05-14 2020-11-18 Shanghai Chenxin Industrial Co., Ltd. Washable drinking straw
KR102041075B1 (ko) * 2019-05-14 2019-11-05 임희진 분리형 스트로우
WO2021096073A1 (ko) * 2019-11-12 2021-05-20 김한주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KR102228119B1 (ko) * 2019-11-25 2021-03-16 윤태연 랩핑형 빨대
WO2021159411A1 (zh) * 2020-02-13 2021-08-19 龙海有限公司 一种可拆卸的中空吸管
KR20220092012A (ko) * 2020-12-24 2022-07-01 에스케이실트론 주식회사 원료공급용 호퍼, 원료공급방법 및 원료공급시스템
US11542074B1 (en) 2021-07-02 2023-01-03 Munchkin, Inc. Flip straw cup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432B1 (ko) 201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432B1 (ko)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USD836973S1 (en) Combined beverage bottle lid with coconut shaped cup
US8276776B2 (en) Lids and containers
USD695138S1 (en) Beverage can and cap assembly
US20150190004A1 (en) Stainless steel beverage pipette
USD630060S1 (en) Child's drinking cup with tilted floor
USD984853S1 (en) Beverage container with integrated drinking glass
USD641258S1 (en) Tray and lid assembly
USD587068S1 (en) Cup with a beverage indicator
CN104905629A (zh) 具有吸管盖的婴儿训练杯子
USD909881S1 (en) Perfume container
TWM569192U (zh) Straw improved structure
TW201838565A (zh) 杯子
KR101725792B1 (ko) 종이컵 장착형 음료용기
US9833089B2 (en) Weaning clip
TW200422087A (en) Toy maraca
TWI674868B (zh) 可拆卸式吸管
CN212995909U (zh) 可拆式吸管
CN209750662U (zh) 一种可拆卸杯盖
KR20100004978U (ko) 분리형 음료용기
WO2020109829A1 (en) Cap with cup for bottles
TWI692332B (zh) 能防止液體滲漏的組合式吸管
CN219982633U (zh) 一种异形中空高透明塑料水杯
USD559392S1 (en) Collapsible baby bottle
US20220213908A1 (en) Drinking straw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